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947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947A
KR20180134947A KR1020187032381A KR20187032381A KR20180134947A KR 20180134947 A KR20180134947 A KR 20180134947A KR 1020187032381 A KR1020187032381 A KR 1020187032381A KR 20187032381 A KR20187032381 A KR 20187032381A KR 20180134947 A KR20180134947 A KR 20180134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ntact
power
brake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이노우에
나오토 오누마
도모아키 데루누마
나오키 다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8013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제1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전원 개폐기(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와, 전원과 브레이크 회로(14, 15)를 연결하는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1 접점(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와, 제1 접점에 병렬로 접속되고,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2 접점(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3 제어 회로와, 전력 변환기(4)의 운전을 제어함과 함께,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 및 제3 제어 회로를 제어 대상으로 하여 관리하는 제어 컨트롤러(5)를 구비하고, 제어 컨트롤러(5)는,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시에, 제1 제어 회로에 대하여 전원 개폐기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전력 변환기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제어 회로에 대하여 제1 접점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브레이크 회로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그 후, 제3 제어 회로에 대하여 제2 접점의 폐쇄 동작을 지령하여,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제1 접점을 바이패스시켜, 브레이크 회로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본 발명은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을 실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전력 변환기로부터 전동기를 회전시키고, 전동기와 연결되어 있는 시브를 통해, 로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프와 접속되어 있는 카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전력 변환기나 전동기, 전동기와 접속한 엔코더 등, 구동 시스템의 일부가 고장났을 경우, 엘리베이터는 정지한다. 엘리베이터의 카가 정지한 위치가 층과 층 사이이며, 이때에 승객이 카 내에 있으면 갇힘이 발생한다. 갇힌 상태에서는 카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승객의 안전성은 담보되지만, 승객은 불쾌감을 받게 된다.
이러한 구동 시스템의 고장에 의해 갇힌 승객을 구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보수 작업원에 의해 행해진다. 특히, 카 내의 중량이 균형추와 균형이 잡혀 있지 않을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개방함으로써, 균형추와의 언밸런스를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층까지 카를 이동시킴으로써 승객을 구출한다. 또한, 그 밖의 구출 방법으로서는, 가장 가까운 층이 아니라, 승객을 구출하기 위해 승강로 내에 마련된 구출구까지 카를 이동시켜 승객을 구출하는 방법이나, 정상적인 인접호기를 정지한 카 옆으로 갖다 대어, 정지한 카 내에 있는 승객을 카에 마련된 탈출구를 통해 정상적인 인접호기측으로 이동하는 구출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상기의 방법은 보수 작업원의 도착을 기다리고 나서 행해지기 때문에, 승객의 구출에 대기 시간이 발생한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브레이크의 개방을 자동으로 행하는 전용의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조기에 구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국제공개 제2010/05845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장치와는 독립하여 구출 작업을 행하기 위한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접속하고, 그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부터 브레이크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브레이크를 개방하여, 카를 이동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구출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해져, 구출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일반적인 구출 작업 방법으로는, 보수 작업원이 브레이크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카를 이동하거나, 권상기의 시브에 접속되는 수동감기 핸들을 돌리거나 함으로써, 카를 이동한다는 것이 행해지지만, 어느 작업도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의 현장까지 이동하지 않으면 구출 작업을 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구출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시에, 카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로프가 감아걸리는 시브와, 상기 시브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기와, 상기 시브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동작 또는 상기 시브에 대한 제동력을 개방하는 개방 동작을 실시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전력 변환기를 연결하는 제1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전원 개폐기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았을 때에 상기 브레이크에 상기 개방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브레이크에 상기 제동 동작을 실시시키는 브레이크 회로와, 상기 전원과 상기 브레이크 회로를 연결하는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1 접점과, 상기 제1 접점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2 접점과, 상기 전원 개폐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1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3 제어 회로와, 상기 전력 변환기의 운전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제어 회로 및 상기 제3 제어 회로를 제어 대상으로 하여 관리하는 제어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컨트롤러는, 상기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시에, 상기 제1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전원 개폐기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상기 전력 변환기에 대한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제1 접점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상기 브레이크 회로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그 후, 상기 제3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제2 접점의 폐쇄 동작을 지령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 접점을 바이패스시켜, 상기 브레이크 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시에, 카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도.
