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13B1 -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 Google Patents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13B1
KR101909613B1 KR1020137024401A KR20137024401A KR101909613B1 KR 101909613 B1 KR101909613 B1 KR 101909613B1 KR 1020137024401 A KR1020137024401 A KR 1020137024401A KR 20137024401 A KR20137024401 A KR 20137024401A KR 101909613 B1 KR101909613 B1 KR 101909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sliding member
control element
latch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905A (ko
Inventor
페테르 네로
아이보 케스
라리사 멜니코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4000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용 안전 벨트의 고정 부분을 위한 높이 조절기(1)는, 베이스(22) 및 걸쇠 윤곽부(14,15)가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측벽(11,12)을 가진 형상화된 레일(2), 형상화된 레일(2)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고 걸쇠 윤곽부(14, 15) 안에 미끄럼 부재(16)를 잠기게 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미끄럼 부재(16) 및, 잠금 장치를 잠금 해제시키는 제어 요소(3)를 포함한다. 미끄럼 부재(16)의 가장자리 측부상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21)가 제공되고, 잠금 장치는 절개부(21) 안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4,5)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Height adjuster for a fastening fitting of a safety belt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의 구성을 포함하는 안전 벨트 시스템의 브래킷을 위한 높이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높이 조절기는 예를 들어 독일 출원 DE 10 2008 052 850 A1 에 개시되어 있다. 높이 조절기는 베이스 및 베이스의 가장자리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2 개의 측벽들로 이루어진 형상화된 레일을 구비하며, 베이스의 가장자리들은 자유 가장자리에서 베이스를 향해 굽혀진다. 형상화된 레일은 굽혀진 가장자리에 의해 제한된 C 형상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더욱이, 미끄럼 부재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형상화된 레일 안에서 변위될 수 있고 브래킷을 위한 장착 구멍을 포함하며, 미끄럼 부재와 장착 브래킷 사이에 제공된 고정 수단의 텐션 방향에서 굽힘 가장자리를 통하여 형상화된 레일에 고정된다. 형상화된 레일의 측벽에서, 규칙적으로 이격된 윈도우들의 형태인 걸쇠 윤곽부가 제공되며, 걸쇠 윤곽부는 미끄럼 부재 및 브래킷이 다양한 높이들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형상화된 레일에 대하여 미끄럼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양쪽 측부들로부터 돌출된 2 개의 걸쇠 요소들은 미끄럼 부재상에 제공되며, 이들은 비작동 위치에서 형상-폐쇄 방식(form-closed manner)으로 윈도우 안에 맞물리고 그에 의하여 변위될 수 없는 방식으로 미끄럼 부재를 고정시킨다. 더욱이, 작동 요소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스크류를 통하여 미끄럼 부재에 고정되고 작동시에 걸쇠 요소들을 잠금 위치 밖으로 밀어서, 걸쇠 요소들이 윈도우들에 더 이상 맞물리지 않게 하며 그에 부착된 브래킷을 가진 미끄럼 부재는 차후에 차량에 고정된 형상화된 레일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양쪽 걸쇠 요소들이 동시에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 요소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대칭적으로 위치된 걸쇠 요소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작동시에 각각의 측에 있는 걸쇠 요소들중 하나에 대하여 맞닿는다.
