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781B1 -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781B1
KR101379781B1 KR1020110119332A KR20110119332A KR101379781B1 KR 101379781 B1 KR101379781 B1 KR 101379781B1 KR 1020110119332 A KR1020110119332 A KR 1020110119332A KR 20110119332 A KR20110119332 A KR 20110119332A KR 101379781 B1 KR101379781 B1 KR 10137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ce
sheet
electronic clutch
image forming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527A (ko
Inventor
타츠야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4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electromagnetic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로서,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와,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클러치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전자클러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전자클러치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벽과, 상기 전자클러치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Description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DRIVE MECHANISM AND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처리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 및 구동 기구를 이용하여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것들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라는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나,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구동 기구는 전형적으로는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클러치와, 전자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마모분의 비산을 억제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다. 커버에 의해 마모분의 비산이 억제되므로 전자클러치 주위의 기어나 다른 구동 요소의 마모도 억제된다.
전자클러치를 둘러싸는 커버는 전자클러치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발산을 억제한다. 이 결과, 전자클러치 주위의 온도는 비교적 고온이 된다. 전자클러치 주위의 고온환경은 전자클러치 및 전자클러치 주위의 구동 요소의 동작 불량[예를 들면 기어간의 맞물림량의 변동에 기인하는 이음(異音)]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적절하게 발산시키는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의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는,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 및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클러치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전자클러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전자클러치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벽과, 상기 전자클러치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 및
구동력을 상기 반송 기구로 전달하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와,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클러치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전자클러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전자클러치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벽과, 상기 전자클러치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여러가지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여러가지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가 부착된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여러가지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기구의 제 2 외각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외각체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구동 기구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구동 기구의 전자클러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여러가지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 "하", "좌", "우"라는 방향을 표현하는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명료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원리를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트"라는 용어는 복사 용지, 코트지, OHP 시트, 두꺼운 종이, 엽서, 트레이싱 페이퍼나 화상 형성 처리되는 다른 시트 재료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류", "하류" 및 이것들과 비슷한 용어는 시트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하류" 및 이것들과 비슷한 개념을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사기가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시된다. 대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 팩시밀리, 이것들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나 시트에 화상을 형성 가능한 다른 장치이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구조)
복사기(100)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기를 수용하는 주 케이싱(110)과, 주 케이싱(1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원고 공급 장치(120)를 구비한다. 주 케이싱(110)은 하부 케이싱(111)과, 하부 케이싱(111)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싱(112)과, 하부 케이싱(111)과 상부 케이싱(11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케이싱(113)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싱(111), 상부 케이싱(112) 및 연결 케이싱(113)에 둘러싸인 공간(R)에는 인쇄 처리가 된 시트(S)가 배출된다.
상부 케이싱(112)은 주로 토너 화상의 기초가 되는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기기를 수용한다. 하부 케이싱(111)은 시트(S)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기를 수용한다. 연결 케이싱(113)은 토너 화상이 형성된 시트(S)를 배출하기 위한 기기를 수용한다. 복사기(100)는 주 케이싱(110)의 외면에 부착된 조작패널(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한다. 사용자는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복사기(100)에 원하는 지시를 부여할 수 있다.
원고 공급 장치(120)는 상하로 회전하도록 주 케이싱(110)에 부착된다. 사용자는 원고 공급 장치(120)에 원하는 원고를 설치한다. 사용자는 그 후에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원고 공급 장치(120)를 동작시켜서 원고 공급 장치(120)의 하면과 주 케이싱(110)의 상면 사이로 원고를 이송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사용자는 원고 공급 장치(12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주 케이싱(110)의 상면에 원고를 적재하고, 그 후에 원고 공급 장치(120)를 하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고를 주 케이싱(110)의 상면과 원고 공급 장치(120)의 하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복사기(100)는 주 케이싱(110)의 상면과 원고 공급 장치(1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된 원고를 주사해서 판독하는 주사 기구(114)를 더 구비한다. 주사 기구(114)는 상부 케이싱(112) 내에 배치된다. 주사 기구(114)는 원고에 첨부된 상을 주사해서 광학적으로 판독한다. 그 후에 주사 기구(114)는 판독된 상을 디지털 신호로서 출력한다.
