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996B1 -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996B1
KR101344996B1 KR1020087022090A KR20087022090A KR101344996B1 KR 101344996 B1 KR101344996 B1 KR 101344996B1 KR 1020087022090 A KR1020087022090 A KR 1020087022090A KR 20087022090 A KR20087022090 A KR 20087022090A KR 101344996 B1 KR101344996 B1 KR 10134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polarizer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237A (ko
Inventor
겐이치 우에다
시게오 오토메
미에 나카타
유우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광학적 특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 그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이 높고,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그러한 편광판을 사용한 고품위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자 보호 필름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고무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층과 유리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쉘층을 갖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함유한다.

Description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본 발명은 편광자 보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그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화상 형성 방식 때문에 액정 패널 표면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에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 색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의해 부착시킨 것이 사용되고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내습열성이 충분하지 않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편광판을 고온 또는 고습 하에서 사용하면, 편광도나 색상 등의 편광판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경사 방향의 입사광에 대해 위상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위상차는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시야각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있다.
내열성과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무르고 균열되기 쉬워, 필름 반송시의 파단 등의 반송성에 문제나, 생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그대로 편광자 보호 필름에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수지 (A) 와 강인성 개량제 (B) (바람직한 것으로서 내충격성 아크릴 고무-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그래프트 공중합체나 부틸 변성 아세틸셀룰로오스) 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편광자 보호 필름에서는,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강인성 개량제 (B) 를 비교적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어 (중량비로 아크릴계 수지 (A)/강인성 개량제 (B) = 60/40 ∼ 90/10), 그 결과, 아크릴계 수지 (A) 가 본래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광학적 특성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종래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비해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수지로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그대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용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를 필름면에 실시하면, 필름의 표면 부근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19217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1)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광학적 특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 (2) 그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이 높고,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3) 그러한 편광판을 사용한 고품위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접착용이 처리에 의한 응집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수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무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층과 유리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쉘층을 갖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접착용이 처리에 의한 응집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고무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층과, 유리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쉘층을 갖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1 ∼ 40 중량부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입자 직경이 1 ∼ 1000㎚ 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형성되는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 사이에 접착용이층 및 접착제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접착제층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층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반대측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점착제층을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접착용이 처리에 의한 응집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광학적 특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이 높고,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및 그러한 편광판을 사용한 고품위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에서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광학적 특성, 높은 기계적 강도와, 편광자와의 높은 접착성을 양립시킬 수는 없었다. 본 발명과 같이,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함과 함께, 특정 구조의 코어 쉘형 나노 입자도 사용함으로써,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광학적 특성, 높은 기계적 강도와, 편광자와의 높은 접착성을 양립시킬 수 있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액정 셀
11, 11' : 유리 기판
12 : 액정층
13 : 스페이서
20, 20' : 위상차 필름
30, 30' : 편광판
31 : 편광자
32 : 접착제층
33 : 접착용이층
34 : 편광자 보호 필름
35 : 접착제층
36 : 편광자 보호 필름
40 : 도광판
50 : 광원
60 : 리플렉터
100 : 액정 표시 장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 보호 필름〕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특정 구조의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함유한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64011183-pct00001
(일반식 (1)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 이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이 5 중량% 보다 적으면, 내열 성, 내용제성, 표면 경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조 중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이 90 중량% 보다 많으면, 성형 가공성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 500000 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면,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Tg 가 115℃ 이상임으로써,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편광판에 삽입한 경우에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되기 쉽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품의 ASTM-D-1003 에 준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본래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높은 광투과율, 면내 위상차 (Δnd) 나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중의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중의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반영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99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특정 구조의 코어 쉘형 나노 입자도 함유한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는 고무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층과 유리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쉘층을 갖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이다. 코어층을 구성하는 고무상 중합체의 Tg 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 20℃ 가 보다 바람직하며, -60 ∼ 10℃ 가 더욱 바람직하다. 코어층을 구성하는 고무상 중합체의 Tg 가 20℃ 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쉘층을 구성하는 유리상 중합체의 Tg 는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 140℃ 가 보다 바람직하며, 60 ∼ 130℃ 가 더욱 바람직하다. 