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728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728B1
KR101354728B1 KR1020127005827A KR20127005827A KR101354728B1 KR 101354728 B1 KR101354728 B1 KR 101354728B1 KR 1020127005827 A KR1020127005827 A KR 1020127005827A KR 20127005827 A KR20127005827 A KR 20127005827A KR 101354728 B1 KR101354728 B1 KR 10135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control unit
do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043A (ko
Inventor
마스노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이상 검출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어반의 플랫폼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권상기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어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제어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검출부에 의한 이상 검출 시에 제1 제어부를 대신하여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이상 검출 시에 감속 지령치 및 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치가 되도록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이 제어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으로는, 기본적인 이상 검출시의 동작과 제동력의 제어의 양자가 하나의 제동력 제어 유니트에 의해 실시된다. 이 때문에, 제동력 제어 유니트의 고장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과대하게 되면, 승객에게의 부담이 커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과소하게 되면, 제동 거리가 길어져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의 저부나 정부(頂部)에 접촉해 버린다.
이에, 이상 검출시에 로프그립퍼(rope gripper)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근년 주류가 되고 있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로프그립퍼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들에 대해, 이상 검출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제1 브레이크 수단과,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에 의한 비상 제동 동작 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면,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을 저감시키는 제2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문제점은 해결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07-15721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 2007-55691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 공개 제 2008/012896호
그러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것으로는, 제1 브레이크 제어 수단에 의한 비상 제동 동작 시에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가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처음으로 제2 브레이크 제어수단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제어반의 플랫폼의 공통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상 검출 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어반의 플랫폼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련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권상기(捲上機)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어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제어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이상 검출 시에 상기 제1 제어부를 대신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이상 검출 시에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어반의 플랫폼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했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하기 전의 제어반 내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한 후의 제어반 내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문열림 주행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통상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이상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2 제어부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2 제어부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 저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상용 전원이다. 이 상용 전원(1)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에 마련된다. 2는 권상기이다. 이 권상기(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마련된다. 이 권상기(2)에는 쉬브(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이 쉬브에는 메인 로프(3)가 두레박식으로 감긴다. 이 메인 로프(3)의 양단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가 연결된다. 이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승강로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권상기(2)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권상기(2)에는 회전 검출기(6)가 마련된다. 이 회전 검출기(6)는 엔코더나 리졸버 등으로 구성된다. 이 회전 검출기(6)는 권상기(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권상기(2)에는 브레이크 장치(7)가 마련된다. 이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코일(8)을 구비한다. 이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코일(8)이 비통전(de-energized)되는 것으로, 권상기(2)의 회전에 대해서 제동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7)는 브레이크 코일(8)이 통전(energized)되는 것으로, 권상기(2)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을 해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4)의 출입구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9)이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 칸의 문(9)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문용 도어 스위치(10)가 마련된다. 이 엘리베이터 칸의 문용 도어 스위치(10)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9)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것에 대해, 각 승강장에는 승강장의 문(11)이 마련된다. 이러한 승강장의 문(11)에 대응하여 승강장의 문용 도어 스위치(12)가 마련된다. 