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804B1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804B1
KR101385804B1 KR1020127014256A KR20127014256A KR101385804B1 KR 101385804 B1 KR101385804 B1 KR 101385804B1 KR 1020127014256 A KR1020127014256 A KR 1020127014256A KR 20127014256 A KR20127014256 A KR 20127014256A KR 101385804 B1 KR101385804 B1 KR 10138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air
direction control
indoor unit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278A (ko
Inventor
요시떼루 노오찌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결로를 억제시키면서, 복수의 분출구 중 어느 하나의 분출구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천장에 대해 고정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이며, 실내기 케이싱(31)은 흡입구(35) 및 복수의 장변 분출구(51 내지 54)를 갖고 있다. 복수의 플랩 본체(80)는 복수의 장변 분출구(51 내지 54)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플랩 본체(80)는 회전함으로써 장변 분출구(51 내지 54)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7)는 복수의 플랩 본체(80)의 회전 상태를 각각 독립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7)는 복수의 플랩 본체(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체를, 대응하는 장변 분출구(51 내지 54)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조화 공기의 통과 풍량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4989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출구가 복수 형성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복수의 분출구의 각각으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에 의해, 대상 공간의 광범위를 조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49892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소정의 분출구로부터의 조화 공기의 분출 대상 에어리어가, 실내의 측벽의 부근인 경우나, 드래프트감을 싫어하는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당해 분출구로부터의 분출 정도를 낮게 억제하거나, 폐지해 버리기 위해, 별도의 폐쇄 부재 등이 필요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85652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수평 플랩을 회전시켜, 분출구 전체를 막음으로써, 특정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4989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8565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85652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를 수평 플랩으로 완전하게 막는 것이 곤란해, 수평 플랩 중 조화 공기가 닿는 면과, 실내측의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닿는 면에서 온도차가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수평 플랩의 한쪽의 면과 반대의 면 사이에서 온도차가 발생하면, 수평 플랩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결로를 억제시키면서, 복수의 분출구 중 어느 하나의 분출구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천장에 대해 고정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이며, 실내기 케이싱, 풍향 조절판 및 풍향 조절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 케이싱은 흡입구 및 복수의 분출구를 갖고 있다. 복수의 풍향 조절판은 복수의 분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풍향 조절판은 회전함으로써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 조절 제어부는 복수의 풍향 조절판의 회전 상태를 각각 독립으로 조절할 수 있다. 풍향 조절 제어부는 복수의 풍향 조절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체를, 대응하는 분출구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분출 출구에 있어서의 조화 공기의 통과 풍량을 저감시키는 풍량 저감 상태로 하거나, 혹은 분출구로부터 흡입구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조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는 억제 상태로 한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결로를 억제시키면서, 복수의 분출구 중 어느 하나의 분출구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아암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풍향 조절판은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는 풍향 조절판으로부터 회전축까지 신장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풍향 조절판이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출구의 조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회전에 의해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향 조절판은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식모됨으로써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결로 억제면을 갖고 있다. 풍향 조절판의 결로 억제면의 이면은 결로 억제면보다도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풍향 조절판의 결로 억제면에 의해 결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결로 억제면의 이면은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면을 실내측을 향한 상태로 함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풍향 조절판에 있어서의 결로의 억제 및 실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의장성의 향상을, 풍향 조절판의 회전 상태를 바꾸는 것만으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3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향 조절판은 결로 억제면측이 오목 형상이고, 결로 억제면의 이면측이 볼록 형상이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풍향 조절판에 의해 풍향을 조절시키는 경우에는, 분출구를 통과하는 조화 공기를 진행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유도할 수 있고, 분출구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경우에는, 조화 공기의 진행 방향의 흐트러짐의 정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제1 발명으로부터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향 조절판과 상기 분출구의 조를 적어도 4조 구비하고 있다. 풍향 조절 제어부가 풍량 저감 상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한 것은 4조 중 1조 혹은 2조뿐이다.
상술한 제1 발명으로부터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분출구와 풍향 조절판의 4조 중, 3조 이상에서 풍량 저감 상태가 동시에 행해져 버리면, 남은 분출구와 풍향 조절판의 조의 부분을 통과하는 풍량이 지나치게 증대해 버린다.
이에 대해, 이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풍량 저감 상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한 조를 2조 이하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풍량 저감 상태를 취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의 분출 풍량의 과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결로를 억제시키면서, 복수의 분출구 중 어느 하나의 분출구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의 조화 공기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회전에 의해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풍향 조절판에 있어서의 결로의 억제 및 실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의장성의 향상을, 풍향 조절판의 회전 상태를 바꾸는 것만으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분출구를 통과하는 조화 공기를 진행 방향으로 완만하게 유도하는 것과, 조화 공기의 진행 방향의 흐트러짐의 정도를 억제하면서 풍량을 저감시키는 것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는 풍량 저감 상태를 취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의 분출 풍량의 과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냉방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냉매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의 평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의, 도 3 중 A-O-A 절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바닥판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6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7은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8은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의 하면에서 본 외관 구성도이다.
도 9는 풍향 조절부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풍향 조절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에 있어서의 하면에서 본 부분 확대 외관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독립 풍향 제어 시 혹은 연동 풍향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중 C-C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독립 풍향 제어 시 혹은 연동 풍향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풍량 억제 제어의 이미지도이다.
도 15는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풍량 억제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구 근방이며, 풍향 조절부의 자세 상태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공기 조화 장치(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기가 채용된 공기 조화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실내기의 타입이 천장에 매립됨으로써 설치되는 타입으로, 8개의 분출구를 갖고, 그 중 4개의 분출구에 설치된 풍향 조절판의 경사 각도를 풍향 조절판마다 독립하여 회전 제어할 수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1)는 스플릿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로, 주로, 실외 유닛(2), 실내 유닛(4),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4)을 접속하는 액 냉매 연락관(5) 및 가스 냉매 연락관(6) 및 제어부(7)를 갖고 있고, 증기 압축식의 냉매 회로(10)를 구성하고 있다.
<1-1> 실외 유닛(2)
실외 유닛(2)은 실외 등에 설치되어 있고, 주로, 압축기(21), 4로 전환 밸브(22), 실외 열교환기(23), 팽창 밸브(24), 액측 폐쇄 밸브(25), 가스측 폐쇄 밸브(26) 및 실외 팬(27)을 갖고 있다.
