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06B1 -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06B1
KR101315406B1 KR1020110110578A KR20110110578A KR101315406B1 KR 101315406 B1 KR101315406 B1 KR 101315406B1 KR 1020110110578 A KR1020110110578 A KR 1020110110578A KR 20110110578 A KR20110110578 A KR 20110110578A KR 101315406 B1 KR101315406 B1 KR 10131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leaching
filtration
liquor
be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168A (ko
Inventor
최기욱
임재웅
신철곤
Original Assignee
보해양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해양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해양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0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norganic add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4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organic added material
    • C12H1/042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ion-exchange material or inert clarification material, e.g. adsorption material with the aid of organic added material with the aid of a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포함하고 유용한 약리적 효과를 갖는 옥수수 수염을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침출주를 제조함으로써, 최근의 건강주, 저도주화 추세에 부합하는 뛰어난 기능성을 가지고 기호도 및 관능성 또한 우수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옥수수 수염의 함량, 침출 시간, 및 희석주정의 알코올 농도를 최적화함으로써 관능성과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CORN SILK STEEPING LIQUOR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수염의 다양한 유효 성분들이 함유되어 뛰어난 기능성을 가지고, 기호도 및 관능성 또한 우수한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는 한약재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옥수수의 열매 부분을 싸고 있는 실같은 부분인 옥수수 수염은 말려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옥수수 수염은 생약명으로 옥미수라고 하며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술이다. 옥수수 수염은 약리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향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옥수수 수염을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뇨작용을 촉진해 소변의 염화물 배출을 활성화 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며, 혈압과 혈당을 내리고, 지혈작용 및 항암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우 신장에 있는 결석을 녹이는 작용, 소변길(요도)에 있는 진득진득한 물질을 씻어내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고혈압, 축농증, 신장병 등의 치료제로서 과거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들어 그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어 당뇨억제효과, 간보호, 숙취해소, 항비만 효과 등이 보고되었으며, 또한 옥수수 수염 유래 플라보노이드인 메이신(maysin)이라는 물질이 종양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 및 라디컬 소거활성이 뛰어나며 항산화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효과를 갖는 옥수수 수염은 사포닌, 알칼로이드, 판토테산, 크립토잔틴(cryptoxanthin), 이노시톨(inositol) 등 기능성 물질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옥수수 수염은 종래에는 한약재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일반적으로 음용차나 추출물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옥수수 수염의 기능성 물질을 활용한 보다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옥수수 수염의 다양한 유효 성분들이 함유되어 뛰어난 기능성을 가지고, 기호도 및 관능성 또한 우수한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포함하고 유용한 약리적 효과를 갖는 옥수수 수염을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침출주를 제조함으로써, 최근의 건강주, 저도주화 추세에 부합하는 뛰어난 기능성을 가지고 기호도 및 관능성 또한 우수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상기 옥수수 수염의 함량, 침출 시간, 및 희석주정의 알코올 농도를 최적화함으로써 관능성과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옥수수 수염을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침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쳐 얻어진 침출액을 1차 여과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을 알코올 농도 20 내지 25%(v/v)로 제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분 함량이 향상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옥수수 수염에는 메이신(maysin)을 중심으로 한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화합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안토시아닌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또한 식품안전청의 원료 분류에 따르면 옥수수 수염은 부원료로 분류되어 있어 인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를 수확한 후 버려지는 부산물인 옥수수 수염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원료의 취득이 매우 용이하며 또한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며 그럼에도 타 침출주에 비해 전혀 뒤지지 않는 우수한 기호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제조방법은, 옥수수 수염을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침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쳐 얻어진 침출액을 1차 여과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을 알코올 농도 20 내지 25%(v/v)로 제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옥수수 수염을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침출하는 단계
