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855A -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855A
KR20210107855A KR1020217024355A KR20217024355A KR20210107855A KR 20210107855 A KR20210107855 A KR 20210107855A KR 1020217024355 A KR1020217024355 A KR 1020217024355A KR 20217024355 A KR20217024355 A KR 20217024355A KR 20210107855 A KR20210107855 A KR 2021010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ongue
block
slide rail
plat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829B1 (ko
Inventor
통 천
빈 황
커 리우
준지에 왕
동 리우
Original Assignee
케이퍼 시팅 메커니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퍼 시팅 메커니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케이퍼 시팅 메커니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0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메모리 모듈에 있어서, 가압 텅(12)은 리셋 스프링(13)을 통해 고정 블록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셋 스프링은 가압 텅의 회전에 제1 구동력을 제공하며; 회전 블록(23)은 비틀림 스프링(24)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은 회전 블록의 회전에 제2 구동력을 제공하며, 슬라이딩 블록 가이드 레일(2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 블록의 전방이 들릴 경우, 잠금 블록(231)은 잠금 홀(211a) 내로 삽입되며, 상부 리테이닝 표면(1b)은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와 분리되고; 가압 텅이 제1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 블록을 아래로 가압하여 제2 구동력을 극복함으로써 회전 블록의 후방이 들리도록 할 경우, 잠금 블록은 잠금 홀에서 벗어나며, 상부 리테이닝 표면은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와 접촉되면서 맞물린다. 상기 메모리 모듈 및 시트 설치 구조는 회전 가능한 가압 텅 및 회전 블록의 맞물림에 의해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블록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구현하고, 슬라이드 레일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 모듈의 일반화 사용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두 자녀 정책의 자유화로 인해, 5인승 자동차는 인구가 비교적 많은 가정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므로, 따라서 최근 몇 년간, 7인승 SUV, MPV의 시장 점유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가족에 의해 선호되어, 점차 자동차 시장의 주류 모델로 되고 있다. 승객의 각 열의 출입 공간에 대해, 특히 제3열의 승객이 제2열의 시트 위치에서 쉽고 편안하게 차량의 제3열 시트로 탑승하는 방법은 이지 엔트리(easy-entry, EZE) 모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로 된다.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는 일반적으로 하부 슬라이드 레일 및 상부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되, 여기서 하부 슬라이드 레일은 자동차의 바닥 또는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고, 상부 슬라이드 레일은 시트(예를 들어 제2열 시트)에 대해 고정되며, 상부 슬라이드 레일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레일이 하부 슬라이드 레일에 대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상부 슬라이드 레일 상의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뒷 좌석의 승객은 더욱 넓은 출입 공간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는 상기 하부 슬라이드 레일과 상부 슬라이드 레일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드 레일 잠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여, 뒷 좌석 승객이 출입한 후 상부 슬라이드 레일 즉 시트 위치를 잠그도록 한다.
공지된 상기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는 또한 메모리 모듈을 도입하여, 시트가 선택 포인트(예를 들어, 제2열 승객의 탑승이 편안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한 다음, 시트가 선택 포인트를 초과하지 않는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메모리 모듈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레일(즉 하부 슬라이드 레일 및 상부 슬라이드 레일)의 외부에 설치되는바, 이는 대량의 공간을 차지하여 배치가 불편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높고, 심지어 시트 프레임 구조에 해당되는 고정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외장 메모리 모듈에 비해, 슬라이드 레일의 내부에 설치된 메모리 모듈은 현저한 우세를 가진다. 예를 들어, CN102126449 및 CN102198808B에서, 이에 의해 공개된 메모리 모듈은 슬라이드 레일 외부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메모리 모듈 자체는 래칫 휠(Ratchet wheel) 등 복잡한 부속품과 같은 부속품이 많고 메커니즘이 복잡하며, 슬라이드 레일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크므로, 슬라이드 레일 잠금 메커니즘을 쉽게 방해하고 상이한 레일 타입의 슬라이드 레일 상에 적용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공지된 메모리 모듈의 대부분 부속품은 슬라이드 레일을 페어링하기 이전에 조립되어야 하므로 조립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밖에, 이러한 공지된 메모리 모듈은 슬라이드 레일 상에 비교적 많은 슬롯 홀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슬라이드 레일의 전체 강성을 약화시켜 적용을 크게 제한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존재하는 내장 모듈의 구조가 복잡하고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모듈은, 상부 모듈 및 상부 모듈과 맞물리는 하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부 모듈은 고정 블록, 가압 텅(tongue) 및 리셋 스프링을 포함하되, 여기서 가압 텅은 리셋 스프링을 통해 고정 블록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셋 스프링은 가압 텅의 회전에 제1 구동력을 제공하며, 여기서 고정 블록은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를 구비하고, 가압 텅의 전단면은 상부 리테이닝 표면을 형성하며; 하부 모듈은 가이드 레일, 슬라이딩 블록, 회전 블록 및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되, 여기서 회전 블록은 비틀림 스프링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은 회전 블록의 회전에 제2 구동력을 제공하며, 슬라이딩 블록은 가이드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여기서 가이드 레일은 잠금 홀을 구비하며, 회전 블록은 잠금 블록을 구비하고,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는 위로 연장되는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가 구비되며, 회전 블록의 후단에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와 맞물리는 위로 연장되는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가 구비되고; 제2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 블록의 전방이 들릴 경우, 잠금 블록은 잠금 홀 내로 삽입되며, 상부 리테이닝 표면은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와 분리되고; 가압 텅이 제1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 블록을 아래로 가압하여 제2 구동력을 극복함으로써 회전 블록의 후방이 들리도록 할 경우, 잠금 블록은 잠금 홀에서 벗어나며, 상부 리테이닝 표면은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와 접촉되면서 맞물린다.
