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328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328B1
KR101369328B1 KR1020130065353A KR20130065353A KR101369328B1 KR 101369328 B1 KR101369328 B1 KR 101369328B1 KR 1020130065353 A KR1020130065353 A KR 1020130065353A KR 20130065353 A KR20130065353 A KR 20130065353A KR 101369328 B1 KR101369328 B1 KR 10136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unnel
rotunda
fixed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유태근
양광호
Original Assignee
에이지이(주)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이(주),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에이지이(주)
Priority to KR102013006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328B1/ko
Priority to EP14807140.0A priority patent/EP3006345B1/en
Priority to PCT/KR2014/001720 priority patent/WO2014196723A1/ko
Priority to CN201480032591.9A priority patent/CN105283386B/zh
Priority to JP2016518253A priority patent/JP620927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328B1/ko
Priority to PH12015502697A priority patent/PH12015502697B1/en
Priority to US14/960,944 priority patent/US96307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64F1/305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with hinged head interface between aircraft and passenger brid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02Vertical lift bridges

Abstract

탑승교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는, 일단이 터미널 또는 확장 고정터널과 연결되는 고정터널; 및 일단이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과 연결되고, 로툰다 컬럼에 의해 지지되는 로툰다를 포함하되, 상기 로툰다 컬럼은,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HEIGHT ADJUSTABLE ROTUNDA TYPE BOARDING BRIDGE}
본원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탑승교는 공항터미널에 항공기와 터미널간 여객을 이송하기 위한 기계장치 형태의 다리로서, 통상은 터미널에서 로툰다까지는 고정터널로 설치하고, 로툰다에서 항공기까지는 이동식 탑승교 또는 고정식 탑승교를 설치한다. 이 때, 로툰다에서 항공기까지 이동식 탑승교를 설치하는 경우, 이동식 탑승교는 바퀴를 이용하여 항공기에 인접하도록 방향전환 및 이동을 할 수 있다.
국내법 및 IATA에서는 장애자 불편을 예방하고자 탑승교의 경사로의 기울기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로 제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 탑승교의 설계 시, 로툰다의 높이와 건물의 높이에 따른 항공기의 서비스 가능 기종을 미리 정한다. 따라서, 이에 해당되지 않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탑승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탑승교의 경사로의 기울기의 제한은 장애자를 보호하지만, 탑승교가 미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탑승교 서비스 가능 기종에 해당되지 않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리모트로 여객을 이송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로 인해 항공기의 처리시간이 연장되고, 여객이 별도의 셔틀버스와 같은 이송 수단을 탑승하기 위해 외부로 나가야 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탑승교의 경사로의 기울기에 대한 기준을 준수하면서, 다양한 기종의 항공기 접현이 가능하고, 가장 완만한 경사로의 기울기를 유지함으로써 여객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탑승교는, 일단이 터미널 또는 확장 고정터널과 연결되는 고정터널; 및 일단이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과 연결되고, 로툰다 컬럼에 의해 지지되는 로툰다를 포함하되, 상기 로툰다 컬럼은,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탑승교에 포함된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은, 항공기의 도착 게이트 정보, 각 게이트 별 주기되는 항공기 편명 정보 및 상기 기종 정보를 포함한 항공기 운항정보의 데이터가 저장 및 업데이트되는 운항관리서버; 및 상기 운항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항공기 운항정보를 받아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로툰다 컬럼을 통해 로툰다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다양한 기종의 항공기 접현이 가능하고, 탑승교의 전체 경사도가 가장 완만한 각을 유지할 수 있어 여객의 이동이 편리하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로툰다 컬럼에 의해 로툰다가 상승되는 경우, 힌지유닛에 의해 고정터널과 이동식 터널이 회전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고정터널과 터미널 사이에 확장 고정터널이 연결된 경우의 탑승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의 기울기 조절 시 사용되는 힌지가 고정 힌지인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힌지부 또는 제2 힌지부가 슬라이딩 힌지인 경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제1 힌지 또는 제2 힌지가 슬라이딩 힌지인 경우, 로툰다의 상승에 따른 슬라이딩 힌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이동식 터널의 하부에 케이블 체인이 구비된 경우의 탑승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복수개의 고정터널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의 탑승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복수개의 로툰다와 복수개의 이동식 터널이 각각 하나의 고정터널에 연결된 경우의 탑승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을 통해 탑승교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로툰다의 높이 조절을 위한 항공기 기종 선택버튼의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이하 '본 탑승교'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탑승교는 고정터널(11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터널(110)의 일단은 터미널(150)과 연결된다.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터널(110)의 일단은 확장 고정터널(190)과 연결된다. 확장 고정터널(190)은 터미널(150)과 항공기의 거리가 너무 멀어 하나의 고정터널(110)과 이동식 터널(130) 및 확장 터널(170)만으로 부족한 경우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고정터널(110)은 기울기와 위치가 조절되지 않고, 로툰다(120)까지 일직선으로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기울기와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탑승교만을 조절함으로써 서비스 가능한 항공기에 대해 로툰다(120)에서 탑승구까지 연결되도록 한다.
반면, 본 탑승교에 포함된 고정터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툰다(1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터널(110)은 로툰다(120)와 연결되는 제1 고정터널(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터널(110)은 제1 고정터널(110a)과 병렬 배치되도록 로툰다(10)와 연결되는 제2 고정터널(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로툰다(120)에 2개의 고정터널(110a, 110b)가 연결될 수 있는데, 고정터널(110a, 110b)의 타단은 각각 터미널(150)의 서로 다른 층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로툰다(120)는 두 개의 고정터널(110a, 110b)의 일단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고정터널(110)과 연결될 때에 비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객이 터미널(150)에서 나가는 출구는 3층, 터미널(150)로 들어오는 입구는 2층인 경우, 제1 고정터널(110a)은 터미널(150)의 2층에, 제2 고정터널(110b)은 터미널(150)의 3층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터널(110a, 110b)을 통해 여객의 동선을 구획함으로써, 터미널(150)로 들어오는 여객과 터미널(150)에서 나가는 여객이 서로 섞여 터널이 혼잡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탑승교는 로툰다(1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툰다(120)의 일단은 고정터널(110)의 타단과 연결된다.
