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813B1 - 매체집적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집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813B1
KR101584813B1 KR1020090070820A KR20090070820A KR101584813B1 KR 101584813 B1 KR101584813 B1 KR 101584813B1 KR 1020090070820 A KR1020090070820 A KR 1020090070820A KR 20090070820 A KR20090070820 A KR 20090070820A KR 101584813 B1 KR101584813 B1 KR 10158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ccumulation
unit
gui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910A (ko
Inventor
이주훤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9007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8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sensing the quantity of valuable papers in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7Surveillance aspects at ATMs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집적장치 및 그 매체집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기(100)에는 지폐투입구로 투입된 지폐(M)가 집적되는 일시집적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일시집적부(110)에는 지폐(M)가 집적되는 집적공간(S)과, 상기 집적공간(S) 내의 제1 및 제2센싱라인(La)(Lb) 상에 지폐(M)의 집적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115)(116)와, 상기 집적공간(S) 내에서 수직 이동하는 집적가이드(11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센서(115)(116)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집적가이드(11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3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유닛(130)에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115)(116)의 출력값을 '1msec'마다 샘플링하는 샘플링부(132)와, 상기 샘플링된 출력값과 지폐(M)의 집적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134)와,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센서(115) 또는 제2센서(1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센서에 대해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트부(136)와, 상기 카운트부(136)에 의해 수행된 카운트 횟수를 '100msec'동안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카운트 횟수가 '90'이상인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117)를 하강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3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의 집적 정도에 따라 집적가이드를 제어하여 지폐의 잼(jam)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인입된 지폐가 집적공간 내에 바르게 정렬되는 이점이 있다.
매체, 집적, 센서, 샘플링, 카운트

Description

매체집적장치{MEDIA ST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매체를 1매씩 분리하여 집적할 수 있는 매체집적장치 및 그 매체집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관봉권이라는 용어는 띠지를 막 개봉한 상태의 새 지폐를 말하고, 상용권이라는 용어는 일상적으로 사용되어 어느 정도 해진 상태의 헌 지폐를 말하며, 이상권이라는 용어는 접히거나 휜 상태의 지폐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매체자동지급기는 지폐입출금기, 자동판매기, 환전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와, 증명서 발급기, 티켓발권기와 같은 매체취급기에 적용되어 매체의 수납, 출납, 교환, 발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매체자동지급기 중에서 지폐입출금기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지폐입출금기에는 지폐투입구를 통해 1매씩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지폐이송경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이송경로를 통해 인입되는 지폐를 권종별로 일정 매수만큼 집적하는 복수의 일시집적부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일시집적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일시집적부에는 상기 지폐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된 지폐들이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집적공간에는 집적되는 지폐가 바르게 정렬될 수 있도록 지폐의 적절한 낙하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해 집적공간을 수직 이동하는 집적가이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적공간의 상·하부에는 상기 집적가이드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집적가이드를 이동시키는 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적가이드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센서가 구비된다. 또 상기 제1 및 제2센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집적가이드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3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집적가이드가 상기 집적공간에서 구동을 시작하기 위한 최초위치로, 지폐의 낙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또한 상기 지폐이송경로에 설치되되, 상기 일시집적부와 근접하게 진입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진입감지센서는 상기 일시집적부로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집적가이드를 초기 위치에 정지되게 제어하고, 상기 진입감지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지폐의 매수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를 일정 높이만큼 하강되게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폐입출금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는 지폐입출금기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설명하면, 일단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지폐입출금기의 구동이 개시되면, 제어부는 집적가이드가 초기 위치에 존재하는지 제3센서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확인한다(S10). 만약 상기 집적가이드가 초기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가 감지할 때까지 상기 집적가이드를 상승시킨 다음, 다시 상기 제3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상기 집적가이드를 하강시켜 초기 위치에서 정지되게 제어한다(S11).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지폐가 지폐투입구를 통해 인입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폐투입구를 통해 지폐가 인입되면, 상기 인입된 지폐는 1매씩 지폐이송경로를 통해 일시집적부로 이송된다(S12).
상기 지폐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가 일시집적부로 진입될 때, 진입감지센서는 상기 진입되는 지폐의 매수를 카운트한다(S14).