고정 블록은 천장판부 및 바닥판부를 포함하되, 바닥판부는 천장판부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아래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천장판부에 평행되게 연장되어 고정 호형 섹션 및 평탄 섹션을 각각 형성하고; 가압 텅의 후단은 위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되어 가압 텅 호형 섹션을 형성하며; 리셋 스프링은 제1 리드(reed) 및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제2 리드는 제1 리드의 후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위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위로 계속하여 연장되어 리드 호형 섹션 및 경사 섹션을 형성하며; 리드 호형 섹션은 가압 텅 호형 섹션 내에 맞물리도록 수용되고, 가압 텅 호형 섹션은 고정 호형 섹션 내에 맞물리도록 수용되며; 경사 섹션은 천장판부와 맞물리고; 제1 리드는 평탄 섹션을 향해 가압 텅에 제1 구동력을 제공한다.
고정 블록은 천장판부 및 바닥판부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천장판부와 바닥판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며; 가압 텅은 텅 노치를 통해 이격되는 측부 섹션을 포함하고; 리셋 스프링은 리드 노치를 통해 이격되는 측부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리브는 텅 노치와 리드 노치 내에 맞물리도록 삽입된다.
경사 섹션은 돌기를 구비하고, 천장판부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돌기는 오목부 내에 맞물리도록 끼워진다.
가압 텅은 제1 텅 플레이트부, 경사부 및 제2 텅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되, 여기서 경사부는 제1 텅 플레이트부와 제2 텅 플레이트부 사이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제1 텅 플레이트부를 제2 텅 플레이트부에 연결시킨다.
상부 모듈은 가압 텅 상에 장착된 풀 탭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 탭은 굽힘부 섹션을 구비하고, 경사부는 스루홀을 구비하며, 상기 굽힘부 섹션은 스루홀에 맞물리도록 삽입된다.
가이드 레일은 바닥벽 및 바닥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은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서로 평행되는 2개의 세로 빔 및 세로 빔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세로 빔을 연결하는 2개의 가로 빔을 포함하며, 세로 빔의 바닥 표면 및 외측 표면에는 모두 가이드 레일의 바닥벽 및 측벽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 반구형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모듈은 슬라이딩 블록 상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회전축에 씌움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은 제1 비틀림 암, 제2 비틀림 암 및 연결 암을 포함하되, 여기서 연결 암은 제1 비틀림 암과 제2 비틀림 암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비틀림 암과 제2 비틀림 암을 연결하며, 연결 암으로 회전 블록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고, 제1 비틀림 암 및 제2 비틀림 암에서 연결 암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유단으로 슬라이딩 블록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여 회전 블록에 제2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는 상술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설치 구조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 상부 슬라이드 레일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부 모듈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의 내부에 연결되고, 하부 모듈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의 내부에 연결되며, 상부 슬라이드 레일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레일이 하부 슬라이드 레일에 대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이지 엔트리 모듈은 각각 상부 모듈과 상부 슬라이드 레일에 연결된다.