본 탑승교는 이동식 터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터널(130)은 로툰다(120)와 항공기를 연결할 수 있다.
이동식 터널(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바퀴가 달려있어, 항공기와 로툰다(120)가 연결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터널(130)은 로툰다(12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로툰다(120a, 120b)와 이동식 터널(130a, 130b)은 각각 복수개일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터널(130a, 130b)은 로툰다(120a, 120b)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급 항공기와 같은 대형 항공기(예를 들어, B-747 항공기 등)는 여객이 신속하게 내릴 수 있도록 탑승구가 복수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구가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이동식 탑승교(이동식 터널(130) 및 확장 터널(170)) 및 복수개의 로툰다(120)가 탑승구에 각각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구가 2개인 경우, 탑승구 각각과 연결되는 2개의 탑승교의 형태를 더블 브릿지(double bridge)라고 한다.
이와 같이, 로툰다(120a, 120b)와 이동식 터널(130a, 130b)가 복수개인 경우, 로툰다(120a, 120b)가 모두 승하강될 수 있도록, 로툰다(120a, 120b)에는, 예를 들어, 유압장치(125)가 설치될 수 있다.
로툰다(120a, 120b)의 승하강 시, 고정터널(110)에는 이들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제1 힌지부(111)와 제2 힌지부(113)가 구비될 수 있고, 이동식 터널(130a, 130b)에는 각각 제3 힌지부(123a, 123b)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 힌지부(1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힌지일 수 있고, 제2 힌지부(113) 및 제3 힌지부(123a, 123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힌지일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11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터널(110)의 헤드부(110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에는 상기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유닛(13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구동유닛(1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승하강유닛의 유압장치(125)와 별도로 유압장치(13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트 컬럼(132)에 구비된 유압 파워유닛에서 발생되는 유압으로 외측컬럼(134)이 내측컬럼(136)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외측컬럼(134)과 연결된 이동식 터널(130)이 상하로 오르내릴 수 있다. 이를 통해, 항공기의 문턱에 알맞게 이동식 터널(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터널(13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를 통해 이동식 터널(130)이 전후, 좌우, 전진 구동 등과 같이 운전될 수 있어, 이동식 터널(130)이 항공기의 탑승구에 정확하게 접현될 수 있다.
또는, 구동유닛(13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하강유닛의 유압장치(125)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터널(130)의 타단에는 확장 터널(17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확장 터널(17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이동식 터널(130)의 일부가 확장 터널 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탑승교 전체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에 확장 터널(170)이 구비되는 경우, 구동유닛(131)은 확장 터널(17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확장 터널(170)과 이동식 터널(130)은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이동식 터널(130)은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라 함은 완전히 수평인 방향뿐만 아니라, 허용범위 내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수평 방향을 포함한다.
즉, 이동식 터널(130)은 대략적인 수평 방향을 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이동식 터널(130)은 국내법 등의 기준에 따라 수평 방향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까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툰다(120)는 로툰다 컬럼(121)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로툰다 컬럼(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로툰다 컬럼(121)이 로툰다(120)를 고정 지지하므로, 로툰다(120)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국내법 및 IATA에서는 탑승교의 경사로의 기울기를 상하 방향 각각 4.7도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에 맞추어 탑승교를 설계하면, 로툰다의 높이도 고정되어 있고, 이동식 터널의 기울기도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조절 가능하므로, 탑승교를 통해 서비스 가능한 기종이 정해질 수 밖에 없다. 즉, 종래에는 탑승교의 설계 시, 로툰다의 높이와 건물의 높이에 따른 항공기의 서비스 가능 기종을 미리 정해놓고, 이에 해당되지 않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탑승교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다.
이러한 탑승교의 경사로의 기울기 각도의 제한은 장애자를 보호하지만, 종래에는 탑승교가 미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탑승교 서비스 가능 기종에 해당되지 않는 항공기에 대해서는 리모트로 여객을 이송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을 가져온다. 이로 인해, 항공기의 처리시간이 연장되고, 여객이 별도의 셔틀버스와 같은 이송 수단을 탑승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식 터널을 제한 각도인 4.7도까지 기울이는 경우, 탑승교가 완만하게 기울어진 경우일 때보다 장애인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터널을 제한 각도인 4.7도까지 기울여 시공하는 경우, 고정터널의 기울기가 그대로 고정되므로, 서비스 가능한 항공기의 기종을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탑승교는 로툰다(1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탑승교를 통해 서비스 가능한 기종을 다양하게 하여, 종래의 탑승교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탑승교는, 이동식 터널(130)의 기울기가 전술한 규정에 따라 범위(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가 정해지지만, 탑승구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 항공기와 탑승교를 접현하고자 하는 경우, 로툰다(120)를 상승시키고, 이에 대응되도록 이와 연결된 고정터널(11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항공기의 탑승구와 연결되도록 이동식 터널(13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탑승교와 항공기를 접현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탑승구가 낮은 곳에 위치하는 항공기와 탑승교를 접현하고자 하는 경우, 로툰다(120)를 하강시키고, 이에 대응되도록 이와 연결된 고정터널(11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항공기의 탑승구와 연결되도록 이동식 터널(13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탑승교와 항공기를 접현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본 탑승교는 로툰다(120)를 적절히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서비스 가능한 항공기의 기종이 제한되지 않고, 전기종의 항공기와 접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여객이 터미널(150)과 연결된 탑승교를 통해 항공기의 탑승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항공기를 탑승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탑승교는 종래에 비해 탑승교의 기울기가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설정될 수 있어, 여객의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탑승구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 항공기와 탑승교를 접현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로툰다의 높이가 정해져 있으므로, 이동식 터널을 최대로 기울여 이동식 터널의 타단의 높이를 최대한 높임으로써(예를 들어, 이동식 터널의 기울기를 4.7로 기울임) 탑승교를 항공기와 접현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 탑승교가 가능한 최대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여객의 이동이 불편할 수 있다.
