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775B1 -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 Google Patents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775B1
KR101377775B1 KR1020120095250A KR20120095250A KR101377775B1 KR 101377775 B1 KR101377775 B1 KR 101377775B1 KR 1020120095250 A KR1020120095250 A KR 1020120095250A KR 20120095250 A KR20120095250 A KR 20120095250A KR 101377775 B1 KR101377775 B1 KR 10137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pile
yarn
wefts
th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846A (ko
Inventor
노부유키 다에나카
쇼지 다에나카
Original Assignee
다에나카 파이루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에나카 파이루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에나카 파이루 오리모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과제] 파일편(14)이 굵은 지경사(12)로 쓰러져서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진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를 얻는다.
[해결 수단]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와 굵은 지경사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고,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와 굵은 지경사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에 걸어멈춰진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는 경파일 직물에 구성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가 파일편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에 전후해서 짜 넣어지는 합계 2개의 씨실(13·13)의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굵은 지경사가 파일편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에 전후해서 짜 넣어지는 합계 2개의 씨실(13·13)의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n)를 많게 한다.

Description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RUBBING MATERIAL FOR A LIQUID CRYSTAL PANEL SUBSTRATE}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기판의 표면에 액정 소자의 배열을 촉진시키는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의 기판의 표면에 액정 소자의 배열을 촉진시키는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액정 패널의 기판의 표면에 폴리이미드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된 배향막에, 둘레면에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를 휘감은 회전하는 러빙롤을 대서 문지르고, 그 회전 방향에 따른 미세한 찰과흔(擦過痕)을 형성하는 러빙 처리가 실시된다.
그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는, 경파일 직물(warp pile fabric)이 적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3, 4 참조).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서의 경파일 직물의 두께는 대체로 1.5∼4.0㎜이다.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파일이나 씨실이나 지경사(地經絲, ground warp)에는, 섬도(纖度)(굵기)가 대체로 15∼100면번수(count of cotton yarn)의 실 가닥이 사용된다.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베이스 직지(지조직(地組織))의 지경사 밀도는, 대체로 20∼180개/25.4㎜로 설정되어 있다.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베이스 직지(지조직)의 씨실 밀도는, 대체로 30∼150개/25.4㎜로 설정되어 있다.
지경사 밀도(개/25.4㎜)로서 나타내는 25.4㎜ 사이에 배열되는 지경사의 개수(δ)와 지경사의 섬도(ρ(dtex))의 제곱근의 곱으로서 나타내는 러빙재로서의 경파일 직물의 지경사의 커버 팩터(cover factor)(κ)는, 대체로 50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경파일 직물의 파일은, 2개의 파일편이 쌍을 이루고 있다.
그 쌍을 이루는 2개의 파일편은, U자, V자 내지 W자형을 이루고 연속하고 있다.
그 U자, V자 내지 W자 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연속하는 2개의 파일편의 연속 부분인 파일의 침입부는, 경파일 직물의 베이스 직지를 구성하는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있다.
파일은, 그 빠져나가는 침입부에 의해서 베이스 직지에 걸어멈춰지고, 그 쌍을 이루는 2개의 파일편은, 그 걸어멈추는 씨실의 전후로 나누어져서 베이스 직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그 파일의 침입부가 빠져나가는 씨실의 수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 지경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파일편의 기울기 상태가 변화되고, 파일이 지경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경사진 경파일 직물을 얻을 수 있다.
파일의 침입부가 빠져나가는 씨실과 지경사에 의해서 구성되는 베이스 직지의 직조직(織組織)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지경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파일편의 기울기 상태가 변화된다.
따라서, 베이스 직지의 직조직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파일이 지경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경사진 경파일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서의 경파일 직물은, 회전 롤에 휘감아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서 적합한 경파일 직물은, 회전 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파일이 경사진 경파일 직물이다.
따라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서의 경파일 직물은, 그 지경사의 길이 방향을 회전 방향에 맞춰서, 씨실의 길이 방향을 축심(軸芯) 방향으로 향해서 회전 롤에 휘감겨진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서, 러빙롤의 폭에 따른 직폭(織幅)의 경파일 직물이 필요하게 된다.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서의 경파일 직물의 제직(製織)에는, 의료(衣料) 천이나 시트지(의자 천)로서의 경파일 직물의 제직에 사용되고 있는 모켓(moquette) 직기(織機)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켓 직기의 직폭은 2.3m 이하이다.
따라서, 종래의 모켓 직기에 따라서는, 직폭이 2.3m를 넘는 경파일 직물은 얻을 수 없다.
물론, 직폭이 2.3m를 넘는 광폭(廣幅)의 경파일 직물은, 윌턴 카펫(wilton carpet) 직기에 의해서 제직할 수 있다.
그러나, 윌턴 카펫 직기는, 어디까지나 카펫 직기이다.
따라서, 윌턴 카펫 직기에 따라서는, 15∼100면번수의 실 가닥을 파일이나 씨실이나 지경사에 사용하고, 지경사 밀도나 씨실 밀도가 20∼150개/25.4㎜이고, 두께가 1.5∼4.0㎜인 러빙재에 적합한 경파일 직물을 얻을 수는 없다.
이러한 사정으로, 러빙 처리에 2.3m를 넘는 광폭의 러빙롤에 사용하고, 액정 패널 기판의 생산 효율을 높이려고 하는 경우에는, 러빙재용 경파일 직물을, 그 씨실의 길이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향하여, 지경사의 길이 방향을 축심 방향으로 향해서 회전 롤에 휘감고, 그 롤을 회전하면서 파일면을 스쳐가고 파일을 회전 방향에 따라서 파일을 경사시킬 필요가 생긴다.
