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494B1 -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494B1
KR101435494B1 KR1020120080856A KR20120080856A KR101435494B1 KR 101435494 B1 KR101435494 B1 KR 101435494B1 KR 1020120080856 A KR1020120080856 A KR 1020120080856A KR 20120080856 A KR20120080856 A KR 20120080856A KR 101435494 B1 KR101435494 B1 KR 10143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pipe
cool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558A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김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식 filed Critical 김경식
Priority to KR102012008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4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과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챔버가 구비되되,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냉각 수단을 구비하여 제1공간 상에서 온도차에 의한 대류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을 하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되게 하여 기름층에서의 탄화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으로 구성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튀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서 가열수단과 개폐밸브 사이에 열을 냉각하여 제1공간에 수용된 기름의 열이 제2공간에 수용된 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A Fried Equipment}
본 발명은 튀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과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챔버가 구비되되,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냉각 수단을 구비하여 제1공간 상에서 온도차에 의한 대류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을 하부의 제2공간으로 유입되게 하여 기름층에서의 탄화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우리나라에도 서구의 음식 문화들이 도입되고 기름에 튀긴 음식들이 다양해진 만큼 식용유를 사용하여 튀김 요리를 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식용유는 대개 콩기름, 옥수수기름 이외에도 올리브유, 포도씨유 등을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튀김기에 사용되는 식물성 식용유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화가 단시간 내에 잘 이루어지는데, 열이나 광선, 미량 금속에 의해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게 되어 유지의 연쇄적 산화 반응이 진행되어 산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기름 자체적으로도 고온의 열에 의해 클러스터(지방구)들이 생성되게 되어 기름이 혼탁해지고 점성이 높아진다. 또한, 식재료들에 의한 부유물이 공기와 산화 접촉되고 그것들이 고온에서 탄화되어 오일의 산패를 가속화시키게 된다.
식용유를 반복 사용하다 보면 식재료에서 배어나오는 동물성 유지와, 불순물, 찌꺼기, 지방산, 산화물 등이 함께 혼합되고, 튀김 찌꺼기들의 탄화로 변질되고 오염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져서 많은 양의 식용유가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자원의 낭비이며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기가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2243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튀김 챔버 내에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는 기름과 물을 수용하되 상기 기름층 내에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온도차에 의한 대류작용으로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물이 수용된 공간으로 유도하여 기름 내에 이물질이 배출함으로써 탄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는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으로 구성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튀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서 가열수단과 개폐밸브 사이에 열을 냉각하여 제1공간에 수용된 기름의 열이 제2공간에 수용된 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제1공간에서 상기 가열수단과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가 이동하는 냉각관과; 상기 제1공간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일측이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관과 연통되어 제2공간의 물을 냉각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관과; 일측이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관과 연통되어 냉각관의 냉각수를 상기 제2공간으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회수관과; 상기 냉각수공급관에 장착되어 냉각관으로 물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냉각수회수관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과 인접하도록 장착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챔버의 제1공간은 그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됨으로써 기름과 물이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2공간의 하부에 연통되어 수용된 물을 배출하되, 물에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역 "U"자 형으로 구성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어 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물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물여과부는 상기 토출관과 연통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통공판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여과통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가열수단은 연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소장치를 통해 연소되는 화력을 통과시켜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관; 및 상기 가열관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열관과 연통되어 가열관에서 방출되는 폐열이 순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측벽이 장착되는 것이거나, 그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방출판이 장착되어 열 전달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는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과 물이 수용되는 제1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챔버가 구비되되,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냉각 수단을 구비하여 제1공간 상에서 온도차에 의한 대류작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튀김 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을 하부의 제2공간으로 완전히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기름층에서의 탄화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제1공간에서 가열된 기름이 물과 접촉하여도 폭발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공간의 기름 내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기름의 색과 점도가 변화되는 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폐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탄화 물질이 미포함된 기름에 의해 튀김맛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배출부의 물여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열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튀김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배출부의 물여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열수단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튀김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11) 및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12)을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0)와, 상기 제2공간(12)의 상부와 연통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물유입관(30)과,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어 이물질이 함유된 기름을 배출시키는 기름배출관(40)과, 상기 제2공간(12)의 하부에 연통되어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관(50) 및 상기 제1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 사이에 냉각수단(7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의 열이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열된 기름과 물의 접촉으로 인한 폭발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각수단(70)이 구비됨으로써 온도차에 의한 대류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가열된 기름이 제1공간(11) 상에서 이동하여 이물질 등이 하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용이하게 제1공간(11)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이 제2공간(12)으로 유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수단(70)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챔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이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 내에 상기 각 구성들이 내재되어 있으며, 적어도 어느 일 측면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내재된 구성들에 대한 유지 보수 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은 상기 제1공간(11)의 개구된 상부가 노출되어 튀김용 식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그에 상응하는 부위 역시 개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비 사용시 개구 부위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뚜껑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은 튀김이 실시되는 공간으로 조리용 기름이 수용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상기 제2공간(12)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간(12)은 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상기 제1공간(11)에서 튀김이 실시될 경우 튀김 가루 내지 불순물과 같이 튀김용 식품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이를 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11)에서 반복적인 튀김이 실시되어도 이물질 등이 잔류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 내에서는 이물질들로부터 탄화 물질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름과 물은 서로 다른 비중차에 의해 혼합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챔버의 제1공간(11)은 그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과의 경계면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60)을 통해 가열되는 기름의 온도가 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공간(11)에 냉각수단(70)을 구비하여 근본적인 열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공간(11)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단열재(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바, 이를 통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을 보온하여 외부환경에 의한 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보완한다.
