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950A -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950A
KR20230089950A KR1020210178753A KR20210178753A KR20230089950A KR 20230089950 A KR20230089950 A KR 20230089950A KR 1020210178753 A KR1020210178753 A KR 1020210178753A KR 20210178753 A KR20210178753 A KR 20210178753A KR 20230089950 A KR20230089950 A KR 2023008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elevator
support frame
unit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703B1 (ko
Inventor
남현준
Original Assignee
남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준 filed Critical 남현준
Priority to KR102021017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7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기존의 항공기 환승은 경유하는 공항에 내려서 또다른 항공기에 탑승하기까지 대기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저렴한 항공권의 겨우 10시간 이상 소요되고, 탑승객이 경유하는 공항에서 또다른 항공기를 탑승할 때 이동거리가 먼 경우가 많아 환승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탑승객이 소지한 수화물, 배송화물 또한 공항에 내린 후 이동하고 또다른 항공기에 옮겨 실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항공기와 공항을 연결하여 내릴 시와, 경유하는 항공기 환승할 시 두번에 걸쳐 탑승교를 항공기에 연결해야 하여 탑승교를 연결하는데 많은 소요시간이 발생하고, 탑승자가 환승할 때 우천시,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불거나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노출되어 우산을 쓰는 등 불편함이 있고, 항공기 환승시 공항 통로로 직결되어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으로 인해 공항이 폐쇄되어 항공길이 막혀 위험으로부터 탈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구성함으로써, 항공기의 경유공항에서 환승시 우천, 태풍과 같이 비바람이 불거나, 눈 또는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공기와 공항 탑승교를 연결하는 대신에 2대의 항공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항공기의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AIRCRAFT DIRECT CONNECTION TRANSFER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대형 항공기와 소형 항공기의 출입문을 서로 일치시키고, 각각의 출입문을 서로 연결하여 공항의 게이트를 통과하지 않고도 탑승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는 항공노선에 따라 정해진 노선으로만 이동이 가능하여, 탑승객이 이용하는 공항에 도착하고자 하는 항공노선이 없을 경우 필수적으로 항공기 환승을 해야한다.
하지만, 기존의 항공기 환승은 경유하는 공항에 내려서 또다른 항공기에 탑승하기까지 대기시간이 최소 1시간에서 저렴한 항공권의 겨우 10시간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탑승객이 경유하는 공항에서 또다른 항공기를 탑승할 때 이동거리가 먼 경우가 많아 환승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탑승객이 소지한 수화물, 배송화물 또한 공항에 내린 후 이동하고 또다른 항공기에 옮겨 실어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공기와 공항을 연결하여 내릴 시와, 경유하는 항공기 환승할 시 두번에 걸쳐 탑승교를 항공기에 연결해야 하여 탑승교를 연결하는데 많은 소요시간이 발생하고, 탑승자가 환승할 때 우천시, 태풍과 같이 바람이 많이 불거나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노출되어 우산을 쓰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항공기는 환승시 공항 통로로 직결되어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으로 인해 공항이 폐쇄되어 항공길이 막혀 위험으로부터 탈출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9328호(2014.02.25. 등록)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의 경유공항에서 환승시 우천, 태풍과 같이 비바람이 불거나, 눈 또는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공기와 공항 탑승교를 연결하는 대신에 2대의 항공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항공기의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에 따른 공항 폐쇄시 2대의 항공기를 직접 연결하여 경유할 수 있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형 크레인 카 형상으로, 하나의 항공기 동체를 일정한 각도,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승 및 이동시켜 또다른 항공기 동체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시킨 후, 각 항공기 동체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연결시켜 승하강하며 두 항공기간의 탑승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의 경유공항에서 환승시 우천, 태풍과 같이 비바람이 불거나, 눈 또는 우박이 떨어지는 등의 외부 기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2대의 항공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항공기 내에서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항공기 경유에 따른 환승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자연재해, 나라간 전쟁 또는 내전에 따른 공항 폐쇄시 2대의 항공기를 직접 연결하여 경유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하단 항공기의 내부에 형성된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하단에 상단 캐노피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상단에 하단 캐노피가 접현된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하단에 상단 캐노피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상단에 하단 캐노피가 접현되며,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가 유압 실린더를 통해 상승하여 상단 항공기의 승강장애 도달한 상태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화살표로 표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항공기와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 둘레를 따라 상단 캐노피, 하단 캐노피가 펼쳐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를 후방으로 눕혀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을 최하단으로 위치시키고, 상단 항공기를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 내측의 승강장을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를 직립하고 상승시켜 상단 항공기를 상승시키고, 하단 항공기를 상단 항공기의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하단 항공기 내측의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카를 투영하여 도시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되는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스마트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엘리베이터부가 결합되고, 엘리베이터부의 내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좌측에 상단 탑승교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좌측에 하단 탑승교가 접현되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가 상단 탑승교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위치하여 정지된 형상을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도시하고, 상단 항공기의 좌측에 상단 탑승교가 접현되고, 하단 항공기의 좌측에 하단 탑승교가 접현되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가 하단 탑승교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위치하여 정지된 형상을 투영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화살표로 표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탑승교와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가 접현되고, 하단 탑승교와 하단 항공기가 접현되는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스마트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1)는 