도 3은 제어 컨트롤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제어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를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외부 전원(1)으로부터 차단기(2)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시스템으로서, 콘택터(3)와, 전력 변환기(4)와, 제어 컨트롤러(5)와, 전원 제어 회로(6)와, 권상기(7)와, 카(탑승카)(8)와, 조속기(9)와, 트랜스(10)와, 제1 접점(11)과, 제2 접점(12)과, 전력 변환 회로(13)와, 콘택터(14)와, 브레이크 코일(15)과, 브레이크(16)와, 로프(1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콘택터(3)와 트랜스(10)의 1차측이 각각 차단기(2)에 접속된다.
차단기(2)는, 제어반에 마련된 스위치이며, 외부 전원(1)의 공급을 수동으로 전환한다. 콘택터(3)는, 외부 전원(1)과 전력 변환기(4)를 연결하는 제1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전원 개폐기로서, 전력 변환기(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개폐 장치이며, 제어 컨트롤러(5) 및 전원 제어 회로(6)에 의해 제어된다. 전력 변환기(4)는, 권상기(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이며, 예를 들면, 인버터로 구성되고,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의 속도 지령에 의해 출력 전력이 제어된다. 제어 컨트롤러(5)는, 카(8)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속도 지령을 전력 변환기(4)에 출력함과 함께, 콘택터(3), 제1 접점(11), 제2 접점(12)을 제어하기 위한 지령을 전원 제어 회로(6)에 출력한다. 전원 제어 회로(6)는,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의 지령을 바탕으로 콘택터(3), 제1 접점(11), 제2 접점(12)을 제어한다. 권상기(7)는, 카(8)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서, 브레이크 드럼과,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축의 일단(一端)에 연결된 권상기용 모터와,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축의 타단(他端)에 연결된 시브(모두 도시 생략)를 갖고, 시브에 로프(주(主)로프)(17)가 감아걸리고, 로프(17)의 일단측이 카(8)에 연결되고, 로프(17)의 타단측이 균형추(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이때, 권상기용 모터는, 시브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로서 구성되고, 전력 변환기(4)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기로서 구성된다. 조속기(9)는, 풀리(18)와 종(從)로프(19)를 통해 카(8)의 속도를 검출하는 안전 장치이며, 카(8)의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전원 제어 회로(6)에 속하는 안전 회로에 있어서의 전기 신호를 차단하고, 동력 전원(차단기(2)로부터 콘택터(3)측에 분배되는 전력으로 구성되는 전원)과 브레이크 전원(차단기(2)로부터 트랜스(10)측에 분배되는 전력으로 구성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카(8)를 제동한다.
제1 접점(11)은, 콘택터(14)와 브레이크 코일(15)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접점(외부 전원(1)과 브레이크 회로를 연결하는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1 접점)이다. 제1 접점(11)이 투입됨으로써, 브레이크 회로에 전력이 공급되고, 브레이크 코일(15)의 여자(勵磁)에 의해 브레이크(16)가 작동한다. 브레이크(16)가 작동하면, 브레이크(16)가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떨어져, 카(8)의 제지가 해제된다. 이때, 제1 접점(11)은, 안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회로(6) 및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된다. 제2 접점(12)은, 제1 접점(11)과는 독립하여 브레이크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접점(제1 접점(11)에 병렬로 접속되고,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2 접점)이다. 제2 접점(12)은, 제1 접점(11)과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안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회로(6) 및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된다.
전력 변환 회로(13)는, 예를 들면,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된 브릿지(bridge) 회로이며, 트랜스(10)의 출력에 의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브레이크 회로에 원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콘택터(14)는, 브레이크 회로에 있어서의 콘택터이며, 브레이크(16)에 의한 제동을 행할 때에, 투입이 해제되는 장치이다. 콘택터(14)는, 안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제어 회로(6) 및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된다. 브레이크 코일(15)은, 브레이크(16)를 전자력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회로 소자이다. 통상 브레이크 코일(15)에의 전력 인가에 의해, 브레이크(16)가 끌어올려져, 권상기(7)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고, 한편, 브레이크 코일(15)에의 전력 차단에 의해, 브레이크(16)가 끌어내려져, 권상기(7)가 제지 상태로 된다. 이때, 브레이크(16)는, 시브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동작 또는 시브에 대한 제동력을 개방하는 개방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콘택터(14)와 브레이크 코일(15)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회로는, 전원(외부 전원(1))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았을 때에, 브레이크(16)에 개방 동작을 실시시키고,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 브레이크(16)에 제동 동작을 실시시키게 된다.