반면, 본 탑승교는, 동일한 항공기에 대하여, 로툰다(120)를 상승시킴으로써 고정터널(110)도 기울어질 수 있어(예를 들어, 고정터널의 기울기를 약 2도 내지 약 3도로 기울임), 이동식 터널(130)을 약간만 기울임으로써(예를 들어, 이동식 터널의 기울기를 약 1도 내지 약 2도로 기울임) 항공기와 접현될 수 있다. 즉, 본 탑승교는, 종래에 이동식 터널(130)을 최대로 기울여야만 접현 가능했던 항공기에 대하여, 로툰다(120)를 상승시킴으로써 이동식 터널(130)을 최대로 기울이지 않더라도 접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탑승교의 전체적인 기울기가 완만하게 설정되므로, 여객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로툰다(120)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고정터널(110)의 기울기의 조절도 가능하므로, 이동식 터널(130)이 제한 각도까지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터널(110)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장애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로툰다 컬럼(121)의 구동은 운전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진입하는 항공기의 높이를 운전반에서 선택하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로툰다 컬럼(121)은 자동으로 로툰다(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운전반은 탑승교가 접현되는 항공기의 도착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접현되는 항공기의 높이에 따라 로툰다 컬럼(12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반으로 로툰다(120)의 높이를 자동으로 미리 조절한 후 대기하였다가, 항공기가 정지되면 운전자가 이동식 터널을 이동시켜 항공기 도어에 접현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항공기와 탑승교를 접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 전이라 함은, 이동식 터널이 로툰다(120)에 연결되기 전을 의미할 수 있다.
로툰다 컬럼(121)은 승하강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로툰다(120)는 승하강유닛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유닛은 유압장치(125)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압장치(125) 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파워유닛(1253), 및 유압 파워유닛(1253)으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호스(12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중공이 형성된 지지기둥이 구비되고, 이 중공에 유압장치를 삽입하며, 유압장치 상에 기둥을 삽입함으로써, 기둥이 유압장치에 의해 지지기둥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로툰다(120)가 승하강될 수 있다.
이 때, 도 8을 참조하면, 유압호스(1251)는 구동유닛(131)에 연결되어, 승하강유닛의 유압 파워유닛(1253)을 통해 구동유닛(13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 터널(1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리프트 컬럼(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승하강유닛의 유압장치(125)가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유닛(131)과 연결하여 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식 터널(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유압 파워유닛(1253)과 연결된 유압호스(1251)를, 이동식 터널(130)의 하부에 구비된 케이블 체인(137)에 포설하여 리프트 컬럼(132)까지 연장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 구동시키는 유압장치(125)가 리프트 컬럼(13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구동장치만을 구비함으로써 로툰다(120)와 이동식 터널(130)의 승하강을 모두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효율적인 탑승교 승하강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유압호스(1251)는 로툰다(120)의 승하강에 대응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유압호스(1251)는 로툰다(12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압장치(125)와 플렉서블하게 연결되는 제1 플렉서블부(125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압호스(1251)는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동유닛(131)과 플렉서블하게 연결되는 제2 플렉서블부(12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렉서블부(1251a)는 이동식 터널(13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 플렉서블부(1251b)는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도 8을 참조하면, 로툰다(120)의 승하강 시, 이동식 터널(130)의 일단에 비해 타단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이 더 많으므로, 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제2 플렉서블부(1251b)의 길이가 제1 플렉서블부(1251a)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제1 플렉서블부(125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는 S자와 같이 가로로 2회 구부러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플렉서블부(1251a)를 통해 이동식 터널(130)의 일측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로툰다(120)의 승강량)이 충분히 커버될 수 있는 정도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거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플렉서블부(1251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는 S자가 90도 회전된 모양과 같이 세로로 2회 구부러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플렉서블부(1251b)를 통해 이동식 터널(130)의 타측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로툰다(120)의 승강량)이 충분히 커버될 수 있는 정도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거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압호스(1251)는, 이동식 터널(130)에서 길이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 터널(17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케이블 체인(137)에 플렉서블하게 연동되는 제3 플렉서블부(125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탑승교의 전체 길이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확장 터널(170)이 이동하는 경우, 제3 플렉서블부(1251c)의 구부러진 부분이 펴져 유압호스(1251)의 길이가 이동식 터널(13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남으로써, 유압호스(1251)와 구동유닛(131)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탑승교의 전체 길이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확장 터널(170)이 이동하는 경우, 제3 플렉서블부(1251c)는 다시 구부러져 유압호스(1251)의 길이가 이동식 터널(130)의 길이 방향으로 줄어들도록 케이블 체인(137)에 구비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승하강유닛은 스크류잭(미도시)일 수 있다. 다만, 승하강유닛의 종류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동 리프트 등과 같이 로툰다(1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고정터널(110)은 일단이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터미널(150) 또는 확장 고정터널(190)과 힌지 체결되고, 타단이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로툰다(120)와 힌지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터널(110)은 로툰다(1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응하여, 로툰다(1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전히 수평인 방향뿐만 아니라, 허용범위 내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수평 방향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고정터널(110)이 로툰다(120)까지 고정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울기가 조절될 수 없었다.
