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613A - 수용성 튀김기계 - Google Patents

수용성 튀김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613A
KR20100114613A KR1020090033072A KR20090033072A KR20100114613A KR 20100114613 A KR20100114613 A KR 20100114613A KR 1020090033072 A KR1020090033072 A KR 1020090033072A KR 20090033072 A KR20090033072 A KR 20090033072A KR 20100114613 A KR20100114613 A KR 20100114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water
oil
heating tube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이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문 filed Critical 이종문
Priority to KR102009003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613A/ko
Publication of KR2010011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4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heated with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과 기름이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수용성 튀김기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용기(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열관(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20)의 입구부에는 가스가열식 버너(22)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관(20)의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튀김용기(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관(23)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튀김용기(10)의 후방에는 덕트(40)가 설치되는 수용성 튀김기계에 있어서,
튀김기름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관(20)의 상부측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는 세라믹판(50)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20)과 통기관(23) 사이의 중간지점에는 온도센서(31)와 함께 수냉식 냉각관(30)이 설치되며, 물이 위치하게는 튀김용기(10)의 하부측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는 마그네슘판(60)이 설치 구성되는 수용성 튀김기계이다.
튀김, 수용성, 세라믹, 마그네슘

Description

수용성 튀김기계{The water fry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용성 튀김기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기름이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튀김용기내의 하부에 물을 채우고, 물의 상부에 튀김용 기름을 채운 다음, 상부에 위치하는 기름에만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하는 과정에서, 튀김 찌꺼기는 기름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속에 자유낙하되어 잠기도록 하는 수용성 튀김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물 튀김기계는 튀김용기에 기름만을 채워서 음식물을 튀기게 되는 것으로서, 닭튀김, 감자튀김, 오징어튀김 등을 비롯한 각종 튀김류는 음식물에 밀가루나 빵가루 등을 입힌 다음, 튀김기름에 완전히 침지시켜 일정온도에서 기름을 가열하여 튀기게 된다.
그러나, 음식물이 튀겨지는 과정에서 튀김의 찌꺼기로 인해 기름이 산패되어 음식물의 고유의 맛과 색이 변할 뿐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불쾌한 냄새까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름의 산폐를 방지하기 위해 튀김의 찌꺼기를 튀김망채를 이용하여 건져내고는 있으나, 이 자체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더 중요한 문제점은 이처럼 튀김망채를 이용한 찌꺼기의 분리배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튀김용기의 하부에는 찌꺼기의 잔여물이 침전되면서, 기름속의 찌꺼기 부유물이 계속해서 가열됨으로써, 튀김기름의 산패가 지속된다는 것이다.
한편, 새로운 음식물을 튀기기 위해 튀김옷을 입힌 음식물을 기름속에 넣게되면, 전에 남아있던 튀김 찌꺼기가 먼저 튀겨지면서, 튀김 찌꺼기들이 새로운 튀김에 달라붙어서 겉만 타고 속은 익지 않게 될 뿐 아니라, 튀김옷이 바삭바삭하지 않고 눅눅해 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처럼 튀김의 찌꺼기와 함께 오랫동안 가열된 튀김기름은 그 색깔이 검게 변색되면서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튀김기름의 산패를 방지할 뿐 아니라, 튀긴 음식물의 식감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튀김용기의 하부에는 물을 위치시키고, 물의 상부에는 물과 직접 접촉면이 생성되도록 기름층을 위치시킨 수용성 튀김기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수용성 튀김기계의 기름층이 위치되는 튀김용기의 상부 내벽면에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세라믹판이 설치되고, 물이 위치되는 튀김용기의 하부 내벽면에는 마그네슘판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름층의 중간부에는 뜨거운 열이 하부로 급격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수냉식 냉각관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튀김용기(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열관(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20)의 입구부에는 가스가열식 버너(22)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관(20)의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튀김용기(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관(23)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튀김용기(10)의 후방에는 덕트(40)가 설치되는 수용성 튀김기계에 있어서,
