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683B1 -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683B1
KR100384683B1 KR10-2000-0085073A KR20000085073A KR100384683B1 KR 100384683 B1 KR100384683 B1 KR 100384683B1 KR 20000085073 A KR20000085073 A KR 20000085073A KR 100384683 B1 KR100384683 B1 KR 100384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weight
concentrate
elm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127A (ko
Inventor
양영택
김봉찬
김성학
진일석
고정삼
한원탁
김광호
김영휘
Original Assignee
제주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제주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0-008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6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높게하여 유효성분을 갖는 약리효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맛과 향미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두릅나무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릅나무 과립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Granuled tea made from Aralia elata Seem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높게하여 유효성분을 갖는 약리효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맛과 향미 등의 기호성이 우수한 두릅나무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릅나무 과립차에 관한 것이다.
두릅나무(Aralia elata Seem)는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 또는 재배하고 있는 약용식물로써, 예로부터 민간 또는 한방에서는 신경쇠약, 정신분열증, 당뇨병, 류마티스성 관절염, 위암, 위경련, 신장병, 저혈압, 강장 및 강정, 이뇨 등을 치료할 목적으로 두릅나무의 뿌리 또는 줄기를 물 또는 알콜로 우려내거나 다려서 이용하여 왔다.
따라서, 두릅나무를 의약품으로 이용하고자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두릅나무의추출물에 함유된 성분 중 올레아놀산 28-O-β-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는 당뇨병의 치료 작용을 갖는 혈당강화제로서의 활성(국내공개 공보 제 92-21157호) 및 3-O-α-L-아라비노푸라노실(1→4)-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 올레아놀산 28-O-β-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아랄로사이드 A)의 위궤양 및 위염 치료 활성(국내공개특허 96-21031호)이 현재 밝혀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릅나무의 약리효능을 주로 의약품 제제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두릅나무의 이러한 약리효능을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연구하게 되었고, 그 방법으로 두릅나무를 차음료화하는 방법, 특히 두릅나무를 과립차로 제조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차의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맛과 향기가 중요한데, 두릅나무의 경우에는 특유의 떫고 쓴맛 등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의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방법을 찾기 위해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두릅나무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초 또는 스테비아를 혼합하고, 이를 특정 조건하에서 30~70%의 에탄올로 추출한 엑기스를 사용하여 과립차를 제조한다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의 추출 및 엑기스 수율을 많게하여 두릅나무가 갖는 약리효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기호성 또한 우수한 두릅나무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릅나무 과립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두릅나무 과립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릅나무 과립차의 제조방법은 두릅나무 90~97중량%와 감초 또는 스테비아 3~10중량%를 가공 전처리하는 제 1공정; 상기 전처리된 두릅나무와 감초 또는 스테비아 혼합물을 30~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액과 잔류물을 얻는 1단 추출공정 및 1단 추출공정의 추출 잔류물을 다시 30~70% 에탄올로 추출하여 1단 추출공정의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는 추출액을 얻는 2단 추출공정으로 이루어진 제 2공정; 상기 1단 추출공정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청징물을 고형물 함량이 40~70%가 되게 농축하는 제 3공정; 및 상기 농축물 5~20중량%에 부형제 75~90중량%와 첨가제 1~5중량%를 배합시켜 과립성형하는 제 4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두릅나무 과립차의 제조방법은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 및 추출수율을 많게한 방법이므로, 두릅나무 과립차를 음용하는 것에 의해 이들 유효성분이 갖는 약리효능이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두릅나무와 함께 감초 또는 스테비아를 혼합하여 과립차를 제조하므로써, 두릅나무의 특유의 떫고 쓴맛에 의한 기호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두릅나무의 떫고, 쓴맛 등을 마스킹하므로서 기호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감초 및 스테비아의 주요성분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감 초는 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감초의 근경이다. 