상기 진입감지센서의 카운트결과 소정 매수가 카운트되면(S1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적가이드를 소정 높이만큼 수직 하강되게 제어한다(S18).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감자센서에 의해 카운트되는 지폐의 매수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4단계 내지 제18단계는 상기 제12단계에서 지폐투입구를 통해 인입된 지폐가 모두 일시집적부에 집적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20).
그러나, 이와 같은 지폐입출금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진입감지센서에 의해 카운트되는 지폐의 매수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를 일정 높이만큼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지폐의 상태 및 부피에 상관없이 지폐의 매수에 따라서 상기 집적가이드를 항상 일정한 높이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런데 집적공간으로 관봉권이 다수 집적되는 경우, 더 많은 지폐가 집적될 만큼의 여유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집적된 지폐의 매수가 일정량 카운트되면 직접가이드를 하강시키기게 된다. 그러면, 결국 상기 집적가이드는 적정위치보다 더 하강하게 된 결과를 초래하여 집적되는 지폐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지폐가 상기 집적가이드로 낙하시 낙하 높이가 높아졌기 때문에, 지폐의 집적이 불량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폐가 불량하게 정렬되는 경우, 일시집적부로부터 지폐 방출시 방출 스큐(skew)율이 높아져 잼(jam)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집적공간으로 상용권 또는 이상권이 다수 집적되는 경우에는 그 집적된 지폐의 높이가 적정선을 넘어섰는데도 불구하고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가 일정량 카운트되어야만 비로소 직접가이드를 하강시키기게 된다. 그러면, 결국 상기 집적가이드는 적정위치보다 덜 하강된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일시집적부의 집적공간으로 진입되는 지폐가 이미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폐에 의해 걸리게 되는 잼(jam)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적공간 내에 집적되는 지폐가 바르게 정렬되게 하면서도 잼(jam) 현상이 방지되는 매체집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개구; 상기 인입개구를 통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 상기 집적공간 내에서 상기 인입개구로부터 기설정된 낙하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센서; 상기 집적공간 내에서 수직 이동하며 상기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가이드; 및 상기 제1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고 상기 감지값에 기초하여 상기 집적가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하는 센싱라인까지 매체가 집적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에 집적된 매체 중 최상측 매체와 상기 인입개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낙하거리를 유지하게 상기 집적가이드를 하강 제어한다.
상기 집적공간 내에서 상기 제1센서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값에 기초한 매체의 집적 여부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를 소정 높이만큼 하강되게 제어한다.
상기 제2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센싱라인을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감지값을 일정 시간마다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된 제1 및 제2센서의 감지값들과 매체의 감지를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센서에 대하여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트부; 그리고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수행된 카운트 횟수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집적공간 내부에 설치된 집적가이드가 초기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매체가 인입되는 매체인입단계; 상기 인입되는 매체가 상기 집적가이드에 안착되면서 집적공간에 집적될 때 상기 집적공간 내에서 상기 인입개구로부터 기설정된 낙하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센서가 매체의 집적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결과 상기 제1센서가 위치한 높이까지 매체가 집적된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에 집적된 매체 중 최상측 매체와 상기 인입개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낙하거리를 유지하게 상기 집적가이드를 하강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제1센서보다 높게 위치한 제2센서가 매체의 집적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매체 집적이 감지된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를 일정 높이만큼 하강되게 제어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감지값을 일정 시간마다 샘플링하는 샘플링단계; 상기 샘플링된 제1 및 제2센서의 감지값과 매체 