압축기(21)는 저압의 가스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고압의 가스 냉매로 한 후에 토출하기 위한 압축기이다.
4로 전환 밸브(22)는 냉방과 난방의 전환 시에,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다. 4로 전환 밸브(22)는, 냉방 시에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하는 동시에 가스측 폐쇄 밸브(26)와 압축기(21)의 흡입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에 있어서의 4로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 또한, 4로 전환 밸브(22)는, 난방 시에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가스측 폐쇄 밸브(26)를 접속하는 동시에 실외 열교환기(23)의 가스측과 압축기(21)의 흡입측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에 있어서의 4로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
실외 열교환기(23)는, 냉방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교환기이다. 실외 열교환기(23)는 그 액측이 팽창 밸브(24)에 접속되어 있고, 가스측이 4로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팽창 밸브(24)는, 냉방 시에는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42)(후술)로 보내기 전에 감압하고, 난방 시에는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기 전에 감압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 팽창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5) 및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외부의 기기ㆍ배관[구체적으로는, 액 냉매 연락관(5) 및 가스 냉매 연락관(6)]의 접속구에 설치된 밸브이다. 액측 폐쇄 밸브(25)는 팽창 밸브(24)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4로 전환 밸브(22)에 접속되어 있다.
실외 팬(27)은 실외 유닛(2)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실외 공기를 공급한 후에, 유닛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실외 열교환기(23)는 실외 공기를 냉각원 또는 가열원으로 하여 냉매를 응축이나 증발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1-2> 실내 유닛(4)
실내 유닛(4)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천장 매립형이라고 불리는 형식의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로, 실내기 케이싱(31), 실내 팬(41), 실내 열교환기(42), 드레인 팬(40) 및 벨 마우스(41c) 등을 갖고 있다.
도 2에 실내 유닛(4)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실내 유닛(4)의 천장판(33a)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실내 유닛(4)의 개략 측면 단면도이고, 도 3 중에 A-O-A로 나타내는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한다.
실내기 케이싱(31)은 케이싱 본체(31a), 화장 패널(32) 및 풍향 조절부(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31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실의 천장(U)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평면에서 볼 때, 장변과 단변이 교대로 형성된 대략 8각 형상의 상자 형상체이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이 케이싱 본체(31a)는 장변과 단변이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된 대략 8각 형상의 천장판(33a)과, 천장판(33a)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34)과, 천장판(33a) 및 측판(34)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바닥판(33b)을 갖고 있다. 측판(34)은 천장판(33a)의 장변에 대응하는 측판(34a, 34b, 34c, 34d)과, 천장판(33a)의 단변에 대응하는 측판(34e, 34f, 34g, 34h)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34h)에는 실내 열교환기(42)와 냉매 연락관(5, 6)을 접속하기 위한 액측 접속관(5a) 및 가스측 접속관(6a)이 관통하고 있다. 바닥판(33b)은 화장 패널(32)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하면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대략 사각형의 개구가 형성되고, 그 주위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을 구성한다. 이 바닥판(33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33a) 및 측판(34)보다도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하면측(실내측)에 화장 패널(32)이 설치된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31a) 내에는 흡입구(35)로부터 케이싱 본체(31a) 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유로(35a)와, 흡입 유로(35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대략 연직 방향으로 신장된 형상이고 조화 공기를 실내에 분출하기 위한 각 분출 유로(51a, 52a, 53a, 54a, 61a, 62a, 63a, 64a)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 패널(32)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U)의 개구에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4각 형상의 판형상체이고, 주로, 케이싱 본체(31a)의 바닥판(33b)에 대해 실내측으로부터 설치됨으로써, 케이싱 본체(31a)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 패널(32)은 실내 유닛(4)의 하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2a),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 및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에 의해 구성되고, 흡입구(35) 및 분출구(36)를 갖고 있다. 실내 유닛(4)의 설치 상태에서,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하단부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하단부보다도 약간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입 그릴(32a)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 중앙에 배치된, 대략 4각 형상의 패널이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은 실내측으로부터 본 하면도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4각 형상의 프레임 부재로, 흡입구(35)와 분출구(36) 사이에 배치된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의 테두리(37i)는 대략 4각 형상이며, 코너 부분이 라운딩을 띤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외측의 테두리는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 및 개구 내측 팽출부(37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는 내측의 테두리(37i)의 각 4변의 각각의 중심 근방에 대응하는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내측의 테두리(37i)의 변과 대략 평행하며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코너에 근접함에 따라서, 테두리가 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을 향해 완만하게 오목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 내측 팽출부(37c)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코너 부근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고, 각 코너가 라운딩을 띤 형상으로 외측으로 팽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의 외측 테두리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분출구(36)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측으로부터 본 하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의 테두리(38j)는 대략 4각 형상이며, 케이싱 본체(31a)의 바닥판(33b)의 테두리를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코너가 라운딩을 띠고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내측의 테두리는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는 외측의 테두리(38j)의 각 4변의 각각의 중심 근방에 대응하는 내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외측의 테두리(38j)의 변과 대략 평행하며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코너에 근접함에 따라서, 테두리가 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측을 향해 완만하게 팽창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의 직선 부분은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의 직선 부분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 프레임 중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의 비율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의 하면에서 보면,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흡입구(35)는 흡입 그릴(32a)의 대략 중앙에 형성된 대략 4각 형상의 개구이다. 이 흡입구(35)에는 흡입구(35)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35)의 케이싱 본체(31a) 내부측에는 상술한 흡입 유로(35a)가 연결되어 있다.
