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300B1 -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300B1
KR101317300B1 KR1020120046062A KR20120046062A KR101317300B1 KR 101317300 B1 KR101317300 B1 KR 101317300B1 KR 1020120046062 A KR1020120046062 A KR 1020120046062A KR 20120046062 A KR20120046062 A KR 20120046062A KR 101317300 B1 KR101317300 B1 KR 10131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hutter
closing
inner shutter
outer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605A (ko
Inventor
슈우지 다나카
아츠코 우오즈미
마사야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9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투입 지폐가 잘못 세트된 경우라도, 외측 셔터가 닫혔을 때에 지폐의 자세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고, 이용자에게 투입 지폐의 자세를 수정하기 위해서 재투입하게 하는 수고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와, 내측 셔터와 외측 셔터를 개폐해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입출금구부와, 입출금구부와 지폐 수납부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내측 셔터와 외측 셔터를 각각 독립하여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과,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존재하는 지폐의 자세를 수정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PAPER MONEY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PAPER MONE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사용하는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일반적으로 지폐 입출금구의 상부에 셔터가 실장되어 있다. 입출금구의 지폐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의 2중 구조를 가지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셔터 이상이 원인으로 현금을 가지고 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출금구에 2중으로 셔터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8-97241호 공보
배경기술과 같은 2중 셔터 구조의 경우,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용자의 지폐의 투입 상태에 따라서는,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지폐가 남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용자에게 투입 지폐를 빼내게 해서 재차 바른 자세로 지폐를 투입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현금 자동 거래 장치를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 이용자의 경우, 바른 지폐의 투입 방법을 알지 못해서, 몇번 재투입해도 입금을 접수해 주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와, 내측 셔터와 외측 셔터를 개폐해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입출금구부와, 입출금구부와 지폐 수납부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내측 셔터와 상기 외측 셔터를 각각 독립하여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과,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존재하는 지폐의 자세를 수정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투입 지폐가 잘못 세트된 경우에, 자동으로 지폐의 자세를 수정할 수 있고, 이용자에게 투입 지폐의 자세를 수정하기 위해서 재투입하게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 취급 장치를 탑재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기능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 거래 장치의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지폐 취급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입출금구부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입출금구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입출금구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입출금구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입출금구부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입출금구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외측 셔터 및 내측 셔터의 동작 제어 플로 차트.
본 실시예에 관한 지폐 취급 장치는,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와, 내측 셔터와 외측 셔터를 개폐해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입출금구부와, 입출금구부와 지폐 수납부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내측 셔터와 외측 셔터를 각각 독립하여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과,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존재하는 지폐의 자세를 수정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오투입된 지폐를, 재투입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적절한 장소로 인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 내측 셔터는 열림 상태인 채로 외측 셔터를 닫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은, 내측 셔터의 닫힘 동작에 따라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격납되고, 외측 셔터의 닫힘 동작에 따라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로부터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가동 레버를 이용한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지폐 취급 장치에 대응하는 지폐 취급 기구(101)를 실장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에 있어서의 제어 유닛(200)의 블럭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카드, 지폐, 명세표를 매체로 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예입, 지급, 불입 등의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상부에는,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고, 거래 내용을 인자해서 방출하는 통장 처리 기구(103)와,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를 인자해서 방출하는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장 처리 기구(103)는 슬롯(103a)과 연통하여, 슬롯(103a)으로부터 투입된 이용자의 통장을 처리하고, 거래 내용을 인자해서 방출한다. 또한,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2)는, 슬롯(102a)과 연통하여, 슬롯(102a)으로부터 투입된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를 인자해서 방출한다. 또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장치 전방 상부에는, 거래의 내용을 표시함과 함께, 이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허용하는 고객 조작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지폐 취급 기구(101)의 좌측에는, 경화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경화 처리 기구(104)가 구비되고,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장치 전방 상부에 구비한 셔터(104a)에 연통하여, 경화의 입출금 거래 처리를 행한다. 한편, 이 경화 처리 기구(104)를 구비하지 않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이어도 된다.