그러나, 지경사 밀도가 20∼180개/25.4㎜로 설정된 치밀한 러빙재용 경파일 직물에서는, 파일의 좌우(씨실의 길이 방향)가 지경사에 의해서 강하게 파지(把持)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파일은, 씨실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기 어렵다.
그 파일을 수지나 열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경사시키려고 해도, 파일의 경사도합에 편차가 생긴다.
파일의 경사도합에 편차가 있는 러빙재용 경파일 직물을 사용하면, 러빙재의 액정 패널의 배향막의 배합성에 편차가 생기고, 러빙 처리에 있어서 로스(loss)가 다발하고, 액정 패널 기판의 수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도 6에 도시하는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베이스 직지가, 2개의 지경사(11·12)가 당김 정렬 상태의 조(組)를 이루고 씨실(13)과 교락(交絡)하는 2개 가로 고무뜨기(horizontal ribs)(2/2 가로 고무뜨기) 직조직에 의해서 구성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이하, 선원(先願) 러빙재라고 한다.)를 발명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그 선원 러빙재의 파일 실(pile yarn)은, 그 당김 정렬 상태의 조를 이루는 각 조 2개의 지경사(11·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파일 실은, 각 조 2개의 지경사(11·12)가 교락하고 위를 넘는 씨실(13)에 걸어멈춰지는 루즈 파일(loose pile)(15)의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다.
그 당김 정렬 상태의 조를 이루는 각 조 2개의 지경사 중의 1개의 지경사(12)의 섬도(굵기)는, 다른 1개의 지경사(11)의 섬도(굵기)의 1.2배∼4.0배로 설정되어 있다.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는, 베이스 직지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선원 러빙재는, 지경사의 길이 방향(L)을 축심 방향으로 평행하게 향해서 회전 롤에 장착할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328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 11-237636호(일본특허 제32093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8628호(일본특허 제34004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1209호(일본특허 제41397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1638호(일본특허 제3952208호)
선원 러빙재에서는, 2개 가로 고무뜨기 직조직의 베이스 직지에 1개의 파일 실을 사이에 끼우고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1조로 되어서 반복 배치되어 있다.
파일편이 베이스 직지에 깊이 가라앉는 침입부에서는, 그 침입부를 눌러서 파일편(14)을 걸어멈추는 씨실(13)은, 그 파일편(14)을 사이에 끼우고 서로 이웃하는 좌우 한쪽이 굵은 지경사(12)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그 좌우 서로 이웃하는 다른 한쪽이 가는 지경사(11)의 위를 넘고 있다.
굵은 지경사(12)는, 가는 지경사(11)와의 섬도의 차(差)에 따라서, 그 사이에 끼워진 파일 실의 파일편(14)의 근원(根元)에 강하게 올라타 있다.
그 올라타는 정도에 따라서,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끼워진 파일편(14)은, 그 올라타는 굵은 지경사(12)에 의해서 가는 지경사측(11)으로 쓰러지고, 씨실(13)의 길이 방향, 즉, 경파일 직물의 직폭 방향(W)으로 경사진다(도 7 참조).
선원 러빙재의 파일편(14)의 직폭 방향으로 경사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와의 섬도의 차에 기인한다.
따라서, 경사의 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굵은 지경사(12)의 섬도를 굵게 하게 된다.
그와 같이, 굵은 지경사(12)의 섬도를 굵게 하기 위해서는, 지경사 밀도를 엉성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지경사 밀도를 엉성하게 하는 경우, 러빙재의 파일 밀도도 엉성하게 된다.
선원 러빙재의 베이스 직지에는, 그 베이스 직지가 2개 가로 고무뜨기 직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관계상, 씨실(13)의 위를 넘는 2개 1조의 굵은 지경사(12)와 가는 지경사(11)가 체크무늬 형상으로 표시된다(도 6a 참조).
파일편(14)은 루즈 파일(15)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하는 루즈 파일(15)도 2개 1조의 굵은 지경사(12)와 가는 지경사(11)에 맞춰서 체크무늬 형상으로 나열된다.
따라서, 모든 파일 실이 형성하는 커트 파일(cut pile)은, 동일 씨실에 따라서 일직선상에는 나열되지 않고, 서로 이웃하는 파일 실의 커트 파일이 각 씨실(13)의 위에 교대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 교대하는 커트 파일과 커트 파일의 사이에 무(無) 파일 스페이스(80)가 나타난다.
그와 같이 파일면에는, 무파일 스페이스(80)가 체크무늬 형상으로 발생된다.
그와 같이, 파일면에 무파일 스페이스(80)가 체크무늬 형상으로 발생되는 러빙재에서는, 씨실 밀도를 치밀하게 해도, 파일 밀도를 치밀하게는 할 수 없다.
선원 러빙재의 베이스 직지는, 2개의 지경사(11·12)가 당김 정렬 상태의 조를 이루고 2개의 씨실(13·13)의 위를 넘을 때마다 다음 2개의 씨실(13·13)의 아래를 빠져나가는 2개 가로 고무뜨기(2/2 가로 고무뜨기) 직조직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일편을 형성한 파일 실이 1개의 씨실(13)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다음 1개의 씨실(13)의 위를 넘고, 다음 1개의 씨실(13)의 아래를 빠져나가서 재차 파일편을 형성하는 퍼스트 파일(fast pile)의 경파일 직물에, 선원 러빙재의 베이스 직지를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선원 러빙재를 개선하기 위해서 다음의 점이 검토되었다.
(1)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와의 섬도의 차에만 따르지 않고, 베이스 직지의 직조직의 점으로도 파일편(14)을 직폭 방향(W)으로 경사지기 쉽게 한다.
(2) 파일편(14)을 직폭 방향(W)으로 한층 강하게 경사시킨다.
