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131B1 - 지폐취급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131B1
KR100450131B1 KR10-2001-0081188A KR20010081188A KR100450131B1 KR 100450131 B1 KR100450131 B1 KR 100450131B1 KR 20010081188 A KR20010081188 A KR 20010081188A KR 100450131 B1 KR100450131 B1 KR 10045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mount
bill
bills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709A (ko
Inventor
코스기야스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5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sensing the quantity of valuable papers in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30Numbers, e.g. of windings or ro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취급장치에 세트되는 복수의 수납고 자신에서 그 수납된 지폐량을 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였다. 또한, 그 산출한 지폐량과, 미리 계원에 입력되는 수납고의 지폐매수를 체크하는 것으로, 틀린 지폐매수의 취급을 방지하며, 장착한 수납고의 정보를 취득하여 계원에 연락가능한 지폐취급장치의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폐취급장치{BILL HANDLING MACHINE}
본 발명은 지폐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수납고를 탈착하는 것이 가능한 지폐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폐취급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11-175801호 공보에는 입출금구, 반송로, 지폐판별부, 일시보관고 및 지폐수납고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그 지폐취급장치에 있어서의 지폐수납고는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 장진·회수고등으로 구성되고, 이것으로 구성하는 상기 지폐수납고는 지폐취급장치에 대해서 탈착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
종래의 지폐취급장치에 있어서는, 지폐수납고를 지폐취급장치에 대해서 탈착한 경우, 상기 지폐취급장치는, 자신에 장착한 수납고내에 존재하는 지폐의 매수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하여,계원이 지폐를 충진하여 수납고가 모두 찬 것과 관계없이, 거래재개후에 입금거래를 실행하는 가득 찬 수납고에 또한 지폐를 수납하도록 하여 이상을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계원이 지폐를 회수하여 수납고가 비어 있는 것과 관계없이, 거래재개 후에 출금거래를 실행하여 빈 수납고에서 지폐를 추출하도록 하여 이상을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지폐수납고를 지폐취급장치에 대해서 탈착한 경우, 상기 지폐취급장치는 자신에 장착한 수납고의 수납한 금종(만엔 지폐, 천엔지폐) 혹은 수납고의 타입(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다른 금종의 수납고가 장착됨과 관계없이, 상기 수납고에서 다른 지폐를 추출하도록 하거나, 상이한 지폐를 수납하도록 하거나 혹은 출금전용 수납고에 지폐를 수납하도록 하거나, 입금전용 수납고에서 지폐를 추출하도록 하여 이상을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한 수납고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계원에 연락하는 것이 가능한 지폐취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였다.
지폐를 입출금하는 입출금부와, 수납한 지폐를 누르는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 및 수납고의 종별을 나타내는 수납고 정보를 기억한 기억장치를 구비한 지폐수납고와, 주제어부를 구비하고, 수납고를 탈착하여 지폐를 보충 또는 회수 하는 지폐취급장치에 있어서, 주제어부는 수납고의 탈착을 검출한 경우, 기억장치의 기억신호 및 누름판을 구동시의 위치검출 센서출력을 수신하여, 수납고 정보 및 지폐매수 정보를 검출하고, 결과를 표시하여 계원에 연락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지폐취급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지폐취급장치의 제어블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지폐 잔량매수를 산출할 때의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지폐 잔량매수를 산출할 때의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지폐 잔량매수를 산출할 때의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지폐 잔량매수를 산출할 때의 누름판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은 장착한 수납고를 인식하기 위한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수납고 식별정보 기억부에 식별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는 수납고 식별정보 기억부에 식별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 은 지폐취급장치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주제어부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부 2 : 반송로