또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하단 우측에 지폐 취급 기구(101)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취급 기구(101)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장치 전방 상부에 구비한 셔터(101a)에 연통하는 입출금구부(30)를 갖고, 지폐의 입금 거래 및 출금 거래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는,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를 갖는 지폐 취급 기구(101),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경화 처리 기구(104), 고객 조작부(105), 보류부 DB(106), 본체 제어부(203), 버스(206), 인터페이스부(201), 계원 조작부(202) 및 외부 기억부(204)가 구비되어 있고, 본체 제어부(203)에 의해 전체의 처리가 제어된다. 즉, 이 본체 제어부(203)에는, 지폐 취급 기구(101), 카드 명세표 처리 기구(102), 통장 처리 기구(103), 경화 처리 기구(104), 고객 조작부(105), 보류부 DB(106), 인터페이스부(201), 계원 조작부(202) 및 외부 기억부(204)가, 버스(206)를 통하여 접속되고, 본체 제어부(203)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한편, 본체 제어부(203)는, 상기 외에,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어 있고,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조작부(105)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터치 패널에 조작 내용을 표시하고, 이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이다. 예를 들면, 예입, 지급, 불입 등의 거래 종별의 선택 입력, 암증 번호, 금액 등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여, 그 입력 신호를 본체 제어부(203)에 송신한다. 보류부 DB(106)는, 본체 제어부(203)에 접속되어 있고, 일시 보류부나 수납고 등에 수납하는 지폐 및 그들 지폐의 감별 결과를 관리하고 있다.
계원 조작부(202)는, 은행 계원 등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를 운용, 보수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이며, 은행 계원이 지폐 카세트의 세트를 위한 조작, 지폐매수의 세트를 위한 입력부, 장치 상태, 운용 모드, 장해 장소 등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 등을 갖고 있다.
지폐 취급 기구(101)는, 지폐 취급 기구(101)의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와, 버스(206)를 통하여 본체 제어부(20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지폐 취급 기구(101)는, 본체 제어부(203)로부터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에 송신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처리 동작이 제어된다. 한편, 지폐 취급 기구(101)가 본체 제어부(203)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 동작은, 입금 계수 처리, 입금 수납 처리 및 출금 거래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입금 계수 처리란, 거래의 종별이 예입이고, 이용자가 입출금구에 투입한 지폐를 계수하는 처리 동작을 이르며, 입금 수납 처리란, 입금 계수 처리의 결과, 이용자로부터 확인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금종별 수납부에 지폐를 수납하는 처리 동작을 이른다. 또한, 출금 거래 처리란, 거래의 종별이 지출이고, 이용자로부터 지정된 금액, 금종의 지폐를 해당하는 금종별 수납부로부터 분리하고, 입출금구에 출금하는 처리 동작을 이른다.
본체 제어부(203)는, 고객 조작부(105)로부터의 거래의 종별로서 예입이 선택 입력된 것에 따라, 우선 입금 계수의 처리 동작을 지시하고, 입금 계수 처리의 결과, 이용자로부터 확인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에, 입금 수납의 처리 동작을 지시한다.
다음에, 지폐 취급 기구의 제어 구조에 대해서 도 3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주로 지폐 취급 기구(101)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제어 블럭도이다.