쉘층을 구성하는 유리상 중합체의 Tg 가 50℃ 보다 낮으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중에 있어서의 코어층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 는 30 ∼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0 중량% 이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중에 있어서의 쉘층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 이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코어층을 구성하는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중합성 모노머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합쳐 표현한 것이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중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50 중량% 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 99.9 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 99.9 중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로일(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20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기의 탄소수가 2 ∼ 10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 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중,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는 0 ∼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2 ∼ 5 중량% 함유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등의 방향족 디비닐 모노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칸폴리올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나, 우레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이한 반응성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알릴말레에이트, 디알릴푸말레이트, 디알릴이타코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 트 및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중 다른 중합성 모노머는 0 ∼ 49.9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 ∼ 39.9 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톨루엔,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방향족 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시안화비닐리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모노머는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고,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쉘층을 구성하는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중합성 모노머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중, 알킬(메트)아크릴레이 트 및 방향족 비닐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모노머는 50 ∼ 10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 10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4 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방향족 비닐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중,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는 0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8 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 5 중량%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서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는,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분자 내에 2 개 이상의 비닐기를 갖는 다관능성 모노머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중합성 모노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 중, 다른 중합성 모노머는 0 ∼ 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 하고, 0 ∼ 4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시안화비닐리덴, 상기 서술한 것 이외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고,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코어 쉘형의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층을 구성하는 고무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를 현탁 중합시켜 고무상 중합체 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제조하고, 계속해서 그 현탁액에 쉘층을 구성하는 유리상 중합체를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를 첨가하여 라디칼 중합시켜, 고무상 중합체 입자의 표면을 유리상 중합체가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갖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중의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 쉘형 나노 입자 를 1 ∼ 4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3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이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 쉘형 나노 입자가 1 중량부 미만이면,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용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를 편광자 보호 필름면에 실시한 경우, 필름의 표면 부근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코어 쉘형 나노 입자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입자 직경은 1 ∼ 1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9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8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0 ∼ 70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입자 직경이 1㎚ 미만이면,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용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를 편광자 보호 필름면에 실시한 경우, 필름의 표면 부근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입자 직경이 1000㎚ 보다 크면,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에 의해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은 종연신만에 의한 연신 (자유단 1 축 연신) 이어도 되고, 횡연신만에 의한 연신 (고정단 1 축 연신) 이어도 되는데, 종연신 배율이 1.1 ∼ 3.0 배, 횡연신 배율이 1.1 ∼ 3.0 배인, 순차 연신 또는 동시 2 축 연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만에 의한 연신 (자유단 1 축 연신) 이나 횡연신만에 의한 연신 (고정단 1 축 연신) 에서는, 연신 방향으로만 필름 강도가 올라가고, 연신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는 강도가 올라가지 않아, 필름 전체적으로 충분한 필름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종연신 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2.0 배이다. 상기 횡연신 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2.0 배이다. 종연신 배율, 횡연신 배율이 1.1 배 미만인 경우, 연신 배율이 지나치게 낮아, 연신 효과가 거의 없을 우려가 있다. 종연신 배율, 횡연신 배율이 3.0 배를 초과하면, 필름 단면의 평활성의 문제로 인하여 연신 절단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연신 온도는, 연신시키는 필름의 Tg ∼ (Tg + 30℃) 가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온도가 Tg 보다 낮으면, 필름이 파단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연신 온도가 (Tg + 30℃) 를 초과하면, 필름이 용융되기 시작하여 스레딩(threading)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에 의해 연신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짐과 함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여, 생산성이나 리워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면내 위상차 (Δnd) 가 3.0㎚ 이하, 두께 방 향 위상차 (Rth) 가 10.0㎚ 이하, 인열 강도가 2.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내 위상차 (Δnd), 두께 방향 위상차 (Rth), 인열 강도가 이들 범위에 있음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면내 위상차 (Δnd) 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아,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면내 위상차 (Δnd) 가 3.0㎚ 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효과, 특히 우수한 광학적 특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아,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10.0㎜ 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효과, 특히 우수한 광학적 특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인열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2.1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2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N/㎜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N/㎜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N/㎜ 이상이다. 인열 강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투습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00g/㎡ㆍ24h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g/㎡ㆍ24hr 이하이다. 상기 투습도가 100g/㎡ㆍ24hr 을 초과하면 내습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광학적 투명성을 나타내는 헤이즈가 낮으면 낮을수록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헤이즈가 5% 이하이면, 필름에 양호한 클리어감을 시각적으로 줄 수 있으며, 또한 1.5% 이하로 하면, 창 등의 채광 부재로서 사용했을 때에도 시인성과 채광성이 함께 얻어지기 때문에, 또 표시 장치의 전면판(前面板)으로서 사용했을 때에도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 이용 가치가 높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ASTM-D-1003 에 준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본래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2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18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140㎛ 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20㎛ 이상이면, 적당한 강도, 강성을 가져, 라미네이트나 인쇄 등의 2 차 가공시에 취급성이 양호해진다. 또, 인취시의 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위상차도 제어가 용이하여, 안정적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200㎛ 이하이면, 필름 권취가 용이해지는 것 외에, 라인 속도, 생산성, 그리고 컨트롤성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해도 되지만, 연신 전의 필름을 형성하는 원료 (수지 조성물) 를 압출 성형 (T 다이법이나 인플레이션법 등 의 용융 압출법), 캐스트 성형 (용융 유연법 등), 캘린더 성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은 드라이 라미네이션법과 같이, 가공시에 사용되는 접착제 중의 용매, 예를 들어 드라이 라미네이션용 접착제 중의 유기 용제를 건조, 비산시킬 필요가 없어 용매 건조 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T 다이에 연결한 압출기에 원료가 되는 수지 조성물을 공급하고, 용융 혼련 후, 압출하고, 수냉하여 인취하거나 또는 냉각 롤에 접촉시킨 후에 권취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압출기의 스크루 타입은 단축 또는 2 축이어도 되고, 가소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압출 성형 온도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원료가 되는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 (℃) 로 한 경우, (Tg + 80)℃ ∼ (Tg + 180)℃ 가 바람직하고, (Tg + 100)℃ ∼ (Tg + 1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수지의 유동성이 없어, 성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압출 성형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지 점도가 낮아져, 성형물의 두께 불균일 등의 생산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연신 전의 필름을 형성하는 원료 (수지 조성물) 중에는 주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및,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외에, 