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384B1 -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종방향 조정기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종방향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384B1
KR101344384B1 KR1020107005735A KR20107005735A KR101344384B1 KR 101344384 B1 KR101344384 B1 KR 101344384B1 KR 1020107005735 A KR1020107005735 A KR 1020107005735A KR 20107005735 A KR20107005735 A KR 20107005735A KR 101344384 B1 KR101344384 B1 KR 10134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seat
seat rail
end stop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729A (ko
Inventor
슈테판 벳지크
필립 지젝케
한스 드로프만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11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방향 조정기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트 레일(2),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시트 레일(3), 및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를 가지며,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 부착되고 제 2 단부 정지구(3a)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서로에 대해 2개의 상기 시트 레일(2, 3)의 상대 변위도를 제한하며,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3a)는 상기 제 2 시트 레일(3)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시트 레일(3)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시트 레일(2)은 둘 이상의 통공(2e)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영역이 돌출하며, 상기 단부 정지구는 상기 시트 레일(2, 3)의 종방향으로 시트 레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단부 정지구의 영역은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와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탭(11a, 21a, 31a, 41a, 51a)에 의해 형성되며, 관련 통공(2e)이 각 경우에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의 슬롯(2e)에 의해 형성되며, 2개의 탭(11a, 21a, 31a, 41a, 51a)이 시트 레일(2)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종방향 조정기{LONGITUDINAL ADJUSTER WITH AT LEAST ONE END STOP}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지는 자동차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는 DE 102 36 067 B4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이 종방향 조정기는 제 1 정지 표면이 결합되는 제 1 시트 레일 및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위 가능한 제 2 시트 레일을 갖고, 제 2 시트 레일에는 제 2 정지 표면이 결합되며, 제 1 정지 표면 및 제 2 정지 표면은 제 1 시트 레일에 대한 제 2 시트 레일의 상대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함께 작동한다. 제 1 시트 레일은 차량 구조물에 대한 고정 지점들에서 연결된다. 이들 고정 지점들에서의 보강을 위해, 그리고 제 2 시트 레일의 변위 중에 단부 정지구로서, 가늘고 긴 형태의 2개의 정지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이들 정지 플레이트는 각각 레일의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내부 나사산들을 갖는 4개의 나사 구멍을 갖고, 그 중 2개의 나사 구멍은 2개의 시트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프로파일의 내부로 향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된다. 2개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정지 플레이트 상에 탭들이 형성되며, 정지 플레이트는 레일의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정면상에 제 1 정지 표면을 갖는다. 제 2 시트 레일 상에는 결합부가 배치되며, 제 2 정지 표면은 결합부 상에 배열된다. 결합부는 2개의 시트 레일의 상호 연동(mutual interlocking)을 강화한다. 종방향 조정기에서, 제 1 정지 표면은 고정 지점에서 제 1 시트 레일에 연결되는 정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정지 플레이트는 상이한 정지 플레이트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레일의 종방향에 대해 상이한 배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DE 198 04 506 C2는 시트용 종방향 조정 장치의 조절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단부 정지구를 개시한다. 시트의 시트부는 이와 관련하여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고,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은 차량 바닥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레일은 로킹 장치에 의해 가이드 레일 상의 선택할 수 있는 종방향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단부 정지구가 슬라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 사이에 제공된다. 탄성 에너지 흡수 단부 정지구를 제공하고 단부 정지구의 장착을 위한 생산 과정을 피하기 위해, 상기 단부 정지구는 스냅-인 헤드(snap-in head)를 갖는 충격 요소에 의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의 통공(aperture)을 관통하며, 로킹 후크가 상기 충격 요소를 관통하고 가이드 레일 상에 걸린다.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는 DE 10 2005 012 018 A1으로부터 더 공지되어 있으며, 이 종방향 조정기는 하나 이상의 제 1 시트 레일,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시트 레일 및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가지며, 단부 정지구는 제 1 시트 레일에 부착되고 제 2 단부 정지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서로에 대해 2개의 시트 레일의 상대 변위도를 제한하며, 제 2 단부 정지구는 제 2 시트 레일에 의해 형성되거나 제 2 시트 레일에 부착되며, 단부 정지구는 시트 레일들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된 중공의 프로파일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통공이 시트 레일에 제공되며, 이 통공 내로 단부 정지구의 돌출 영역이 결합하고, 통공 내에 결합하는 돌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이 통공을 통해 돌출하며, 제 2 단부 정지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돌출 영역에 의해 시트 레일들의 종방향으로 시트 레일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종방향 조정기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종방향 조정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항들의 내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제 1 시트 레일, 상기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시트 레일, 