(3) 선원 러빙재를 퍼스트 파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선원 러빙재의 교대하는 루즈 파일(15)과 루즈 파일(15)의 사이의 무파일 스페이스(80)(도 6b 참조)를 해소한다.
상기의 선원 러빙재를 개선점을 검토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음의 지견이 얻어졌다.
(1)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를 2개에서 줄여서 1개로 하고,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를 2개에서 1개 늘려서 3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를 2개에서 1개 늘려서 3개로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의 위를 넘는 가는 지경사(11)가, 씨실(13)의 위를 넘는 굵은 지경사(12)의 아래로 파고들기 쉬운 상태가 된다.
(3)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를 2개에서 1개 늘려서 3개로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의 위를 넘는 굵은 지경사(12)도, 씨실(13)의 위를 넘는 가는 지경사(11)의 위로 비어져 나오고, 가는 지경사(11)의 위에 덮이기 쉬운 상태가 된다.
(4) 굵은 지경사(12)의 아래로 파고들기 쉽게 된 가는 지경사(11)에 덮이도록, 가는 지경사(11)의 위로 비어져 나와서 덮이기 쉽게 된 굵은 지경사(12)에 파일편(14)이 쓰러지기 쉽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는,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져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1개인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고,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 중 어느 하나의 씨실의 위도 넘고 있지 않고,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2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0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2개인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제2의 특징은,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1개인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고,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어느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2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1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제3의 특징은,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1개인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고,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 중 어느 하나의 씨실의 위도 넘고 있지 않고,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어느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1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0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제4의 특징은,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단위 씨실 개수가,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4개의 씨실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2) 굵은 지경사(12)가, 단위 씨실 4개중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으며, (3) 가는 지경사(11)가,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과, 굵은 지경사(12)가 빠져나가는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합계 2개의 씨실(13f·13f)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아래로 빠져나가는 동시에,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에 걸어멈춰지고,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2개인 퍼스트 파일(16)을 형성하고 있으며, (5)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합계 2개의 씨실(13f·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씨실의 위를 넘고 있지 않고, (6)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2개의 씨실(13f·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2개의 씨실(13f·13f)과, 그 2개의 씨실(13f·13f)의 사이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합계 3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7)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각 씨실(13f·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것은, 단위 씨실 4개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 이외의 합계 2개의 씨실로서, 이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1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0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의 제5의 특징은,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이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보다도 많은 점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에 전후해서 짜 넣어져 있으며,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을 포함하고,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을 포함하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m)보다도 많다.
그리고, 날실 밀도가 치밀하고 지경사의 커버 팩터가 500 이상인 경파일 직물에서는, 평행으로 나열된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W)으로 서로 밀고 있다.
그 때문에,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가는 지경사(11)와 쌍을 이루고, 그 가는 지경사(11)와 서로 이웃해서 씨실(13f)의 위를 넘는 굵은 지경사(12)의 아래로 파고들기 쉬운 상태가 된다(도 1 참조).
한편,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는 굵은 지경사(12)도, 그 굵은 지경사(12)와 쌍을 이루고, 그 굵은 지경사(12)와 서로 이웃해서 씨실(13f)의 위를 넘는 가는 지경사(11)의 위로 비어져 나와서 덮이기 쉬운 상태가 된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이,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에 전후해서 굵은 지경사(12)와 함께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으며,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에 전후해서 짜 넣어져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에 전후해서 짜 넣어져 있으며, 파일 실(17)이 빠져나가는 씨실에 전후해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n)를 많게 한다.
그와 같이,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를 많게 하면, 파일편(14)은, 위로 비어져 나와서 덮이기 쉽게 된 굵은 지경사(12)로 쓰러지고, 아래로 파고들기 쉽게 된 가는 지경사(11)에 덮이는 모양이 된다(도 1).
그 결과, 선원 러빙재에 비해서, 파일편(14)이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진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가 얻어진다.
그와 같이,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를 많게 하는 경우, 러빙재의 직성(織成) 과정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11)에 비해서 굵은 지경사(12)에 강한 장력을 작용시키고,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에 비해서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을 많게 한다.
그와 같이,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에 비해서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을 많게 하면, 직축율(β)이 적고 긴장 상태에 있는 굵은 지경사측(12)으로부터 직축율(α)이 많고 이완 상태에 있는 가는 지경사측(11)으로 파일편(14)이 쓰러지기 쉽게 된다.
그 결과, 선원 러빙재에 비해서 파일편(14)이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진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가 얻어진다.
경파일 직물의 지경사의 커버 팩터가 500 이상이 되면,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서 직폭 방향(W)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강해지고, 그 압압력을 받아서 파일편(30)이 가는 날실측(22)으로 쓰러지기 쉽고 경사지기 쉽게 된다.
그 결과, 파일편(14)이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진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가 얻어진다.
굵은 지경사(12)의 섬도를, 가는 지경사(11)의 섬도의 1.2배 이상 10배 이하로 하면, 굵은 지경사(12)가, 그 굵은 지경사(12)와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의 섬도의 차에 따라서, 파일 실의 파일편(14)의 근원을 올라타기 쉽게 된다.