3 : 지폐판별부 4 : 지폐 일시보관고
5 : 지폐수납고 6 : 누름판
7 : 통과센서 8 : 게이트
9 : 리젝트권 수납고 10 : 프레임
10a : 장착부 11 : 도어
12 : 개폐 검출센서 13 : 수납고 정위치 검출센서
14 : 누름검출센서 15 : 공검출센서
16, 17 : 누름판 센서 18 : 셔터
19 : 입출금부 누름판 20 : 판넬키
21 : 카운터 101 : 상위장치
102 : 상위회선 접속부 103 : 구동모터 제어부
104 : 반송로 위치계수부 105 : 센서제어부
106 : 게이트 제어부 107 : 입출금 제어부
108 : 일시 보관고 제어부 109 : 누름판 구동 모터제어부
110 : 누름판 이동량 계수부 111 : 주제어부
112 : 주기억부 113 : 지폐판별부 회선 제어부
114 : 지폐판별부 제어부 115 : 수납고 회선제어부
116 : 수납고 기억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에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폐취급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지폐취급장치의 제어블록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들 도에 있어서, 1은 입출금부, 2는 지폐를 지폐취급장치내의 각장소에 반송하는 지폐 반송로, 3은 지폐의 진위, 금종등을 판별하고, 지폐를 출금에 적합한 지폐(정상권) 및 출금에 미적합한 지폐(리젝트권)를 판별하는 지폐판별부, 4는 감는식 지폐 일시보관고, 5는 지폐수납고, 6은 지폐수납고(5)내에 장착한 누름판이고, 전동기등에 의해 구동하여 지폐를 누르고 또한, 주름을 해제한다. 누름판(6)은 누름판(6)의 위치를 검출하는 누름판 위치 카운터를 구비하여, 상기 카운터의 계수치에 의해 누름판위치(누를때는 지폐매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7은 지폐의 반송로안에 배치한 통과센서이고, 지폐의 통과를 검출한다. 8은 지폐의 반송방향을 절환하는 게이트, 9는 판별부(3)에서 리젝트권으로 판정한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권 수납고, 10은 지폐취급장치의 프레임, 10a는 프레임(10)에 형서한 지폐수납고의 장착부, 11은 프레임(10)의 도어, 12는 도어(11)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검출센서, 13은 수납고가 장착위치에 있는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납고 정위치 검출센서, 14는 누름검출센서, 15는 수납고내의 지폐가 비어있는 것을 검출하는 공검출센서, 16, 17은 누름판(6)을 검출하여, 후 기술하는 누름판 위치 카운터를 개정하는 누름판센서이다. 그리고 센서(17)는 지폐의 만원위치인 누름판을 검출하고, 센서(16)는 지폐의 잔량 소위치에 있는 누름판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누름판 위치 카운터는 누름판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위치에 의거하여 수납고(5)의 내부에 수납된 지폐매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18은 입출금부의 입구에 설치한 셔터, 19는 입출금을 누름보유유지하는 입출금 누름판, 20은 계원이 조작하는 판넬키이고, 지폐취급장치를 단체(單體)로 동작시키는 경우에 동작지시를 입력한다. 21은 판넬키(20)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카운터이다.
101은 지폐취급장치의 상위위치, 102는 상위장치(101)와 접속하는 상위 회선접속부, 103은 반송로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제어부, 104는 반송로 위치계수부이고, 반송로의 이동량을 계수한다. 105는 센서제어부이고,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는 통과센서 및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센서등의 센서를 제어한다. 106은 게이트 제어부이고, 통과센서(7)의 검출신호 및 반송위치 계수부(104)가 계수한 반송로의 이동량을 근거로 게이트(8)를 절환한다. 107은 입출금부를 제어하는 입출금부 제어부, 108은 일시보관고(4)를 제어하는 일시보관고 제어부, 109는 누름판(6)을 구도하는 누름판 구동 모터제어부, 110은 누름판(6)의 이동량을 계수하는 누름판 이동량 계수부, 111은 지폐취급장치의 각부를 제어하는 주제어장치, 112는 주기억부, 113은 지폐판별부 제어부(114)와 접속하는 지폐판별부 회선제어부, 114는 지폐판별부(3)의 제어부이다. 115는 수납고 기억부(116)와 접속하는 수납고 회선제어부, 116은 수납고에 부착된 수납고 기억부이고, 수납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한다.
이 지폐취급장치를 이용하여 입금거래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입출금부(1)에 지폐를 삽입한다. 지폐를 삽입하면 입출금부(1)는 지폐를 한매씩 분리하여 반송로에 반출한다. 지폐판별부(3)는 반송되는 지폐의 진위, 금종등을 판별하고, 지폐의수납처를 결정한다. 또한, 지폐판별부에 의해 수납이 불가로 판별한 지폐는 입출금부에 반환되어 이용자에 반송된다. 수납이 가능하도록 판별한 지폐는 감는식의 일시보관고(4)에 일시적으로 감아 보관한다. 다음으로 수납고(5)내의 누름판을 구동하여 지폐의 수납스페이스를 확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감는식의 일시보관고(4)를 역전 구동하여 반송로(2)상에 지폐를 반출하고, 반송로(2)에 의해 반송한다.반송하는 지폐는 반송로(2)상 통과센서(7)에 감시하고, 지폐별 수납처에 따라서 게이트(8)를 절환한다. 즉, 지폐판별부(3)에 의해 정상권으로 판정한 지폐는 수납고(5)에 수납하고, 리젝트권으로 판정한 리젝트권 수납고(9)에 수납한다.
입금거래를 몇회에 걸쳐 반복한 후, 수납고(5)가 가득찬 경우, 계원은 지폐취급장치의 프레임(10)의 도어(11)를 열고, 가득찬 수납고(5)를 장착부(10a)로부터 취출하여 지폐를 회수한다. 다음으로, 비거나 혹은 지폐를 일부 잔량한 상태로 수납고(10)를 프레임내의 장착부에 반환하고, 도어(11)를 열어 운용을 재개한다.
