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746B1 -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746B1
KR101279746B1 KR1020087002153A KR20087002153A KR101279746B1 KR 101279746 B1 KR101279746 B1 KR 101279746B1 KR 1020087002153 A KR1020087002153 A KR 1020087002153A KR 20087002153 A KR20087002153 A KR 20087002153A KR 101279746 B1 KR101279746 B1 KR 10127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oot
conductivity
measurement
substrat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033A (ko
Inventor
막시밀리안 플라이셔
롤란트 폴레
케르스틴 비이스너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31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6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 soot concentration or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연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측정 단계용 센서의 제1 작동 온도를 설정되는 단계, 그 결과 매연이 기판 표면에 증착될 수 있는 반면에 매연 측정을 방해하는 추가적인 증착이 방지되며; 측정의 시작과 전극들 간의 증가한 전도도의 발생 사이의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및 재생 단계용 센서의 제2 작동 온도가 설정되는 단계, 그 결과 증착된 매연이 측정 가스에 존재하는 산소로 연소된다. 본 발명의 제품은 차량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매연 센서이다.
센서, 매연, 내연기관, 유로 5, 디젤

Description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SENSOR AND OPERATING METHOD FOR DETECTING SOOT}
본 발명은 측정기체용적(measurement gas volume) 내의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측정기체 내에 매연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확정과 그 농도 모두가 고려된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축적(accumulation)은 현재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것은 화석연료의 가용성(availability)이 제한적이라는 사실과 관련된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서, 예를 들어 연소 과정은 그 효율이 개선되도록 열역학적으로 최적화된다.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이는 디젤 차량의 이용 증가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연소 기술의 단점은 최적화된 불꽃 점화 기관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매연 배출이다. 또한, 매연의 형성은 연소 기술적 대책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없다. 매연은 특히 다환 방향족 화합물(PAH: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의 침착으로 인한 고도의 발암물질이며, 이에 대응하여 이미 여러 규제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럽 배기가스 배출기준은 매연 배출에 대한 최대 한계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배기가스 내의 매연 함량을 측정하는 고가의 센서 기술을 상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매연 센서의 용도는, 기술적 제어 적용에 의해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량의 엔진 관리부가 현재 주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현재 배출되고 있는 매연을 측정하며, 이른바 배기가스 매연 필터에 의해 적극적인 배기가스 정화를 수행하는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용도는 배기가스로부터 매연 함량의 실질적인 부분을 정화하는 재생 가능한 필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매연 센서는 매연 필터의 기능을 감시하거나 또는 상기 매연 필터의 재생 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해 매연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매연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접근이 종래 기술에서 연구되어 왔다. 한 가지 접근법은 매연 입자에 의한 광 확산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구가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은 복잡한 측정 기구에 적합하다. 상기 측정 기구를 배기가스의 이동 센서 시스템으로서 사용하려 시도하는 경우에, 차량 내에 비용 효율적인 센서를 구현하기 위한 이 접근법은 복잡한 광학 구조로 인해 많은 비용과 관련된다. 아울러, 연소 배기가스에 의해 필수 광학창(optical window)이 오염되는 미해결 과제가 있다.
독일 공개 특허 공보 DE 199 59 871 A1호는 열적 고려(thermal consideration)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와 작동 방법을 개시한다. 센서는 예를 들어 하니콤-형상 세라믹(honeycomb-shaped ceramic)과 같은 개방된 다공형 본체(openly porous shaped body)와, 가열 부재와,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가 측정 기체용적과 접촉한다면, 매연이 상기 센서에 증착된다. 측정을 위해, 일정 기간동안 증착된 매연이 가열 부재의 도움을 받아 점화되어 연소된다. 연소 중에 발생하는 온도 상승이 측정된다. 이것은 일정 환경 조건에서는 실행 가능한 방법이지만, 극심한 변동 유동 및 배기가스 온도를 갖는 차량 배기 부분의 조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온도 상승의 측정이 극히 어려운 과제임이 증명된다.
원칙적으로, 매연을 측정하기 위한 2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는 매연을 함유한 측정 기체용적이 존재하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전기장을 기초로 하며, 상기 매연이 전리 전류(ionization current)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원리의 일 실시예가 독일 공개 특허 공보 DE 102 44 702 A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기가스 유동은 전기 절연층을 구비한 2개의 전극들을 통과하며 상기 전극들 사이에는 측정될 매연 함유 가스가 위치한다.