복사기(100)는 주사 기구(1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의거한 토너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S)를 수용하는 카세트(210)를 더 구비한다. 하부 케이싱(111) 내에 배치된 카세트(210)는 리프트판(211)과, 리프트판(211)의 하류단(도 1 중 우단)을 카세트(210) 내에서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21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시트(S)의 다발을 리프트판(211) 상에 적재한다. 승강 기구(212)가 리프트판(211)의 하류단을 밀어 올린 결과 카세트(210)로부터 시트(S)가 반송된다.
복사기(100)는 하부 케이싱(111)의 우측판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수차 트레이(220)를 더 구비한다. 사용자는 하부 케이싱(111)의 우측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회전된 수차 트레이(220)에 시트(S)를 적재해도 좋다. 수차 트레이(220) 상의 시트(S)는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인입된다. 복사기(100)는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인입된 시트(S)에 토너 화상의 형성 처리를 행한다.
카세트(210) 및 수차 트레이(220)는 시트(S)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사용자는 조작패널의 조작을 통해서 원하는 크기의 시트(S)를 수용하는 카세트(210) 또는 수차 트레이(220)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시트 공급원[카세트(210), 수차 트레이(220)]에 배치된 시트(S)는 하부 케이싱(111) 내에서 반송되어 화상 형성 처리된다.
복사기(100)는 리프트판(211)의 상방에 배치된 픽업 롤러(311)를 더 구비한다. 승강 기구(212)가 리프트판(211)의 하류단을 상승시키면 리프트판(211) 상의 시트(S)는 픽업 롤러(311)에 접촉한다. 픽업 롤러(311)는 시트(S)를 카세트(210) 밖으로 송출하도록 회전한다.
복사기(100)는 픽업 롤러(311)의 하류에 배치된 급지 롤러(312)와, 급지 롤러(312)에 근접한 풀림 롤러(313)를 더 구비한다. 급지 롤러(312)는 풀림 롤러(313)의 상측에 배치된다. 픽업 롤러(311)에 의해 카세트(210)로부터 송출된 시트(S)는 급지 롤러(312)와 풀림 롤러(313) 사이로 이송된다. 급지 롤러(312)는 시트(S)를 더욱 하류로 송출하도록 회전하고, 풀림 롤러(313)는 반대로 시트(S)를 카세트(210)로 리턴하도록 회전한다. 이 결과, 픽업 롤러(311)가 복수매 겹친 시트(S)를 카세트(210)로부터 송출했을 때 급지 롤러(312)와 접촉하는 시트(S)[가장 상측에 있는 시트(S)]만이 하류로 송출되고, 다른 시트(S)는 카세트(210)로 리턴된다. 이에 따라, 시트(S)는 1매씩 하류로 이송되게 된다.
복사기(100)는 수차 트레이(220)의 기단부 부근에 배치된 급지 롤러(316)와, 급지 롤러(316)에 압접된 풀림 롤러(317)를 더 구비한다. 수차 트레이(220) 상에 적재된 시트(S)는 급지 롤러(316)에 의해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인입된다. 급지 롤러(316)에 의해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인입된 시트(S)는 급지 롤러(316)와 풀림 롤러(317) 사이를 통과한다. 급지 롤러(316)가 복수매의 시트(S)를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인입할 때 풀림 롤러(313)는 반대로 시트(S)를 수차 트레이(220)로 리턴시키도록 회전한다. 이 결과, 급지 롤러(316)와 접촉한 시트(S)[가장 상측에 있는 시트(S)]만이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수차 트레이(220)로부터 시트(S)가 1매씩 하부 케이싱(111) 내로 이송된다.