상기 옥수수 수염은 바람직하게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물기를 제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석주정은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농도가 30 내지 50%(v/v),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v/v)인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알코올 농도를 갖는 희석주정에 옥수수 수염을 침지시켜 침출함으로써 고품질 방향성 성분을 적정하게 함유하고 관능성이 뛰어나며, 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 등의 기능성 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옥수수수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희석주정의 0.5 내지 1.5%(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w/v)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침출은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10 내지 50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침출할 경우, 유해한 향기 성분이 유출되어 관능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에 미달하여 침출할 경우 바람직한 향기성분 및 기능성 성분이 충분히 포함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제 2단계> 옥수수수염 침출액을 여과(1차 여과)하는 단계
상기 1단계를 거쳐 얻어진 옥수수 수염 침출액을 1차 여과하는 단계로서, 상기 여과는 바람직하게는 가압여과기에 여과지를 집어넣고 0.3~0.5kgf/cm2 압력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여과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여과를 수행함으로써 침출액에 존재하는 옥수수수염의 섬유질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 2-2단계> 청징 여과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단계의 1차 여과를 거쳐 얻어진 1차 여과액에 PVPP, 젤라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여과 흡착재를 사용하여 상기 침출액을 청징 여과하는 제 2-2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청징 여과란 수중에 현탁해 있는 농도가 희박한 미세 고형물이나 장기유통, 보관 중에 침전이 생기는 원인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 공정을 의미하며, 상기 청징 여과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Bentonite)를 20 내지 40분간 수화 시켜 상기 침출액에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 후 2 내지 4일간 실온에 방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PVPP 를 20 내지 40분간 수화시켜 침출액에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고 1 내지 3일간 0 내지 -5℃의 저온에서 청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젤라틴을 여과 흡착재로서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젤라틴을 상기 침출액에 10 내지 100ppm으로 첨가하여 냉각시킨 후 규조토로 여과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흡착재를 2 이상으로 사용하여 청징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벤토나이트(Bentonite)를 20 내지 40분간 수화 시켜 상기 침출액에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 후 2 내지 4일간 실온에 방치 후, 추가적으로 PVPP 를 20 내지 40분간 수화시켜 상기 침출액에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하고 1 내지 3일간 0 내지 -5℃의 저온에서 청징한 후, 규조토로 여과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제조방법은 이와 같이 청징 여과 공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보관 및 유통 중에 침전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한 잡미나 이물감이 제거되어 관능적으로 매우 청징한 침출주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단계> 제성단계
제 3단계인 제성단계는 상기 제 2단계 과정을 거친 옥수수 수염 침출액에 주조용수를 가하여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알코올 농도를 20~25%(v/v)로 조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주조용수는 주정을 희석하는데 사용되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조용수에 적합하도록 정수 처리된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능성 물을 사용하거나 기능성 첨가물료를 상기 주조용수와 함께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물료는 예컨대 당분, 구연산, 아미노산(예컨대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알라신, 글리신 등), 솔비톨, 무기염류,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K,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적합한 첨가물료의 종류 및 함량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제성단계) 이후의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를 거쳐 제성된 옥수수수염 침출주는 추가로 여과하는 단계(2차 여과)를 더욱 거쳐 병입 및 제품화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여과 공정은 상기 기재된 1차 여과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및 관능성이 우수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진된 고 기능성 성분 함량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포함하고 유용한 약리적 효과를 갖는 옥수수 수염을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침출주를 제조함으로써, 최근의 건강주, 저도주화 추세에 부합하는 뛰어난 기능성을 가지고 기호도 및 관능성 또한 우수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옥수수 수염의 함량, 침출 시간, 및 희석주정의 알코올 농도를 최적화함으로써 관능성과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는 옥수수를 수확한 후 버려지는 부산물인 옥수수 수염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원료의 취득이 매우 용이하며 또한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며 그럼에도 타 침출주에 비해 전혀 뒤지지 않는 우수한 기호도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옥수수 침출주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4
옥수수 수염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세척하여 물기가 제거될 정도로 옥수수 수염을 건조하였다. 건조된 옥수수 수염을 희석한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침출한 후, 침출액을 가압여과기(보해양조)에 NA 100 여과지를 집어넣고 0.3~0.5kgf/cm2 압력으로 가압하여 1차 여과를 행하였다, 이후 벤토나이트(Bentonite)를 30분간 수화 시켜 상기 침출액에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 후 3일간 실온에 방치하고 여기에 다시 PVPP 를 30분간 수화한 후 침출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3일간 0℃ 이하의 저온에서 청징 후 규조토 여과를 하였다.
다음으로 첨가물료로서 스테비오사이드 0.2g 내외, 설탕 1g 내외, 정제염 0.03g, 구연산 0.001g, 및 아스파라긴 0.001g과 주조용수를 넣어 알코올 농도 20%(v/v)로 제성하고 상기 1차 여과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2차 여과하여 알코올 농도 20%(v/v)인 실시예 1 내지 24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조하였다(도 1 참조).
사용된 옥수수 수염의 에탄올 대비 함량, 에탄올의 알코올 농도 및 침출 기간은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각각 수행하였다.