전극은 1 내지 10 kV 사이의 교류 전압(AC voltage)으로 가동된다. 전극 사이에는, 측정 기체 내의 매연 농도에 따라서, 유전체 저항 방전(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이 수행되며 발생한 전류가 측정된다. 차량 작동을 위해서는, 이러한 방법은 높은 전압과 복잡한 측정 기술을 요구하므로, 그 실현이 현재까지 실행 가능하지 않다. 다음으로, 변화하는 기체 배기가스 구성성분은 전리 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가스를 방해함에 따라 충분한 측정 오류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매연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 및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하고 있으며, 검출은 신속하고 재현 가능하게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8의 각 특징 조합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구성은 종속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2개의 전극에 의해 유전체 표면 전도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표면에 증착된 매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식견에 기초한다. 센서의 평탄한 실시예에 의하여, 예를 들어 매연 막이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전도성의 작은 변화가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세분된 전기 전도 입자들이 측정 전극 사이에 유입되는 경우에, 상당히 감소한 양의 매연 또는 막 두께의 경우에도 측정 가능한 전도도가 발생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측정 신호의 생성에 대한 장점은 측정 전극의 인터디지털 구조(interdigital structure)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2개의 맞물린 빗형 구조(intermeshed comblike structure)와 같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 센서가 2중 또는 다중으로 구현되면, 이는 필요한 재생 단계로 인해 어느 시기에도 측정 단계에서 하나의 센서가 존재한다.
센서, 특히 측정 전극 또는 온도 센서 또는 가열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미세 다공성인 얇은 코팅이 보호 효과에도 불구하고 측정 가스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코팅은 센서 신호의 허용 불가한 오류가 상기 코팅에 의해 형성된 전기 저항에 의해 형성되지 않게끔 그 자체가 충분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신뢰 가능한 신호 생성에 관한 센서의 구조를 위해, 고도의 전기 절연층을 일반적인 절연 기판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고도의 절연층은 배기가스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산화 촉매를 기판 표면에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산화 촉매에 적용된 층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분산(dispersion) 형태로 일반적으로 적층될 것이며, 다시 말해서 비연속적인 형태로 적용된다.
센서 상의 부재를 절약하기 위해, 저항 가열 시스템은 동시에 온도 센서로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또는 온도 센서와 함께, 보호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센서 본체의 내부에 다층 구조로 설치된다.
저항 측정을 위한 시작점으로서 영점 저항(zero resistance)의 이용에 대한 기초로서, 기판 표면을 한정된 기초 전도도를 갖는 방식으로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영점 저항과 관련하여, 센서의 전기적 기능을 자체 모니터링 장치 또는 호출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매연 센서가 가열되며, 측정 단계에서 작동 조건은 방해 신호를 유발할 수 있는 구성성분이 매연과 더불어 표면에 증착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측정이 완료된 경우에, 재생 단계가 상승된 온도에서 시작된다. 적용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온도를 갖고서 작동되는 변형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는 독립적으로 측정하고 재생하거나, 또는 센서는 측정과 재생 사이의 동적 평형 상태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는 표면의 한정된 촉매활성과 관련한 온도 수준이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산소에 의한 매연의 계속적인 연소가 진행하도록 허용하며, 매연 피복에 대한 저항의 동시 측정과 함께 동적으로 확립된다. 증가한 전기 전도도는 매연 피복에 따라 전극 사이에서 측정될 것이다. 측정 신호의 표시는 전도도에 직접적으로 기초하거나 도는 온도 측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후 전도도는 일정 값으로 조절된다. 영점 저항을 제공하는 기판 표면을 이용하여, 센서의 자체 모니터링이 바람직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 필터에 대한 구조를 도시하며,
도 2 및 도 3은 전기적 평가가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미립자 필터를 관통한 단면을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는 센서 표면상의 세분된 전도성 입자에 의하여 반응 거동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5는 기판상에 증착된 절연층에 의한 전기 절연을 개선함으로써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배치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연 센서 상의 전도도 측정을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도 1의 상반부는 인터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되어 빗형 구조를 갖는, 2개의 넓은 결합 패드 사이의 전극(3)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기판인 기판(1) 상에서, 이러한 측정 구조가 일 측면에 배치되고 가열 시스템(2)의 사행 구조가 반대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사행 구조는 도 1의 하반부에 도시되어 있다.
매연 센서는 세라믹 기본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연 함유 가스가 적어 도 세라믹 기본 본체의 표면에 도포되며, 소정의 전기 절연 물성 또는 약한 전기 전도 물성을 지닌 표면은 증착된 매연에 대하여 촉매 효과를 갖는다. 온도 센서에 의한 온도 측정부가 센서에 제공된다. 매연 함유 배기가스의 매연이 표면에 증착하는 경우에, 증착된 매연으로 야기된 전기 전도도가 전극들 사이에서 측정되므로 매연 또는 매연 막의 존재가 검출된다.
