KR200242441Y1 -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441Y1
KR200242441Y1 KR2020010014437U KR20010014437U KR200242441Y1 KR 200242441 Y1 KR200242441 Y1 KR 200242441Y1 KR 2020010014437 U KR2020010014437 U KR 2020010014437U KR 20010014437 U KR20010014437 U KR 20010014437U KR 200242441 Y1 KR200242441 Y1 KR 200242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rive spindle
shaft
ped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어계측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어계측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어계측기술
Priority to KR2020010014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44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제어의 전달이 비교적 정확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고장발생률을 줄이며, 제조단가가 저렴한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측에는 페달위치센서와 드라이브 스핀들을 장착시키며 하부에는 축봉을 고정시키는 프레임(10)과, 상기 축봉(14)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작동봉(24)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페달(22)이 부착되는 레버(20)와,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12)에 고정되며 레버의 작동봉(24)이 끼워지는 작동간(26)과, 상기 축봉(14)으로 끼워져 레버(20)를 탄지시키며 상기 레버에 복원력을 가하는 이중의 스프링(30,32)과, 레버의 회전각을 조절하며 작동소음을 줄이는 고무 쿠션(34,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DEVICE FOR ELECTRON ACCELERATOR FOR CARS}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액셀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엔진의 가속을 위한 액셀레이터 페달과 케이블의 연결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된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속도를 가속하기 위한 액셀레이터는, 기화기에 연결되어 트로틀밸브를 제어하게 되는 기계식 케이블의 끝에 액셀레이터 페달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페달을 조작하게 됨에 따라 레버의 반대쪽 끝 부분에 연결되는 기계식 푸쉬-풀(push-pull)케이블이 연료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엔진에 유입되는 연료량을 제어하고 운전자가 의도하는 엔진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위의 액셀레이터 장치로는 축봉에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끼워지고, 레버의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이 위치하는 지점에 푸쉬-풀 케이블이 연결고리로 레버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에 장착된 페달을 밟으면 레버의 선회동작거리에 따라 푸쉬-풀 케이블이 직선운동하여 연료 밸브의 회전축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셀레이터 장치는, 연결된 구조가 복잡하게 되면서 차량 생산 시간 및 단가가 상승되고 고장발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엔진룸과 운전석간의 방화벽을 푸쉬-풀 케이블이 관통함에 따라 엔진 소음이 차내로 유입되며, 또한 엔진 제어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른 연료효율의 저하,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어의 전달이 비교적 정확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고장발생률을 줄이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엔진 전자제어장치(ECU)와연결되는 페달위치센서를 작동시키는 드라이브 스핀들과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레버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는 상기 페달위치센서와 드라이브 스핀들을 장착시키며 하부에는 축봉을 고정시키는 프레임(10)과, 상기 축봉(14)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작동봉(24)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페달(22)이 부착되는 레버(20)와,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12)에 고정되며 레버의 작동봉(24)이 끼워지는 작동간(26)과, 상기 축봉(14)으로 끼워져 레버(20)를 탄지시키며 상기 레버에 복원력을 가하는 이 중의 스프링(30,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2:드라이브 스핀들
14:축봉 16:페달위치센서
18:케이블 20:레버
24:작동봉 28:가이드 홈
30,32: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레버가 장착된 프레임의 일측면으로 엔진 전자제어장치(ECU)와 연결되는 전기케이블을 구비한 페달위치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액셀레이터 장치의 정면도 및 단면도로서 그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따르면, 양측으로 측판(11)이 형성된 프레임(10)의 상부에 양측 측판(11)사이로 조립되는 드라이브 스핀들(12)이 회전되도록 조립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12)의 좌측 단부에는 엔진 전자제어장치(ECU)와 연결되는케이블(18)이 구비된 페달위치센서(16)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12)의 중간지점에는 유자 'U'형상의 작동간(26)이 고정된 것으로 중앙의 가이드 홈(28)이 위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역시 양측의 측판(11)사이로 끼워져 회전되는 축봉(14)이 있으며, 상기 축봉의 우측 단부에는 전방에서 부착되어 용접으로 고정되는 레버(20)가 있다. 상기 레버(20)의 하부 끝에는 페달(22)이 부착되어 있고, 상부 끝에는 수직방향으로 굽혀지면서 작동봉(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봉(24)은 드라이브 스핀들(12)에 고정된 작동간(26)의 가이드 홈(28)사이로 끼워져 있다. 