걸쇠 요소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미끄럼 부재의 베어링 플랜지상에 장착되며, 그에 의하여 걸쇠 요소들과 함께 슬라이딩 부재의 전체 높이가, 그리고 따라서 설치 공간의 높이가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높이 조절기도 더 높은 전체 높이를 가지며, 따라서 차량 구조체에 있는 부착 지점과 그것을 덮는 인테리어 트림(interior trim) 사이에 커다란 자유 공간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약 부착 지점에서 이용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제한된다면, 그러한 높이 조절기를 차량에 부착시키는 것이 문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낮은 전체 높이를 가지는 높이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들은 종속항, 도면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요부가 미끄럼 부재의 측부 가장자리에 제공되고, 걸쇠 수단은 요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걸쇠 멈춤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걸쇠 멈춤쇠를 장착하기 위하여 제공된 요부 때문에, 설치 공간에 대하여 최적화되는 방식으로 미끄럼 부재 안으로 요부가 일체화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요부 안에 장착된 걸쇠 멈춤쇠의 체적에 의해 적어도 설치 공간이 감소된다. 그에 의하여, 특히 미끄럼 부재 및 걸쇠 요소로 이루어진 유닛의 전체 높이가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걸쇠 요소가 미끄럼 부재상에 위치됨으로써 더 이상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형상화된 레일 및 전체적인 높이 조절기 양쪽은 평평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요부의 영역에 있는 미끄럼 부재가 바람직스럽게는 두께(D1)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걸쇠 멈춤쇠는 두께(D1)와 같거나 또는 두께(D1) 보다 작은 두께(D2)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이 더 제안된다. 걸쇠 요소의 치수를 제안된 바와 같이 정함으로써, 걸쇠 요소는 미끄럼 부재의 외측 치수들내에 완전하게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그것이 적어도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걸쇠 멈춤쇠가 바람직스럽게는 요부 안에 피봇 장착된다. 피봇 베어링이 요부 안에서 구현되고 따라서 미끄럼 부재 또는 형상화된 레일의 레벨에서 구현되므로, 전체적인 높이는 피봇 베어링에 의해 높아지지 않는다. 피봇 베어링이 바람직스럽게는 제한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요부 및 피봇 탭을 포함하는 걸쇠 멈춤쇠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걸쇠 멈춤쇠는 피봇 탭에 의해 베어링 안에 피봇 장착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형상화된 레일 또는 미끄럼 부재의 레벨로부터 돌출된 베어링 플랜지는 불필요해질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높이 조절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해제 상태에서 높이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걸쇠 상태에서 높이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해제 상태에서 걸쇠 수단의 영역에 있는 높이 조절기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5 는 걸쇠 상태에서 걸쇠 수단의 영역에 있는 높이 조절기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6 은 미끄럼 부재의 절단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높이 조절기(1)는 형상화된 레일(2)을 구비하며, 이것은 U 형상 또는 C 형상 단면을 가지고 베이스(22) 및 측방향으로 돌출된 대향의 측벽(11,12)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측벽(11,12)에서, 개별의 걸쇠 윤곽부(14,15)가 제공되며 특히 걸쇠 윈도우(latching window) 형태의 걸쇠 윤곽부가 제공된다. 높이 조절기(1)는 슬라이드(33)를 더 구비하며, 이것은 형상화된 레일(2)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고 특히 미끄럼 부재(16), 제어 요소(3) 및 안내 부재(9)를 구비한다. 미끄럼 부재(16), 제어 요소(3) 및/또는 안내 부재(9)가 바람직스럽게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다. 형상화된 레일(2)은 형상화된 레일(2)을 차량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특히 B 필라(pilllar)에 부착하기 위한 적절한 요소(18,40)들을 포함한다. 유리한 장착 요소(40)는 형상화된 레일(2) 중심에서의 추가적인 부착을 허용한다.