주요 약효성분은 트리테르펜계 사포닌인 글리찌리진(glycyrrhizin)으로 비당질, 고감미의 저칼로리 감미물질이다. 또한, 해독물질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어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약물중독에 효과가 크며, 민간요법으로 식중독이나 약독에 검은 콩과 같은 양으로 다려서 음용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스테비아는 국화과에 속하는 감미자원 식물로, 오래전부터 달여먹는 차의 감미료로 사용하여 왔다. 주요 감미를 나타내는 성분은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로 감초의 감초의 글리시린지놀과 유사한 배당체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손실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산가수분해한 올레아놀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는 현재까지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중 그 약리효능이 확인된 성분은 올레아놀산 28-O-β-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와 3-O-α-L-아라비노푸라노실(1→4)-β-D-글루쿠로노피라노실 올레아놀산 28-O-β-D-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아랄로이드 A)로써,이들이 올레아놀산 유도체들이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공정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공정 : 원료 전처리 공정>
두릅나무 및 천연 감미제인 감초 또는 스테비아를 부패, 이취가 없이 잘 건조하고, 협잡물, 이물질 제거 등 선별 및 정선한 다음, 세절 또는 분쇄하여 가급적단시간에 강한 수압으로 세척한 원료를 사용한다. 이때 두릅나무는 어린순, 잎, 줄기, 뿌리의 부위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어린순, 잎, 줄기, 뿌리를 동등한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천연 감미제 역할을 하는 감초 또는 스테비아는 떫고 씁쓸한 맛을 마스킹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그의 사용량은 두릅나무를 기준한 전체 원료중량의 3~10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마스킹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감초와 스테비아 특유의 원료특성이 나타나 두릅나무 원료 자체의 특성을 상쇄하기 때문이다.
<제 2공정 : 추출공정>
상기 공정으로 전처리한 두릅나무 및 감초 또는 스테비아에 30~70% 에탄올을 원료중량의 10∼50배량의 양으로 가하고,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밀폐된 추출용기에서 80~100℃의 온도로 3∼7시간 동안 1단 추출하여 아랄로사이드, 사포닌 등 유용성분과 두릅나무 및 천연감미제의 에탄올 가용성분을 용출시킨다. 이때, 추출용기를 밀폐시키는 것은 향기 손실 방지 및 에탄올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그 다음, 원료의 이용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1단 추출한 잔류물에 있는 가용성분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1단 추출 잔류물에 30~70% 에탄올을 1단추출 잔류물 중량의 10~30배량으로 다시 가하여 2~5시간 동안 상기 1단 추출과 같은 방법으로 2단 추출을 한다. 그러나, 2단 추출한 두릅나무 추출액은 가용성분이 적고 농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에너지가 많이 투입되므로, 두릅나무 가용성분량을많게 하고 농축을 쉽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2단 추출하여 여과시킨 추출액을 새로운 두릅나무를 추출하기 위한 1단 추출공정의 추출용매로 이용한다.
<제 3공정 : 농축공정>
상기 추출공정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1~10㎛의 여과기 사용하여 여과하여 청징물을 얻는다. 얻어진 청징물을 진공농축기로 40~60℃를 유지하면서 과립차 제조에 적합하도록 에탄올을 증류시키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40~70%가 되게 농축한다.
이때 농축온도가 높으면 향미 성분 손실이 있으므로 가급적 50℃이하에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농축하면서 포집된 증류액은 재사용할 수 있다.
<제 4공정 : 배합 및 건조공정>
상기 농축공정에서 얻은 두릅나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농축물(가용성고형물 60%) 5~20중량%에 부형제 75~90중량%, 그리고 기호성 및 건강성 향상용 첨가제 1~5중량%를 배합용기에서 배합한 다음, 과립 성형하고, 40~60℃에서 3~10시간 건조하여 과립차를 제조한다.