감지를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그리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센서에 대하여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트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수행된 카운트 횟수가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 여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를 일정 높이만큼 하강 제어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수행된 카운트 횟수가 상기 제1 및 제2센서 모두에 대하여 소정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를 미구동하게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의 상태 및 집적되는 지폐의 매수와 상관없이 지폐의 집적 정도, 즉 집적공간에 집적된 지폐가 일정 높이만 되면 집적가이드를 하강 제어하기 때문에, 지폐가 인입되어 집적될 때까지의 낙하거리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일시집적부 내부로 인입되는 지폐가 이미 집적된 지폐에 의해 걸리는 잼(jam)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인입된 지폐의 낙하거리가 소정 범위로 유지되기 때문에, 인입된 지폐는 집적가이드에 바르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집적 품질이 향상되어 일시집적부로부터 집적된 지폐를 방출시 방출 스큐(skew)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시집적부로부터 지폐 방출시 잼(jam) 현상이 방지되어 동작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집적가이드에 집적되는 지폐의 집적 정도를 서로 다른 높이의 센싱라인을 가지고 2차에 걸쳐 감지하기 때문에, 제1센싱라인 상에 휜 지폐와 같은 이상권이 집적되더라도 제2센싱라인을 통해 지폐의 집적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이상권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집적장치 및 그 매체집적방법 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폐를 입출금하는 지폐입출금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입금되는 지폐가 집적되는 일시집적부가 한 개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가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폐입출금기(100)의 지폐투입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투입된 지폐(M)가 집적되는 일시집적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일시집적부(110)의 내부에는 지폐(M)가 집적되는 집적공간(S)이 구비된다. 상기 집적공간(S)은 상기 지폐(M)가 인입되는 인입개구(11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인입개구(111)에는 상기 지폐(M)를 1매씩 인입시키는 한 쌍의 인입롤러(112a)(112b)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112a)(112b)는 상기 지폐(M)를 인입시키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폐(M)를 통과시킨다.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112a)(112b)에 의하여 인입된 상기 지폐(M)는 상기 집적공간(S)에 1매씩 안착되어 집적된다.
상기 집적공간(S)의 상부에는 제1리미트센서(11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제2리미트센서(11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리미트센서(113) 및 제2리미트센서(114)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집적가이드(117)가 집적공간(S) 내에서 수직 이동할 때 상기 집적가이드(117)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집적가이드 구동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리미트센서(113) 및 제2리미트센서(1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조사하는 제1 및 제2발광부(113a)(114a)와 상기 제1 및 제2발광부(113a)(114a)로부터 조사된 빛을 각각 수광하는 제1 및 제2수광부(113b)(114b)로 구성된 적외선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리미트센서(113) 및 제2리미트센서(11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집적가이드(117)가 이동되어 해당 위치에 도달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인터럽트 센서이면 상관없다.
상기 제1리미트센서(113) 및 제2리미트센서(114)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집적가이드(117)의 초기 위치 및 지폐(M)의 집적 정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115)가 구비된다. 제1센서(115)는 집적공간(S) 내에서 인입개구(111)로부터 기설정된 낙하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15)는 제3발광부(116a)와 제3수광부(116b)로 구성된 적외선센서이고, 상기 제3발광부(116a)와 제3수광부(116b) 사이에는 제1센싱라인(La)이 형성된다.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일시집적부(110)가 초기화될 때 상기 집적가이드(117)가 이동되어 도래하게 되는 최초 위치로, 인입되는 지폐(M)의 낙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집적가이드(117)에 집적되는 지폐(M)가 바르게 정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집적 정도는 상기 집적가이드(117)에 안착되는 지폐(M)가 상기 제1센싱라인(La)까지 집적됨을 말한다.
