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364B1 -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364B1
KR102000364B1 KR1020170166533A KR20170166533A KR102000364B1 KR 102000364 B1 KR102000364 B1 KR 102000364B1 KR 1020170166533 A KR1020170166533 A KR 1020170166533A KR 20170166533 A KR20170166533 A KR 20170166533A KR 102000364 B1 KR102000364 B1 KR 10200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oarding bridge
unit
cabin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82A (ko
Inventor
백인엽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7016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는 항공기의 출입문과 접하는 탑승교의 캐빈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대상체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 형태를 갖는 이송부 및 항공기의 출입문의 하부와 캐빈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 차를 보상하도록, 이송부의 경사도를 변경하는 경사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APPARATUS FOR TILTED CONVEYOR OF BOADING BRIDGE}
이하의 설명은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선천적 장애인은 물론 교통 사고, 산업 재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한 후천적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장애인 등과 같은 교통 약자의 이동권은 인간의 기본권에 준하는 권리로서 고급 교통 수단인 항공분야에도 국가적 품격에 맞는 서비스의 제공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해 교통 약자의 이동권 보장 요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물 없는 생활 환경에 대한 홍보 부족과 공감대 형성 부족으로 인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에 대한 적극적인 동참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여행객의 증가에도 제주 등 대한민국 공항의 교통 약자 시설은 선진국 수준에 비해 현저히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건설교통부에서 2008년부터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교통수단, 여객시설, 도로, 지역, 건축물, 공원 등에 대하여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의 교통약자가 이동에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설계 및 시공이 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범 정부적으로도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탑승교(搭乘橋)는 항공기가 출발 전이나 도착 후에 공항 터미널과 항공기 사이를 잇는 다리 모양의 통로로서, 보딩 브릿지(Boarding Bridge) 라고도 하며, 항공 승객의 탑승과 내릴(승/하기) 때 공항터미널과 항공기를 연결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통로이다.
탑승교와 항공기 출입구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과 높이 차이는, 항공기 출입구와의 접현시 간격과 높낮이 조절을 하더라도 수화물의 적재나 하역 여부와 항공기의 크기 등에 따라 다소간의 간격과 높이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환자의 이동과 안전 등을 방해하는 주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공항 터미널과 항공기 사이를 연결하는 탑승교와 항공기 출입구 사이에 발생 되는 간격과 높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탑승교가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여 다양한 구성의 탑승교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탑승교는 항공기 출입구와의 사이에 완벽한 간격 없앰과 높이 차이를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휠체어 탑승객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탑승과 내림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휠체어 탑승한 교통약자가 탑승하거나 내릴 때에는 이를 돕기 위한 서비스 인원이 2명 이상 투입되어야 하므로 승무원에게 피로감을 증가시키고, 또 서비스 인원의 투입으로 인해 협소한 탑승교 전체 통로를 가로막아 다른 탑승객들의 탑승과 내림을 지연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탑승교에 단차 제거용 발판을 설치하여 항공사 직원이 교통약자를 경사 부분에서 밀어주어 탑승할 수 있었으나, 항공사 직원의 대다수가 여성이기 때문에 교통약자의 무게에 따라 반복하여 밀어야 하거나, 밀어 올리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실시 예의 목적은, 탑승교의 캐빈에 항공기와 탑승교의 높이 차를 해소하는 컨베이어를 배치하여 항공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가 보다 편리하게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는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교통약자가 항공사 직원의 도움없이 스스로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약자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고 항공사 직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인의 항공기 탑승 시 단차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승객 편의를 확보할 수 있는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는 항공기의 출입문과 접하는 탑승교의 캐빈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대상체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 형태를 갖는 이송부 및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의 하부와 상기 캐빈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 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경사도를 변경하는 경사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는, 대상체가 탑재되는 지지면이 상기 캐빈의 내부 바닥 면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캐빈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출입문과 인접한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상기 타단을 피봇축으로 피봇팅됨에 따라 상기 지지면의 경사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경사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컨베이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경사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경사구동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대상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풀리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풀리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지지면에 상기 대상체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 및 상기 경사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탑승교의 캐빈에 구비되어서, 상기 캐빈의 바닥 면과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 하단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항공기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부의 경사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의 경사도가 높아질수록 이송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탑승교의 캐빈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이송부 또는 경사구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이송부 또는 경사구동부의 구동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이송부의 경사 또는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송부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면 알람을 발생하거나 경고창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탑승교의 캐빈에 항공기와 탑승교의 높이 차를 해소하는 컨베이어 배치하여 항공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가 보다 편리하게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교통약자가 항공사 직원의 도움없이 스스로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하여 교통약자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고 항공사 직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반인의 항공기 탑승 시에도 단차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승객 편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의 경사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10)는 탑승교(B)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탑승교(B)가 항공기(A)에 접현할 때, 탑승교(B)의 바닥 면과 항공기(A)의 바닥면이 일치하도록 접현되지 않아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10)는 탑승교(B)의 캐빈(B1)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어서 항공기(A)의 출입문(A1)과의 높이 차에 대응하여 경사로를 형성함으로써 항공기(A)와 탑승교(B)의 단차를 상호 연결한다. 탑승교(B)는 항공기(A)와 접현되는 면에 탄성 튜브(B2)를 구비하여, 접현시 항공기(A)와 경사 이동으로 인한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10)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킨다.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10)는 이송부(100), 경사구동부(200), 제어부(300), 높이 측정부(400) 및 조작부(500)를 포함한다.