샘플 옥수수 수염 함량
%(w/v)
에탄올 농도
%(v/v)
침출기간 (일)
실시예-1 0.5 30 10
실시예-2 0.5 30 20
실시예-3 0.5 30 30
실시예-4 0.5 30 40
실시예-5 0.5 40 10
실시예-6 0.5 40 20
실시예-7 0.5 40 30
실시예-8 0.5 40 40
실시예-9 0.5 50 10
실시예-10 0.5 50 20
실시예-11 0.5 50 30
실시예-12 0.5 50 40
실시예-13 1 30 10
실시예-14 1 30 20
실시예-15 1 30 30
실시예-16 1 30 40
실시예-17 1 40 10
실시예-18 1 40 20
실시예-19 1 40 30
실시예-20 1 40 40
실시예-21 1 50 10
실시예-22 1 50 20
실시예-23 1 50 30
실시예-24 1 50 40
시험예 1.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평가.( 침출기간 , 알코올함량)
옥수수 수염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의 최적 침출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총 페놀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사용된 일반시약과 표준시약은 모두 sigma 사에서 구입하였다.
총 페놀함량 측정은 Folin-denis 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참조).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24의 샘플 0.5ml를 채취하여 Folin-ciocalteu's phenol 시약 0.25ml(Sigma)과 증류수 3.25ml 혼합하고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포화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용액 0.5ml를 넣고 20분간 반응시킨 뒤 반응용액을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옥수수수염 건물 100g에 해당하는 갈산(gallic acid) 용량으로 표시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은 Davis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Maksimovic, Z., D.Malencic. and N. Kovacevic.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 Bioresour. Technol. 96:873-877. 참조).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24의 샘플 0.4ml를 채취하여 90%(v/v)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용액 4ml를 넣고 3분 동안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New Brunswick scientific. USA) 에서 흔들어 준 후, 1N NaOH 용액 0.04ml를 넣고 1시간 이후에 42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옥수수 수염 건물 중 100g에 해당하는 나린진(naringin)의 용량으로 표시하였다.
샘플 총 페놀함량 (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
실시예-1 1732 1030
실시예-2 1820 1140
실시예-3 1930 1180
실시예-4 1934 1192
실시예-5 1684 1036
실시예-6 1803 1096
실시예-7 1900 1190
실시예-8 1944 1195
실시예-9 1835 1100
실시예-10 1844 1130
실시예-11 1935 1297
실시예-12 1943 1290
실시예-13 1930 1036
실시예-14 1934 1096
실시예-15 1784 1190
실시예-16 1803 1195
실시예-17 1977 1243
실시예-18 1989 1246
실시예-19 2042 1297
실시예-20 2045 1306
실시예-21 1900 1295
실시예-22 1944 1235
실시예-23 1835 1230
실시예-24 1866 129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에 포함된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옥수수 수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상기 옥수수 수염의 함량보다는 침출 기간 및 알코올 농도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코올 농도 40%(v/v)의 희석주정에서 침출하여 제조된 실시예 18 내지 21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침출 기간이 30 내지 40일인 실시예 19 및 실시예 20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가 가장 높게 나타나 알코올 농도 및 침출 기간이 길수록 옥수수 수염 침출주에 포함되는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향기성분 평가
옥수수 수염의 최적 침출 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에 포함된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24에서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시료를 각각 10ml씩 헤드스페이스(Headspace)전용 바이얼(vial)에 정확히 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 GC)로 향기성분 함량을 하기의 조건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분석조건]
- system: Hewlett Packard 5890 series Ⅱ plus with Hewlett Packard Headspace Sampler
- column: HP-INNOWax (Cross-Linked PEG) 30m×0.25mm×0.5㎛
- column oven: 40℃에서 3분간 유지한 후 100℃까지 6℃/mim으로 승온하고, 100℃도달 후 8℃/min로 승온하여 200℃ 도달 후 15분간 유지
- injection 온도: 200℃
- detector 온도: FID250℃
- 이동상: N2
- 유량: 1㎖/min
- 시료 주입량: 1㎕(splitless)
주요 향기성분 비교표(ppm)
샘플 아세트알데히드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탄올 벤즈알데히드
실시예-1 98.14 67.34 32.52 3.36
실시예-2 89.65 62.49 34.66 5.80
실시예-3 102.44 69.43 38.23 6.34
실시예-4 113.43 59.67 33.64 10.43
실시예-5 96.53 75.33 36.53 2.22
실시예-6 106.40 69.54 39.45 4.36
실시예-7 108.46 68.12 32.66 4.44