및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가지며, 상기 단부 정지구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시트 레일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시트 레일에 부착되는 제 2 단부 정지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서로에 대해 2개의 상기 시트 레일들의 상대 변위도를 제한한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통공이 상기 시트 레일에 제공되고, 상기 통공 내로 상기 단부 정지구의 돌출 영역이 결합하며, 둘 이상의 통공이 제공되는데, 각각의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단부 정지구의 돌출 영역을 돌출시키며, 상기 단부 정지구는 상기 시트 레일의 종방향으로 상기 시트 레일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개구를 통해 돌출하고 상기 시트 레일의 종방향으로 레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상기 단부 정지구의 돌출 영역은 따라서 상기 시트 레일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돌출 영역은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 정지구와 일체로 형성된 각각의 탭에 의해 형성되고, 관련 통공은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 1 시트 레일 내의 슬롯에 의해 형성되며, 2개의 상기 탭은 상기 시트 레일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단부 정지구는 상기 시트 레일 중 하나, 특히 하부 레일의 외부로부터 부착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후향적 조립체(retrospective assembly)가 또한 가능하며, 특히 외부로부터 각각 용이하게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정지구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하는 댐핑 요소들의 경우, 대응하는 단부 정지구의 대체가 따라서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통공이 상기 시트 레일에 제공될 때, 상기 개구의 전체가 사용되지는 않으며, 조립 또는 가능한 후향적 부착중에 상기 단부 정지구의 조정 가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정지구는 예를 들면 JIT 플랜트(just-in-time plant) 방식 또는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직접 조립되는 경우와 같이 다른 경우에 일반적인 시점보다 더 나중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레일은 상기 단부 정지구와 함께 상이한 요구조건, 특히 시트의 상이한 조정 길이를 갖는 상이한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돌출 영역, 특히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의 2개의 대응하는 영역들에 접하게(bear against)할 수 있는 탭들을 제공함으로써, 단부 위치로 상기 시트 레일이 움직이는 경우에 2개의 부분 영역들에 방해하는 힘이 분배된다. 이들 부분 영역들은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의 중심 종방향 선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배치된다. 특히, 상기 중심 종방향 선의 영역에는, 고정 수단(예를 들면, 리벳, 나사 등) 또는 다른 부품의 대응하는 개구에서 돌출하는 돌기와 같은 힘 전달을 위한 추가의 수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부 정지구는 바람직하게 크로스바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의 종방향 부재에 대해 45°내지 최대 135°, 특히 60°내지 90°의 각도만큼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T자형 형태이며, 상기 단부 정지구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 내의 통공을 통해 돌출하는 탭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하는 상기 탭의 각각의 측방향 영역은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와 상호 작용한다.
특히 상당히 바람직하게,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의 상기 종방향 부재에 대해 75°또는 90°만큼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10°까지의 공차가 제조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탭이 75°만큼 상부로 구부러진 실시예에 의해, 상기 단부 정지구는 향상된 강도를 갖고, 탭이 90°만큼 상부로 구부러진 실시예에 의해, 대응하는 레일 내의 슬롯은 더 좁게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립체는 다소 간소화된다.
특히, 돌기와 개구는 바람직하게 상기 종방향 부재의 중심 종방향 선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바람직하게 이에 대해 예비 위치설정(prepositioning)을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개구는 상기 레일의 종방향 축에 대해 평행한 상기 단부 정지구의 종방향 부재의 올바른 정렬을 고정시키는 것 외에도, 예를 들면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에 의해 상기 레일에 상기 단부 정지구를 후속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는 상기 탭들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개구는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레일의 중심 종방향 선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단부 정지구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에 형성된 통공, 특히 장방형 구멍 또는 개구 내에 위치되며, 일 영역에 의해 상기 통공의 에지 영역에 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 정지구는 하나 이상의 노치를 가지며, 상기 노치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 내의 통공의 에지 영역과 상호 작용하며, 특히 상기 단부 정지구를, 단부 위치에 및/또는 조립 동안의 피봇 운동(pivoting movement) 중에 상기 시트 레일에 대해 접합하여 유지시킨다.
특히 상기 단부 정지구는 바람직하게 삽입 보조구를 갖는다. 상기 삽입 보조구는 특히 바람직하게, 곡선 형태이며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탭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곡선 형태의 상기 탭의 영역은 상기 제 1 시트 레일에 형성된 슬롯 내에 단순히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 정지구의 정렬은 상기 시트 레일에 대해 비스듬하다. 완전히 삽입한 후에, 피봇 동작이 일어나며, 이 피봇 동작에 의해 상기 시트 레일 및 단부 정지구는 서로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도록 된다. 이에 대해, 상기 시트 레일의 개구에 결합하는 돌기는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레일에 대한 상기 단부 정지구의 올바른 위치를 보장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레일의 에지 영역이 상기 노치 내에 위치되는 피봇 동작 후에, 그리고 상기 삽입 보조구를 삽입한 후에, 상기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여전히 다소 비스듬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슬라이딩 동작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노치는 상기 에지 영역과의 결합으로부터 꺼내어지며, 상기 노치에 대향하는 상기 탭의 측면은 상기 대향하는 에지 영역에 대해 접하게 된다. 복귀 운동의 결과로서, 상기 돌기 및 개구가 서로 정렬되어, 상기 단부 정지구는 그 단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위치 설정이 일어난 후에, 상기 시트 레일에 대한 상기 단부 정지구의 고정은 특히 바람직하게 외부로부터 부착될 수 있는 블라인드 리벳에 의해 일어난다.