이송부(100)는 탑승교(B)의 캐빈(B1)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된다. 이송부(100)는 대상체를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부(100)는 탑승교(B)에서 항공기(A)에 탑승하는 승객, 교통약자 또는 교통약자가 탑승한 휠체어를 포함하는 대상체를 지지하여 항공기(A)의 내부로 이송한다. 이송부(100)는 프레임(110) 및 컨베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컨베이어(120)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컨베이어(120)를 지지하고, 캐빈(B1)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은 캐빈(B1)의 바닥면에 결합되되 캐빈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110)은 각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측에 컨베이어(120)가 결합된다. 프레임(110)은 하측에 후술하는 경사구동부(200)가 연결되고 경사구동부(200)는 다시 컨베이어(120) 일단의 하부와 결합된다.
컨베이어(120)는 몸체(121), 이송부재(122), 풀리(123), 구동부(124)를 포함한다.
몸체(121)는 이송부재(122) 및 풀리(123)를 수용하고, 컨베이어(120)의 측면 및 저면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몸체(121)는 단면이 "凹 형상을 가지도록 평판의 양측면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몸체(121)는 내부 측면에 복수의 풀리(123)가 동일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121)는 컨베이어(120)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 보호하되 상면을 개방되어서 컨베이어(120)의 지지면을 확보할 수 있다.
몸체(121)는 프레임(11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어, 몸체(121)는 양측면의 타단에 몸체 회전축이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힌지 형태로 고정되어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몸체(121)의 형상 및 몸체의 고정형태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송부재(122)는 대상체를 이송한다. 예를 들어, 이송부재(122)는 대상체를 이송하는 이송면을 형성하는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하지만 이송부재(122)는 컨베이어 벨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부재(122)는 대상체를 이송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가능할 수 있다.
풀리(123)는 복수로 구비되어서 이송부재(122)를 회전시킨다. 복수의 풀리(123)는 이송부재(122)를 지지하며, 구동부(124)의 회전력을 이송부재(122)에 전달하여 이송부재(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풀리(123)는 샤프트 등의 회전축(123a)에 결합되거나 회전축(123a)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구동부(124)는 복수의 풀리(123)를 구동한다. 컨베이어 구동부(124)는 모터(124a), 제1기어(124b), 제2기어(124c) 및 연결부재(124d)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24a)는 복수의 풀리(123)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모터(124a)는 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124a)가 컨베이어(1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나, 컨베이어(120)가 차지하는 캐빈(B1)의 바닥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터(124a)와 컨베이어(120)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모터(124a)는 전기로 구동될 수 있다. 모터(124a)는 탑승교(B)에 결합되는 특성상 탑승교(B)와 동일한 공급동력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모터(124a)는 탑승교 공급동력인 3상 4선식 AC 380/220V, 60Hz의 공급동력을 사용할 수 있다.
제1기어(124b)는 모터(124a)의 축에 결합된다. 또한, 제2기어(124c)는 풀리(123)의 회전축(123a)에 결합된다. 체인이나 벨트 등의 연결부재(124d)은 제1기어(124b) 및 제2기어(124c)를 연결하여서, 모터(124a)의 회전력을 풀리(123)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 모터(124a)와 풀리(123)의 연결수단으로 기어(124b, 124c) 및 체인이나 벨트 등의 연결부재(124d)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벨트 풀리 및 타이빙 벨트 등의 모터(124a)의 회전력을 풀리(123)에 전달하는 모든 수단이 가능할 수 있다.
컨베이어(120)는 대상체가 탑재되는 지지면이 캐빈(B1) 내부 바닥 면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120)는 캐빈(B1)의 항공기(0)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컨베이어(120)는 캐빈(B1)에 탑승교(B)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되 대상체가 탑재되는 지지면이 캐빈(B1) 내부 바닥 면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컨베이어(120)는 캐빈(B1) 내부 바닥 면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함으로써 대상체가 탑재될 때, 높이 차가 발생하지 않아 컨베이어로의 탑재 또는 탑승이 용이할 수 있다.
