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765B1 -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 Google Patents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765B1
KR101265765B1 KR1020120111429A KR20120111429A KR101265765B1 KR 101265765 B1 KR101265765 B1 KR 101265765B1 KR 1020120111429 A KR1020120111429 A KR 1020120111429A KR 20120111429 A KR20120111429 A KR 20120111429A KR 101265765 B1 KR101265765 B1 KR 10126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fryer
cooling
coo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찬
Original Assignee
김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찬 filed Critical 김용찬
Priority to KR102012011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볼트의 체결 정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지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되며, 튀김이 가능하도록 기름 및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공기의 유출입을 통해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로 및 수용부의 일측을 분할시켜 냉각부를 구성하고, 물과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분할 격벽이 구성된 튀김 본체; 상기 튀김 본체의 냉각부에 구성되며, 유입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으로부터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동기, 응축기, 순환라인으로 구성된 냉동장치; 및 상기 튀김 본체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는 히팅패널과, 냉각수단의 작동 여부와, 냉각수단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Sediment removal for Fryer}
본 발명은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과 물의 비중의 차이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냉각코일로 이루어진 냉각코일을 구성함으로써, 저온과 고온의 열편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류현상을 통해 기름과 물 사이에 존재하는 튀김가루 등과 같은 찌꺼기를 분리 및 제거하여 찌꺼기가 물의 바닥에 장기간 보존함에 따라 발생하는 물 또는 기름의 오염, 물과 기름의 빈번한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이 가능한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기는 물은 사용하지 않고, 기름만을 튀김통에 넣고 기름전체를 가열하여 튀기는 방법이 있고, 물과 기름을 함께 튀김통에 넣은 다음에 물과 기름의 분리 특성을 이용하여 기름만을 가열하여 튀기는 방법이 있다. 기름만을 이용하여 튀기는 경우에는, 튀김통 내벽에 튀김찌꺼기가 달라붙거나, 기름과 혼합되어 계속해서 가열되므로 기름의 산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기름만을 이용하는 튀김기의 경우에는, 튀김통 내부 및 기름이 쉽게 오염되며, 그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기름이 빨리 산화되기 때문에, 기름을 새것으로 자주 바꾸어주어야 하므로, 그로 인한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수 분리형 튀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튀김기 본체(110)와; 튀김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소정 수위로 수용되는 제1부분(112)과, 기름이 수용되는 제2부분(122)으로 구분되는 튀김통(120)과; 튀김통(120)의 제2부분(122)에 설치되는 히터(130)와; 히터(130)의 하부에 위치되며, 기름과 물의 경계부분에서 기름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기름의 열이 상기 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각부(140)와; 제2부분(122)의 하단부분에 설치되어 튀김통(120) 내의 물과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50)와; 냉각부(140)의 상면에 적재되며, 기름의 열을 판면에서 제2부분(122)으로 반사시켜 기름의 열이 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반사판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물과 기름이 분리되는 특성을 이용한 유수 분리형 튀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물과 기름을 튀김통(120) 내부에 함께 넣더라도, 비중의 차이에 의해서 기름은 뜨고 물은 가라앉게 된다. 상부의 기름만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되면, 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튀김가루나 찌꺼기는 아래로 가라앉아서 물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기름은 깨끗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기름의 산화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되어 기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튀김통(120) 내부에 물과 기름을 함께 넣은 상태에서 기름만을 가열하도록 기름이 채워지는 부분에 히터(130)가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튀김통(120) 내부에 물과 기름의 비율을 정확하게 하여 넣지 않게 되면, 기름을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물의 비율이 더 많은 경우, 물이 냉각부(140)의 윗 부분까지 차 올라오게 됨으로써, 물까지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물까지 가열하게 되면, 기름을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물이 가열됨으로써, 물속에 남은 찌꺼기들이 빨리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름을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88092호(2012.08.08.)