이때 부형제로는 포도당, 유당, 트레할로즈, 솔비톨 등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부형제 비율은 과립차 총 중량에 대하여 포도당의 경우에는 40~60중량%, 유당의 경우에는 10~20중량%, 트레할로즈의 경우에는 5~15중량%, 솔비톨의 경우에는 5~15중량%이다.
또한, 첨가제로는 감귤농축액(60% Brix), 오미자 농축액, 오갈피 열매 농축액 등을 1~5중량%의 양으로 배합함으로서 청량감과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향미 개선 및 건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감귤농축액과 더불어 오미자 농축액, 오갈피 열매 농축액, 선인장 열매 농축액, 매실농축액, 사과농축액, 포도 농축액 등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 그 이점이 확인될 수 있다.
<시험예 1> 두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올레아놀산 함량
두릅나무의 어린순, 줄기, 뿌리를 동등비율로 혼합한 건조시료 300g을 90~100℃에서 5시간 동안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올레아놀산 함량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HPLC 분석을 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산가수분해한 올레아놀산의 함량은 두릅나무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다음, 5% 염산 - 60% 1,4 디옥산(1,4-Dioxane) 용액으로 3시간 끊는 수욕상에서 산가수분해 후 감압 농축한 시료액에 증류수와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여 유기용매 분획층인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분을 감압 농축장치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메탄올로 정용하여 최종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것을 분석 시료로 사용하여 HPLC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HPLC 분석조건
조건
컬럼 LUNA 5μC18(2), 4.6×250㎜
검출기 UV 210㎚
이동상 *Buffer complex : CH3CN = 20 : 80
유속 1.0㎖/min.
주입량 20㎕
* 50mM Sodium acetate Buffer(pH5.5) : CH3CN = 90 : 10
두릅나무 추출물의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함량
순수(유리) 올레아놀산 122 ppm
산가수분해 올레아놀산 12,541 ppm
표 2로부터, 두릅나무 원료자체에 순수형태로 존재하는 올레아놀산 함유량은 산가수분해하여 측정한 올레아놀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0.97%에 불가하므로, 두릅나무의 기능성 활성을 확인 하는 지료로서 산가수분해 올레아놀산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건조 및 정선한 두릅나무의 어린순, 줄기 및 뿌리를 동등비율로 혼합한 건조시료를 0.5cm 크기로 세절한 다음 시료중량에 대한 30배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환류냉각기를 부착한 추출용기에서 하기 표 3~5에 기재된 각각의 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에 대해 추출수율은 중량법으로, 두릅나무의 유용성분들 가운데 대표적인 기능성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은 산가수분해 올레아놀산 함량으로 표시하였다. 한편, 산가수분해 올레아놀산의 함량은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예 2-1>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 및 추출수율
하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가수분해한 올레아놀산 함량은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많이 추출되며, 특히 에탄올 70%로 추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추출용매로 물만 사용하는 경우는 에탄올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보다 유효성분 함량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에탄올만을 사용하여 추출할 경우는 유효성분 및 추출수율이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추출용매보다 상당히 적게 추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과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30~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추 출 용 매 에탄올 30% 에탄올 50% 에탄올 70% 에탄올 95%
올레아놀산(%) 0.43 1.07 1.25 1.33 0.75
추출수율(%) 16.1 14.7 14.1 11.7 7.2
※ 추출시간 : 5시간, 추출온도 : 100℃
<시험예 2-2> 추출시간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 및 추출수율