가능한 제1 작동 방법은, 센서를 예를 들어 250 - 450℃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1 항온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표면에 전기 전도도를 유발할 수도 있는 습기, 산화질소 또는 이산화황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다른 배기가스 성분이 상기 표면에 증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매연 입자의 증착이 발생할 것이며, 센서의 측정 단계는 특정한 일시적 영점에서 시작하여 전극들 사이에 소정의 전도도가 도달될 때 종료한다. 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센서의 표면상의 매연 입자의 증가한 증착이 센서의 표면에 측정 가능한 전기 전도도를 생성하는 점을 기초로 한다. 매연 입자를 수집하는 이러한 제1 단계에 있어서, 전도도가 증가할 때까지 흐르는 시간이 측정되어 매연을 구비한 측정가스의 평균 부하의 측정으로서 역할을 한다. 소정의 전도도가 전극들 사이에서 초과되는 경우에, 센서 부재는 통상적으로 500 내지 800℃ 사이에 놓이는 소정의 제2 온도로 가열된다. 이러한 온도 수준에서, 매연 입자가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산소로 연소되며, 재생 단계가 재현된다. 재생 단계 이후에, 다음 측정 단계가 개시된다. 시간 간격에 대한 통상 수치는 측정 단계의 경우에 예를 들어 30 - 300 초이며, 재생 단계의 경우에 예를 들어 10 - 40 초이다. 기간은 매연에 노출된 유형과 지속시간에 의존한다.
일 바람직한 작동 변형예는 구비될 적어도 2개의 센서 부재를 제공하며, 측정 단계에 하나 이상의 센서 부재가 항상 존재하여 연속적인 측정, 즉 중단 없는 측정이 보장된다. 제2 작동 방법은 350 내지 500℃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일정 온도에서 센서를 가동하는 것을 제공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한층 높은 온도 수준은 방해 신호의 생성을 초래할 수 있는 습기, 산화질소, 이산화황의 증착을 방지한다. 반면에, 매연 입자의 증착을 발생할 수 있다. 제1 작동 방법 동안의 제1 온도에 비해 증가한 온도로 인하여, 표면의 소정의 촉매활성과 관련하여, 배기가스에 존재하는 산소에 의한 매연의 연속적인 연소는 측정 단계 도중에도 존재할 것이며, 이로 인해 가스의 매연 침착(soot loading)에 해당하는 매연 피복이 표면에 동적으로 확립된다. 증가한 전도도는 표면의 매연 피복에 따라 2개의 전극들 사이에서 측정된다. 온도 및 촉매활성은 매연 피복이 매연 증착과 촉매 연소 사이의 동적 평형을 이루기 위해 결정적이다. 이어서, 센서의 출력 신호는 각각 증가한 전도도에 의해 표시되거나 일정한 증가된 전도도가 달성되는 방식으로 센서 부재의 온도가 조절된 후, 필요한 온도가 측정 신호를 나타낸다.
센서는, 예를 들어 더욱 자세하게 기술되지 않은 전도도를 구비한 알루미늄 산화물로 구성된 세라믹 기본 본체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측정 가스에 노출된 표면은 고도의 전기 절연층으로 바람직하게 코팅된다. 측정 전극은 상기층에 설치된다. 이에 의하여, 전극의 매우 우수한 전기 절연이 달성되며 매연 피복의 결과에 의한 매우 작은 전기 전도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절연층을 위해 제공된 재료는 매우 우수한 전기 절연을 초래하는, 예를 들어 고순도 Al2O3 또는 AlN이고 10 - 100 ㎛의 일반적인 층 두께를 갖는 세라믹층을 포함한다. SiO2 또는 Si3N4으로 구성된 고도의 절연층은 스퍼터링 또는 화학기상증착(CVD)과 같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도 있다.
센서 또는 그 부분적인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배기가스에 대해 안정적인 층을 적용할 수 있다. 한정된 기본 전도도를 갖는 센서의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한정된 영점 저항은 매연 증착 없이 센서 부재에 대해 측정된다. 이는 한정되지 않은 높은 저항이 센서 작동 중에 검출하기 어려우므로 도량형학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 방법의 범위에 적용되며, 매연 증착 없이 영점 저항의 존재는 센서의 전기적 기능성을 나타낸다. 이는 자체 모니터링을 허용한다. 배기가스에 대해 안정적인 반도체층에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어 Ga2O3, CeO2 또는 HfO2와 같은 금속산화물이다.
제1 작동 방법 변형예에서의 재생을 지원하거나 또는 제2 작동 방법 변형예에서의 매연의 촉매연소를 지원하기 위해서, 센서의 표면은 상기 표면에 증착된 매연의 산화를 위한 촉매작용이 휘발성 가스 성분을 형성하는 목적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는 산화 촉매를 분산 형태로 층의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완수된다. 분산은 일반적인 전도성 촉매 재료가 전극들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전도도를 발생하지 않기 위해 비연속적인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바람직하지 않은 전도도는 측정 신호를 오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촉매를 위한 재료로는, 예를 들어 Pt, Rh, Pa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플래티넘 금속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Fe2O3, CeO2, MnO2, Cr2O3 또는 HfO2와 같은 제2족 금속의 촉매활성 산화물을 이용할 수 있다.