대형 크레인 카 형상으로, 하나의 항공기 동체를 일정한 각도,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승 및 이동시켜 또다른 항공기 동체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시킨 후, 각 항공기 동체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연결시켜 승하강하며 두 항공기간의 탑승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는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하단 개폐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의 상단 개폐문을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내측의 수직방향 상승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200),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300), 통합제어 카 운전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은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 지지 몸체(110), 승하강 실린더부(120),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지지 몸체(110)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지지 몸체(1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이루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방 중앙 일측이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부(120)는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120)는 실린더 형상으로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변하고, 하단 끝단이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 상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고, 상단 끝단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좌·우측 하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승하강 실린더부(120)의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이 최하단으로 하강하고,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때,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하여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상단 항공기 동체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올려진 상단 항공기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승하강 실린더부의 수직방향 실린더 길이조절을 통해 하단 항공기의 크기 및 출입구의 높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고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동체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고, 그 하단에 하단 항공기의 동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단 항공기와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는 길이방향 좌·우측이 상단 날개형상으로 절곡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측 절곡된 날개 하단면 일측에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130a)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홈(130a)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하단면에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140a)가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는 상단 캐노피(132), 하단 캐노피(133)가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된 개폐도어 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단 캐노피(132)는 상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620)의 승하강시 이동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에서 상단 항공기까지의 둘레면을 전체적으로 차단한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하단 캐노피(133)는 하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된다.
이는 엘리베이터 카(620)의 승하강시 이동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에서 하단 항공기까지의 둘레면을 전체적으로 차단한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140a)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은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네트워크 연결된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을 통해 회전운동 에너지를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슬라이드 돌기(140a)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30a)에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200)는 하단 항공기에 내장되는 엘리베이터 형상으로, 항공기 상단 일측에 상단 개폐도어(210)가 형성되고, 개폐도어 하단 내측에 승강장(220) 및 엘리베이터 카(230)를 수용하고, 유압 실린더(230)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단 개폐도어(210)는 하단 항공기의 상단 중앙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도어 형상으로, 도어의 수직 하단에 내장된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을 개폐시켜준다.
여기서, 승강장(220)은 상단 개폐도어 하단 내측에 사각 구조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23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정면 및 후면에 승강 도어(221)가 형성된다.
이때, 승강 도어(221)는 하단 항공기의 엘리베이터 카(220)가 상단 항공기 방향으로 상승시 하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승강장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달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 도어 개폐시에만 개폐된다.
이를 통해 탑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230)는 상단 개폐도어의 수직 하단에 위치한 직사각 카 형상으로, 내부에 탑승객을 수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상단 항공기의 하단방향 및 하단 항공기의 상단방향으로 도킹된다.
이는 수직방향 하단에 위치시 하단 항공기의 내측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정지되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상승하여 수직방향 상단에 위치시 상단 항공기의 내측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정지된다.
이는 하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상단 항공기로 이동시키거나, 상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하단 항공기로 이동시키는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 실린더(240)는 엘리베이터 카(230)의 하단에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며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방향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승강장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감지하여 수직방향 실린더를 승·하강 및 정지시킨다.
이때, 실린더가 하단으로 하강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면과 하단 항공기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면 정지되고, 상단으로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면과 상단 항공기 승강장의 하단면 높이와 일치되면 정지된다.
상기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300)는 상단 항공기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 중공 도어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 일측에 하단 개폐도어(310)가 형성되고, 개폐도어 상단 내측에 승강장(320)이 형성되며 하단 항공기의 엘리베이터부로부터 수직방향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하단 개폐도어(310)는 상단 항공기의 하단 중앙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도어 형상으로, 도어의 수직 상단에 내장된 승강장의 하단을 개폐시켜준다.