하기 표 4는 두릅나무 과립차의 제조시 적합한 추출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용매에 대한 유효성분과 추출수율을 조사한 데이터이다. 물 또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는 추출수율과 유효성분인 산가수분해 올레아놀산 함량이 추출되는 시간이 최소한 5시간 이상에서 수렴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성분 함량 또한 매우 낮게 추출됨을 보여 주고 있다.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추출용매중 5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는 추출 3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추출시간이 3∼4시간 소요됨을 보여 주고 있고, 더구나, 추출 초기 1∼2시간 동안에서 추출수율에 있어서 물보다 더 많이 추출되고 있다. 따라서, 30~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추출시간을 3∼7시간으로 하면 두릅나무의 유용성분 및 가용성분이 최대한 추출된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1단 추출한 잔류물에는 유효성분 및 가용성분 함량이 약 30% 미만 함유되어 있으므로, 1단추출보다 추출시간을 작게하는 것이 좋은데, 표 4로부터, 물과 에탄올만 이용할 때와는 달리 5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이용할 경우 추출초기 즉 1∼3시간에 유용성분 및 가용성분이 거의 추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1차로 추출한 에탄올 잔류물을 다시 추출하는 경우에는 2~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시간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9시간
올레아놀산(%) 0.15 0.35 0.43 0.47 0.51
50%에탄올 0.87 1.21 1.25 1.28 1.30
95%에탄올 0.51 0.67 0.75 0.78 0.82
추출수율(%) 8.7 13.2 16.1 16.5 16.8
50%에탄올 10.2 13.6 14.1 14.6 15.0
95%에탄올 5.8 6.7 7.2 7.5 7.9
※ 추출온도 : 100℃
<시험예 2-3> 추출온도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 및 추출수율
하기 표 5로부터 상압하에서 유효성분과 추출수율은 추출온도에 대한 영향이 대단히 큼을 확인할 수 있고,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5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경우를 대표적으로 나타내었는데, 30∼70% 에탄올로 추출할 때 추출온도는 80℃ 이상 유지해야 유효성분과 원료 이용율을 많게 하여 효과적인 추출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추 출 온 도 60℃ 80℃ 100℃
올레아놀산(%) 0.47 0.93 1.25
추 출 수 율(%) 6.8 10.5 14.1
※ 추출시간 : 5시간, 추출용매 : 50% 에탄올
<시험예 3>
건조 및 정선한 두릅나무를 0.5cm 크기로 세절하여 환류냉각기를 부착한 추출용기에 넣은 후 50% 에탄올을 시료중량의 30배량 가하여 90~100℃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 잔류물을 1차 추출과 같은 방법으로 2차, 3차 추출한 다음 여과된 각각의 추출액을 45℃를 유지하는 진공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였으며, 엑기스 수율 및 회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엑기스 수율은 중량법으로 농축물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회수율은 3회 추출한 각각의 엑기스 수율을 합하여 100%로 기준한 상대적인 수치로 표시하였다.
추 출 회 수 엑기스 수율(g) 회 수 율(%)
1차 추출 136.0 70.3
2차 추출 46.6 24.1
3차 추출 10.8 5.6
합 계 193.5 100.0
※ 엑기스 수율 : 시료 1㎏에 대한 추출액의 농축물 중량(g)※ 회수율 : 3회 엑기스 수율을 합한 수치를 100%로 기준하여 환산
표 6으로부터, 두릅나무는 1차 추출로 대부분의 가용성분이 용출되었으며, 2차 추출시 회수율은 24.1%로 2차 추출액은 가용성 고형물량의 적어 과립차 제조에 적합하도록 농축하는데 1차 추출액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1·2차 추출로 두릅나무의 가용성분이 약 94%이상 추출되며 원료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1,2차 에탄올 추출을 수행하므로, 원료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고, 더구나, 2차 추출액을 농축하여 직접 과립차 제조에 사용하지 않고, 1차 추출공정의 용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과립차 제조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 있는 제조방법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릅나무 500g과 감초 25g을 정선하여 0.5㎝ 크기로 절단한 다음, 빠른 시간내에 강한 수압으로 세척한 후, 환류냉각기를 부착한 추출용기에 넣고 50% 에탄올 15ℓ를 가하여 90℃ 이상을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1단추출하여 두릅나무와 감초 가용성분을 함유하는 추출액과 잔류물을 분리하였다. 추출액은 1㎛ 여과막을 통과시켜 청징물을 얻었다.