측정 전극들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은 세분된 전기 입자들을 적용함으로써, 측정 가능한 전도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매연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가열 부재는, 예를 들어 플래티넘 또는 플래티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금속 전도체 트랙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열 저항은 센서 부재의 온도의 함수이며 상기 온도는 가열 부재의 현재 저항을 평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열 부재는 온도 센서로서 역할을 한다. 온도의 정밀한 식별은 센서의 기능을 위해 필요하다. 가열 시스템 및/또는 온도 센서를 환경 영향에 의한 에이징(ageing)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환경은 최대한 그 주변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예를 들어 유리,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된 피복층을 도포하거나, 또는 부재들이 예를 들어 이들 성분을 다층 구조에 내장한 것을 기초로 하는 캐리어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완성된다.
측정 전극(3)들은, 예를 들어 Pt, Rh, 플래티넘 금속의 합금, 크롬 및 니켈 합금과 같이 배기가스에 대해 안정적인 금속, 또는 예를 들어 티타늄 질화물/TiN, 붕소 질화물/BN, 실리콘 카바이드/SiC, 붕소 카바이드/B4C 또는 텅스텐 규화물/WSi2과 같이 배기가스에 대해 안정적인 전기 전도성 화합물, 또는 플래티넘 규화 물(PtSi)을 포함한다. 측정 전극은 배기가스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얇은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매우 얇거나 미세하게 다공성이어서 상기 코팅이 전기 절연에 대한 전기 절연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다. 하지만, 침식성 배기가스 성분에 의한 전극 재료의 화학적 공격이 감소된다. 층에 대한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어 갈륨 산화물 혹은 세륨 산화물과 같이 상승한 온도에서 배기가스에 대해 안정적이나 반도체 성질을 지닌 금속이거나, 또는 매우 얇은 층이 실리콘 산화물 혹은 알루미늄 이산화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배기가스의 매연 함량을 결정하기 위한 대응 작동 방법을 구비한 소형의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조물은, 예를 들어 배기가스와 같이 공격 및 침식성의 환경 조건에 대햐여 필요한 내구성과 내구강도를 부여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센서는 배기가스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적합하며 어떤 형태의 유지보수 또는 소모적인 교체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주기적인 실시예를 구비한 제1 작동 변형예에 따른 계량 방법 덕분에, 배기가스 기준 유로 5(EURO 5)의 사항을 직접 따른다. 100 km 이동시의 매연 배출이 이에 한정된다.
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 1과 관련하여 도시되며, 이는 도 2 및 도 3에도 적용된다. 측정 전극은 센서의 상부측에 도시되어 있다. 측정 단계에 있어서,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매연 입자는 표면에 증착되며 연속적인 전류 경로의 형성 이후에 전극들 사이의 측정 가능한 전도도를 유발한다. 재생 단계에 있어서, 증착된 매연 입자는 이산화탄소 또는 수증기와 같은 휘발성 기체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 산 화된다. 도 2는 센서가 측정 단계에 있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센서는 재생 단계에 있다.
전술한 변형예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고 잇는 소정의 수의 매연 입자들의 증착은 측정 가능한 신호를 얻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수는 접촉이 외면적으로 이루어진 측정 전극들 사이에 세분된 전도성 입자를 도포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연 입자에 의해 브리지되는 경로의 전체 길이를 일부로 줄여준다. 따라서, 센서의 반응에 필요한 질량 피복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작은 입자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작은 입자의 상당한 건강 위협 잠재위험으로 인해 작은 입자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어 플래티넘과 같이 상기 전도성 입자에 대한 적합한 센서 재료를 결정할 경우에, 표면의 촉매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재생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재생 기간 및/또는 재생 온도를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 절연층을 도포함으로써 절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측정 전극은 절연층을 가압하거나 또는 상기 절연층 내로 도입되므로, 얇은 막의 매연의 가능한 최적 측정을 위한 평탄한 표면 구조를 발생한다. 따라서, 도 5의 우측 반부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의 수직 모서리에서 매연에 의한 전도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따라 구성된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측정의 제1분 중에, 350℃로의 가열 단계 중에 탈착이 일어나므로 센서의 저항이 증가한다. 약 3분이 지난 이후에는, 재생 단계가 800℃에서 수행된다. 여기서, 저항은 기 판의 고유 전도도에 의해 감소된다. 센서가 350℃의 그 작동 온도로 다시 도달한 이후에, 4.3분이 지난 이후 센서는 개방된 디젤 화염의 매연에 노출된다. 점화 이후 몇 초 동안, 센서 저항이 수십 단계로 가파르게 감소하며, 상기 센서 저항은 매연이 여전히 형성되는 동안에 안정된 수치에 도달한다. 9.5분 이상 동안 800℃에서의 재생의 결과로서, 활성 센서 영역에 배치된 매연이 연소되어 주로 이산화탄소인 휘발성 기체 성분을 형성하므로, 저항이 그 원래 수치를 다시 갖는다.