한편, 상기 개폐밸브(20)는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경계영역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20)는 평상시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이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제2공간(12)을 청소할 경우에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물배출관(50)을 통해 제2공간(12) 상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킬 경우에는 상기 개폐밸브(20)는 폐쇄시켜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이 상기 물배출관(50)으로 배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20)는 도 1등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관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물유입관(30)은 상기 제2공간(12)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제2공간(12)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은 외부의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500)가 장착되어 관을 개폐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공급 또는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기름배출관(40)은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의 경계영역 즉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 역시 그 끝단에 밸브(500)가 장착되어 관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며, 장치의 비 사용시 밸브(500)를 개방하여 상기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불순물과 기름막을 포함한 이물질 등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은 상기 기름배출관(40)을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는데, 이때는 앞서 설명한 개폐밸브(20)를 폐쇄하지 않고서도 배출이 가능하다.
상기 물배출관(50)은 상기 제2공간(12)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제2공간(12)에 수용된 물은 물론 상기 제1공간(11)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 등을 배출한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60)은 상기 제1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기름을 가열시키는 구성으로, 전기 가열식 내지 가스 가열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가열수단(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600)과, 상기 가스통(600)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610)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관 형상으로 상기 제1공간(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소장치(610)를 통해 연소되는 화염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으로 열을 방출하는 가열관(620)을 포함한다. 이처럼 가스불을 상기 가열관(620)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열수단(60)은 가열관(620)을 통과한 폐열을 이용한 보조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이중관(630)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이중관(630)은 상기 가열관(620)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열관(620)과 연통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되는 환기구(400)와 연결되어 상기 가열관(620)에서 방출되는 화염이 상기 이중관(630)을 순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60)의 열에너지를 이중관(630)에서 순환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60)의 가열관(620)은 그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측벽(621)이 장착되어 있어, 화염이 상기 측벽(621)의 구조에 의해 바로 방출되지 않고 일정 시간 유지되게 함으로써 열 전달의 효율을 상승시키게 함이 타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관(620)은 상술한 측벽(621)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방출판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출판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가열관(620)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되 그 형상이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방출되는 화염이 나선형 관을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열 전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수단(60)은 상기 제1공간(11)에서 가열수단(60)과 개폐밸브(20) 사이에 구성되어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11)에서 상기 가열수단(60)과 개폐밸브(20)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가 이동하는 냉각관(700)과, 상기 제1공간(11)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710)와, 일측이 상기 제2공간(12)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관(700)과 연통되어 제2공간(12)의 물을 냉각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관(720)과, 일측이 상기 제2공간(12)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관(700)과 연통되어 냉각관(700)의 냉각수를 상기 제2공간(12)으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회수관(730)과, 상기 냉각수공급관(720)에 장착되어 냉각관(700)으로 제2공간(12)의 물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순환펌프(740) 및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온도 센서(710)로부터 측정되는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순환펌프(7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냉각수단(7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순환펌프(74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2공간(12)의 낮은 온도를 갖는 물이 상기 제1공간(11)의 하부를 순환함에 따라 제1공간(11)의 기름 하부 온도는 상부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어 유체의 대류작용이 발생하게 되며 제1공간(11)의 상부 기름은 온도가 낮은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기름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2공간(12) 방향으로 유도된다.