1단 추출한 잔류물에는 50% 에탄올 10ℓ를 가하여 90℃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2단 추출한 다음 여과시킨 추출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새로운 두릅나무와 감초의 가용성분을 추출하는 1단 추출공정을 반복시행하여 청징물을 얻는다.
얻어진 청징물을 진공농축기로 향미 성분의 손실을 가급적 적게하기 위하여 농축온도 45℃를 유지하여 과립차 제조에 적합하도록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60%되게 농축하였다.
두릅나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용성고형물 60%의 농축물과 부형제, 그리고 기호성 및 건강성 향상용 첨가제를 표 7과 같은 배합비율로 배합용기에서 배합한 다음 과립 성형하여 50℃에서 7시간 정도 건조하여 두릅나무 과립차를 제조하였다.
재 료 배합비(중량%)
농 축 물(50 Brix)정제 포도당유 당트레할로즈솔 비 톨감귤 농축액(60 Brix)오미자 농축액(60 Brix) 15.050.011.014.07.01.51.5
※ 농축물의 조성 : 두릅나무 93중량% + 감초 7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감초를 첨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두릅나무 과립차의 배합공정 중 기호성 향상을 위하여 첨가하는 천연 산미제인 감귤농축액와 오미자 농축액을 배합하지 않고, 식품첨가물용 구연산을 0.2중량%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차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4> 두릅나무 과립차의 관능검사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두릅나무 과립차의 기호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검사자 50명을 선정하여 관능적 품질특성인 맛, 향, 색 및 종합기호도를 5단계 평점법(대단히 싫다(1점), 보통이다(3점), 대단히 좋다(5점) 등)으로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 분 종합기호도
실시예 1 4.1 4.1 4.2 4.1
비교예 1 3.4 3.6 4.1 3.6
비교예 2 3.6 3.7 3.8 3.7
※ 과립차의 음용 기준 : 과립차 10g에 끊는 물 80ml 가하여 용해 후 평가
표 8로부터, 두릅나무로 과립차를 제조하는데 기호성이 떨어지는 결점을 감귤농축액 등 천연 산미제와 떫고 씁쓸한 맛을 마스킹하는 효과 및 감미도를 높일 수 있는 천연 감미제로 감초 또는 스테비아를 사용함으로서 건강성을 유지하며 기호성이 좋은 두릅나무 과립차 제조가 가능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릅나무 과립차는 두릅나무가 갖는 약리효능과 기호성을 동시에 지닌 과립차로써 누구나 손쉽게 음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과립차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이 추출효율을 높이고, 엑기스 수율을 많게 하며, 원료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높다.

Claims (5)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두릅나무 90~97중량%와 감초 또는 스테비아 3~10중량%를 건조하고, 선별 정선한 후, 세절 분쇄하여 강한 수압으로 세척하여 전처리하는 제 1공정;
    상기 제 1공정으로 전처리 된 두릅나무 및 감초 또는 스테비아에 30∼70%의 에탄올을 원료 중량의 10∼50배의 양을 가하고,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밀폐된 추출 용기에서 80∼100℃의 온도로 3∼7 시간 동안 추출하여 에탄올 가용성분을 용출시키는 1단 추출공정; 및 1단 추출 공정의 추출 잔류물에 다시 30∼70% 에탄올을 1단 추출 잔류물 중량의 10∼30 배의 양으로 가하여 2∼5 시간 동안 상기 1단 추출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상기 1단 추출공정의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는 추출액을 얻는 2단 추출공정;으로 이루어진 제 2공정;
    상기 제 2공정의 1단 추출공정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얻은 청징물을 고형물 함량이 40~70%가 되게 농축하는 제 3공정; 및
    상기 농축물 5~20중량%에 부형제 75~90중량%와 첨가제로서 감귤 농축액, 오미자 농축액, 오갈피 열매 농축액, 선인장 열매 농축액, 매실 농축액, 포도 농축액, 사과 농축액 및 배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1~5중량% 배합시켜 과립성형하는 제 4공정;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릅나무 과립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릅나무는 어린순, 잎,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릅나무 과립차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두릅나무 과립차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두릅나무 과립차.