소음을 줄이기 위해, 상기 단부 정지구 상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댐핑 요소가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와 접촉하게 되는 표면의 영역에 제공된다. 이러한 댐핑 요소는 상기 단부 정지구의 충격을 감쇠시키며, 금속간의 부딪침(striking)을 방지한다. 이 댐핑 요소는, 예를 들면 상기 단부 정지구를 탄성 재료로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형이거나 원통 형태인 댐핑 요소의 부착은 다른 단부 정지구와 접촉하게 되는 표면 상에서 가능하다. 부착은 예를 들면 접착, 클리핑(clipping), 푸싱-온(pushing-on) 또는 대응하게 형성된 수용 영역으로의 삽입과 같은 임의의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단부 정지구는 특히 바람직하게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된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충분히 단단하고 충분한 부하 지지 용량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다른 적합한 재료가 또한 사용 가능하다. 플라스틱 부품과 같은 실시예의 경우, 댐핑 요소는 2개 부품 사출 성형 방법으로 직접적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 레일 상에 제공되는 고정된 단부 정지구에 의해 제한되는 최대 조절 거리는, 특히 바람직하게 자동차 제조업체의 공장에서 직접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정지구에 의해 추가로 제한될 수 있어서, 상이한 차량 시리즈에 대한 적용이 현장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시트 레일 상에 제공된 고정된 단부 정지구는, 예를 들면 자동차 제조업체의 공장에서 조립하는 중에 가변성 단부 정지구를 부주의하게 잊은 경우, 상기 차량 시트의 해제에 대한 추가의 안전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복수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끼움식 정지구를 갖는 하부 레일의 아래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하부 레일의 보다 상세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정지구와 함께 하부 레일의 아래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화살표(V)의 방향에서의 세부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의 단부 정지구의 종방향으로의 단면을 도시하며,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 레일, 단부 정지구 및 상부 레일의 조립체의 세부적인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지구가 없는 하부 레일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2개의 정지구를 갖는 도 9의 하부 레일의 세부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삽입후 및 조립전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를 갖는 하부 레일의 세부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조립후 및 리벳팅 전에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도 13은 조립체의 제 1 단부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를 갖는 하부 레일의 세부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조립체의 제 2 단부에 도 13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하부 레일을 도시하며,
도 15는 조립 및 리벳팅이 완료된 후에 도 13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하부 레일을 도시하며,
도 16은 지시된 차량 구조물을 갖는 차량 시트의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8은 도 17의 단부 정지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자동차 용으로 도 1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차량 시트(1)는 이하 하부 레일(2)로서 또한 표시되며 차량 구조물에 대한 고정 지점에서 고정 연결되는 2개의 제 1 시트 레일, 이하 상부 레일(3)로 또한 표시되며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2개의 제 2 시트 레일, 및 제 2 시트 레일 상에, 그에 따라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등받이(5)를 갖는 시트부(4)를 갖는다. 본질적으로 공지된 구조물 및 조정 장치(미도시)를 통해, 시트 높이, 시트 기울기 및 등받이 기울기가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위치는 추가의 조정 장치에 의해, 제 2 시트 레일을 제 1 시트 레일에 대해 변위시킴으로써 차량의 종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래칭 장치(미도시)가 시트 레일의 원하는 위치를 각각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시트 레일의 종방향 변위를 서로에 대해 제한하기 위해, 다른 정지구가 각각 제공되며, 다른 정지구에 대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개별적인 실시예의 후속 설명중에 제공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시트 레일 쌍으로 된 시트 레일 및 종방향 변위도의 양쪽 방향에서 제 1 시트 레일과 제 2 시트 레일 사이의 대응하는 정지구의 실시예로 인해, 본 발명은 단부 정지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정지구가 별개인 차량 시트(1)의 구성 및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 한, 모든 실시예에서 일치하는 시트 레일의 대응하는 적용에 관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하기에 설명되는 모든 실시예에서, 제 1 시트 레일 또는 하부 레일(2)은 U자형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이때 에지는 2번 안으로 다시 구부러진다. 그 내부에는 제 2 시트 레일 또는 상부 레일(3)이 장착되고, 제 2 시트 레일 또는 상부 레일(3)은 또한 U자형 프로파일로 형성되지만, 이때 에지 영역은 외부로 다시 구부러져서, 단부가 제 2 시트 레일의 종방향에서 볼 때 제 1 시트 레일의 에지 영역에 위치되며, (미도시된) 부분이 더 다시 뒤로 구부러져서 이 부분이 다시 2번 구부러지는 에지 내에 배치되며, 제 2 시트 레일의 단부 정지구(3a)를 형성하는 부분은 제 2 시트 레일의 기부에 대해 더 높은 높이를 가지며, 추가로 약 90°만큼 외부로 단지 구부러진다(도 8 참조).