일반적인 배합제,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안정제, 활제, 가공 보조제, 가소제, 내충격 보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 제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발포 억제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액정 패널의 보호 면에서,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연신 전의 필름을 형성하는 원료 (수지 조성물) 중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융점은 1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융점이 130℃ 이상이면, 가열 용융 가공시의 휘발이 적어, 필름 제조시의 롤 오염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량 400 이상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분자량 400 이상의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티누빈 1577」(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아데카스탭 LA-31」(아사히 덴카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광학 특성으로서, 정면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의 크기가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연신 전의 필름을 형성하는 원료 (수지 조성물) 중에는 위상차 저감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저감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코폴리머 등, 스티렌 함유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위상차 저감제의 첨가량으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대해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이다. 이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 가시광선을 산란시키거나 투명성을 저해시키거나 하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특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다른 기재에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폴리올레핀 수지, 하이 배리어층이 되는 에틸렌비닐리덴 공중합 체, 폴리에스테르 등의 기재에 대해 접착성 수지층을 포함시킨 다층 압출 성형이나 다층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해 적층 성형할 수도 있다. 열융착성이 높은 경우에는, 접착층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 보호의 용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창이나 카포트 지붕재 등의 건축용 채광 부재, 창 등의 차량용 채광 부재, 온실 등의 농업용 채광 부재, 조명 부재, 전면(前面) 필터 등의 디스플레이 부재 등에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종래부터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피복되어 있던 가전의 케이싱, 차량 내장 부재, 내장용 건축 재료, 벽지, 화장판, 현관문, 창틀, 건목(foot stall) 등에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형성되는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31) 의 일방의 면이, 접착제층 (32) 및 접착용이층 (33) 을 개재시켜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34) 에 접착되어 이루어지고, 편광자 (31) 의 다른 일방의 면이, 접착제층 (35) 을 개재시켜 편광자 보호 필름 (36) 에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36) 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어도 되고, 다른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형성되는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 색성 물질 (대표적으로는 요오드, 2 색성 염료) 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것이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 ∼ 4000 이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수지를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연 성막하는 유연법, 캐스트법, 압출법) 으로 성형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편광판이 사용되는 LCD 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5 ∼ 80㎛ 이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목적, 사용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조 공정에 제공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건조 공정을 제외한 각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용액을 함유하는 욕 중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처리를 실시한다.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의 각 처리의 순서, 횟수 및 실시의 유무는 목적, 사용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가지의 처리를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특정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 처리 전에 실시해도 되며,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와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가교 처리를 연신 처리 전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수세 처리는 모든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특정 처리 후에만 실시해도 된다.
팽윤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로 채운 처 리욕 (팽윤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 처리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함과 함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 등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팽윤욕에는 글리세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이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팽윤욕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60℃ 정도이고, 팽윤욕에 대한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0.1 ∼ 10 분 정도이다.
염색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처리욕 (염색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염색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2 색성 물질은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대표적으로는 0.1 ∼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2 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색욕의 용액은 요오드화물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효율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보조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을 들 수 있다. 염색욕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70℃ 정도이고, 염색욕에 대한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 20 분 정도이다.
가교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염색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를 함유하는 처리욕 (가교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가교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가 채용될 수 있다. 가교제의 구체예로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가교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대표적으로는 1 ∼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가교제의 농도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가교제의 농도가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시에 필름에 발생하는 연신력이 커져, 얻어지는 편광판이 수축되는 경우가 있다. 가교욕의 용액은 요오드화물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내에 균일한 특성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보조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8 중량% 이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염색 공정의 경우와 동일하다. 가교욕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70℃ 정도, 바람직하게는 40 ∼ 60℃ 이다. 가교욕에 대한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초 ∼ 15 분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초 ∼ 10 분이다.
연신 공정은, 상기와 같이 어느 단계에서 실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 처리 전에 실시해도 되고,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와 동시에 실시해도 되며, 가교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누적 연신 배율은 5 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5 ∼ 7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5 배이다. 누적 연신 배율이 5 배 미만인 경우에는 고편광도의 편광판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누적 연신 배율이 7 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편광자) 이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연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 연신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처리욕 (연신욕) 중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한다. 연신욕의 용액으로서는, 물 또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등의 용매 중에 각종 금속염, 요오드, 붕소 또는 아연의 화합물을 첨가한 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세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각종 처리가 실시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처리욕 (수세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수세 공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불요 잔존물을 씻어낼 수 있다. 수세욕은 순수이어도 되고, 요오드화물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의 수용액이어도 된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이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에는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의 보조제를 첨가해도 된다. 수세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 이다.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초 ∼ 1 분이다. 수세 공정은 1 회만 실시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해도 된다. 복수 회 실시하는 경우, 각 처리에 사용되는 수세욕에 함유되는 첨가제의 종류나 농도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세 공정은 폴리머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수용액 (0.1 ∼ 10 질량%, 10 ∼ 60℃) 에 1 초 ∼ 1 분 침지시키는 공정과, 순수로 헹구는 공정을 포함한다.