여기서, 승강장(320)은 하단 개폐도어 상단 내측에 사각 구조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로부터 상승되는 엘리베이터 카(23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정면 및 후면에 승강 도어(321)가 형성된다.
이때, 승강 도어(321)는 상단 항공기에 엘리베이터 카(220)가 상승하여 진입시 상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승강장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달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카 도어 개폐시에만 개폐된다.
이를 통해 탑승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통합제어 카 운전부(400)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항공기 승강 제어부(410),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 제어부(420), 상단 항공기 커넥팅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항공기 승강 제어부(4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 제어부(420)는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상단 항공기 커넥팅 제어부(430)는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는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에 수평으로 탑승교를 각각 접현시키고, 좌측에 위치한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500), 엘리베이터부(600), 상단 탑승교(700), 하단 탑승교(800), 통합제어 카 운전부(900)로 구성된다.
상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500)은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 지지 몸체(510), 승하강 실린더부(520),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지지 몸체(510)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지지 몸체(5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을 이루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방 중앙 일측이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부(520)는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실린더부(520)는 실린더 형상으로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변하고, 하단 끝단이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 상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고, 상단 끝단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좌·우측 하단면 일측에 회전축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승하강 실린더부(520)의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이 최하단으로 하강하고, 하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실린더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때,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히면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하여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상단 항공기 동체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수직이 되도록 회전시켜 직립시키며 높이를 조절하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올려진 상단 항공기 동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승하강 실린더부의 수직방향 실린더 길이조절을 통해 하단 항공기의 크기 및 출입구의 높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고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동체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고, 그 하단에 하단 항공기의 동체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단 항공기와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는 길이방향 좌·우측이 상단 날개형상으로 절곡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측 절곡된 날개 하단면 일측에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530a)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홈(530a)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하단면에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540a)가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은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네트워크 연결된 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을 통해 회전운동 에너지를 직선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슬라이드 돌기(540a)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530a)에 삽입되어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엘리베이터부(600)는 직립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형상으로, 승강장 내부에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고,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승강장(610), 엘리베이터 카(620), 균형추(630), 권상기(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610)은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직립되어 엘리베이터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엘리베이터 카(620)를 수용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620)는 승강장 내부에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탑승자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620)는 상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상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되거나, 하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하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시에만 개폐된다.
이는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높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단 탑승교 및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높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하단 탑승교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직방향 높이가 일치되면 정지되고, 카 도어가 개폐된다.
이는 하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상단 항공기로 이동시키거나, 상단 항공기에 위치한 탑승객 및 화물을 하단 항공기로 이동시키는 환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에 탑승한 탑승객이 공항의 탑승 게이트를 이용하지 않고도 항공기를 환승할 수 있고, 탑승객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환승이 이루어지고, 환승시간을 단축하여 환승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균형추(630)는 엘리베이터 카의 자중 및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상기(640)는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장 내부의 로프를 감거나 풀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단 탑승교(700)는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에 올려져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710),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720), 제1 탑승교 승하강부(730), 탑승 터널부(740), 캐노피(7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71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이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72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이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상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탑승교 승하강부(730)는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상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시킨다.
이를 통해 상단 항공기 출입구 높이에 대응하여 상단 탑승교의 출입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탑승 터널부(740)는 제1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상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캐노피(750)는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된다.
상기 하단 탑승교(800)는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810),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820), 제2 탑승교 승하강부(830), 탑승 터널부(840), 캐노피(85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81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한다.
이는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이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
이를 통해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평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평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82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한다.
이는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이 수직으로 일치되도록 표시한다.
이를 통해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수직방향 중앙과 하단 탑승교의 수직방향 중앙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어 탑승교의 접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탑승교 승하강부(830)는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하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시킨다.
이를 통해 하단 항공기 출입구 높이에 대응하여 하단 탑승교의 출입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탑승 터널부(840)는 제2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하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캐노피(850)는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된다.
상기 통합제어 카 운전부(900)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엘리베이터부, 상단 탑승교, 하단 탑승교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항공기 승강 제어부(910), 엘리베이터 제어부(920), 상단 탑승교 제어부(930), 하단 탑승교 제어부(9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항공기 승강 제어부(910)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부(920)는 엘리베이터부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상단 탑승교 제어부(930)는 상단 탑승교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하단 탑승교 제어부(940)는 하단 탑승교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첫째,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승하강 실린더부를 길이방향으로 최소화하고,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힌다.
이때,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한다.