서로 접촉하는 단부 정지구의 표면의 영역에서, 소음을 줄이기 위해, 하기에 명백히 언급되지는 않지만, 댐핑 요소가 특히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하나의 또는 양쪽 단부 정지구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은 임의의 방식으로, 예를 들면 완충기 상에 접착하거나 단부 정지구를 형성하는 베이스 본체를 부분적으로 코팅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제 1 시트 레일은 차량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센터링 핀(centering pin)에 의해 본질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위치되며, 센터링 핀은 원형 횡단면을 갖고 센터링 보조의 기능을 하는, 시트 레일의 센터링 개구(2a)를 통해 안내되며, 이 경우 원형 횡단면을 갖는 시트 레일의 2개의 고정 개구(2b)를 통해 삽입되는 2개의 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차량 구조물에 나사결합된다. 그러나 고정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판금(sheet metal)으로 제조된 T자형의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부분으로 형성되는 단부 정지구(11)가 하부 레일(2)에 부착된다. 이에 대해, 도 6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탭(11a)으로도 지시되는, 크로스바의 2개의 대향하는 단부가 90°의 각도로 상부로 구부러진다. 종방향 부재에서, 대략 탭(11a)들 사이에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개구(11b)가 형성되고, 종방향 부재의 다른 부분에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캠형 돌기(11c)가 형성되며, 캠형 돌기는 탭(11a)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개구(11b) 및 돌기(11c)는 종방향 부재의 중심 종방향 선에 위치된다.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는 위치에 단부 정지구(11)를 부착하기 위해, 하부 레일(2)의 종방향으로 원형 횡단면을 갖는 복수의 개구(2c) 및 장방형 구멍(2d)이 상기 하부 레일 상에 그 중심 종방향 선을 따라 제공되며, 슬롯(2e)이 개구(2c)들의 양 측면상에 제공되고, 개구(2c), 장방형 구멍(2d) 및 개구(2c)의 양 측면상에 배치되는 2개의 슬롯(2e)이 각각 단부 정지구(11)의 가능한 위치를 고정시킨다. 개구(2c)의 내경은 단부 정지구(11)의 개구(11b)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장방형 구멍(2d)의 폭은 단부 정지구(11)의 캠형 돌기(11c)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장방형 구멍(2d)의 폭이 돌기(11c)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하부 레일(2) 내의 슬롯(2e)의 슬롯 길이는 탭(11a)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슬롯(2e)의 슬롯 길이가 탭(11a)의 폭보다 약간 더 길지만, 슬롯(2e)의 폭은 탭(11a)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단부 정지구(11)의 탭(11a)은 하부 레일(2) 내에 따라서 배치되는 2개의 대향하는 슬롯(2e)들을 통해 하부 레일(2)에 대한 단부 정지구(11)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단부 정지구(11)의 돌기(11c)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장방형 구멍(2d) 내에 위치되며, 개구들의 그 내부에 배치되는 영역들에 대한 오버 사이즈(oversize)에 의해 단순한 조립체가 가능하다. 하부 레일(2) 내의 장방형 구멍 및 개구의 배열의 대응하는 디자인에 의해, 단부 정지구(11)의 올바른 설치 위치가 보장된다. 개구(11b)와 정렬되는 하부 레일(2)의 개구(2c) 내에 블라인드 리벳(12)을 삽입함으로써 하부 레일(2) 상에 단부 정지구(11)의 최종 위치가 고정되며, 이러한 위치는 블라인드 리벳(12)의 리벳팅에 의해 고정된다.
제 2 실시예
하기에 설명되지 않을 경우 제 1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횡단면을 갖는 제 2 개구(2d')가 장방형 구멍(2d) 대신에 하부 레일(2) 상에 제공된다. 이에 대해, 제 2 개구(2d')와 구별하기 위해 하기에서 제 1 개구로도 지시되는 개구(2c)가 한 쌍의 슬롯(2e)들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며, 각각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 1 개구(2c) 및 제 2 개구(2d')가 하부 레일(2)의 중심 종방향 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및 서로로부터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21)는, 그에 대한 관계 참조 부호가 도 6 및 도 7의 도면에 대해 형성되도록, 제 1 실시예의 단부 정지구(11)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단부 정지구(21)는 블라인드 리벳(22)에 의해 제 1 실시예의 단부 정지구(11)에 대응하여 하부 레일(2)에 고정되며, 블라인드 리벳(22)은 제 1 실시예의 블라인드 리벳(12)에 대응하며, 서로 정렬되는 개구(2c)와 개구(21b)를 통해 안내된다. 돌기(21c)는 개구(2d')들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된다.
단부 정지구(21)의 대응하는 실시예뿐 아니라 하부 레일(2)의 길이에 걸쳐서 있는 개구(2c) 및 개구(2d') 및 슬롯(2e)의 연속적인 배치의 결과로서, 단부 정지구(21)는 특히 하부 레일(2)의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등 거리에 위치된 복수의 위치들에서 삽입될 수 있으며, 양 방향으로 배향된 하부 레일(2) 내로 삽입되고 그에 고정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하기에 다르게 기재되지 않을 경우, 제 1 실시예에 대응한다. 따라서, 하부 레일(2)은 다시 중심의 종방향 라인을 따라 원형 횡단면을 갖는 복수의 개구(2c)와 장방형 구멍(2d)뿐 아니라 개구(2c)의 양 측상의 슬롯(2e)을 가지며, 개구(2c), 장방형 구멍(2d) 및 개구(2c)의 양 측상에 배치된 2개의 슬롯(2e)은 각각 단부 정지구(31)의 가능한 위치를 고정시킨다. 단부 정지구(31)는 또한 제 1 실시예의 단부 정지구(11)에 따라 형성되지만, 돌기(31c)로부터 보다 떨어진 탭(31a)의 측면상에서, 단부 정지구(31)의 중심부에 대한 전이 영역에 노치(31a')가 형성되며, 노치의 폭은 실질적으로 하부 레일(2)의 재료 두께에 대응하며, 노치는 단부 정지구(31)를 슬롯(2e)의 에지 영역의 수용부(receiver)의 레일(2)에 추가로 로킹시키도록 작용한다.