반면, 본 탑승교는 로툰다(12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고정터널(110)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툰다(120)가 상승하는 경우, 고정터널(110)의 타단이 로툰다(120)와 함께 상승됨으로써 고정터널(110)이 로툰다(120)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로툰다(120)가 하강하는 경우, 고정터널(110)의 타단이 로툰다(120)와 함께 하강됨으로써 고정터널(110)이 로툰다(120)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터널(110)과 터미널 사이에 확장 고정터널(190)이 더 구비되는 경우, 터미널(150)과 연결되는 확장 고정터널(190)은 기울어지지 않고, 로툰다(120)와 인접한 고정터널(110)만이 기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터널(110)이 로툰다(12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어, 종래에는 이동식 터널(130)만을 4.7도 기울임으로써 접현 가능했던 항공기에 대해, 본 탑승교는, 예를 들어, 로툰다(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터널(110)을 2.4도로 기울인 후, 이동식 터널(130)을 2.3도로 기울임으로써 접현 가능하다. 즉, 본 탑승교는 종래에 비해 전체적인 기울기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 있어 여객의 이동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터널(110)의 기울기 조절을 통해, 이동식 터널(130)이 제한 각도까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장애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고정터널(110)은 로툰다(1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 까지 회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터널(110)이 로툰다(120)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각인 a는 최대 4.7도일 수 있다. 또는, 고정터널(110)이 로툰다(120)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각인 b는 최대 4.7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내법 등에 정해져 있는 규정을 준수하면서, 이동식 터널(130)뿐만 아니라 고정터널(11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항공기 서비스 범위를 넓힐 수 있고, 탑승교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식 터널(130)의 기울기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씩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고정터널(110)의 기울기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씩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교 전체의 기울기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9.4도씩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다양한 항공기에 대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식 터널(130)을 4.7도로 기울여야 접현 가능하였던 항공기에 대해, 본 탑승교는, 예를 들어, 고정터널(110)을 2.4도로 조절함으로써, 이동식 터널(130)을 2.3도까지만 기울여도 접현할 수 있으므로, 탑승교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고정터널(110)에는, 로툰다(120)에 대한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유닛은 고정터널(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힌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유닛은 고정터널(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힌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툰다(120)가 상승하는 경우, 고정터널(110)의 타단이 이와 함께 상승됨에 따라 고정터널(110)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1 힌지부(111)와 제2 힌지부(113)가 구동될 수 있다.
제1 힌지부(111)는 고정터널(110)의 일단 및 터미널(150) 중 어느 하나, 또는 고정터널(110)의 일단 및 확장 고정터널(19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 힌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부(111)는 고정터널(110)의 일단 및 터미널(150) 중 다른 하나, 또는 고정터널(110)의 일단 및 확장 고정터널(190)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1 힌지 고정부재(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힌지(1111) 또는 제1 힌지 고정부재(1113)는 고정터널(110)의 일단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가 구동되는 경우, 고정터널(110)의 하부와 터미널(150)의 하부 사이 또는 고정터널(110)의 하부와 확장 고정터널(190)의 하부 사이는 벌어지지 않고, 고정터널(110)의 상부와 터미널(150)의 상부 사이, 또는 고정터널(110)의 상부와 확장 고정터널(190)의 상부 사이가 벌어지거나 맞닿음으로써, 여객의 이동 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1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터널(110)의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1111)의 타단은 고정터널(110)의 일단의 하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1111)의 일단은 제1 힌지 고정부재(11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힌지(1111)는 제1 힌지 고정부재(1113)와 체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고정 터널(110)의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 고정부재(1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50)의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고정터널(19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힌지 고정부재(1113)의 위치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터미널 지지대(151) 또는 확장 고정터널 지지대(191)(도 3을 참조)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힌지부(113)는 고정터널(110)의 타단 및 로툰다(120)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2 힌지(1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부(113)는 고정터널(110)의 타단 및 로툰다(120)의 일단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2 힌지 고정부재(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힌지(1131) 또는 제2 힌지 고정부재(1133)는 고정터널(110)의 타단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가 구동되는 경우, 고정터널(110)의 하부와 로툰다(120)의 하부 사이는 벌어지지 않고, 고정터널(110)의 상부와 로툰다(120)의 상부 사이가 벌어지거나 맞닿음으로써, 여객의 이동 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힌지(11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터널(110)의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1131)의 일단은 고정터널(110)의 타단의 하면에 체결될 수있다. 또한, 제2 힌지(1131)의 타단은 제2 힌지 고정부재(113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힌지(1131)는 제2 힌지 고정부재(1133)와 체결된 타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고정 터널(110)의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 고정부재(113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툰다(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 힌지 고정부재(1133)의 위치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로툰다 컬럼(121)과 같이 다양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힌지(1111) 및 제2 힌지(1131)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 힌지일 수 있다. 