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름과 물의 비중의 차이로 분리 구성되도록 하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에 냉각코일로 이루어진 냉각코일을 구성함으로써, 저온과 고온의 열편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류현상을 통해 기름과 물 사이에 존재하는 튀김가루 등과 같은 찌꺼기를 분리 및 제거하여 찌꺼기가 물의 바닥에 장기간 보존함에 따라 발생하는 물 또는 기름의 오염, 물과 기름의 빈번한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와류현상으로 인하여 튀김재를 투입시, 기름과 물의 혼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버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볼트의 체결 정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지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되며, 튀김이 가능하도록 기름 및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공기의 유출입을 통해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로 및 수용부의 일측을 분할시켜 냉각부를 구성하고, 물과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분할 격벽이 구성된 튀김 본체; 상기 튀김 본체의 냉각부에 구성되며, 유입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으로부터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동기, 응축기, 순환라인으로 구성된 냉동장치; 및 상기 튀김 본체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는 히팅패널과, 냉각수단의 작동 여부와, 냉각수단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튀김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로는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로 인해 기름의 온도를 낮추는 제1공기 유출입관과, 상기 제1공기 유출입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주에는 공기가 유출입하고, 외주에는 물의 흐름에 대한 방향을 안내하는 제2공기 유출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는 수용된 물과 기름의 배출을 위해서 배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튀김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냉각부의 냉각수단과 냉동장치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 히팅패널을 제어하여 기름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가열 제어부; 및 상기 각각의 제어부들의 제어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에는 분할 격벽의 순환홀에 구성되며, 유입되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그물망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체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찌꺼기만 걸러내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홀에 지지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패널; 및 상기 순환홀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과 고온의 열편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류현상을 통해 기름과 물 사이에 존재하는 튀김가루 등과 같은 찌꺼기를 분리 및 제거하여 찌꺼기가 물의 바닥에 장기간 보존함에 따라 발생하는 물 또는 기름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튀김시 소요되는 기름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의 와류현상으로 인하여 튀김재를 투입시, 기름과 물의 혼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버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는 튀김기를 지면에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튀김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지지 하우징(110), 지지 하우징(110)에 고정되며, 튀김이 가능하도록 기름 및 물이 수용되는 튀김 본체(120), 튀김 본체(12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기름의 하부에 구성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210), 튀김 본체(120)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고, 냉각수단(21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냉각수단(210)으로부터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동기(142), 응축기(144), 순환라인(146)으로 구성된 냉동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하우징(110)은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튀김 본체(120), 제어부(130)가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튀김 본체(120)의 수용부(122)와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112)과, 이 상부 하우징(112)의 각 모서리부에 구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하여 튀김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다리(1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112)에는 냉각부(200)와 냉동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설치되며,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용이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 하우징(110)의 지지다리(114) 하단에는 지면과 수직하게 튀김 본체(1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볼트의 체결 정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116)이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수단(116)의 단부에는 지면과의 밀착력을 강화하는 고무패킹(118)이 구성되며, 지지다리(114) 사이에는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프레임(117)이 구성된다.
튀김 본체(120)는 내부에 기름과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22)가 형성되는 본체부(121)가 형성되며, 수용부(122)의 내부에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기름을 가열시키는 히팅패널(132)이 설치된다.
또한, 튀김 본체(120)에는 본체부(121) 및 수용부(122)를 관통 형성하되, 본체부(12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어지는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튀김 본체(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여 공기가 통과하도록 중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관로는 기름과 물 중 기름이 위치하는 수용부(122)의 상측에 위치하며, 기름이 위치하는 부분에 구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로 인하여 기름의 온도를 일정 수준까지 낮추도록 하는 제1공기 유출입관(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공기 유출입관(124)의 하부에 형성되며, 관통형성되는 내주에는 공기가 유출입하고, 외주면에는 대류 현상으로 인해 회전하는 물의 흐름에 대한 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제2공기 유출입관(126)이 구성된다.
또한, 수용부(122)의 하측에는 수용된 물과 기름의 배출을 위해서 배출부(15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배출부(150)는 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고, 나아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전자 제어밸브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수용부(122)의 일측에 물과 튀김가루 등의 찌꺼기가 물의 대류현상을 통해 유입되도록 냉각수단(210)이 설치되는 분할격벽(125)이 형성된다.