건조 공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건조 방법 (예를 들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 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건조의 경우에는, 건조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80℃ 이고, 건조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 10 분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편광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데,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접착용이층 및 접착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층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 그 유도체 ; 또한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을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서는 (무수)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트)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접착성 면에서는 평균 중합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 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3000 이고, 평균 비누화도가 바람직하게는 85 ∼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서, 편광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디케텐을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켜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미리 용해시켜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0.1 몰%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0.1 몰% 미만에서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하여 부적당하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4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몰% 이다.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도가 40 몰% 를 초과하면 가교제와의 반응점이 적어져, 내수성의 향상 효과가 작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NMR 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 개 갖는 알킬렌디아민류 (그 중에서도 헥사메틸렌디아민이 바람직하다)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류 ;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산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 메틸올우레아,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메틸올우레아, 알킬화 메틸올화 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 또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 가 금속, 또는 3 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 ;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멜라민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올멜라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 중량부이다. 한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를 30 중량부를 초과하고 46 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사용량을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를 30 중량부를 초과하고 46 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는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각종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와 접하는 면에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용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접착용이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압 UV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들 수 있으며, 접착용이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접착용이층 (앵커층)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는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가짐과 함께, 특정 구조의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용이 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를 필름면에 실시해도 필름의 표면 부근에서 응집 파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유지한 채,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양호한 접착성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용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의 알콕시실란올류,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메르캅토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카르복시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에폭시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비닐형 불포화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할로겐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를 들 수 있으며, 아미노계 실란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란올을 효율적으로 반응시키기 위한 티탄계 촉매나 주석계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접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에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추가로 테르펜 수지, 페놀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수지, 자일렌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도공, 건조시켜 형성된다. 실리콘층의 두께는 건조 후에, 바람직하게는 1 ∼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이다. 도공시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을 용제로 희석시켜도 된다. 희석 용제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희석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 이다.
상기 접착제층의 형성은 상기 접착제를 편광자 보호 필름의 어느 한 측 또는 양측, 편광자의 어느 한 측 또는 양측에 도포함으로써 실시한다.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부착시킨 후에는,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 도포 건조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이것을 부착시킬 수도 있 다.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부착은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가열 건조 온도, 건조 시간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건조 후의 두께로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0.01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5㎛ 이다.
편광자에 대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부착은,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방의 측에서 접착시킬 수 있다.
또, 편광자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부착은,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방의 측에서 접착시키고, 다른 일방의 편면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특별히는 한정되지 않지만, 트리아세틸셀룰롤이 투명성,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이다. 