복사기(100)는 시트(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400)와, 화상 형성부(400)로 시트(S)를 이송하기 위한 레지스트 롤러쌍(318)을 더 구비한다. 카세트(210) 또는 수차 트레이(220)로부터 송출된 시트(S)는 레지스트 롤러쌍(318)으로 향한다. 레지스트 롤러쌍(318)의 하류에 형성된 화상 형성부(400)는 주사 기구(1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에 시트(S)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레지스트 롤러쌍(318)은 화상 형성부(400)의 화상 형성 공정에 타이밍을 맞추어 시트(S)를 화상 형성부(400)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시트(S)가 있는 소정 위치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부(400)는 대략 원통형상의 감광체 드럼(410)을 구비한다. 감광체 드럼(4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고, 하부 케이싱(11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 후, 정전잠상에 합치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에 감광체 드럼(410)은 토너 화상을 담지하면서 회전하고, 레지스트 롤러쌍(318)에 의해 화상 형성부(400)로 이송된 시트(S)에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화상 형성부(400)는 대전기(411)와 노광 장치(412)를 더 구비한다. 대전기(411)는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412)는 주사 기구(114)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을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에 조사한다. 레이저광이 조사된 부분의 전하가 소실됨으로써 원고에 표시된 상에 합치하는 정전잠상이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에 형성된다.
화상 형성부(400)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컨테이너(413)와, 토너 컨테이너(413)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감광체 드럼(410)에 공급하는 현상 장치(414)를 더 구비한다. 현상 장치(414)는 정전잠상을 담지하면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410)에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 장치(414)로부터 감광체 드럼(410)으로 공급된 토너는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에 정전적으로 부착된다. 이 결과,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부(400)는 감광체 드럼(410)에 압접된 전사 롤러(415)를 더 구비한다. 레지스트 롤러쌍(318)은 감광체 드럼(410)과 전사 롤러(415) 사이로 시트(S)를 이송한다. 전사 롤러(415)는 감광체 드럼(410)이 담지하는 토너와는 반대의 바이어스를 시트(S)에 부여한다. 이 결과, 감광체 드럼(410) 상의 토너는 전기적으로 시트(S)의 표면으로 박리되어 토너 화상이 시트(S)에 전사된다. 그 후에 감광체 드럼(410) 및 전사 롤러(415)는 하류로 시트(S)를 송출한다.
화상 형성부(400)는 클리닝 장치(416)와 제전기(417)를 더 구비한다. 클리닝 장치(416)는 시트(S)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에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한다. 그 후에 제전기(417)는 청정화된 감광체 드럼(410)의 둘레면을 제전한다. 감광체 드럼(410)은 또한 그 후에 대전기(411)에 의해 다시 균일하게 대전되어 새로운 화상 형성 처리된다.
복사기(100)는 화상 형성부(400)에서 형성된 토너 화상을 시트(S)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500)를 더 구비한다. 화상 형성부(400)의 하류에 배치된 정착 장치(500)는 히터(511)를 내장한 가열 롤러(510)와, 가열 롤러(510)에 압접되는 가압 롤러(520)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410) 및 전사 롤러(415)는 가열 롤러(510)와 가압 롤러(520) 사이로 시트(S)를 이송한다.
가열 롤러(510)로부터의 열에너지에 의해 시트(S) 상의 토너가 용융된다. 가열 롤러(510)와 가압 롤러(5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은 시트(S)에 정착된다. 가열 롤러(510) 및 가압 롤러(520)는 그 후에 시트(S)를 하류로 송출한다.
복사기(100)는 정착 장치(500)의 하류에 형성된 배출부(600)를 더 구비한다. 배출부(600)는 배출 롤러쌍(61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서 편면 인쇄의 지시를 복사기(100)에 부여하면 배출 롤러쌍(610)은 정착 장치(500)로부터 송출된 시트(S)를 공간(R)으로 배출한다.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서 양면 인쇄의 지시를 복사기(100)에 부여하면 배출 롤러쌍(610)은 시트(S)를 공간(R)으로 배출하는 방향과 시트(S)를 다시 연결 케이싱(113) 내로 리턴시키는 방향 사이에서 회전 방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백 동작을 행한다.