분할 격벽(125)은 본체부(121)의 일측 내벽과 수용부(122) 사이를 차단하여 수용부(122)에 수용된 물이 냉각수단(210)의 작동에 따라 물의 온도차를 발생시키고, 이 온도차를 이용하여 분할 격벽(125)을 통해 형성된 순환홀(202)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할 격벽(125)에는 수용부(122)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통해 가열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210)이 구성된다.
또한, 분할 격벽(125)으로 인해 형성되는 순환홀(202)의 상측은 상측 및 하측 단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측으로는 상부 하우징(112)과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수용부(122)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유수 분리형 튀김기의 튀김 본체(120)는 분할 격벽(125)을 통해 수용부(122)를 분할 구성하여 튀김이 이루어지도록 기름 및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 수용부(122)와, 이 수용부(122)의 일측으로 형성된 분할 격벽(125)에 의해 형성되어 가열된 물을 냉각시켜, 물의 온도차를 이용한 대류현상을 발생시키는 냉각부(200)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분할 격벽(125)에는 수용부(122)에 수용된 물과 기름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며, 냉각수단(210)의 작동에 따라 가열된 물이 냉각부(200)측으로 유입되도록 유입홀(204)이 형성된다.
이때, 가열된 물과 함께 존재하는 튀김가루의 찌꺼기가 함께 유입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냉각수단(210)은 냉각코일로 구성되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른 냉동장치(140)의 작동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냉각수단(210)은 일측이 분할 격벽(125)의 내측 다시말해, 순환홀(202)의 내주에 형성되되, 유입홀(20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유입홀(204)을 통해 유입되는 가열된 물의 냉각을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유수 분리형 튀김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튀김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제어부(135)와, 냉각부(200)를 제어하고, 냉동장치(14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137) 및 히팅패널(132)을 제어하여 기름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가열 제어부(139)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어부들의 제어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 결과라 함은 전원 제어부(135)를 통해 제어되는 전원의 온, 오프 상태, 그리고 냉각 제어부(137)를 통해 제어되는 냉각부(200)의 구동여부, 냉각수단(210)의 구동에 따른 냉각온도, 냉각시간 등을 표시하며, 가열 제어부(139)를 통해 제어되는 기름의 가열온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가열 제어부(139)를 통해 구동되는 히팅패널(132)에 의해 가열된 기름을 통해 튀김이 진행되면서 비중의 차이로 인한 물 역시 일정 온도까지 가열이 진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발생하는 튀김가루 등과 같은 찌꺼기는 물과 기름의 경계선상에 떠 있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냉각 제어부(137)의 제어에 따라 냉각부(200)를 구성하는 냉동기(142), 응축기(144), 순환라인(146)으로 구성된 냉동장치(140)가 작동하면서 냉각수단(210)이 구동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냉각수단(210)의 냉기로 인해서 가열된 물과 찌꺼기가 분할 격벽(125)에 형성된 유입홀(204)측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면서 찌꺼기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냉각된 물은 순환홀(202)의 관통된 하측을 통해 다시 수용부(122)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면서 물의 상측부는 가열된 상태로, 하측부는 냉각된 상태로 구성되어 이 온도차로 인해 대류현상이 발생하면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분할 격벽(125)에는 순환홀(202)에 구성되며, 유입되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그물망체(310)가 구성된다.
그물망체(310)는 냉각수단(210)의 내주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유입되는 물은 통과시키고, 이 물과 함께 유입되는 찌꺼기만이 걸러지도록 그물망(314)이 형성되며, 그물망(314)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312)이 형성된다.
고정프레임(312)의 일측에는 유입홀(204)에 지지되어 그물망체(310)가 안정적으로 분할 격벽(125)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패널(316)이 형성된다.