상기 제1리미트센서(113)와 상기 제1센서(115)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 인입롤러(112b)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제2센서(116)가 구비된다. 상기 제2센서(116)는 상기 제1센서(115)와 동일하게 제4발광부(116a)와 제4수광부(116b)로 구성된 적외선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제4발광부(116a)와 제4수광부(116b) 사이에는 제2센싱라인(Lb)이 형성된다. 상기 제2센서(116)는 상기 제1센서(115)가 지폐(M)의 상태에 따라 지폐(M)의 집적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2센싱라인(Lb)에서 지폐(M)의 집적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집적공간(S)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집적공간(S) 내에서 수직 이동하는 집적가이드(117)가 구비된다. 상기 집적가이드(117)는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112a)(112b)를 통해 인입되는 지폐(M)가 지속적으로 집적공간(S)에 집적될 수 있도록 집적공간(S)을 단계별로 상이하게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집적가이드(117)는 상기 집적공간(S) 내부에 집적된 지폐(M)가 제1센싱라인(La) 또는 제2센싱라인(Lb)에 도래하면, 인입되는 지폐(M)가 지속적으로 집적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만큼 수직 하강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인입된 지폐(M)들이 상기 집적가이드(117)에 집적될 때 바르게 정렬될 수 있는 낙하 범위 내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적가이드(117)를 구동시키기 위한 집적가이드 구동부(120)가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집적가이드 구동부(120)는 스텝모터(stepping motor)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4수광부(113b 내지 116b)로부터 전달된 광량값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30)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130)은 상기 제3 및 제4수광부(115b)(116b)의 광량값이 지폐(M)의 집적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이하인 경우, 이미 집적된 지폐(M)에 의해 인입되는 지폐(M)가 걸리지 않도록 집적가이드(117)를 하강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130)에는 상기 제3 및 제4수광부(115b)(116b)로부터 전달되는 광량값을 각각 '1msec' 마다 샘플링하는 샘플링부(1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샘플링부(132)에 의해 샘플링된 광량값과 지폐(M)의 집적을 감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1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비교부(134)의 비교결과 상기 샘플링된 광량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트부(136)가 구비된다. 또 상기 카운트부(136)에 의해 제3수광부(115b) 또는 제4수광부(1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수행된 카운트 횟수가 '100msec' 동안 '90'이상인 경우 제1센싱라인(La) 또는 제2센싱라인(L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폐(M)가 집적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집적가이드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3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운트 횟수를 '90'으로 설정한 이유는 상기 집적공간(S) 내부로 인입된 지폐(M)가 낙하할 때 제2센싱라인(Lb)과 제1센싱라인(L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집적가이드(117)에 집적된다. 그렇기 때문에, 낙하 중인 지폐(M)에 의해서도 카운트 횟수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상기 일시집적부(110)로는 1초당 10매의 지폐가 인입되어 집적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카운트 횟수를 '9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집적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집적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단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지폐입출금기(100)의 구동이 개시되면, 제어유닛(130)은 집적가이드(117)가 초기 위치에 있는지 제1센서(11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확인한다(S100). 상기 확인결과 상기 집적가이드(117)가 초기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130)은 제1리미트센서(113), 제2리미트센서(114) 및 제1센서(115)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집적가이드(117)가 초기 위치에 도래하도록 집적가이드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유닛(130)은 제1리미트센서(113)가 감지할 때까지 상기 집적가이드(117)를 상승 제어한 다음, 다시 상기 제1센서(115)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상기 집적가이드(117)를 하강 제어하여 초기 위치에서 정지되게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폐투입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지폐(M)가 투입되면, 상기 투입된 지폐는 1매씩 지폐이송경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일시집적부(11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이송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M)가 일시집적부(110)의 한 쌍의 인입롤러(112a)(112b)에 의해 집적공간(S) 내로 인입된다(S102).
이때 상기 제1센서(115)는 집적공간(S)에 집적되는 지폐(M)가 제1센싱라인(La)까지 집적되는지를 감시하고, 제2센서(116)는 상기 집적되는 지폐(M)가 제2센싱라인(Lb)까지 집적되는지를 감시한다(S104). 여기서 상기 제2센서(116)는, 제1센싱라인(La)에 휜 상태의 지폐가 집적됨에 따라 상기 제1센서(115)에 의해 1차적으로 감지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집적되는 지폐(M)를 2차적으로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샘플링부(132)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115)(116)의 제3 및 제4수광부(115b)(116b)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광량값들을 전달받아 '1msec' 마다 샘플링을 수행한다(S106). 그리고 비교부(134)는 상기 샘플링부(132)에 의해 샘플링된 광량값들과 기준값을 각각 비교한다(S107). 이때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카운트부(136)는 카운트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비교부(134)의 비교결과에 따라 카운트부(136)에 의해 수행되는 카운트 동작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i) 상기 비교부(134)의 비교결과, 상기 제3 및 제4수광부(115b)(116b)의 광량값이 모두 기준값 보다 이상인 경우이다(S108).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센싱라인(La)(Lb)에 모두 지폐(M)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카운트부(136)는 제1 및 제2센싱라인(La)(Lb) 모두에 대하여 카운트를 수행하지 않는다(S110).