또, 굵은 지경사(12)와 가는 지경사(11)와의 섬도 차에 따라서, 파일편(30)이 가는 날실측(22)으로 쓰러지기 쉽고, 또, 파일편(30)이 가는 날실측(22)으로 경사지기 쉽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편(14)이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진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위 씨실 개수를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4개로 하고,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1개의 씨실의 위를 가는 지경사(11)가 넘고,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그 굵은 지경사(12)가 넘는 씨실의 개수(n)를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m)를 1개 많게 하고,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을 포함하고, 굵은 지경사(12)가 넘는 씨실의 합계 개수를 3개로 하는 경우, (1) 그 굵은 지경사(12)가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위를 굵은 지경사(12)와 함께 넘고,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도록 가는 지경사(11)를 짜 넣고, (2) 굵은 지경사(12)가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아래로 빠져나가서 눌러지고,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위를 넘도록 파일(17)을 짜 넣고, (3) 굵은 지경사(12)가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씨실(13f)의 2개의 씨실(13f·13f)에 걸어멈춰지는 퍼스트 파일(16)을, 4개의 씨실당 1개의 비율로 지경사의 길이 방향, 즉, 제직 방향(L)으로 반복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퍼스트 파일(16)의 파일편(14·14)이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져서 베이스 직지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내구성이 우수한 러빙재가 얻어진다.
퍼스트 파일(16)은,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3개의 씨실과, 그 3개의 씨실에 계속되는 굵은 지경사(12)가 아래로 빠져나가는 1개의 씨실의 4개의 단위 씨실당 1개의 비율로 제직 방향(L)으로 반복 형성된다.
그 반복 형성되어서 제직 방향(L)에 있어서 전후하는 2개의 퍼스트 파일(16·16)의 사이에 있어서, 아래로 빠져나가는 굵은 지경사(12)의 위를 넘고 파일면에 노출하게 되는 씨실은, 그 전후하는 퍼스트 파일(16)의 파일편(14)과 퍼스트 파일(16)의 파일편(14')에 덮인다.
따라서, 제직 방향(L)에 있어서 전후하는 2개의 퍼스트 파일(16·16)의 사이에 짜 넣어지는 씨실은, 무파일 스페이스로 되어서 파일면에 나타날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퍼스트 파일(16)에 덮인 무파일 스페이스가 없는 러빙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러빙재의 주요부 단면 확대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러빙재를 도시하고, 분도(分圖)(a)는 러빙재의 직조직도이며, 분도(b)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a·12a)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분도(c)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b·12b)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러빙재의 직조직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러빙재를 도시하고, 분도(a)는 러빙재의 직조직도이며, 분도(b)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a·12a)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분도(c)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b·12b)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러빙재의 직조직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러빙재를 도시하고, 분도(a)는 러빙재의 직조직도이며, 분도(b)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a·12a)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분도(c)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b·12b)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러빙재의 직조직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러빙재를 도시하고, 분도(a)는 러빙재의 직조직도이며, 분도(b)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a·12a)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분도(c)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b·12b)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러빙재의 직조직이다.
도 6은, 종래 러빙재를 도시하고, 분도(a)는 러빙재의 직조직도이며, 분도(b)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a·12a)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분도(c)는 분도(a)의 직조직도의 지경사(11b·12b)의 짜 넣기 개소에서의 러빙재의 단면 측면도이며, 러빙재의 직조직이다.
도 7은, 종래의 러빙재의 주요부 단면 확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경사의 직축율(θ:%)은, 직축율을 측정하려고 하는 직물(러빙재)의 날실 방향(L)의 치수(La)를 측정하고, 이어서, 그 직축율을 측정하려고 하는 직물(러빙재)을 분해하여 지경사를 꺼내고, 그 꺼낸 지경사의 치수(Lb)를 측정하고, 그 꺼낸 지경사의 치수(Lb)와 직물(러빙재)의 날실 방향(L)의 치수(La)와의 차(Lb-La)를 직물(러빙재)의 날실 방향의 치수(La)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곱[θ=100×(Lb-La)÷(La)]으로 해서 산정된다.
그 지경사의 직축율(θ)이 적은 것은, 지경사가 곡절하는 일 없이, 지경사가 일직선상으로 강하게 긴장된 상태로 짜 넣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과는 반대로, 지경사의 직축율(θ)이 많은 것은, 지경사가 이완된 상태로 짜 넣어져 있으며, 직물(러빙재) 중에서 곡절한 상태로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에 비해서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을 많게 하고, 긴장 상태에 있는 굵은 지경사측(12)으로부터 직축율(α)이 많고 이완 상태에 있는 가는 지경사측(11)으로 파일편(14)을 쓰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이 5%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2% 이하로, 더 바람직하게는 영%(β=0)가 되도록, 직물(러빙재)의 직성 과정에 있어서, 굵은 지경사(12)를 충분히 긴장시켜서 짜 넣는다.
게다가, 굵은 지경사측(12)으로부터 직축율(α)이 많고 이완 상태에 있는 가는 지경사측(11)으로 파일편(14)을 쓰러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과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의 차(α-β)가 5%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 되도록 한다.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서 직폭 방향(W)에 작용하는 압압력이 강해지고, 그 압압력을 받아서 파일편(30)이 가는 날실측(22)으로 쓰러지기 쉽게 하기에는, 경파일 직물의 지경사의 커버 팩터를 600∼2000으로, 바람직하게는 700∼1200으로 한다.
그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압력을 고정하기 위해서,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는, 경파일 직물의 이면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해서 마무리된다.
굵은 지경사(12)는, 그 굵은 지경사(12)와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의 섬도의 차에 따라서, 파일 실의 파일편(14)의 근원을 올라타기 쉽게 된다.
또, 쌍을 이루는 굵은 지경사(12)와 가는 지경사(11)와의 섬도 차에 따라서, 파일편(30)이 가는 날실측(22)으로 쓰러지기 쉽고, 또, 파일편(30)이 가는 날실측(22)으로 경사지기 쉽게 된다.
그러나, 굵은 지경사(12)의 섬도를 가는 지경사(11)의 섬도의 4배 이상으로 하는 경우,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와의 텐션 차에 의해서 평탄한 러빙재를 얻기 어렵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하여,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와의 섬도 차는, 굵은 지경사(12)의 섬도(dtex)가 가는 지경사(11)의 섬도(dtex)의 1.2배∼4.0배로, 바람직하게는 1.4∼3.0배가 되도록 한다.