이 때, 제1 힌지 고정부재(1113)는 제1 힌지(1111)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힌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 고정부재(1133)는 제2 힌지(1131)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제2 힌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 가이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 가이드홈(1113a)이 형성된 제1 힌지레일(1113b)일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 가이드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 가이드홈(1133a)이 형성된 제2 힌지레일(1133b)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힌지 가이드부와 제2 힌지 가이드부가 각각 제1 힌지레일(1113b), 제2 힌지레일(1133b)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힌지레일(1113b)과 제2 힌지레일(1133b)은 각각 터미널(150)의 하부와 로툰다(120)의 하부에 용접을 통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레일(1113b)과 제2 힌지레일(1133b)의 하부에는 각각 터미널(150)의 하부와 로툰다(120)의 하부에 용접된 제1 스테이(1113c)와 제2 스테이(1133c)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힌지(1111)와 제2 힌지(1113)가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정해진 구간에서만 수평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홈(1113a)과 제2 가이드홈(1133a)의 둘레는 벽면에 의해 막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가이드홈(1113a)과 제2 가이드홈(1133a)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고정터널(110)의 길이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힌지(1111)는 제1 가이드홈(1113a)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1 힌지바퀴(1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힌지바퀴(1111a)는 제1 연결축(1111b)에 의해 제1 연결쇠(1111c)와 연결되고, 제1 연결쇠(1111c)가 고정터널(110)의 하부에 용접됨으로써, 고정터널(11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축(1111b)은 제1 힌지바퀴(1111a)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힘을 제1 연결쇠(1111c)에 전달하여, 로툰다(120)의 승하강 시 고정터널(110)이 수평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를 참조하면, 제2 힌지(1113)는 제2 가이드홈(1133a)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제2 힌지바퀴(1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힌지바퀴(1131a)는 제2 연결축(11131b)에 의해 제2 연결쇠(1131c)와 연결되고, 제2 연결쇠(1131c)가 고정터널(110)의 하부에 용접됨으로써, 고정터널(11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축(1131b)은 제2 힌지바퀴(1131a)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힘을 제2 연결쇠(1131c)에 전달하여, 로툰다(120)의 승하강 시 고정터널(110)이 수평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힌지(1111) 및 제2 힌지(1131)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힌지인 경우, 이의 슬라이딩 이동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1 힌지(111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힌지이고, 제2 힌지(113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힌지인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Y는 로툰다(120)의 승하강으로 인해 고정터널(110)이 기울어짐에 따른 제1 힌지(1111)의 슬라이딩 이동을 나타낸 것이고, X는 로툰다(120)의 승하강으로 인해 고정터널(110)이 기울어짐에 따른 제2 힌지(1131)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로툰다(120)는 연직 방향으로 상승하므로, A에서 B’으로 이동한다. 한편, 로툰다(120)의 상승 시, 제1 힌지(1111)가 제2 힌지(1131)와 마찬가지로 고정 힌지인 경우라면, 제2 힌지(1131)는 A에서 B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힌지(1111)와 제2 힌지(1131)가 모두 고정 힌지인 경우, 로툰다(120)의 상승 시 로툰다(120)에 당기는 힘이 작용되거나, 로툰다(120)가 원활하게 상승할 수 없다. 이에, 제1 힌지(1111)를 a 위치에서 b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2 힌지(1131)를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즉, A에서 B’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툰다(120)를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인 경우를 살펴보면, 도 7을 참조하면, 로툰다(120)는 연직 방향으로 하강하므로, A에서 C’으로 이동한다. 한편, 로툰다(120)의 하강 시, 제1 힌지(1111)가 제2 힌지(1131)와 마찬가지로 고정 힌지인 경우라면, 제2 힌지(1131)는 A에서 C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힌지(1111)와 제2 힌지(1131)가 모두 고정 힌지인 경우, 로툰다(120)의 상승 시 로툰다(120)에 당기는 힘이 작용되거나, 로툰다(120)가 원활하게 상승할 수 없다. 이에, 제1 힌지(1111)를 a 위치에서 b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2 힌지(1131)를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즉, A에서 C’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툰다(120)를 원활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각도 등을 과장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각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7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터널(110)의 기울기가 4.7 도가 될 때까지 로툰다(120)가 최대로 상승한 경우, 고정터널(110)의 길이가 20 M인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1 힌지(1111)는 a에서 b로 약 67.3 mm만큼 슬라이딩 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고정터널(110)의 기울기가 4.7 도가 될 때까지 로툰다(120)가 최대로 하강한 경우, 고정터널(110)의 길이가 20 M인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1 힌지(1111)는 a에서 b로 약 67.3 mm만큼 슬라이딩 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1 힌지 가이드홈(1112)의 수평 방향 길이는 약 10 cm일 수 있다.
제1 힌지(1111) 및 제2 힌지(1113)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 힌지인 경우, 다른 하나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힌지일 수 있다.
이동식 터널(130)에는 로툰다(120)에 대한 상하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단에 제3 힌지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힌지부(123)는 이동식 터널(130)의 일단 및 로툰다(120)의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 힌지(1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힌지부(123)는 이동식 터널(130)의 일단 및 로툰다(120)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3 힌지 고정부재(1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3 힌지(1231) 또는 제3 힌지 고정부재(1233)는 이동식 터널(130)의 일단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힌지(12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터널(130)의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가 구동되는 경우, 로툰다(120)의 하부와 이동식 터널(130)의 하부 사이는 벌어지지 않고, 로툰다(120)의 상부와 이동식 터널(130)의 상부 사이가 벌어지거나 맞닿음으로써, 여객의 이동 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힌지(1231)의 타단은 이동식 터널(130)의 일단의 하면에 체결될 수있다. 또한, 제3 힌지(1231)의 일단은 제3 힌지 고정부재(123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힌지(1231)는 제3 힌지 고정부재(1233)와 체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동식 터널(130)의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힌지 고정부재(123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툰다(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3 힌지 고정부재(1233)의 위치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로툰다 컬럼(121)과 같이 다양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이하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은 본 탑승교에 포함된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 때,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탑승교 또는 복수의 탑승교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은 운항관리서버(10)를 포함한다.
