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402B1 -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402B1
KR101274402B1 KR1020087022186A KR20087022186A KR101274402B1 KR 101274402 B1 KR101274402 B1 KR 101274402B1 KR 1020087022186 A KR1020087022186 A KR 1020087022186A KR 20087022186 A KR20087022186 A KR 20087022186A KR 101274402 B1 KR101274402 B1 KR 10127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nozzle
nozzle head
clea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183A (ko
Inventor
겐지 하시두메
히데키 다카다
미치노리 야나노세
노부타케 사쿠모토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34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117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438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14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074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3992B2/ja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는, 토수구를 갖는 노즐 헤드; 상기 노즐 헤드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실린더; 이 제1 실린더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실린더;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이 상기 노즐 헤드에 접속된 플렉시블 랙과,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플렉시블 랙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중 적어도 하나가 진출 또는 후퇴된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에서, 다단식의 세정 노즐을 정확히 진출/후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IVCE}
본 발명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양식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bottom)" 등을 세정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이 시트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는, 그 내부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을 진퇴 가능하게 수납하므로, 서양식 좌변기의 상면 후측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형태의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청소능력(clean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그 소형화가 검토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깊이 치수를 작게 할수록, 서양식 좌변기의 보울(bowl)을 덮는 부분을 줄일 수 있고, 보울을 덮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이면을 세정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높이를 작게 할수록, 오물이 부착되는 면적을 저감시켜, 역시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치수를 작게 해야 한다. 수납 상태의 세정 노즐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서, 다단식의 구조가 바람직하다. 다단식의 세정 노즐의 신축 기구로서는, 예컨대 수압과 와이어를 이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한편, 세정 노즐의 신축 기구로서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의 둘레에 판스프링을 권취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판스프링을 진퇴시켜 노즐을 신축시키는 구조도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1-3226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소59-10203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노즐을 액밀 상태로 되게 해야 한다. 또한 방출 수압과 노즐의 신축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다단식의 세정 노즐에서 특히 심각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에 의해 신축되는 구조의 경우에, 스트로크가 길어지면, 판스프링을 권취하는 드럼을 크게 해야 한다. 또한, 판스프링에 "휘어짐(flexure)"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에 의해 세정 노즐의 진출 거리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단식의 세정 노즐을 정확히 진퇴시킬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이 시트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토수구(吐水口)를 갖는 노즐 헤드; 이 노즐 헤드 중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있는 제1 실린더; 이 제1 실린더 중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제2 실린더; 노즐 헤드와 제1 및 제2 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진출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이 구동 수단은 일단이 노즐 헤드에 접속된 플렉시블 랙(flexible rack);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을 플렉시블 랙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달 기구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노즐 헤드와, 제1 및 제2 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좌변기와, 전술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 설치된 세정 노즐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상기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노즐 세정실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노즐 세정실(500)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모두 도 3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 대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에 따른 세정 노즐부의 구동부(600)의 구조를 예시하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결합 해제부(630)와 플렉시블 랙(610) 사이의 배치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도로서, 도 6a는 상측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예에서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세정 노즐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결합 기구(330)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로서, 도 9a는 그 노즐 선단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1 실린더(200)의 이동에 수반하는 결합 상태의 변화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2 실린더(300)의 이동에 수반하는 결합 기구(330)의 상태 변화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세정 노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제2 변형예의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제2 변형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수납 상태에서의 세정 노즐의 단면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 부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세정 노즐의 기단부 부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예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세정 노즐의 약간 선단측에서 슬라이더(210, 310, 410)를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수납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배치 관계(layout)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신장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8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리모컨(remote controller)의 조작 패 널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9는 리모컨(950)의 덮개 내부의 설정 조작 패널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0a 내지 도 30d는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1a 내지 도 31d는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2a 및 도 32b는 상기 예의 노즐 헤드(100)의 내부 구조의 2개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4는 상기 예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변기 시트(810)와 변기 덮개(82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5는 제2 예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6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투시도이다.
도 37a 내지 도 37d는 본 변형예의 세정 노즐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8은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조립도이다.
도 39는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조립도이다.
도 40은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1은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2는 노즐 헤드(100)의 후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3a 및 도 43b는 제1 실린더(200)의 스토퍼(220)를 2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4a 및 도 44b는 제2 실린더(300)의 스토퍼(320)를 2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5는 노즐 세정실(500)을 전방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6a 및 도 46b는 노즐 세정실(500)을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개략도이다.
도 47a 및 도 47b는 지지체(550)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9는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0은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1은 상기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노즐 헤드
120: 스토퍼
121: 확장부
121S: 외주 벽
122: 돌출부
124: 오목부
150, 150A∼150C: 토수구
152, 154, 156: 통수 경로
160: 전환 기구
162: 스테이터
164: 로터
166: 통수구
170: 모터
172: 출력축
174: 칸막이판
176: 패킹
180, 180A, 180B, 180C: 급수 튜브
182: 통수로
184: 분배실
186, 186A, 186B, 186C: 급수단
190: 전선 하네스
200, 300, 400: 실린더
210, 310, 410: 슬라이더
210S: 내주벽
212, 312: 오목부
220, 320: 스토퍼
222, 322: 돌출부
224: 오목부
225, 225A, 225B, 225C, 225D: 관통 구멍
230, 330: 결합 기구
240, 340: 코일 스프링
250, 350: 래치
300S: 노치
304: 결합 스레드(engaging thread)
325: 관통 구멍
326: 오목부
331: 프레임, 332, 334: 관통 구멍
500: 노즐 세정실
510: 통수구
520, 522, 526: 토수구
530: 관통 구멍
550: 지지체
600: 구동부
610: 플렉시블 랙
612: 가이드부
620: 구동 유닛
622: 모터
624: 기어
630: 결합 해제부
700: 베이스
710: 레일
720: 방지벽
800: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
800P: 연장부
805: 전면(前面)
810: 변기 시트
820: 변기 덮개
825: 차단판
830: 착좌 센서
850: 탈취 장치
860: 수로 시스템
862: 밸브 유닛
863: 열 교환 유닛
864: 유량 조절 유닛
870: 온풍 건조 장치
880: 제어 기판
900: 수세 좌변기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 설치된 세정 노즐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상기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며, 도 2a 내지 도 2d는 세정 노즐을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이 세정 노즐은 3단식이고, 노즐 헤드(100)와,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와, 제3 실린더(400)를 구비한다. 이 예는 3단 세정 노즐, 즉 3개의 가동부를 갖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의 가동부를 갖는 다단 세정 노즐도 포함한다.
노즐 헤드(100)의 선단에는, 하나 이상의 토수구(150)가 마련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도시 생략)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이라는 표현은, 냉수뿐만 아니라, 온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노즐 헤드(100)는 제1 실린더(2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제1 실린더(200) 안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린더(200)는 제2 실린더(3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제2 실린더(300) 안에 수 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린더(300)는 제3 실린더(4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제3 실린더(400) 안에 수납될 수 있다. 제3 실린더(400)는 노즐 베이스(70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3 실린더(400)는 반드시 완전한 통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제2 실린더(3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 된다. 이들 요소의 슬라이딩 동작은, 예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600)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부는 노즐 세정실(500)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 세정실(500)은 노즐 베이스(70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내부에 설치된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함으로써,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세정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수납된 상태에서, 노즐 헤드(100)의 선단부는 제1 실린더(200)로부터 돌출하고, 노즐 세정실(500) 내에 거의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은 노즐 세정실(500)을 관통하여 진출/후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은, 외측의 실린더로부터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로부터, 우선 제2 실린더(300)가 노즐 헤드(100) 및 제1 실린더(200)와 연동하여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후퇴하고,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린더(400) 안에 수납된다. 다음에, 제1 실린더(200)가 노즐 헤드(100)와 연동하여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후퇴하고,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 안에 수납된다. 마지막으로, 노즐 헤드(100)가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 하면서 후퇴하고,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 안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에 있어서, 세정 노즐은 외측 가동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한다. 이에 따라, 노즐의 가동부의 외주면은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 또는 이에 유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등에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세정 동작에 의해 오물 등을 제거하여 "엉덩이" 등을 청결히 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 중에, 오물 등이 세정 노즐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을 후퇴시킬 때에, 노즐 세정실(500)에서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세정하는 "노즐 본체 세정(nozzle body cleaning)"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를 이 순서대로 노즐 세정실(500)에서 세정하면서 통과시킬 수 있다. 즉, 신장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이들 가동부의 외주면은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정 노즐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위생적으로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을 청소하는 시간을 줄이고, 또한 임의의 부착된 오물에 기인한 세정 노즐의 오작동,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노즐 세정실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세정 노즐이 수납된 상태에서의 노즐 세정실(500) 및 그 근방의 종단면도이 고, 도 3b는 도 3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B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본 예의 노즐 세정실(500)은, 바닥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노즐 세정실(500)에는 통수로(510)가 접속되어 있어, 세정수(W)가 통수구(520)로부터 노즐 세정실(500) 안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노즐 세정실(500)의 후방 및 전방 측면에는, 바닥이 개구된 관통 구멍(530, 540)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도 2를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은 이들 관통 구멍(530, 540)을 통해 순차적으로 후퇴하고, 이때에 통수구(520)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W)에 의해 그 외주면이 얼룩 없이 세정된다. 세정 노즐을 세정한 세정수(W)는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변기의 보울부(bowl portion; 도시 생략)에 배출된다.
본 예에 있어서, 도 2d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에서, 제2 실린더(300)의 선단은 후방의 관통 구멍(530)을 관통하여 거의 막은 상태로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진출/후퇴 상태, 또는 신장 상태에서도, 관통 구멍(530)은 제2 실린더(300)에 의해 항상 막힌 상태로 있다. 여기서, 관통 구멍(530)과 제2 실린더(300) 사이의 간극은, 부품의 가공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 또는 덜컹거리는 동작에 대한 마진(margin)을 고려하여 충분히 좁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즐 세정실(500) 중에서 "노즐 본체 세정"을 실시할 때에, 토수구(520)로부터 분사된 세정수(W)가 관통 구멍(530)을 통해 베이스(700)의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본체는 전기 부품 및 기타 다양한 부품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세정수(W)의 비산을 최소로 억제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예에서는, 노즐 세정실(500)의 후방의 관통 구멍(530)은 제2 실린더(300)에 의해 항상 거의 막혀 있다. 이에 의해, 세정수(W)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본체 내로 비산하는 것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 높게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토수구(520)로부터 전방을 향해 세정수(W)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후방의 관통 구멍(530)을 향한 물살을 억제하고, 세정수(W)가 관통 구멍(530)을 통하여 장치 본체로 비산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노즐 세정실(500)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이들 양자는 도 3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에 대응한다.