도 2는, 전원 제어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전원 제어 회로(6)는, 콘택터(3)와 제1 접점(11) 및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로서, 안전 회로(20)와, 회로(21, 23, 25)와, 버퍼 회로(22, 24, 26)로 구성되고, 회로(21, 23, 25) 및 버퍼 회로(22, 24, 26)가, 안전 회로(20)와 직렬이 되어, 직류 전원(+B)과 어스(GND)를 연결하는 급전 회로 안에 삽입되어 있다.
안전 회로(20)는, 안전 장치군에 속하는 복수의 접점(20a, 20b, 20c, 20d)으로 구성되고, 각 접점이 직렬로 접속된다(복수의 안전 장치의 작동 또는 비작동에 응답하는 복수의 접점이 서로 직렬로 접속됨). 각 접점(20a∼20d)은, 예를 들면, 카(8)의 목적지를 지나침을 검출하는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카(8)의 속도 초과를 검출하는 거버너 스위치, 승강장의 문개폐 검출 스위치, 카(8)의 문개폐 검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접점(20a∼20d) 중, 어느 하나의 접점이 OFF가 되면, 급전 회로가 개방되고, 회로(21, 23, 25)와, 버퍼 회로(22, 24, 26)에의 급전이 차단된다. 예를 들면, 거버너 스위치가 동작했을 경우에는, 거버너 스위치의 접점이 OFF가 됨으로써, 급전 회로가 개방되어, 콘택터(3), 제1 접점(11) 및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1, 23, 25)에의 전원 공급이 끊어지고, 전력 변환기(4) 및 권상기(7)의 동력 전원이 차단되어,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해, 카(8)가 제동한다.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는, 회로(21)에의 전력 공급이 끊어졌을 때에, 콘택터(3)를 차단(오프)하여, 전력 변환기(4)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회로(21)에의 전력 공급시에는, 콘택터(3)를 도통(道通) 상태(온)로 하여, 전력 변환기(4)에 전력을 공급한다.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의 2차측에 접속된 버퍼 회로(22)는,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되는 회로이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를 실시할 때에, 제어 컨트롤러(5)가 버퍼 회로(22)를 투입함으로써, 안전 장치군이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각 접점(20a∼20d)이 온)이면, 회로(21)에 전력이 공급되고, 콘택터(3)가 도통 상태가 되어, 전력 변환기(4)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회로(21)와 버퍼 회로(22)는, 콘택터(전원 개폐기)(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로서 구성된다.
제1 접점(11)을 제어하는 회로(23)는, 회로(23)에의 전력 공급이 끊어졌을 때에, 제1 접점(11) 및 콘택터(14)를 차단하여, 브레이크 코일(15)에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회로(23)에의 전력 공급시에는, 제1 접점(11) 및 콘택터(14)를 도통 상태로 하여, 브레이크 코일(15)에 전력을 공급한다. 브레이크 코일(15)에의 전력 공급이 끊어짐으로써, 브레이크(16)에 의해 카(8)에 대한 제동이 실시되고, 브레이크 코일(15)에의 전력 공급시에는, 브레이크(16)의 개방이 실시되어, 브레이크(16)에 의한 카(8)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제1 접점(11)을 제어하는 회로(23)의 2차측에 접속된 버퍼 회로(24)는,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되는 회로이며, 기본적으로는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의 2차측에 접속된 버퍼 회로(22)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브레이크(16)의 개방 또는 제동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안전 장치군이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각 접점(20a∼20d)이 온)에서, 제어 컨트롤러(5)가 버퍼 회로(24)를 투입했을 경우, 제1 접점(11) 및 콘택터(14)가 도통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16)의 개방이 실시되고, 제어 컨트롤러(5)가 버퍼 회로(24)를 투입하지 않을 경우, 제1 접점(11) 및 콘택터(14)가 비도통 상태로 되어, 브레이크(16)의 제동이 실시된다. 이때, 회로(23)와 버퍼 회로(24)는, 제1 접점(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로서 구성된다.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는,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 및 제1 접점(11)을 제어하는 회로(23)와 병렬로 접속된 회로이며, 제1 접점(11)을 바이패스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의 2차측에 접속된 버퍼 회로(26)는, 제어 컨트롤러(5)로부터 제어되는 회로이며, 콘택터(3) 및 제1 접점(11)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접점(11)을 바이패스하기 위한 투입용 회로이다. 즉, 안전 장치군이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각 접점(20a∼20d)이 온)에서, 제어 컨트롤러(5)가 버퍼 회로(26)를 투입했을 경우, 제2 접점(12)이 도통 상태가 되어, 콘택터(3) 및 제1 접점(11)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전원이 제1 접점(11)을 바이패스하여 브레이크 회로에 공급된다. 이때, 회로(25)와 버퍼 회로(26)는, 제2 접점(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3 제어 회로로서 구성된다. 또한, 제어 컨트롤러(5)는, 전력 변환기(4)의 운전을 제어함과 함께, 제1 제어 회로와 제2 제어 회로 및 제3 제어 회로를 제어 대상으로 하여 관리한다.