이러한 승강장의 문용 도어 스위치(12)는 승강장의 문(11)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는 도어 존 센서(13)가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 존 센서(13)는 엘리베이터 칸(4)이 문열기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용 전원(1)과 권상기(2)의 사이에는, 제어반(14)이 마련된다. 이 제어반(14)에는 전력 변환기(15), 주회로 릴레이(16), 브레이크 릴레이(17), 제1 제어부(18), 제1 입출력부(19)가 마련된다. 전력 변환기(15)는 상용 전원(1)과 권상기(2)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 전력 변환기(15)는 상용 전원(10)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변환해 권상기(2)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주회로 릴레이(16)는 상용 전원(1)과 전력 변환기(15) 사이에 마련된다. 이 주회로 릴레이(16)는 상용 전원(10)로부터 전력 변환기(15)로의 전력 공급의 유지 및 차단을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1 제어부(18)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1 입출력부(19)는 회전 검출기(6), 엘리베이터 칸의 문용 도어 스위치(10), 승강장의 문용 도어 스위치(12), 도어 존 센서(13)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입출력부(19)는 각종 검출 신호를 제1 제어부(18)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게다가 제1 입출력부(19)는 제1 제어부(18)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기(15), 주회로 릴레이(16), 브레이크 릴레이(17)에 지령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코일(8)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런데 근년, 엘리베이터 칸의 문(9)나 승강장의 문(11)이 열린 채로 엘리베이터 칸(4)이 주행하는 문열림 주행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하,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했을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반(14)에 제2 제어부(20)와 제2 입출력부(2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제어부(20)는 이상 검출 시에,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2 입출력부(21)는 제1 입출력부(19)와 마찬가지로, 회전 검출기(6), 엘리베이터 칸의 문용 도어 스위치(10), 승강장의 문용 도어 스위치(12), 도어 존 센서(13)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제2 입출력부(21)는 각종 검출 신호를 제2 제어부(20)와 제1 입출력부(19)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정상 시에는 제1 제어부(18)의 연산 결과가 제1 입출력부(19)를 통하여 제2 입출력부(21)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2 입출력부(21)는 제1 제어부(18)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기(15), 주회로 릴레이(16), 브레이크 릴레이(17)에 지령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코일(8)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한편, 제2 제어부(20)가 도어 스위치(10, 12)와 도어 존 센서(13)의 동작에 기초하여 문열림 주행을 검출했을 때는, 제2 입출력부(21)는 독자적인 판단으로, 제1 제어부(18)의 연산 결과보다 제2 제어부(20)의 연산 결과를 우선한다. 즉, 문열림 주행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2 입출력부(21)는 제2 제어부(20)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전력 변환기(15), 주회로 릴레이(16), 브레이크 릴레이(17)에 지령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코일(8)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은 급정지 후에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하기 전의 제어반 내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한 후의 제어반내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18)는 버스(22)를 통하여 제1 입출력부(19)와 접속된다. 이 제1 제어부(18)는 플래시 ROM(23), CPU(24), RAM(25)을 구비한다. 플래시 ROM(23)은 전원을 꺼도 내용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 플래시 ROM(23)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용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플래시 ROM(23)은 이상 신호를 유지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CPU(24)는 플래시 ROM(23)에 기재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 연산을 실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RAM(25)은 CPU(24)의 연산 과정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변수를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제1 입출력부(19)는 입력 포트(26) 및 출력 포트(27)를 구비한다. 입력 포트(26)는 통상, 저항이나 포토 커플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입력 포트(26)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취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포트(26)에는 회전 검출기(6), 도어 스위치(10, 12), 도어 존 센서(13), 주회로 릴레이(16)의 접점으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게다가 입력 포트(26)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안전 장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안전 회로(28)로부터의 신호도 입력된다. 또한 입력 포트(26)에는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기타 입력 신호(29)도 입력된다. 또한, 입력 포트(26)는 포트 수에 여유가 있다. 이 때문에, 입력 포트(26)에 대해, 제2 입출력부(21)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출력 포트(27)는 통상, 반도체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출력 포트(27)는 외부 기기에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포트(27)는 브레이크 코일(8), 주회로 릴레이(16), 브레이크 릴레이(17)에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 포트(27)는 엘리베이터를 운행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기타 출력 신호(30)도 출력한다. 또한 출력 포트(27)는 포트 수에 여유가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포트(27)에 대해 제2 입출력부(21)를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제어부(20)와 제2 입출력부(21)가 나중에 장착된다. 이 제2 제어부(20)와 제2 입출력부(21)는 버스(22)와는 별도의 버스(31)를 통하여 접속된다. 제2 제어부(20)는 제1 제어부(18)와 마찬가지로 플래시 ROM(34), CPU(35), RAM(36)을 구비한다.
제2 입출력부(21)는 제1 입출력부(19)와 마찬가지로 입력 포트(35) 및 출력 포트(36)를 구비한다. 입력 포트(35)에는 제1 입출력부(19)의 입력 포트(26)에 접속되어 있던 회전 검출기(6), 도어 스위치(10, 12), 도어 존 센서(13), 주회로 릴레이(16)의 접점, 안전 회로(28)가 접속된다. 또한 입력 포트(35)는 제1 입출력부(19)의 출력 포트(27)와도 접속된다. 출력 포트(36)에는 제1 입출력부(19)의 출력 포트(27)에 접속되고 있던 브레이크 코일(8), 주회로 릴레이(16), 브레이크 릴레이(17)이 접속된다. 또한 출력 포트(36)는 제1 입출력부(19)의 입력 포트(26)와도 접속된다.