지폐 취급 기구(101)에 설치된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0)의 본체 제어부(203)와 버스(206)를 통하여 접속되고, 본체 제어부(203)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취급 기구(101)의 상태 검출에 따라 지폐 취급 기구(101)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지폐 취급 기구(101)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본체 제어부(203)에 보낸다. 지폐 취급 기구(101) 내에서는, 각 유닛(외측 및 내측 셔터를 포함한 입출금구부(30), 지폐 판별부(40), 일시 보류부(50), 분할된 지폐 반송로(10x, 40x, 50x, 60x, 70x), 취출망각 회수고(60), 리젝트고(74), 리사이클고(71∼73))의 구동 모터나 전자 솔레노이드나 센서와 접속되고, 각 거래에 따라, 센서로 상태를 감시하면서,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도 4는 지폐 취급 기구(10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지폐 취급 기구(101)는, 상부에 배치된 상부 유닛과, 하부에 배치된 하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유닛에는, 입출금구부(30), 지폐 감별부(40) 등, 주로 이용자와의 지폐의 수수에 필요한 기구가 모여 있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 취출을 행하는 입출금구부(30)는, 지폐 취급 기구(101)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지폐 취급 기구(101)의 후부(後部) 상단에 이용자가 입금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동안 일단 수납함과 함께, 속출 가능한 일시 보류부(50)가 배치되어 있다. 입출금구부(30)와 일시 보류부(50) 사이에, 지폐의 감별을 행하는 지폐 감별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입출금구부(30)에는, 셔터(101a)를 통하여, 위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하방으로 속출하는 지폐 속출부(30i)와, 하방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집적하는 지폐 집적부(30o)가, 이 순서로 전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유닛에는, 리사이클고(72∼74), 장전 회수고(70) 등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를 이용하여 입금 처리시의 지폐 취급 기구(10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입금 처리에서는, 지폐 입출금구부(30)에 있어서의 지폐 속출부(30i)에 투입된 지폐(입금 지폐)를, 일시 보관고(50)에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그 후에 리사이클고(72∼74), 장전 회수고(70)에, 금종마다 분류해서 수납한다. 도 4에서는, 화살표로, 입출금구부(30)에 있어서의 지폐 속출부(30i)에 투입된 입금 지폐를 일시 보관고(50)에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동작과, 일시 보관고(50)에 보관된 입금 지폐를, 리사이클고(72∼74), 장전 회수고(70)에, 금종마다 분류해서 수납하는 동작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게이트(50g)를 제어해서, 쌍방향 반송로(10e)와 반송로(50a)를 접속한다. 그리고,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각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 롤러 등을 제어해서, 입출금구부(30)에 있어서의 지폐 속출부(30i)에 투입된 입금 지폐를, 1매씩 반송로(30a)에 속출하고,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쌍방향 반송로(10b), 쌍방향 반송로(10c)의 순으로 반송한다. 쌍방향 반송로(10c)에 반송된 지폐는, 지폐 감별부(40)에 의해 감별된다. 그리고,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지폐 감별부(40)에 의해 감별된 입금 지폐가 리젝트 지폐가 아닐 경우에는, 게이트(10g)를 제어해서, 그 지폐를 쌍방향 반송로(10d), 쌍방향 반송로(10e), 반송로(50a)의 순으로 반송하고, 일시 보관고(50)에 적층 보관한다. 한편, 지폐 감별부(40)에 의해 감별된 입금 지폐가 리젝트 지폐일 경우에는,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게이트(10g)를 제어하여, 쌍방향 반송로(10d)와 반송로(30b)를 접속하고, 그 리젝트 지폐를 반송로(30b)에 반송하여, 지폐 집적부(30o)에 집적하고,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입금 지폐가 전부 일시 보관고(50)에 보관되고, 입금 금액이 확정되면,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게이트(25g)를 제어하여, 쌍방향 반송로(10a)와 제2 쌍방향 반송로(20)를 접속한다. 그리고,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각 반송로에 설치된 반송 롤러 등을 제어하여, 일시 보관고(50)에 보관된 입금 지폐를, 1매씩 반송로(50a)에 속출하고,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쌍방향 반송로(10e), 쌍방향 반송로(10d), 쌍방향 반송로(10c)의 순으로 반송한다. 쌍방향 반송로(10c)에 반송된 지폐는, 지폐 감별부(40)에 의해, 재차 감별된다. 그리고,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지폐 감별부(40)에 의해 감별된 지폐를, 쌍방향 반송로(10b), 쌍방향 반송로(10a)의 순으로 반송한다.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지폐 감별부(40)에 의한 감별 결과에 의거하여, 게이트(74g ,73g, 72g, 71g, 70g)를 제어하여, 리젝트 지폐를 리젝트고(71)에 수납하고, 또한 리젝트 지폐가 아닌 지폐를, 리사이클고(72∼74), 또는 장전 회수고(70)에 금종마다 분류해서 수납한다.