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843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843B1
KR101338843B1 KR1020127004743A KR20127004743A KR101338843B1 KR 101338843 B1 KR101338843 B1 KR 101338843B1 KR 1020127004743 A KR1020127004743 A KR 1020127004743A KR 20127004743 A KR20127004743 A KR 20127004743A KR 101338843 B1 KR101338843 B1 KR 10133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ignal
control device
brak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293A (ko
Inventor
준 하시모토
마스노리 시바타
히데아키 마루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나도 모터 전원 릴레이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모터 또는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릴레이와, 릴레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드라이버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운행제어장치와, 통상시는 운행제어장치에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시는 운행제어장치에 출력된 제어신호와는 독립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와, 운행제어장치에 출력된 제어신호와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출력된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출력된 제어신호에서, 운행제어장치에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환하는 전환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비상 정지시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지 않고,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의해 모터 전원 릴레이나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를 제어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의한 모터 전원 릴레이 등의 제어에 의해, 탑승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 등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07/06073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나서 모터 전원 릴레이나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가 제어 불능이 되면, 탑승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 등으로 주행시킬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비상 정지시에 이용자를 탑승 엘리베이터 칸 내에 가두어 버리는 일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나도 모터 전원 릴레이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모터 또는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운행제어장치와, 통상시는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시는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는 독립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와,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서,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환하는 전환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나도 모터 전원 릴레이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모터 전원이다. 2는 전력변환장치이다. 3은 모터이다. 이 모터(3)는 전력변환장치(2)를 통해 모터 전원(1)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4는 쉬브(sheave)이다. 이 쉬브(4)는 모터(3)의 회전에 추종해 회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5는 메인로프이다. 이 메인로프(5)는 쉬브(4)에 감길 수 있다. 6은 탑승 엘리베이터 칸이다. 이 탑승 엘리베이터 칸(6)은 메인로프(5)의 일단에 연결된다. 7은 균형추이다. 이 균형추(7)는 메인로프(5)의 타단에 연결된다.
8은 브레이크 전원이다. 9는 브레이크 코일이다. 10은 브레이크 패드이다. 이 브레이크 패드(10)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가압력과 브레이크 코일(9)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력에 기초해서 모터(3)에 제동력을 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11은 모터 전원 릴레이 접점이다. 이 모터 전원 릴레이 접점(11)은 a접점으로 이루어진다. 이 모터 전원 릴레이 접점(11)은 모터 전원(1)과 전력변환장치(2) 사이의 배선 상에 마련된다. 12는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접점이다. 이 브레이크 전원 접점(12)은 a접점으로 이루어진다. 이 브레이크 전원 접점(12)은 브레이크 코일(9)과 접지 사이의 브레이크 코일용 배선 상에 마련된다.
13은 릴레이 전원이다. 14는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이다. 이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14)은 릴레이 전원(13)의 모터 전원 릴레이용 배선 상에 배치된다. 이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14)은 모터 전원 릴레이 접점(11)의 폐쇄 및 개방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15는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코일이다. 이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코일(15)은 릴레이 전원(13)과 접지 사이의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용 배선 상에 배치된다. 이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코일(15)은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접점(12)의 폐쇄 및 개방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16은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이다. 이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6)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이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6)는 모터 전원 릴레이용 배선 상에서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14)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17은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이다. 이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7)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이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7)는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용 배선 상에서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코일(15)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18은 브레이크 코일 전류 제어 드라이버이다. 이 브레이크 코일 전류 제어 드라이버(18)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이 브레이크 코일 전류 제어 드라이버(18)는 브레이크 코일용 배선 상에서, 브레이크 코일(9)과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접점(12)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된다.