다음에, 문열림 주행 보호 기능을 부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문열림 주행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문열림 주행 보호의 처리는, 제2 제어부(20) 내에서 주기적으로 호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단계 S1에서, 도어 스위치(10, 12)의 동작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가 문닫힘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가 문닫힘 상태인 경우는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엘리베이터가 문열림 상태인 경우는 단계 S2로 진행된다. 단계 S2에서는, 도어 존 센서(13)의 동작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도어 존 밖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칸(4)이 도어 존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4)이 도어 존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는 단계 S3으로 진행된다.
단계 S3에서는, 도어 존 센서(13)의 동작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도어 존 내에서 밖으로 탈출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칸(4)이 도어 존 내에서 밖으로 탈출했을 경우는 문열림 주행이 일어났다고 판단되어 단계 S4로 진행된다. 단계 S4에서는, 제2 제어부(20)가 주회로 릴레이(16)에 대해 오프(OFF) 지령을 출력하고 단계 S5로 진행된다. 단계 S5에서는, 제2 제어부(20)가 브레이크 릴레이(17)에 대해 오프(OFF) 지령을 출력하고 단계 S6으로 진행된다. 단계 S6에서는, 플래시 ROM(32)에 문열림 주행의 검출 플래그가 보존되어 그 주기에서의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에서 엘리베이터 칸(4)이 도어 존 내에서 밖으로 탈출한 것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주행중에 문이 열렸다고 판단되어 단계 S7로 진행된다. 단계 S7에서는, 제2 제어부(20)가 주회로 릴레이(16)에 대해 오프(OFF) 지령을 출력하고, 단계 S8로 진행된다. 단계 S8에서는, 제2 제어부(20)가 브레이크 릴레이(17)에 대해 OFF 지령을 출력하고, 그 주기에서의 동작이 종료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제2 입출력부(21), 제2 제어부(20)가 제어반(14)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문열림 주행 시에는, 제2 제어부(20)가 제1 제어부(18)에 대신해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한다. 이 때문에, 문열림 주행 시에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는 기능을 용이한 방법으로 통상의 엘리베이터에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 구성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하여, 제어반(14)의 플랫폼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제어부(20)는 엘리베이터 칸(4)이 급정지 후에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한다. 즉, 제어반(14) 내의 회로 구성은 보수원에 의한 해제가 실시될 때까지는 브레이크 장치(7)를 동작시키지 않는 래치 회로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제2 입출력부(21)를 통하여 제1 입출력부(19)로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배선을 분기하여 제1 입출력부(19)와 제2 입출력부(21)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을 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통상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이상시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제2 입출력부(21), 제2 제어부(20)를 부가하여, 문열림 주행 보호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제2 입출력부(21), 제2 제어부(20)를 부가하고, 엘리베이터 칸(4)이 소정의 감속도가 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선, 도 6을 이용하여 통상 시에 있어서 브레이크 장치(7)의 제어 상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37은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37)는 회전 검출기(6)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이다. 38은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38)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37)의 변화로부터 연산되는 것이다. 39는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이다. 이 동작 상태(39)는 브레이크 코일(8)에 급전하는 출력 포트(36)의 반도체 스위치와 관련된 것이다. 40은 브레이크 릴레이(17)의 동작 상태이다.
엘리베이터의 기동 시에는, 제1 제어부(18)가 제1 입출력부(19)를 통하여 브레이크 릴레이(17)의 동작 및 브레이크 흡인 지령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시각 t0에 있어서,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39)와 브레이크 릴레이(17)의 동작 상태(40)는 온(ON)상태가 된다. 즉, 브레이크 코일(8)에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코일(8)이 통전되어 브레이크 장치(7)가 제동력을 해제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7)의 제동력의 해제 후, 엘리베이터는 통상 주행을 실시한다. 통상 주행 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37)는 미리 설정된 문턱값 VLIM 이하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38)도 미리 설정된 문턱값 αL이상이다. 이 조건하에서는,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39)와 브레이크 릴레이(17)의 동작 상태(40)는 엘리베이터의 기동이 해제될 때까지,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실제로는, 브레이크 코일(8)에 소정치의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 제어된다. 이 때문에,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39)는 온(ON)상태와 오프(OFF) 상태를 반복하도록 제어된다.