도 4a에 나타낸 변형예에 있어서는, 2개의 토수구(522, 52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정수(W)를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세정 노즐에 분사하여 "노즐 본체 세정"을 실시하여, 오물을 보다 얼룩 없이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예에서는, 세정 노즐의 외주를 향해 편평한 형상으로 확장되는 토수구(526)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된 토수구(526)로부터 세정수(W)를 분사시켜 "노즐 동체 세정"을 실시함으로써, 세정 노즐의 넓은 영역을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들 예 및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 예를 조합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수구의 수, 형상 및 레이아웃을 더 변형시킨 것도 포함한다. 또한, 노즐 세정실(500)의 형상으로는, 예컨대 하부 전체가 개방된 형상 이외에, 하부의 일부만이 개방된 형상과, 하부가 개방되지 않은 형상도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세정실(500)의 후방의 관통 구멍이 하부에서 개방된 예에서는, 이 관통 구멍의 하부와 제2 실린더(300) 사이의 간극을 베이스(700)에 의해 막아 세정수(W)가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제, 예를 참조로 하여, 본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 설치되는 세정 노즐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의 세정 노즐부의 구동부(600)의 구조를 예시하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플렉시블 랙(610)을 이용하여 세정 노즐을 진출/후퇴시킨다. 플렉시블 랙(610)은, 유연성을 갖는 수지 또는 기타 재료로 형성되고, 적어도 그 일측면에, 기어와 결합하는 요철이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랙(610)의 내부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와이어를 매립함으로써, 길이 방향의 압축에 따른 버클링(buckling)을 억제할 수 있고, 인장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보강 와이어는 금속제 와이어 복수 개를 합쳐서 꼰 케이블일 수 있다.
플렉시블 랙(610)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80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베이스(700)에 설치된 가이드부(612)를 따라 지지되며, 그 선단은 노즐 헤드(100)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700)에는 구동 유닛(620)이 설치되 고, 이 구동 유닛은 모터(622)의 구동 출력을 적절하게 감속시켜 기어(624)에 출력할 수 있다. 기어(624)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랙(610)은 기어(624)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방향의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노즐 헤드(100)를 이동시킨다.
또한, 세정 노즐의 근원 부근에는, 결합 해제부(6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결합 해제부(630)와 플렉시블 랙(610) 사이의 배치 관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6a는 위쪽에서 본 부분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해제부(630)는 플렉시블 랙(610)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쐐기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해제부(630)는 베이스(700)에 대하여 고정되고, 플렉시블 랙(610)은 기어(624)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은 본 예에서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모두 세정 노즐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플렉시블 랙(610)은, 노즐 헤드(100)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노즐 헤드(100)의 기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1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실린더(200)의 선단부 내측에는 슬라이더(210)가 설치되고, 제1 실린더(200)의 기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헤드(100)는 슬라이더(21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헤드(100)가 진출하면, 그 스토퍼(120)가 제1 실린더(200)의 슬라이 더(210)와 접촉하고, 스트로크단(stroke end)이 결정된다.
또한, 제2 실린더(300)의 선단부의 내측에도 슬라이더(310)가 설치되고, 제2 실린더(300)의 기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토퍼(32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린더(200)는 슬라이더(31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실린더(200)가 진출하면, 스토퍼(220)가 제2 실린더(300)의 슬라이더(310)와 접촉하고, 그 스트로크단이 결정된다.
또한, 제3 실린더(400)의 선단부의 내측에는 슬라이더(410)가 설치되고, 제2 실린더(3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 실린더(300)가 진출하면, 스토퍼(320)가 제3 실린더(400)의 슬라이더(410)와 접촉하고, 그 스트로크단이 결정된다. 대안으로, 제3 실린더(400)를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700) 자체가 제2 실린더(3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본체를 스테인리스강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210, 310, 410)를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차단하면서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대안으로, 노즐 헤드(100)의 본체는, 예시적으로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기단부에는 플렉시블 랙(610)에 결합하는 결합 기구(230, 3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결합 기구(330)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로서, 도 9a는 그 노즐 선 단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결합 기구(330)는, 예컨대 수지제의 프레임(331)을 갖는다. 프레임(331)은 스토퍼(3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331)에는 제1 관통 구멍(332) 및 제2 관통 구멍(334)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관통 구멍(332)은 급수 튜브(180) 및 전선 하네스(190)를 통과시키기 위한 경로로서 이용될 수 있다. 급수 튜브(180)는 노즐 헤드(100)에 세정수(W)를 공급한다. 전선 하네스(190)는 노즐 헤드(100)에 수로의 전환, 수류의 조절 등을 위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노즐 헤드(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2 관통 구멍(334)에는, 코일 스프링(340)에 의해 지지된 래치(350)가 설치되어 있다. 래치(350)는 도 9b에서 화살표 S 방향으로 압박되고, 플렉시블 랙(610)에 설치된 요철의 오목부에 결합하여 그 구동력을 제2 실린더(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 해제부(630)의 작용에 의해, 래치(350)는 플렉시블 랙(610)으로부터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된다.
제1 실린더(200)에 설치된 결합 기구(230)도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결합 기구(230)의 래치(250)와 결합 해제부(63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결합 기구(330)의 래치(350)와 결합 해제부(63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제2 실린더(300)와 제3 실린더(400)[또는 베이스(7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보 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결합 기구(230)의 래치(250)와 플렉시블 랙(610) 사이의 결합력은, 노즐 헤드(100)와 제1 실린더(200)의 사이,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의 사이, 제2 실린더(300)와 제3 실린더(400)[또는 베이스(700)]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결합 기구(230, 330)의 결합력과 세정 노즐의 마찰력 사이의 관계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세정 노즐이 노즐 헤드(100)로부터 순차적으로 진출할 수 있다. 세정 노즐의 후퇴시에는, 래치(250, 350)가 플렉시블 랙(610)으로부터 결합 해제될 때까지, 노즐 헤드(100),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가 일체가 되어 연동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은 외측의 실린더[제2 실린더(300)]로부터 순서대로 후퇴한다.
또한, 도 6 및 도 9에서 화살표 L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해제부(630)가 플렉시블 랙(610)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면, 결합 해제부(630)가 프레임(331)에 접촉하여 그 진출/후퇴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세정 노즐의 진출 및 후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예의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a는 세정 노즐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노즐 헤드(100),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는 각각 기단부의 방향으로 후퇴하고, 스토퍼(120, 220, 320)가 서로 접촉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실린더의 래치(250, 350)가 결합 해제부(630) 상에 장착되어 있고, 플렉시블 랙(610)으로부터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노즐 헤드(100)의 선단부는 제1 실린더(200)로부터 돌출하고, 노즐 세정실(50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이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또는 이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에 있는 세정 스위치를 조작하면 , "엉덩이" 등을 세정하기 위한 동작이 시작된다.
이때, 우선,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수납 상태로 있으면서, 노즐 헤드의 토수구(150)로부터 물을 토출시키는 "노즐 전세정(precleaning)"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온수 공급원으로부터 노즐 헤드(100)까지의 통수 경로에 남아 있는 냉수를 미리 배출하고, 적절한 온도의 물을 사용자의 "엉덩이" 등에 즉시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한, 미리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 헤드(100)의 토수구(150)의 막힘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헤드(100)에 복수의 토수구(150)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두 토수구로부터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노즐 전세정"은, 노즐 세정실(500) 안에서 실시된다. 이 때문에, 토출된 물이 외부로 비산하지 않고, 토수구(150)로부터 분사된 물이 노즐 세정실(500)의 하부의 개구로부터 유출되어, 변기의 보울부로 배출된다.
"노즐 전세정"이 종료된 후에, "노즐 본체 세정"을 실시하면서 세정 노즐을 진출시킨다. 즉, 노즐 세정실(500)에 마련된 토수구(420)로부터 세정수(W)를 분사시킨다(도 3 참조).
그리고, 세정 노즐을 진출시키기 위해,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F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에 따라, 우선,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가 진출한다. 이때, 노즐 헤드(100)와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대소 관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실린더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노즐 헤드(100)만이 진출할 수 있다. 즉, 적절한 구조에서는, 제1 실린더(200)와 노즐 헤드(1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작다.
이와 같이, 우선 노즐 헤드(100)만을 진출시킴으로써, 그 외주면을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가 그 스트로크단까지 진출하고, 스토퍼(120)가 슬라이더(210)에 접촉하면, 플렉시블 랙(610)의 구동력이 제1 실린더(200)에도 전달되어, 제1 실린더(200)가 진출을 시작한다. 이때에도,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대소 관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제2 실린더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제1 실린더(200)만이 진출할 수 있다. 즉, 적절한 구조에 있어서는,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제2 실린더(300)와 제3 실린더(4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작다.
제1 실린더(200)가 도 10c에 나타낸 위치까지 진출하면, 래치(250)가 결합 해제부(630)로부터 분리되고, 코일 스프링(240)의 압박력에 의해 플렉시블 랙(610)에 결합한다.
도 12는 제1 실린더(200)의 이동에 수반하는 결합 상태의 변화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수납된 상태에서, 결합 기구(230)의 래치(250)는 결합 해제부(630) 상에 장착되어 있고, 플렉시블 랙(610)으로부터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된다.
제1 실린더(200)가 진출하면,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250)가 결합 해제부(630)의 쐐기형의 사면을 따라 강하하여, 플렉시블 랙(610)의 오목부와 결합한다. 이 후에, 제1 실린더(200)는, 노즐 헤드(100)를 통한 구동력과, 래치(250)를 통한 구동력이 모두 작용한 상태에서,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출을 속행한다.