또한,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면 받침판이 후방으로 회전되며 펼쳐져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안착되면 경사면 받침판을 상단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세우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직립시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하단 항공기를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와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를 수직방향으로 일치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 캐노피를 상승시켜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 둘레면에 접현시키고, 하단 캐노피를 하강시켜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 둘레면에 접현시키고,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슬라이드 개폐도어를 개방한다.
다음으로,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탑승객 및 화물을 환승시킨다.
마지막으로, 환승을 마치면 엘리베이터 카를 하단 항공기의 승강장에 위치시키고,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개폐도어를 폐쇄하고, 상단 캐노피, 하단 캐노피를 원위치 시키며, 토잉카를 통해 하단 항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단 항공기를 지면에 내려놓는다.
둘째,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승하강 실린더부를 길이방향으로 최소화하고, 후방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시켜 눕힌다.
이때,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이 최하단으로 하강한다.
또한,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면 받침판이 후방으로 회전되며 펼쳐져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단 항공기가 항공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면에 안착되면 경사면 받침판을 상단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세우고, 승하강 실린더부를 직립시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하단 항공기를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와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를 수직방향으로 일치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단 탑승교의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를 상단 항공기의 출입구 중앙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탑승 터널부를 이동하여 접현시킨 후 출입구를 개방하여 상단 탑승교를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하단 탑승교의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를 하단 항공기의 출입구 중앙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탑승 터널부를 이동하여 접현시킨 후 출입구를 개방하여 하단 탑승교를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부의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켜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탑승객 및 화물을 환승시킨다.
마지막으로, 환승을 마치면 상단 항공기, 하단 항공기의 개폐도어를 폐쇄하고, 상단 탑승교, 하단 탑승교를 원위치 시키며, 토잉카를 통해 하단 항공기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단 항공기를 지면에 내려놓는다.
1 :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장치
10 :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
100 :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200 :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
300 :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 400 : 통합 스마트 제어부
20 :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
500 :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600 : 엘리베이터부
700 : 상단 탑승교 800 : 하단 탑승교
900 : 통합 스마트 제어부

Claims (11)

  1. 대형 크레인 카 형상으로, 하나의 항공기 동체를 일정한 각도, 위치에 정렬시킨 후 상승 및 이동시켜 또다른 항공기 동체와 수직 병렬 구조로 위치시킨 후, 각 항공기 동체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를 연결시켜 승하강하며 두 항공기간의 탑승 게이트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는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하단 개폐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의 상단 개폐문을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내측의 수직방향 상승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와,
    수직 병렬 구조의 상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과, 하단에 위치한 항공기 좌측 출입문에 수평으로 탑승교를 각각 접현시키고, 좌측에 위치한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을 통해 탑승객을 환승시키는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10)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과,
    하단 항공기에 내장되는 엘리베이터 형상으로, 항공기 상단 일측에 상단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개폐도어 하단 내측에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고, 유압 실린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200)와,
    상단 항공기의 내측에 형성된 사각 중공 도어 프레임 형상으로, 하단 일측에 하단 개폐도어가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의 수직방향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는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300)와,
    항공기 직접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하단 항공기 엘리베이터부, 상단 항공기 커넥팅부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100)은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되는 승강 지지 몸체(110)와,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부(120)와,
    길이방향 좌·우측이 상단 날개형상으로 절곡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좌·우측 절곡된 날개 하단면 일측에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130)은
    상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상단 항공기의 하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되는 상단 캐노피(132)와,
    하단방향으로 승하강되며 절첩되는 주름관 형상으로 하단 항공기의 상단 개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접현되는 하단 캐노피(133)가 형성되고,
    상단 캐노피, 하단 캐노피가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된 개폐도어 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항공기 외측 연결형 엘리베이터 전동카(20)는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며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500)과,
    직립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형상으로, 승강장 내부에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고,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엘리베이터부(600)와,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에 올려져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상단 탑승교(700)와,
    엘리베이터부의 우측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고,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며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항공기 동체와 연결되는 하단 탑승교(800)와,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전동카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운전하여 이동시키고,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 엘리베이터부, 상단 탑승교, 하단 탑승교를 통합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통합제어 카 운전부(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