다음에, 도 7을 이용하여, 이상 시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장치(7)의 제어 상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안전 장치 등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급정지하려고 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주회로 릴레이(16)가 권상기(2)로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상태로부터 차단하는 상태로 바뀐다. 이때, 권상기(2)의 토크가 순간적으로 0이 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가 언밸런스 상태가 된다. 이 언밸런스 상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37)가 증가한다.
그리고 안전 회로(28)나 주회로 릴레이(16)의 검출 신호가 제2 입출력부(21)에 입력되면, 제2 제어부(20)가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39)를 오프(OFF)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7)가 권상기(2)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동력에 의해, 시각 t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38)가 문턱값 αL이하가 된다. 이 조건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감속도가 소정치가 되도록 제2 제어부(20)가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39)를 온/오프(ON/OFF)의 반복 상태로 한다. 그리고 시각 t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37)가 0이 된다. 이때, 제2 제어부(20)가 브레이크 릴레이(17)의 동작 상태(40)를 오프(OFF) 상태로 하여, 감속도 제어가 종료한다.
다음에, 도 8을 이용하여, 제2 제어부(20)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7)의 구체적인 제어 순서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2 제어부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다.
본 처리는 제2 제어부(20) 내에서 주기적으로 호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1 제어부(18)로부터 엘리베이터 기동 지령이 출력된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는, 브레이크 흡인 지령이 제1 입출력부(19)를 통하여 제2 입출력부(21)에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브레이크 흡인 지령이 제2 입출력부(21)에 입력되었을 경우는, 단계 S12로 진행된다. 단계 S12에서는, 브레이크 코일(8)에 흐르는 전류가 적절치가 되는 스위칭 패턴을 반도체 스위치에 출력하는 전류 제어를 실시한다. 그 후, 단계 S13으로 진행되어, 상기 스위칭 패턴에 기초하여, 반도체 스위치가 온/오프(ON/OFF) 동작을 실시해,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단계 S11에 브레이크 흡인 지령이 제2 입출력부(21)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4로 진행된다. 단계 S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가 문턱값 αL이하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가 문턱값 αL 이하인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4)의 감속도가 과대하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는, 단계 S15로 진행되어, 엘리베이터 칸(4)의 감속도가 일정하도록 감속도 제어가 실시된다. 그 후, 단계 S13으로 진행되어, 상기 감속도 제어에 의한 스위칭 패턴에 기초하여, 반도체 스위치가 ON/OFF 동작을 실시하여,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14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가 문턱값 αL보다 큰 경우는, 단계 S16로 진행된다. 단계 S16에서는, 반도체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로 되고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도 9를 이용하여 제2 제어부(20)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4)의 감속도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2 제어부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 저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다.
본 처리는, 제2 제어부(20) 내에서 주기적으로 호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단계 S21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0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0인 경우는, 단계 S22로 진행된다. 단계 S22에서는, 변수의 초기화 처리로서 타이머 리셋과 속도 제한치의 초기화가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머 카운트 t가 0으로 되돌려진다. 또한 속도 제한치가 VMAX로부터 VLIM으로 되돌려진다.