하부 레일(2)에 대한 단부 정지구(31)의 조립은, 돌기(31c)가 대응하는 장방형 구멍(2d) 내에 위치되고, 단부 정지구(31)와 하부 레일(2)의 서로를 향하는 표면들이 서로 접할 때까지, 탭(31a)이 하부 레일(2) 상에 단부 정지구(31)의 원하는 위치를 갖는 레벨로 대응하는 슬롯(2e)에 삽입됨으로써 실행된다. 그 후, 단부 정지구(31)는, 대응하는 장방형 구멍(2d)의 일단부에 있는 돌기(31c)와 노치(31a')가 슬롯(2e)의 대응하는 에지 영역을 받아들이도록, 하부 레일(2)의 종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위치에서, 개구(2c 및 31b)들은 서로 정렬된다. 블라인드 리벳(미도시)이 위치되어 서로 정렬된 개구(2c 및 31b)들을 통해 리벳팅됨으로써, 단부 정지구(31)는 하부 레일(2)에 고정된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에 따른 하부 레일(2)의 디자인은 제 2 실시예의 디자인에 대응하며, 즉 개구(2c 및 2d')들이 중심의 종방향 라인을 따라 연속적이며,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개구들 중 하나가 2개의 슬롯(2e)들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됨으로써, 양 방향으로 배향된 단부 정지구(41)가 다시 부착될 수 있다. 단부 정지구(41)는 중심 영역의 디자인에 대해 전술된 단부 정지구(11, 21, 31)에 대응하지만, 그 탭(41)의 디자인이 상이하다. 따라서, 탭은 제 3 실시예의 노치(31a')에 대한 그 기능에 대응하는 노치(41a')를 포함한다. 그러나 또한 탭(41a) 상에 있는 클로형(claw-like) 돌기의 형태인 삽입 보조구(41a")가 노치(41a') 상부 및 탭(41a)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탭(41a)은 돌기(41c)를 마주하는 단부 정지구(41)의 측면 상에서 연장한다.
하부 레일(2)에 대한 단부 정지구(41)의 조립은 탭(41a)의 삽입 보조구(41a")를 하부 레일(2) 상의 단부 정지구(41)의 원하는 위치를 갖는 레벨에서 대응하는 슬롯(2e)에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단부 정지구(41)는 (도 13에 화살표로 지시된) 삽입을 위해 하부 레일(2)에 비스듬히 위치된다. 대응하는 슬롯(2e)의 에지 영역 상의 노치(41a')들의 지지로 인해, 움직임의 방향에 대한 변경이 일어나며, 즉 단부 정지구(41)가 하부 레일(2)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때까지, 단부 정지구(41)는 이제 노치(41a') 내에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부 레일(2)을 향해 피봇된다(도 14에 곡선형 화살표 참조). 그 후, 단부 정지구(41)는 재차 약간 뒤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노치들(41a') 및 그에 마주 놓인 탭(41a)의 에지 영역들로 이루어진 슬롯(2e)의 에지 영역과 그에 마주 놓인 슬롯(2e)의 에지 영역의 양측에 접한다. 그 후, 단부 정지구(41)는, 단부 정지구(41)의 돌기(41c)가 대응하는 개구(2d') 내에 위치되고 단부 정지구(41) 및 하부 레일(2)의 서로를 향하는 표면들이 서로 접할 때까지, 하부 레일(2)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개구(2c)와 단부 정지구(41) 내의 대응하는 개구는 서로 정렬된다. 블라인드 리벳(42)이 위치되어 서로 정렬되는 개구들을 통해 리벳팅됨으로써, 단부 정지구(41)는 하부 레일(2)에 고정된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슬롯의 대응하는 에지 영역들 상의 탭의 측면의 일부의 지지뿐 아니라 돌기 및 장방형 구멍 및/또는 개구의 지지가 블라인드 리벳에 의해 형성된 지지에 대한 추가의 지지를 형성한다. 또한, 서로의 사이에 임의의 간격이 없이 배치되는 서로 정렬된 대응하는 치수의 개구들의 영역에 리벳을 사용함으로써, 리벳의 부하가 가능한 낮게 유지된다.
또한, 이 경우, 단부 정지구는, T자형 단부 정지구의 크로스바, 그 영역 내에 또한 배치되는 블라인드 리벳이 서로를 향하는 측면상에 배치되도록, 모든 실시예에 따라 배치된다(예를 들면, 도 1 참조).
상부 레일(3)의 단부 정지구(3a)와 접촉하는 영역들은 모든 실시예에서 T자형 단부 정지구의 크로스바의 하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크로스바의 상부면 또는 대응하는 노치가 하부 레일(2) 내의 슬롯(2e)의 에지 영역에 대해 내부에서 가압된다. 서로 부딪치는 상부 및 하부 레일의 단부 정지구들의 경우, 종방향 부재의 하부 부재는 하부 레일(2)의 표면 및 그에 따라 대응하는 개구(원형 개구(2d') 및/또는 장방형 구멍(2d)) 내의 단부 정지구의 돌기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추가로 블라인드 리벳의 부하가 낮게 유지된다.