19는 운행제어장치이다. 이 운행제어장치(19)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운행제어장치(19)는 각 드라이버(16 ~ 18)에 대한 제어신호(AA)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20은 브레이크 제어장치이다. 이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운행제어장치(19)로부터의 제어신호(AA)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통상시에 제어신호(AA)에 따라 각 드라이버(16 ~ 18)에 대한 제어신호(BB)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게다가,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지진 감지기 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비상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운행제어장치(19)의 제어신호(AA)에 따르지 않고, 각 드라이버(16 ~ 18)에 대한 제어신호(BB)를 독자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자기진단기능에 의해 자신의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고장검출신호(CC)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고장검출신호(CC)는 전환장치(21)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환장치(21)에는 제어신호(BB) 뿐만 아니라 제어신호(AA)가 브레이크 제어장치(2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전환장치(2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환장치(21)는 신호전환회로(22), 신호차단타이머(23), 신호차단회로(24)를 구비한다. 신호전환회로(22)는 제어신호(AA), 제어신호(BB), 고장검출신호(CC)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신호전환회로(22)는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6)에 대한 제어신호(DD),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7)에 대한 제어신호(EE), 브레이크 코일 전류 제어 드라이버(18)에 대한 제어신호(FF)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신호차단타이머(23)는 고장검출신호(CC)가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신호차단타이머(23)는 고장검출신호(CC)가 입력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차단지령(GG)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신호차단회로(24)는 각 제어신호(DD, EE, FF), 차단지령(GG)이 입력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운행제어장치(19)의 제어신호(AA)에 따라 제어신호(BB)를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전환회로(22)가 제어신호(BB)에 따라 각 제어신호(DD, EE, FF)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신호(DD, EE, FF)는 신호차단회로(24)에 입력된다. 신호차단회로(24)는 제어신호(DD, EE, FF)를 각 드라이버(16 ~ 18)의 제어단자로 전달한다. 그리고, 각 제어신호(DD, EE, FF)에 따라 각 드라이버(16 ~ 18)가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모터(3)나 브레이크 코일(9)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된다.
이에 대해서, 비상 정지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운행제어장치(19)의 제어신호(AA)에 따르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감속도 저감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신호(BB)를 독자적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전환회로(22)가 독자적인 제어신호(BB)에 따라 각 제어신호(DD, EE, FF)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신호(DD, EE, FF)는 신호차단회로(24)에 입력된다. 신호차단회로(24)는 제어신호(DD, EE, FF)를 각 드라이버(16 ~ 18)의 제어단자로 전달한다. 그리고, 각 제어신호(DD, EE, FF)에 따라 각 드라이버(16 ~ 18)가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모터(3)나 브레이크 코일(9)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된다. 그리고, 모터(3)나 브레이크 패드(10)의 동작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감속도 저감 제어가 행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전환회로(22)는 고장검출신호(CC)가 입력되면, 신호차단회로(24)로 출력하는 제어신호(DD, EE, FF)를 제어신호(AA)에 따른 것으로 전환한다. 이때, 운행제어장치(19)는 고장검출신호(CC)가 입력되고 나서 일정시간 내에, 탑승 엘리베이터 칸(6)을 소정의 피난층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제어신호(AA)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AA)에 따라 신호전환회로(22)가 제어신호(DD, EE, FF)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신호(DD, EE, FF)는 신호차단회로(24)에 입력된다. 신호차단회로(24)는 제어신호(DD, EE, FF)를 각 드라이버(16 ~ 18)의 제어단자로 전달한다. 그리고, 각 제어신호(DD, EE, FF)에 따라 각 드라이버(16 ~ 18)가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모터(3)나 브레이크 코일(9)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된다. 그리고, 모터(3)나 브레이크 패드(10)의 동작에 따라 탑승 엘리베이터 칸(6)이 소정의 피난층까지 주행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고장나고 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신호차단 타이머(23)가 차단지령(GG)을 출력한다. 신호차단회로(24)는 차단지령(GG)의 입력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각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14) 및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코일(15)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과 아울러, 브레이크 코일(9)로의 전압 인가가 정지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사용 중지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환장치(21)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고장난 경우에, 각 드라이버(16 ~ 18)에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브레이크 제어장치(2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BB)에서, 운행제어장치(19)에서 출력된 제어신호(AA)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장치(10)가 고장나도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14) 등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어, 이용자를 탑승 엘리베이터 칸 내에 가두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환장치(21)는 고장검출신호(CC)가 입력되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각 드라이버(16 ~ 18)로의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차단회로(24)가 차단지령(GG)의 입력을 트리거로 하여 각 드라이버(16 ~ 18)로의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차단한다.