본 발명은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매연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 측정 기체에 노출되는 전기적 비전도성 표면을 구비하는 세라믹 기판(1)과;
    - 기판 표면상에 형성되며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3)을 구비하는 전극 구조체와;
    - 기판에 설치되며 250 - 450℃의 작동 온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가열 시스템(2)과;
    - 센서에 제공되는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매연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 존재하는 매연 증착물은 전극(3)들 사이의 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측정가능한 전도도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매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극들 사이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지 않은 세분된 전기 전도성 입자들이 기판 표면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판 표면은 매연의 연소를 위해 촉매 특성을 갖고, 촉매를 위한 재료는 Pt, Rh, Pa 또는 이들의 합금을 비롯한 플래티넘 금속과 Fe2O3, CeO2, MnO2, Cr2O3 또는 HfO2를 비롯한 제2족 금속의 촉매 활성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극들은 인터디지털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시 사용을 위해, 센서는 동일한 유형의 하나 이상의 제2 센서를 구비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극들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얇은 또는 세밀한 다공성 코팅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라믹 기판은 우수한 전기 절연 효과를 갖는 그리고 동시에 배기 가스에 대해 안정적인 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산물 형태의 산화 촉매가 기판상에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기판상에 도포된 고도의 전기 절연층 상에 도포되므로, 연속적인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열 시스템은 동시에 온도 센서로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 장착의 경우에, 가열 시스템 및/또는 온도 센서는 보호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센서 본체의 내부에 다층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판 표면 또는 상기 기판 표면상에 도포된 층은 영점 저항을 규정하기 위해 소정의 기본 전도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연 검출 센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매연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 매연이 기판 표면상에 증착될 수 있는 반면에 매연 측정을 방해하는 추가적인 증착이 방지되게끔 측정 단계용 센서에서의 제1 작동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 측정의 시작과 전극들 간의 증가한 전도도의 발생 사이의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와;
    - 증착된 매연이 측정 가스에 존재하는 산소로 연소되도록 재생 단계용 센서에서의 제2 작동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정반대의 교번 작용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센서가 측정 단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온도는 250 내지 45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2 작동 온도는 500 내지 800℃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습기, 산화질소 또는 이산화황의 기판 표면상의 증착은 제1 작동 온도의 선택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측정 단계의 지속시간은 30 내지 300초 범위 내에 있으며, 재생 단계의 지속시간은 10 내지 40초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매연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 매연이 기판 표면상에 증착하고 증가한 전도도를 형성하며 상기 기판 표면의 소정의 촉매 활성이 매연 성분의 연속적인 연소를 야기하도록, 측정과 재생 사이의 동적 평형을 설정하기 위해 센서에 일정한 작동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 존재하는 전도도에 기초하여 측정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센서 작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일정한 작동 온도는 350 내지 500℃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전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온도 변화에 기초하는 측정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기판 표면은 규정된 영점 저항을 제공하며, 상기 영점 저항에 기초하여 자체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의 전기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작동 방법.
KR1020087002153A 2005-06-28 2006-06-27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 KR101279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0134.7 2005-06-28
DE102005030134A DE102005030134A1 (de) 2005-06-28 2005-06-28 Sensor und Betriebsverfahren zur Detektion von Ruß
PCT/EP2006/063570 WO2007000446A1 (de) 2005-06-28 2006-06-27 SENSOR UND BETRIEBSVERFAHREN ZUR DETEKTION VON RU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033A KR20080031033A (ko) 2008-04-07
KR101279746B1 true KR101279746B1 (ko) 2013-06-27

Family

ID=3694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153A KR101279746B1 (ko) 2005-06-28 2006-06-27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33159B2 (ko)
EP (1) EP1896838B1 (ko)
JP (1) JP4773517B2 (ko)
KR (1) KR101279746B1 (ko)
CN (1) CN101208597B (ko)
DE (1) DE102005030134A1 (ko)
WO (1) WO2007000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2106A1 (de) * 2006-07-11 2008-01-17 Siemens Ag Rußsensor und Betriebsverfahren
KR100765632B1 (ko) * 2006-08-07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매연여과장치의 매연 포집량 측정장치
DE102006040351A1 (de) * 2006-08-29 2008-03-06 Robert Bosch Gmbh Sensor zur resistiven Bestimmung von Konzentrationen leitfähiger Partikel in Gasgemischen
DE102006042605B4 (de) 2006-09-11 2020-01-16 Robert Bosch Gmbh Sensorelement für Gassensoren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DE102007013522A1 (de) * 2007-03-21 2008-09-25 Robert Bosch Gmbh Sensorelement eines Gassensors