분출구(36)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과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 사이이며, 흡입구(3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장변 분출구(50) 및 단변 분출구(60)로 구성되어 있다. 장변 분출구(50)는 흡입구(35)의 대략 4각 형상에 있어서의 각 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의 4개의 분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변 분출구(50)는 개구의 내측을 향해 테두리 부분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장변 분출구(50)는 길이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직행하는 방향인 폭 방향의 길이의 차가 종래의 분출구보다도 작아지도록(길이의 어스펙트비가 종래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변 분출구(50)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의 초속도를 올릴 수 있다. 단변 분출구(60)는 흡입구(35)의 대략 4각 형상에 있어서의 코너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단변 분출구(61), 제2 단변 분출구(62), 제3 단변 분출구(63) 및 제4 단변 분출구(64)의 4개의 분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분출구(36)는 장변 분출구(50)와 단변 분출구(50)가 교대로 배열되면서, 대략 환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에는 각각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제2 장변 분출 유로(52a), 제3 장변 분출 유로(53a), 제4 장변 분출 유로(54a)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단변 분출구(61), 제2 단변 분출구(62), 제3 단변 분출구(63) 및 제4 단변 분출구(64)에는 각각 제1 단변 분출 유로(61a), 제2 단변 분출 유로(62a), 제3 단변 분출 유로(63a), 제4 단변 분출 유로(64a)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제4 장변 분출구(54), 제1 단변 분출구(61), 제2 단변 분출구(62), 제3 단변 분출구(63) 및 제4 단변 분출구(64)로부터는, 각각, 실내 유닛(4) 내에서 조화된 공기 흐름(F51, F52, F53, F54, F61, F62, F63, F64)이 분출 풍향을 조절하면서 분출된다.
풍향 조절부(70)는 축 방향에서 본 단면도인 도 9 및 주로 실내측을 향하는 면에 대한 외관 사시도인 도 10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고, 공조실 내에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판으로서 기능한다. 풍향 조절부(7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출구(36) 중, 단변 분출구(60)에는 배치되는 일이 없고, 장변 분출구(50)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 풍향 조절부(70)는 제1 장변 분출구(51)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장변 분출구(52)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장변 분출구(53)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장변 분출구(54)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4 풍향 조절부(74)가 설치되어 있다.
풍향 조절부(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 및 회전축(90x)을 포함하고 있는 아암(90)을 갖고 있다.
플랩 본체(80)는 회전축(90x)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하여 형성된 판 형상 부재이며, 아암(90)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인 이면(80y)과는 반대측의 면인 표면(80x)이, 외측으로 돌출된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플랩 본체(80)가 완만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장변 분출구(50)를 통과하는 조화 공기를 진행 방향을 향해 완만하게 유도할 수 있다. 플랩 본체(80)의 외측 테두리는 내측을 향해 오목한 형상 부분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랩 본체(8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0x)이 주로 실내측(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실내측에 근접함에 따라서 회전축(90x)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실내측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분출 공기 흐름 상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회전축(90x)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풍향 조절부(70)가 회전한 경우에, 플랩 본체(8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다른 궤적을 타게 된다.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0x)이 주로 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 근방 부분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하여 요철 형상부(80x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은 이 요철 형상부(80x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매끈한 대략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에는 파일 길이가 다른 단섬유의 혼합물이 균일하게 식모되어 있는 식모 시트(80ya)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식모 시트(80ya)는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주로 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분출 풍향을 조절할 때에, 케이싱 본체(31a) 내부로부터의 조화 공기가 닿는 부분이고, 플랩 본체(80)에 있어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식모 시트(80y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80x)이 약간 분출 공기 흐름 하류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조금 내측 부근에 설치되어 있고, 플랩 본체(80)의 판 두께 방향에 있어서 식모 시트(80ya)와 요철 형상부(80xa)가 겹치는 부분이 적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외측 테두리 형상은 표면(80x)측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내측 직선부(80a), 플랩 내측 만곡부(80b),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 플랩 외측 직선부(80d) 및 플랩 외측 만곡부(80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랩 내측 직선부(80a)는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90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신장된 직선 형상 부분의 테두리이다. 이 플랩 내측 직선부(80a)는 플랩 본체(80)의 회전축(90x)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50% 정도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플랩 내측 만곡부(80b)는 플랩 내측 직선부(80a)의 양단부로부터, 각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를 완만하게 연결하고 있는 테두리이고, 플랩 본체(80)의 외측에 완만하게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플랩 내측 만곡부(80b)는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25% 정도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는 회전축(90x) 방향에 대해 직행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즉 플랩 내측 직선부(80a)와 플랩 외측 직선부(80d) 중 어느 쪽으로든 직행하는 방향에 있어서, 플랩 외측 직선부(80d)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와 플랩 내측 직선부(80a)의 폭 방향의 거리가,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와 플랩 외측 직선부(80d)의 폭 방향의 거리보다도 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플랩 외측 직선부(80d)는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90x)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신장된 직선 형상 부분의 테두리이다. 플랩 외측 직선부(80d)도 플랩 본체(80)의 회전축(90x)의 중심 근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플랩 내측 직선부(80a)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플랩 외측 만곡부(80e)는 플랩 외측 직선부(80d)의 양단부로부터, 각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를 플랩 내측 만곡부(80b)보다도 급격하게 연결하고 있는 테두리이고, 외측에 완만하게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아암(9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축(90x)을 지나는 부분까지 신장되어 있다. 즉, 이 아암(90)의 길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으로부터 회전축(90x)까지의 거리 D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아암(90)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면에서 볼 때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의 대부분이 보이는 상태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판 두께 방향보다도, 약간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측으로 경사지도록 신장되어 있다. 아암(90)의 플랩 본체(80)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0x)을 따르도록 신장되어 있는 축부재(9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90)은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실내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 중, 약간 하방으로부터 신장되어 있고,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의 폭에 대해 30% 정도의 폭을 갖고 있다.
이들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배치 관계는 후술한다.