복사기(100)는 카세트(210) 및/또는 수차 트레이(220)로부터의 시트(S)를 레지스트 롤러쌍(318)으로 안내하는 공급 반송로(320)와, 주 케이싱(110)의 우측판을 따라 형성된 리턴 반송로(319)를 더 구비한다. 주 케이싱(110)에 형성된 리턴 반송로(319)는 화상 형성부(400)가 시트(S)에 화상을 형성한 후 시트(S)를 레지스트 롤러쌍(318)을 향해서 다시 안내한다. 리턴 반송로(319)의 하단(하류단)은 공급 반송로(320)에 접속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양면 인쇄의 지시를 받아 스위치백 동작에 의해 연결 케이싱(113) 내로 리턴된 시트(S)는 리턴 반송로(319)를 통해서 레지스트 롤러쌍(318)의 상류로 송출된다. 그 후에 시트(S)는 화상 형성부(400) 및 정착 장치(500)를 통과한다. 이 결과, 시트(S)의 양면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양면 인쇄 처리가 된 시트(S)는 배출 롤러쌍(610)에 의해 공간(R)으로 배출된다.
(프레임의 구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사기(100)의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프레임이 설명된다.
주 케이싱(110)은 도전성의 프레임(710)을 포함한다. 프레임(710)은 주 케이싱(110)의 내부벽을 형성한다. 프레임(710)에는 급지 롤러(312), 레지스트 롤러쌍(318)이나 반송 롤러쌍(321)이라는 여러가지 요소가 부착된다. 프레임(710)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주판(711)과, 주판(71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해서 돌출된 측판(712)을 포함한다. 주판(711)은 급지 롤러(312), 레지스트 롤러쌍(318)이나 반송 롤러쌍(321)이라는 여러가지 요소가 부착된 제 1 면(713)과, 제 1 면(713)과는 반대측의 제 2 면(714)을 포함한다. 측판(712)에 의해 둘러싸인 제 2 면(714)에는 후술되는 구동 기구가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지 롤러(312), 레지스트 롤러쌍(318)이나 반송 롤러쌍(321)은 화상 형성부(400)로 시트(S)를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지 롤러(312), 레지스트 롤러쌍(318)이나 반송 롤러쌍(321)은 반송 기구로서 예시된다. 또한 화상 형성부(400)의 화상 형성 공정에 타이밍을 맞추어 시트(S)를 화상 형성부(400)로 이송하는 레지스트 롤러쌍(318)은 조정 요소로서 예시된다. 레지스트 롤러쌍(318)으로 급지하는 급지 롤러(312)는 급지 요소로서 예시된다. 또한 양면 인쇄시에 있어서 리턴 반송로(319)에 의해 안내되는 시트(S)를 레지스트 롤러쌍(318)을 향해서 송출하는 반송 롤러쌍(321)은 반송 요소로서 예시된다.
주판(711)에는 제 1 면(713)에 부착된 여러가지 요소와 이것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관통구멍은, 예를 들면 수차 트레이(220)로부터 하부 케이싱(111) 내로 시트(S)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롤러(316)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를 제 1 면(713)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16)과, 카세트(210)로부터의 시트(S)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롤러(312)가 접속되는 회전 샤프트를 제 1 면(713)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17)과, 화상 형성부(400)의 상류에 배치된 레지스트 롤러쌍(318)을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어를 제 1 면(713)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18)과, 현상 장치(414)를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어를 제 1 면(713)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19)과, 감광체 드럼(410)과 구동 기구를 접속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15)과, 리턴 반송로(319) 중의 시트(S)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쌍(321)을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어를 제 1 면(713)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20)과, 정착 장치(500)의 가열 롤러(510)를 구동하는 기어를 제 1 면(713)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멍(721)을 포함한다.
도 3은 구동 기구가 부착된 프레임(7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도 3을 이용하여 프레임(710)이 더욱 설명된다.