이와 같이, 노즐 헤드(100)에 이어서 제1 실린더(200)를 진출시킴으로써, 제1 실린더(200)의 외주면은 노즐 세정실(500) 내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될 수 있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스트로크단까지 진출하면, 스토퍼(220)가 슬라이더(310)에 접촉하고, 플렉시블 랙(610)의 구동력이 제2 실린더(300)에도 전달되어, 제2 실린더(300)가 진출하기 시작한다. 제2 실린더(300)가 도 11b에 나타낸 위치까지 진출하면, 결합 기구(330)에 설치된 래치(350)가 플렉시블 랙(610)과 결합한다. 제2 실린더(300)는 플렉시블 랙(610)의 구동력에 의해 더욱 진출하여, 도 11c에 나타낸 상태까지 신장한다. 후속하여, 노즐 헤드(100)의 토수구(150)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엉덩이" 등을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린더(200)에 이어서 제2 실린더(300)를 진출시킴으로써, 제2 실린더(300)의 외주면도 노즐 세정실(500)에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도 11c는 "엉덩이"를 세정하기 위한 통상의 위치까지 세정 노즐을 진출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이는 도 2a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단까지 진출시킨 세정 노즐의 상태보다 약간 짧은 상태로 있다. 본 예에서는, "노즐 본체 세정"을 실시하면서, "엉덩이" 등의 세정을 위한 통상의 위치까지 세정 노즐을 진출시키고, 그 직후 "엉덩이" 등의 세정을 시작할 수 있다. 대안으로, "노즐 동체 세정"을 실시하면서, 최대 스트로크단(예컨대 도 2a의 상태)까지 세정 노즐을 진출시켜 그 전체를 세정한 후에, 통상의 위치(예컨대 도 11c의 상태)까지 후퇴시켜, "엉덩이" 등의 세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플렉시블 랙(610)의 구동력을 노즐 헤드(100)에 부여하고, 스토퍼(120, 220)를 통해 실린더에 전달하여, 세정 노즐을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랙(610)은 금속제 케이블을 수지로 피복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플렉시블 랙(610)의 휘어짐이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단 노즐인 경우라도 세정 노즐의 진출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플렉시블 랙(610)이 직선 방향으로만 진출/후퇴하면, 직경이 굵은 와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생 세정 장치 본체(800)의 깊이는 다단식의 세정 노즐의 진출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세정 노즐을 진출/후퇴시키는 플렉시블 랙(610)을 가이드부(612)에서 구부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에 수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와 같이, 구부림에 강한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기구(230, 330)가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이들 실린더를 래치(250, 350)가 플렉시블 랙(610)에 결합된 상태로 진출시킨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랙(610)의 굴곡이나 버클링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612; 도 5 참조)로부터 노즐 헤드(100)의 고정부에 이르는 경로를 따라 가이드나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플렉시블 랙(610)은, 압박되었을 때에, 세정 노즐 중에서 휘어지거나, 버클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예에서는, 결합 기구(230, 330)를 설치하고, 래치(250, 350)가 플렉시블 랙(610)에 결합된 상태로 플렉시블 랙(610)을 압박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플렉시블 랙(610)의 휘어짐이나 버클링은 거의 완전히 억제되고, 기어(624)(도 5 참조)의 회전량에 의해, 세정 노즐의 진출량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랙(610)은 가는 직경을 갖고,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800)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의 진출/후퇴를 위한 기구를 위생 세정 장치(800) 내에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따르면, 세정 노즐은, 노즐 헤드(100),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의 순으로 진출한다. 이에 따라, 이들 가동부의 외주를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세정 노즐이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에서 "엉덩이" 등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미리 적셔 두면, "엉덩이" 등을 세정하는 중에 비산한 오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 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에서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a는 세정 노즐이 완전히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노즐 헤드(100),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는 각각 선단 방향으로 진출하고, 스토퍼(120, 220, 320)가 슬라이더(210, 310, 410)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실린더의 결합 기구(230, 330)가 플렉시블 랙(610)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완전히 진출한 상태 대신에, 도 11c를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은 "엉덩이" 등을 세정하기 위한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이 진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엉덩이" 등의 세정을 종료하고, 예컨대 리모콘에 설치된 정지 스위치를 조작하면, 노즐 헤드(100)의 토수구(150)로부터의 토출이 정지되고, "노즐 본체 세정"을 실시하면서,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이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노즐 세정실(500)에 설치된 토수구(420)로부터 세정수(W)를 분사한다(도 3 참조).
다음으로, 세정 노즐을 후퇴시키기 위하여,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F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렇게 하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 및 제1 실린더(200)와 함께 제2 실린더(300)가 후퇴하기 시작하고, 제3 실린더(400)에 수납된다. 이때에, 제2 실린더(300)는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세정된다. 즉, 제2 실린더(300)의 외주면을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가 그 스트로크단 근처까지 후퇴하고, 결합 기구(330)의 래치(350)가 결합 해제부(630)에 접촉하면, 플렉시블 랙(61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도 15는, 제2 실린더(300)의 이동에 수반하는 결합 기구(330)의 상태 변화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결합 기구(330)의 래치(350)가 플렉시블 랙(6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2 실린더(300)가 후퇴한다. 그 후,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350)가 결합 해제부(630)의 쐐기형 사면에 접촉하면, 코일 스프링(34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래치(350)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작용력이 생긴다. 그 결과로서, 래치(350)와 플렉시블 랙(610)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2 실린더(300)의 후퇴가 정지한다.
이 후에, 플렉시블 랙(610)은 화살표 F 방향으로 계속해서 당겨진다. 이때에, 래치(350)는, 코일 스프링(340)의 압박력과 결합 해제부(630)에 의해 가해지는 작용력의 균형 상태에 따라서, 플렉시블 랙(610)의 요철면에서 공전한다. 코일 스프링(340)의 압박력, 결합 해제부(630)의 경사 형상, 그리고 래치(350)의 접촉면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이 상태에서 래치(350)를 원활히 공전시켜, 플렉시블 랙(610)에 과도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기구(330)의 결합이 해제되면, 제2 실린더(300)가 정지하 고, 제1 실린더(200)가 노즐 헤드(100)와 함께 계속해서 후퇴한다. 이때, 제1 실린더(200)는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고, 그 외주면을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후퇴하면, 제1 실린더(200)의 스토퍼(220)[또는 결합 기구(230)]가 제2 실린더(300)의 스토퍼(320)[또는 결합 기구(330)]에 접촉한다. 추가로 후퇴시킴으로써, 제2 실린더(300)의 결합 기구(330)의 래치(350)는 결합 해제부(630) 위로 상향 압박된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의 래치(250)가 결합 해제부(630)의 쐐기형 사면에 접촉하면, 도 1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와 플렉시블 랙(610)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 실린더(200)는 정지한다. 이어서, 플렉시블 랙(610)은 화살표 F 방향으로 압박되고, 래치(250)는 플렉시블 랙(610)의 요철 표면에서 공전한다.
제1 실린더(200)의 후퇴 후에 노즐 헤드(100)가 후퇴한 때에도, 그 외주면을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의 스토퍼(120)가 제1 실린더(200)의 스토퍼(220)[또는 결합 기구(230)]에 접촉하고, 추가의 후퇴에 의하여, 래치(250)가 결합 해제부(630) 위로 상향 압박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스트로크단까지 후퇴할 때, 세정 노즐은 완전한 수납 상태로 된다.
후속하여, 노즐 세정실(500) 안에 수납되어 있는 노즐 헤드(100)의 선단부의 토수구(150)로부터 적절하게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 후세정(postcleaning)"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수구(150)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노즐 헤드(100)의 선단부와 노즐 세정실(500)의 내부를 철저하게 세정하는 추가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노즐 헤드(100)에 복수의 토수구(15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즐 후세정" 중에도, 모든 토수구(150)로부터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결합 기구(230, 330)와 결합 해제부(630)로 인하여,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의 순으로 세정 노즐을 후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가동부의 외주를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즉, 다단식의 세정 노즐이 후퇴할 때에, "노즐 본체 세정"을 효과적으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다단식의 세정 노즐의 경우에도,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임의의 부착 오물로 인한 오동작이나 고장을 막을 수도 있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는 결합 해제부(630)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결합 해제부(630)가 없는 경우에도,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 순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에서, 결합 기구(230, 330)의 각 래치는 플렉시블 랙(610)의 오목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상태로부터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지면, 노즐 헤드(100),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 모두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가 완전히 후퇴하여 스토퍼(도시 생략)에 접촉하면, 그 결합 기구(330)의 래치는 플렉시블 랙(610)의 요철 표면에서 공전하기 시작한다. 한편, 노즐 헤드(100)와 제1 실린더(200)는 추가로 계속해서 후퇴한다.
다음으로,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완전히 후퇴하여, 제2 실린더(300)의 결합 기구(330)[또는 스토퍼(320)]에 접촉하면, 그 결합 기구(230)의 래치도 플렉시블 랙(610)의 요철 표면에서 공전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더 당겨지면, 제1 실린더(200)의 결합 기구(230)의 래치와 제2 실린더(300)의 결합 기구(330)의 래치가 모두 공전하는 상태로 노즐 헤드(100)가 후퇴하여, 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완전히 수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 해제부(630)가 없는 경우라도, 결합 기구(230, 330)의 래치 작용에 의해, 세정 노즐을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의 순으로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후퇴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세정 노즐을 진출시키면, 우선 제2 실린더(300)가 제1 실린더(200) 및 노즐 헤드(100)와 함께 진출한다. 그 다음에, 결합 기구(330)의 래치가 플렉시블 랙(610)의 요철면에서 공전하는 상태로 제1 실린더(200)가 노즐 헤드(100)와 함께 진출한다. 그 후, 결합 기구(230, 330)의 래치가 플렉시블 랙(610)의 요철면에서 각각 공전하는 상태인 채로, 노즐 헤드(100)가 진출한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이 진출하는 경우에도, 노즐을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 은 순서로 후퇴시키고, 노즐 세정실(500)에서 충분히 세정할 수 있으면, 세정 노즐을 청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세정 노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결합 기구 대신에, 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여, 세정 노즐의 진출/후퇴의 순서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 헤드(100)의 기단부 부근에 자석(662)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의 기단부 부근에도 자석(664, 66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실린더(200)의 선단부 부근에는 자성체(652)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린더(300)의 선단부 부근에는 자성체(6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실린더(400)의 기단부 부근에는 자성체(65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자성체(652, 654, 656)는 자석(662, 664, 666)에 끌어 당겨지도록 코발트나 니켈과 같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의상, 도 17에서는 슬라이더(210, 310, 410)가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슬라이더는, 자성체(652, 654, 656)와 교대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들 자석과 자성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척력의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세정 노즐의 진출/후퇴의 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에서, 자석(662)과 자석(664)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자석(664)과 자석(666)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인력이 작용하며, 자석(666)과 자성체(656)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강한 인력이 작용한다. 세정 노즐을 적절한 순서로 진출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변형예의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a에 나타낸 상태에서, 자석(662)과 자석(664)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자석(664)과 자석(666) 사이에는 약한 인력이 작용하며, 자석(666)과 자성체(656) 사이에는 강한 인력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F 방향으로 풀리면, 자석(662)과 자석(664)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우선 노즐 헤드(100)가 진출하기 시작한다.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가 완전히 진출하면, 그 스토퍼(120)가 제1 실린더(200)에 접촉하여, 그 제1 실린더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자석(664)과 자석(666)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자석(666)과 자성체(656)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제2 실린더(300)는 후퇴한 상태로 유지되고, 제1 실린더(200)만이 진출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완전히 진출하면, 그 스토퍼(220)가 제2 실린더(300)에 접촉하여, 그 제2 실린더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2 실린더(300)가 자석(666)과 자성체(6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을 극복하여 진출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신장한다.