실시예-8 113.63 65.43 36.23 9.65
실시예-9 99.37 64.53 32.00 3.26
실시예-10 102.78 67.29 32.65 5.63
실시예-11 107.39 66.44 37.46 6.13
실시예-12 110.75 68.53 34.22 11.35
실시예-13 96.49 67.95 40.32 4.36
실시예-14 103.24 70.43 29.65 6.53
실시예-15 108.43 63.85 38.44 6.43
실시예-16 117.66 59.46 40.12 10.64
실시예-17 86.53 74.08 30.46 3.63
실시예-18 105.35 69.22 35.46 6.68
실시예-19 106.77 70.32 42.00 7.00
실시예-20 123.44 65.95 34.69 12.39
실시예-21 95.63 66.30 35.66 4.63
실시예-22 109.49 64.28 37.44 6.35
실시예-23 110.32 78.55 34.36 6.95
실시예-24 126.33 63.56 35.44 11.76
상기 표 3에 기재된 향기 성분 중,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는, 적정한 함량으로 존재할 때에는 좋은 방향성 역할을 하지만 과량인 경우 자극적이며 불쾌취를 유발할 수 있는데, 실시예 4, 8, 12, 16, 20 및 24와 같이 침출 기간을 40일로 하여 장기간 침출하여 제조된 침출주의 경우,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의 함량이 각각 110ppm 및 10ppm을 초과하는 다소 높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침출 기간을 10 내지 30일로 하여 제조된 침출주에서는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를 적정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극적이지 않고 우수한 풍미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과실향을 나타내는 에틸 아세테이트 및 이소부탄올은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풍부한 향미를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기 성분 측면과 관련하여서는 침출 기간을 10 내지 30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다만 상기 시험예 1에 나타난 결과를 함께 고려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높이면서 향기 성분 또한 최적으로 포함하기 위해서는 알코올 농도 40%(v/v) 및 침출기간 30일이 가장 적절한 침출 조건임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시험예 3. 관능평가
뛰어난 관능성 및 기호도를 갖는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한 옥수수 수염의 최적 침출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24에 따라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를 주류관능검사에 경험이 풍부한 성인남녀 5명(남 20대 후반, 남 30대 초반, 남 40대 중반, 여 20대 후반, 여 30대 후반)의 전문패널들을 대상으로 음용하게 한 후 맛, 향, 외관에 관한 문답조사를 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7점 기호척도법: 7-대단히 좋다, 6-좋다, 5-약간 좋다, 4-보통이다, 3-약간 나쁘다, 2-나쁘다, 1-대단히 나쁘다).
샘플 향미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1 5.29 5.46 6.20 5.32
실시예-2 5.14 5.36 6.13 5.20
실시예-3 5.57 5.43 5.93 5.43
실시예-4 5.21 5.36 5.46 5.31
실시예-5 5.89 5.66 5.86 5.96
실시예-6 5.43 5.43 5.90 5.62
실시예-7 5.46 5.79 5.92 5.43
실시예-8 5.23 5.94 5.57 5.62
실시예-9 5.38 5.79 5.76 5.44
실시예-10 5.42 6.07 5.93 5.49
실시예-11 5.33 5.57 5.81 5.46
실시예-12 5.98 5.54 5.73 6.00
실시예-13 5.86 5.80 6.01 5.98
실시예-14 5.89 6.04 6.03 5.87
실시예-15 5.93 6.01 6.12 6.03
실시예-16 6.01 6.14 6.10 6.11
실시예-17 6.14 6.07 6.00 6.05
실시예-18 6.15 6.22 6.03 6.22
실시예-19 6.35 6.24 6.17 6.33
실시예-20 6.21 6.10 6.13 6.13
실시예-21 6.10 6.02 6.14 6.11
실시예-22 6.22 5.98 6.09 6.19
실시예-23 6.09 6.05 6.11 6.03
실시예-24 5.98 6.03 6.33 6.1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옥수수 수염 함량이 1%(w/v)인 실시예 13 내지 24의 경우 옥수수 수염 함량이 0.5%(w/v)인 실시예 1 내지 12에 비해 맛, 향미, 색 모든 측면에서 기호도가 더 높게 나타나 옥수수 수염 함량이 증가할수록 관능성 및 기호도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알코올 농도와 관련하여서는 40%(v/v)의 희석주정에서 침출하여 제조된 실시예 18 내지 21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기호도가 특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침출 기간과 관련하여서는 침출을 행한 후 제성하기 전 전체적인 관능을 실시한 결과 30일 이후의 시료구에서 풀향과 비슷한 냄새가 상대적으로 많이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나 침출 기간은 30일 정도까지 침출하는 것이 관능적으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3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옥수수 수염 침출주는 모두 뛰어난 기능성과 기호도 및 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옥수수 수염 함량 1%(w/v), 알코올 농도 40%, 및 침출 기간 30일로 하여 제조된 실시예 19의 옥수수 수염 침출주가 기능성 및 관능성 등 전체적인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희석주정에 대해 옥수수 수염 0.5 내지 1.0%(w/v)를 알코올 농도 30 내지 50%(v/v)의 에탄올인 희석주정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10일 내지 40일간 침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를 거쳐 얻어진 침출액을 1차 여과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 이후에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을 청징 여과하는 제 2-2단계; 및