이에 따라, 연속적인 대류작용으로 제1공간(11)의 상부 기름에 존재하던 이물질 등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기름과 함께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공간(11)의 하부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제2공간(12)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냉각수단(70)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제1공간(11)의 하부측 온도를 낮춰 탄화 물질이 발생하기 전에 기름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2공간(12)으로 유도하는 효과와 더불어 고온의 기름이 물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열수단(60)을 가열하여 튀김 요리가 가능하도록 기름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상승시키고, 충분히 가열된 기름에 튀김용 식품을 투입하여 튀김을 실시하게 된다.
튀김이 실시되는 중 튀김용 식품의 표면으로부터 튀김 가루, 불순물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의 일부는 상부로 상승하게 되지만 대부분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상기 제1공간(11)과 연통되는 제2공간(12)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공간(11)에 설치되는 냉각수단(70)은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냉각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 제1공간(11) 내에서 하부측 기름을 냉각함으로써 상부측 기름과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류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튀김 실시 중 상기 제2공간(12)으로 유입하지 않은 잔류 이물질 등은 대류작용에 따른 유체 이동에 따라 기름과 함께 하방향으로 강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공간(12) 방향으로 유도되어 용이하게 제2공간(12) 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1공간(11) 상의 이물질이 모두 제거되어 상기 제2공간(12)으로 유입되는 한편 상기 제1공간(11)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냉각수단(60)의 작동은 중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수단(70)은 상기 냉각관(700)으로부터 회수되는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공냉식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냉각수회수관(730)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750) 및 상기 라디에이터(750)과 인접하도록 장착되는 냉각팬(7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회수되는 냉각수가 라디에이터(750)를 통과하면서 충분히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라디에이터(750)는 냉각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동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는 상기 물배출관(5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여 외부의 하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80)는 상기 물배출관(50)과 연통되어 상기 제2공간(12)의 하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토출관(800)과, 상기 토출관(800)에 장착되는 물여과부(810)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관(800)은 역 "U"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U"자형의 형상에 기해 물이 토출관(800) 정점을 지나 낙하할 시에 사이펀 원리의 작용으로 강한 물의 흐름(W1)을 형성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공간(12)으로 유입된 물은 물론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함께 토출관(800)으로 흡입하여 배출됨으로써 제2공간(12)을 세척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역"U"자형의 토출관(800)의 수위는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의 수위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관의 높이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공간(12)의 청소 시 상기 물유입관(30)의 밸브(500)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시키게 되며, 토출관(800)의 수위가 최고점을 넘어 낙하함으로써 사이펀 원리가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여과부(810)는 상술한 토출관(800)의 하부에 설치되어 토출관(800)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여과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물여과부(810)의 구성의 일 예를 살펴보면, 상기 물여과부(810)는 상기 토출관(800)과 연통하는 수용공간(811)과, 상기 수용공간(811)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812-2)이 형성된 통공판(812-1)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812-1)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812-3)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812-3)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812-4)이 형성된 여과통(812)과, 상기 수용공간(811)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812-3)에 의해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8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물여과부(810)의 구성으로 인해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상기 토출관(800)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수용공간(811)에 장착된 여과통(812)으로 유입하게 되고, 여과통에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은 상기 통공판(812-1)을 통해 여과재(812-3)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등이 여과된다. 이후, 여과된 물은 여과통(812)에 형성된 복수의 유출공(812-4)을 통해 수용공간(811) 내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수용공간(811) 하부에 연통된 배출관(813)을 통해 최종적으로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재(812-3)는 그 재질에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기름과 물의 입자는 통과시키면서 탄화 물질을 포함한 이물질 등은 여과될 수 있는 어떠한 여과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반영구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며 물에 의한 부식성에 대항하도록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안착 및 분리되어 상기 제1공간(11) 내로 유입되는 튀김망(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튀김망(100)은 튀김용 식품을 수용하여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 내로 투입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안착턱(110)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크기를 달리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닭 튀김의 경우 1마리용 튀김망과 2 ~ 3마리용 튀김망 으로 그 크기가 각기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튀김망(100)을 이용하여 튀김용 식품을 조리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러(200)를 통해 상기 튀김망(100)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튀김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튀김망(100)의 안착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센서(21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튀김망(100)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각 튀김망(100)의 안착턱(110)이 안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수단(60)을 기설정된 시간과 온도로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2)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튀김의 실시 중 기름과 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가열수단(60)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컨트롤러(200)는 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200)를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230)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버튼(230)은 상기 제1공간(11)의 기름으로 열을 가함에 있어 그 시간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설정키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컨트롤러(200)의 정보데이터를 표출하도록 디스플레이(240)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제1공간(11) 및 제2공간(12)의 온도값은 물론 기설정된 조리 시간의 카운팅 등을 표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컨트롤러(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작동 시간의 카운팅 완료 시점에서 부져를 울려 사용자에게 작동 완료를 알리는 알림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하우징 11 : 제1공간