출금거래를 하는 경우, 지폐취급장치는 지정한 금종의 수납고(5)에서 지폐를 분리하여 반송로(2)상에 반출한다. 지폐판별부(3)는 반송되는 지폐의 금종, 진위등을 판정하고, 리젝트권으로 판정한 지폐는 감는 식의 일시보관고(4)에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정상권으로 판정된 지폐만을 입출금부(1)에 반송한다. 그 후, 상기 일시보관고(4)에 보관한 리젝트권을 리젝트권 수납고(9)에 수납한다.
출금거래를 몇회에 걸쳐 반복한 후, 수납고(5)가 비어있는 경우, 계원은 프레임(10)의 도어(11)를 열어 빈 수납고(5)를 취출하여 상기 수납고(5)에 지폐를 채운 즉시, 장착부(10a)에 수납고(5)를 반환하고, 도어(11)를 닫고 운용을 재개한다. 또한, 수납고(5)를 반환하는 경우 없이 도어(11)를 닫고 운용을 재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서 도 5는 지폐잔량 매수를 산출할 때의 주제어부(111)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6은 지폐잔량매수를 산출할 때의 누름판(6)의 조작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6A는 누름판의 진행구동을 설명하는 도이고, 누름판구동모터제어부(109)는 누름판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누름판(6)을 도 6D에 나타나는 지폐수납위치 ①에서 누름검출센서(14)에 의해 지폐를 누름을 검출하는 위치 ②까지 진행 구동한다. 도 6B는 누름판(6)의 후진 구동을 설명하는 도이고, 누름판구동모터 제어부(109)는 누름판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누름검출센서(14)에 의해 지폐의 누름의 해제를 검출하는 위치 ③까지 후진구동한다, 도 6C는 누름판(6)의 정지위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6D는 누름판위치센서의 검출출력, 및 누름판위치 카운터의 계수출력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폐잔량 매수가 만원위치(B) 및 잔량매수 소위치(A)에 있어서 센서검출출력이 반전한다.
도 3의 스텝(201)에 있어서, 주제어부(111)는 센서제어부(105)로부터 수신한 센서정보에서 도어(11)의 개폐를 감시하고, 개폐검출센서(12)에 의해 도어(11)의 오픈을 검출하면(스텝(202)), 주기억부(112)를 참조하여, 수납고(5)를 장착위치에서 분리한 것, 즉 후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정위치 이탈을 기억하는가의 여부를 검색한다. 정위치 이탈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203)에 진전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05)에 진전된다. 수납고(5)가 장착위치에서 이탈되어 있는,즉 정위치 이탈의 여부를 수납고 정위치검출 센서(13)에 의해 판정하고(스텝 203), 정위치 이탈이면 스텝(204)에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207)에 진전한다. 그리고 정위치 이탈을 주기억부(112)에 기억한다(스텝 204).
스텝(205)에 있어서도 수납고(5)가 장착위치 즉 정위치에 있는 가의 여부를 부납고 정위치 검출센서(13)에 의해 판정한다. 정위치에 있는 경우는 스텝(206)에진전하고, 그렇지않는 경우는 스텝(207)에 진전한다. 스텝(206)에 있어서, 수납고(5)가 장착위치에 반환된 경우, 즉 수납고(5)의 재장착을 주기억부(112)에 기억한다. 스텝(207)에 있어서, 도어(11)의 닫힘을 검출하였는 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어(11)의 닫힘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208)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02)으로 진행한다. 스텝(208)에 있어서, 주기억부(112)를 검색하여 수납고 재장착의 기록의 유무를 판정하고, 기록이 있으면 도 4의 스텝(209)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30)에 진행한다. 스텝(230)에 있어서, 주기억부(112)를 검색하여 정위치 이탈의 기록이 있으면 스텝(231)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231)에 있어서, 수납고(5)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것을 상위장치(101)에 보고한다. 상위장치(101)는 계원에 수납고(5)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것을 표시하여 확인시킨다.
도 4의 스텝(209)에 있어서, 누름판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예를들면 도6D의 위치 ④에 있는 누름판(6)을 진행구동하고, 누름판을 검출했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210). 누름판 검출센서(14)에서 누름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213)에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11)으로 진행한다, 스텝(211)에 있어서, 만원위치(B) 혹은 잔량매수 소위치(A)에 배치한 누름판 센서(17, 16) 누름판(6)을 검출했는 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누름판(6)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21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10)에 진행한다. 스텝(212)에 있어서, 누름판위치 카운터의 계수값을 상기 만원위치(B) 혹은 잔량매수 소위치(A)에 카운터 값으로 개정한다.