구동 기구(800)는 수차 트레이(220)로부터 하부 케이싱(111) 내로 시트(S)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롤러(316)를 구동하는 기어(831)를 구비한다. 기어(831)는 관통구멍(716)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되어 급지 롤러(316)에 설치된 기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린다.
구동 기구(800)는 레지스트 롤러쌍(318)을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어(833)를 더 구비한다. 기어(833)는 관통구멍(718)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되어 레지스트 롤러쌍(318)에 설치된 기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린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어(833)의 회전은 전자클러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지스트 롤러쌍(318)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기어(833)는 제 1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구동 기구(800)는 카세트(210)로부터의 시트(S)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 롤러(312)가 부착된 회전 샤프트(832)를 더 구비한다. 회전 샤프트(832)는 관통구멍(717)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832)의 회전은 전자클러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지 롤러(312)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회전 샤프트(832)는 제 2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구동 기구(800)는 현상 장치(414)를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어(834)를 더 구비한다. 기어(834)는 관통구멍(719)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되어 현상 장치(414)에 설치된 기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린다.
구동 기구(800)는 리턴 반송로(319) 중의 시트(S)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쌍(321)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835)를 더 구비한다. 기어(835)는 관통구멍(720)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기(100)는 리턴 반송로(319)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반송 롤러쌍(321)을 구비한다. 기어(835)는 가장 하방(가장 하류)의 반송 롤러쌍(321)에 설치된 기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린다. 다른 반송 롤러쌍(321)은 가장 하방의 반송 롤러쌍(321)과, 구동 벨트를 이용하여 접속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어(835)의 회전은 전자클러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 롤러쌍(321)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기어(835)는 제 3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구동 기구(800)는 감광체 드럼(410)을 프레임(71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통(823)을 구비한다. 위치 결정통(823)은 관통구멍(715)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된다. 감광체 드럼(410)의 회전 샤프트(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위치 결정통(823) 내로 삽입되어 구동 기구(80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구동 기구(800)는 정착 장치(500)의 가열 롤러(510)를 구동하는 기어(836)를 더 구비한다. 기어(836)는 관통구멍(721)을 통해서 제 1 면(713)측으로 돌출된다. 기어(836)는 정착 장치(500)의 가열 롤러(510)에 설치된 기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 롤러쌍(318)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기어(833), 급지 롤러(312)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회전 샤프트(832) 및 반송 롤러쌍(321)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기어(835)는 전자클러치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제어되는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대체적으로, 전자클러치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제어되는 다른 요소가 출력부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지스트 롤러쌍(318), 급지 롤러(312)나 반송 롤러쌍(321)이라는 반송 요소가 반송 기구로서 예시된다. 반송 기구는 전자클러치의 제어하에서 구동 기구(80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대체적으로, 전자클러치의 제어하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거해 다른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에 본 실시형태의 원리가 적용되어도 좋다.
(구동 기구)
도 4는 주판(711)측으로부터 본 구동 기구(8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이용하여 구동 기구(800)가 설명된다.
구동 기구(800)는 상기 기어(831, 833, 834, 835, 836), 회전 샤프트(832) 및 위치 결정통(823)에 추가로 기어(831, 833, 834, 835, 836) 및 회전 샤프트(832)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만들어 내는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모터(후술됨)와,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기어(831, 833, 834, 835, 836) 및 회전 샤프트(832)로 전달하는 전달부(후술됨)와, 전달부를 수용하는 케이싱(820)을 구비한다. 케이싱(820)은 제 1 외각체(821)와 제 2 외각체(822)를 포함한다. 제 1 외각체(821)는 프레임(710)의 주판(711)과 제 2 외각체(822) 사이에 배치된다.
도 5는 제 2 외각체(822)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구동 기구(800)가 더욱 설명된다.