실내 팬(41)은 케이싱 본체(31a)의 내부에 배치된 원심 송풍기이다. 실내 팬(41)은 실내의 공기를 화장 패널(32)의 흡입구(35)를 통해 케이싱 본체(31a) 내에 흡입하고, 화장 패널(32)의 분출구(36)를 통해 케이싱 본체(31a) 밖으로 분출하는 공기 흐름을 형성시킨다. 실내 팬(41)은 케이싱 본체(31a)의 천장판(33a)의 중앙에 설치된 팬 모터(41a)와, 팬 모터(41a)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임펠러(41b)를 갖고 있다. 임펠러(41b)는 터보 날개를 갖는 임펠러이고, 하방으로부터 임펠러(41b)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평면에서 볼 때 임펠러(41b)의 외주측을 향해 분출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2)는 평면에서 볼 때 실내 팬(4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부러지고, 케이싱 본체(31a)의 내부에 배치된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열교환기(42)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전열 핀과, 이들 전열 핀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설치된 복수의 전열관을 갖는 크로스 핀형이라고 불리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이다. 실내 열교환기(42)의 액측은, 상기와 같이 액측 접속관(5a)을 통해 액 냉매 연락관(5)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42)의 가스측은 가스측 접속관(6a)을 통해 가스 냉매 연락관(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42)는, 냉방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난방 시에는 냉매 응축기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42)는 실내 팬(41)으로부터 분출된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냉방 시에는 공기를 냉각하고, 난방 시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드레인 팬(40)은 실내 열교환기(42)의 하측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하여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수취한다. 이 드레인 팬(40)은 케이싱 본체(31a)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드레인 팬(40)에는 분출 구멍(40a)과, 흡입 구멍(40b)과, 드레인수 수용 홈(40c)이 형성되어 있다. 분출 구멍(40a)은 화장 패널(32)의 분출구(36)에 연통하도록 각 처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구멍(40b)은 화장 패널(32)의 흡입구(35)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수 수용 홈(40c)은 실내 열교환기(42)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벨 마우스(41c)는 드레인 팬(40)의 흡입 구멍(40b)의 내측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입구(35)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실내 팬의 임펠러(41b)로 유도한다.
<1-3> 제어부(7)
제어부(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유닛(2)의 각종 구성 기기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부(7a), 실내 유닛(4)의 각종 구성 기기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부(7b) 및 사용자로부터의 설정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컨트롤러(7c)를 갖고 있다.
제어부(7)는 상기 분출구(36) 중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의 4개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를 각 풍향 조절부(70)마다 독립시켜 회전 상태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각각 독립으로 조절하는 독립 풍향 제어와,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의 전체를 연동시켜 동일한 회전 상태의 자세로 되도록 제어를 행함으로써 연동시켜 조절하는 연동 풍향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컨트롤러(7c)는 입력 버튼 등을 갖고 있고, 독립 풍향 제어를 행하게 할지, 연동 풍향 제어를 행하게 할지의 어느 하나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는 컨트롤러(7c)가 접수한 독립 풍향 제어 또는 연동 풍향 제어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7)는 상기 독립 풍향 제어 및 연동 풍향 제어 이외에, 상기 분출구(36) 중 제1 장변 분출구(51), 제2 장변 분출구(52), 제3 장변 분출구(53) 및 제4 장변 분출구(54)의 4개에 대해,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의 각 풍향 조절부(70)의 회전 상태를 개별로 독립하여 조절함으로써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써, 특정한 장변 분출구(51 내지 54)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가장 저감시키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컨트롤러(7c)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게 하는 취지의 지시 및 장변 분출구(50) 중 분출구 풍량을 억제시키려고 하여 선택되는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의 지정을 사용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는 컨트롤러(7c)가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상기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풍량이 가장 저감된 상태로 되도록,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풍향 조절부(70)를 회전시킴으로써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동시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에 의해 분출 풍량을 억제시킨 상태로 할 수 있는 장변 분출구(50)의 수는 2 이하이고, 3개 이상의 장변 분출구(50)에 대해 동시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는 것이 제어부(7)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가, 1번째 및 2번째로 접수한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지속시켜, 그 후에 컨트롤러(7c)가 접수한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설정 입력을 무시하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7c)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해제한 경우에는, 또 다른 장변 분출구(50)에 대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다.
<2> 기본 동작
다음에,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2-1> 냉방 동작
냉방 시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10)는, 4로 전환 밸브(22)가 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측 폐쇄 밸브(25),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개방 상태로 되고, 팽창 밸브(24)는 냉매를 감압하도록 개방도 조절된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기(21)에 있어서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로 되어,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다. 이 고압의 가스 냉매는 4로 전환 밸브(2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져,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된다. 이 고압의 액 냉매는 팽창 밸브(24)로 보내져, 팽창 밸브(24)에 있어서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액측 폐쇄 밸브(25), 액 냉매 연락관(5) 및 액측 접속관(5a)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42)로 보내지고,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실내 팬(4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가스측 접속관(6a), 가스 냉매 연락관(6), 가스측 폐쇄 밸브(26) 및 4로 전환 밸브(22)를 통해 압축기(21)로 다시 보내진다.
<2-2> 난방 동작
다음에, 난방 시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10)는, 4로 전환 밸브(22)가 도 1의 파선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액측 폐쇄 밸브(25), 가스측 폐쇄 밸브(26)는 개방 상태로 되고, 팽창 밸브(24)는 냉매를 감압하도록 개방도 조절된다.
이 냉매 회로(10)의 상태에 있어서, 저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압축기(21)에 있어서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 냉매로 되어,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다. 이 고압의 가스 냉매는 4로 전환 밸브(22), 가스측 폐쇄 밸브(26), 가스 냉매 연락관(6) 및 가스측 접속관(6a)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42)로 보내지고, 실내 열교환기(42)에 있어서 실내 팬(4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여 고압의 액 냉매로 된다. 이 고압의 액 냉매는 액측 접속관(5a), 액 냉매 연락관(5) 및 액측 폐쇄 밸브(25)를 통해 팽창 밸브(24)로 보내지고, 팽창 밸브(24)에 있어서 감압되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기액 2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3)로 보내지고, 실외 열교환기(23)에 있어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로 된다. 이 저압의 가스 냉매는 4로 전환 밸브(22)를 통해 압축기(21)로 다시 보내진다.
<3>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배치 관계
여기서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근방에 있어서의 제1 풍향 조절부(71)의 배치를 서술한다. 또한, 제2 장변 분출구(52) 근방, 제3 장변 분출구(53) 근방 및 제4 장변 분출구(54) 근방에 대해서는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3-1> 하면에서 본 배치 관계
도 11에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하면에서 본 부분 확대 외관도를 도시한다.
실내 유닛(4)의 하면에서 본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에는 제1 풍향 조절부(71) 및 풍향 조절 구동부(95)가 배치되어 있다.