한편,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이 신장된 상태에서, 자석(662)과 자성체(652) 사 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자석(664)과 자성체(65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의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세정 노즐을 적합한 순서로 후퇴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변형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신장한 상태에서, 자석(662)과 자성체(6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자석(664)과 자성체(65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조정을 행한다. 이때, 자석(666)은 자석(664)으로부터도 자성체(656)로부터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인력 및 척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지면, 자석(662)과 자성체(6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자석(664)과 자성체(65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서,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가 노즐 헤드(100)와 함께 후퇴하기 시작한다.
그 후,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가 제3 실린더(400)의 스토퍼(도시 생략)에 접촉한다. 이때, 자석(662)과 자성체(6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자석(664)과 자성체(654)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을 극복하여 이들을 분리한다. 이에 따라, 제1 실린더(200)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후단까지 후퇴하면, 자석(662)과 자성체(65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을 극복함으로써, 노즐 헤드(100)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완전히 수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 및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에 자석이나 자성체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세정 노즐을 소정의 순서로 진출 및 후퇴시킬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의 자석 및 자성체의 배치 관계 및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의 관계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즉,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에서, 그 외측의 요소를 수납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용이 상대적으로 커지면, 세정 노즐을 그 내측의 요소로부터 순서대로 진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변형예는,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에서, 제2 실린더(300)를 수납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가장 크고, 제1 실린더(200)를 수납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그보다 작으며, 노즐 헤드(100)를 수납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가장 작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노즐 헤드(100)를 진출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세정 노즐의 내측의 요소를 신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용이 상대적으로 크면, 세정 노즐을 외측의 요소로부터 순서대로 신장 상태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변형예는,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에서, 노즐 헤드(100)를 신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가장 크고, 제1 실린더(200)를 신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그보다 작으며, 제2 실린더(300)를 신장 상태로 유지시키는 힘이 가장 작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제2 실린더(300)를 후퇴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석과 자성체를 이용하고 이들 사이의 인력/척력을 적절하게 조정함에 의해서도, 세정 노즐을 소정의 순서로 진출 및 후퇴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 설치할 수 있는 실린더, 슬라이더, 스토퍼 등에 대해서 예를 참조하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수납 상태에서의 세정 노즐의 단면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이 세정 노즐의 선단 부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이 세정 노즐의 기단부 부근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 노즐 헤드(100)와,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는 금속제의 원통형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노즐 헤드(100)가 반드시 금속제일 필요는 없고, 예컨대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 헤드(100) 및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를 금속으로 형성하면, 두께를 얇게 하여도 충분한 기계적인 강도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다단식의 노즐을 형성하여도, 노즐부의 두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흠집이나 변형이 잘 생기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진출/후퇴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이나 표면을 알루마이트 처리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는, 녹이 잘 생기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세정 노즐의 재료로서 유리하다.
노즐 헤드(100)와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표면을 필름이나 피복층으로 피복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코팅하면, 오물이 잘 붙지 않고, 녹이 잘 생기지 않으며, 슬라이드 동작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세라믹스 등을 함유한 피복층을 코팅함으로써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서도, 노즐 헤드(100) 및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는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링형의 슬라이더(210, 310, 410) 및 스토퍼(120, 220, 320)에 의해 접촉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210, 310, 410)는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의 선단 부근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20, 220, 320)는 노즐 헤드(100),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기단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노즐 헤드(100)는 스토퍼(120)와 슬라이더(210)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1 실린더(200)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1 실린더(200)는 스토퍼(220)와 슬라이더(310)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2 실린더(300)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제2 실린더(300)도 제3 실린더(400)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고, 스토퍼(320)와 슬라이더(410)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헤드(100) 및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를 금속으로 형성한 경우에, 이들 부재가 서로 직접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하게 하면, 슬라이딩 저항이 커지고, 흠집이나 이상 소음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 사이의 간극을 과도하게 크게 하면, 외부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기 쉬워진다.
이와 달리, 본 예에서는, 이들 금속제 부재를 서로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더(210, 310, 410) 및 스토퍼(120, 220, 320)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흠집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10, 310, 410) 및 스토퍼(120, 220, 320)는, 노즐 헤드(100) 및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스트로크단을 결정하는 역할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납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는 서로 접촉되어 있다. 즉, 노즐 헤드(100) 및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후퇴 한계는 스토퍼(120, 220, 320)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이하에 도 8 등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와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가 진출하면, 슬라이더(210, 310, 410)가 스토퍼(120, 220, 320)와 접촉한다. 즉, 슬라이더(210, 310, 410)와 스토퍼(120, 220, 320)에 의해 진출 한계가 규제된다.
한편, 본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린더(200, 300, 400)의 선단 부근에, 대략 테이퍼형 구조로 외경이 협소하게 되는 테이퍼부(T)가 설치되어 있고, 최선단에는 중심축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C)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T) 및 절곡부(C)는, 이들 실린더(200, 300, 400)의 선단으로부터 물이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외벽에 이물 등이 부착된 경우라도,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이물을 용이하게 배제할 수 있다. 또한, 걸레(cloth) 등이 실린더의 선단에 걸리지 않도록 세정 노즐을 원활하게 닦 을 수 있다. 또한 손 등이 부상당할 염려도 없다.
도 23은 본 예에 설치되는 슬라이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즉, 도 23은 슬라이더(210, 310, 410)를 세정 노즐의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예에 설치되는 스토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도 스토퍼(120, 220, 320)를 세정 노즐의 약간 선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슬라이더(210, 310, 410)의 내주벽면(210S, 310S, 410S)이, 그 내측에 설치되는 노즐 헤드(100) 또는 실린더(200, 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내주벽면(210S, 310S, 410S)은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부풀려져, 결과적인 정점이 노즐 헤드(100) 또는 실린더(200, 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세정수의 염소 성분 등의 고화로 인하여 슬라이더(210, 310, 410)가 노즐 헤드(100) 또는 실린더(200, 300)에 고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20, 220, 320)는 그 기단측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확장부(121, 221, 321)를 포함한다. 이 확장부(121, 221, 321)의 외주벽(121S, 221S, 321S)은, 그 외주벽(121S, 221S, 321S)의 외측에 설치되는 실린더(200, 300, 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슬라이더(210, 310, 410)의 재료로는, 예컨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스토퍼(120, 220, 320)의 재료로는, 예컨대 POM(폴리옥시메틸렌/폴리아세탈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를 이용하여,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제의 노즐 헤드(100), 실린더(200, 300) 등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 지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슬라이더(210, 310, 410)에는 세정 노즐의 기단측을 향해 개구된 오목부(212, 312, 41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120, 220, 320)에는 확장부(121, 221, 321)가 세정 노즐의 선단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122, 222, 322)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 노즐이 신장된 상태에서, 이들 슬라이더의 오목부(212, 312, 412)가 스토퍼의 돌출부(122, 222, 322)와 결합하여, 노즐 헤드(100) 및 실린더(200, 300, 4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20, 220, 320)의 확장부(121, 221, 321)에는 오목부(124, 224, 324)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124, 224, 324)는 그 외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에 형성된 결합 돌기부(engaging thread)와 결합하고, 수납 상태나 진출/후퇴 동작 중에 세정 노즐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5는, 수납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즉, 도 25는 이들 실린더를 기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내측에 배치된 제1 실린더(200)에는 스토퍼(220)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에 배치된 제2 실린더(300)에는 슬라이더(31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린더(200)는, 슬라이더(310) 및 스토퍼(220)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실린더(300)에는, 그 슬라이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결합 돌기부(304)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 돌기부(304)는 실린더(300)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 출하고, 스토퍼(220)에 마련된 오목부(224)와 결합되어 있다. 유사한 결합 돌기부가 제1 실린더(200)에도 설치되어 있지만, 도 25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2 실린더(300)는, 결합 돌기부(304)가 오목부(224)와 결합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실린더(300)에 설치된 결합 돌기부(304)가 그 내측에 위치한 스토퍼(220)에 마련된 오목부(224)와 결합하여, 수납 상태 및 진출/후퇴 동작 중의 실린더(3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노즐 헤드(100)에 설치된 토수구(150)로부터의 토출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고,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도 26은, 신장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7은 도 26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은 실린더를 기단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1 실린더(200)가 그 스트로크단까지 진출한 상태에서, 제2 실린더(300)에 설치된 결합 돌기부(304)는 스토퍼(220)에 마련된 오목부(224)와 여전히 결합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310)에 마련된 오목부(312)는 스토퍼(220)에 설치된 돌출부(222)와 결합한다. 그 결과로서, 이들 실린더(200, 300)의 상대적인 회전이 보다 강고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세정 노즐의 회전을 더 강고히 저지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세정 노즐을 청소하는 중에도, 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정 노즐을 청소할 때에는, 세정 노즐을 스트로크단까지 진출시킨 상태로 걸레 등으로 닦을 수도 있다. 이때에, 세정 노즐에는 회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결합 돌기부(304)가 오목부(224)와 결합하고 있고, 또한 오목부(312)가 돌출부(222)와 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의 회전을 강고히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세정 노즐을 청소하는 경우에도, 물 토출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변기 시트에 앉지 않는 상태에서 세정 노즐의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이때에는, 세정 노즐을 완전히 신장시킨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의 청소를 위한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리모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8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리모콘의 조작 패널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예의 리모콘은,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세트를 구비하는데, 예컨대 엉덩이 세정 스위치(951), 온풍 건조 스위치(952), 정지 스위치(953)를 포함한다. 또한, 수세 변기에 세정수를 흘리기 위한 자동 세정도 가능하게 되고, 큰 세정 스위치(954)나 작은 세정 스위치(9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송신부(958)가 설치되어,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 신호를 송신한다.