컨베이어(120)는 출입문(A1)과 인접한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서, 타단을 피봇축으로 피봇팅됨에 따라 지지면의 경사도가 변경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컨베이어(120)는 이송부재(122)에 형성되는 스토퍼(1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22a)는 이송부재(122)의 지지면에서 대상체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22a)는 이송부재(122)의 지지면에서 대상체의 이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갖는 홈 형상일 수 있다. 스토퍼(122a)는 복수로 구비되어서 대상체의 하단을 지지하여서 항공기(A)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토퍼(122a)는 이송방향의 전단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가 형성되어서 이송 시 대상체의 하단을 지지하되 이송이 완료되었을 때 대상체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퍼(122a)의 형상은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지턱(미도시)의 형상일 수 있다. 방지턱은 이송부재(122)의 지지면에 이송방향의 횡방향 즉 양측면을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방지턱의 형태는 "V"자 형상의 방지턱이 이송방향의 횡방향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방지턱은 "V"자 형상의 단면에 중심에 대상체의 바퀴 또는 발을 지지함으로써 이송부(100)의 경사로 인한 대상체의 밀림을 방지한다. 또한, 방지턱 "V"자 형상의 방지턱은 대상체가 휠체어인 경우 앞바퀴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앞바퀴의 회전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앞바퀴의 틀어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방지턱의 형태는 바형상 이나 "V"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U" 자 형상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의 경사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사구동부(200)는 항공기(A) 출입문(A1)의 하부와 캐빈(B1)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 차를 보상하도록, 이송부(100)의 경사도를 변경한다.
경사구동부(200)는 액추에이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구동부(200)은 액추에이터(200)는 선형 구동을 하는 원동기로서, 그 길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00)는 예시적으로, 유압 실리더 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의 구동에 의해 선형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200)는 일단이 컨베이어(1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200)는 일단이 컨베이어(120)의 몸체(121)의 일단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된다.
프레임(110)은 액추에이터(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정면에 한 쌍의 고정기둥(111)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의 정면에는 한 쌍의 고정기둥(111)이 프레임(110)의 양측면과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컨베이어(120)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액추에이터(200)는 프레임(110)의 한 쌍의 고정기둥(1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컨베이어의 무게 및 대상체의 무게에 의해 액추에이터(200)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200)는 컨베이어(120)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무게로 인해 일측으로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10)에 고정기둥(111)을 형성하여 액추에이터(200)를 힌지 결합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10)의 하단에 액추에이터(200)가 힌지형태로 결합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5의 (a)는 실시 예에 따른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의 최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실시 예에 따른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의 경사각도가 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00)가 길이가 늘어나도록 선형 구동하는 경우, 액추에이터(200)와 힌지 연결된 컨베이어(120)의 일단이 밀어 올려지므로 컨베이어(120)는 프레임(110)에 연결된 타단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어 컨베이어(120)의 각도가 커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액추에이터(200)가 길이가 줄어들도록 선형구동하면, 컨베이어(120)의 일단이 당겨 내려 지므로, 컨베이어(120)는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타단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어 컨베이어(120)의 경사각도가 작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1로 돌아와서, 제어부(300)는 이송부(100) 및 경사구동부(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이송부(100)의 이송을 위한 모터(124a)의 구동 및 경사구동부(200)의 선형 구동을 제어하여 이송부(100)의 작동 및 이송부(100)의 경사도 변경을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이송부(100)의 경사도가 높아질수록 이송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액추에이터(20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선형 구동하는 경우, 이송부(100)의 이송속도를 느려지게 제어한다. 반대로, 제어부(300)는 액추에이터(20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선형 구동하는 경우, 이송속도를 빠르게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이송부(100)의 경사가 커지면 경사에 따라서 속도는 느려지도록 제어하여 이송 간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400)는 탑승교(B)의 캐빈(B1)에 구비되어서 캐빈(B1)의 바닥 면과 항공기(A)의 출입문(A1) 하단 사이의 높이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높이 측정부(400)는 캐빈(B1)의 바닥 면과 항공기(A)의 출입문(A1) 하단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여서 높이 값을 생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항공기(A)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이송부(100)의 경사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높이 측정부(400)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이송부(100)의 경사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송부(100)의 경사도를 높이 측정부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제어하여 경사도 조절이 간편하다. 또한, 제어부(300)가 승객 및 수하물의 탑승 또는 하기에 따른 항공기(A)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조작부(500)는 탑승교(B)의 캐빈(B1)에 구비되어서,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송부(100) 또는 경사구동부(200)의 구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조작부(500)는 탑승교(B)의 접현을 위한 조작반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500)는 컨트롤러(510) 및 표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510)는 이송부(100) 또는 경사구동부(200)의 구동을 수동으로 조작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10)는 스위치 또는 스틱 형태일 수 있다. 컨트롤러(510)는 이송부(100)의 구동 및 경사구동부(200)의 구동 외에도, 안전 사고가 발생하여 이송부(100)를 멈춰야 할 때 긴급정지가 가능한 긴급정지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520)는 이송부(100)의 경사 또는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520)는 제어부(300)와 연동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서 이송부(100)의 경사 또는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20)는 이송부(100)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면 시각적 알람 또는 경고창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520)는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부를 더 구비하여서 알람을 청각적으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교의 캐빈에 항공기와 탑승교의 높이 차를 해소하는 컨베이어 배치하여 항공기를 이용하는 교통약자가 보다 편리하게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교통약자가 항공사 직원의 도움없이 스스로 항공기에 탑승할 수 있도록하여 교통약자의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고 항공사 직원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일반인의 항공기 탑승 시에도 단차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승객 편의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 항공기 A1: 출입문