스텝(213)에 있어서, 누름판(6)의 진행구동을 정지하고, 일정시간 동작을 지연시킨 후(스텝 214), 누름판의 후진 구동을 개시한다(스텝 215). 그리고 누름검출센서(14)에서 누름해제를 검출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216), 누름해제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219)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 217으로 진행한다. 스텝(217)에 있어서, 만원위치(B) 혹은 잔량매수 소위치(A)에 배치한 누름판센서가 누름판을 검출했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누름판위치를 검출한 경우는 스텝(218)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16)으로 진행한다. 스텝(218)에 있어서, 누름판위치카운터의 계수치를 상기 만원위치(B) 혹은 잔량매수 소위치(A)의 카운터값으로 개정한다. 스텝(219)에 있어서, 누름판의 후진구동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5의 스텝(220)에 있어서, 공검출센서(15)가 수납고(5)내의 지폐가 비어있는 것을 검출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한 경우는 스텝(221)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22)으로 진행한다. 비어있음을 검출한 경우는 지폐의 잔량매수를 영으로 설정한다(스텝 221). 스텝(222)에 있어서, 누름판위치 카운터의 계수값을 보정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보정한 경우는 스텝(22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24)으로 진행한다. 스텝(223)에 있어서, 지폐의 잔량매수를 카운터의 계수치로 설정한다. 스텝(224)에 있어서, 잔량매수 소위치(A)에 배치한 누름판검출 센서(16)의 출력이 [H]레벨로 만원위치(B)에 배치한 누름판 검출센서(17)의 출력이 [L] 레벨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결과가 진실되면 스텝(22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226)으로 진행한다. 스텝(225)에 있어서, 잔량매수 소위치(A)에 상당하는 매수(A)로 설정한다.
스텝(226)에 있어서, 잔량매수 소위치(A)에 배치한 누름판 검출센서출력이 [L]레벨로서, 만원위치(B)에 배치한 누름판 검출센서 출력이 [H]레벨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결과가 진실이면 스텝(22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228)으로 진행한다. 스텝(227)에 있어서, 지폐의 잔량매수를 만원위치(B)에 상당하는 매수(B)로 설정한다.
한편, 스텝(228)에 있어서, 지폐의 잔량매수를 잔량매수 = (A+B)/2로서 잠정적으로 산출한다. 즉, 이들경우는, 카운터의 보정이 실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폐매수를 잠정적으로 A, B 또는 (A+B)/2로 한다. 스텝(229)에 있어서, 계수 또는 산출한 잔량매수 혹은, 비어있음, 잔량소, 만원등의 잔량상황을 상위장치(101)에 보고한다, 상위장치(101)는 이 보고를 근거로 지폐의 잔량상황을 표시하여 계원에 확인시키거나, 지폐취급장치의 고객 혹은 수납고에 대한 입출금을 제어하거나 한다.
이상과 같이 수납고(5)에 수납된 지폐의 잔량을 인식하기 위하여, 그 수납고(5) 자신의 장치로 장착이 확인된 후, 누름판(6)을 전방측(잔량이 작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즉, 후방측(만원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것으로, 지폐의 잔량(수납매수)을 대략적이기는 하지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재장착된 수납고(5)를 인식하기 위한 주제어부(111)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스텝(301)에 있어서, 지폐취급장치의 기동 후, 주제어부(111)는 수납고 회선 제어부(115)를 제어하여, 수납고 기억부(116)에 기억한 수납고 식별정보(예를들면,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와 같은 수납고의 타입정보, 혹은 수납고가격납하는 만엔 지폐, 천엔지폐, US달러지폐와 같은 금종정보)를 취득한다. 스텝(302)에 있어서, 취득한 수납고 식별정보를 주기억부(112)에 기억한다. 스텝(303)에 있어서, 도어(11)의 개폐를 감시하고,도어의 오픈을 검출하면 스텝으로 진행한다. 스텝(304)에 있어서, 주기억부(112)를 참조하여, 수납고의 정위치 이탈을 기억하고 있는 가를 검색한다. 정위치 이탈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30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309)으로 진행한다. 스텝(306)에 있어서 정위치이탈을 주기억부(112)에 기억한다. 스텝(307)에 있어서, 수납고가 장착위치 즉 정위치에 있는 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정위치에 있는 경우는 스텝(308)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309)으로 진행한다. 스텝(308)에 있어서, 수납고가 장착위치에 반환된 것, 즉 수납고의 재장착을 주기억에 기억한다. 스텝(309)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을 검출했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어의 닫힘을 검출한 경우는 스텝(3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304)으로 진행한다.
스텝(310)에 있어서, 주기억(112)을 검색하여 수납고 재장착의 기록유무를 판정하고, 기록이 있으면 스텝(311)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311)에 있어서, 수납고 회선 제어부(115)를 제어하여 수납고 식별정보 기억부(116)에 기억한 수납고 식별정보를 취득한다. 스텝(312)에 있어서, 취득한 수납고 식별정보가 탈착 전후에서 상이한 가를 판정한다. 수납고 식별정보가 상이한 경우는 스텝(31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313)에 있어서, 갱신된 수납고 식별정보를 주기억부(112)에 기억한다.스텝(314)에 있어, 갱신된 수납고 식별정보를 상위장치(101)에 보고한다. 상위장치(101)는 장착되어 있는 수납고의 구성을 표시하여, 수납고를 다르게 장착하고 있지 않는 가를 계원에 확인시킨다.