하부 모듈의 가이드 레일의 양단은 각각 제1 블라인드 리벳 및 제2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하부 슬라이드 레일 상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모듈 및 시트 설치 구조는 회전 가능한 가압 텅 및 회전 블록의 맞물림에 의해 가이드 레일에서 슬라이딩 블록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래칫 휠 등 복잡한 부속품을 포함하지 않고, 부속품 개수가 적어 모듈 비용을 줄이며, 슬라이드 레일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 슬라이드 레일 잠금 메커니즘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듈의 일반화 사용을 증가시킨다. 특히, 가이드 레일 상에 잠금 홀을 설계하여, 슬라이드 레일 상에 많은 노치를 설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의 강성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레일 내에 가이드 레일을 설계하여, 슬라이드 레일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 레일 및 슬라이드 레일의 체결 부재의 설치를 통해, 또한 슬라이딩 블록 전방 및 후방 스트로크의 위치 제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밖에, 본 발명의 시트 설치 구조는 이지 엔트리 모듈을 통해 메모리 모듈을 구동하여, 이지 엔트리 모듈 및 메모리 모듈의 협력 이동을 구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트 설치 구조에 따르면, 메모리 모듈의 상부 및 하부 모듈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의 페어링 후 별도로 상부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 상에 조립되어, 슬라이드 레일 페어링 이전의 대량의 조립 작업을 포함하지 않으며 조립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메모리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모듈의 부분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메모리 모듈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모듈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의 장착 모식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하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메모리 모듈은 서로 맞물리는 상부 모듈(1) 및 하부 모듈(2)을 포함한다. 커플링 상태에서, 상부 모듈(1)은 하부 모듈(2)과 연동하고, 클러치 상태에서 상부 모듈(1)은 정적 하부 모듈(2)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한다.
상부 모듈(1)은 고정 블록(11), 가압 텅(12), 리셋 스프링(13) 및 풀 탭(14)을 포함하되, 여기서 가압 텅(12)은 리셋 스프링(13)을 통해 고정 블록(11) 상에 장착되고, 풀 탭(14)은 가압 텅(12) 상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블록(11)은 클램프판 구조로, 천장판부(111), 바닥판부(112) 및 연결 리브(113)를 포함하고, 바닥판부(112)는 천장판부(111)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아래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천장판부(111)에 평행되게 연장되어 고정 호형 섹션(1121) 및 평탄 섹션(1122)을 각각 형성하고(도 2 참조), 연결 리브(113)는 천장판부(111) 및 바닥판부(112)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천장판부(111)와 바닥판부(112) 사이에 설치되며, 이밖에, 상기 평탄 섹션(1122)의 하부 표면 상에는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1a)(이의 작용은 메모리 모듈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할 때 설명됨)가 설치된다.
가압 텅(12)은 편상 구조로, 제1 텅 플레이트부(121), 경사부(122) 및 제2 텅 플레이트부(123)를 포함하되, 여기서 경사부(122)는 평행되는 제1 텅 플레이트부(121)와 제2 텅 플레이트부(123)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텅 플레이트부(121)를 제2 텅 플레이트부(123)에 연결시킨다(도 2 참조). 제1 텅 플레이트부(121)에서 제2 텅 플레이트부(123)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텅 노치(121a)를 통해 이격되는 제1 측부 섹션(121b) 및 제2 측부 섹션(121c)을 포함하고, 제1 측부 섹션(121b) 및 제2 측부 섹션(121c)의 자유단은 각각 위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되어 가압 텅 호형 섹션(1211)을 형성하며, 이밖에, 상기 제2 텅 플레이트부(123)의 전단면은 상부 리테이닝 표면(1b)(도 2를 참조하고, 이의 작용은 메모리 모듈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할 때 설명됨)으로 형성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텅 노치(121a)는 연결 리브(113)와 맞물리고, 상기 가압 텅 호형 섹션(1211)은 고정 호형 섹션(1121)과 맞물려(도 2 참조), 가압 텅(12)의 측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단지 원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리셋 스프링(13)은 클립 구조로, 제1 리드(131) 및 제2 리드(132)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2 리드(132)는 제1 리드(131)의 일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위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위로 계속하여 연장되어 리드 호형 섹션(1321) 및 경사 섹션(1322)을 형성한다(도 2 참조). 가압 텅(12)과 유사하게, 리셋 스프링(13)에서 자유단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단은 리드 노치(13a)를 통해 이격된 측부 섹션을 포함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노치(13a)는 연결 리브(113)와 맞물리고, 상기 리드 호형 섹션(1321)은 가압 텅 호형 섹션(1211)과 맞물린다(도 2 참조). 이밖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섹션(1322)에서 자유단과 가까운 부근에는 돌기(1322a)가 구비되고, 대응되게, 천장판부(111)에서 자유단과 가까운 부근에는 오목부(111a)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1322a) 및 오목부(111a)의 맞물림에 의해 리셋 스프링(13)의 일단의 상대적 고정을 구현하며, 리셋 스프링(13)의 제1 리드(131) 및 제2 리드(132)가 프리텐션을 구비하므로, 따라서 상기 제1 리드(131)는 시종일관 하부의 제1 텅 플레이트부(121)에 아래를 향하는 프리 압력을 가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가압 텅(12)의 경사부(122)의 중부에는 스루홀(122a)이 구비되고, 풀 탭(14)은 굽힘부 섹션(141)을 통해 상기 스루홀(122a)에 연결 고정된다.