제 5 실시예
종방향 조정기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 정지구(51)의 단지 디자인이 제 1 실시예의 단부 정지구(11)의 디자인과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레일(2, 3)의 디자인은 제 1 실시예의 디자인에 대응하지만, 슬롯(2e)은 단부 정지구(51)의 후속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 정지구(51)의 탭(51a)을 받아들이기 위해 약간 더 넓게 형성된다.
단부 정지구(51)는 다시 판금으로 제조된 T자형의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부분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도 17 및 도 18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탭(11a)으로도 지시되는 서로 대향하는 크로스바의 2개의 단부는 75°의 각도로 상부로 구부러져 있다. 종방향 부재에서, 대략 탭(51a)들 사이에 원형 횡단면을 갖는 개구(51b)가 형성되며, 종방향 부재의 다른 부분에 원형 횡단면을 갖는 캠 형상 돌기(51c)가 형성되며, 이 돌기는 탭(51a)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며, 개구(51b) 및 돌기(51c)는 종방향 부재의 중심의 종방향 라인에 위치된다. 돌기(51c) 및 개구(51b)의 치수는 제 1 실시예의 치수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 크로스바와 종방향 부재의 폭은 이 경우에 대략 동일하다. 탭(51a)이 위로 구부러지는 더 작은 굽힘 각도에 의해, 단부 정지구(51)는 향상된 강도를 갖는다. 또한, 달리 변경되지 않은, 특히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 디자인을 갖는 탭(51a)의 비스듬한 경로에 의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11)에서와 같이, 탭(51)과 레일(3)(도 8 참조) 사이의 접촉 표면보다 약간 더 큰 접촉 표면이 탭(51)과 레일(3) 사이에 만들어질 수 있음으로써, 서로 접촉시 단부 정지구(51) 및 레일(3)의 부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11)에 비해 약간 감소될 수 있다.
레일에 대한 단부 정지구(51)의 부착 및 고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부 정지구(11)의 부착 및 고정에 따라 일어나며, 이에 대해 추가의 세부 사항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에서 고정된 단부 정지구는 시트 레일에 부착되는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 외에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된 단부 정지구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시트 레일의 뒤로 구부러진 영역에 의해, 또는 시트 레일에 고정된 해제할 수 없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그래서 이들 고정된 단부 정지구는 또한 고정된 정지구로도 간주될 수 있다. 고정된 정지구는 서로에 대한 시트 레일의 상대 움직임을 최대 변위 범위내로 한정한다. 추가로 시트 레일에 부착되는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궁극적으로 원하는 변위 범위로 이러한 최대 변위 범위를 감소시킨다.
1: 차량 시트
2: 제 1 시트 레일, 하부 레일
2a: 중심 개구
2b: 고정 개구
2c: 개구, 제 1 개구
2d: 장방형 구멍
2d': 제 2 개구
2e: 슬롯
3: 제 2 시트 레일, 상부 레일
3a: 단부 정지구(상부 레일)
4: 시트부
5: 등받이
11, 21, 31, 41, 51: (하부 레일에 부착된) 단부 정지구
11a, 21a, 31a, 41a, 51a: 탭
11b, 21b, 31b, 51b: 개구
11c, 21c, 31c, 41c, 51c: 돌기
12, 22, 42: 블라인드 리벳
31a', 41a': 노치
41a": 삽입 보조구
α: 각도

Claims (19)

  1.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로서,
    하나 이상의 제 1 시트 레일(2),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시트 레일(3), 및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를 가지며,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 부착되고, 제 2 단부 정지구(3a)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2개의 상기 시트 레일(2, 3)의 서로에 대한 상대 변위도를 제한하며,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3a)는 상기 제 2 시트 레일(3)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시트 레일(3)에 부착되며,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는 복수의 통공(2d, 2e)이 제공되고, 상기 통공으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돌출 영역이 결합하며, 통공에 결합하는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돌출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하며,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3a)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돌출 영역에 의하여 상기 시트 레일(2, 3)들의 종방향으로 상기 시트 레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에 있어서,
    둘 이상의 상기 통공(2e)이 제공되며, 각각의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시트 레일(2, 3)의 종방향으로 상기 시트 레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돌출 영역을 돌출시키며,
    상기 통공(2e)을 통해 돌출하는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돌출 영역들은 상기 시트 레일(2)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와 일체로 형성되는 각각의 탭(11a, 21a, 31a, 41a, 51a) 및 관련 통공(2e)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관련 통공(2e)은 각 경우에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의 슬롯(2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크로스바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의 종방향 부재에 대해 45°내지 최대 135°의 각도(α)만큼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종축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T자형 형태이며,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의 통공(2e)을 통해 돌출하는 형성 탭(11a, 21a, 31a, 41a, 51a) 및 상기 탭(11a, 21a, 31a, 41a, 51a)의 각각의 측방향 영역은 상기 통공(2e)을 통해 돌출하며,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3a)와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의 종방향 부재에 대해 75°만큼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단부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의 종방향 부재에 대해 90°만큼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부재의 중심 종방향 선을 따라서, 돌기(11c, 21c, 31c, 41c, 51c) 및 개구(11b, 21b, 31b, 5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1b, 21b, 31b, 51b)는 상기 탭(11a, 21a, 31a, 41a, 51a)들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하나 이상의 돌기(11c, 21c, 31c, 41c, 51c)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에 형성된 통공에 위치되고, 일 영역에 의해 상기 통공의 에지 영역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31, 41)는 하나 이상의 노치(31a', 41a')를 가지며, 상기 노치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의 통공의 에지 영역과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41)는 삽입 보조구(41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보조구(41a")는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선 형태인 탭(41a)의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는 블라인드 리벳(12, 22, 42)에 의해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상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댐핑 요소가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3a)와 접촉하게 되는 표면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상기 시트 레일(2, 3)들의 최대 조절 거리를 감소시키며, 상기 최대 조절 거리는 고정된 정지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종방향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1).