도 8에서 도 9는 수납고 식별정보 기억부에 수납고 식별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주제어부(111)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스텝(401)에 있어서, 판넬키(20)의 [A]키가 온되는 것을 대기한다. [A]키가 온되면 스텝(402)으로 진행한다. 스텝(402)에 있어서, [G]키가 하강되어 있는가를 검출한다. [G]키가 하강된 경우는 스텝(4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404)으로 진행한다. 스텝(403)에 있어서, 예를들면 카운터(21)의 상위자리의 카운터값(X)을 [1]증가한다. 스텝(404)에 있어서, [H]키가 하강되었는가를 검출한다. [H]키가 하강된 경우는 스텝(40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406)으로 진행한다. 스텝(405)에 있어서, 예를들면 카운터(21)의 하위자리의카운터값(Y)을 [1] 증가한다. 스텝((406)에 있어서, [C]키가 하강되었는가의 여부를 검출한다. [C]키가 하강된 경우는 도 9의 스텝(41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407)으로 진행한다. 스텝(407)에 있어서, [A]키가 오프되었는 가를 검출한다. [A]키가 오프된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402)으로 진행한다.
도 9의 스텝(410)에 있어서, 수납고 식별정보설정모드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납고 식별정보 설정모드이면 스텝(41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411)으로 진행한다. 스텝(411)에 있어서, 예를들면 X= 3 또는 Y = 1로 설정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X = 3 또는 Y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412)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스텝(407)으로 진행한다.
스텝(412)에 있어서, 수납고 식별정보 설정모드로 이행한다. 스텝(413)에 있어서, 수납고 식별정보를 기억시키는 대상이 되는 수납고의 예를들면 수납고 번호는 설정완료의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완료이면 스텝(415)으로 진행하고,그렇지 않으면 스텝(414)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414)에 있어서, 대상수납고 번호를 설정한다(판넬 키(20)의 G키, 및 H키를 조작하여 입력한 수납고 번호를 주제어부에 설정한다).
스텝(415)에 있어서, 수납고의 타입정보의 설정완료의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완료이면 스텝(418)으로 진행하고,그렇지 않으면 스텝(416)으로 진행한다. 스텝(416)에 있어서, 수납고 회선제어부(115)에 예를들면 수납고의 타입을 입금고로 하는 타입정보를(예를들면 코드 02) 기억시키도록 지시한다. 스텝(417)에 있어서, 타입정보를 설정한다(판넬키 20의 G 키 및 H키를 조작하여 입력한 타입정보를 설정한다).
스텝(418)에 있어서, 수납고의 금종정의는 설정완료의 여부를 판정한다. 설정완료이면 스텝(407)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419)으로 진행하고, 스텝(419)에 있어서, 수납고 회선제어부(115)에 예를들면, 수납고의 금종을 천엔지폐로 하는 금종정보(예를들면 코드 01)를 기억시키도록 지시한다. 스텝(420)에 있어서, 금종정보를 설정한다(판넬키 20의 G키, 및 H키를 조작하여 입력한 금종정보를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수납고의 번호, 타입, 수납하는 금종이 판넬키 20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다.
도 10은 지폐수납고(5)를 탈착하여 운용하는 지폐취급장치에 있어서, 장치내의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주제어부(111)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이다.
스텝(501)에 있어서, 주제어부(111)는 도어의 개폐를 감시하고, 도어의 닫힘을 검출하면 스텝(502)으로 진행한다. 스텝(502)에 있어서, 지폐수납고의 재장착이 주기억부(112)에 기록되어 있는가를 검색하고, 기록하고 있으면 스텝(503)으로 진행하고 기록하고 있지 않으면 종료한다.
스텝(503)에 있어서, 운용을 재개시에 계원에 의해 재장착한 지폐수납고의 지폐매수가 입력되었는가를 체크하고, 입력시키지 않고 운용을 재개하도록 한 경우는 스텝(504)으로 진행하고, 입력된 경우는 스텝(505)으로 진행한다. 스텝(504)에 있어서, 지폐매수가 입력되어 있지 않는 것을 상위장치(101)에 전송한다. 상위장치(101)는 계원이 지폐매수의 입력을 잊어버린 것을 표시하고, 계원에 지폐매수를 입력하도록 안내한다.