제 2 외각체(822)는 제 1 외각체(821)와 겹치는 본체부(842)를 포함한다. 본체부(842)는 제 1 외각체(821)와 겹치고, 제 1 수용부(843)를 형성한다. 제 1 수용부(843)는 전달부가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기어(831, 833, 834, 835, 836) 및 회전 샤프트(832)는 제 1 수용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 2 외각체(822)는 본체부(84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 2 수용부(844)를 더 포함한다. 제 2 수용부(844)는 기어(833, 835) 및 회전 샤프트(832)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후술됨)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제 2 수용부(844)는 본체부(84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둘레벽(845)을 포함한다. 둘레벽(845)은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전자클러치를 둘러싼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둘레벽(845)은 대략 L자형의 제 2 수용 공간을 규정한다. 제 2 수용 공간 내에는 3개의 전자클러치가 배치된다.
제 2 수용부(844)는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전자클러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846)을 포함한다. 지지벽(846)은 L자형의 제 2 수용 공간을 규정하는 둘레벽(845)의 선단 가장자리와 접속되어 제 2 수용 공간을 폐쇄한다. 도 5에는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전자클러치를 지지벽(846)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847)가 도시되어 있다.
둘레벽(845)은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전자클러치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벽(848)과,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전자클러치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벽(849)을 포함한다. 상부벽(848)에는 복수의 개구부(841)가 형성된다. 개구부(841)는 본체부(842)로부터 지지벽(846)을 향해서 연장된다. 제 2 수용 공간 내의 전자클러치로부터 발생한 열은 개구부(841)를 통해서 케이싱(820)의 밖으로 적절하게 방출된다.
구동 기구(800)는 상기 모터(810)에 추가로 모터(8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860)을 구비한다. 모터(810)는 지지판(860)을 개재하여 본체부(842)의 외면에 부착된다. 모터(810)의 샤프트는 제 1 외각체(821) 및 제 2 외각체(822)가 형성하는 제 1 수용 공간 내로 삽입 통과되어 전달부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6은 제 2 외각체(822)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외각체(822)의 내면측에 구축된 전달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제 2 외각체(822) 및 전달부가 설명된다.
구동 기구(8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클러치를 구비한다. 전자클러치는 레지스트 롤러쌍(318)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 1 전자클러치와, 급지 롤러(312)를 회전시키는 회전 샤프트(832)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 2 전자클러치와, 리턴 반송로(319)를 따라 배치된 반송 롤러쌍(321)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 3 전자클러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외각체(822)의 제 2 수용부(844)는 전자클러치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 공간(881)을 형성한다. 제 2 수용 공간(881)은 제 1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1 공간(826)과, 제 2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2 공간(825)과, 제 3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3 공간(882)을 포함한다.
제 1 전자클러치는 기어(838)에 접속된다. 제 1 전자클러치가 기어(838)를 레지스트 롤러쌍(318)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833)를 향해서 변위시키면 기어(833)는 회전한다. 이 결과, 레지스트 롤러쌍(318)이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어(833)와 함께 기어(838)는 제 1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제 2 전자클러치는 기어(837)에 접속된다. 제 2 전자클러치의 온/오프에 따라 기어(837) 및 기어(837)에 접속된 회전 샤프트(832)가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832)와 함께 기어(837)는 제 2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제 3 전자클러치는 기어(883)에 접속된다. 제 3 전자클러치는 기어(883)를 기어(883)와 동축에 배치된 기어(884)를 향해서 변위시킨다. 이 결과, 리턴 반송로(319) 중의 시트(S)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쌍(321)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835)와 맞물리는 기어(884)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기어(835)가 회전하여 반송 롤러쌍(321)으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어(835)와 함께 기어(883, 884)는 제 3 출력부로서 예시된다.