안내 부재(9)는 형상화된 레일(2)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형상화된 레일(2)과 안내 부재(9) 사이에서 작용하는 안내 수단이 제공된다. 현재 실시예에서, 안내 수단은 형상화된 레일(2)의 측벽(11,12)에 제공된 다리(17)들 및 안내 부재(9)의 길이 방향 측에 제공된 U 형상부(34)에 의해 형성되는데, 레일(2)이 바람직스럽게는 베이스(2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U 형상부(34)에 맞물린다. 안내 부재(9)는 예를 들어 벨트 편향기와 같은, 안전 벨트의 브래킷을 장착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36)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형상화된 레일(2)과 안내 부재(9)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10)은 슬라이드(33)상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힘은 슬라이드(33) 및 그에 부착된 벨트 부분의 중량에 반대로 지향됨으로써, 점유자를 위하여 슬라이드(33)의 변위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미끄럼 부재(16)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형상화된 레일(2)의 측벽(11,12)의 걸쇠 윤곽부(14,15)에 있는 미끄럼 부재(16)의 양쪽 측부를 걸쇠 결합(latching)시키기 위한 걸쇠 요소(4,5)의 형태인 걸쇠 수단을 구비한다. 미끄럼 부재(16)가 바람직스럽게는 안내 부재(9)에 연결된 분리된 구성 요소이며, 예를 들어 안내 부재(9)의 개구(25) 안으로 맞물리는 플랜지(46)를 통하여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통하여 변위될 수 없는 방식으로 안내 부재에 연결된다. 미끄럼 부재(16)가 바람직스럽게는 형상화된 레일(2)의 베이스(22)와 안내 부재(9)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안내 부재(9) 및 미끄럼 부재(16)는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걸쇠 요소(4,5)들은 특히 걸쇠 멈춤쇠(latching pawl)로서 설계된다. 걸쇠 멈춤쇠(4,5)가 바람직스럽게는 미끄럼 부재(16)의 레벨에 위치되고, 도 3 및 도 4 에 따른 해제 상태에서는 미끄럼 부재의 측부 가장자리에 있는 대응의 측방향 요부(21)들 안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드(33) 및 그것과 함께 벨트 브래킷은 형상화된 레일(2)을 따라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도 6 에서 알 수 있는 바로서, 특히 플레이트 형상 걸쇠 멈춤쇠(4,5)의 두께(D2)는 특히 플레이트 형상 미끄럼 부재(16)의 두께(D1) 보다 작거나 또는 그것과 같아서, 전체 높이가 유리하게 최소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걸쇠 멈춤쇠(4,5)는 도 3 및 도 4 에 따른 해제 위치와 도 2 및 도 5 에 따른 걸쇠 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부재(16)에 대하여 회전(swivel)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각각의 걸쇠 멈춤쇠(4,5)가 바람직스럽게는 피봇 탭(pivot tab, 23)을 구비하는데, 피봇 탭은 미끄럼 부재의 개별적인 요부(21)의 대응하는 제한 베어링(24) 안에 피봇 장착된다.
걸쇠 멈춤쇠(4,5)는 스프링(6)에 의해 걸쇠 방향으로 사전에 부하를 받는다. 스프링(6)이 바람직스럽게는 토션 스프링 또는 레그 스프링(leg spring, 6)이며, 이것은 축 둘레에서 토션 부하를 받고 2 개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리(7,8)를 가지며, 다리들 각각은 하나의 걸쇠 멈춤쇠(4,5)에 대하여 맞닿는다. 스프링(6) 때문에 걸쇠 멈춤쇠(4,5)가 정상적으로는 걸쇠 결합 상태(latched state)에 있는데, 그러한 상태에서는 걸쇠 멈춤쇠(4,5)가 형상화된 레일(2)의 측부 벽(11,12)에 제공된 윈도우(14,15) 안으로 맞물리고 슬라이드(33)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함으로써, 운전중의 그 어느 때라도 슬라이드(33)에 부착된 벨트 브래킷이 정해진 수직 위치를 취한다. 걸쇠 위치에서, 대응 표면(28)을 가진 걸쇠 멈춤쇠(4,5)가 유리하게는 힘 전달 방식으로 개별 요부(21)의 가장자리(29)에 대하여 맞닿는다. 더욱이, 걸쇠 멈춤쇠(4,5)는 걸쇠 결합 위치에서 개별의 걸쇠 윈도우(14)의 가장자리(30)에 대하여 맞닿는 표면(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요소(3)는 점유자에 의해 작동되는 결과로서 걸쇠 수단을 제어하거나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 요소(3)는 예를 들어 후크(hook) 형상의 요소(31)를 통하여 미끄럼 부재(16)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상 요소는 요부(21)의 내측 표면을 따라서 안내된다. 제어 요소(3)는 예를 들어 핀 형상의 작동 요소(37)를 포함하며, 이것이 바람직스럽게는 제어 요소(3)와 일체로 형성된다. 슬라이드(33)의 의도되지 않은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 요소(3)는 압축 스프링(32)에 의하여 걸쇠 방향으로 미끄럼 부재(16)에 대하여 미리 부하를 받는다.