B: 탑승교 B1: 캐빈
B2: 튜브 10: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100: 이송부 110: 프레임
111: 고정기둥 120: 이송부
121: 몸체 122: 컨베이어
122a: 스토퍼 123: 풀리
123a: 회전축 124: 구동부
124a: 모터 124b: 제1기어
124c: 제2기어 124d: 연결부재
200: 경사구동부 300: 제어부
400: 높이 측정부 500: 조작부
510: 컨트롤러 520: 표시부

Claims (13)

  1. 항공기의 출입문과 접하는 탑승교의 캐빈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고, 대상체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 형태를 갖는 이송부;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의 하부와 상기 캐빈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 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경사도를 변경하는 경사구동부;
    상기 탑승교의 캐빈에 구비되어서, 상기 캐빈의 바닥 면과 상기 항공기의 출입문 하단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이송부 및 경사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되, 항공기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부의 경사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대상체가 탑재되는 지지면이 상기 캐빈의 내부 바닥 면과 연속되는 면을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캐빈에 결합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출입문과 인접한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서, 상기 타단을 피봇축으로 피봇팅됨에 따라 상기 지지면의 경사도가 변경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컨베이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경사를 변경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동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저면에 결합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대상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풀리;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풀리를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
    를 포함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지지면에 상기 대상체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부의 경사도가 높아질수록 이송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의 캐빈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이송부 또는 경사구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이송부 또는 경사구동부의 구동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이송부의 경사 또는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송부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면 알람을 발생하거나 경고창을 표시하는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KR1020170166533A 2017-12-06 2017-12-06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KR10200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33A KR102000364B1 (ko) 2017-12-06 2017-12-06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533A KR102000364B1 (ko) 2017-12-06 2017-12-06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82A KR20190066782A (ko) 2019-06-14
KR102000364B1 true KR102000364B1 (ko) 2019-10-01

Family

ID=6684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533A KR102000364B1 (ko) 2017-12-06 2017-12-06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706A (ja) * 2000-06-07 2002-02-26 Autech Japan Inc 車椅子固定装置
JP2004155257A (ja) * 2002-11-05 2004-06-03 Shin Meiwa Ind Co Ltd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2009012866A (ja) 2007-06-29 2009-01-22 Shinko Electric Co Ltd 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6A (ja) * 1996-04-19 1998-01-06 Nishi Nippon Tetsudo Kk 車両の車椅子自動乗降装置
KR20130051575A (ko) * 2011-11-10 2013-05-21 현대로템 주식회사 휠체어 이동장치를 갖는 탑승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706A (ja) * 2000-06-07 2002-02-26 Autech Japan Inc 車椅子固定装置
JP2004155257A (ja) * 2002-11-05 2004-06-03 Shin Meiwa Ind Co Ltd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2009012866A (ja) 2007-06-29 2009-01-22 Shinko Electric Co Ltd 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82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539A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US7802337B2 (en) Retractable ramp
US20190084586A1 (en)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US20090308672A1 (en) Mobile Aircraft Seat-Wheelchair for Disabled Passengers and People Requiring Assistance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090004693A (ko) 철도 차량 및 철도 차량의 출입 장치
KR20100114294A (ko) 지하철 혼잡도 알림 시스템
US5230288A (en) Entering and exiting step system for vehicles with swingable platform for wheelchair bound passengers
KR101445244B1 (ko) 자동 경사로 조절 장치
KR102000364B1 (ko) 탑승교의 경사형 컨베이어 장치
EP1787883B1 (en) Vehicle with two boarding levels and a barrier free transit for wheelchairs between said levels
US6599080B1 (en) Lif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KR101535369B1 (ko) 지하철 안전 발판
KR101918198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KR101495326B1 (ko)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US5402546A (en) Access facilitating system for chair assisted passengers embarking or disembarking a small aircraft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190072756A (ko) 지하철 혼잡도 알림 시스템
KR10151845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2007008432A (ja) バス昇降床装置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EP3672894B1 (en) Nondiscriminatory access system for public/collective living spaces
KR101731997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