운항관리서버(10)에는 항공기의 도착 게이트 정보, 각 게이트별 주기되는 항공기 편명 정보 및 기종 정보를 포함하는 항공기 운항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항공기 운항정보는 공항종합통신망(미도시)으로 전달되어 공유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케쥴 관리자(100)는 항공기 운항정보의 실시간 변경되는 정확한 정보를 운항관리서버(10)에 입력하여 운항관리서버(10)의 항공기 운항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운항관리서버(10)는 후술하는 제어부(30)로 항공기 운항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은 입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는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입력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0)는 운전자에 의해 직접 기종의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입력정보를 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전자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종 선택버튼을 눌러 직접 기종의 정보를 입력부(40)에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40)는 운전자에 의해 로툰다(120)의 상승 또는 하강 정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입력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가 임의로 로툰다(120)의 상승 또는 하강 정도를 설정함으로써, 로툰다(120)의 승하강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입력부(40)는 입력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운항관리서버(10)로부터 항공기 운항정보를 받거나, 입력부(40)로부터 입력정보를 받아,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 때, 탑승교 관리자(300)는 탑승교의 운전을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로툰다(120)의 높이 조절을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항공기 운항정보 또는 입력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로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운항관리서버(10)로부터 항공기 편명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항공기가 주기하는 해당 게이트(또는 주기장)에, 해당 기종에 대해 미리 설정된 높이로 로툰다(1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에는 주기장마다 이에 배치된 건물(예를 들어, 터미널)과 항공기 주기 위치의 레벨값(예를 들어, 건물과 항공기 주기 위치의 높이 및 수평 거리의 차이), 로툰다(120)의 미리 설정된 높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약 20분 후에 도착하여 특정 게이트에 진입하는 항공기의 기종이 B-747인 경우, 탑승교 운전반에 설치된 운전모니터(평상시에는 탑승교의 길이, 높이, 터널의 경사각도, 터널의 내부 온도 등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있음)에 해당 기종의 데이터가 표시되며, 해당 항공기의 주기장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운전자가 기종 선택버튼(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을 눌러 입력부(40)에 입력되는 기종의 정보를 받아, 해당 기종에 대해 미리 설정된 높이로 로툰다(12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항공기를 도어 문턱 높이에 따라 분류하여 복수개의 그룹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그룹마다 미리 설정된 높이를 설정하며, 항공기가 속한 그룹의 미리 설정된 높이로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운항관리서버(10) 또는 입력부(40)로부터 항공기의 종류에 관한 입력정보를 전달받아, 항공기가 어떠한 그룹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그룹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로툰다(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로툰다(12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는 제어부(30)를 통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에는 로툰다(12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운전모니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툰다(120)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는 탑승교 관리자(300)에 의해 수동으로 감시될 수도 있고, 제어부(30)에 의해 자동으로 감시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로툰다 컬럼이 로툰다(120)를 고정 지지하므로, 로툰다(120)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국내법 및 IATA에서는 탑승교의 경사로의 기울기를 상하 방향 각각 4.7도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에 맞추어 탑승교를 설계하면, 로툰다의 높이도 고정되어 있고, 이동식 터널의 기울기도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조절 가능하므로, 탑승교를 통해 서비스 가능한 항공기의 기종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탑승교는 로툰다 컬럼(121)이 로툰다(120)를 승하강시킬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고정터널(1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가능한 항공기의 기종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탑승교의 전체적인 기울기를 종래에 비해 완만하게 할 수 있어, 여객과 장애인의 이동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0: 로툰다 130: 이동식 터널
110: 고정터널 121: 로툰다 컬럼
111: 제1 힌지부 113: 제2 힌지부
150: 터미널 123: 제3 힌지부
1111: 제1 힌지 1113: 제1 힌지 고정부재
1131: 제2 힌지 1133: 제2 힌지 고정부재
1231: 제3 힌지 1233: 제3 힌지 고정부재
170: 확장 터널 131: 구동유닛
1253, 1353: 유압 파워유닛 1251: 유압호스
125: 승하강유닛의 유압장치 135: 구동유닛의 유압장치
190: 확장 고정터널 191: 확장 고정터널 지지대
151: 터미널 지지대 10: 운항관리서버
30: 제어부 40: 입력부
100: 스케쥴 관리자 300: 탑승교 관리자
1251a: 제1 플렉서블부 1251b: 제2 플렉서블부
1251c: 제3 플렉서블부 110a: 제1 고정터널
110b: 제2 고정터널 120a: 제1 로툰다
120b: 제2 로툰다 130a: 제1 이동식 터널
130b: 제2 이동식 터널 170a: 제1 확장 터널
170b: 제2 확장 터널 137: 케이블 체인

Claims (29)

  1. 탑승교에 있어서,
    일단이 터미널 또는 확장 고정터널과 연결되는 고정터널; 및
    일단이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과 연결되고, 로툰다 컬럼에 의해 지지되는 로툰다를 포함하되,
    상기 로툰다 컬럼은,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인 탑승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다 컬럼은 승하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로툰다는 상기 승하강유닛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인 탑승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유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유압장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파워유닛, 및 상기 유압 파워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호스를 포함하는 것인 탑승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것인 탑승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터널은,
    일단이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 또는 상기 확장 고정터널과 힌지 체결되고,
    타단이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로툰다와 힌지 체결되는 것인 탑승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유닛은 상기 고정터널을 상기 로툰다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각각 4.7도까지 회전 구동시키는 것인 탑승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터널의 일단 및 상기 터미널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고정터널의 일단 및 상기 확장 고정터널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터널의 일단 및 상기 터미널 중 다른 하나, 또는 상기 고정터널의 일단 및 상기 확장 고정터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힌지가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힌지와 체결되는 제1 힌지 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 및 상기 로툰다의 일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 및 상기 로툰다의 일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힌지가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 힌지와 체결되는 제2 힌지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인 탑승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또는 상기 제1 힌지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터널의 일단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힌지 또는 상기 제2 힌지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인 탑승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또는 상기 제2 힌지는 슬라이딩 힌지이고,