다음으로,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 및 버퍼 회로(26)의 이용 방법 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레이크(16)의 개방 운전에 의한 승객의 구출 운전을 행할 경우에는, 브레이크 회로에의 급전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전력 변환기(4)가 급전 상태이면, 권상기(7)의 모터가 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어 컨트롤러(5)가 버퍼 회로(22, 24)를 투입하지 않고, 버퍼 회로(22, 24)를 오프로 함으로써,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 및 제1 접점(11)을 제어하는 회로(23)를 차단하고, 우선 카(8)를 제지하고, 그 후, 제어 컨트롤러(5)가 버퍼 회로(26)를 투입함으로써,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를 도통 상태로 하고, 브레이크 전원을 제2 접점(12)을 통해 브레이크 회로에만 급전을 행할 수 있고, 브레이크(16)를 열어 실시하는 구출 운전을 시스템으로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어 컨트롤러(5)는, 브레이크(16)의 개방 운전시에, 제1 제어 회로에 대하여 콘택터(전원 개폐기)(3)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전력 변환기(4)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제어 회로에 대하여 제1 접점(11)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브레이크 회로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그 후, 제3 제어 회로에 대하여 제2 접점(12)의 폐쇄 동작을 지령하여, 전원(외부 전원(1))으로부터의 전력을 제1 접점(11)을 바이패스시켜, 브레이크 회로에 공급한다. 이 경우, 각 안전 장치가 비작동 상태로서, 안전 회로(20)에 속하는 각 접점이 폐쇄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콘택터(전원 개폐기)(3)와 제1 접점(11)이 개방 동작을 실행하고, 제2 접점(12)이 폐쇄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의 1차측에는, 안전 장치군의 안전 회로(20)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16)의 개방 운전 중에 있어서도, 어느 안전 장치가 작동했을 경우에,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에의 전력 공급이 끊어짐으로써, 브레이크 회로에의 급전도 차단되어, 브레이크(16)에 의한 제동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안전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작동 상태이며, 안전 회로(20)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접점이 개방 동작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제2 접점(12)이 개방 동작을 실행한다.
도 3은, 제어 컨트롤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제어 컨트롤러(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의 정보 처리 자원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이다. CPU는,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구출 운전 개시 검출 처리(30)를 실행하고, 안전 장치 출력이 입력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각 안전 장치가 작동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안전 장치 검출 처리(31)를 실행하고, 회로(21·23·25)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회로(21·23·25) 검출 처리(32)를 실행하고, 구출 운전 개시 검출 처리(30)와 안전 장치 검출 처리(31) 및 회로(21·23·25) 검출 처리(32)의 각 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브레이크 회로 투입 처리(33)를 실행한다. 즉, 브레이크 회로 투입 처리(33)는, 구출 운전 개시 검출 처리(30)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의 상태와, 안전 장치 검출 처리(31)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안전 장치의 작동 상태, 및 회로(21·23·25) 검출 처리(32)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각 회로(21·23·25)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바탕으로 실행된다. 또한,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은, 제어 컨트롤러 내의 별도의 소프트웨어 처리로부터 출력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보수 작업원이 수동으로 입력해도 된다.