그 후, 단계 S23으로 진행되어, 브레이크 흡인 지령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브레이크 흡인 지령이 있는 경우는 단계 S24로 진행된다. 단계 S24에서는,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온(ON) 상태로 되고 그 주기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단계 S23에 브레이크 흡인 지령이 없으면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는,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오프(OFF) 상태로 되고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1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0이 아닌 경우는, 단계 S26으로 진행된다. 단계 S26에서는, 도어 스위치(10, 12)의 검출 상태가 문열림 상태에서 도어 존 센서(13)의 검출 상태가 도어 존 밖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문열림 상태 및 도어 존 밖인 경우는, 단계 S25로 진행되고,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오프(OFF) 상태로 된 후,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문닫힘 상태 또는 도어 존 내인 경우는, 단계 S27로 진행된다. 단계 S27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의 절대치가 VLIM보다 작은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의 절대치가 VLIM 이상인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가 과대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 단계 S25로 진행되고,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오프(OFF) 상태로 된 후,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엘리베이터 칸(4)의 속도의 절대치가 VLIM보다 작은 경우는, 단계 S28로 진행된다. 단계 S28에서는, 타이머 카운트 t가 0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타이머 카운트 t가 0인 경우는, 단계 S29로 진행된다. 단계 S2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가 문턱값 αL보다 큰지 여부가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가 문턱값 αL보다 큰 경우는, 통상 주행 중이나 감속도가 작은 급정지 중이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 단계 S30으로 진행되어,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온(ON) 상태로 되고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29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가속도가 문턱값 αL이하인 경우는, 단계 S31로 진행된다. 단계 S31에서는, 타이머 카운트 t를 인크리먼트(increment) 한다. 그 후, 단계 S30에 진행되고, 감속도 제어를 위해서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온(ON) 상태로 되고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단계 S28에서 타이머 카운트 t가 0이 아닌 경우는, 단계 S32로 진행된다. 단계 S32에서는, 타이머 카운트 t가 소정 시간 tmax보다 큰지 여부가 판단된다. 타이머 카운트 t가 소정 시간 tmax 이하인 경우는, 브레이크 장치(7)에 제동력이 발생할 때까지의 낭비 시간으로 인식된다. 이 경우, 단계 S31에서 타이머 카운트 t를 인크리먼트 한 후, 단계 S30에서 감속도 제어를 위해서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온(ON) 상태로 되고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것에 대해, 단계 S32에서 타이머 카운트 t가 소정 시간 tmax보다 큰 경우는, 감속도 제어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 단계 S33으로 진행되어, 속도 제한치 VLIM로부터 1 주기 분의 V1만 공제한 값을 새로운 속도 제한치 VLIM로 한다. 그 후, 단계 S30으로 진행되고, 감속도 제어를 위해서 브레이크 릴레이(17)가 온(ON)으로 되고 그 주기에서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2 제어부(20)는 안전 회로(28)가 엘리베이터 칸(4)을 급정지시키려고 하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의 감속도가 소정의 감속도가 되도록 제1 제어부(18)에 대신해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한다. 게다가 제2 제어부(20)는 주회로 릴레이(16)가 권상기(2)로의 전력 공급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차단하는 상태로 바뀌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4)의 감속도가 소정의 감속도가 되도록 제1 제어부(18)에 대신해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한다. 이 때문에, 감속도 제어 기능을 용이한 방법으로 통상의 엘리베이터에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기 구성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하고, 제어반(14)의 플랫폼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및 2의 동작에 한정하지 않고, 이상 검출 시에 제2 제어부(20)에 의해서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제어반(14)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검출부에 의한 이상 검출 시에, 제2 제어부(20)가 제1 제어부(18)에 대신해 브레이크 장치(7)를 제어하는 구성을 하면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반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상용 전원,  2 권상기, 
3 메인 로프,  4 엘리베이터 칸,
5 균형추, 6 회전 검출기, 
7 브레이크 장치, 8 브레이크 코일, 
9 엘리베이터 칸의 문, 10 엘리베이터 칸의 문용 도어 스위치, 
11 승강장의 문,  12 승강장의 문용 도어 스위치,
13 도어 존 센서,  14 제어반,
15 전력 변환기, 16 주회로 릴레이, 
17 브레이크 릴레이,  18 제1 제어부,
19 제1 입출력부, 20 제2 제어부,
21 제2 입출력부, 22 버스, 
23 플래시 ROM,  24 CPU, 
25 RAM, 26 입력 포트, 
27 출력 포트,  28 안전 회로, 
29 기타 입력 신호, 30 기타 출력 신호, 
31 버스,  32 플래시 ROM,
33 CPU, 34 RAM, 
35 입력 포트,  36 출력 포트, 
37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 38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 
39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 상태,
40 브레이크 릴레이의 동작 상태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는 권상기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어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제어반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이상 검출 시에 상기 제1 제어부를 대신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도어 존 센서와 도어 스위치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문이 열린 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주행하는 문열림 주행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한 상기 문열림 주행 검출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급정지한 후에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제어부를 대신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는 안전 장치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안전 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급정지시키려고 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검출부에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로부터 연산되는 감속도가 소정치가 되도록 상기 제1 제어부를 대신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로의 전력 공급의 유지 및 차단을 실시하는 주회로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주회로 릴레이의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주회로 릴레이가 상기 권상기로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상태로부터 차단하는 상태로 바뀌었을 경우에, 상기 검출부에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속도로부터 연산되는 감속도가 소정치가 되도록 제1 제어부를 대신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27005827A 2009-11-18 2009-11-18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54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9540 WO2011061819A1 (ja) 2009-11-18 2009-11-18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043A KR20120054043A (ko) 2012-05-29