파일이나 씨실이나 날실에는 섬도(굵기)가 59dtex(100면번수)∼590dtex(10면번수)의 실 가닥을 사용하면 좋다.
파일 실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를 주재(主材)로 하는 실 가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굵은 지경사(12)와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그 쌍을 이루는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보다도 적으면 적을수록, 그리고,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보다 많으면 많을수록, 씨실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직폭 방향(W)을 향해서 이동하고 복수개의 씨실을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의 아래로 파고들기 쉽게 된다.
또, 굵은 지경사(12)와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그 쌍을 이루는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보다도 적으면 적을수록, 그리고,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보다도 많으면 많을수록, 굵은 지경사(12)가 씨실(13)의 위로 덮여지기 쉽게 된다.
또, 굵은 지경사(12)와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그 쌍을 이루는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보다도 적으면 적을수록, 그리고,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보다도 많으면 많을수록, 가는 지경사(11)가 굵은 지경사(12)의 아래로 파고들기 쉽게 된다.
또, 굵은 지경사(12)가 씨실(13)의 위로 덮여지기 쉽게 되는 정도에 따라서, 파일편(30)은, 가는 날실측(22)으로 쓰러지기 쉽고, 또, 가는 날실측(22)으로 경사지기 쉽게 된다.
따라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그러나, 그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면, 굵은 지경사(12)가 베이스 직지의 표면에 느슨해진 모양이 되고, 굵은 지경사(12)로부터 파일편(30)을 향해서 작용하는 압압력이 약해진다.
이 점을 고려해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는 씨실의 개수는, 5개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로 한다.
도 2는,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으며,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 중 어느 하나의 씨실의 위도 넘고 있지 않고,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2개인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 있어서, 씨실은,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4개의 씨실을 단위 씨실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2b 참조)과,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b)와 파일 실(17b)과 굵은 지경사(12b)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2c 참조)과, 단위 씨실의 씨실 2개에 상당하는 반(半) 리피트분만 제직 방향(L)에 있어서 위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직폭 방향(W)의 한쪽 편이 가는 지경사(11a)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이 굵은 지경사(12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의 파일 실(17a)은,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d(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한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에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의 위를 넘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파일 실(17b)은, 제 2 씨실(13b)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b(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으며,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어느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 있어서, 씨실은,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4개의 씨실을 단위 씨실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3b 참조)과,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b)와 파일 실(17b)과 굵은 지경사(12b)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3c 참조)과, 단위 씨실의 씨실 2개에 상당하는 반리피트분만 제직 방향(L)에 있어서 위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직폭 방향(W)의 한쪽 편이 가는 지경사(11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이 굵은 지경사(12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의 파일 실(17a)은,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d(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한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에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파일 실(17b)은, 제 2 씨실(13b)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b(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으며,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 중 어느 하나의 씨실의 위도 넘고 있지 않고,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어느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 있어서, 씨실은,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4개의 씨실을 단위 씨실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4b 참조)과,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b)와 파일 실(17b)과 굵은 지경사(12b)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4c 참조)과, 단위 씨실의 씨실 2개에 상당하는 반리피트분만 제직 방향(L)에 있어서 위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직폭 방향(W)의 한쪽 편이 가는 지경사(11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있다.
그 한쪽 편이 굵은 지경사(12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를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의 파일 실(17a)은, 제 1 씨실(13a)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a(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한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에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의 아래를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의 위를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파일 실(17b)은, 제 3 씨실(13c)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c(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하고 있다.
도 5는, (1) 단위 씨실이,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4개의 씨실에 의해서 구성되고, (2) 굵은 지경사(12)가, 단위 씨실 4개중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으며, (3) 가는 지경사(11)가,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과, 굵은 지경사(12)가 빠져나가는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합계 2개의 씨실(13f·13f)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넘는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아래로 빠져나가는 동시에,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에 걸어멈춰진 퍼스트 파일(16)을 형성하고 있으며, (5) 파일 실(17)을 걸어멈추고 있는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합계 2개의 씨실(13f·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씨실의 위를 넘고 있지 않고, (6)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2개의 씨실(13f·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2개의 씨실(13f·13f)과, 그 2개의 씨실(13f·13f)의 사이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합계 3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7)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각 씨실(13f·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4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에 있어서,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5b 참조)과, 직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3개 1조인 가는 지경사(11b)와 파일 실(17b)과 굵은 지경사(12b)가 단위 씨실과 함께 구성하는 직조직(도 5c 참조)과, 단위 씨실의 씨실 1개에 상당하는 1/4 리피트분만 제직 방향(L)에 있어서 위상을 다르게 하고 있다.
직폭 방향(W)의 한쪽 편이 가는 지경사(11a)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의 위를 넘고,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이 굵은 지경사(12a)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다.
그 한쪽 편의 파일 실(17a)은, 제 2 씨실(13b)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의 위를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빠져나간 제 2 씨실(13b)과 제 4 씨실(13d)의 2개의 씨실(13f·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퍼스트 파일(16a)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한 가는 지경사(11a)와 파일 실(17a)과 굵은 지경사(12a)에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의 위를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다.
그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파일 실(17b)은,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고,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가는 제 3 씨실(13c)과 제 1 씨실(13a)의 2개의 씨실(13f·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퍼스트 파일(16b)을 형성하고 있다.
경파일 직물의 이면(비(非) 파일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파일편(14)의 근원을 베이스 직지에 접착 고정하면 좋다.
그 접착제의 도포량은 대체로 50∼80g/㎡(건조 중량)로 하면 좋다.