돌출부(19,20)들이 제어 요소(3)상에 더 제공되며, 이들은 제어 요소(3)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을 가진 대응 접촉 표면(25)들과 함께 작동한다. 압축 스프링(32)의 힘에 대하여 작동 요소(37)를 작동시킬 때 제어 요소(3)가 변위되기 때문에, 돌출부(19,20)들에 의하여 걸쇠 멈춤쇠(4,5)들은 레그 스프링(6)의 힘에 대하여 요부(21)들 안으로 밀리고 걸쇠 윈도우(14,15)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해제 위치로 회전된다. 걸쇠 멈춤쇠(4,5)들 각각이 바람직스럽게는 표면(26)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해제 위치에서 제어 요소(3)의 변위 방향에 대략 평행으로 연장됨으로써, 제어 요소(3)가 더 변위되면 걸쇠 멈춤쇠(4,5)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제어 요소(3)가 바람직스럽게는 형상화된 레일(2)의 베이스(22)와 미끄럼 부재(16)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제어 요소(3) 및 미끄럼 부재(16)가 바람직스럽게는 안내 부재(9)와 형상화된 레일(2)의 베이스(22)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제어 요소(3)가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크류(screw)를 통하여 제어 요소(3)를 미끄럼 부재(16)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작동 요소(37)를 외부로 통과시켜서 점유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 요소(3) 및/또는 안내 부재(9)가 바람직스럽게는 작동 요소(37)를 위한 대응 관통 개구(38,39)를 포함한다. 특히,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9)에 대한 제어 요소(3)의 변위 가능성에 비추어, 안내 부재(9)의 관통 개구(39)는 길이가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는게 편리하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2 개의 걸쇠 멈춤쇠(4,5)들을 통하여 미끄럼 부재(16) 양측에서의 유리한 걸쇠 작용을 설명하였으며, 걸쇠 멈춤쇠 각각은 개별의 요부(21)에 위치된다. 그러나, 요부(21) 안에 위치된 특히 하나의 걸쇠 멈춤쇠(4)만을 포함하는 단일의 측면 걸쇠 작용 걸쇠 수단도 가능하다.
2. 형상화된 레일 3. 제어 요소
9. 안내 부재 11. 12. 측벽
14.15. 윤곽부 40. 장착 요소

Claims (12)

  1. 차량용 안전 벨트의 브래킷을 위한 높이 조절기(1)로서,
    베이스(22) 및 측벽(11,12)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벽(11,12)에 걸쇠 윤곽부(14,15)가 제공된, 형상화된 레일(2);
    형상화된 레일(2)을 따라서 변위될 수 있고, 걸쇠 윤곽부(14,15)에 미끄럼 부재(16)를 결쇠 결합시키는 걸쇠 수단(latching means)을 포함하는, 미끄럼 부재(16); 및,
    걸쇠 수단을 해제시키는 제어 요소(3);를 포함하고,
    미끄럼 부재(16)의 측부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요부(21)가 제공되고,
    걸쇠 수단은 요부(21)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걸쇠 요소(4,5)에 의해 형성되고,
    걸쇠 요소(4,5)는 스프링(6)에 의하여 걸쇠 결합 방향(latching direction)으로 미리 부하를 받고,
    스프링(6)은 2 개의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리(7,8)들을 가진 레그 스프링(leg spring) 또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리(7,8)를 가진 레그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6)은 적어도 하나의 걸쇠 요소(4,5)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요부(21)의 영역에서, 미끄럼 부재(16)는 두께(D1)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이고,
    걸쇠 요소(4,5)는 두께(D1)와 같거나 두께(D1)보다 얇은 두께(D2)를 가진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걸쇠 요소(4,5)는 요부(21) 안에 피봇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4. 제 3 항에 있어서,
    걸쇠 요소(4,5)는 피봇 탭(23)을 포함하고, 요부(21)는 제한된 베어링(24)을 포함하고,
    걸쇠 요소(4,5)는 피봇 탭(23)에 의하여 베어링(24) 안에 피봇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요소(3)는 돌출부(19,20)에 의해 걸쇠 요소(4,5)에 맞닿고, 작동 시에 걸쇠 요소(4,5)를 돌출부(19,20)에 의해 요부(21)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8. 제 7 항에 있어서,
    걸쇠 요소(4,5)는 외측 표면에 접촉 표면(25)을 포함하고, 접촉 표면은 제어 요소(3)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을 가지고, 제어 요소(3)는 미끄럼 부재(16)에 대한 제어 요소(3)의 변위중에 접촉 표면(25)에 대하여 돌출부(19,20)에 의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요소(3)는 미끄럼 부재(16)와 형상화된 레일(2)의 베이스(22)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요소(3) 및 미끄럼 부재(16)는 형상화된 레일(2)을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부재(9)와 형상화된 레일(2)의 베이스(22)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걸쇠 위치에서 걸쇠 요소(4,5)는 힘 전달 방식으로 요부(21)의 가장자리(29)에 대하여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별의 걸쇠 윤곽부(14,15)가 2 개의 측벽(11,12)들 각각에 제공되고,
    적어도 2 개의 요부(21)들이 미끄럼 부재의 측부 가장자리들에 제공되고,
    미끄럼 부재(16)의 양쪽 측부들을 걸쇠 결합시키기 위한 걸쇠 수단이 요부들에 위치된 적어도 2 개의 걸쇠 요소(4,5)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기(1).