KR101354728B1 true KR101354728B1 (ko) 2014-01-22

Family

ID=4405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827A KR101354728B1 (ko) 2009-11-18 2009-11-18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02869B1 (ko)
JP (1) JP5360225B2 (ko)
KR (1) KR101354728B1 (ko)
CN (1) CN102596778B (ko)
WO (1) WO2011061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37508C2 (ru) * 2013-03-12 2015-01-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Комплекс"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CN103395668B (zh) * 2013-08-20 2015-08-05 黄平刚 一种用于升降机的紧急驻停保护装置
CN103803366B (zh) 2013-12-19 2016-04-27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抱闸力矩检测方法
JP6132976B2 (ja) * 2014-04-03 2017-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S2763933T3 (es) * 2016-08-02 2020-06-01 Kone Corp Procedimiento, unidad de control de ascensor, y sistema de ascensor para ajustar dinámicamente un límite de velocidad de nivelación de una cabina de asc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562A (ja) * 2000-12-25 2002-07-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保全作業支援装置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WO2008090601A1 (ja) 2007-01-23 200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JP2008230757A (ja) 2007-03-20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5257B2 (ja) * 1991-12-10 1997-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7157211A (ja) 1993-12-03 1995-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FI119878B (fi) * 2005-02-04 2009-04-30 Kone Corp Järjestelmä ja menetelmä hissin turvallisuuden parantamiseksi
JP2007055691A (ja) 2005-08-22 2007-03-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戸開発車防止装置
JP2007084243A (ja) * 2005-09-21 2007-04-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保守装置
JP4252586B2 (ja) 2006-07-10 2009-04-08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
EP2765107B1 (en) * 2006-03-17 2015-03-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JP2008133096A (ja) * 2006-11-28 2008-06-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FI120828B (fi) * 2007-02-21 2010-03-31 Kone Corp Elektroninen liikkeenrajoitin ja menetelmä elektronisen liikkeenrajoittimen ohjaamiseksi
FI119508B (fi) * 2007-04-03 2008-12-15 Kone Corp Vikaturvallinen tehonohjauslaitteisto
US8167094B2 (en) * 2007-04-26 2012-05-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KR101034926B1 (ko) * 2007-06-14 2011-05-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263109A (ja) * 2008-04-28 2009-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3562A (ja) * 2000-12-25 2002-07-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保全作業支援装置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WO2008090601A1 (ja) 2007-01-23 200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JP2008230757A (ja) 2007-03-20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6778A (zh) 2012-07-18
EP2502869B1 (en) 2017-01-25
EP2502869A1 (en) 2012-09-26
WO2011061819A1 (ja) 2011-05-26
CN102596778B (zh) 2014-04-23
EP2502869A4 (en) 2014-12-10
KR20120054043A (ko) 2012-05-29
JP5360225B2 (ja) 2013-12-04
JPWO2011061819A1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0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101491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9555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74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233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32557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5472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1899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1674996A (zh) 电梯装置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219230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KR20120014003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2018013494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1013713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167135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10070381A (ja) エレベータ
JP7350170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JP7403393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と制御方法
JP201115301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912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044930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16038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200801106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50050218A (ko) 영속제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과속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