ii) 상기 비교부(134)의 비교결과, 상기 제3수광부(115b)의 광량값은 기준값 보다 이하이고 제4수광부(116b)의 광량값은 기준값 보다 이상인 경우이다(S112). 이러한 경우, 제1센싱라인(La)에만 지폐(M)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상기 카운트부(136)는 제1센싱라인(La)에 대해서만 카운트를 수행하고 제2센싱라인(Lb)에 대하여서는 카운트를 수행하지 않는다(S114).
iii) 상기 비교부(134)의 비교결과, 상기 제3수광부(115b)의 광량값은 기준값 보다 이상이고 제4수광부(116b)의 광량값은 기준값 보다 이하인 경우이다(S116).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센싱라인(Lb)에만 지폐(M)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상기 카운트부(136)는 제2센싱라인(Lb)에 대해서만 카운트를 수행하고 제1센싱라인에 대해서는 카운트를 수행하지 않는다(S118).
iv) 상기 비교부(134)의 비교결과, 상기 제3 및 제4수광부(115b)(116b)의 광량값이 모두 기준값 보다 이하인 경우(S120), 제1 및 제2센싱라인(La)(Lb)에 모두 지폐(M)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상기 카운트부(136)는 제1 및 제2센싱라인(La)(Lb) 모두에 대하여 카운트를 수행한다(S122).
이와 같이 수행되는 카운트 동작은 '100msec'를 한 주기로 하여 반복 수행된다(S124).
상기 제124단계에서 '100msec'가 경과되면, 상기 구동 제어부(138)는 제1센싱라인(La)과 제2센싱라인(Lb)에 대하여 각각 수행된 카운트 횟수가 '90'이상인지를 체크한다(S126). 즉, 상기 구동 제어부(138)는 상기 제1센싱라인(La) 또는 제2센싱라인(Lb)까지 지폐(M)가 집적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운트 횟수를 '90'으로 설정한 이유는 상기 집적공간(S) 내부로 인입된 지폐(M)가 제2센싱라인(Lb)과 제1센싱라인(L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집적가이드(117)에 집적되기 때문에, 낙하 중인 지폐(M)에 의해서도 카운트 횟수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인입된 지폐(M)가 제2센싱라인(Lb) 또는 제1센싱라인(La)을 통과하는 순간 제3수광부(115b) 및 제4수광부(116b)의 광량값이 샘플링되는 경우 그 광량값은 기준값보다 작으므로 카운트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센싱라인(Lb)과 제1센싱라인(La)에 감지된 지폐(M)가 낙하 중인 지폐인지 또는 집적된 지폐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상기 카운트 횟수를 '9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카운트 횟수는 인입된 지폐(M)의 낙하시간 및 집적되는 지폐(M)의 시간간격 등을 고려하여 신뢰성이 최적으로 보장되도록 카운트 횟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센싱라인(La) 또는 제2센싱라인(L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운트 횟수가 '90'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138)의 제어에 따라 집적가이드 구동부(120)는 상기 집적가이드(117)가 소정 높이만큼 수직 하강하도록 상기 집적가이드(117)를 이동시킨다(S128). 제어유닛(130)은 제1센서(115)가 감지하는 센싱라인(La)까지 매체가 집적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집적가이드(117)에 집적된 매체 중 최상측 매체와 인입개구(111) 사이의 거리가 낙하거리를 유지하게 집적가이드(117)를 하강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제어부(138)는 상기 집적되는 지폐(M)가 바르게 정렬될 수 있을 만큼의 낙하거리를 고려하여 집적가이드(117)가 하강되도록 집적가이드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04단계에서 제128단계는 상기 제102단계에서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M)가 모두 상기 일시집적부(110)의 집적공간(S)으로 집적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S13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지폐의 집적 정도에 따라 집적가이드를 제어하기 때문에, 일시집적부 내부로 인입되는 지폐가 걸리는 잼(jam) 현상이 방지되면서도 인입된 지폐가 집적가이드에 바르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집적가이드에 집적되는 지폐의 집적 정도를 서로 다른 높이의 센싱라인을 가지고 2차에 걸쳐 감지하기 때문에, 휜 지폐와 같은 이상권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시집적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체카세트 또는 리젝박스와 같이 매체가 집적되는 모든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는 2차적으로 지폐의 집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제2센서가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지폐의 집적 여부를 3차 이상에 걸쳐 감지하기 위해 제2센서가 두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
도 1은 종래의 지폐입출금기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매체집적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매체집적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폐입출금기 110 : 일시집적부
111 : 인입개구 112a 및 112b : 한 쌍의 인입롤러
113a 및 113b : 제1리미트센서 114a 및 114b : 제2리미트센서
115a 및 115b : 제1센서 116a 및 116b : 제2센서
117 : 집적가이드 120 : 집적가이드 구동부
130 : 제어부 M : 지폐

Claims (8)

  1. 매체가 인입되는 인입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개구를 통해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형성된 집적부 및
    상기 집적부 내에서 상기 인입개구로부터 기설정된 낙하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센서;
    상기 집적부 내에서 상기 제1센서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제2센서;
    상기 집적부 내에서 수직 이동하며 상기 인입된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가이드; 및