풍향 조절 구동부(95)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내측이며, 제1 풍향 조절부(7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풍향 조절 구동부(95)는 제1 풍향 조절부(71)의 아암(90)으로부터 회전축(90x)을 따르도록 신장되어 있는 축부재(90a)를 통해, 제1 풍향 조절부(71)와 접속되어 있고, 제1 풍향 조절부(7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풍향 조절 구동부(95)와 제1 풍향 조절부(71)의 축부재(90a)는 도시하지 않은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제어부(7)가, 이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대해 제1 풍향 조절부(71)의 구동 상태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캠 기구를 통한 구동 제어가 행해진다.
제1 장변 분출구(51)는 외측의 테두리가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에 의해 구성되고, 내측의 테두리가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에 의해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단부는 풍향 조절 구동부(95)의 내측 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단부[풍향 조절 구동부(95)의 내측 측면]에 있어서의 폭은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의 60%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는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 및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장변 분출구(51)는 하면에서 보면, 외측을 향해 약간 팽창되면서, 내측을 향해 크게 팽창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으로의 팽창은, 외측으로의 팽창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근방이며, 풍향 조절 구동부(95)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프레임 화장 패널(37)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약간 내측 부근이며, 풍향 조절 구동부(95)의 내측 및 풍향 조절 구동부(95)와 제1 풍향 조절부(71) 사이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외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플랩 내측 직선부(80a), 플랩 내측 만곡부(80b) 및 플랩 길이 방향 단부(80c) 등과,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8d) 및 외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8e) 등의, 수평 방향의 폭은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폭(약 2㎝)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내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플랩 외측 직선부(80d) 및 플랩 외측 만곡부(80e) 등과,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를 구성하고 있는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의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직선부(37a) 및 내측 프레임 분출구측 만곡부(37b) 등의, 수평 방향의 폭은 제1 장변 분출구(51)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폭(약 1㎝)으로 되도록, 서로의 테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내측의 테두리와 제1 장변 분출구(51)의 내측의 테두리 사이의 폭은 제1 풍향 조절부(71)의 플랩 본체(80)의 외측의 테두리와 제1 장변 분출구(51)의 외측의 테두리 사이의 폭의 절반 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3-2> 풍향 조절부(7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
도 12에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도 11 중 B-B 절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풍향 조절부(70)의 자세는 상술한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의 플랩 본체(80)의 자세의 일례이기도 하다.
제1 장변 분출 유로(51a)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구(51)로부터 공기 흐름 상류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은 케이싱 본체(31a)의 바닥판(3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서는, 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반경의 중심이 회전축(90x)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서는, 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반경의 중심이 회전축(90x)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내측 벽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중앙 근방은 분출 방향 단부의 제1 장변 분출구(51) 부분에 있어서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경사 각도 θ11이, 수평 방향에 대해 40도 정도로 경사져 있고, 보다 외측을 향해 분출 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90x)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장변 분출구(51)보다도 공기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90x)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측보다도,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측에 근접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암(90)은 제1 풍향 조절부(71)의 회전 상태 중 가장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하는 회전 상태에 있어서도,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장변 분출구(51)와 대략 겹치는 위치 혹은 공기 흐름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플랩 본체(8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과,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이 이루는 각도 θ1이 135도 정도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풍향 조절부(70)의 플랩 본체(80)는 표면(80x) 중 중앙 근방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30도 정도인 상태(도 12에 상당)를 기준으로 하고, 플러스 30도 정도 및 마이너스 30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스윙 운전된다.
<3-3> 풍향 조절부(7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배치 관계
도 13에 제1 장변 분출구(51) 근방에 있어서의, 도 11 중 C-C 절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만곡 형상과는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은 내측 벽면과 마찬가지이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구(51)에 근접함에 따라서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만곡 형상과는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형상은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중심 근방에 있어서의 형상과,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형상이, 플랩 본체(80)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서서히 변화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단부 근방은 분출 방향 단부의 제1 장변 분출구(51) 부분에 있어서의 내측 벽면 및 외측 벽면의 경사 각도 θ21이, 수평 방향에 대해 55도 정도로 경사져 있고, 향해 분출 공기를 보다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랩 본체(8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과,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라인이 이루는 각도 θ2가 75도 정도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랩 본체(80)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는 플랩 본체(80)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길이의 40% 정도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운전 정지 시의 배치 관계
사용자로부터의 운전 정지(냉방 동작이나 난방 동작 등을 행하지 않는 상태)의 지시를 컨트롤러(7c)가 접수되면, 제어부(7)는 상기 풍향 조절 구동부(95)로 제어 신호를 보내고, 풍향 조절부(70)의 전체, 즉 제1 풍향 조절부(71), 제2 풍향 조절부(72), 제3 풍향 조절부(73) 및 제4 풍향 조절부(74)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회전시킴으로써, 표면(80x)의 중심이 대략 연직 하향으로 되도록 조절한다.