세정 노즐의 청소는 그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고, 특수한 조작이다. 이 때문에, 이를 위한 스위치는 덮개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29는 리모콘(950)의 덮개 내부의 설정 조작 패널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의 리모콘(950)은 그 정면 덮개(960) 내측에 각종 설정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세정 노즐을 청소하기 위한 "노즐 청소" 스위치(970)도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노즐 청소" 스위치(970)를 조작하면,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지 않는 상태에서도, 세정 노즐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신장한다. 이때에, 도 26 및 도 27을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10, 310, 410)가 스토퍼(120, 220, 320)와 결합하여, 세정 노즐의 회전을 강고히 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정도 힘으로 천이나 종이로 세정 노즐을 닦을 경우에도, 세정 노즐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 토출 방향의 어긋남과, 세정 노즐 및 그 내부에 설치된 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의 다단식의 세정 노즐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0은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0은 세정 노즐을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다단식 세정 노즐의 진출 동작은, 내측의 요소로부터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수납 상태로부터, 우선 도 3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가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진출한다. 다음에 도 3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진출한다. 마지막으로, 제2 실린더(300)가 노즐 세정 실(500)을 통과하면서 진출하여, 세정 노즐이 신장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은 내측 가동부로부터 진출하고, 순차적으로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한다. 이에 따라, 노즐의 가동부의 외주면을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사용할 때는, 도 1b 및 도 3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을 신장시킨 상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등에 물을 분사한다. 이러한 세정 동작에 의해 오물 등을 제거하여 "엉덩이" 등을 청결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따르면, "엉덩이" 등을 세정하기 위해 세정 노즐을 진출시킬 때에, 세정 노즐은 노즐 헤드(100), 제1 실린더(200), 제2 실린더(300)의 순으로 세정하면서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신장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세정 노즐의 가동부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세정 노즐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위생적으로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등을 세정하는 중에, 오물 등이 세정 노즐에 비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이 미리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젖은 상태로 있으므로, 오물 등이 잘 부착되지 않는다. 그 결과로서, 사용 후의 세정 노즐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의 청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임의의 부착 오물에 의한 세정 노즐의 오작동이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청소(도 29 참조)를 위해 세정 노즐을 진출시키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이 진출할 때에, 각 실린더에 설치한 결합 돌기 부(예컨대 304)는, 해당 스토퍼에 설치한 유지 오목부(예컨대 224)에 결합한 상태인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이들 요소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물 토출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하여, 안정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은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 31은 세정 노즐을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로부터, 우선 제2 실린더(300)가 노즐 헤드(100) 및 제1 실린더(200)와 연동하여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후퇴하여,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린더(400) 안에 수납된다. 다음에, 제1 실린더(200)가 노즐 헤드(100)와 연동하여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후퇴하여, 도 3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 안에 수납된다. 마지막으로, 노즐 헤드(100)가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하면서 후퇴하여, 도 3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 안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에 있어서, 세정 노즐은 외부 가동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후퇴하고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한다. 이에 따라, 노즐의 가동부의 외주면을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b 및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의 신장 상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등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할 때에, 오물 등이 세정 노즐의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 드(100)는 "노즐 동체 세정"을 실시하면서 그 순서대로 노즐 세정실(500)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신장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던 이들 가동부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세정 노즐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위생적으로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노즐의 청소 시간을 줄이고, 임의의 부착 오물에 의한 세정 노즐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 청소(도 29 참조)를 위해 세정 노즐을 진출시키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이 후퇴할 때에도, 각 실린더에 설치한 결합 돌기부(예컨대 304)는, 해당 스토퍼에 마련한 유지 오목부(예컨대 224)에 결합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이들 요소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물 토출 방향의 어긋남을 해소하고, 안정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예에서의 노즐 헤드(100)의 물 토출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a 및 도 32b는, 본 예의 노즐 헤드(100)의 내부 구조의 2 가지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노즐 헤드(100)의 선단 부근에는, 제1 토수구(150A), 제2 토수구(150B), 제3 토수구(150C)가 예시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토수구는, 통상의 "엉덩이 세정", "부드러움 모드"의 "엉덩이 세정", "비데 세정"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들 토수구(150A∼150C)의 구조, 개구 직경 및 물 토출 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기호나 용도에 적합한 각종 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토수구(150A∼150C)는 통수 경로를 통해 전환 기구(160)에 접속되어 있다. 전환 기구(160)는 스테이터(162)와 로터(164)를 갖는다. 스테이터(162)에는 토수구의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수구가 마련되어 있고, 통수구는 예컨대 통수 경로(152)를 통해 토수구(150A)에 물을 공급한다. 도 32에는 토수구(150A)에 접속된 통수 경로(152)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토수구(150B, 150C)에 이르는 통수 경로(154, 156)도, 도시하지 않는 경로를 통하여 스테이터(162)에 마련된 통수구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터(162)의 상류측에서 이에 인접하여 로터(164)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164)에는 하나의 통수구(166)가 마련되어 있다. 로터(164)는 모터(170)의 출력축(172)에 접속되어 회전되고, 로터(164)에 마련된 통수구(166)를 통하여 스테이터(162)에 설치된 복수의 통수구 중 어느 하나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 튜브(180)(도 9 참조)로부터 공급된 물은 통수로(182)를 통해 분배실(184)에 공급된다. 분배실(184)에 도입된 물은, 로터(164)의 회전에 의해 선택된 스테이터(162)의 통수구를 통해 제1 내지 제3 토수구(150A∼150C) 중 어느 하나로 유도되어, 토출된다. 또한, 로터(164)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테이터(162)의 통수구의 개방도를 변화시켜, 수량(水量)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분배실(184)과 모터(170) 사이에는 칸막이판(174)이 설치되고, Y 패킹(176)에 의해 방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칸막이판(174)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모터(170)측은 대기 분위기로 있어, 모터(170)로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로터(164)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제1 내지 제3 토수구(150A∼15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로부터 물을 토출시키고, 그 수압(또는 수량)을 원하는 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따르면, 전환 기구(160)와 모터(170)가 노즐 헤드(100)에 내장됨으로써, 노즐 헤드(100)에 접속된 급수 튜브(180)의 수를 하나로 줄일 수 있다. 즉, 세정 노즐 안에 배치하는 급수 튜브(180)의 수를 하나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다단식의 세정 노즐을 급수 튜브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원활히 진출/후퇴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2a 및 도 32b에 나타낸 2개의 예를 비교한다. 도 32a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통수로(182)가 노즐 헤드(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면, 도 32b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통수로(182)가 노즐 헤드(10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 헤드(100)에서의 물의 유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a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통수로(182)를 통해 공급된 물이 하향 유동하여 분배실(184) 내로 유입된다. 그 후, 물은 로터의 통수구(166) 및 스테이터(162)의 통수구를 통과하고, 통수 경로(152)에서 아래쪽으로 더 흐른 후에, 위쪽으로 흐르고, 토수구(150A)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통수 경로(152)를 일단 아래쪽을 향해 지향시켜, 토수구(150A)로부터 방출되는 방출수의 수류(水流) 및 방출 각도를 제어한다. 즉, 토수구(150A)로부터 방출되는 방출수의 수류 및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통수 경로(152)를 일 단 아래쪽을 향해 지향시켜, 노즐 헤드(100)의 높이 방향의 두께를 이용한 수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이터(162)에 설치되는 복수의 통수구 모두를 노즐 헤드(100)의 하단에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스테이터(162)에 설치되는 통수구로부터 토수구(150A∼150C)에 이르는 각각의 통수 경로에는, 아래쪽을 향하는 유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32b에 나타낸 예의 경우, 통수로(182)를 통해 공급된 물은 위쪽을 향해 분배실(184)로 유입한다. 그 후, 물은 로터의 통수구(166) 및 스테이터(162)의 통수구를 통과하고, 통수 경로(152)에서 반대로 아래쪽으로 흐른 후에, 위쪽을 향해 흘러, 토수구(150A)로부터 배출된다. 즉, 물은 통수로(182)로부터 일단 위쪽을 향해 흐르고, 그 후에 통수 경로(152)에서 반대로 아래쪽으로 흐른다 이 때문에, 수류의 방향이 상하로 크랭크형으로 변화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류의 방향이 크랭크형으로 변화되면 압력 손실이 커지고, 토수구(150A)로부터의 물 토출 압력이 저하되기 쉽다.
이와 달리, 도 32a에 나타낸 예의 경우, 통수로(182)를 통해 공급된 물은, 아래쪽을 향해 분배실(184)로 유입한다. 그 후, 물은 로터의 통수구(166) 및 스테이터(162)의 통수구를 통과하고, 통수 경로(152)에서 더 아래쪽을 향해 흐른 후에, 위쪽을 향해 흘러, 토수구(150A)로부터 방출된다. 즉, 통수로(182)로부터 통수 경로(156)의 가장 낮은 지점까지의 수류는 대략 아래쪽을 향하고, 수류의 방향은 크랭크형으로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32b에 나타낸 예와 비교하여, 압력 손실은 작고, 토수구(150A)로부터의 물 토출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류의 방향과 관련한 압력 손실을 고려하면,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수로(182)를 노즐 헤드(100)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보다, 도 3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수로(182)를 노즐 헤드(100)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 때문에, 세정 노즐의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 튜브(180)도,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세정 노즐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즉, 세정 노즐 안에서, 플렉시블 랙(610)이 아래쪽에 설치되고, 급수 튜브(180)가 위쪽에 설치되면, 노즐 헤드(100)에서의 수류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는 좌변기(900)의 상부 후방의 평탄면(900F)에 배치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를 갖는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에는 변기 시트(810)와, 변기 덮개(8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변기 시트(810)에 앉은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하는 착좌 센서(830)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4는, 본 예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변기 시트(810)와 변기 덮개(82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예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는, 변기 시트(810)에 앉은 사 용자의 "엉덩이" 등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할 수 있고, 상표명 "Washlet"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는, 젖은 "엉덩이"를 말리는 "온풍 건조 기능", 변기 시트(810)를 따뜻하게 하는 "변기 시트 난방 기능", 좌변기 내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 기능"과 같은 기능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접근을 검지하여 변기 덮개(820)를 자동적으로 열고, 사용자가 떠나면 변기 덮개(820)를 자동적으로 닫는 「오토 개폐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기능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에 설치된 조작부(도시 생략)를 적절하게 조작함으로써 실행/설정될 수도 있고, 화장실의 벽 등에 설치된 리모콘(도시 생략)을 조작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콘에 의해 좌변기(900)에 세정수를 흘리는 「자동 수세 기능」을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에 부가할 수도 있다. 이 기능은 하부 탱크(920) 및 플러시 밸브의 배수 기구를 동작시키는 구동 기구를 기초로 한다. 이 구동 기구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로부터 출력하여, 좌변기(900)에 세정수를 자동적으로 흘린다.