KR1020137024401A 2011-03-16 2012-02-25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KR101909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4175.8 2011-03-16
DE102011014175.8A DE102011014175B4 (de) 2011-03-16 2011-03-16 Höhenversteller für einen Befestigungsbeschlag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PCT/EP2012/000857 WO2012123068A1 (de) 2011-03-16 2012-02-25 Höhenversteller für einen befestigungsbeschlag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905A KR20140007905A (ko) 2014-01-20
KR101909613B1 true KR101909613B1 (ko) 2018-10-18

Family

ID=4577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401A KR101909613B1 (ko) 2011-03-16 2012-02-25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027964B2 (ko)
EP (1) EP2686212B1 (ko)
JP (1) JP5767719B2 (ko)
KR (1) KR101909613B1 (ko)
CN (1) CN103415418B (ko)
DE (1) DE102011014175B4 (ko)
ES (1) ES2604685T3 (ko)
HU (1) HUE029827T2 (ko)
PL (1) PL2686212T3 (ko)
WO (1) WO20121230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571A (ko) 2019-05-22 2020-12-02 (유)삼송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234A (zh) * 2013-12-03 2014-03-26 稻朗(上海)电塑科技有限公司 汽车安全带的高度调节装置
KR101575525B1 (ko) 2014-09-05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의 하이트 어저스터
DE102014013080B4 (de) * 2014-09-09 2019-01-17 Autoliv Development Ab Führungsschiene für einen Höhenversteller
CN106794820B (zh) * 2014-09-09 2020-10-23 奥托立夫开发公司 高度调节装置
CN109398293B (zh) * 2018-11-01 2020-05-19 慈溪市亚路车辆配件有限公司 一种无按钮式安全带高度调节器
CN109398295A (zh) * 2018-11-01 2019-03-01 慈溪市亚路车辆配件有限公司 一种安全带高度调节器
CN109398291B (zh) * 2018-11-01 2020-08-18 慈溪市亚路车辆配件有限公司 一种转板自锁式安全带高度调节器
CN109624911B (zh) * 2018-11-06 2021-06-18 宁波工程学院 一种安全带高度调节器
US10981537B2 (en) * 2019-06-07 2021-04-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height adjuster
CN111186412B (zh) * 2020-01-08 2021-06-22 德州职业技术学院(德州市技师学院) 一种方便调节安装位置的汽车安全带
KR102260808B1 (ko) * 2020-01-13 2021-06-07 주식회사 오스템 자동차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US11724665B1 (en) 2022-05-19 2023-08-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limiting assembly for seatbelt
US11780404B1 (en) * 2022-05-23 2023-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US11951932B1 (en) 2022-09-28 2024-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limiting assembly for seatbel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213A (ja) * 2008-05-28 2009-12-1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3001233A1 (en) * 1981-10-03 1983-04-14 Baden, Hans Vertical adjusting device of the upper fitting of the shoulder belt in a safety belt system
DE3139419A1 (de) * 1981-10-03 1983-04-21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hoehenverstellbarer befestigungs- oder umlenkbeschlag fuer sicherheitsgurte"
EP0086633B1 (en) * 1982-02-11 1987-06-03 Ase (Uk) Limited Adjustable anchorages
USRE32448E (en) * 1982-04-08 1987-06-30 Ase (Uk) Limited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US4538832A (en) * 1983-02-14 1985-09-03 Ase (Uk) Limited Adjustable seat belt anchorage
GB8611009D0 (en) * 1986-05-06 1986-06-11 Ase Uk Ltd Adjustable anchorage
DE3737974A1 (de) * 1987-11-07 1989-05-18 Autoflug Gmbh Hoehenverstellvorrichtung mit fernbetaetigter entriegelung
DE3844258A1 (de) * 1988-12-29 1990-07-12 Autoliv Kolb Gmbh & Co Kg Hoehenverstellbarer umlenkbeschlag fuer sicherheitsgurte von kraftfahrzeugen
US5265908A (en) * 1992-03-16 1993-1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for D-ring
US5366243A (en) * 1993-03-25 1994-11-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for seat belt shoulder strap
ES2124338T3 (es) * 1994-06-01 1999-02-01 Albert Griesemer Regulador de altura para herrajes de inversion en cinturones de seguridad de automoviles.