상부 모듈(1)의 조립 과정은 간편하고 빠르며, 다음을 포함한다. 리셋 스프링(13)의 리드 호형 섹션(1321)을 측면에서 가압 텅(12)의 가압 텅 호형 섹션(1211)에 삽입한 다음, 고정 블록(11)의 연결 리브(113)를 리셋 스프링(13)의 돌기(1322a)가 고정 블록(11)의 오목부(111a)에 내장될 때까지 가압 텅(12)이 조립된 텅 노치(121a) 및 리셋 스프링(13)이 조립된 리드 노치(13a)에 삽입하며, 그 후 풀 탭(14)의 굽힘부 섹션(141)을 상부로부터 가압 텅(12)의 스루홀(122a)에 걸면 된다.
하부 모듈(2)은 가이드 레일(21), 슬라이딩 블록(22), 회전 블록(23), 비틀림 스프링(24) 및 회전축(25)을 포함하되, 여기서 회전 블록(23)은 비틀림 스프링(24) 및 회전축(25)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22) 상에 장착되고, 슬라이딩 블록(22)은 가이드 레일(21) 상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21)은 U형 구조로, 바닥벽(211) 및 바닥벽(2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212)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211)에는 복수 개의 잠금 홀(211a)이 구비된다.
슬라이딩 블록(22)은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서로 평행되는 2개의 세로 빔(221) 및 세로 빔(221)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세로 빔(221)을 연결하는 2개의 가로 빔(222)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전 가로 빔(222)의 상단 표면에는 위로 연장되는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이의 작용은 메모리 모듈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할 때 설명됨)가 설치되고, 세로 빔(221)의 바닥 표면 및 외측 표면에는 모두 돌기 반구형 구조가 구비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반구형 구조는 슬라이딩 블록(22)이 가이드 레일(21) 내에서 자유로 슬라이딩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회전 블록(23)은 판상 구조로, 이의 후단에는 위로 연장되는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b)가 설치되고(이의 작용은 메모리 모듈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할 때 설명됨), 이밖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블록(23)에서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b)에 가까운 부근의 하부 표면 상에는 아래로 연장되는 잠금 블록(231)이 설치되되, 이는 가이드 레일(21)의 잠금 홀(211a)과 맞물리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비틀림 스프링(24)은 제1 비틀림 암(241), 제2 비틀림 암(242) 및 연결 암(243)을 포함하되, 여기서 연결 암(243)은 제1 비틀림 암(241)과 제2 비틀림 암(242)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비틀림 암(241) 및 제2 비틀림 암(242)을 연결시킨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회전축(25)은 슬라이딩 블록(22) 상에 고정 연결되고, 회전축(25) 에 씌움 설치된 회전 블록(23) 및 비틀림 스프링(24)은 슬라이딩 블록(22) 내에 수용되어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비틀림 스프링(24)의 연결 암(243)으로 회전 블록(23)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고, 제1 비틀림 암(241) 및 제2 비틀림 암(242)에서 연결 암(24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유단으로 세로 빔(221)의 상부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비틀림 스프링(24)을 통해 시종일관 회전 블록(23)의 후단에 잠금 블록(231)이 아래로 가압되도록 하는 하나의 작용력을 가하며, 즉 회전 블록(23)의 전방이 들리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25)은 세로 빔(221)에 억지 끼워맞춰져, 회전축(25) 및 슬라이딩 블록(22)이 상대적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회전축(25)은 회전 블록(23)에 이격되게 맞물려, 회전 블록(23)이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1을 결부하면, 하부 모듈(2)의 조립 과정은 마찬가지로 간편하고 빠르며, 다음을 포함한다. 회전 블록(23)을 슬라이딩 블록(22)의 프레임 구조 내부에 안착시키고, 비틀림 스프링(24)의 연결 암(243)으로 회전 블록(23)을 가압하며, 회전축이 비틀림 스프링(24)의 비틀림 암(241, 242), 회전 블록(23) 및 슬라이딩 블록(22)을 관통하는 것으로 조립한 다음, 전단 또는 후단으로부터 가이드 레일(21)에 슬라이딩되면 된다.