본 예에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는 수세 좌변기(900)의 상부 후방의 평탄면(900F)에 설치되고, 그 전면(805)이 좌변기(900)의 보울(910)의 개구 형상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이란,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하부 탱크(920), 플러시 밸브 등이 설치되는 측이고, 통상의 사용 중의 사용자로부터 봤을 때 먼 측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만곡된 전면(805)의 좌우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800P)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만곡된 전면(805)에 는 "엉덩이"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노즐이 통과하는 개구부(807)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807)에는 차단판(825)이 설치되고, 세정 노즐이 이 차단판(825)의 이면에 수용되어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예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는 직선형의 전단을 갖고, 이 전단은 좌변기(900)의 보울(910) 위로 연장되어, 파선 A로써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부를 덮는다. 이와 같이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가 보울(910) 위로 연장되어 있으면, 그 이면이 고인 물의 "비산"에 의해 더러워지기 쉽다. 또한, 이 연장된 부분에는 남성의 소변이 튀기 쉬워진다.
이와 달리, 제1 예에서는,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는 보울(910) 위로 약간 연장되어 있다. 그 결과, 잘 더러워지지 않고, 남성의 소변이 잘 튀지 않게 된다. 또한, 청소할 때마다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를 좌변기(900)로부터 제거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청소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깔끔하고 상쾌한 외관을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청결감이나 위생감을 부여한다. 이에 따라, 쾌적한 사용감의 변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6은 제1 예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의 내부 구성을 예시하는 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의 중앙 부근에는 도 1 내지 도 32를 참고로 전술한 세정 노즐이 설치된다. 세정 노즐의 후방에는 플렉시블 랙(610)을 수납하기 위한 안내 파이프(612)가 설치되어 있다. 관찰자 보았을 때 세정 노즐의 우측에는, 온풍 건조 장치(870)가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차단판(804)을 통해 사용자의 "엉덩이" 등에 온풍을 송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그 우측에는 탈취 장치(8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탈취 장치(850)의 일부가 우측의 연장부(800P)로 돌출되어 수용되어 있다.
한편, 관찰자가 보았을 때 세정 노즐의 좌측에는, 세정 노즐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로 시스템(8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로 시스템(860)은, 예컨대 밸브 유닛(862), 열 교환 유닛(863), 유량 조절 유닛(864)을 포함한다. 이들 수로 시스템(860)의 전방에 제어 기판(880)이 내장되어 있다. 제어 기판(880)은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 기판(880)을 수로 시스템(860) 위에 배치함으로써, 결로 및 만일의 누수시에도, 쇼트나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880)을 좌측의 연장부(800P) 내로 돌출시킴으로써, 한정된 수용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납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32를 참고로 전술한 세정 노즐은 차단판(825)의 배후에 내장되어 있다. 차단판(825)은 통상적으로, 예컨대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 개구부(807)가 폐쇄된 위치로 압박되어 있다. 세정 노즐이 진출할 때에, 차단판(825)은 세정 노즐에 의해 압박되고, 압박력에 대항하여 개방된다. 대안으로,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차단판(825)을 개폐할 수도 있다.
본 예에 따르면, 다단 구조로 함으로써, 세정 노즐을 수납 상태에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 안에 조밀하게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엉덩이" 등을 세정한 후에, 노즐 헤드(100) 및 실린더(200, 300)의 표면을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의 전면이 보울(910)을 덮지 않고, 보울(910)의 개구부의 만곡된 측벽에 대략 연속해서 또는 그 측벽으로 후방[보울(9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의 깊이를 짧게 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예의 세정 노즐은, 예컨대 3 단식의 구조를 기초로 하므로, 한정된 깊이를 갖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 안에 조밀하게 수납될 수 있다. 또한, 3단 구조의 세정 노즐로 인하여, 그 선단의 토수구를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본체(800)의 전면(805)으로부터 충분히 멀리까지 진출시켜, "엉덩이" 등에 확실하게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 세정 노즐 본체의 표면을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상 청결하고 청소 시간도 절약할 수 있으며, 오작동이나 고장도 잘 생기지 않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위생 세정 장치의 전체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세정 노즐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 헤드(100)에 접속된 급수 튜브를 구부려서, 실린더 내벽 또는 스토퍼에 압력 접촉시킴으로써 마찰력을 생성한다. 이로 인하여, 실린더에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가할 수 있고, 각 실린더를 소정의 순서로 후퇴시 킬 수 있다.
도 37은 본 번형예의 세정 노즐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급수 튜브(180)의 일단이 노즐 헤드(100)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튜브(180)를 통해 공급된 물은, 노즐 헤드(100)에 설치된 토수구(150)로부터 배출된다. 급수 튜브(180)는 제1 및 제2 실린더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220, 320)의 관통 구멍(225, 325)을 통해 제2 실린더(300)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고, 전방[노즐 헤드(100)의 방향]으로 접혀져, 베이스(700)에 인접하여 고정된 급수단부(186)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튜브(180)는 나일론과 같이 유연성 및 탄성을 모두 갖는 수지 또는 기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 등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제3 실린더(400)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실린더(300)의 스토퍼(320)에 마련된 오목부(도시 생략)가 베이스(700)에 설치된 레일(도시 생략)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2 실린더(300)가 베이스(7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 노즐이 신장된 상태로부터, 플렉시블 랙(610)이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지면, 노즐 헤드(100) 및 이것에 접속되어 있는 급수 튜브(180)가 후퇴하기 시작한다. 이때, 급수 튜브(180)는 노즐의 후방에서 되접혀 있기 때문에, 그 굴곡부(180R)에 외측으로 팽창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급수 튜브(180)는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에 대하여 화살표 S 방향으로 압력 접촉하여, 급수 튜브(180)와 스토퍼(320)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 마찰력에 의해, 급수 튜브(180)가 후퇴를 위한 구동 력을 스토퍼(320)에 가할 수 있다. 이 마찰력이 제2 실린더(300)와 베이스(70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보다 큰 경우에는, 급수 튜브(180)의 후퇴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실린더(300)도 후퇴하기 시작한다. 예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원의 발명자의 사진 검토의 결과에 따르면, 급수 튜브(180)를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시킴으로써, 급수 튜브(180)와 스토퍼(320) 사이의 마찰력을, 제2 실린더(300)와 베이스(700) 사이의 마찰력보다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급수 튜브(180)와 스토퍼(32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2 실린더(300)에 후퇴를 위한 구동력을 가한다. 제2 실린더(300)는 도 3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 스트로크단까지 후퇴한다. 이때, 급수 튜브(180)는 여전히 굴곡되어 있고,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급수 튜브(180)는 스토퍼(320)뿐만 아니라 스토퍼(220)의 관통 구멍(225)의 내벽과도, 화살표 S 방향으로 압력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랙(610)이 더 당겨지면, 제2 실린더(300)가 스트로크단에 의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튜브(180)는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을 미끄러지면서 후퇴한다. 급수 튜브(180)와 스토퍼(220)의 관통 구멍(225)의 내벽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스토퍼(220)에 후퇴를 위한 구동력이 가해진다. 이 마찰력이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보다 큰 경우에는, 급수 튜브(180)의 후퇴에 연동하여 제1 실린더(200)도 후퇴한다. 이 경우에도, 본원 발명자의 사진 검토 결과에 따르면, 급수 튜브(180)를 굴곡시킴으로써, 급수 튜브(180)와 스토퍼(22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제1 실린 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보다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었다.
제1 실린더(200)가 도 3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스트로크단까지 후퇴하면, 급수 튜브(180)는 스토퍼(220)의 관통 구멍(225) 및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을 각각 미끄러지면서 후퇴한다. 최종적으로, 도 3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가 후퇴하여 세정 노즐은 완전히 수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면, 세정 노즐을 관통하는 급수 튜브(180)를 굴곡시킴으로써, 급수 튜브(180)와 스토퍼(320, 220)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므로,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 순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가동부의 외주를 노즐 세정실(500)에서 전체적으로 얼룩 없이 세정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급수 튜브(180)가 스토퍼(320, 220)의 관통 구멍(325, 225)의 내벽에서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급수 튜브(180)가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내벽에서 미끄럼 접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급수 튜브(180)를 굴곡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대신에 유연성 및 탄성을 모두 갖는 선형체를 노즐 헤드(100)에 접속하고, 세정 노즐을 관통시켜 외부에서 굴곡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선형체는 도 37을 참고로 설명한 급수 튜브(180)와 같은 작용을 하고, 스토퍼(220, 320) 또는 제1 및 제2 실린더(200, 300)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여 적합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 순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된 급수 튜브나 선형체의 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급수 튜브 또는 선형체를 설치하면, 보다 큰 마찰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음에, 도 37에 나타낸 세정 노즐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8 및 도 39는 본 예의 세정 노즐의 조립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8은 베이스(700)에 세정 노즐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9는 베이스(700)에 세정 노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세정 노즐의 베이스(700) 옆에는, 유량 조절 유닛(864)이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유량 조절 유닛(864)은 노즐 헤드(100)로의 급수 경로와 노즐 세정실(500)로의 급수 경로 사이의 전환이나 수세를 조절하는 전환 밸브와, 노즐 헤드(100)의 토수구로부터의 토출수의 모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이 유량 조절 유닛은, 노즐 헤드(100)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수세에 맥동을 부여하는 맥동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8에 나타낸 예의 경우, 유량 조절 유닛에는 3개의 급수단부(186A, 186B, 186C)가 설치되고, 이들에 각각 급수 튜브(180A, 180B, 180C)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단부(186A)는 통상의 "엉덩이 세정"을 위하여 토출수를 공급한다. 급수단부(186B)는 "비데 세정"을 위한 토출수를 공급한다. 급수단부(186C)는 "선회 세정(swirl washing)"을 위한 토출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선회 세정"은, 노즐 헤드(100)에 형성된 공동 내에 선회류를 형성하고, 이 선 회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의 선단으로부터 나선형으로 토출수를 방출시키는 세정 모드를 말한다. 유량 조절 유닛(864)에 맥동 발생 장치도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방진 고무 등을 통해 베이스(700) 및 유량 조절 유닛(864)을 위생 세정 장치 본체(800) 내부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베이스(700)의 상부 양측에는 레일(710)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들 레일(710)은 제2 실린더(300)에 설치되는 스토퍼(320)의 오목부에 끼워 맞춰져, 제2 실린더(3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예에서는, 3개의 급수 튜브(180A, 180B, 180C)를 굴곡시켜 세정 노즐 안에 도입하고 있다. 이들 3개의 급수 튜브를 세정 노즐의 스토퍼에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도 37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후퇴 동작을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은, 본 예의 세정 노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0은 세정 노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1은 세정 노즐이 진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제2 실린더(300) 내에, 제1 실린더(200) 및 노즐 헤드(100)가 이 순으로 수용되어 있다. 세정 노즐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노즐 헤드(100)의 선단부는 노즐 세정실(500) 안에 거의 수용되어 있다. 제1 실린더(200)의 후단에는 스토퍼(220)가 설치되고, 제2 실린더(300)의 후단에는 스토퍼(3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2는 노즐 헤드(100)의 후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노즐 헤드(100)의 후단에는, 급수 튜브(180A, 180B, 180C)를 접속하는 입수 단부(130A, 130B, 130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입수 단부(130A)에는 급수 튜브(180A)가 접속되어, 통상의 "엉덩이 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공급된다. 입수 단부(130B)에는 급수 튜브(180B)가 접속되어, "비데 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공급된다. 입수 단부(130C)에는 급수 튜브(180C)가 접속되어, "선회 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공급된다.