스텝 505에 있어서, 계원에 의해 입력된 지폐매수와 상기와 같이 계수 또는 산출한 지폐매수를 비교하여, 차이가 큰 경우는 스텝 506으로 진행하고,차이가 작은 경우는 스텝 507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범위내인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506에 있어서, 재장착한 지폐수납고의 계수 또는 산출한 지폐매수(도 4, 5참조)에서 입력된 지폐매수가 너무 많거나 혹은 너무 작은 것을 상위장치에 전송한다. 상위장치(101)는 지폐매수를 입력하여 수정하도록 표시하여계원에 안내한다. 스텝 507에 있어서, 지폐취급장치가 관리하는 장치내의 지폐의 재고를 계원에 의해 입력된 지폐매수로 교환한다. 스텝 508에 있어서, 갱신한 재고를 상위장치에 전송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장치의 운용을 중단하여 계원이 지폐의 보충, 제거, 수납고의 제거, 재장착등의 조작을 실행한 경우는 장치의 운용을 재개하기전에 수납고의 지폐잔량 매수 혹은 잔량상황을 산출하고, 상위 장치에 보고하여 잔량상황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계원은 탈착한 수납고 지폐잔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지폐취급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치를 다운시키는 경우 없이, 거래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원이 타입이 다른 수납고, 혹은 금종이 다른 수납고를 장착한 경우, 운용을 재개하기 전에 수납고의 구성을 재인식하고, 상위장치에 보고하여 수납고의 구성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계원은 탈착한 수납고의 종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지폐취급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치를 다운시키는 경우 없이, 거래를 지속하는 것이 가능 하다.
또한, 타입이 다른 각 종류의 수납고 혹은 각종류의 금종에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국 통화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폐취급장치를 단체로 동작시킬 때 사용하는 판넬키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납고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를들면, 입금고, 출금고, 리사이클고등의 수납고의 타입정보, 혹은 수납한 금종(만엔지폐, 천엔지폐, US달러지폐등)을 나타내는금종정보))를 수납고 기억부에 간단하게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원이 지폐매수를 지폐취급장치에 입력하는 수단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납고를 탈착하여도 재고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한 수납고에 관하여 정보를 취득하고 계원에 연략가능한 지폐취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3)

  1. 지폐를 입출금하는 입출금부와,
    상기 입출금부로부터 입금되는 지폐 또는 상기 입출금부로부터 출금하는 지폐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지폐를 누르는 누름판을 갖는 복수의 지폐수납고와,
    상기 입출금부와 상기 복수의 수납고를 접속하고,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수납고의 착탈을 검출하는 수납고 검출부와,
    상기 수납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납고의 장착을 검출한 경우, 당해 수납고의 상기 누름판을 구동하여 당해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량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의 지폐량이 적은 것을 검출하는 잔량 소검출부를 갖추고,
    상기 잔량 소 검출부가 상기 수납고의 상기 누름판을 검출할 때,
    상기 제어부는 그 소잔량에 의거하여 지폐량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의 지폐량이 만원인 것을 검출하는 만원검출부를 갖추고,
    상기 만원검출부가 상기 수납고의 상기 누름판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그 만원에 의거하여 지폐량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의 지폐량이 적은 것을 검출하는 잔량 소검출부와,
    상기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의 지폐량이 만원인 것을 검출하는 만원 검출부를 갖추고,
    상기 잔량 소검출부 및 상기 만원검출부가 상기 수납고의 상기 누름판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소잔량에 의거하는 지폐량과 만원에 의거하는 지폐량과의 합을 절반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그 산출한 지폐량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에 있어서,
    계원의 키조작으로 입력을 닫는 키 입력부를 갖고,
    상기 수납고 검출부가 상기 수납고의 장착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당해 수납고의 지폐량의 입력을 상기 키 입력부에서 받았는다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에서 상기 지폐량의 입력을 받지 안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지폐량의 입력을 재촉하는 지령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9. 청구항 1 에 있어서,
    계원의 키조작으로 입력을 받는 키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지폐량과 상기 누름판을 구동하여 구해진 지폐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비교가 소정의 범위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고에서 수납된 지폐량으로서,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지폐량으로 재고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1.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비교가 소정의 범위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지폐량의 재입력 지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납고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장치에 재세트된 것을 근원으로,
    상기 제어부는, 재세트된 수납고에서 그 수납고를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미리 등록된 각 수납고의 정보와 적합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납고에서 취득하는 식별정보에는, 수납고의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정보 또는 수납고가 수납하는 지폐의 금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4. 지폐를 수취하는 또는 방출하는 입출금구와,
    상기 입출금구에서 입금되는 지폐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지폐를 일시보관하는 일시보관부와,
    상기 입출금구에서 입금된 지폐 또는 상기 입출금구에서 출금되는 지폐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지폐를 누르는 누름판을 갖는 복수의 수납고와,
    상기 수납고의 착탈을 검출하는 수납고 검출부와,
    상기 수납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수납고의 장착을 검출한 경우, 당해 수납고의 상기 누름판을 구동하여 당해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의 누름부는, 상기 수납고내부를 전후로 이동 하고, 수납된 지폐를 누르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6. 청구항 14 에 있어서,
    계원의 키조작으로 입력을 받는 키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지폐량과 상기 키입력을 받은 지폐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7.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교한 결과가 소정범위내로 판단한 경우, 상기 키 입력부에서 받은 지폐량으로 재고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18. 상기 지폐취급장치의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을 확인하는 스텝과,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고가 상기 지폐취급장치에 세트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는 스텝과,
    상기 수납고에서 입력된 지폐매수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량을 산출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지폐매수와 산출한 상기 지폐량을 비교하는 스텝으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방법.