[실시예]
[실시예 1]
총섬도 55dtex/24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2개를 합연(合撚)한 합계 총섬도 110dtex/48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합연사(合撚絲)는, 가는 지경사(11)로서 사용된다.
총섬도 82.5dtex/36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2개를 합연한 합계 총섬도 165dtex/72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합연사는, 굵은 지경사(12)로서 사용된다.
총섬도 55dtex/24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2개를 합연한 합계 총섬도 110dtex/48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합연사는, 씨실(13)로서 사용된다.
섬도 30면번수(60/2s면번수·약 195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파일 실(14)로서 사용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는, 가는 지경사(11) → 파일 실(17) → 굵은 지경사(12)의 순서로 반복해서 배열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의 3개의 실 가닥은, 1조로 해서, 바디 날(reed blades) 사이에 통하게 된다.
씨실은, 4개 1조로 해서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진다.
그 4개 1조의 씨실(13a·13b·13c·13d)을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11a)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는다(도 2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의 조에 속하는 굵은 지경사(12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위를 계속해서 넘는다(도 2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a)은,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d(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한다(도 2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와 파일 실(17a)에 대해서,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의 위를 넘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계속해서 빠져나간다(도 2c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b)의 조에 속하는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간다(도 2c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b)와 굵은 지경사(12b)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b)은, 제 2 씨실(13b)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b(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한다(도 2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날실 밀도 92개/25.4㎜, 씨실 밀도 110개/25.4㎜, 두께 2.5㎜(파일 길이 1.7㎜), 지경사의 커버 팩터가 1073의 경파일 직물(도 2 참조)이, 더블 모켓 직기에 의해 직성된다.
직성된 경파일 직물은, 그 이면에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를 도포하고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 마무리된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의 건조 도포량은, 65g/㎡로 설정된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총섬도 55dtex/24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2개를 합연한 합계 총섬도 110dtex/48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합연사는, 가는 지경사(11)로서 사용된다.
총섬도 82.5dtex/36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2개를 합연한 합계 총섬도 165dtex/72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합연사는, 굵은 지경사(12)로서 사용된다.
총섬도 55dtex/24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2개를 합연한 합계 총섬도 110dtex/48fil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합연사는, 씨실(13)로서 사용된다.
섬도 30면번수(60/2s면번수·약 195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파일 실(14)로서 사용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는, 가는 지경사(11) → 파일 실(17) → 굵은 지경사(12)의 순서로 반복해서 배열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의 3개의 실 가닥은, 1조로 해서, 바디 날개 사이에 통하게 된다.
씨실은, 4개 1조로 해서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진다.
그 4개 1조의 씨실(13a·13b·13c·13d)을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는, 2개 당김 정렬된 조를 이루고,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는다(도 6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a)은, 제 1 씨실(13a)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a(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한다(도 6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와 파일 실(17a)에 대해서,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와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간다(도 6c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b)와 굵은 지경사(12b)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b)은, 제 3 씨실(13c)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c(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한다(도 6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날실 밀도가 92개/25.4㎜이며, 씨실 밀도가 110개/25.4㎜이며, 두께가 2.5㎜(파일 길이 1.7㎜)이며, 지경사의 커버 팩터가 1073이며,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2개 당김 정렬된 조를 이루고, 2개 당김 정렬된 조를 이루는 씨실과 교락하는 2개 가로 고무뜨기(2/2 가로 고무뜨기) 직조직을 베이스로 하고, 그 각 조 2개의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교락하여 위를 넘는 씨실(13f)에 걸어멈춰지는 경파일 직물(도 6 참조)이 더블 모켓 직기에 의해 직성된다.
직성된 경파일 직물은, 그 이면에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를 도포하고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 마무리된다.
비교예 2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의 건조 도포량은, 65g/㎡로 설정된다.
[평가 1]
비교예 1의 러빙재의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은 23.5%이며,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은 7.5%였다.
비교예 1의 러빙재의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과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의 차(α―β)는 16%였지만,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이 7.5%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이완 상태에 있기 때문에, 굵은 지경사(12)가 파일편을 가는 지경사측(11)으로 직폭 방향(W)으로 쓰러뜨리는 작용이 적고, 파일편의 직폭 방향(W)으로의 경사는 적게 느껴졌다.
실시예 1의 러빙재의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은 13.6%이며,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은 0%이며, 러빙재 중에 있고 굵은 지경사(12)는 가는 지경사(11)에 비해서 긴장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실시예 1의 러빙재는, 비교예 1의 러빙재에 비해서, 파일편이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져 있는 것이 감지되었다.
비교예 1의 러빙재의 파일편의 직폭 방향(W)으로의 경사 각도는 67°±3°였으나, 실시예 1의 러빙재의 파일편의 직폭 방향(W)으로의 경사 각도는 77°±3°이며, 비교예 1의 러빙재의 파일편에 비해서, 실시예 1의 러빙재의 파일편이 직폭 방향(W)으로 크게 경사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섬도 30면번수(60/2s면번수·약 195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가는 지경사(11)로서 사용된다.
섬도 13면번수(30/2s면번수·약 444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굵은 지경사(12)에 사용된다.
섬도 20면번수(40/2s면번수·약 278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씨실(13)에 사용된다.
섬도 20면번수(40/2s면번수·약 278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파일 실(17)에 사용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는, 가는 지경사(11) → 파일 실(17) → 굵은 지경사(12)의 순서로 반복해서 배열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의 3개의 실 가닥은, 1조로 해서, 바디 날개 사이에 통하게 된다.
씨실은, 4개 1조로 해서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진다.