도 43a 및 도 43b는 제1 실린더(200)의 스토퍼(220)를 2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스토퍼(220)에는, 4개의 관통 구멍(225A, 225B, 225C, 225D)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225A)에는 급수 튜브(180A)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225B)에는 급수 튜브(180B)가 삽입되고, 관통 구멍(225C)에는 급수 튜브(180C)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225D)에는 플렉시블 랙(610)이 삽입된다.
급수 튜브(180AA∼180C)가 관통 구멍(225A∼225C)의 내벽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여, 도 37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마찰력이 발생한다. 급수 튜브(180A∼180C)의 후퇴에 연동하여 제1 실린더(200)를 후퇴시킬 수 있다.
도 44a 및 도 44b는, 제2 실린더(300)의 스토퍼(320)를 2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2 실린더(300)의 후단에는, 급수 튜브(180A∼180C)의 굴곡 방향으로 개구되는 노치(300S)가 마련되어 있다. 이 노치(300S) 주위에 스토퍼(32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20)는 단일의 관통 구멍(325)을 갖는다. 3개의 급수 튜브(180A∼ 180C) 및 플렉시블 랙(610)은 모두 이 관통 구멍(325)에 적절하게 삽입된다. 굴곡된 3개의 급수 튜브(180A∼180C) 중에서, 특히 급수 튜브(180A, 180B)가 관통 구멍(325)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여, 도 37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마찰력을 발생시켜, 급수 튜브(180A, 180B)의 후퇴에 연동하여 제2 실린더(300)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320)의 하부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오목부(326)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326)는 베이스(700)에 설치된 레일(710)(도 38 참조)에 끼워 맞춰져, 제2 실린더(3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45는 노즐 세정실(500)을 전방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6은 노즐 세정실(500)을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본 개략도이다.
본 예에서의 노즐 세정실(500)은 아래쪽이 개구되어 있는 점에서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지만, 전방에서 세정 노즐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점에서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상이하다. 또한, 노즐 세정실(500)의 선단 부근의 좌우 양측에 지지체(5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7은, 지지체(550)의 사시도이다.
지지체(550)는 노즐 세정실(500)의 양측에, 예컨대 스냅 피팅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들 지지체(550)는, 세정 노즐이 신장된 상태에서 제2 실린더(300)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좌우 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예컨대 노즐 헤드(100)로부터 맥동수를 토출시키는 경우에, 세정 노즐이 진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체(550)를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하면, 진동을 흡수 하여 방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예는, 베이스(70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방지벽(720)을 구비한다. 방지벽(720)은 노즐 세정실(500)의 아래쪽 개구의 후방을 막고, 노즐 세정실(500) 안에서 토출된 세정수가 위생 세정 장치 본체(800)의 내부 후방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예컨대 노즐 세정실(500)의 전방으로부터 소변 등이 침입한 경우에, 방지벽(720)을 설치하여 이들 소변 등이 위생 세정 장치 본체(800)의 내부 후방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51은, 본 예의 세정 노즐의 후퇴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8은, 위생 세정 장치 본체(800)의 케이스 플레이트(801)에 부착된 세정 노즐의 완전 신장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3개의 급수단부(186A∼186C)에 각각 접속된 3개의 급수 튜브(180A∼180C)는 크게 굴곡되어 제2 실린더(300) 내로 인입되어 있다. 이들 3개의 급수 튜브 중에, 특히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급수 튜브(180A, 180B)는 제2 실린더(300)의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에 강한 압력으로 접촉하여, 큰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후퇴 동작을 위해 플렉시블 랙(610)이 당겨지면, 급수 튜브(180A, 180B)의 후퇴 동작에 연동하여 제2 실린더(300)도 후퇴하기 시작한다.
제2 실린더(300)가 후퇴함에 따라,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과 급수 튜브(180A, 180B)의 접촉 상태가 조금씩 변화한다. 예컨대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가 스트로크단까지 후퇴한 때에는, 급수 튜브(180A, 180B)가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에 거의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급수 튜브(180A, 180B)와 스토퍼(320) 사이에 마찰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때에, 급수 튜브(180A∼180B)와 제1 실린더(200)의 스토퍼(220)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제1 실린더(200)에 후퇴를 위한 구동력이 전파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실린더(200)가 후퇴할 때에, 제2 실린더(300)와 베이스(700) 사이의 마찰력이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으면, 제2 실린더(300)도 연동하여 후퇴한다.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00)가 그 스트로크단까지 후퇴하면, 급수 튜브(180A, 180B)는 스토퍼(320)의 관통 구멍(325)의 내벽을 미끄러지면서 추가로 계속해서 후퇴한다. 이때에도, 급수 튜브(180A∼180C)는 크게 굴곡되어 있으므로, 이들 튜브를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1 실린더(200)의 스토퍼(220)의 관통 구멍(220A∼220C)(도 43 참조)의 각각의 내벽에 급수 튜브(180A∼180C)가 압력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한다. 스토퍼(220)의 경우에는, 3개의 관통 구멍(220A∼220C) 각각에서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3개의 급수 튜브(180A∼180C)로부터 제1 실린더(200)로 후퇴를 위한 힘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00)가 그 스트로크단까지 후퇴하면, 급수 튜브(180A∼180C)는 스토퍼(320, 220)의 관통 구멍의 내벽을 미끄러지면서 계속 후퇴한다. 그 후,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헤드(100)가 후퇴하여, 세정 노즐이 완전히 수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 튜브(180A∼180C)를 굴곡시켜, 스토퍼에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의 순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급수 튜브(180A∼180C)와 스토퍼(320) 사이의 마찰력이 다소 작은 경우라도, 노즐 헤드(100)와 제1 실린더(200) 사이의 마찰력과,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의 마찰력이, 제2 실린더(300)와 베이스(700)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면, 노즐 헤드(100)의 후퇴에 연동하여, 제1 실린더(200) 및 제2 실린더(300)를 후퇴시킬 수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이러한 각 요소의 마찰력 사이의 대소 관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노즐 헤드(100)와 제1 실린더(200) 사이의 마찰력과, 제1 실린더(200)와 제2 실린더(300) 사이의 마찰력은 세정 노즐이 완전히 신장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커진다. 예컨대 도 26 및 도 27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신장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오목부가 스토퍼의 볼록부와 결합함으로써, 보다 강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세정 노즐을 완전히 신장된 상태로부터 후퇴시킬 때에는, 제2 실린더(300)로부터 순서대로 후퇴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따라서, 예컨대 세정 노즐을 후퇴시키기 위해서는, 일단 완전히 신장된 후에 후퇴하기 시작하면, 제2 실린더(300), 제1 실린더(200), 노즐 헤드(100)의 순으로 후퇴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도 있다.
이상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노즐 헤드나 실린더의 형상 이나 구조, 수, 배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도 본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하고 있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컨대 제3 실린더(400)를 베이스(70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켜, 세정 노즐의 진출시에 제2 실린더(300)를 노즐 세정실(500)로부터 완전히 진출 방향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6을 참고로 하여 전술한 특징 부분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서로 임의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조합에 의해 얻어진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도, 본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하는 한에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에 포함되는 탈취 장치, 온풍 건조 장치, 착좌 센서, 케이스, 리모콘, 좌변기, 하부 탱크와 같은 각 요소를 적절하게 설계 변경하여,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실시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변경도 본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하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를 기초하여,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모든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변기 장치에서, 다단식의 세정 노즐을 정확하게 진출/후퇴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토수구를 갖는 노즐 헤드;
    상기 노즐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노즐 헤드에 접속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 튜브;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중 하나 이상을 진출 또는 후퇴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일단이 상기 노즐 헤드에 접속된 플렉시블 랙;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플렉시블 랙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달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 중 하나 이상을 진출하거나 후퇴시키고,
    상기 플렉시블 랙은 금속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피복하는 수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진출 상태에서 상기 제1 실린더에 접촉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는 진출 상태에서 상기 제2 실린더에 접촉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가 후퇴 상태로부터 진출할 때에,
    상기 전달 기구가 상기 플렉시블 랙에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면, 상기 노즐 헤드가 진출하며,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실린더에 접촉할 때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실린더가 연동하여 진출하며,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실린더에 접촉할 때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가 연동하여 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린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크며,
    상기 제2 실린더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고, 2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갖는 제1 다이어프램;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내측에 설치되며, 2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랙은, 상기 제1 다이어프램의 2개의 관통 구멍 중 하나와, 상기 제2 다이어프램의 2개의 관통 구멍 중 하나를 관통하며,
    상기 급수 튜브는, 상기 제1 다이어프램의 2개의 관통 구멍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2 다이어프램의 2개의 관통 구멍 중 다른 하나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를 세정할 수 있는 노즐 세정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린더는 진출 상태에서 상기 노즐 세정실을 통과하거나, 상기 노즐 세정실의 진출측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가 진출 상태로부터 후퇴될 때에,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를 연동하여 후퇴시킨 후에,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실린더를 연동하여 후퇴시키고, 그 후에 상기 노즐 헤드를 더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플렉시블 랙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 수단; 및
    상기 제2 실린더와 상기 플렉시블 랙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를 진출 상태로부터 후퇴시킬 때에, 상기 제1 제어 수단이 제1 실린더를 상기 플렉시블 랙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이 제2 실린더를 상기 플렉시블 랙의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실린더를 후퇴시킨 후에, 상기 제1 제어 수단이 제1 실린더를 상기 플렉시블 랙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이 제2 실린더와 상기 플렉시블 랙의 결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실린더를 후퇴시키며, 그 후에 상기 제1 제어 수단이 제1 실린더와 상기 플렉시블 랙의 결합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즐 헤드를 더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플렉시블 랙에 대하여 압박된 결합 부재와, 상기 플렉시블 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 부재에 작용력을 미치는 결합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가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노즐 헤드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노즐 세정실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튜브는 굴곡되고,
    상기 급수 튜브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외측에 설치된 급수단부에 접속되며,
    상기 급수 튜브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를 통해서 상기 노즐 헤드에 접속되고,
    상기 급수 튜브가 상기 제2 실린더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1 및 제2 실린더를 연동하여 후퇴시키는 구동력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실린더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의 후방에 설치된 제1 후방 부재;
    상기 제1 실린더의 전방에 설치된 제1 전방 부재;
    상기 제1 실린더의 후방에 설치된 제2 후방 부재;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전방에 설치된 제2 전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제1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출했을 때에, 상기 제1 후방 부재와 상기 제1 전방 부재가 접촉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실린더에 대한 상기 노즐 헤드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며,
    상기 제1 실린더가 상기 제2 실린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출했을 때에, 상기 제2 후방 부재와 상기 제2 전방 부재가 접촉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실린더에 대한 상기 제1 실린더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세정하도록 조작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노즐 헤드와 실린더 중 적어도 일부를 청소하도록 조작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조작 시에, 상기 전방 부재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후방 부재의 쌍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결합 상태로 되지 않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조작 시에, 상기 전방 부재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후방 부재의 모든 쌍은 결합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부재 각각은 결합 오목부와 돌출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부재 각각은, 결합 오목부와 돌출부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부재와 상기 전방 부재가 접촉할 때, 상기 결합 오목부가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각각은, 상기 진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된 결합 돌기부(engaging thread)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부재 각각은 유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헤드 및 상기 실린더는, 그 후방 부재에 설치된 상기 유지 오목부와, 이 유지 오목부에 인접하여 상기 실린더에 설치된 상기 결합 돌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출 및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15. 좌변기와,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장치.