두께가 30㎛ 보다 얇으면 필름 강도가 저하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100㎛ 보다 두꺼우면 내구성에 있어서 광투과율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판은,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점착제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편광판을 점착형 편광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편광자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측에, 다른 광학 필름이나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와 접착시키기 위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도 우수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탄소수가 4 ∼ 12 인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 추가하여,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이나 박리 현상의 방지, 열팽창 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나 액정 셀의 휨 방지, 나아가서는 고품질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성 등의 면에서 흡습율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특히 점착성 부여 수지나, 유리 섬유, 유리 비즈, 금속분,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나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의 점착제층에 첨가되는 것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의 부설은 적당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적당한 용제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매에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10 ∼ 40 중량% 정도의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유연 방식이나 도공 방식 등의 적당한 전개 방식으로 편광판 상 또는 광학 필름 상에 직접 부설하는 방식, 또는 상기에 준하여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것을 편광자 보호 필름면에 이착시키는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상이한 조성 또는 종류 등인 것의 중첩층으로서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편광판의 표리에서 상이한 조성이나 종류나 두께 등의 점착제층으로 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4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25㎛ 이다. 1㎛ 보다 얇으면 내구성이 나빠지고, 또 40㎛ 보다 두꺼워지면 발포 등에 의한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 외관 불량이 된다.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점착제층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층간에 앵커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앵커층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에서 선택되는 앵커층이 사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한 폴리머류가 사용된다.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한 폴리머는, 분자 중의 아미노기가 점착제 중의 카르복실기나, 도전성 폴리머 중의 극성기와 반응 또는 이온성 상호 작용 등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양호한 밀착성이 확보된다.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폴리비닐아민,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닐피롤리딘, 상기 서술한 아 크릴계 점착제의 공중합 모노머로 나타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앵커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대전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한 대전 방지제로서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계,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의 도전 폴리머계,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등의 금속 산화물계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광학 특성, 외관, 대전 방지 효과, 및 대전 방지 효과의 가열시, 가습시에서의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도전성 폴리머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 또는 수분산성 도전성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대전 방지층의 형성 재료로서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나 수분산성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한 경우, 도포 공정시에 유기 용제에 의한 광학 필름 기재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편광판을 형성하는 편광자나 편광자 보호 필름 등, 또 점착제층 등의 각 층에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셀의 시인측, 백라이트측 중 어느 편측에 형성해도 되고, 양측에 형성해도 되어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 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편광판을 필요로 하는 모든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 Field Emission Display)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에서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액정 셀 (10) 과, 액정 셀 (10) 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위상차 필름 (20, 20') 과, 위상차 필름 (20, 20') 의 외측에 배치된 편광판 (30, 30') 과, 도광판 (40) 과, 광원 (50) 과 리플렉터 (60) 를 구비한다. 편광판 (30, 30') 은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액정 셀 (10) 은 1 쌍의 유리 기판 (11, 11') 과, 그 기판 사이에 배치된 표시 매체로서의 액정층 (12) 을 갖는다. 일방의 기판 (11) 에는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대표적으로는 TFT) 와, 이 스위칭 소자에 게이트 신호를 주는 주사선 및 소스 신호를 주는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다 (모두 도시 생략). 타방의 유리 기판 (11') 에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컬러층과 차광층 (블랙 매트릭스층) 이 형성되어 있다 (모두 도시 생략). 기판 (11, 11') 의 간격 (셀 갭) 은 스페이서 (13) 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편광판 (30, 30') 의 적어도 1 개로서,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편광판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TN 방식의 경우에는,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층 (12) 의 액정 분자가 편광축을 90 도 어긋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는, 편광판에 의해 일 방향의 광만이 투과된 입사광은 액정 분자에 의해 90 도 비틀어진다. 상기와 같이, 편광판은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방의 편광판에 도달된 광 (편광) 은 당해 편광판을 투과한다. 따라서,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백색 표시를 행한다 (노멀리 화이트 방식). 한편,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100) 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층 (12) 내의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된다. 그 결과, 타방의 편광판에 도달된 광 (편광) 은 당해 편광판을 투과하지 못하여, 흑색 표시가 된다. 이러한 표시의 전환을 액티브 소자를 사용하여 화소마다 실시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실시예 중의 부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다. 평가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질량 평균 분자량〉
쇼와 덴코 (주) 제조의 Shodex GPC system-21H 를 사용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하였다.
〈Tg (유리 전이 온도, TG 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중합체를 일단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과잉의 헥산 또는 톨루엔에 투입하여 재침전을 실시하고, 여과하여 취출된 침전물을 감압 건조 (80℃/1mmHg (1.33hPa), 3 시간 이상) 시킴으로써 휘발 성분을 제거하고, 얻어진 수지에 대하여 DSC 장치 (리가쿠 (주) 제조, DSC823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락톤 고리 구조 단위의 함유 비율〉
우선,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조성으로부터 모든 수산기가 메탄올로서 탈알코올되었을 때에 일어나는 중량 감소량을 기준으로 하고, 다이나믹 TG 측정에 있어서 중량 감소가 시작되기 전의 150℃ 에서부터 중합체의 분해가 시작되기 전의 300℃ 까지의 탈알코올 반응에 의한 중량 감소로부터 탈알코올 반응율을 구하였다.
즉, 락톤 고리 구조를 가진 중합체의 다이나믹 TG 측정에 있어서 150℃ 에서 300℃ 까지의 사이의 중량 감소율의 측정을 실시하여, 얻어진 실측 중량 감소율을 (X) 로 한다. 한편, 당해 중합체의 조성으로부터, 그 중합체 조성에 함유되는 모든 수산기가 락톤 고리의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알코올이 되어 탈알코올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이론 중량 감소율 (즉, 그 조성 상에 있어서 100% 탈알코올 반응이 일어났다고 가정하여 산출된 중량 감소율) 을 (Y) 로 한다. 또한, 이론 중량 감소율 (Y) 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체 중의 탈알코올 반응에 관여하는 구조 (수산기) 를 갖는 원료 단량체의 몰비, 즉 당해 중합체 조성에 있어서의 상기 원료 단량체의 함유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들의 값 (X, Y) 을 탈알코올 계산식 :
1 - (실측 중량 감소율 (X) / 이론 중량 감소율 (Y))
에 대입하여 그 값을 구하여 % 로 표기하면, 탈알코올 반응율이 얻어진다.
예로서, 후술하는 제조예 3 에서 얻어지는 펠릿에 있어서 락톤 고리 구조가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다. 이 중합체의 이론 중량 감소율 (Y) 을 구해 보면, 메탄올의 분자량은 32 이고,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분자량은 116 이며,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중합체 중의 함유율 (중량비) 은 조성상 20 중량% 이기 때문에, (32 / 116) × 20 ≒ 5.52 중량% 가 된다. 한편, 다이나믹 TG 측정에 의한 실측 중량 감소율 (X) 는 0.18 중량% 이었다. 이들 값을 상기의 탈알코올 계산식에 적용하면, 1 - (0.18 / 5.52) ≒ 0.967 이 되기 때문에, 탈알코올 반응율은 96.7 중량% 이다.