이에 의해, 정지 시에는 실내 유닛(4)의 하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장변 분출구(50) 내가 풍향 조절부(70)에 의해 가장 잘 가려져 있는 것과 같이 보여, 화장 패널(32)과 풍향 조절부(70)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정지 시의 실내 유닛(4)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는 운전 정지 상태에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5> 장변 분출구(50)와 풍향 조절부(70)의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배치 관계
도 14에 풍량 억제 제어의 이미지도를 도시한다.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되는 풍량을 억제하는 취지의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컨트롤러(7c)가 접수하면, 제어부(7)는 상기 풍향 조절 구동부(95) 중,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특정한 장변 분출구(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풍향 조절부(70)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풍향 조절 구동부(95)를 향해 제어 신호를 보낸다. 이에 의해, 제어 신호를 받은 풍향 조절 구동부(95)는 자기가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70)를 회전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장변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량을 제한시키는 자세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유닛(4)이 실내의 벽면(W)의 부근이며 사용자 P1 및 사용자 P2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 P2측으로 분출되는 공기량을 억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컨트롤러(7c)가 접수하면, 제어부(7)는 상술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함으로써, 벽면(W)측으로 제3 장변 분출구(53)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F53의 양을 저감시키면서, 사용자 P2측으로 제2 장변 분출구(5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 F52의 양도 저감시킨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벽면(W)측으로의 조화 공기의 불필요한 제공을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자 P2가 원하는 풍량을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P2에 의한 지시는 드래프트감의 저감을 원하고 있는 경우나, 냉방 혹은 난방에 의해 지나치게 춥다고 느끼거나 지나치게 덥다고 느끼고 있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도 15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부(70)의 경사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11 중 B-B 절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지는 플랩 본체(80)는 표면(80x)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공기 흐름 상류측을 향한 상태로 되도록,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80x) 중 중앙 근방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 θ3(내측의 각도)이 110도 정도인 상태(도 15에 상당)로 되도록,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자세는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회전되지만, 독립 풍향 제어 혹은 연동 풍향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세로부터,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세에 이르기까지의 회전 동작의 사이, 플랩 본체(80)와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벽면은 접촉하지 않는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랩 본체(80)의 폭 방향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모두, 독립 풍향 제어 시 혹은 연동 풍향 제어 시에,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스윙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도 15 중에 도시하는 제1 장변 분출구(51)의 면(51s)보다도 공기 흐름 하류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이루어진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공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경사 각도는 이 110도 정도의 각도로부터, 플러스 5도 정도 및 마이너스 5도 정도의 범위 내에서 미세 조절된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프레임 화장 패널(38)측의 벽면과 플랩 본체(80)의 상방측의 단부 사이(도 15 중 S1로 나타내는 부분)에는 5㎜ 내지 10㎜ 정도의 간극이 확보되어, 분출 공기가 약간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 플랩 본체(80)의 하방측의 단부(도 15 중 S2로 나타내는 부분)는 제1 장변 분출구(51)보다도,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공기 흐름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랩 본체(80)는 실내 유닛(4) 내부에서 온도 조절된 조화 공기에서 주위 전체를 대략 덮을 수 있어,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실내측의 공기는 플랩 본체(80)에 접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에 의해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공기량이 저감된 상태에서도,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실내 공기가 플랩 본체(80)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플랩 본체(80)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의 특징
(1)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에 특정된 장변 분출구(50)에 위치하는 플랩 본체(80)는, 풍향 조절 구동부(95)가 풍향 조절부(70)의 회전 상태가 조절됨으로써,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대폭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랩 본체(80) 등과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를 막거나, 풍향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 특정한 방향으로의 분출 풍량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별 풍량 억제 제어는 사용자가 컨트롤러(7c)에 복수의 장변 분출구(51 내지 54) 중 특정한 장변 분출구(50)를 지정하여 입력하는 것만으로, 제어부(7)가 자동적으로 개시되므로, 간이한 동작으로 특정한 사용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예를 들어, 개별 풍량 억제 제어로 제1 장변 분출구(51)를 막을 때에,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달리, 도 16의 비교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의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의 면이, 제1 장변 분출구(51)의 면(51s)과 평행이 되는 정도의 회전 상태를 채용하면,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측에는 실내 유닛(4) 내부로부터의 온도 조절된 공기가 접촉하기 어렵고, 실내측의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공기 R51이 유입되기 쉽다. 한편,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측은 실내 유닛(4) 내부로부터의 온도 조절된 공기가 접촉하기 쉽다. 이로 인해, 가령 제1 장변 분출구(51)를 폐쇄하는 것과 같이 보였다고 해도, 플랩 본체(80)의 표면(80x)과 이면(80y)에서 온도차가 발생하기 쉬워, 플랩 본체(80)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자세를 조절하면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과 플랩 본체(80)의 일단부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 관계로 되도록,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조절되어 있다(도 15의 S1 참조). 이로 인해,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측에도, 이면(80y)측에도, 온도 조절된 공기가 흐른다.
또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의 회전 상태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 각도의 상태로 함으로써, 제1 장변 분출구(51)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공기 흐름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면서, 표면(80x)측과 이면(80y)측을 흐르는 조화 공기의 양의 비율의 차를 다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의 회전 상태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가 돌출되어 있는 표면(80x)측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상류측을 향하고 있고, 플랩 본체(80)가 오목한 이면(80y)측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하류측을 향하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본체(80)의 돌출되어 있는 표면(80x)측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하류측을 향하고 있고, 플랩 본체(80)의 오목한 이면(80y)측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상류측을 향하는 자세와 비교하여,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측과 이면(80y)측의 온도차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조화 공기의 진행 방향의 흐트러짐의 정도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는 장변 분출구(50)보다도 공기 흐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없도록, 풍향 조절 구동부(95)가 풍향 조절부(70)의 회전 상태를 조절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내측의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플랩 본체(80)까지 도달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는 이면(80y)측보다도 표면(80x)측에 온도 조절된 공기가 닿기 쉬운 자세로 되어 있지만,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측에는 결로의 발생을 억제하는 식모 시트(80y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측에 온도 조절되어 있지 않은 실내 공기가 다소 유입되었다고 해도, 결로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의 플랩 본체(80)에 대해, 온도 조절된 공기를, 표면(80x)뿐만 아니라 이면(80y)에도 따르도록 흘릴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랩 본체(80)의 표면(80x)과 이면(80y) 사이의 온도차를 작게 억제하여, 결로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냉방 동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플랩 본체(80)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중에 있어서의 공기 흐름 방향에 있어서의 플랩 본체(80)의 위치가, 독립 풍향 제어 시 혹은 연동 풍향 제어 시에는 하류측으로,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에는 상류측으로 되도록 이동시키는 구조를, 회전축(90x)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플랩 본체(80)를 아암(90)이 접속함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랩 본체(80)를 회전축(90x)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하면서, 회전축(90x)과 플랩 본체(80)를 아암(90)에 의해 접속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각 제어 시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로 플랩 본체(8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장변 분출구(50)에서는 통과 풍속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천장(U)의 면을 따르도록 공기가 대류하는 경향으로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의 표면(80x)이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자세를 조절하면서, 제1 장변 분출 유로(51a)의 외측 벽면과 플랩 본체(8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하고 있다(도 15의 S1 참조). 따라서,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하고 있는 장변 분출구(50)로부터 흘러나와 천장(U) 근방에 체류하는 공기의 양을 저감시켜, 천장 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
(5)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4)에서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의 플랩 본체(80)는 식모 시트(80ya)가 설치되어 있는 이면(80y)측이 실내측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고, 편평한 형상인 표면(80x)측을 실내측을 향하게 ?ㄹ 수는 없다. 그러나, 개별 풍량 억제 제어 시에는, 플랩 본체(80)는 제1 장변 분출 유로(51a) 등의 출구가 아니라, 약간 안측의 위치이므로, 플랩 본체(80)의 이면(80y)이 보기 어렵게 되어 있고, 또한 실내 유닛(4) 내부가 시인하기 어려운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의장성을 올릴 수 있다.