  19. 청구항 18 에 있어서,
    상기 비교한 값이 소정의 범위내인 경우, 취득한 상기 지폐매수에서 상기 수납고의 재고를 갱신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방법.
  20. 청구항 18 에 있어서,
    상기 지폐량을 산출하는 스텝은,
    상기 수납고 내부에 구비된 누름판을 상기 수납고의 전방측에 구동하는 스텝과,
    상기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의 누름을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누름판을 상기 수납고의 후방측에 구동하는 스텝과,
    지폐의 누름해제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누름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방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에 의한 상기 구동으로서, 지폐를 누르는 정방향으로 상기 누름판을 구동시킨 후, 누름을 검지하면 상기 정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당해 누름판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22.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지폐를 누른 후, 당해 누름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장치.
  23.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고를 착탈하는 지폐취급장치에 있어서의 지폐량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의 장착을 검출하는 제 1 스텝과,
    상기 제 1 스텝 후에, 상기 수납고내의 누름부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스텝과,
    상기 제 2 스텝 후에, 상기 누름부와 지폐에 의한 누름을 검출하는 제 3 스텝과,
    상기 제 3 스텝 후에, 상기 누름부를 상기 정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4 스텝과,
    상기 제 4 스텝 후에, 상기 누름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당해 수납내의 지폐량을 검출하는 제 5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취급방법.
KR10-2001-0081188A 2000-12-21 2001-12-19 지폐취급장치 KR100450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88961A JP4044281B2 (ja) 2000-12-21 2000-12-21 紙幣取扱装置
JPJP-P-2000-00388961 2000-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709A KR20020050709A (ko) 2002-06-27
KR100450131B1 true KR100450131B1 (ko) 2004-09-30

Family

ID=1885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188A KR100450131B1 (ko) 2000-12-21 2001-12-19 지폐취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5343B2 (ko)
JP (1) JP4044281B2 (ko)
KR (1) KR100450131B1 (ko)
TW (1) TW5022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813B1 (ko) 2009-07-3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집적장치
KR20160083453A (ko) * 2014-12-31 2016-07-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의 수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5347B2 (en) * 2002-09-17 2006-04-11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Sheet aligning apparatus
US7169094B2 (en) * 2002-10-09 2007-01-30 Corepole, Inc. Circular fitness apparatus
US7261236B2 (en) * 2002-10-18 2007-08-28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which dispenses, receives and stores notes and other financial instrument sheets
JP4332379B2 (ja) * 2003-07-29 2009-09-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174442B2 (ja) 2004-03-15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束高さ検出方法、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0552232B1 (ko) 2004-04-27 2006-02-1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초기화 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기화 방법
GB0420441D0 (en) * 2004-09-14 2004-10-20 Ncr Int Inc Sensing arrangement
JP4631391B2 (ja) * 2004-10-27 2011-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GB0426137D0 (en) * 2004-11-26 2004-12-29 Money Controls Ltd A device for processing sheet objects such as banknotes
US7523929B2 (en) * 2005-11-04 2009-04-28 Pitney Bowes Inc. Shingle mode media item feed arrangement
US7341179B2 (en) * 2005-12-16 2008-03-11 Ncr Corporation Media cassette sensing system
KR100750793B1 (ko) * 2006-05-16 2007-08-2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DE102006040780A1 (de) * 2006-08-31 2008-03-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Banknoten
FR2906235B1 (fr) * 2006-09-21 2009-05-29 Solystic Sas Dispositif de depilage d'envois postaux avec une gestion optimisee des conditions de depilage
JP4965954B2 (ja) * 2006-09-29 2012-07-04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US7980461B1 (en) * 2006-10-03 2011-07-19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Card activ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KR100868945B1 (ko) * 2007-06-26 2008-11-17 주식회사 청호컴넷 리싸이클 박스의 종이 매체 공검지 장치 및 방법
JP5081508B2 (ja) * 2007-06-29 2012-11-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5220385B2 (ja) * 2007-11-02 2013-06-2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5188167B2 (ja) * 2007-12-20 2013-04-24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処理装置
US8251281B1 (en) * 2008-06-27 2012-08-28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JP5268667B2 (ja) * 2009-01-16 2013-08-21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5205292B2 (ja) * 2009-01-16 2013-06-0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紙幣処理機
IT1399673B1 (it) * 2010-04-22 2013-04-26 Barani Sistema anti-effrazione per apparecchiature tipo bancomat.