DE102007021912A1 (de) 2007-05-10 2008-11-13 Robert Bosch Gmbh Sensor und Verfahren zur Detektion von Teilchen in einem Gasstrom
DE102007047081A1 (de) * 2007-10-01 2009-04-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etektion eines Vergiftungsgrads eines Partikelsensors und Partikelsensor
JP2009144577A (ja) * 2007-12-13 2009-07-02 Mitsubishi Motors Corp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故障判定装置
US20110197571A1 (en) * 2008-02-27 2011-08-18 Volvo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particles
US8176768B2 (en) * 2008-07-04 2012-05-15 Ngk Insulators, Ltd. Particulate matter detection device
JP4742133B2 (ja) 2008-12-24 2011-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粒子状物質検出装置および粒子状物質検出方法
DE102009000318A1 (de) * 2009-01-20 2010-07-22 Robert Bosch Gmbh Teilchensensor
DE102009000319A1 (de) * 2009-01-20 2010-07-22 Robert Bosch Gmbh Teilchensensor
DE102009007126A1 (de) * 2009-02-02 2010-08-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Rußbeladung in Abgassystemen von Dieselmotoren
DE102009023200A1 (de) 2009-05-29 2010-12-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ußsensors und Rußsensor betrieben nach diesem Verfahren
JP2011080781A (ja) * 2009-10-05 2011-04-21 Nippon Soken Inc パティキュレート検出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パティキュレート検出センサ
DE102009049669A1 (de) * 2009-10-16 2011-04-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Zustandsbewertung eines Rußsensor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9051507A1 (de) * 2009-10-30 2011-05-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ßsensor
EP2320219B1 (en) * 2009-11-09 2015-03-11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tics o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US8249827B2 (en) 2009-11-09 2012-08-21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eater signature detection diagnostics o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US8230716B2 (en) 2009-11-09 2012-07-31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tics o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DE102009058260A1 (de) * 2009-12-14 2011-06-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ßsensor
JP5163663B2 (ja) * 2010-01-29 2013-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微粒子検知用センサ及び微粒子検知装置
DE102010011639A1 (de) 2010-03-16 2011-09-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ßsensor, Herstellungsverfahren eines Rußsensors sowie Betriebsverfahren eines Rußsensors
JP2012007958A (ja) * 2010-06-23 2012-01-12 Shoei Denshi Kogyo Kk 蓄積物検出装置
DE102010044308A1 (de) * 2010-09-03 2012-03-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nsorelement für einen Partikelsensor
DE102010048748A1 (de) * 2010-10-16 2012-04-19 Man Truck & B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Russkonzentration im Motoröl von Brennkraftmaschinen
DE102010049010A1 (de) * 2010-10-21 2012-04-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artikelsensorvorrichtung
US8928338B2 (en) 2010-11-17 2015-01-06 Delphi Technologies, Inc. Self diagnostics o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DE102010054669A1 (de) 2010-12-15 2012-06-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ensorvorrichtung
DE102010054671A1 (de) * 2010-12-15 2012-06-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ußsensors
DE102010055478A1 (de) 2010-12-22 2012-06-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ußsensors
JP5240679B2 (ja) * 2011-01-20 2013-07-17 株式会社デンソー 検出装置
US8839610B2 (en) * 2011-02-01 2014-09-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2104994A1 (ja) * 2011-02-01 201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2492481A1 (en) 2011-02-22 2012-08-29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Soot sensor functional capability monitoring
WO2012124054A1 (ja) * 2011-03-15 2012-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DE112011106087B3 (de) 2011-03-15 2022-02-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uervorrichtung für Maschine mit interner Verbrennung
US8677803B2 (en) 2011-06-27 2014-03-25 Delphi Technologies, Inc. Particulate matter detection method for a particulate matter sensor
US20130000280A1 (en) * 2011-06-30 2013-01-03 Caterpillar, Inc. Gas monitoring method implementing soot concentration detection
DE102011052305A1 (de) * 2011-07-29 2013-01-31 Pierburg Gmbh Verbrennungsmotorabgas-Massenstromsensor mit einem Heißfilm-Anemometer
US10240984B2 (en) 2012-03-28 2019-03-26 Delphi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 for a heated sensor
US8823401B2 (en) 2012-03-30 2014-09-02 Delphi Technologies, Inc. Particulate matter sensor with two pairs of sensing electrodes and methods of using same
DE102012210525A1 (de) * 2012-06-21 2013-12-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Funktionskontrolle eines Sensors zur Detektion von Teilchen und Sensor zur Detektion von Teilchen