    상기 1차 여과 및 청징 여과된 침출액을 알코올 농도 20 내지 25%(v/v)로 제성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 수염 침출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단계는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을 PVPP(Polyvinylpolypyrrolidone), 젤라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여과 흡착재를 사용하여 청징 여과하는 것인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단계는 벤토나이트를 20 내지 40분간 수화시킨 후,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에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교반 후 2 내지 4일간 방치하여 청징 여과하는 것인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단계는 PVPP(Polyvinylpolypyrrolidone)를 20 내지 40분간 수화시킨 후,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에 첨가하여 1 내지 3시간 교반 후 1 내지 3일간, 0 내지 -5℃에 방치하여 청징 여과하는 것인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2단계는 젤라틴을 상기 1차 여과된 침출액에 10 내지 100ppm으로 첨가하여 냉각시킨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청징 여과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10110578A 2011-10-27 2011-10-27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78A KR101315406B1 (ko) 2011-10-27 2011-10-27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78A KR101315406B1 (ko) 2011-10-27 2011-10-27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68A KR20130046168A (ko) 2013-05-07
KR101315406B1 true KR101315406B1 (ko) 2013-10-07

Family

ID=4865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578A KR101315406B1 (ko) 2011-10-27 2011-10-27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4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016B1 (ko) * 1987-10-20 1989-10-16 이덕우 옥수수주 제조방법
KR100528395B1 (ko) * 2003-06-14 2005-11-16 하이트맥주 주식회사 배양산삼 추출 액기스를 첨가한 소주 제조방법
KR100702060B1 (ko) * 2004-12-30 2007-03-30 라호열 옥수수대를 이용한 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016B1 (ko) * 1987-10-20 1989-10-16 이덕우 옥수수주 제조방법
KR100528395B1 (ko) * 2003-06-14 2005-11-16 하이트맥주 주식회사 배양산삼 추출 액기스를 첨가한 소주 제조방법
KR100702060B1 (ko) * 2004-12-30 2007-03-30 라호열 옥수수대를 이용한 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68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04B1 (ko) 백향과 와인의 제조방법
CN101633873A (zh) 添加原花青素b2的葡萄酒及制备方法
KR101139374B1 (ko) 말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및 항피부노화 식품 조성물
KR101315406B1 (ko) 옥수수 수염 침출주 및 그 제조방법
WO2006109405A1 (ja) 植物抽出物の製造法
KR100869207B1 (ko) 쑥을 주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KR20160122510A (ko) 인삼 열매 와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 열매 와인
KR100543776B1 (ko) 오디술의 제조방법
KR20000072393A (ko) 매실 침출물을 함유한 증류주의 제조 방법
SU158120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редства дл лечени гепатитов и холециститов
JPS61166390A (ja) 健康アルコ−ル飲料
JP3001283B2 (ja) 消臭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71961B1 (ko) 작설줄기 및 생엽과 생매실을 이용한 작설주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작설주
KR101346567B1 (ko) 녹차꽃과 석류의 혼합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RU2532219C2 (ru) Алкогольсодержащий напиток &#34;сибирьяк&#34;
KR970009306B1 (ko) 소나무싹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 조성물
KR100384683B1 (ko)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3788B1 (ko) 포도 송이 가지의 추출액으로부터 레스베라트롤을고순도로 정제하는 방법
JP4587484B2 (ja) ラッカセイ種皮抽出物含有リキ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35913B1 (ko) 맥반석을 이용한 기능성 재첩국 및 그 제조방법
KR101442729B1 (ko) 국화를 이용한 약주 제조방법
KR0154255B1 (ko)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된 무궁화 음료 제조방법
KR100393682B1 (ko) 다슬기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의 제조방법
KR100447622B1 (ko) 맹종죽엽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클로로젠산 메틸에테르계 화합물 및 그 용도
KR100368545B1 (ko) 매실 인삼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