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크로스바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평면 형태의 종방향 부재에 대해 60° 내지 90°의 각도(α)만큼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의 종축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T자형 형태이며,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의 통공(2e)을 통해 돌출하는 형성 탭(11a, 21a, 31a, 41a, 51a) 및 상기 탭(11a, 21a, 31a, 41a, 51a)의 각각의 측방향 영역은 상기 통공(2e)을 통해 돌출하며, 상기 제 2 단부 정지구(3a)와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11, 21, 31, 41, 51)는 하나 이상의 돌기(11c, 21c, 31c, 41c, 51c)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 1 시트 레일(2) 내에 형성된 장방형 구멍(2d) 또는 개구(2d') 내에 위치되고, 일 영역에 의해 상기 통공의 에지 영역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정지구(31, 41)는 하나 이상의 노치(31a', 41a')를 가지며, 상기 노치는 상기 단부 정지구(31, 41)가 상기 제 1 시트 레일(2)에 접합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종방향 조정기.
KR1020107005735A 2008-03-06 2009-02-25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종방향 조정기 KR101344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2888A DE102008012888A1 (de) 2008-03-06 2008-03-06 Längseinsteller mit mindestens einem Endanschlag
DE102008012888.0 2008-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729A KR20100115729A (ko) 2010-10-28
KR101344384B1 true KR101344384B1 (ko) 2013-12-26

Family

ID=4058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735A KR101344384B1 (ko) 2008-03-06 2009-02-25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종방향 조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91850B2 (ko)
KR (1) KR101344384B1 (ko)
CN (1) CN101959712B (ko)
BR (1) BRPI0905088B1 (ko)
DE (3) DE102008012888A1 (ko)
PL (1) PL216618B1 (ko)
WO (1) WO2009109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84415B (zh) 2007-10-11 2012-08-29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座椅滑动装置
DE102009058450B3 (de) * 2009-12-16 2011-05-19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mit Spindel und Spindelhalter
US8540203B2 (en) 2009-12-16 2013-09-24 Keiper Gmbh & Co. Kg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with spindle and spindle holder
DE102010010585B4 (de) * 2010-03-04 2013-03-07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mit Spindel und Spindelhalter
FR2958230B1 (fr) * 2010-04-02 2012-04-13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DE102010018680A1 (de) 2010-04-29 2011-11-03 Clariant International Limited Flammschutzmittel-Stabilisator-Kombination für thermoplastische und duroplastische Polymere
DE102010063044A1 (de) * 2010-12-14 2012-06-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ängsverstelleinrichtung mit einem Spindelhaltewinkel
DE102010055244B4 (de) * 2010-12-20 2012-08-30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barer Fahrzeugsitz
DE102011100866B4 (de) * 2011-05-07 2020-06-18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einstellbarer Fahrzeugsitz mit Memoryvorrichtung
CN103732440A (zh) * 2011-07-07 2014-04-16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可在其纵向引导件中向前移动并具有折叠靠背的车辆座椅
DE102012201584B4 (de) * 2012-02-03 2021-04-01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anordnung mit wählbaren Endanschlag-Positionen und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Sitzschienenanordnung
DE112012007052T5 (de) 2012-10-25 2015-08-06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anordnung mit auswählbaren Endstopppositionen
ES2632198T3 (es) * 2012-11-07 2017-09-11 Ims Gear Se & Co. Kgaa Accionamiento de un dispositivo de ajuste de asiento para vehículos
US9109353B1 (en) * 2013-08-13 2015-08-18 The Boeing Company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sidewall panels to a support structure
DE102015100931B4 (de) * 2015-01-22 2020-07-16 Faurecia Autositze Gmbh Schienen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ienensystems
FR3035621B1 (fr) * 2015-04-29 2018-06-15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ysteme d’entretoisement pour la fixation d’une glissiere de siege sur un chassis, entretoise pour ce systeme et procede de realisation de ce systeme
US10160350B2 (en) * 2015-06-30 2018-12-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Adjusting device for longitudinal adjustment of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assembly
CN108136939B (zh) * 2015-08-03 2021-02-05 延锋安道拓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用于可纵向调节的座椅的轨道的止动件
DE102015219472B4 (de) * 2015-08-06 2021-07-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Schienenpaar und Fahrzeugsitz