KR1020087022186A 2006-02-10 2008-09-10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 KR101274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4531A JP5111769B2 (ja) 2006-02-10 2006-02-10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JP-P-2006-00034531 2006-02-10
JP2006043846A JP4391484B2 (ja) 2006-02-21 2006-02-21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JP-P-2006-00043846 2006-02-21
JPJP-P-2006-00150744 2006-05-30
JP2006150744A JP4793992B2 (ja) 2006-02-01 2006-05-30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PCT/JP2007/052415 WO2007091691A1 (ja) 2006-02-10 2007-02-09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183A KR20090008183A (ko) 2009-01-21
KR101274402B1 true KR101274402B1 (ko) 2013-06-14

Family

ID=3834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86A KR101274402B1 (ko) 2006-02-10 2008-09-10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61580B2 (ko)
EP (1) EP1988225B1 (ko)
KR (1) KR101274402B1 (ko)
TW (1) TW200738941A (ko)
WO (1) WO2007091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8066A1 (en) * 2006-06-14 2009-04-30 Riotec Co., Ltd. Optical system for barcode scanner
US8065755B2 (en) * 2009-04-24 2011-11-29 David Chen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KR101513109B1 (ko) * 2009-09-30 2015-04-17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CN102061735B (zh) * 2009-11-17 2015-08-19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喷射构件组件
PL2568089T3 (pl) 2011-09-12 2020-05-18 Geberit International Ag Zastosowanie urządzenia mocującego WC i toalety myjącej
DK2626478T3 (da) * 2012-02-07 2014-08-18 Geberit Int Ag Vaske-WC med rengøringsindretning til vaskearm
WO2014136371A1 (ja) * 2013-03-04 2014-09-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6571457B2 (ja) * 2015-08-31 2019-09-04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CN106812197B (zh) * 2015-12-01 2019-10-18 哈尼·A·阿布纳梅赫 马桶便盆排气系统
US9957704B2 (en) * 2016-04-15 2018-05-01 2Go Products Llc Bidet nozzle insert
US10912878B2 (en) 2016-05-06 2021-02-09 Whole Bath, Llc Seat and cover system with medical units
US11479957B2 (en) 2016-05-06 2022-10-25 Bemis Manufacturing Company Medicine delivery, wash, clean and air dry system
WO2017193111A1 (en) 2016-05-06 2017-11-09 Whole Bath, Llc A seat and cover system with dynamic spray nozzle
US10519644B2 (en) 2016-05-06 2019-12-31 Whole Bath, Llc Dynamic drying mechanism for a wash and clean system
US10563390B2 (en) 2017-12-19 2020-02-18 Whole Bath, Llc Wash and clean apparatus
US11253114B2 (en) 2016-05-06 2022-02-22 Whole Bath, Llc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US11458260B2 (en) 2016-07-16 2022-10-04 Bemis Manufacturing Company Spray canister device with removable sleeved cover
US10869583B2 (en) 2016-07-16 2020-12-22 Whole Bath, Llc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CN110022741A (zh) 2016-08-11 2019-07-16 荷鲁贝斯有限公司 具有内建清洁器组件的清洗系统及方法
US10851533B2 (en) * 2018-06-01 2020-12-01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TWI710346B (zh) * 2018-08-17 2020-11-21 日商Toto股份有限公司 衛生洗淨裝置
US11242192B2 (en) 2019-05-30 2022-02-08 Whole Bath, Llc Spray canister device
JP6765644B1 (ja) * 2019-06-14 2020-10-0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11445869B2 (en) 2019-07-15 2022-09-20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assembly
US11739516B2 (en) 2019-07-15 2023-08-29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assembly
US20210315751A1 (en) * 2020-04-13 2021-10-14 Neville Cameron Commode wheelchair
CN111877483B (zh) * 2020-06-29 2021-08-03 海益(厦门)建材工业有限公司 无电式冲洗盖板的冲洗装置
CN111877482B (zh) * 2020-06-29 2021-08-03 海益(厦门)建材工业有限公司 无电式冲洗盖板的自清洗装置及方法
HRP20231329T1 (hr) * 2020-10-28 2024-02-16 Geberit International Ag Upotreba uređaja za tuširanje dizajniranog za montiranje na školjku
CN113026886A (zh) * 2021-03-29 2021-06-25 深圳市恒致云科技有限公司 智能马桶喷枪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马桶
JP7408056B2 (ja) * 2021-06-14 2024-01-0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11913212B2 (en) * 2023-09-29 2024-02-27 Xiamen Shengborui Technology Co., Ltd. Bidet folding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95Y1 (ko) * 2003-09-26 2003-12-11 요요전자 주식회사 비데의 노즐 구조
KR101196154B1 (ko) 2008-05-14 2012-10-30 파나소닉 주식회사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6021C3 (de) * 1976-10-12 1979-05-23 Hans Zollikerberg Zuerich Maurer (Schweiz) Unterdusche für Klosetts
JPS5829945A (ja) 1981-08-17 1983-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浄器の洗浄ノズル
JPS5965138A (ja) * 1982-10-06 1984-04-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S59102031A (ja) 1982-12-01 1984-06-12 東陶機器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S6068855A (ja) 1983-09-26 1985-04-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H07111815B2 (ja) 1984-07-23 199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イジタル信号記録方式
JPS6132267U (ja) 1984-07-26 1986-02-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のノズル駆動装置
US4628548A (en) * 1985-03-23 1986-12-16 Toto Ltd. Device and method of moving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slidable body such as used for body cleansing
US5050249A (en) * 1987-05-28 1991-09-2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Human private parts washing apparatus
JPH01100509A (ja) 1987-10-13 1989-04-18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出力装置
JPH0533046Y2 (ko) * 1987-12-23 1993-08-24
JP2939257B2 (ja) * 1988-08-29 1999-08-25 小糸工業株式会社 噴射ノズル位置駆動制御方法及びこの方法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JPH02213534A (ja) 1989-02-15 1990-08-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便座
JPH03250127A (ja) * 1990-02-28 1991-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洗浄ノズル駆動装置
JP2516190Y2 (ja) * 1990-06-18 1996-11-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US5208922A (en) * 1990-09-29 1993-05-1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anitary device
JP3453945B2 (ja) 1995-09-19 2003-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3042429U (ja) 1996-04-18 1997-10-21 第一化成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の噴射ノズル駆動機構
JPH1171800A (ja) * 1997-08-28 1999-03-16 Toto Ltd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機構
JP4043563B2 (ja) 1997-10-15 2008-02-06 電気興業株式会社 昇降装置
JP4058653B2 (ja) 1998-05-20 2008-03-12 株式会社日立ハウステック 人体局部洗浄装置
US6754912B1 (en) * 1999-01-25 2004-06-29 Toto Ltd. Human body cleaner
JP2000309973A (ja) 1999-04-28 2000-11-07 Toto Ltd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機構
JP3718090B2 (ja) * 1999-10-29 2005-11-16 東陶機器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1254425A (ja) * 2000-03-14 2001-09-21 Aisin Seiki Co Ltd 衛生洗浄装置
JP4264192B2 (ja) 2000-11-24 2009-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02242484A (ja) 2001-02-15 2002-08-28 Fuji Beesu:Kk 軸回転防止用支持柱
JP2002307334A (ja) 2001-04-18 2002-10-23 Seiwa Kk 伸縮ハンドル
US7484251B2 (en) * 2004-05-18 2009-02-03 Lin Yi Huang Lavatory jet assembly
US7954181B2 (en) * 2004-07-12 2011-06-07 Izen Co., Ltd. Bidet having enema function
JP2006249862A (ja) 2005-03-14 2006-09-21 Aisin Seiki Co Ltd 温水洗浄便座のノズルユニット
KR200432068Y1 (ko) * 2006-08-29 2006-11-30 주식회사 노비타 온수세정기의 공기혼입용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795Y1 (ko) * 2003-09-26 2003-12-11 요요전자 주식회사 비데의 노즐 구조
KR101196154B1 (ko) 2008-05-14 2012-10-30 파나소닉 주식회사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8225A1 (en) 2008-11-05
KR20090008183A (ko) 2009-01-21
TW200738941A (en) 2007-10-16
WO2007091691A1 (ja) 2007-08-16
EP1988225B1 (en) 2015-07-01
EP1988225A4 (en) 2011-12-07
US8161580B2 (en) 2012-04-24
TWI336365B (ko) 2011-01-21
US20100162475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402B1 (ko) 위생 세정 변기 시트 장치 및 변기 장치
JP4793992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111769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RU2376423C2 (ru) Душ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4391484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US6477720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having automatic nozzle pipe washer
JP4831739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104625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824040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836631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836602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429958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196154B1 (ko)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JP200927539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09303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632357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4356425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3032645A (ja) 温水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JP7439574B2 (ja) 局部洗浄装置
JP484019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1202434A (ja) 衛生洗浄装置
JPH07194497A (ja) 局部水洗具
JP2004293091A (ja) トイレ装置
JP2008223312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100008271U (ko) 비데의 노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