제 2 외각체(822)는 기어(831)를 지지하는 샤프트(824), 기어(834)를 지지하는 샤프트(827), 기어(835)를 지지하는 샤프트(828) 및 기어(836)를 지지하는 샤프트(829)를 더 포함한다. 제 2 외각체(822)는 이들 샤프트나 공간 이외에 이들 기어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를 지지 또는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한다. 전달부(830)는 제 2 외각체(822)에 부착된 복수의 기어로 구성된다. 전달부(830)는 제 2 외각체(822)에 부착된 복수의 기어 중에서 가장 큰 직경의 주 기어(850)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외각체는 주 기어(8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859)을 포함한다. 주 기어(850)는 감광체 드럼(410)의 회전에 사용된다.
전달부(830)는 모터(810)의 샤프트에 동축으로 접속된 구동 기어(812)를 포함한다. 제 1 수용 공간 내의 여러가지 기어는 구동 기어(812)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각각 회전한다.
도 8은 상기 제 1 전자클러치, 제 2 전자클러치 및/또는 제 3 전자클러치로서 사용되는 전자클러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이용하여 전자클러치가 설명된다.
전자클러치(900)는 금속제의 외각부(910)와, 외각부(910)에 인접해서 배치된 기어부(920)와, 전원(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류를 수신하는 접속 포트(930)를 구비한다. 외각부(910) 내에는 접속 포트(930)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950)이나, 일반적인 전자클러치가 구비하는 다른 요소가 배치된다.
전자클러치(900)로의 전류의 공급에 따라 기어부(920)가 제동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전자클러치(900)로의 전류의 공급에 따라 기어부(920)는 외각부(910)로부터 압출되도록 변위해도 좋다. 이 결과, 기어부(920)를 통한 구동력의 전달이 적절하게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각부(910)는 금속제이므로 외각부(910) 내부의 전자소자로부터 발생된 열은 효율적으로 외각부(910) 밖으로 방출된다. 제 2 수용부(844)의 상부벽(848)은 외각부(910)에 근접한다. 상부벽(848)에 형성된 개구부(841)는 외각부(910)의 상방에 있으므로 외각부(910)로부터의 열은 개구부(841)를 통해서 케이싱(820) 밖으로 효율적으로 방출된다.
또한, 상부벽(848)은 전자클러치(900)의 주위에 떠도는 분진(예를 들면, 토너)이 전자클러치(900)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클러치(900)로부터의 열을 받은 공기는 개구부(841)로부터 상승하는 기류를 생성하므로 상부벽(848)뿐만 아니라 케이싱(820) 밖으로 방출되는 따뜻하게 된 공기도 전자클러치(900) 내로의 분진의 진입을 억제한다. 이 결과, 전자클러치(900)로의 분진의 부착에 기인하는 전자클러치(900)의 이음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개구부(841)는 상부벽(848)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자클러치(900)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클러치(900)의 마모분이나 전자클러치(90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그리스는 케이싱(820) 밖으로 비산되기 어려워진다.

Claims (7)

  1.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구로서: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 및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클러치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전자클러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전자클러치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벽과, 상기 전자클러치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벽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상기 상부벽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클러치는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과, 이 코일을 둘러싸는 금속제의 외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외각부의 상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3.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 및
    구동력을 상기 반송 기구로 전달하는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이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클러치와, 상기 출력부가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전자클러치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용부는 상기 제 1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자클러치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전자클러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벽은 상기 전자클러치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벽과, 상기 전자클러치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벽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상기 상부벽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화상 형성부로의 상기 시트의 반송 타이밍을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한 상기 화상 형성의 타이밍에 맞추는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조정 요소로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클러치는 상기 제 1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 1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조정 요소를 향해서 상기 시트를 급지하는 급지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급지 요소로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클러치는 상기 제 2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 2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부가 상기 시트에 상기 화상을 형성한 후 상기 조정 요소를 향해서 상기 시트를 안내하는 리턴 반송로가 형성된 주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리턴 반송로를 통과하는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반송 요소로 상기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클러치는 상기 제 3 출력부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제어하는 제 3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방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기구.