JP6042643B2 (ja) * 2012-06-21 2016-12-1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から排出される排ガス中のパティキュレート量の検出方法及びその検出装置
KR20140002398A (ko) * 2012-06-29 2014-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수트센싱시스템
JP5898003B2 (ja) * 2012-06-29 2016-04-06 京セラ株式会社 センサ素子
FR2995689B1 (fr) * 2012-09-20 2015-07-03 Electricfil Automotive Sonde de mesure de depot de suie dans l'echappeme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12217428A1 (de) * 2012-09-26 2014-03-27 Robert Bosch Gmbh Sensor zur Detektion von Teilchen
JP2014118968A (ja) * 2012-12-17 2014-06-30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粒子状物質センサーユニット
CN103867270A (zh) * 2012-12-17 2014-06-18 福特汽车萨纳伊股份有限公司 排气系统
US9151205B2 (en) 2013-02-15 2015-10-06 Indiana University Research & Technology Corporation Real-time soot measurement in a diesel particulate filter
DE102013005572A1 (de) * 2013-03-30 2014-10-02 Daimler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Abscheidefähigkeit eines Partikelfilters im Abgasstrang eines direkteinspritzenden Ottomotors und Motorsteuergerät
DE102013206092A1 (de) * 2013-04-05 2014-10-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Auswertung der Messwerte eines Rußsensors
DE102013212735B4 (de) * 2013-06-28 2021-07-22 Robert Bosch Gmbh Sensorbauteil für einen Gas- und/oder Flüssigkeitssensor,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Sensorbauteil für einen Gas- und/oder Flüssigkeitssensor und Verfahren zum Detektieren mindestens eines Stoffs in einem gasförmigen und/oder flüssigen Medium
KR101500373B1 (ko) * 2013-07-18 2015-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입자상 물질 센서유닛
DE102013214581A1 (de) 2013-07-25 2015-01-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ßsensorelement
JP6336072B2 (ja) * 2013-08-14 2018-06-06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粒子センサ、及び、粒子センサの製造方法
DE102013220813A1 (de) 2013-10-15 2015-04-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ßsensor
DE102013220890A1 (de) 2013-10-15 2015-04-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Rußsensor
JP6207350B2 (ja) * 2013-11-12 2017-10-0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粒子センサの温度制御装置
JP6317567B2 (ja) * 2013-11-12 2018-04-25 日野自動車株式会社 粒子センサ
DE102013223630A1 (de) * 2013-11-20 2015-05-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Partikelsensors
JP6255244B2 (ja) * 2014-01-08 2017-12-27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微粒子センサ
JP6358851B2 (ja) * 2014-05-23 2018-07-18 株式会社Soken 粒子状物質検出装置及び粒子状物質検出方法
JP6329820B2 (ja) * 2014-06-16 2018-05-23 株式会社Soken 粒子状物質検出センサ
DE102014211533A1 (de) * 2014-06-17 2015-12-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Partikelsensors
KR101664552B1 (ko) * 2014-08-11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자 검출장치
EP3187863B1 (en) * 2014-08-29 2019-08-07 Kyocera Corporation Sensor substrate, sensor substrate with lead, and sensor device
JP2016085132A (ja) * 2014-10-27 2016-05-19 京セラ株式会社 センサ基板およびセンサ装置
JP6441161B2 (ja) * 2015-04-28 2018-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粒子状物質検出センサ
KR101652981B1 (ko) 2015-05-06 2016-09-06 주식회사 코멧네트워크 입자상 물질 센서
CN104931661B (zh) * 2015-06-30 2016-08-24 武汉科技大学 一种梯段测量并检验碳烟浓度的方法
DE112016003015T5 (de) * 2015-06-30 2018-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und verwenden derselben
US10174371B2 (en) 2015-08-05 2019-01-08 Genia Technologies, Inc. Use of titanium nitride as an electrode in non-faradaic electrochemical cell
DE102015220395A1 (de) * 2015-10-20 2017-04-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ußpartikelsensor
JP6368855B2 (ja) * 2015-11-25 2018-08-01 京セラ株式会社 センサ基板およびセンサ装置
US10539493B2 (en) * 2016-07-25 2020-01-21 Denso Corporation Particulate matter detection sensor and particulate matter detection apparatus
US10408112B2 (en) * 2016-08-16 2019-09-1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Emissions control substrate
US11793422B2 (en) 2017-09-01 2023-10-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nsing system for respirator
US11534632B2 (en) 2017-09-01 2022-1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t-test method for respirator with sensing system
WO2019046696A1 (en) 2017-09-0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NSOR AND DETECTION SYSTEM FOR RESPIRATOR ADJUSTMENT TESTING METHOD
BR112020004233A2 (pt) 2017-09-01 2020-09-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mento de detecção para respirador
DE102018205595A1 (de) * 2017-12-06 2019-06-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ensors zur Detektion von Teilchen in einem Messg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6499A1 (en) 2002-04-17 2003-10-23 Bosch Russell H. Particulate sens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6499A (en) 1962-05-21 1965-07-27 Dow Chemical Co Sandwich panel fasteners