또한, 그물망체(310)는 순환홀(202)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12)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고정돌기(324)가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12)에는 이 고정돌기(324)가 삽입되는 삽입홀(3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수 분리형 튀김기는 저온과 고온의 열편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류현상을 통해 기름과 물 사이에 존재하는 튀김가루 등과 같은 찌꺼기를 분리 및 제거하여 찌꺼기가 물의 바닥에 장기간 보존함에 따라 발생하는 물 또는 기름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튀김시 소요되는 기름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지지 하우징 112: 상부 하우징
114: 지지다리 120: 튀김 본체
121: 본체부 122: 수용부
124: 제1공기 유출입관 126: 제2공기 유출입관
130: 제어부 132: 히팅패널
134: 표시부 135: 전원 제어부
137: 냉각 제어부 139: 가열 제어부
140: 냉동기 144: 응축기
146: 순환라인 150: 배출부
200: 냉각부 210: 냉각수단
310: 그물망체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볼트의 체결 정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지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되며, 튀김이 가능하도록 기름 및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공기의 유출입을 통해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관로 및 수용부의 일측을 분할하고, 물과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며, 유입되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그물망체가 구비된 분할 격벽으로 이루어진 냉각부를 포함하는 튀김 본체;
    상기 튀김 본체의 냉각부에 구성되며, 유입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상기 냉각수단으로부터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냉동기, 응축기, 순환라인으로 구성된 냉동장치; 및
    상기 튀김 본체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하는 히팅패널과, 냉각수단의 작동 여부와, 냉각수단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장치를 제어하고, 튀김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제어부와, 상기 냉각부의 냉각수단과 냉동장치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와, 히팅패널을 제어하여 기름의 가열 온도를 설정하는 가열 제어부 및 상기 각각의 제어부들의 제어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로는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로 인해 기름의 온도를 낮추는 제1공기 유출입관과,
    상기 제1공기 유출입관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주에는 공기가 유출입하고, 외주에는 물의 흐름에 대한 방향을 안내하는 제2공기 유출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는 수용된 물과 기름의 배출을 위해서 배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체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찌꺼기만 걸러내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홀에 지지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패널; 및
    상기 순환홀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KR1020120111429A 2012-10-08 2012-10-08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KR10126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429A KR101265765B1 (ko) 2012-10-08 2012-10-08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429A KR101265765B1 (ko) 2012-10-08 2012-10-08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765B1 true KR101265765B1 (ko) 2013-05-16

Family

ID=4866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429A KR101265765B1 (ko) 2012-10-08 2012-10-08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751A (ko) * 2015-01-02 2016-07-12 한명수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20200106364A (ko) 2019-03-04 2020-09-14 김성중 냉각이 용이한 수유식 튀김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138B1 (ko) * 2010-04-13 2012-04-09 주식회사 청우이엔지 수유 튀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138B1 (ko) * 2010-04-13 2012-04-09 주식회사 청우이엔지 수유 튀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751A (ko) * 2015-01-02 2016-07-12 한명수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101643131B1 (ko) * 2015-01-02 2016-07-27 한명수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20200106364A (ko) 2019-03-04 2020-09-14 김성중 냉각이 용이한 수유식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306B2 (en) Fryer
CN101896101A (zh) 具有自动过滤和加注能力的低油量炸炉
KR101265765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JP4233576B2 (ja) 冷温水機
CN204232162U (zh) 具有自动供水及过升防止功能的水油混合油炸机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489407B1 (ko)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KR200477159Y1 (ko) 유수분리식 튀김기
KR20130134912A (ko) 멀티 냉각형 수유식 튀김기
KR200440640Y1 (ko) 튀김기
KR101214152B1 (ko)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KR101435494B1 (ko)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KR101643131B1 (ko)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91739B1 (ko)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밀폐형 튀김장치
KR20210101096A (ko)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JP2014014447A (ja) フライヤー排棄物排出方法及びフライヤー
KR20110084815A (ko) 튀김기
JP3084749U (ja) フライヤー装置
JP4967083B2 (ja) フライヤーの異物除去装置およびその異物除去方法
KR20130049282A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KR200479653Y1 (ko) 수유식 튀김기
KR20120111517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20130097455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355880B1 (ko) 국소가열구조의 살균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음용수 공급장치
KR20110053663A (ko) 기름 여과수단을 구비한 튀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