아래에 도 4를 결부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의 작동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 리셋 스프링(13)의 제1 리드(131)는 가압 텅(12)의 제1 텅 플레이트부(121)에 아래로 향하는 프리 압력을 가하여, 가압 텅(12)이 원호 중심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회전 블록(23)의 전단을 가압하여 이가 뒤로 들리도록 하며, 이때, 가압 텅(12)의 전단면에 형성된 상부 리테이닝 표면(1b)은 슬라이딩 블록(22)의 위로 연장되는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에 당접되고, 상부 모듈(1)에 힘이 가해져 앞으로 이동될 경우, 하부 모듈(2)은 대응하게 앞으로 이동된다. 이밖에, 이때의 고정 블록(11)의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1a)는 회전 블록(23)의 후단의 위로 연장되는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b)와 맞물리고, 상부 모듈(1)에 힘이 가해져 뒤로 이동될 경우, 하부 모듈(2)은 대응하게 뒤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 모듈(1) 및 하부 모듈(2)은 연동된다.
외력 F가 풀 탭(14)에 작용하여 리셋 스프링(13)의 프리 압력을 극복하여 가압 텅(12)의 전단이 회전 블록(23)에서 분리되면서 위로 들리도록 하며, 회전 블록(23)의 전단이 가압 텅(12)에 의해 더이상 가압되지 않으므로, 비틀림 스프링(24)(도 1 참조)의 작용 하에 이는 앞이 들리고, 회전 블록(23)의 후단의 잠금 블록(231)은 가이드 레일(21)의 잠금 홀(211a)에 맞물리도록 삽입됨으로써, 하부 모듈(2)을 선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며, 이 위치는 즉 메모리 위치이다.
위로 들리는 가압 텅(12)이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의 제한에서 벗어나므로, 상부 모듈(1)의 전방을 향한 이동은 하부 모듈(2)과 완전히 별도로 수행된다.
비록 회전 블록(23)은 비틀림 스프링(24)의 작용 하에 전방이 들리지만, 그 후단에서 위로 연장되는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b)는 여전히 고정 블록(11)의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1a)에 대해 제한할 수 있으며, 하부 모듈(2)이 상기 메모리 위치에 고정되었으므로, 뒤로 이동하는 상부 모듈(1)이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b)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메모리 위치에서 종료된다. 이후, 외력 F가 해제되고, 리셋 스프링(13)의 프리 압력 작용 하에, 상부 모듈(1) 및 하부 모듈(2)은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는 상부 모듈(1), 하부 모듈(2), 하부 슬라이드 레일(3), 상부 슬라이드 레일(4) 및 이지 엔트리 모듈(5)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부 모듈(1)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4)과 연결되고, 하부 모듈(2)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3)과 연결되며, 하부 슬라이드 레일(3)은 자동차의 바닥 또는 프레임 구조에 대해 고정되고,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은 시트에 대해 고정되며,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3)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이 하부 슬라이드 레일(3)에 대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이지 엔트리 모듈(5)은 각각 상부 모듈(1) 및 상부 슬라이드 레일(4)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 부재(6)를 통해 이지 엔트리 모듈(5) 및 상부 모듈(1)을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의 양측에 각각 고정시키고, 즉 상부 모듈(1)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지 엔트리 모듈(5)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의 외부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이지 엔트리 모듈(5), 상부 슬라이드 레일(4) 및 상부 모듈(1)을 관통하는 고정 블록(11)의 긴 볼트를 설치하고 고정시킨다. 이밖에, 이지 엔트리 모듈(5)은 상부 모듈(1)의 풀 탭(14)과 연결되어 풀 탭(14)에 외력 F를 가하는데 용이해지도록 한다. 도 6은 하부 모듈(2)이 제2 체결 부재(7)를 통해 하부 슬라이드 레일(3) 내부에 장착된 모식도이고, 상기 제2 체결 부재(7)는 제1 블라인드 리벳(71) 및 제2 블라인드 리벳(72)을 포함하며, 이는 각각 하부 모듈(2)의 가이드 레일(21)의 양단을 하부 슬라이드 레일(3) 상에 고정 연결시키고, 또한, 상기 제1, 제2 블라인드 리벳(71, 72)은 하부 모듈(2)의 슬라이딩 블록(22)의 전방 및 후방 스트로크 정지 지점으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 설치 구조의 조립 과정은 마찬가지로 간편하고 빠르며,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체결 부재(6)를 통해 이지 엔트리 모듈(5) 및 상부 모듈(1)을 상부 슬라이드 레일(4) 상에 고정시키고, 제2 체결 부재(7)를 통해 하부 모듈(2)을 하부 슬라이드 레일(3) 상에 고정시킨 다음, 상부 슬라이드 레일(4)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3)을 페어링하면 된다.