    상기 제1센서의 감지값 및 제2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고 상기 집적가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센서의 감지값 및 제2센서의 감지값에 기초한 매체의 집적 여부에 따라 상기 집적가이드를 소정 높이만큼 하강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하는 센싱라인 또는 제2센서가 감지하는 센싱라인까지 매체가 집적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에 집적된 매체 중 최상측 매체와 상기 인입개구 사이의 거리가 상기 낙하거리를 유지하게 상기 집적가이드를 하강 제어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센서의 감지값 또는 제2센서의 감지값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센서가 감지하는 센싱라인 또는 제2센서가 감지하는 센싱라인까지 매체가 집적되었다고 판단하는 매체직접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2센서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센싱라인을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매체집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감지값을 일정 시간마다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된 제1 및 제2센서의 감지값들과 매체의 감지를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값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센서에 대하여 카운트를 수행하는 카운트부; 그리고
    상기 카운트부에 의해 수행된 카운트 횟수가 상기 제1센서 또는 제2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집적가이드를 일정 높이만큼 하강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집적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70820A 2009-07-31 2009-07-31 매체집적장치 KR10158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20A KR101584813B1 (ko) 2009-07-31 2009-07-31 매체집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820A KR101584813B1 (ko) 2009-07-31 2009-07-31 매체집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10A KR20110012910A (ko) 2011-02-09
KR101584813B1 true KR101584813B1 (ko) 2016-01-12

Family

ID=4377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820A KR101584813B1 (ko) 2009-07-31 2009-07-31 매체집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13B1 (ko) * 2011-09-15 2013-04-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와 방법
US9346639B2 (en) 2011-12-02 2016-05-24 Lg Cns Co., Ltd.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101280691B1 (ko) * 2011-12-02 2013-07-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KR101713450B1 (ko) * 2015-12-30 2017-03-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보관함,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871438B1 (ko) * 2016-11-17 2018-06-26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카세트, 카세트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363A (ja) 2000-11-14 2002-05-24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KR100450131B1 (ko) 2000-12-21 2004-09-3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취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0363A (ja) 2000-11-14 2002-05-24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KR100450131B1 (ko) 2000-12-21 2004-09-30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지폐취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910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813B1 (ko) 매체집적장치
JP2002260061A (ja) 紙幣取扱装置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100883283B1 (ko) 매체 취급 장치
KR101457296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JP2019152905A (ja) 媒体処理装置
KR20140139639A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90027241A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62283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607339B1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JP5935510B2 (ja) 自動取引装置
JP2996499B2 (ja) 紙葉類の搬送監視方法
JP2002092692A (ja) 紙葉類取り扱い装置
CN111243162A (zh) 纸币集积装置的控制方法、装置和现金处理设备
JP3931165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464868B1 (ko) 매체 픽업 및 이송 장치, 금융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9543B1 (ko) 매체보관함 및 그의 제어방법, 금융기기
JP2000099792A (ja) 施封小束管理装置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JP268033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0182120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