그리고, 이 탈알코올 반응율만큼 소정의 락톤 고리화가 이루어진 것으로서, 락톤 고리화에 관여하는 구조 (히드록시기) 를 갖는 원료 단량체의 당해 공중합체 조성에 있어서의 함유율 (중량비) 에 탈알코올 반응율을 곱하고, 락톤 고리 단위의 구조의 함유율 (중량비) 로 환산함으로써, 당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락톤 고리 구조의 함유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조예 3 의 경우,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의 당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함유율이 20.0 중량%, 산출한 탈알코올 반응율이 96.7 중량%, 분자량이 116 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이 메타크릴산메틸과 축합된 경우에 생성되는 락톤 고리화 구조 단위의 식량이 170 인 점으로부터, 당해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락톤 고리의 함유 비율은 28.3 중량% ((20.0 × 0.967 × 170 / 116) 중량%) 가 된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JIS-K6874 에 기초하여, 시험 온도 240℃, 하중 10㎏ 으로 측정하였다.
〈전체 광선 투과율〉
제조한 보호 필름 샘플을 가로 세로 3㎝ 로 재단하고,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UV-VIS-NIR-SPECTROMETER UV3150」으로 전체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헤이즈〉
JIS K 7136 (플라스틱-투명 재료의 헤이즈를 구하는 방법) 에 따라, 헤이즈미터 (무라카미 색채 연구소 제조의 HM-15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편광판 (100㎜ × 100㎜) 을 손으로 비틀어 잘랐을 때의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이 일체화되어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 :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과 단부에 박리가 관찰된다.
× :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에 박리가 관찰된다.
〈편광판 외관〉
얻어진 편광판의 외관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50㎜ × 50㎜ 의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 기준으로 육안으로 실시하였다.
○ : 들뜸이나 줄무늬 등이 1 지점도 없다.
× : 들뜸이나 줄무늬가 보이지 않는다.
들뜸이란 편광자-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가 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줄 무늬란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가 매우 소량의 면적이지만, 스스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예 1 : 편광자의 제조〕
두께 8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5 중량% (중량비 : 요오드 / 요오드화칼륨 = 1 / 10) 의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염색하였다. 이어서, 3 중량% 의 붕산 및 2 중량%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다시 4 중량% 의 붕산 및 3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5.5 배까지 연신한 후, 5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침지시켰다. 그 후, 40℃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시켜, 두께 30㎛ 의 편광자를 얻었다.
〔제조예 2 :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 (1A) 의 제조〕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30L 반응 가마에, 9000g 의 메타크릴산메틸 (MMA), 1000g 의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MHMA), 10000g 의 4-메틸-2-펜타논(메틸이소부틸케톤, MIBK), 5.0g 의 n-도데실메르캅탄을 주입하고, 이것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 까지 승온시키고, 환류시켰을 때에, 개시제로서 5.0g 의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가야쿠 아크조 제조, 상품명 : 카야카르본 BIC-75) 를 첨가하는 동시에, 10.0g 의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와 230g 의 MIBK 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4 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환류 하 (약 105 ∼ 120℃) 에서 용액 중합을 실시하고, 다시 4 시간에 걸쳐 숙성시켰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30g 의 인산스테아릴/인산디스테아릴 혼합물 (사카이 화학 제조, 상품명 : Phoslex A-18) 을 첨가하고, 환류 하 (약 90 ∼ 120℃) 에서 5 시간, 고리화 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리화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rpm, 감압도 13.3 ∼ 400hPa (10 ∼ 300㎜Hg), 리어 벤트수 1 개, 포어 벤트수 4 개의 벤트 타입 스크루 2 축 압출기 (φ = 29.75㎜, L/D = 30) 에, 수지량 환산으로 2.0㎏/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고, 그 압출기 내에서 고리화 축합 반응과 탈휘(脫揮)를 실시하고, 압출함으로써, 투명한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A) 를 얻었다.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A) 의 락톤 고리화율은 96.7%, 질량 평균 분자량은 146000,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7.1g/10 분, Tg (유리 전이 온도) 는 124℃ 이었다.
〔제조예 3 :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 (1B) 의 제조〕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30L 반응 가마에, 8000g 의 메타크릴산메틸 (MMA), 2000g 의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MHMA), 10000g 의 톨루엔을 주입하고, 이것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 까지 승온시키고, 환류시켰을 때에, 개시제로서 10.0g 의 ter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아르케마 요시토미 제조, 상품명 : 루파졸 570) 를 첨가하는 동시에, 20.0g 의 개시제와 100g 의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4 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환류 하 (약 105 ∼ 110℃) 에서 용액 중합을 실시하고, 다시 4 시간에 걸쳐 숙성시켰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10g 의 인산스테아릴/인산디스테아릴 혼합물 (사카이 화학 제조, 상품명 : Phoslex A-18) 을 첨가하고, 환류 하 (약 90 ∼ 110℃) 에서 5 시간, 고리화 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리화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rpm, 감압도 13.3 ∼ 400hPa (10 ∼ 300㎜Hg), 리어 벤트수 1 개, 포어 벤트수 4 개의 벤트 타입 스크루 2 축 압출기 (φ = 29.75㎜, L/D = 30) 에, 수지량 환산으로 2.0㎏/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고, 그 압출기 내에서 고리화 축합 반응과 탈휘를 실시하고, 압출함으로써, 투명한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B) 를 얻었다.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B) 의 락톤 고리화율은 96.7%, 질량 평균 분자량은 147700,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11.0g/10 분, Tg (유리 전이 온도) 는 130℃ 이었다.