아래에 상기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의 작동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3) 상에서 자유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때 상부 슬라이딩 블록(1) 및 하부 슬라이딩 블록(2)은 연동되어, 시트에 앞뒤 방향의 작용력을 가하여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이 앞뒤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며, 제1, 제2 블라인드 리벳(71, 72)(도 6 참조)에 의해 제한되는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시트는 편안한 착석 위치(메모리 위치)로 조절되고 슬라이드 레일 잠금 메커니즘(미도시)을 통해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을 잠글 수 있다. 뒷 좌석 승객의 출입 필요 시, 이지 엔트리 모듈(5)을 작동시키고 슬라이드 레일 잠금 메커니즘을 잠금 해제하며 동시에 풀 탭(14)에 외력 F를 가하면(도4 참조), 하부 모듈(2)은 메모리 위치에 고정되어, 시트를 앞으로 밀게 되며, 상부 모듈(1)만 앞으로 이동하여 제1 블라인드 리벳(71) 제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어 뒷 좌석 승객의 출입이 간편해지도록 한다. 뒷 좌석 승객의 출입이 완료된 후, 시트를 뒤로 밀어, 상부 모듈(1)이 고정된 하부 모듈(2)의 제한을 받아 메모리 위치에서 종료되며, 이후, 이지 엔트리 모듈(5)은 풀 탭(14)을 해제하고 초기 상태로 복원된다.
이상 서술은 단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또한 다양한 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신청된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따라 이루어진 간단하고 동등한 변화 및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모두 통상적인 기술 내용이다.

Claims (11)

  1. 메모리 모듈로서,
    상기 메모리 모듈은,
    상부 모듈(1) 및 상부 모듈(1)과 맞물리는 하부 모듈(2)을 포함하고,
    상부 모듈(1)은 고정 블록(11), 가압 텅(12) 및 리셋 스프링(13)을 포함하되, 가압 텅(12)은 리셋 스프링(13)을 통해 고정 블록(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셋 스프링(13)은 가압 텅(12)의 회전에 제1 구동력을 제공하며, 고정 블록(11)은 아래로 연장되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1a)를 구비하고, 가압 텅(12)의 전단면은 상부 리테이닝 표면(1b)을 형성하며;
    하부 모듈(2)은 가이드 레일(21), 슬라이딩 블록(22), 회전 블록(23) 및 비틀림 스프링(24)을 포함하되, 회전 블록(23)은 비틀림 스프링(24)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24)은 회전 블록(23)의 회전에 제2 구동력을 제공하며, 슬라이딩 블록(22)은 가이드 레일(2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21)은 잠금 홀(211a)을 구비하며, 회전 블록(23)은 잠금 블록(231)을 구비하고, 슬라이딩 블록(22)의 전단에는 위로 연장되는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가 구비되며, 회전 블록(23)의 후단에는 상부 리테이닝 포인트(1a)와 맞물리는 위로 연장되는 제2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b)가 구비되고;
    제2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 블록(23)의 전방이 들릴 경우, 잠금 블록(231)은 잠금 홀(211a) 내로 삽입되며, 상부 리테이닝 표면(1b)은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와 분리되고;
    가압 텅(12)이 제1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 블록(23)을 아래로 가압하여 제2 구동력을 극복함으로써 회전 블록(23)의 후방이 들리도록 할 경우, 잠금 블록(231)은 잠금 홀(211a)에서 벗어나며, 상부 리테이닝 표면(1b)은 제1 하부 리테이닝 포인트(2a)와 접촉되면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블록(11)은 천장판부(111) 및 바닥판부(112)를 포함하되, 바닥판부(112)는 천장판부(111)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아래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천장판부(112)에 평행되게 연장되어 고정 호형 섹션(1121) 및 평탄 섹션(1122)을 각각 형성하고; 가압 텅(12)의 후단은 위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되어 가압 텅 호형 섹션(1211)을 형성하며; 리셋 스프링(13)은 제1 리드(131) 및 제2 리드(132)를 포함하고, 제2 리드(132)는 제1 리드(131)의 후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위를 향해 호형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전방으로 경사지면서 위로 계속하여 연장되어 리드 호형 섹션(1321) 및 경사 섹션(1322)을 형성하며; 리드 호형 섹션(1321)은 가압 텅 호형 섹션(1211) 내에 맞물리도록 수용되고, 가압 텅 호형 섹션(1321)은 고정 호형 섹션(1121) 내에 맞물리도록 수용되며; 경사 섹션(1322)은 천장판부(111)와 맞물리고; 제1 리드(131)는 평탄 섹션(1122)을 향해 가압 텅(12)에 제1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 블록(11)은 천장판부(111) 및 바닥판부(112)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고 천장판부(111)와 바닥판부(112)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리브(113)를 더 포함하며; 가압 텅(12)은 텅 노치(121a)를 통해 이격되는 측부 섹션을 포함하고; 리셋 스프링(13)은 리드 노치(13a)를 통해 이격되는 측부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리브(113)는 텅 노치(121a)와 리드 노치(13a) 내에 맞물리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경사 섹션(1322)은 돌기(1322a)를 구비하고, 천장판부(111)는 오목부(111a)를 구비하며, 돌기(1322a)는 오목부(111a) 내에 맞물리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가압 텅(12)은 제1 텅 플레이트부(121), 경사부(122) 및 제2 텅 