12 : 제2공간 13 : 단열재
20 : 개폐밸브 30 : 물유입관
40 : 기름배출관 50 : 물배출관
60 : 가열수단 70 : 냉각수단
100 : 튀김망 200 : 컨트롤러

Claims (10)

  1. 기름이 수용되는 제1공간 및 상기 제1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물이 수용되는 제2공간으로 구성되는 챔버와,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의 경계영역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어 수용된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튀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서 가열수단과 개폐밸브 사이에 열을 냉각하여 제1공간에 수용된 기름의 열이 제2공간에 수용된 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제1공간에서 상기 가열수단과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며 냉각수가 이동하는 냉각관과;
    상기 제1공간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일측이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관과 연통되어 제2공간의 물을 냉각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관과;
    일측이 상기 제2공간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냉각관과 연통되어 냉각관의 냉각수를 상기 제2공간으로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회수관과;
    상기 냉각수공급관에 장착되어 냉각관으로 물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냉각수회수관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과 인접하도록 장착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제1공간은
    그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의 하부에 연통되어 수용된 물을 배출하되, 물에 포함한 이물질을 여과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며 역 "U"자 형으로 구성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어 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물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여과부는
    상기 토출관과 연통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및 분리되며 일측에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통공판이 장착되고 상기 통공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되 상기 여과재를 감싸는 측면과 저면에는 복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여과통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여과재에 의해 여과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연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제1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연소장치를 통해 연소되는 화력을 통과시켜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관; 및
    상기 가열관의 측면에 이격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가열관과 연통되어 가열관에서 방출되는 폐열이 순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측벽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그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방출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KR1020120080856A 2012-07-24 2012-07-24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KR10143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56A KR101435494B1 (ko) 2012-07-24 2012-07-24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56A KR101435494B1 (ko) 2012-07-24 2012-07-24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58A KR20140014558A (ko) 2014-02-06
KR101435494B1 true KR101435494B1 (ko) 2014-08-28

Family

ID=5026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56A KR101435494B1 (ko) 2012-07-24 2012-07-24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02B1 (ko) * 2018-10-12 2020-02-24 임명출 유수 분리형 튀김기
KR20240030427A (ko) 2022-08-30 2024-03-07 박현희 감압식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튀김기 및 감압식 튀김유 이물질 제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125U (ko) * 1980-05-01 1981-12-02
JP3016622U (ja) * 1995-03-24 1995-10-09 リコー機器株式会社 水位警報機能を備えた揚げ物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2125U (ko) * 1980-05-01 1981-12-02
JP3016622U (ja) * 1995-03-24 1995-10-09 リコー機器株式会社 水位警報機能を備えた揚げ物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02B1 (ko) * 2018-10-12 2020-02-24 임명출 유수 분리형 튀김기
KR20240030427A (ko) 2022-08-30 2024-03-07 박현희 감압식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튀김기 및 감압식 튀김유 이물질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58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671B1 (ko)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튀김 장치
KR101204232B1 (ko) 성능 및 튀김유의 수명을 향상시킨 웰빙 수유식 튀김기
US6217923B1 (en) Method of frying food
KR101435494B1 (ko)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KR10134128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기식 튀김기
KR101523183B1 (ko) 수유식 튀김 장치
KR101489407B1 (ko)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CN204232162U (zh) 具有自动供水及过升防止功能的水油混合油炸机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416259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91739B1 (ko) 탄화물질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밀폐형 튀김장치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JP2007125145A (ja) フライヤー
KR101643131B1 (ko)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65764B1 (ko) 동물성 기름 제거가 용이한 튀김기
KR101265765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CN220735197U (zh) 隔水冷却式油炸机
KR20170059353A (ko) 유수 분리형 전기 튀김기
KR200324774Y1 (ko) 오일 필터링 기능을 갖는 튀김기계
KR20100114613A (ko) 수용성 튀김기계
KR20160059622A (ko) 냉각장치를 갖는 수유식 튀김용기의 튀김류 역류 방지장치
KR20130049282A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KR100817039B1 (ko) 순환 여과식 튀김기
KR20130117535A (ko) 유수분리형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