〔실시예 1〕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A)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코어층이 고무상 중합체, 쉘층이 유리상 중합체) 5 부를 혼합하고, 단축 압출기에 의해 다이스 온도 260℃ 에서 T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12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을 종방향으로 140℃ 에서 2.0 배 연신한 후, 횡방향으로 140℃ 에서 2.0 배 연신하여, 60㎛ 두께의 필름을 얻었다. 이후, 필름의 편면에 방전량 70wㆍmin/㎡ 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접착용이층의 형성)
실란 커플링제 APZ-6601 (토레이 다우코닝 실리콘 주식회사 제조) 100 부에 대해 이소프로필알코올을 66.7 부 첨가함으로써 조제한 용액을,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와이어 바 #5 로 도포하여 휘발분을 증발시켰다.
(접착제 수용액의 조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100 중량부 (아세틸화도 13%) 에 대해 메틸올멜라민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농도 0.5 중량% 가 되도록 조정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편광판의 제조)
편광자의 편면에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용이층면이, 다른 일방의 면에는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후지 사진 필름사 제조, 상품명 : T-40UZ) 가 접하도록, 상기에서 조제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을 사용하여 부착시켰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은 각각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접착용이층면측,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측에 도포하고, 70℃ 에서 10 분간 건조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점착제층의 형성)
베이스 폴리머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 아크릴산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 100 : 5 : 0.1 (중량비) 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0 만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 (고형분 30%) 을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계 다관능성 화합물인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의 콜로네이트 L 을 폴리머 고형분 100 부에 대해 4 부, 및 첨가제 (KBM403, 신에츠 실리콘 제조) 를 0.5 부,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제 (아세트산에틸) 를 첨가 하여, 점착제 용액 (고형분 12%) 을 조제하였다. 당해 점착제 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25㎛ 가 되도록, 이형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 다이어 호일 MRF38,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제조) 상에 도포한 후, 열풍 순환식 오븐으로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편광판 앵커층)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의 폴리에틸렌이민 부가물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상품명 폴리먼트 NK380) 을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50 배로 희석시켰다. 이것을 편광판의 편면에, 와이어 바 (#5) 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50㎚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켰다.
(점착형 편광판의 제조)
상기 편광판의 앵커층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부착시켜 점착제형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평가)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편광판의 평가)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A)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 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20 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A) 100 부에 대하여, 간츠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30 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B)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5 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B)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20 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B)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30 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A)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 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을 혼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락톤 고리 함유 아크릴계 수지의 펠릿 (1B) 100 부에 대해, 간츠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스타피로이드 IM-701 (코어 쉘형 나노 입자) 을 혼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전체 광선 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 및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4011183-pct00002
Figure 112008064011183-pct00003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1 ∼ 3, 실시예 4 ∼ 6 에서는, 얻어진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모두 90% 이상이고, 헤이즈는 모두 5% 이하로서, 우수한 광학 특성,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사용한 실시예 1 ∼ 3, 실시예 4 ∼ 6 에서는,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접착성 평가는 모두 높은 평가이며, 외관 평가는 모두 높은 평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판은 각종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 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고무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어층과 유리상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쉘층을 갖는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3052302369-pct00006
    (일반식 (1)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20 의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를 1 ∼ 40 중량부 함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쉘형 나노 입자의 입자 직경이 1 ∼ 1000㎚ 인 편광자 보호 필름.
  4.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형성되는 편광자와, 제 1 항에 기재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 사이에 접착용이층 및 접착제층을 갖는 편광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층인 편광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반대측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갖는 편광판.