<7>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지시를 받을 때에 특정된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량을 억제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지시를 받을 때에 특정된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량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개별 풍량 억제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장변 분출구(50)의 수에 대략 반비례시키도록 실내 팬(41)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특정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풍량을 저감시킨 경우에, 다른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풍량이 의도하지 않게 증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독립 풍향 제어에서는 각 풍향 조절 구동부(95)가 각각의 풍향 조절부(70)를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독립 풍향 제어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컨트롤러(7c)를 통한 입력이 있었던 경우나, 소정의 운전 모드를 행하는 경우에, 각 풍향 조절 구동부(95)가 회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70)마다, 스윙하는 각도의 상한 및 하한을 다르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행함으로써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공기를 거의 정지시키는 상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드래프트감을 싫어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부분을 피해 스윙시킬 수도 있고, 이 드래프트감을 싫어하는 사용자의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사용자의 쾌적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지시를 받은 장변 분출구(50)로부터의 분출 공기량을 대폭으로 억제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어부(7)가, 개별 풍량 억제 제어의 지시를 받은 장변 분출구(50)의 플랩 본체(80)의 자세에 대해, 풍향 조절 구동부(95)에 의해 소정 시간의 동안 풍량을 억제하는 자세로 한 후에, 또 다른 소정 시간 동안 통상의 스윙 운전을 행하게 하는 등,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풍량을 억제하는 자세를 해제하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장변 분출구(50)의 수를 2개 이하로 정하여 제어부(7)가 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장변 분출구(50)는 1개만으로 되도록 제어부(7)가 제어해도 좋다.
또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플랩이 배치된 분출구가 4개보다도 많이 있는 경우에는, 그 중 50%까지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고, 개별 25%까지 개별 풍량 억제 제어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8방향으로 조화 공기를 분출하는 실내 유닛(4)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변 분출구(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분출 방향이 장변 분출구(50)의 4개뿐인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분출구가 2개인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결로를 억제시키면서, 복수의 분출구 중 어느 하나의 분출구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
1 : 공기 조화 장치
4 : 실내 유닛(실내기)
7 : 제어부(풍향 조절 제어부)
7b : 실내 제어부(풍향 조절 제어부)
35 : 흡입구
50 : 장변 분출구(분출구)
51 내지 54 : 제1 내지 제4 장변 분출구(분출구)
70 : 풍향 조절부
71 내지 74 : 제1 내지 제4 풍향 조절부(풍향 조절판)
80 : 플랩 본체(풍향 조절판)
80x : 표면(결로 억제면의 이면)
80y : 이면
80ya : 식모 시트(결로 억제면)
90 : 아암(아암 부재)
90a : 축부재
90x : 회전축
U : 천장

Claims (7)

  1. 천장(U)에 대해 고정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이며,
    흡입구(35) 및 복수의 분출구(50)를 갖는 실내기 케이싱(31)과,
    상기 복수의 분출구(50)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출구(50)로부터 분출되는 조화 공기의 풍향을 조절 가능한 복수의 풍향 조절판(80)과,
    상기 복수의 풍향 조절판(80)의 회전 상태를 각각 독립으로 조절 가능한 풍향 조절 제어부(7)를 구비하고,
    상기 풍향 조절 제어부(7)는 상기 복수의 풍향 조절판(80) 중 적어도 어느 1개의 전체를, 대응하는 상기 분출구(50)의 내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분출구(50)를 구성하고 있는 벽면 중 상기 흡입구(35) 측의 벽면과 상기 풍향 조절판(80)의 상기 흡입구(35) 측의 일단부와의 거리보다도 상기 흡입구(35) 측과는 반대측의 벽면과 상기 풍향 조절판(80)의 타단부와의 거리 쪽이 좁게 되도록 상기 풍향 조절판(80)이 배치된 상태로 함으로써,
    상기 분출구(50)에 있어서의 상기 조화 공기의 통과 풍량이, 상기 흡입구(35) 측과는 반대측의 벽면과 상기 풍향 조절판(80)의 타단부와의 거리를 넓게 한 경우에 비해 저감된 상태이며, 상기 분출구(50)로부터 상기 흡입구(35)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상기 조화 공기의 흐름이 상기 흡입구(35) 측과는 반대측의 벽면과 상기 풍향 조절판(80)의 타단부와의 거리를 넓게 한 경우에 비해 억제된 상태인 억제 상태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판(80)은 상기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90x)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풍향 조절판(80)으로부터 상기 회전축(90x)까지 신장되어 있는 아암 부재(90)를 더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판(80)은 홈 형상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식모(植毛)됨으로써 결로 억제 기능을 갖는 결로 억제면(80ya)을 갖고,
    상기 풍향 조절판(80)의 상기 결로 억제면의 이면(80x)은 상기 결로 억제면(80ya)보다도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판(80)은 상기 결로 억제면(80ya)측이 오목 형상이고, 상기 결로 억제면의 이면측(80x)이 볼록 형상인,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 조절판(80)과 상기 분출구(50)의 조를 적어도 4조 구비하고 있고,
    상기 풍향 조절 제어부(7)가 상기 억제 상태를 동시에 실행 가능한 것은 상기 4조 중 1조 혹은 2조뿐인,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기(4).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상태에서는, 상기 풍향 조절판(80)은 상기 분출구(50)를 구성하고 있는 벽면에 접촉함이 없이, 상기 풍향 조절판(80)의 양면에 있어서 조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축(90x)으로부터 상기 풍향 조절판(80)까지 신장되어 있는 아암 부재(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향 조절판(80)이 상기 회전축(90x)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억제 상태에서는 상기 아암 부재(90)를 상기 회전축보다 상류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기 풍향 조절판(80)을 상기 분출구(50)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20127014256A 2009-11-05 2010-10-28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385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4309A JP4952775B2 (ja) 2009-11-05 2009-11-05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JP-P-2009-254309 2009-11-05
PCT/JP2010/069168 WO2011055677A1 (ja) 2009-11-05 2010-10-28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278A KR20120091278A (ko) 2012-08-17
KR101385804B1 true KR101385804B1 (ko) 2014-04-24

Family

ID=4396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256A KR101385804B1 (ko) 2009-11-05 2010-10-28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97335B2 (ko)
EP (1) EP2498019B1 (ko)
JP (1) JP4952775B2 (ko)
KR (1) KR101385804B1 (ko)
CN (1) CN102597646B (ko)
AU (1) AU2010316385B2 (ko)
BR (1) BR112012010785B1 (ko)
ES (1) ES2715175T3 (ko)
WO (1) WO2011055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9573B1 (en) 2007-03-28 2016-11-09 DPx Holdings B.V. Expanded bed column and disposable chromatography
JP5403084B2 (ja) * 2012-02-10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JP5678952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6268586B2 (ja) * 2013-02-14 2018-01-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053223B1 (ko) * 2013-07-02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람 가리개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CN104755847B (zh) * 2013-09-17 2017-08-04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