이 때문에, 탑승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이용자를 피난층 등에서 구출한 후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장치(20)의 고장 중에 부주의로 엘리베이터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고장나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각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차단하는 구성이었다. 한편,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에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각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즉시 차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차단타이머(23)의 건전성을 진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고장검출신호(CC)를 출력할 때의 고장보다 중대한 고장을 자기진단기능에 의해 검출했을 경우에, 중대고장검출신호(HH)를 출력한다. 신호차단회로(24)는 중대고장검출신호(HH)가 입력되면 각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즉시 차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 전원 릴레이 진단용 접점(25),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진단용 접점(26)이 마련된다. 이러한 접점(25, 26)은 b접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점신호(II, JJ)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14)과 브레이크 전원 코일(15)의 동작 상태를 검지한다.
게다가, 신호차단회로(24)는 각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차단한 경우에 차단 플래그(KK)를 설정한다. 이 차단 플래그(KK)는 브레이크 제어장치(20)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신호차단회로(24)의 동작 상태를 검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어떠한 호출 등록도 없는 경우 등에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6)와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7)에 각 릴레이 코일(14, 15)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BB)를 출력한 상태에서, 의사적(擬似的)으로 고장검출신호(CC)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차단타이머(23)가 건전하면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각 제어신호(DD, EE)의 전달이 차단될 일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의사적으로 고장검출신호(CC)를 출력하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처음으로 차단 플래그(KK)가 입력되면, 신호차단타이머(23)가 건전하다고 진단한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6)와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7)에 각 릴레이 코일(14, 15)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BB)를 출력한 상태에서, 의사적으로 중대고장검출신호(HH)를 출력한다.
이때, 신호차단타이머(23)가 건전하면, 의사적으로 중대고장검출신호(HH)를 출력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각 제어신호(DD, EE)의 전달이 즉시 차단될 것이다. 또한, 중대한 고장의 경우는 각 릴레이 코일(14, 15)의 구동이 실제로 정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중대고장검출신호(HH)를 출력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차단 플래그(KK)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진단용 접점(25, 26)과 관련된 접점신호(II, JJ)의 입력도 확인한 때에, 신호차단타이머(23)가 건전하다고 진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장치(20)에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각 제어신호(DD, EE, FF)의 전달을 즉시 차단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장치(20)에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는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즉시 중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제어장치(20)는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6)와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17)에 대한 제어신호(BB)를 출력한 상태에서, 의사적으로 고장검출신호(CC)나 중대고장검출신호(HH)를 출력해서 신호차단타이머(23)의 건전성을 진단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제어장치(20)가 실제로 고장났을 때에, 신호차단타이머(23)의 고장에 의해 제어신호(DD, EE)의 출력이 차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비상 정지시에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지 않고,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의해 모터 전원 릴레이나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모터 전원, 2 전력변환장치, 3 모터, 4 쉬브,
5 메인로프, 6 탑승 엘리베이터 칸, 7 균형추, 8 브레이크 전원,
9 브레이크 코일, 10 브레이크 패드, 11 모터 전원 릴레이 접점,
12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접점, 13 릴레이 전원,
14 모터 전원 릴레이 코일, 15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코일,
16 모터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 17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드라이버,
18 브레이크 코일 전류 제어 드라이버, 19 운행제어장치,
20 브레이크 제어장치, 21 전환장치, 22 신호전환회로,
23 신호차단타이머, 24 신호차단회로,
25 모터 전원 릴레이 진단용 접점, 26 브레이크 전원 릴레이 진단용 접점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모터 또는 브레이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운행제어장치와,
    통상시는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시는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는 독립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와,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서,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환하는 전환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고장시에 고장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고장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드라이버에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서,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환하고, 상기 고장검출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드라이버로의 제어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환장치는,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고장검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서, 상기 운행제어장치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로 전환하는 신호전환회로와,