  8. 제 4 항에 있어서,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점착제층을 추가로 갖는 편광판.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7022090A 2006-03-10 2008-09-0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344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65064 2006-03-10
JP2006065064 2006-03-10
PCT/JP2007/053668 WO2007105485A1 (ja) 2006-03-10 2007-02-27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237A KR20080106237A (ko) 2008-12-04
KR101344996B1 true KR101344996B1 (ko) 2013-12-24

Family

ID=3850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090A KR101344996B1 (ko) 2006-03-10 2008-09-0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7932B2 (ko)
JP (1) JP5075813B2 (ko)
KR (1) KR101344996B1 (ko)
CN (1) CN101401015B (ko)
TW (1) TW200739150A (ko)
WO (1) WO2007105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4558B (zh) * 2007-06-29 2011-04-2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KR101009734B1 (ko) * 2007-09-21 2011-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5149583B2 (ja) * 2007-09-28 2013-02-20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994976B1 (ko) * 2007-10-02 2010-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1600B1 (ko) * 2007-10-22 2012-07-03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065199B1 (ko) 2007-10-23 2011-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836140B (zh) * 2007-10-24 2012-04-18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片、光学薄膜和图像显示装置
WO2009072470A1 (ja) * 2007-12-06 2009-06-11 Nitto Denko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3630961A (zh) * 2008-01-31 2014-03-12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片保护膜、偏振板及图像显示装置
JP5454862B2 (ja) * 2008-03-10 2014-03-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28529B2 (ja) * 2008-11-12 2012-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439895B2 (ja) * 2009-03-27 2014-03-1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039168B2 (ja) * 2010-09-30 2016-12-07 恵和株式会社 保護シート、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6297247B2 (ja) * 2010-09-30 2018-03-20 恵和株式会社 保護シート、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6042059B2 (ja) * 2010-09-30 2016-12-14 恵和株式会社 保護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363322B2 (ja) * 2012-06-08 2018-07-2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40631B1 (ko) * 2012-12-12 2016-07-18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 필름, 이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US20140322554A1 (en) * 2013-04-26 2014-10-30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4297835B (zh) * 2014-10-17 2017-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振片的制作方法
CN104459865A (zh) * 2014-12-30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振片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4483733B (zh) 2014-12-30 2017-1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栅偏振片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6456710B2 (ja) * 2015-02-16 2019-01-23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402064B2 (ja) * 2015-03-31 2018-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892336B1 (ko) * 2015-07-29 2018-08-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KR101955765B1 (ko) * 2016-08-31 2019-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WO2018159377A1 (ja) * 2017-02-28 2019-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該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WO2018190176A1 (ja) * 2017-04-10 2020-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200164623A1 (en) * 2017-05-12 2020-05-28 Daicel Corporation Sheet, method for producing sheet, and method for laminating sheet
CN109031498B (zh) * 2018-08-20 2020-10-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自组装法制备超薄偏光片的方法、超薄偏光片及显示面板
KR102259745B1 (ko) 2018-12-07 2021-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646A (ja) * 2001-10-12 2003-04-2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の製造方法、粘着型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5105918A1 (ja) * 2004-04-28 2005-11-10 Toray Industries, Inc.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259A (en) * 1990-07-03 1991-11-05 Rohm And Haas Company Clear, impact-resistant plastics
JP3322406B2 (ja) 1991-10-23 2002-09-09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膜保護用フィルム
JP3396240B2 (ja) * 1992-05-25 2003-04-14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メタアクリル樹脂組成物
US5914073A (en) 1995-08-11 1999-06-22 Konica Corporation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JPH09113728A (ja) * 1995-08-11 1997-05-02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H09325329A (ja) * 1996-06-07 1997-12-16 Konica Corp 液晶表示用部材の作製方法
JP4769348B2 (ja) 1999-11-26 2011-09-07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性耐熱樹脂の製造方法
AU2230801A (en) * 1999-12-28 2001-07-09 Gunze Co., Ltd Polarizing plate
CN1315663A (zh) * 2000-03-31 2001-10-03 富士胶片株式会社 偏振光片保护膜
FR2809741B1 (fr) * 2000-05-31 2002-08-16 Atofina Materiaux thermodurs a tenue au choc amelioree
EP1757961A3 (en) * 2000-12-18 2007-03-07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Optical film and polyrizing fil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improving view angle of the polarizing film
EP1237017A1 (en) 2001-02-20 2002-09-04 Fuji Photo Film Co., Ltd. Polarizing plate protection film
JP2002303725A (ja) * 2001-04-06 2002-10-18 Nitto Denko Corp 偏光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201381A (ja) * 2001-12-28 2003-07-18 Nippon Shokubai Co Ltd 硬化性樹脂およびその用途
KR100888777B1 (ko) 2002-09-14 200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4499999B2 (ja) * 2003-03-25 2010-07-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430922B2 (ja) 2003-12-01 2010-03-10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用熱可塑性樹脂成形材の製造方法
JP4509628B2 (ja) * 2004-03-30 2010-07-21 株式会社日本触媒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5294552A (ja) * 2004-03-31 2005-10-20 Tdk Corp 有機質正特性サーミスタ素体形成用組成物及び有機質正特性サーミスタ
JP2006013378A (ja) * 2004-06-29 2006-01-12 Tdk Corp サーミスタ素体形成用樹脂組成物及びサーミスタ
JP4825409B2 (ja) * 2004-08-31 2011-11-30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用面状熱可塑性樹脂成形体、これを用いる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287025B (en) 2004-08-31 2007-09-21 Nippon Catalytic Chem Ind Optical sheet form thermoplastic resin molded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646A (ja) * 2001-10-12 2003-04-2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の製造方法、粘着型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5105918A1 (ja) * 2004-04-28 2005-11-10 Toray Industries, Inc. アクリル樹脂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237A (ko) 2008-12-04
CN101401015B (zh) 2011-03-23
JP5075813B2 (ja) 2012-11-21
US9297932B2 (en) 2016-03-29
JPWO2007105485A1 (ja) 2009-07-30
TWI335448B (ko) 2011-01-01
US20090067047A1 (en) 2009-03-12
TW200739150A (en) 2007-10-16
WO2007105485A1 (ja) 2007-09-20
CN101401015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996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26343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73454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268083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51312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2796A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4570042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316366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50398A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20080027360A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4570043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81105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22149B (zh) 偏光薄膜及影像顯示裝置
JP4859038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20890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025762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76764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133377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041563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215463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010756A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