플레이트부(123)를 포함하되, 경사부(122)는 제1 텅 플레이트부(121)와 제2 텅 플레이트부(123) 사이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제1 텅 플레이트부(121)를 제2 텅 플레이트부(123)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부 모듈(1)은 가압 텅(12) 상에 장착된 풀 탭(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 탭(14)은 굽힘부 섹션(141)을 구비하고, 경사부(122)는 스루홀(122a)을 구비하며, 상기 굽힘부 섹션(141)은 스루홀(122a)에 맞물리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21)은 바닥벽(211) 및 바닥벽(2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212)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블록(22)은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서로 평행되는 2개의 세로 빔(221) 및 세로 빔(221)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세로 빔(221)을 연결하는 2개의 가로 빔(222)을 포함하며, 세로 빔(221)의 바닥 표면 및 외측 표면에는 모두 가이드 레일(21)의 바닥벽(211) 및 측벽(2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 반구형 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모듈(2)은 슬라이딩 블록(22) 상에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25)을 더 포함하고, 회전축(25)에 씌움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24)은 제1 비틀림 암(241), 제2 비틀림 암(242) 및 연결 암(243)을 포함하되, 연결 암(243)은 제1 비틀림 암(241)과 제2 비틀림 암(242)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비틀림 암(241)과 제2 비틀림 암(242)을 연결하며, 연결 암(243)으로 회전 블록(23)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고, 제1 비틀림 암(241) 및 제2 비틀림 암(242)에서 연결 암(24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유단으로 슬라이딩 블록(22)의 상부 표면을 가압하여 회전 블록(23)에 제2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9.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로서,
    상기 시트 설치 구조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설치 구조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3), 상부 슬라이드 레일(4) 및 이지 엔트리 모듈(5)을 더 포함하되, 상부 모듈(1)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의 내부에 연결되고, 하부 모듈(2)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3)의 내부에 연결되며,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은 하부 슬라이드 레일(3)에 연결되어 상부 슬라이드 레일(4)이 하부 슬라이드 레일(3)에 대해 앞뒤로 이동하도록 허용하고, 이지 엔트리 모듈(5)은 각각 상부 모듈(1)과 상부 슬라이드 레일(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부 모듈(2)의 가이드 레일(21)의 양단은 각각 제1 블라인드 리벳(71) 및 제2 블라인드 리벳(72)을 통해 하부 슬라이드 레일(3) 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KR1020217024355A 2019-01-02 2019-12-30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KR102499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00531.3 2019-01-02
CN201910000531.3A CN109435787B (zh) 2019-01-02 2019-01-02 一种记忆模块以及带有易进入模块的座椅安装结构
PCT/CN2019/129937 WO2020140870A1 (zh) 2019-01-02 2019-12-30 一种记忆模块以及带有易进入模块的座椅安装结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855A true KR20210107855A (ko) 2021-09-01
KR102499829B1 KR102499829B1 (ko) 2023-02-14

Family

ID=6554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4355A KR102499829B1 (ko) 2019-01-02 2019-12-30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3313B2 (ko)
EP (1) EP3943339A4 (ko)
JP (1) JP7189356B2 (ko)
KR (1) KR102499829B1 (ko)
CN (1) CN109435787B (ko)
WO (1) WO2020140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5787B (zh) 2019-01-02 2020-02-07 延锋安道拓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记忆模块以及带有易进入模块的座椅安装结构
EP3962773A2 (en) * 2019-07-16 2022-03-09 Magna Seating Inc. Seat track assembly with memory mechanism
CN110481390B (zh) * 2019-08-27 2020-11-10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易进入的锁止和保持机构
CN111873859B (zh) * 2020-06-18 2021-08-03 诺创汽车科技(上海)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滑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8946A (en) * 1998-05-12 2000-08-08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Slide rail for a vehicle seat with longitudinal setting memory and seat comprising such a slide rail
JP2008087591A (ja) * 2006-09-29 2008-04-17 Yokohama Rubber Co Ltd:The 車体支持システム