KR10-2000-0085073A 2000-12-29 2000-12-29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84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73A KR100384683B1 (ko) 2000-12-29 2000-12-29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73A KR100384683B1 (ko) 2000-12-29 2000-12-29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27A KR20020058127A (ko) 2002-07-12
KR100384683B1 true KR100384683B1 (ko) 2003-05-22

Family

ID=2768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073A KR100384683B1 (ko) 2000-12-29 2000-12-29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6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89B1 (ko) * 2001-11-29 2004-03-11 순 택 정 두릅차의 제조방법
KR101176997B1 (ko) 2009-03-16 2012-08-24 영천시 신규한 포도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38B1 (ko) * 2002-11-28 2005-07-14 전라남도 차환 제조 방법
KR100799654B1 (ko) * 2006-07-10 2008-01-30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 환의 제조방법과 그 산양삼 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244A (ko) * 1996-12-30 1998-09-25 백운화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20501A (ko) * 1998-09-22 2000-04-15 이상수 보건음료의 제조방법
KR20010060837A (ko) * 1999-12-28 2001-07-07 한동휴 섬오갈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6891A (ko) * 2000-05-24 2001-12-07 박행자 기능성 과립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244A (ko) * 1996-12-30 1998-09-25 백운화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00020501A (ko) * 1998-09-22 2000-04-15 이상수 보건음료의 제조방법
KR20010060837A (ko) * 1999-12-28 2001-07-07 한동휴 섬오갈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6891A (ko) * 2000-05-24 2001-12-07 박행자 기능성 과립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189B1 (ko) * 2001-11-29 2004-03-11 순 택 정 두릅차의 제조방법
KR101176997B1 (ko) 2009-03-16 2012-08-24 영천시 신규한 포도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27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5579A1 (en) Method for preparing luo han guo sweetener composition from siraitia grosvenorii and use thereof
US7037536B2 (en) α-amylase activity inhibitors
CN101404898B (zh) 一种用于高脂血症和中风的预防和恢复的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含此活性成分的天然茶及其制备方法
CN104621296A (zh) 一种具有调节血脂、血糖、血压功能的中药组合茶饮料
CN102065711B (zh) 桉树提取物的制备方法
CN110521894A (zh) 一种罗汉果甜香风味脱色浓缩汁及其制备方法
CN101036760B (zh) 具有健胃保肝和增强记忆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工艺
CN101842380B (zh) 含有圣草次苷的材料、含有圣草次苷的材料的制备方法以及包括含有圣草次苷的材料的食品、饮料、药品和化妆品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4683B1 (ko) 두릅나무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142352A (zh) 一种刺梨青钱柳速溶茶的制备方法
KR100337740B1 (ko) 섬오갈피 건강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90004B1 (ko) 두릅나무 건강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429444B (zh) 一种从甜叶菊母液糖中分离纯化甜茶苷的方法
KR19990064643A (ko) 헛개나무를 이용한 숙취,갈증(자리끼),구토,두통,이뇨,구취제거
CN102771850B (zh) 一种用菊花秸秆制备清凉饮料的方法
KR20010060837A (ko) 섬오갈피 과립차 및 그의 제조방법
SU1581208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редства дл лечени гепатитов и холециститов
KR102428525B1 (ko) 은행잎추출물, 홍삼농축액 및 해안소나무껍질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079650B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화과 농축액 조성물
KR0154255B1 (ko)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된 무궁화 음료 제조방법
KR100304438B1 (ko) 탐라오갈피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48165B1 (ko) 맛과 향이 증가된 오가피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가피 잎 추출물
KR100405133B1 (ko) 다시마 올리고당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14534A (ko) 알비지아 미리오필라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