  7. 제6항에 있어서 승강 지지 프레임(500)은
    통합제어 카 운전부의 후방 중앙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몸체로, 후방 좌·우측이 서로 평행을 이루며 이격되며 하단에 이동바퀴가 형성되는 승강 지지 몸체(510)와,
    승강 지지 몸체의 좌·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며 이격되며 직립된 실린더 구조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되며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부(520)와,
    승하강 실린더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프레임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항공기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 프레임부(530)와,
    하단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의 상단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위치를 조절하고, 상단면에 항공기 동체를 지지하는 항공기 받침 프레임(5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
  8. 제6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부(60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좌측 일측에 직립되어 엘리베이터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승강장(610)과,
    승강장 내부에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탑승자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620)와,
    엘리베이터 카의 자중 및 적재하중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에 따라 역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을 보상하는 균형추(630)와,
    통합 스마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승강장 내부의 로프를 감거나 풀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 시키는 권상기(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
  9. 제8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620)는
    상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상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 또는 하단 항공기의 탑승구에 수직·수평방향이 일치하여 정지된 하단 탑승교와 수평방향 일치시에만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
  10. 제6항에 있어서 상단 탑승교(70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1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710)와,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상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1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720)와,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상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하는 제1 탑승교 승하강부(730)와,
    제1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상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하는 탑승 터널부(740)와,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되는 캐노피(7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
  11. 제6항에 있어서 하단 탑승교(800)는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진행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2 항공 출입구 수평정지선 표시부(810)와,
    승강 지지 프레임의 측면 하단 일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하단 항공기 좌측에 위치한 항공기 출입구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항공기 승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 항공기의 수직방향 정지위치를 표시하는 제2 항공 출입구 수직정지선 표시부(820)와,
    엘리베이터부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며 하단 탑승교의 높이를 가변하는 제2 탑승교 승하강부(830)와,
    제2 탑승교 승하강부의 좌측에 형성되어 좌측으로 이격된 하단 항공기와 좌측 끝단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길이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길이를 가변하며 통로를 형성하는 탑승 터널부(840)와,
    탑승 터널부의 좌측 끝단 둘레면에 형성되어 항공기의 출입구 둘레부분에 대응하며 펼쳐지며 접현되는 캐노피(8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직접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전동카.
KR1020210178753A 2021-12-14 2021-12-14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KR10257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53A KR102579703B1 (ko) 2021-12-14 2021-12-14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53A KR102579703B1 (ko) 2021-12-14 2021-12-14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50A true KR20230089950A (ko) 2023-06-21
KR102579703B1 KR102579703B1 (ko) 2023-09-15

Family

ID=8699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753A KR102579703B1 (ko) 2021-12-14 2021-12-14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7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020A (ja) * 2002-07-16 2004-04-02 Katsuya Nagai デッキとキャビンの昇降装置を有する車両
KR101369328B1 (ko) 2013-06-07 2014-03-06 에이지이(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CN207957678U (zh) * 2018-02-01 2018-10-12 成宝强 无障碍移动式电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020A (ja) * 2002-07-16 2004-04-02 Katsuya Nagai デッキとキャビンの昇降装置を有する車両
KR101369328B1 (ko) 2013-06-07 2014-03-06 에이지이(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CN207957678U (zh) * 2018-02-01 2018-10-12 成宝强 无障碍移动式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703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882C1 (en) System, Method and Station for landing of a Drone
US4110859A (en) Passenger loading ramp
US4852197A (en) Apparatus for trafficking people through airports or like transit terminals
US3561030A (en) Conveyance loader
US3046908A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ssengers and cargo
US4347030A (en) Wheelchair loading device for trains
US1770675A (en) Mooring device
ES2258587T3 (es) Procedimiento para cargar y descargar un avion asi como dispositivo movil de carga de un avion.
KR20230089950A (ko) 항공기 직접 연결 환승 엘리베이터 장치
CN212797376U (zh) 一种登机桥辅助接驳通道
US3724015A (en) Aircraft loading ramps
KR101652799B1 (ko) 헬리포트용 승강기 시스템
US6928684B2 (en) Airport bridge and lift
US6527088B1 (en) Lift apparatus for transporting packages between two or more floors of a building
CN107697076B (zh) 救援疏散装置
US2481343A (en) Helicopter station
JP2723444B2 (ja) 車椅子用乗船装置
JP3263687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航空機離着陸帯構造
CN112193966A (zh) 一种既有建筑用外加式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027103A (zh) 一种登机桥辅助接驳通道及其使用方法
KR102575265B1 (ko) 수직 이착륙 에어 모빌리티 터미널 및 주기장용 리프트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US20070108427A1 (en) Automatic baggage lift leveling and lift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from a moveable structure such as a jet bridge
CN110453855B (zh) 一种城市轨道交通车辆基地斜坡式登车装置
CN213707433U (zh) 一种既有建筑用外加式电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