그 4개 1조의 씨실(13a·13b·13c·13d)을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11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는다(도 3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의 조에 속하는 굵은 지경사(12a)는,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3 씨실(13c)과 제 4 씨실(13d)의 위를 계속해서 넘는다(도 3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a)은,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d(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한다(도 3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와 파일 실(17a)에 대해서,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간다(도 3c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b)의 조에 속하는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과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간다(도 3c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b)와 굵은 지경사(12b)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b)은, 제 2 씨실(13b)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b(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한다(도 3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날실 밀도 40개/25.4㎜, 씨실 밀도 50개/25.4㎜, 두께 2.5㎜(파일 길이 1.7㎜), 지경사의 커버 팩터가 701의 경파일 직물(도 3 참조)이 더블 모켓 직기에 의해 직성된다.
직성된 경파일 직물은, 그 이면에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를 도포하고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 마무리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의 건조 도포량은, 65g/㎡로 설정된다.
[비교예 2]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하게, 섬도 30면번수(60/2s면번수·약 195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가는 지경사(11)에, 섬도 13면번수(30/2s면번수·약 444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굵은 지경사(12)에, 섬도 20면번수(40/2s면번수·약 278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씨실(13)에, 섬도 20면번수(40/2s면번수·약 278dtex)의 코튼(면) 섬유 방적사는 파일 실(17)에, 각각 사용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는, 가는 지경사(11) → 파일 실(17) → 굵은 지경사(12)의 순서로 반복해서 배열된다.
가는 지경사(11)와 파일 실(17)과 굵은 지경사(12)의 3개의 실 가닥은, 1조로 해서, 바디 날개 사이에 통하게 된다.
씨실은, 4개 1조로 해서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진다.
그 4개 1조의 씨실(13a·13b·13c·13d)을 반복해서 짜 넣는 과정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는, 2개 당김 정렬된 조를 이루고, 제 1 씨실(13a)의 위를 넘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아래로 계속해서 빠져나가고, 제 4 씨실(13d)의 위를 넘는다(도 6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a)은, 제 1 씨실(13a)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a(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a)을 형성한다(도 6b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a)와 굵은 지경사(12a)와 파일 실(17a)에 대해서, 직폭 방향(W)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다른 조의 가는 지경사(11b)와 굵은 지경사(12b)는, 제 1 씨실(13a)의 아래로 빠져나가고, 제 2 씨실(13b)과 제 3 씨실(13c)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제 4 씨실(13d)의 아래를 빠져나간다(도 6c 참조).
그 가는 지경사(11b)와 굵은 지경사(12b)의 조에 속하는 파일 실(17b)은, 제 3 씨실(13c)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그 아래를 빠져나간 씨실(13c(13f))에 걸어멈춰진 한 쌍의 파일편(14·14)으로 이루어지는 루즈 파일(15b)을 형성한다(도 6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날실 밀도가 40개/25.4㎜이며, 씨실 밀도가 50개/25.4㎜이며, 두께가 2.5㎜(파일 길이 1.7㎜)이며, 지경사의 커버 팩터가 701이며,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2개 당김 정렬된 조를 이루고, 2개 당김 정렬된 조를 이루는 씨실과 교락하는 2개 가로 고무뜨기(2/2 가로 고무뜨기) 직조직을 베이스로 하고, 그 각 조 2개가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교락하여 위를 넘는 씨실(13f)에 걸어멈춰지는 경파일 직물(도 6 참조)이 더블 모켓 직기에 의해 직성된다.
직성된 경파일 직물은, 그 이면에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를 도포하여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로 마무리된다.
비교예 1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계 에멀젼 접착제의 건조 도포량은, 65g/㎡로 설정된다.
[평가 2]
각각 파일면을 직폭 방향(W)으로 스쳐가고 실시예 2의 러빙재와 비교예 2의 러빙재의 파일편의 직폭 방향(W)으로의 경사의 정도를 비교하면, 실시예 2의 러빙재의 파일편이 비교예 2의 러빙재의 파일편에 비해서 직폭 방향(W)으로 강하게 경사져 있는 것이 감지되었다.
본 발명의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는, 도장을 실시하는 플라스틱 평판용 러빙재나 닦음천(wiping cloth),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털어버리는 청소 브러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1:가는 지경사
12:굵은 지경사
13:씨실
14:파일편
15:루즈 파일
16:퍼스트 파일
17:파일 실

Claims (8)

  1.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1개인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고,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 중 어느 하나의 씨실의 위도 넘고 있지 않고,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2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0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2.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1개인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고,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어느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2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1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3.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1개인 루즈 파일(15)을 형성하고 있고,
    (2)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그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 중 어느 하나의 씨실의 위도 넘고 있지 않고,
    (3)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어느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1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0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4. (a) 경파일 직물에 의해서 구성되고,
    (b)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직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배열되어 있으며,
    (c)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의 사이에 파일 실(17)이 배치되어 있으며,
    (d) 그 쌍을 이루는 가는 지경사(11)와 굵은 지경사(12)가 함께 위를 넘는 씨실(13f)의 아래를 파일 실(17)이 빠져나가고 있으며,
    (e) 그 씨실(13f)의 아래를 빠져나간 파일 실(17)이, 그 아래로 빠져나간 씨실(13f)에 걸어멈춰서 파일편(14)을 형성하고 있으며,
    (f)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 적어도 1개의 씨실의 위를 굵은 지경사(12)가 넘고 있으며,