KR1020110119332A 2010-11-19 2011-11-16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79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8871 2010-11-19
JP2010258871 2010-11-19
JPJP-P-2011-103658 2011-05-06
JP2011103658A JP5645748B2 (ja) 2010-11-19 2011-05-06 駆動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27A KR20120054527A (ko) 2012-05-30
KR101379781B1 true KR101379781B1 (ko) 2014-03-31

Family

ID=4509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332A KR101379781B1 (ko) 2010-11-19 2011-11-16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69354B2 (ko)
EP (1) EP2455225B1 (ko)
JP (1) JP5645748B2 (ko)
KR (1) KR101379781B1 (ko)
CN (1) CN1024787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0118B2 (ja) * 2013-03-28 2015-11-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503B1 (ko) * 2004-07-08 2006-04-14 김상욱 사무기기의 용지 이송용 전자 클러치
JP2008302548A (ja) * 2007-06-06 2008-12-18 Kyocera Mita Corp 発熱体の冷却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0402B2 (ja) 1989-04-10 1998-07-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の微小紙送り機構
JPH0659567A (ja) 1992-08-13 1994-03-04 Ricoh Co Ltd 駆動装置
JP3093521B2 (ja) 1993-06-25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DE19827339C2 (de) * 1998-06-19 2000-04-20 Sachs Race Eng Gmbh Gehäuse für eine Lamellenkupplung
JP2000098859A (ja) * 1998-09-18 2000-04-07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0356937A (ja) * 1999-06-14 2000-1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I5707U1 (fi) * 2001-11-21 2003-03-12 Suomen Intech Oy Telan, kuten ulosottotelan, kytkin-/laakeritilan tiivistysrakenne
DE10239419A1 (de) * 2002-08-28 2004-03-11 Sachs Race Engineering Gmbh Gehäuse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JP4306211B2 (ja) * 2002-09-12 2009-07-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62601A (ja) * 2003-02-28 2004-09-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クラッチの保持機構
JP2004264593A (ja) * 2003-02-28 2004-09-2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696460B2 (ja) * 2004-03-23 2011-06-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回転伝達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42274B2 (ja) * 2004-03-23 2010-03-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回転伝達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58229A (ja) * 2005-03-18 2006-09-28 Ricoh Co Ltd 電磁クラッチ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62892A (ja) * 2005-12-16 2007-06-28 Mikasa Sangyo Co Ltd 振動締固め機の遠心クラッチ
JP2007276914A (ja) 2006-04-04 2007-10-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31469B2 (ja) 2006-04-21 2012-05-16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020029A (ja) * 2006-07-14 2008-01-31 Kyocera Mita Corp 回転部材の回り止め構造
JP2008145521A (ja) * 2006-12-06 2008-06-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404160B2 (ja) 2009-04-27 2014-0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方法
EP2323447A2 (en) 2009-11-11 201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network access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503B1 (ko) * 2004-07-08 2006-04-14 김상욱 사무기기의 용지 이송용 전자 클러치
JP2008302548A (ja) * 2007-06-06 2008-12-18 Kyocera Mita Corp 発熱体の冷却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5225A1 (en) 2012-05-23
JP5645748B2 (ja) 2014-12-24
JP2012123359A (ja) 2012-06-28
EP2455225B1 (en) 2014-10-08
US20120126474A1 (en) 2012-05-24
CN102478771B (zh) 2014-09-10
CN102478771A (zh) 2012-05-30
KR20120054527A (ko) 2012-05-30
US8469354B2 (en)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598B1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0920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natural ventilator
US201403769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595340B2 (ja) 画像形成装置
JP5771590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5377360B2 (ja) 画像形成装置
JP526559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379781B1 (ko) 구동 기구 및 화상 형성 장치
US88491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785926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9731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38218A (ja) 駆動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用紙搬送装置
JP5961729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615772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52851A (ja) 温風発生装置、給紙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0013209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2113126A (ja) 駆動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5240A (ja) 搬送ユニット及び搬送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51470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218213A (ja) 画像形成装置
JP5364626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2102815A (ja) 歯車
JP2011174585A (ja) 駆動機構及び駆動機構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90621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252464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