DE19500268C1 (de) * 1995-01-07 1996-05-02 Autoliv Dev Höhen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29606526U1 (de) * 1996-04-10 1996-08-14 Trw Repa Gmbh Gurthöhenversteller für ein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
DE29606521U1 (de) * 1996-04-10 1996-08-08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US5911439A (en) * 1996-04-19 1999-06-15 Takata (Europe) Vehicle Safety Technology Gmbh Vertical adjustment for the deflection fitting of a safety belt
DE29608035U1 (de) * 1996-05-03 1996-08-29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DE29700549U1 (de) * 1997-01-14 1997-05-07 Trw Repa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Umlenkbeschlag eines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s
US5931502A (en) * 1997-01-15 1999-08-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ring height adjuster
DE29713642U1 (de) * 1997-07-31 1997-10-02 Griesemer Albert Höhenversteller für Umlenkbeschläge von Fahrzeug-Sicherheitsgurten
US5924731A (en) * 1998-06-22 1999-07-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for seat belt webbing
DE102004003966B3 (de) * 2004-01-27 2005-06-23 Dr.Ing.H.C. F. Porsche Ag Vorrichtung zur stufenweisen Höhenverstellung eines Halte- oder Umlenkbeschlages eines Sicherheitsgurtes an einem hohlen Karosserieteil eines Kraftfahrzeuges
US7543852B2 (en) * 2005-12-15 2009-06-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belt assembly having length adjustable service arm
DE102007026127A1 (de) * 2007-06-05 2008-12-11 Trw Automotive Gmbh Höhenversteller
DE102008052850A1 (de) 2008-10-23 2010-04-29 Autoliv Development Ab Höhenversteller für das Beschlagteil eines Sicherheitsgurt Systems und Profilschiene zur Verwendung in einem Höhenversteller
DE102011111781B4 (de) * 2011-09-01 2022-03-03 Autoliv Development Ab Höhenversteller für einen Befestigungsbeschlag eines Sicherheitsgurt-Systems
DE102012200061B4 (de) * 2012-01-03 2014-08-21 Autoliv Development Ab Höhenversteller für einen Befestigungsbeschlag eines Sicherheitsgur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213A (ja) * 2008-05-28 2009-12-1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571A (ko) 2019-05-22 2020-12-02 (유)삼송 시트벨트 높이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6212B1 (de) 2016-08-31
JP5767719B2 (ja) 2015-08-19
JP2014508070A (ja) 2014-04-03
WO2012123068A1 (de) 2012-09-20
US20140042282A1 (en) 2014-02-13
CN103415418B (zh) 2017-02-22
CN103415418A (zh) 2013-11-27
EP2686212A1 (de) 2014-01-22
KR20140007905A (ko) 2014-01-20
DE102011014175B4 (de) 2021-05-12
ES2604685T3 (es) 2017-03-08
DE102011014175A1 (de) 2012-09-20
HUE029827T2 (hu) 2017-04-28
PL2686212T3 (pl) 2017-09-29
US9027964B2 (en)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613B1 (ko) 안전 벨트 시스템의 고정 피팅을 위한 높이 조절기
KR101603172B1 (ko) 아동용 카시트
US8360383B2 (en) Seat sliding device
US8191850B2 (en) Longitudinal adjuster with at least one end stop
US8678336B2 (en) Vehicle seat runner and seat comprising such a runner
US8919719B2 (en) Vehicle seat sliding device
US8136841B2 (en) Shoulder position adjuster device
US8251428B2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JPH0221242B2 (ko)
US5460410A (en) Device for adjustably mounting a seat belt fitting to a vehicle bodywork
KR20160055862A (ko) 차량 시트용 잠금 유닛, 및 차량 시트
US871465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67164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US6334629B1 (en) Height adjustment means for safety belt defector fittings of vehicles
JPH0371293B2 (ko)
CN106794820B (zh) 高度调节装置
US8398144B2 (en)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US20050173916A1 (en) Shoulder adjuster
JP5246618B2 (ja) 電装品用プロテ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EP3028593B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JP623532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7459066B2 (ja) 自動車シー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チャイルドシート
US9260038B2 (en) Floor lock for a motor vehicle seat
JP4105411B2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ーのガイドレール取付構造
JPH02278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