한편 축봉(14)과 고정된 레버(20)는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으로 페달을 밟을 때, 상부의 작동봉(24)이 작동간(26)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동시에 드라이브 스핀들(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봉에는 레버(20)를 탄성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두 개의 스프링(30,32)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봉(14)에는 양측의 스프링(30,32)을 끼워 레버(20)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탄성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 하나의 스프링(30)은 일측 단부가 레버(20)의 상부 전방면에 걸리게 되면서 레버를 아래로 탄지하게 되고, 또 다른 스프링(32)의 일측 단부는 상기 레버의 하부에서 저면으로 걸리게 되면서 위로 탄지하게 되어,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과정 중 분산되고 부드러운 힘을 페달에서 느껴지도록 고안하였으며 또한 두 개의 스프링중 한 개의 스프링 만으로서도 레버가 자동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26) 및 레버(20)의 하부에는 고무 쿠션(34,35)이 부착되어 소음을 줄이면서 작동간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페달(22)을 밟게 되면 레버(20)가 축봉(1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레버의 상단부에 조립된 작동간(26)이 회전하면서 드라이브 스핀들(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12)의 회전력은 페달위치센서(16)에 전달되면서 엔진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해 엔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페달(22)은 축봉에 끼워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복귀력을 가지고 있으며, 페달을 누르는 힘을 줄이게 될 때 레버가 복귀되면서 드라이브 스핀들(12)을 역회전시킨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차량 제조생산단가를 줄일 뿐만 아니라 엔진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고, 내구성이 견고하면서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엔진제어장치와 연결되는 페달위치센서를 작동시키는 드라이브 스핀들과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레버와 페달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전자식액셀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는 상기 페달위치센서(16)와 드라이브 스핀들(12)을 장착시키며 하부에는 축봉(14)을 고정시키는 프레임(10)과;
    상기 축봉(14)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작동봉(24)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페달(22)이 부착되는 레버(20)와;
    상기 드라이브 스핀들(12)에 고정되며 레버의 작동봉(24)이 끼워지는 작동간(26)과;
    상기 축봉(14)으로 끼워져 레버(20)를 탄지시키며 상기 레버에 복원력을 가하는 이중의 스프링(30,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26)은 유자 'U'형상으로서 중앙에 가이드 홈 (28)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작동봉(24)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KR2020010014437U 2001-05-17 2001-05-17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KR200242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37U KR200242441Y1 (ko) 2001-05-17 2001-05-17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37U KR200242441Y1 (ko) 2001-05-17 2001-05-17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441Y1 true KR200242441Y1 (ko) 2001-10-15

Family

ID=7310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437U KR200242441Y1 (ko) 2001-05-17 2001-05-17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2160A (zh) * 2018-12-29 2019-03-29 巢湖学院 一种汽车踏板半成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2160A (zh) * 2018-12-29 2019-03-29 巢湖学院 一种汽车踏板半成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349B1 (en) Adjustable brake, clutch and accelerator pedals
US6367348B1 (en) Adjustable brake, clutch and accelerator pedals
KR100644796B1 (ko)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US6860170B2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hysteresis mechanism
JP5273717B2 (ja) オルガンタイプ加速ペダル装置
KR100724700B1 (ko) 차량용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1383719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200242441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JPH0880759A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278505A (ja) パワーシートにおけるギヤボツクス取付構造
KR101327044B1 (ko) 차량의 페달장치
KR101272947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CA1290203C (en) Control device for throttle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201068819Y (zh) 汽车电控油门器
KR100348042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설치장치
JP3155929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KR20100046653A (ko) 차량용 플로어 전자식 가속페달 장치
KR100598882B1 (ko)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
JPS6210445Y2 (ko)
KR100372460B1 (ko) 자동차용 페달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214970Y1 (ko) 자동차 액셀레이터조작패달어셈블리
JPH0232934Y2 (ko)
KR100401830B1 (ko) 자동차의 가속페달조립체
KR100839472B1 (ko) 가속페달 장치
JPS6040362Y2 (ja) リモ−トコントロ−ル式ミ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