    상기 제1 힌지가 슬라이딩 힌지인 경우, 상기 제1 힌지 고정부재는 상기 제1 힌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힌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가 슬라이딩 힌지인 경우, 상기 제2 힌지 고정부재는 상기 제2 힌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힌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인 탑승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다 컬럼의 구동은 운전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인 탑승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반은,
    상기 탑승교가 접현되는 항공기의 도착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전에, 상기 항공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로툰다 컬럼을 구동시키는 것인 탑승교.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다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이동식 터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터널은 상기 로툰다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터널의 타측은 상승 또는 하강되는 것인 탑승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터널의 일단은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로툰다와 힌지 체결되는 것인 탑승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터널의 일단 및 상기 로툰다의 타단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힌지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식 터널의 일단 및 상기 로툰다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힌지가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힌지와 체결되는 제3 힌지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인 탑승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 또는 상기 제3 힌지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식 터널의 일단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인 탑승교.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터널의 타측에는 상기 이동식 터널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유닛이 구비되는 것인 탑승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인 탑승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유압장치의 유압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호스로부터 상기 이동식 터널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인 탑승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호스는,
    상기 로툰다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파워유닛과 플렉서블하게 연결되는 제1 플렉서블부; 및
    상기 이동식 터널의 타측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유닛과 플렉서블하게 연결되는 제2 플렉서블부를 포함하는 것인 탑승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터널의 하부에는 케이블 체인이 구비되는 것인 탑승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호스는,
    상기 이동식 터널에서 길이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 터널의 슬라이딩 이동 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 체인에 플렉서블하게 연동되는 제3 플렉서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탑승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렉서블부는 상기 이동식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플렉서블부는 상기 이동식 터널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2 플렉서블부는 상기 제1 플렉서블부보다 큰 상하 방향 이동량에 대해 플렉서블하게 유지되는 것인 탑승교.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터널은,
    상기 로툰다와 연결되는 제1 고정터널, 및 상기 제1 고정터널과 병렬 배치되도록 상기 로툰다와 연결되는 제2 고정터널을 포함하는 것인 탑승교.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다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이동식 터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로툰다 및 상기 이동식 터널은 각각 복수개이고,
    상기 고정터널의 타단에는 상기 복수개의 로툰다가 연결되는 헤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식 터널은 상기 로툰다와 일대일 연결되는 것인 탑승교.
  25. 제 1 항에 따른 탑승교에 포함된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항공기의 도착 게이트 정보, 각 게이트 별 주기되는 항공기 편명 및 기종 정보를 포함한 항공기 운항정보의 데이터가 저장 및 업데이트되는 운항관리서버; 및
    상기 운항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항공기 운항정보를 받아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운항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로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를 도어 문턱 높이(sill height)에 따라 분류하여 복수개의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그룹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를 설정하며, 상기 항공기가 속한 그룹의 미리 설정된 높이로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입력정보를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입력정보를 받은 경우, 상기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로툰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다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것인 탑승교 높이 제어 시스템.
KR1020130065353A 2013-06-07 2013-06-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KR10136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353A KR101369328B1 (ko) 2013-06-07 2013-06-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EP14807140.0A EP3006345B1 (en) 2013-06-07 2014-03-03 Height-adjustable rotunda-type boarding bridge
PCT/KR2014/001720 WO2014196723A1 (ko) 2013-06-07 2014-03-03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CN201480032591.9A CN105283386B (zh) 2013-06-07 2014-03-03 高度可调圆形建筑式登机桥
JP2016518253A JP6209275B2 (ja) 2013-06-07 2014-03-03 高さ調節が可能なロタンダ型搭乗橋
PH12015502697A PH12015502697B1 (en) 2013-06-07 2015-12-03 Height-adjustable rotunda-type boarding bridge
US14/960,944 US9630728B2 (en) 2013-06-07 2015-12-07 Height-adjustable rotunda-type boarding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353A KR101369328B1 (ko) 2013-06-07 2013-06-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328B1 true KR101369328B1 (ko) 2014-03-06

Family

ID=5064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353A KR101369328B1 (ko) 2013-06-07 2013-06-07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30728B2 (ko)
EP (1) EP3006345B1 (ko)
JP (1) JP6209275B2 (ko)
KR (1) KR101369328B1 (ko)
CN (1) CN105283386B (ko)
PH (1) PH12015502697B1 (ko)
WO (1) WO201419672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35B1 (ko) * 2014-04-10 2015-09-01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KR101776036B1 (ko) * 2016-12-13 2017-09-07 한국공항공사 탑승교의 로툰다 높이 조절장치
CN108177794A (zh) * 2016-12-08 2018-06-19 张跃 一种登机桥
KR20230089950A (ko) 2021-12-14 2023-06-21 남현준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350764A1 (sv) * 2013-06-25 2014-11-18 Fmt Int Trade Ab Anordning vid sluttande golv i passagerarbryggor.