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301)는, 일시 보관고(50)에 보관되어 있던 모든 입금 지폐가, 리사이클고(72∼74), 또는 장전 회수고(70)에 수납되면,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장전 회수고(70)도 리사이클고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장전 회수고(70)를 리사이클고로서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지폐 취급 기구(101)에 있어서, 취출망각 지폐 수납고(60)를 리젝트고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셔터(101a)에 대응하는 2중 셔터의 구조에 대해서 도 5∼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2중 셔터는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셔터(35) 및 내측 셔터(36)는, 입출금구부(30)의 상부에, 외측 셔터(35)가 배치되고, 그 하측에 내측 셔터(36)가 배치된다. 그리고, 외측 셔터의 하측에, 샤프트(도시 생략)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39)을 사이에 두고 가동 레버(37)를 설치하고, 가동 레버(37)의 선단에는 내측 셔터(36)와 접할 때에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롤러(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는 다른 샤프트(도시 생략)에 장착되고, 외측 셔터의 움직임에 맞춰서 코일 스프링(39)에 의해 가동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셔터(35) 및 내측 셔터(36)가 함께 열린 상태로부터, 외측 셔터(35)가 닫히면, 내측 셔터(36)에 의해 억압되어 있던 코일 스프링(39)의 하향의 힘이 개방되고, 가동 레버(37)의 선단은 내측 셔터(36)보다 하방으로 가동한다. 이 때에,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 사이에 오투입되어 있던 지폐를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적절하게 입출금구부에 지폐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셔터(35)가 닫힌 상태로부터 내측 셔터(36)가 닫히면, 내측 셔터(36)의 선단이 가동 레버(37)를 가압함으로써, 가동 레버(37)의 선단이 들려 올라가고, 가동 레버(37)의 선단의 롤러(38)가 내측 셔터(36)의 상면에 올라타서,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 사이에 가동 레버(37)가 격납된다. 여기서, 가동 레버(37)의 선단에 롤러(38)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가동 레버(37)가 격납된다.
또한, 내측 셔터(36)를 연 상태, 외측 셔터(35)가 닫힌 상태로부터, 외측 셔터(35)을 여는 경우에 관해서도, 외측 셔터(35)와 함께 가동 레버(37)가 이동하고, 내측 셔터(36)의 선단과 접촉해서 가동 레버(37)를 가압하게 되어, 가동 레버(37)의 선단이 들려 올라가고, 가동 레버(37)의 선단의 롤러(38)가 내측 셔터(36)의 상면을 올라타서,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 사이에 가동 레버(37)가 격납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지폐의 오투입시에 있어서 적절한 지폐 투입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들 기구는, 다음에 설명하는 도 8∼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이용한 처리 플로에 대해서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입금 거래 처리시에 지폐 처리 기구 제어부(301)가 실시하는 지폐투입시의 셔터의 제어에 관한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구부(30)에 투입할 수 있도록, 셔터 개폐 구동 수단에 의해, 외측 셔터(35) 및 내측 셔터(36)를 각각 열림 방향으로 구동한다(S1101). 다음에,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가 열린 상태인 것을, 외측 셔터 전개(全開) 센서(35b)와 내측 셔터 전개 센서(36b)에 의해 확인한다(S1102). 그리고,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03). 이 때,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거래 중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S1104). 한편, 정상으로 셔터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폐가 투입되는 것을 대기하고(S1105), 지폐의 투입이 완료한 것을 검지하면(S1105), 외측 셔터(35)을 닫힘 방향으로 구동한다(S1106). 여기서, 지폐의 투입 완료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입출금구부(30)에 있는 지폐 검지 센서에 의해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방법이나, 지폐 투입 종료 후에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된 셔터 닫힘 버튼을 이용자에게 누르게 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외측 셔터(35)의 닫힘 동작에 따라, 가동 레버에 상당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도 구동함으로써,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부적절하게 투입된 지폐를, 적절한 자세로 하고,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외측 셔터(35)의 외측 셔터 전폐(全閉) 센서(35a)의 전폐 검지를 확인한 다음에(S1107), 외측 셔터(35)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08). 이 때,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래 중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S1109). 한편, 정상으로 외측 셔터(35)가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지폐 자세 체크 센서(32, 33)에 의해, 투입 지폐의 자세가 정상으로 수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110). 구체적으로는, 지폐 자세 체크 센서(32, 33)에 의해 지폐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폐가 적절하게 입출금구부에 투입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내측 셔터 닫힘 처리를 행한다(S1112). 이 내측 셔터 닫힘 처리에 따라, 가동 레버에 상당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이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수납된다.