US8408631B2 (en) * 2010-01-13 2013-04-0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easy entry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JP5509980B2 (ja) * 2010-03-25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428A (en) * 1976-02-27 1977-09-03 Nissan Motor Co Ltd Memory including seat for walk-in rail
FR2430330A1 (fr) * 1978-07-07 1980-02-01 Cousin Cie Ets A & M Freres Dispositif a memoire de reglage longitudinal pour siege de vehicules automobiles, notamment pour vehicules a deux portes
JPS5631839A (en) * 1979-08-22 1981-03-31 Aisin Seiki Co Ltd One-step feeding system seat sliding adjuster
GB2303299A (en) * 1995-07-20 1997-02-19 Dunlop Cox Ltd Sliding vehicle seat with position memory
JP2005238882A (ja) 2004-02-24 2005-09-0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902712B1 (fr) * 2006-06-21 2008-09-05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commande de memorisation d'une position d'un siege
KR100759180B1 (ko) * 2006-08-08 2007-09-14 주식회사 오스템 워크인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트랙
JP5098279B2 (ja) * 2006-10-04 2012-12-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000217B1 (ko) * 2008-07-23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워크인 메모리장치
DE102009033892B4 (de) 2009-07-20 2017-03-30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anordnung mit Sitzverriegelung und Memoryelement für Fahrzeugsitz
DE112012006978T5 (de) * 2012-10-05 2015-07-09 Lear Corporation Memory-Einrichtung für Sitzführungsbahn mit Schlitten-Arretierung
JP6641567B2 (ja) 2016-05-26 2020-02-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CN109435787B (zh) * 2019-01-02 2020-02-07 延锋安道拓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记忆模块以及带有易进入模块的座椅安装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8946A (en) * 1998-05-12 2000-08-08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Slide rail for a vehicle seat with longitudinal setting memory and seat comprising such a slide rail
JP2008087591A (ja) * 2006-09-29 2008-04-17 Yokohama Rubber Co Ltd:The 車体支持システム
US8408631B2 (en) * 2010-01-13 2013-04-0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easy entry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JP5509980B2 (ja) * 2010-03-25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3339A4 (en) 2023-06-07
JP7189356B2 (ja) 2022-12-13
CN109435787A (zh) 2019-03-08
KR102499829B1 (ko) 2023-02-14
US20220118887A1 (en) 2022-04-21
US11453313B2 (en) 2022-09-27
CN109435787B (zh) 2020-02-07
WO2020140870A1 (zh) 2020-07-09
JP2022517564A (ja) 2022-03-09
EP3943339A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07855A (ko) 메모리 모듈 및 이지 엔트리 모듈을 가진 시트 설치 구조
US9463716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US6318805B1 (en) Reclin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
US5997069A (en) Re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JP2010100077A (ja) 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20080231101A1 (en) Slide rail unit
US20140183917A1 (en) Vehicle seat that can be moved forwards in its longitudinal guide and having a folding backrest
US9764660B2 (en) Slide rail
CN109367445B (zh) 汽车易进入座椅
JP6266800B2 (ja)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JP2007534542A (ja) 床ラッチ機構
JP2019081517A (ja) シートスライド機構
JP4433925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4813643A (en) Automotive seat slide device
EP1661752B1 (en) Vehicle seat device
JP356084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2200934A (ja) 自動車用シートレールのロッキングシステム
CN106515517B (zh) 座椅滑轨的无极双锁止结构
JPH10329594A (ja) シートトラックのロック機構
JP623532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4563240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KR200227061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스프링
US20220250512A1 (en) Seat sliding device and slide lever connecting structure in the seat sliding device
CN210101389U (zh) 具有新型锁定装置的滑轨及包括其的汽车座椅
JP743626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