DE2836002C2 (de) * 1978-08-17 1986-09-1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ensor zur Überwachung der Rußfreiheit von Abgasen
DE2913866A1 (de) * 1979-04-06 1980-10-23 Bosch Gmbh Robert Messfuehler fuer die bestimmung von bestandteilen in stroemenden gasen
US4656832A (en) * 1982-09-30 1987-04-14 Nippondenso Co., Ltd. Detector for particulate density and filter with detector for particulate density
JPS59197847A (ja) 1983-04-25 1984-11-09 Ngk Spark Plug Co Ltd スモーク濃度センサ
JPS601546A (ja) * 1983-06-17 1985-01-07 Ngk Spark Plug Co Ltd スモーク濃度センサ
JPS60189844A (ja) * 1984-03-09 1985-09-27 Hitachi Denshi Ltd 撮像管
JPS60189844U (ja) * 1984-05-26 1985-1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中のパテイキユレ−ト堆積量検知センサ
JPS6218655A (ja) * 1985-07-17 1987-01-27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トロ−ルパルス記録回路
JPS6218655U (ko) * 1985-07-18 1987-02-04
US5008628A (en) * 1989-06-05 1991-04-16 Wahlco, Inc. Measurement of electrical resistivity of particulate entrained in a gas stream
DE3935149A1 (de) 1989-10-21 1991-05-0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messanordnung zur bestimmung des russgehaltes in abgasen
US6483079B2 (en) * 1996-04-10 2002-11-19 Denso Corporation Glow plu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on current detector
US5811970A (en) * 1996-05-10 1998-09-22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test for microstructure anomalies such as alpha-case, and for carbide precipitates and untempered and overtempered martensite
JP3726447B2 (ja) * 1997-09-22 2005-12-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センサ
DE19959870A1 (de) 1999-12-10 2001-06-21 Heraeus Electro Nite Int Meß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Rußfilters
DE19959871A1 (de) 1999-12-10 2001-06-28 Heraeus Electro Nite Int Sensor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Ruß-Konzentrationen
DE10244702A1 (de) 2001-10-09 2003-05-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Detektion von Teilchen in einem Gasstrom und Sensor hierzu
US7138090B2 (en) * 2003-04-11 2006-11-21 Therm-O-Disc, Incorporated Vapor sensor and materials therefor
AT501386B1 (de) * 2003-08-11 2008-10-15 Univ Graz Tech Russsensor
DE10353860B4 (de) * 2003-11-18 2023-03-30 Robert Bosch Gmbh Sensor zum Erfassen von Partikeln in einem Gasstrom,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4028701B3 (de) * 2004-06-14 2005-11-24 Siemens Ag Gassensor zur Bestimmung von Ammoniak
DE102004029524B4 (de) * 2004-06-18 2007-12-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finierten Regeneration von rußbehafteten Oberflächen
US7541004B2 (en) * 2004-11-12 2009-06-02 Predict, Inc. MEMS-based sensor for lubricant analysis
JP2008190502A (ja) * 2007-02-07 2008-08-21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pm排出量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6499A1 (en) 2002-04-17 2003-10-23 Bosch Russell H. Particulate sens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8597A (zh) 2008-06-25
JP2008547032A (ja) 2008-12-25
EP1896838B1 (de) 2018-01-10
CN101208597B (zh) 2011-12-14
EP1896838A1 (de) 2008-03-12
US8033159B2 (en) 2011-10-11
JP4773517B2 (ja) 2011-09-14
DE102005030134A1 (de) 2007-01-04
KR20080031033A (ko) 2008-04-07
US20090126458A1 (en) 2009-05-21
WO2007000446A1 (de)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746B1 (ko) 매연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작동 방법
US7886578B2 (en) Sensor element for particle sen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ensor element
US8490465B2 (en) Method for the on-board functional diagnosis of a soot sensor in a motor vehicle and/or for the detection of further constituents in the soot
CN108343496B (zh) 催化器劣化诊断方法和催化器劣化诊断系统
US10605763B2 (en) Method of reducing output degradation of gas sensor
US8653838B2 (en) Soot sensor
US7770432B2 (en) Sensor element for particle sen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6634210B1 (en) Particulate sensor system
US6432168B2 (en) Measur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soot filter
JP6563839B2 (ja) 触媒劣化診断方法および触媒劣化診断システム
US6550310B1 (en) Catalytic adsorption and oxidation based carbon monoxide sensor and detection method
JP2006266961A (ja) 煤検出センサ
US20110015824A1 (en) Method for the on-board functional diagnosis of a soot sensor in a motor vehicle and/or for the detection of further constituents in the soot
US20160161371A1 (en) Catalyst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WO2007114267A1 (ja) 接触燃焼式ガスセンサとその検知素子および補償素子
JPH04248453A (ja) 半導体型炭化水素センサ
JP2017180119A (ja) 触媒劣化診断方法および触媒劣化診断システム
JP3171854B2 (ja) ガスセンサ
KR20190141995A (ko) 배기가스 pm 센서
US20080011053A1 (en) Soot sensor and operating method
US8800350B2 (en) Particle sensor
US6602471B1 (en) Adsorption amount sensor and coking sens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10038552A (ko) 가스 검지 장치
Fleischer et al. Soot sensor for exhaust gases
TWI798261B (zh) 氣體偵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