    상기 고장검출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차단지령을 출력하는 신호차단타이머와,
    상기 신호전환회로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드라이버에 전달하고, 상기 차단지령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드라이버로의 제어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신호차단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상기 고장검출신호를 출력할 때의 고장보다 중대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중대고장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차단회로는 상기 중대고장검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드라이버로의 제어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고장검출신호와 동등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일정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신호차단회로가 상기 드라이버로의 제어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중대고장검출신호와 동등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신호차단회로가 상기 드라이버로의 제어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릴레이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신호차단타이머의 건전성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27004743A 2009-12-15 2009-12-15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38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0890 WO2011074068A1 (ja) 2009-12-15 2009-12-15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293A KR20120049293A (ko) 2012-05-16
KR101338843B1 true KR101338843B1 (ko) 2013-12-06

Family

ID=44166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743A KR101338843B1 (ko) 2009-12-15 2009-12-1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14703B1 (ko)
JP (1) JP5360231B2 (ko)
KR (1) KR101338843B1 (ko)
CN (1) CN102712444B (ko)
WO (1) WO2011074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9744B (zh) * 2011-08-16 2016-05-04 因温特奥股份公司 紧急状况中电梯制动器的触发
CN106132858B (zh) * 2014-04-03 2018-01-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WO2016113895A1 (ja) * 2015-01-16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安全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安全制御方法
CN107848734B (zh) 2015-08-07 2021-06-22 奥的斯电梯公司 操作包括永磁体(pm)同步电机驱动系统的电梯系统的救援控制和方法
KR102612854B1 (ko) 2015-08-07 2023-1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영구 자석(pm) 동기 모터 드라이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707A (ko) * 2006-03-02 2007-11-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080003771A (ko) * 2006-03-17 2008-01-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EP2289832A1 (en) * 2008-06-27 2011-03-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42A (ja) * 1993-02-18 1994-08-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037545A (ja) * 2000-07-26 2002-02-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制御回路
JP4273677B2 (ja) * 2001-04-20 2009-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4757863B2 (ja) * 2005-02-25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689337B2 (ja) * 2005-04-26 2011-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0995188B1 (ko) * 2005-11-25 2010-11-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스템
EP2090540B1 (en) * 2006-12-05 2016-05-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FI120088B (fi) * 2007-03-01 2009-06-30 Kone Corp Järjestely ja menetelmä turvapiirin valvomiseksi
WO2009107218A1 (ja) * 2008-02-28 2009-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707A (ko) * 2006-03-02 2007-11-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KR20080003771A (ko) * 2006-03-17 2008-01-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012896A1 (fr) 2006-07-27 2008-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ositif d'ascenseur
EP2289832A1 (en) * 2008-06-27 2011-03-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2444B (zh) 2014-10-29
EP2514703A1 (en) 2012-10-24
CN102712444A (zh) 2012-10-03
JP5360231B2 (ja) 2013-12-04
EP2514703A4 (en) 2017-09-13
WO2011074068A1 (ja) 2011-06-23
JPWO2011074068A1 (ja) 2013-04-25
KR20120049293A (ko) 2012-05-16
EP2514703B1 (en)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4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870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6355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WO2009157085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632557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630070B9 (en) Braking apparatus
KR1013388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40035314A (ko) 엘리베이터 안전 회로
WO2005082765A1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及びその動作試験方法
JP6207961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KR20120042991A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JP526500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153538B (zh) 电梯系统
JP2011121742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CN102378731B (zh) 电梯装置
KR100295879B1 (ko) 엘리베이터의브레이크제어장치및그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