JP5602674B2 (ja) * 2011-05-16 2014-10-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識別アルゴリズム更新プログラム
JP5759289B2 (ja) * 2011-06-30 2015-08-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管理方法
TWI456529B (zh) * 2011-07-26 2014-10-11 日立歐姆龍金融系統有限公司 紙片類處理裝置
JP5788733B2 (ja) * 2011-08-09 2015-10-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貨幣管理システム、及び貨幣管理方法
US9934642B2 (en) * 2014-12-18 2018-04-03 Crane Payment Innovations, Inc. Multiclass logical document recycler management
KR101676168B1 (ko) * 2015-05-12 2016-11-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790642B2 (ja) * 2016-09-16 2020-11-25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11398124B2 (en) 2017-06-22 2022-07-26 Glory Ltd. Money handling system, money handling machine, and money handling method
JP6857091B2 (ja) * 2017-06-26 2021-04-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システム、貨幣処理機、貨幣釣銭機および貨幣処理方法
CN113345156B (zh) * 2021-04-23 2022-08-09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钞箱内纸币数量的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051A (ko) * 1984-08-06 1986-03-26 사바 쇼오이찌 자동 지폐 거래 시스템
JPH06183598A (ja) * 1992-12-24 1994-07-05 Fujitsu Ltd 紙葉類収納箱
KR0109579Y1 (en) * 1993-06-30 1997-12-13 Lg Electronics Inc Bill remnants perception apparatus for bill payment machine
KR19980038706A (ko) * 1996-11-26 1998-08-05 구자홍 지폐 또는 수표 적치함의 적치 잔량 감지 장치
KR19990026397A (ko) * 1997-09-24 1999-04-15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 방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25371A (ko) * 1998-10-10 2000-05-06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잔량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5494B (en) * 1983-01-26 1986-05-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Automatic bank note transaction apparatus
JPS59149564A (ja) * 1983-02-15 1984-08-27 Toshiba Corp 自動取引システム
US4681229A (en) * 1983-12-12 1987-07-21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Note sorting and counting apparatus
US5099423A (en) * 1985-06-27 1992-03-24 Diebold,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 settlement in an ATM
JPH0823900B2 (ja) * 1985-08-30 1996-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金自動取引装置の自動紙幣補充制御方法
JPH06293467A (ja) * 1993-04-07 1994-10-21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入出金機のニアフル検出構造
US5513773A (en) * 1995-02-27 1996-05-07 Technitrol, Inc. Single denomination bill dispensing apparatus
JPH11175801A (ja) 1997-10-06 1999-07-02 Hitachi Ltd 紙葉類取扱装置
JP3514999B2 (ja) * 1998-01-29 2004-04-0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繰り出し装置
JP3631928B2 (ja) * 1999-09-30 2005-03-23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取り扱い装置
GB2356728B (en) * 1999-10-09 2001-12-12 Ncr Int Inc Replenishment arrangements for automated teller machines
JP3977982B2 (ja) * 2000-05-19 2007-09-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放出庫及び紙幣入出金機
JP3959706B2 (ja) * 2001-03-01 2007-08-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GB0124867D0 (en) * 2001-10-17 2001-12-05 Ncr Int Inc Media casset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051A (ko) * 1984-08-06 1986-03-26 사바 쇼오이찌 자동 지폐 거래 시스템
JPH06183598A (ja) * 1992-12-24 1994-07-05 Fujitsu Ltd 紙葉類収納箱
KR0109579Y1 (en) * 1993-06-30 1997-12-13 Lg Electronics Inc Bill remnants perception apparatus for bill payment machine
KR19980038706A (ko) * 1996-11-26 1998-08-05 구자홍 지폐 또는 수표 적치함의 적치 잔량 감지 장치
KR19990026397A (ko) * 1997-09-24 1999-04-15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 잔류지폐 방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25371A (ko) * 1998-10-10 2000-05-06 구자홍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잔량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813B1 (ko) 2009-07-3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집적장치
KR20160083453A (ko) * 2014-12-31 2016-07-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의 수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55885B1 (ko) 2014-12-31 2021-05-2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의 수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44281B2 (ja) 2008-02-06
JP2002190051A (ja) 2002-07-05
KR20020050709A (ko) 2002-06-27
US20020079361A1 (en) 2002-06-27
US6805343B2 (en) 2004-10-19
TW502228B (en)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131B1 (ko) 지폐취급장치
KR910009463B1 (ko) 증권류처리장치
US5105364A (en) Bank note handling system for strictly controlling the resupplying of bank note cassettes
KR910003520B1 (ko) 증권류 처리장치
KR101216564B1 (ko) 현금처리기
US20050023341A1 (en) Bill handling apparatus
JPH0922476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リジェクト貨幣の取扱い方法
JP253267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3215373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2864481B2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H0323953B2 (ko)
JP3193003B2 (ja) 自動取引装置
JP250308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0831171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854885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568279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4330701B2 (ja) 紙幣入出金自動取引機
JP2598519B2 (ja) 現金入出金装置の一括収納庫
JP2615197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H07129819A (ja) 紙幣入出金装置
JPH1173535A (ja) 金庫用ロッカーおよび金庫
JP2902764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2980293B2 (ja) 自動取引装置
JPH05182044A (ja) 自動取引装置
JPH0343887A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