SE1351035A1 (sv) * 2013-09-09 2015-03-10 Fmt Int Trade Ab Passagerarbrygga för anslutning till en dörr i en fartygssida
CN106864767B (zh) * 2015-12-10 2019-08-06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接机口及设有该接机口的登机桥
CN108569415A (zh) * 2017-06-14 2018-09-25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测高装置及具有该装置的登机桥
CN110435914A (zh) * 2019-07-22 2019-11-12 广东民航机场建设有限公司 登机桥固定端、登机桥、登机系统及登机系统的控制方法
CN110435915A (zh) * 2019-07-22 2019-11-12 广东民航机场建设有限公司 登机桥固定端、登机桥及登机桥固定端的控制方法
CN110435913A (zh) * 2019-07-22 2019-11-12 广东民航机场建设有限公司 登机桥、登机桥固定端及登机桥固定端的控制方法
SE543962C2 (en) * 2020-02-25 2021-10-12 Fmt Int Trade Ab Passenger bridge
CN112296648B (zh) * 2020-10-19 2021-06-29 深圳耀天齐实业有限公司 一种全方位调节的登机桥固定桥头安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4255A1 (en) 2002-02-01 2003-08-07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Passenger loading bridge for servicing plural doorways of an aircraft
JP2006096298A (ja) * 2004-09-30 2006-04-13 Shin Meiwa Ind Co Ltd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2012153337A (ja) 2011-01-28 2012-08-16 Kawasaki Heavy Ind Ltd 搭乗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1293A (en) * 1947-08-25 1952-01-01 Robert C Read Aircraft loading ramp
US2875457A (en) * 1956-07-12 1959-03-03 James V Taylor Aircraft loading and unloading ramp
US3808626A (en) * 1970-09-08 1974-05-07 J Magill Self-contained mobile passenger bridge for aiplan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US3728754A (en) * 1971-07-16 1973-04-24 Global Erectors Inc Vertically adjustable loading ramp apparatus
US3883918A (en) * 1973-09-13 1975-05-20 John W Magill Telescopic connection for the proximate end of an airport passenger bridge
FR2415771A1 (fr) * 1978-01-25 1979-08-24 Chabay Procedes Structure articulee formant support et passerelle equipee d'une telle structure
JPS61275098A (ja) * 1985-05-29 1986-12-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航空機旅客搭乗橋のオ−トレベラ−
US4761846A (en) * 1987-06-30 1988-08-09 Shell Offshore Inc. Modular bridge with torsion pipe expansion loops
US4852197A (en) * 1988-03-11 1989-08-01 Thomas Jr Joseph R Apparatus for trafficking people through airports or like transit terminals
DE19911881A1 (de) * 1999-03-17 2000-09-28 Thyssen Henschel Airport Syste Fluggastbrücke zur Abfertigung von vorwärts (nose-in) eingeparkten Flugzeugen an ihren hinteren bzw. über der Tragfläche befindlichen Türen
US6330726B1 (en) * 2000-02-18 2001-12-18 Fmc Corporation Gangway system
US20030145405A1 (en) * 2002-02-01 2003-08-07 Neil Hutt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e-positioning a passenger bridge
SE526976C2 (sv) * 2003-09-24 2005-11-29 Fmt Int Trade Ab Anordning för att ansluta en passagerarbryggas yttre ände till en dörr på en flygplanskropp
US7603736B2 (en) * 2006-03-20 2009-10-20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Ulc Method for aligning a plurality of passenger boarding bridges
US7603734B2 (en) * 2006-05-31 2009-10-20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U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ack fault condition of passenger boarding bridge lift columns
US20080109970A1 (en) * 2006-11-09 2008-05-15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based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one end of a passenger boarding bridge with a doorway of an aircraft
JP4663748B2 (ja) * 2008-03-10 2011-04-06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接続部および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KR20110058023A (ko) * 2009-11-25 2011-06-01 (주)에이비텍 미세 접근장치와 완충부를 갖는 탑승교 및 그 작동 방법
CN201777388U (zh) * 2010-08-04 2011-03-30 蒂森克虏伯机场系统(中山)有限公司 一种加装检测制动装置的三通道登机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4255A1 (en) 2002-02-01 2003-08-07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Passenger loading bridge for servicing plural doorways of an aircraft
JP2006096298A (ja) * 2004-09-30 2006-04-13 Shin Meiwa Ind Co Ltd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2012153337A (ja) 2011-01-28 2012-08-16 Kawasaki Heavy Ind Ltd 搭乗橋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35B1 (ko) * 2014-04-10 2015-09-01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CN108177794A (zh) * 2016-12-08 2018-06-19 张跃 一种登机桥
KR101776036B1 (ko) * 2016-12-13 2017-09-07 한국공항공사 탑승교의 로툰다 높이 조절장치
WO2018110815A1 (ko) * 2016-12-13 2018-06-21 한국공항공사 탑승교의 로툰다 높이 조절장치
US10696421B2 (en) 2016-12-13 2020-06-30 Korea Airports Corporation Rotund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boarding bridge
KR20230089950A (ko) 2021-12-14 2023-06-21 남현준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386A (zh) 2016-01-27
EP3006345B1 (en) 2020-02-26
CN105283386B (zh) 2018-01-02
US9630728B2 (en) 2017-04-25
EP3006345A1 (en) 2016-04-13
JP2016525984A (ja) 2016-09-01
US20160083114A1 (en) 2016-03-24
WO2014196723A1 (ko) 2014-12-11
PH12015502697A1 (en) 2016-03-14
EP3006345A4 (en) 2017-03-22
PH12015502697B1 (en) 2016-03-14
JP6209275B2 (ja)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32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US10589754B2 (en)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EA029525B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в движении
US20210163263A1 (en) Stair lift and method of operating a stair lift
US4852197A (en) Apparatus for trafficking people through airports or like transit terminals
SE0203491L (sv) Utgångsbrygga Y-formad för flygplanspassagerare
WO2017152174A1 (en) Aerobridge providing multiple access points to aircraft vehicle
KR20200086897A (ko) Ict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안전발판
EP3929133A1 (en) Elevator cars
CN104818915A (zh) 用于致动舱门装置的舱门的舱门致动设备
JP2004155257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CN205114771U (zh) 一种用于短距离运输的装置
EP4172094A1 (en) Transportation system
JP2017120013A (ja) 船舶旅客搭乗設備
JP2002226157A (ja) 電動車椅子の階段昇降機構
CN110382361B (zh) 登机桥的旋转平台高度调节装置
JP7101037B2 (ja) 搭乗橋
CN219635487U (zh) 一种剪叉式升降栏杆
EP2784017A1 (en) An elevator for a wind turbine tower
KR102000364B1 (ko)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US20120205194A1 (en) Ladder with vertical elevator for access to aircrafts
WO2016076695A1 (es) Rampa telescópica móvil para transbordo de personas
CN105668372A (zh) 电梯断电逃生装置
ITBS20110077A1 (it) Metodo per il controllo dello scorrimento automatico di una pedana telescopica, pedana telescopica e veicolo che comprende tale pedana
EP2653388A1 (en) Ladder with vertical elevator for access to aircra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