CPU는, 예를 들면,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입력되어, 구출 운전 개시 검출 처리(30)를 실행했을 경우, 브레이크 회로 투입 처리(33)의 처리 결과로서,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를 차단하기 위한 지령을 작성하는 회로(21) 지령 작성 처리(34)를 실행함과 함께, 제1 접점(11)을 제어하는 회로(23)를 차단하기 위한 지령을 작성하는 회로(23) 지령 작성 처리(35)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는, 브레이크 회로 투입 처리(33)에서, 콘택터(3)를 제어하는 회로(21) 및 제1 접점(11)을 제어하는 회로(23)가 차단된 것을 피드백 신호로부터 확인한 후,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를 투입하기 위한 지령을 작성하는, 회로(25) 지령 작성 처리(36)를 실행한다. 그리고 또한, CPU는, 브레이크 회로 투입 처리(33)에서, 구출 운전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했을 경우, 구출 운전 상태 출력 처리(37)를 실행한다. 또한, 회로(21) 지령 작성 처리(34), 회로(23) 지령 작성 처리(35), 회로(25) 지령 작성 처리(36)에서는, 각각 브레이크 회로 투입 처리(33)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각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지령이 각 버퍼 회로(22, 24 및 26)에 출력된다. 또한, 구출 운전 상태 출력 처리(37)에서는, 구출 운전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신호가, 예를 들면, 구출 운전을 실시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블록이나, 기판에 붙어 있는 LED, 제어 컨트롤러(5)에 접속되는 별도의 제어 단말 등에 출력된다.
도 4는, 제어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있어서, 우선, 제어 컨트롤러(5)는,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온(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제어 컨트롤러(5)는,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ON이 아닐 경우, 즉,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입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 루틴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ON이었을 경우, 즉, 제어 컨트롤러(5)에 접속되는 입력 장치로부터 구출 운전 개시 지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 컨트롤러(5)는, 각 회로(21·23·25)의 피드백 신호가 오프(OFF)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2), 스텝 S102에서 NO였을 경우, 즉, 어느 피드백 신호가 ON이었을 경우, 다시 각 회로(21·23·25)를 OFF로 하는 지령을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하고(스텝 S103), 스텝 S102에서 YES였을 경우, 즉, 어느 피드백 신호가 OFF였을 경우, 회로(21) 및 회로(23)를 OFF로 하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고, 회로(25)를 ON으로 하기 위한 지령을 출력한다(스텝 S104). 즉, 제어 컨트롤러(5)는, 제2 접점(12)을 투입함으로써, 전력을, 차단되어 있는 제1 접점(11)을 바이패스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이후, 제어 컨트롤러(5)는, 회로(21·23)의 피드백 신호가 OFF, 회로(25)의 피드백 신호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스텝 S105에서 YES일 경우, 즉, 피드백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을 경우, 제어 컨트롤러(5)는, 구출 운전을 개시 가능한 것을 출력하고(스텝 S106),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5에서 NO일 경우, 즉, 피드백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을 경우, 제어 컨트롤러(5)는, 어느 회로의 고장을 판정하여, 처리를 정지하고(스텝 S107),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시에, 카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개방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어 컨트롤러(5)가, 권상기(7)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변환기(4)에의 전력을 차단하면서, 브레이크(16)에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브레이크(16)를 열어 카(8)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변환기(4)에의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권상기(7)의 모터측의 불필요한 동작을 배제할 수 있어, 브레이크(16)의 개방 운전 중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는, 제2 접점(12)을 제어하는 회로(25)의 1차측이 안전 회로(20)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브레이크(16)의 개방 운전 중에, 어느 안전 장치가 작동했을 때에, 브레이크(16)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브레이크(16)에 의한 비상 제동을 실시할 수 있어, 브레이크(16)의 개방 운전 중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 기능 등은, 그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예를 들면, 집적 회로로 설계하는 등에 의해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각 구성, 기능 등은, 프로세서가 각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해석하고, 실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각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파일 등의 정보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의 기록 장치, 또는, IC 카드, SD 카드,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3: 콘택터 4: 전력 변환기
5: 제어 컨트롤러 6: 전원 제어 회로
7: 권상기 8: 카
9: 조속기 11: 제1 접점
12: 제2 접점 14: 콘택터
15: 브레이크 코일 16: 브레이크
20: 안전 회로 21, 23, 24: 회로
22, 24, 26: 버퍼 회로

Claims (3)

  1. 탑승카와, 상기 탑승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로프가 감아걸리는 시브(sheave)와, 상기 시브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력 변환기와, 상기 시브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동 동작 또는 상기 시브에 대한 제동력을 개방하는 개방 동작을 실시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전력 변환기를 연결하는 제1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전원 개폐기와,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았을 때에 상기 브레이크에 상기 개방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 상기 브레이크에 상기 제동 동작을 실시시키는 브레이크 회로와,
    상기 전원과 상기 브레이크 회로를 연결하는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1 접점과,
    상기 제1 접점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전원 경로를 개폐하는 제2 접점과,