    (g)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에 비해서 많고,
    (1) 단위 씨실 개수가, 차례차례 반복해서 짜 넣어지는 4개의 씨실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2) 굵은 지경사(12)가, 단위 씨실 4개중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단위 씨실 4개중 3개의 씨실의 위를 계속해서 넘고 있으며,
    (3) 가는 지경사(11)가,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과, 굵은 지경사(12)가 빠져나가는 1개의 씨실의 아래를 빠져나가고,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합계 2개의 씨실(13f·13f)의 위를 넘고 있으며,
    (4) 파일 실(17)이,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아래로 빠져나가는 동시에,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중간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에 걸어멈춰지고,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씨실(13f)의 개수가 2개인 퍼스트 파일(16)을 형성하고 있으며,
    (5)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위를 넘고 있는 가는 지경사(11)가,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합계 2개의 씨실(13f·13f)의 위만을 넘고 있으며, 그 파일 실(17)이 아래로 빠져나가고 있는 씨실(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씨실의 위를 넘고 있지 않고,
    (6) 파일편(14)을 걸어멈추고 있는 2개의 씨실(13f·13f)의 위를 넘고 있는 굵은 지경사(12)가,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2개의 씨실(13f·13f)과, 그 2개의 씨실(13f·13f)의 사이에서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의 합계 3개의 씨실의 위를 넘고 있으며,
    (7) 단위 씨실 4개중 굵은 지경사(12)가 계속해서 넘는 3개의 씨실 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의 각 씨실(13f·13f)의 전후에 짜 넣어져 있는 것은, 단위 씨실 4개중 맨처음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과 마지막에 짜 넣어지는 1개의 씨실(13f) 이외의 합계 2개의 씨실로서, 이 합계 2개의 씨실 중에서,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가 1이고,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가 0이며, 굵은 지경사(12)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n)와 가는 지경사(11)가 위를 넘고 있는 씨실의 개수(m)와의 차(n-m)가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는 지경사(11)의 직축율(α)이 굵은 지경사(12)의 직축율(β)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95250A 2011-08-31 2012-08-29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KR101377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0159 2011-08-31
JP2011190159A JP4925024B1 (ja) 2011-08-31 2011-08-31 液晶パネル基板用ラビング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846A KR20130024846A (ko) 2013-03-08
KR101377775B1 true KR101377775B1 (ko) 2014-03-25

Family

ID=4624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50A KR101377775B1 (ko) 2011-08-31 2012-08-29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25024B1 (ko)
KR (1) KR101377775B1 (ko)
CN (1) CN102965787B (ko)
TW (1) TWI4903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1108B2 (ja) * 2015-05-01 2019-12-18 妙中パイル織物株式会社 清掃ブラシ用パイル織物
CN106637579B (zh) * 2016-11-22 2018-10-26 浙江英诺威纺织有限公司 一种绒毛可沿纬向倾斜的丝绒及其织造方法
CN107090645B (zh) * 2017-05-02 2019-06-25 浙江英诺威纺织有限公司 一种多阴影提花丝绒面料及其织造方法
JP7243242B2 (ja) * 2019-02-05 2023-03-22 東レ株式会社 織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886A (ja) 2004-04-19 2005-11-04 Hayashi Telempu Co Ltd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JP2007303018A (ja) 2006-05-10 2007-11-22 Hitachi Ltd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JP2008257101A (ja) 2007-04-09 2008-10-23 Taenaka Pile Orimono Kk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JP2010281005A (ja) * 2009-06-04 2010-12-16 Taenaka Pile Orimono Kk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633A (en) * 1981-06-11 1983-09-13 Fieldcrest Mills, Inc. Woven pile fabric
JPH01156546A (ja) * 1987-12-15 1989-06-20 Yoshinobu Miyata パイル織物
JP2005308885A (ja) * 2004-04-19 2005-11-04 Hayashi Telempu Co Ltd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JP3952208B2 (ja) * 2005-03-04 2007-08-01 妙中パイル織物株式会社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JP2010002535A (ja) * 2008-06-19 2010-01-07 Fujifilm Corp ラビング用布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886A (ja) 2004-04-19 2005-11-04 Hayashi Telempu Co Ltd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JP2007303018A (ja) 2006-05-10 2007-11-22 Hitachi Ltd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JP2008257101A (ja) 2007-04-09 2008-10-23 Taenaka Pile Orimono Kk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JP2010281005A (ja) * 2009-06-04 2010-12-16 Taenaka Pile Orimono Kk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846A (ko) 2013-03-08
TWI490383B (zh) 2015-07-01
CN102965787B (zh) 2014-06-18
JP4925024B1 (ja) 2012-04-25
TW201309857A (zh) 2013-03-01
CN102965787A (zh) 2013-03-13
JP2013054073A (ja)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775B1 (ko) 액정 패널 기판용 러빙재
US7673656B2 (en) Woven terry fabric with non-moisture-transporting synthetic filament yarns
JP3952208B2 (ja)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EP3235946B1 (en) Fabric having uneven-surface desig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7119965A (ja) 工業用二層織物
KR20070006899A (ko)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EP3235947B1 (en) Fabric bearing desig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006152462A (ja) 工業用二層織物
SE463594B (sv) Rengoeringsduk
US8236403B2 (en) Multiple face fabric towel
US20140317865A1 (en) Low weight terry fabric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581059B2 (ja)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JP4840709B2 (ja) 液晶パネル基板ラビング材
JP5035693B2 (ja) 起毛経編布帛
JP4188153B2 (ja) 凹凸織物
JP2009144254A (ja) 織物および織物裏地
CN108024670B (zh) 具有受控重量分布的编织毛圈织物和由其制造的物品
KR200416584Y1 (ko) 양면 벨벳 직물지
JP5999690B2 (ja) ボディータオル、及び、ボディータオル織り方法
JP4588534B2 (ja) 凹凸表面を形成する工業用単層織物
JP6652900B2 (ja) 織物
WO2022175882A1 (en) Foldable carpe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10265567A (ja) 綾織物
JPH1150355A (ja) パイル糸が抜けにくいパイル織物
JP4588535B2 (ja) 凹凸表面を形成する工業用単層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