DE102015215592B4 (de) * 2015-08-14 2023-05-25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US9849808B2 (en) 2016-03-08 2017-12-26 Honda Motor Co., Ltd. End bracket for lateral slide rail for removable seat
US11077772B2 (en) * 2017-03-02 2021-08-03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Vehicle seat track system
CN107380018B (zh) * 2017-08-25 2023-06-20 恺博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带有滑轨球挡结构的滑轨
US10843593B2 (en) * 2019-04-16 2020-11-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g (Coburg) Adjusting device for longitudinal adjustment of a vehicle seat
FR3106538B1 (fr) 2020-01-29 2022-01-1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Fixation de glissière de siège de véhicule
FR3109752B1 (fr) * 2020-04-30 2022-05-13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ège pour véhicule comprenant un système de retenue du dispositif de réglage et de suspension
CN112297967A (zh) * 2020-11-11 2021-02-02 杨枝森 一种方便进行调节的汽车驾驶员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803A (ja) 2000-12-08 2002-06-26 Setsu Muto 自動車用シート取付具及び自動車用シート取付構造
DE10236067A1 (de) 2002-08-07 2004-02-19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FR2847530A1 (fr) 2002-11-25 2004-05-28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e telle glissiere
JP2007030805A (ja) 2005-07-29 2007-02-08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5611B2 (en) * 1987-06-11 1990-04-05 Tachi-S Co., Ltd. Seat slide device
DE4304456C2 (de) * 1992-02-25 1997-07-31 Volkswagen Ag Anordnung mit einer längsverschiebbaren Schiene und einem daran befestigten Anschlag
FR2730196B1 (fr) * 1995-02-03 1997-04-0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verrouillable en position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DE19804506C2 (de) 1998-02-05 2002-08-14 Keiper Gmbh & Co Anschlag zur Begrenzung des Stellwegs einer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JP4857558B2 (ja) * 2004-12-21 2012-01-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05012018B4 (de) * 2005-03-16 2016-03-31 General Motors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nschlag zur Begrenzung des Stellweges einer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Sitze
KR100848004B1 (ko) * 2007-10-09 2008-07-23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 이송 트랙 장치
JP2009101955A (ja) * 2007-10-25 2009-05-1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08012213A1 (de) * 2008-03-03 2009-09-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Endanschl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803A (ja) 2000-12-08 2002-06-26 Setsu Muto 自動車用シート取付具及び自動車用シート取付構造
DE10236067A1 (de) 2002-08-07 2004-02-19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FR2847530A1 (fr) 2002-11-25 2004-05-28 Faurecia Sieges 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e telle glissiere
JP2007030805A (ja) 2005-07-29 2007-02-08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1194A1 (en) 2011-05-05
CN101959712B (zh) 2014-08-27
PL391037A1 (pl) 2010-10-25
DE112009000478A5 (de) 2011-02-17
DE112009000478B4 (de) 2017-11-09
CN101959712A (zh) 2011-01-26
US8191850B2 (en) 2012-06-05
WO2009109316A1 (de) 2009-09-11
DE202009002972U1 (de) 2009-07-16
BRPI0905088A2 (pt) 2015-06-30
PL216618B1 (pl) 2014-04-30
KR20100115729A (ko) 2010-10-28
DE102008012888A1 (de) 2009-09-10
BRPI0905088B1 (pt)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84B1 (ko) 하나 이상의 단부 정지구를 갖는 종방향 조정기
US7904994B2 (en) Mounting device for a fastening system trim elements to vehicle body
CN107980029B (zh) 用于车辆座椅的纵向调节器的致动机构以及具有该致动机构的纵向调节器
KR101909613B1 (ko)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CN109476243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CN109476244B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KR101594344B1 (ko) 베어링 조립체 생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생산된 베어링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 시트용 피팅
US20110240821A1 (en) Vehicle Seat Runner and Seat Comprising Such a Runner
US20110163562A1 (en) Continously adaptive fastener clip
US7513550B1 (en) Vehicle console mounting bracket
JP2004511388A (ja) 座席の縦方向調節装置
JP2002502749A (ja) 座席、とくに自動車座席のための長手調節装置の操作行程を制限するストッパ
KR20170093963A (ko) 차량 시트용 길이 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US20180222352A1 (en) Longitudinal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EP2596994A1 (en) Fascia coupling bracket
WO200102694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70022665A1 (en) Assembly for holding a window pane of a window lifter
KR20210107855A (ko)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CN110869244A (zh) 用于在车辆上固定传感器、尤其是雷达传感器的紧固装置,以及由紧固装置和传感器构成的系统
KR101585248B1 (ko)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CN113906190A (zh) 家具连接配件
CN113840969A (zh) 配件装置
US11840180B2 (en) Fastening device for a water-catching strip, and arrangement of a water-catching strip on an A-pillar of a motor vehicle
CN114401884A (zh) 用于将仪表板连接到车辆的车身部分的装配部件
KR20110103931A (ko) 자동차용 윈도우 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