    상기 전원 개폐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1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접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3 제어 회로와,
    상기 전력 변환기의 운전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제어 회로 및 상기 제3 제어 회로를 제어 대상으로 하여 관리하는 제어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컨트롤러는,
    상기 브레이크의 개방 운전시에, 상기 제1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전원 개폐기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상기 전력 변환기에 대한 상기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제1 접점의 개방 동작을 지령하여, 상기 브레이크 회로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그 후, 상기 제3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제2 접점의 폐쇄 동작을 지령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제1 접점을 바이패스시켜, 상기 브레이크 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안전 장치의 작동 또는 비작동에 응답하는 복수의 접점이 서로 직렬로 접속된 안전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제어 회로 및 상기 제3 제어 회로는,
    직류 전원과 어스를 연결하는 급전 회로 안에 삽입되어, 서로 병렬로 접속되며, 또한 상기 안전 회로와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각 안전 장치가 비작동 상태이며, 상기 안전 회로에 속하는 각 접점이 폐쇄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전원 개폐기와 상기 제1 접점이 상기 개방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 접점이 상기 폐쇄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작동 상태이며, 상기 안전 회로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접점이 개방 동작 상태가 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2 접점이 개방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87032381A 2016-07-04 2017-04-27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80134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2387 2016-07-04
JP2016132387A JP6578253B2 (ja) 2016-07-04 2016-07-04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PCT/JP2017/016861 WO2018008244A1 (ja) 2016-07-04 2017-04-27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947A true KR20180134947A (ko) 2018-12-19

Family

ID=6091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381A KR20180134947A (ko) 2016-07-04 2017-04-27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80155B1 (ko)
JP (1) JP6578253B2 (ko)
KR (1) KR20180134947A (ko)
CN (1) CN109153538B (ko)
WO (1) WO2018008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0076B1 (en) * 2016-01-07 2019-06-12 Kone Corporation Motion feedback in an elevator
JP7248156B1 (ja) * 2022-01-24 2023-03-2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待機型ブレーキを具えたエレベ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595A (en) * 1922-12-29 1924-01-17 Charles Edward Raeburn Improvements relating to safety devices for winding or hoisting apparatus
US2823341A (en) * 1955-09-12 1958-02-11 Cutler Hammer Inc Electric motor-brake hoist control system
CN2042837U (zh) * 1988-06-15 1989-08-16 王兴茂 电梯用半导体-继电器逻辑控制装置
CN2586676Y (zh) * 2002-11-04 2003-11-19 李立忠 一种电梯停电应急装置
JP2007276986A (ja) * 2006-04-11 2007-10-2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故障救出方法
CN201071232Y (zh) * 2007-04-30 2008-06-11 王贤长 一种具有电能回馈功能的电梯控制装置
JP5240684B2 (ja) * 2007-07-04 2013-07-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223303B1 (ko) 2008-11-18 2013-0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6232514B (zh) * 2013-12-17 2018-07-1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EP3072842B1 (en) * 2015-03-23 2019-09-25 Kone Corporation Elevator rescu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53538B (zh) 2020-01-07
JP6578253B2 (ja) 2019-09-18
WO2018008244A1 (ja) 2018-01-11
JP2018002405A (ja) 2018-01-11
CN109153538A (zh) 2019-01-04
EP3480155A1 (en) 2019-05-08
EP3480155A4 (en) 2020-03-25
EP3480155B1 (en)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70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804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97745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50530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2557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6893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317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912813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13494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3388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5472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8274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471020B (zh) 电梯的控制装置
KR101219230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회로 장치
KR10124699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915388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19939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16038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517901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020078161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