JPWO2015104791A1 (ja) * 2014-01-07 2017-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987882B2 (ja) * 2014-09-30 2016-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967166B2 (ja) * 2014-10-22 2016-08-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GB2537105A (en) * 2015-03-30 2016-10-12 Mcgowan Gregory Air conditioning system
JP6229741B2 (ja) 2015-09-29 2017-11-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213539B2 (ja) * 2015-09-29 2017-10-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135734B2 (ja) * 2015-09-29 2017-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3236164A4 (en) * 2015-10-23 2018-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032192B1 (ko)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08221B1 (ko) * 2015-11-20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3176516B1 (en) * 2015-12-01 2018-03-21 Toshiba Carrier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776531B2 (ja) * 2015-12-22 2020-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828249B2 (ja) * 2016-03-02 2021-02-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KR102629023B1 (ko) * 2017-02-01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7228412A (zh) * 2017-07-24 2017-10-0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2167891B1 (ko) * 2018-06-01 202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3842703A4 (en) * 2018-08-21 2022-03-30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730688B2 (ja) * 2018-08-24 2020-07-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7194657B2 (ja) * 2019-09-09 2022-12-22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のベゼル、及び空調用レジスタ
JP6897739B2 (ja) * 2019-09-30 2021-07-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空気調和装置
JP7194661B2 (ja) * 2019-09-30 2022-1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空気調和装置
KR102542494B1 (ko) * 2022-10-04 2023-06-14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수납형 측면토출구 도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345A (ja) * 1996-11-20 1998-06-02 Toshiba Corp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
JPH10246502A (ja) * 1997-03-03 1998-09-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水平羽根
JP2006336925A (ja) 2005-06-01 2006-12-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5810A (en) * 1936-05-09 1938-11-08 Barber Colman Co Register
US3942419A (en) * 1974-02-21 1976-03-09 Donald Bramston Beach Barrel type air diffuser
JP2516786Y2 (ja) 1991-03-08 1996-1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3240854B2 (ja) * 1994-09-26 2001-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吹出口
US6598413B2 (en) * 1999-01-25 2003-07-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eiling embedded-type air conditioner
JP3408983B2 (ja) * 1999-01-25 2003-05-19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1147041A (ja) * 1999-11-19 2001-05-29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3829168B2 (ja) 2001-05-22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用の天井埋込型室内機
KR100452350B1 (ko) * 2001-12-13 2004-10-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194385A (ja) * 2001-12-28 2003-07-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3972894B2 (ja) * 2003-11-27 2007-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700718B2 (ja) * 2003-11-27 2005-09-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311212B2 (ja) * 2004-01-26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01172B1 (ja) * 2006-04-17 2007-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107333B2 (ja) * 2006-04-19 2008-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JP4107334B2 (ja) * 2006-04-21 2008-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782197B1 (ko) * 2006-08-03 200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EP2123986A4 (en) * 2007-01-17 2016-05-18 Daikin Ind Lt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JP2008232470A (ja) * 2007-03-16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室内機
EP2031320B1 (en) * 2007-08-28 2012-10-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JP4430697B2 (ja) * 2007-08-28 2010-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359458B2 (ja) * 2009-03-27 2013-1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ケーシング、および化粧パネル
JP4495778B1 (ja) * 2009-10-08 2010-07-07 デンショー株式会社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4924697B2 (ja) * 2009-11-05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411027B1 (ko) * 2010-01-26 2014-07-0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천장 설치형 실내 유닛
WO2014068654A1 (ja) * 2012-10-30 2014-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053223B1 (ko) * 2013-07-02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람 가리개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KR102134611B1 (ko) * 2013-07-16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157339B2 (ja) * 2013-12-13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345A (ja) * 1996-11-20 1998-06-02 Toshiba Corp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
JPH10246502A (ja) * 1997-03-03 1998-09-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水平羽根
JP2006336925A (ja) 2005-06-01 2006-12-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7646B (zh) 2015-04-15
US20120225618A1 (en) 2012-09-06
AU2010316385A1 (en) 2012-05-24
EP2498019A1 (en) 2012-09-12
WO2011055677A1 (ja) 2011-05-12
JP2011099613A (ja) 2011-05-19
BR112012010785B1 (pt) 2020-09-29
KR20120091278A (ko) 2012-08-17
EP2498019A4 (en) 2013-11-13
BR112012010785A2 (pt) 2016-03-29
US9897335B2 (en) 2018-02-20
ES2715175T3 (es) 2019-06-03
AU2010316385B2 (en) 2013-06-06
JP4952775B2 (ja) 2012-06-13
EP2498019B1 (en) 2018-12-12
CN102597646A (zh)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80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397325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JP2993412B2 (ja) 吹出口及び該吹出口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US9488381B2 (en) Air-conditioning indoor unit
WO2012046438A1 (ja) 空気調和機
AU2017351537A1 (en)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3094082A1 (ja) 室外機及びこの室外機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WO2001035032A1 (fr) Conditionneur d&#39;air integre au plafond
US11029058B2 (en) Air conditioner
WO2017134762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5829808A (zh) 空调
KR100541471B1 (ko) 에어컨 실내기
JP5316473B2 (ja) 空気調和装置
JP690432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10431360A (zh) 空气调节机
JP2002323254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180072514A (ko) 공기 조화기
JPH0325229A (ja) 空気調和装置のファンハウジン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