그리고, 내측 셔터(36)의 내측 셔터 전폐 센서(36a)의 전폐 검지를 확인한 다음에(S1113), 내측 셔터(36)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14). 이 때,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래 중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S1115). 정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래 처리가 계속해서 진행된다.
한편, S1110에서, 지폐 검지 센서(32, 33)에 의해 지폐가 검지된 경우에는, 지폐가 적절하게 투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지폐의 재투입을 재촉하는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고(S1111), 재차 외측 셔터 및 내측 셔터의 셔터 열림 처리를 행한다(S1101).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자세가 나쁜 지폐에 대하여, 가동 레버(37)에 의해 지폐를 적절한 상태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가동 가이드를 이용한 실시예
도 7의 가동 레버(37) 대신에, 도 8과 같은 가동 가이드(42)를 구비해도 본 발명의 효과는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스프링(41)을 외측 셔터(35)의 하측(뒷쪽)에 핀을 매개로 설치하고, 그 압축 스프링(41)의 선단에 가동 가이드(42)를 설치하고, 이 가동 가이드(42)의 하부에는 샤프트(도시 생략)에 장착된 롤러(38)를 설치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셔터(35) 및 내측 셔터(36)가 함께 열린 상태로부터, 외측 셔터(35)가 닫히면, 내측 셔터(36)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압축 스프링(41)의 하향의 힘이 개방되어, 가동 가이드(42)의 선단은 내측 셔터(36)보다 하방으로 가동된다. 이 때에,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 사이에 오투입되어 있던 지폐를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적절하게 입출금구부에 지폐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셔터(35)가 닫힌 상태로부터 내측 셔터(36)가 닫히면, 내측 셔터(36)의 선단이 가동 가이드(42)를 가압함으로써, 가동 가이드(42)의 선단이 들려 올라가고, 가동 가이드(42)의 선단의 롤러(38) 및 가동 가이드(42)가 내측 셔터(36)의 상면을 올라타서,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 사이에 가동 가이드(42)가 격납된다. 여기서, 가동 가이드(42)의 선단에 롤러(38)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가동 가이드(42)가 격납된다.
또한, 내측 셔터(36)를 열린 상태, 외측 셔터(35)가 닫힌 상태로부터, 외측 셔터(35)를 여는 경우에 관해서도, 외측 셔터(35)와 함께 가동 가이드(42)가 이동하고, 내측 셔터(36)의 선단과 접촉해서 가동 가이드(42)를 가압하게 되어, 가동 가이드(42)가 들려 올라가고, 가동 가이드(42)의 선단의 롤러(38)가 내측 셔터(36)의 상면을 올라타서,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 사이에 가동 가이드(42)가 격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 또는 그것에 유사한 구성으로 문제없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을 이용한 처리 플로에 대해서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입금 거래 처리시에 지폐 처리 기구 제어부(301)가 실시하는 지폐 투입시의 셔터의 제어에 관한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구부(30)에 투입할 수 있도록, 셔터 개폐 구동 수단에 의해, 외측 셔터(35) 및 내측 셔터(36)를 각각 열림 방향으로 구동한다(S1101). 다음에,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가 열린 상태인 것을, 외측 셔터 전개 센서(35b)와 내측 셔터 전개 센서(36b)에 의해 확인한다(S1102). 그리고, 외측 셔터(35)와 내측 셔터(36)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03). 이 때,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거래 중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S1104). 한편, 정상으로 셔터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폐가 투입되는 것을 대기하고(S1105), 지폐의 투입이 완료한 것을 검지하면(S1105), 외측 셔터(35)를 닫힘 방향으로 구동한다(S1106). 여기서, 지폐의 투입 완료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입출금구부(30)에 있는 지폐 검지 센서에 의해 지폐의 유무를 검지하는 방법이나, 지폐 투입 종료 후에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된 셔터 닫힘 버튼을 이용자에게 누르게 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외측 셔터(35)의 닫힘 동작에 따라, 가동 가이드에 상당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도 구동함으로써,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부적절하게 투입된 지폐를, 적절한 자세로 하고,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외측 셔터(35)의 외측 셔터 전폐 센서(35a)의 전폐 검지를 확인한 다음에(S1107), 외측 셔터(35)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08). 이 때,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래 중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S1109). 한편, 정상으로 외측 셔터(35)가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지폐 자세 체크 센서(32, 33)에 의해, 투입 지폐의 자세가 정상으로 수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110). 구체적으로는, 지폐 자세 체크 센서(32, 33)에 의해 지폐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폐가 적절하게 입출금구부에 투입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내측 셔터 닫힘 처리를 행한다(S1112). 이 내측 셔터 닫힘 처리에 따라, 가동 가이드에 상당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이 외측 셔터와 내측 셔터 사이에 수납된다.
그리고, 내측 셔터(36)의 내측 셔터 전폐 센서(36a)의 전폐 검지를 확인한 다음에(S1113), 내측 셔터(36)의 동작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114). 이 때,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래 중지의 처리가 이루어진다(S1115). 정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거래 처리가 계속해서 진행된다.
한편, S1110에서, 지폐 검지 센서(32, 33)에 의해 지폐가 검지된 경우에는, 지폐가 적절하게 투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지폐의 재투입을 재촉하는 가이던스 표시를 행하고(S1111), 재차 외측 셔터 및 내측 셔터의 셔터 열림 처리를 행한다(S1101).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자세가 나쁜 지폐에 대하여, 가동 가이드(42)에 의해 지폐를 적절한 상태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101 : 지폐 취급 기구
105 : 고객 조작부
203 : 본체 제어부
301 : 지폐 취급 기구 제어부
30 : 입출금구부
35 : 외측 셔터
36 : 내측 셔터
37 : 가동 레버
40 : 지폐 판별부
42 : 가동 가이드

Claims (3)

  1.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부와,
    내측 셔터와 외측 셔터를 개폐해서 지폐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입출금구부와,
    상기 입출금구부와 상기 지폐 수납부 사이에서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내측 셔터와 상기 외측 셔터를 각각 독립하여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 수단과,
    상기 외측 셔터와 상기 내측 셔터 사이에 존재하는 지폐의 자세를 수정하는 지폐 자세 수정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자세 수정 수단은, 상기 내측 셔터의 닫힘 동작에 따라 상기 외측 셔터와 상기 내측 셔터 사이에 격납되고, 상기 외측 셔터의 닫힘 동작에 따라 상기 외측 셔터와 상기 내측 셔터 사이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셔터와 상기 내측 셔터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 상기 내측 셔터는 열림 상태인 채로 상기 외측 셔터를 닫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취급 장치.
KR1020120046062A 2011-07-15 2012-05-02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KR101317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6255 2011-07-15
JP2011156255A JP5779433B2 (ja) 2011-07-15 2011-07-15 紙幣取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紙幣入金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605A KR20130009605A (ko) 2013-01-23
KR101317300B1 true KR101317300B1 (ko) 2013-10-14

Family

ID=467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062A KR101317300B1 (ko) 2011-07-15 2012-05-02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78163B2 (ko)
EP (1) EP2546809B1 (ko)
JP (1) JP5779433B2 (ko)
KR (1) KR101317300B1 (ko)
CN (2) CN102881073B (ko)
BR (1) BR102012014955A2 (ko)
MY (1) MY166627A (ko)
TW (1) TW201303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4037B2 (ja) * 2012-08-09 2016-07-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JP2015230634A (ja) * 2014-06-06 2015-12-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US9424707B2 (en) * 2014-06-26 2016-08-2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Actuated castellation plate for a currency acceptor
JP6303921B2 (ja) * 2014-08-25 2018-04-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取引装置
JP6575053B2 (ja) * 2014-10-10 2019-09-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JP6467913B2 (ja) * 2014-12-26 2019-02-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取引装置
CN105160762A (zh) * 2015-10-08 2015-12-16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
JP6747118B2 (ja) * 2016-07-11 2020-08-26 富士電機株式会社 金銭処理装置
CN107464338A (zh) * 2017-08-21 2017-12-1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现金自动交易装置
JP7166835B2 (ja) * 2018-08-09 2022-11-08 日立チャネ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DE102019125995A1 (de) 2019-09-26 2021-04-0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US11514762B2 (en) * 2020-06-05 2022-11-29 Hyosung TNS Inc. Automated teller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808A (ja) 2001-08-27 2003-03-07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2003256908A (ja) 2002-02-28 2003-09-12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97241A (ja) 2006-10-11 2008-04-24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0073148A (ja) 2008-09-22 2010-04-02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3B2 (ja) * 1984-07-20 1994-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取扱装置
JP2667739B2 (ja) * 1990-08-16 1997-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H0991489A (ja) * 1995-09-27 1997-04-04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入出口のシャッター構造
JP2005165577A (ja) * 2003-12-02 2005-06-23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KR101001690B1 (ko) 2004-12-30 2010-12-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 장치
JP4889456B2 (ja) * 2006-11-24 2012-03-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JP5220385B2 (ja) * 2007-11-02 2013-06-2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808A (ja) 2001-08-27 2003-03-07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2003256908A (ja) 2002-02-28 2003-09-12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97241A (ja) 2006-10-11 2008-04-24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0073148A (ja) 2008-09-22 2010-04-02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6809B1 (en) 2018-09-12
CN103544771A (zh) 2014-01-29
JP2013025342A (ja) 2013-02-04
BR102012014955A2 (pt) 2013-07-02
CN103544771B (zh) 2015-09-30
KR20130009605A (ko) 2013-01-23
US8678163B2 (en) 2014-03-25
MY166627A (en) 2018-07-17
EP2546809A1 (en) 2013-01-16
JP5779433B2 (ja) 2015-09-16
TW201303796A (zh) 2013-01-16
CN102881073A (zh) 2013-01-16
US20130015035A1 (en) 2013-01-17
CN102881073B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00B1 (ko)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KR100450131B1 (ko) 지폐취급장치
KR101077515B1 (ko) 지폐 취급 장치
JP5332512B2 (ja) 紙幣入出金機構
CN101894413B (zh) 自动交易装置
JP579599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S61276090A (ja) 循環式入出金装置
JP4694216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CN101276493B (zh) 纸张类处理装置
CN107111910B (zh) 纸张类集积库、现金自动交易装置
JP5859945B2 (ja) 紙幣取扱装置および紙幣検出方法
KR101121905B1 (ko) 지엽 취급 장치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6216685B2 (ja) 紙幣取扱装置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6813383B2 (ja) 紙葉類処理装置
CN205103923U (zh) 纸币处理装置
CN105160762A (zh) 纸币处理装置
JP3215373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S63184187A (ja) 自動取引装置
JPS61865A (ja) 紙葉類供給装置
JP3754620B2 (ja) 紙葉取扱装置
JP4330701B2 (ja) 紙幣入出金自動取引機
JPH0778836B2 (ja) 自動取引装置
JPH11259719A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