튀김기름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관(20)의 상부측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는 세라믹판(50)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20)과 통기관(23) 사이의 중간지점에 는 온도센서(31)와 함께 수냉식 냉각관(30)이 설치되며, 물이 위치하게는 튀김용기(10)의 하부측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는 마그네슘판(60)이 설치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튀김옷에서 떨어져 나온 튀김의 찌꺼기가 상부 기름층을 통과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물속에 침전됨으로써, 튀김의 찌꺼기가 음식물에 달라붙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에 위치하는 튀김기름에는 튀김 찌꺼기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계속 가열중에 있는 튀김기름이 찌꺼기 부유물로 인해 산패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튀김기름이 위치하게 되는 튀김용기의 내벽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세라믹판을 설치하여, 튀겨지는 음식물이 내부에서부터 골고루 익혀지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조리시간의 단축과 함께, 소요되는 튀김기름의 절약 및 기름의 가열원(가스 또는 히터)에 대한 절약 등 전체적으로 에너지 절약에 일조하게 된다.
또한, 물이 담겨지는 튀김용기의 하부의 내벽면에는 마그네슘판을 설치함으로써, 물의 부패속도를 늦출 수 있음에 따라, 물과 기름을 번거롭게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 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측면 절개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2에 도시된 튀김용기(10)의 하부에 물을 채우되 기름층의 1/2정도의 양을 채우고, 물의 상부에는 튀김기름을 채운다. 이후, 상부에 위치하는 기름층에만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튀기는 것으로서, 튀김의 맛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기름이 타거나 산패되지 않도록 하여 버려지는 기름을 절약하도록 창안된 것이다.
도 1, 2를 통하여 종래의 기술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튀김기름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튀김용기(10)가 구비되되, 하부에 바퀴(16)를 장착하여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튀김용기(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열관(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튀김용기(10)의 인입공(12)에 내삽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열관(20)의 상부에 튀김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받침망(11)이 안착된다.
상기 가열관(20)의 입구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가열식 버너(22)가 장착되는바, 이 버너(22)의 연소화열이 가열관(20)으로 유입되면서 가열관(20)의 온도가 상승되며, 상승된 가열관(20)의 온도는 이후 튀김용기(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관(20)의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튀김용기(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관(23)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되, 튀김용기(10)의 인입공(12)에 내삽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통기관(23)의 내부로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되면서 통기관(23) 주변에 위치되는 기름층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튀김용기(10)의 후방에는 덕트(40)가 설치된다. 이 덕트(40)는 상기 가열관(20) 및 통기관(23)을 통과하는 연소화열 및 외부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또는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와 같이 격판(43)을 통해 열기배출구(41)와 공기배출구(42)로 분리구성된다. 상기 가열관(20)을 통과한 뜨거운 연소화열이 열기배출구(41)를 통해 자연 대류에 의하여 상부로 흘러 배출될 때에 인접해 있는 공기배출구(42)의 찬공기를 흡출함으로써, 뜨거운 연소화열과 차가운 공기가 함께 덕트(40)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중의 하나는 냉각관(30)이다. 상기 냉각관(30)의 설치위치는 도 1 또는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서 보듯이 튀김기름층에 설치된 가열관(20)과 통기관(23)사이의 중간지점에 설치된다. 이 냉각관(30)의 기능은 가열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층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게 될 때에 온도를 낮추고자 설치된 것이다.
즉, 냉각관(30) 주변에 설치된 온도센서(31)에 의해서 갑자기 상승된 기름층의 온도가 감지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튀김용기(10)의 외면에 설치된 솔네노이드밸브(32)가 개방되면서 차거운 물이 공급됨으로써, 가열관(20) 하부에 위치 하는 기름층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관(30)을 설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튀김작업은 가열관(2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바, 가열관(20) 상부의 기름층의 온도는 160~220℃정도이다. 가열관(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층의 온도는 직접 가열되는 부분이 아닌데다, 특히 물과 접하는 부분의 기름층의 온도는 통기관(23)의 냉각작용으로 인해 통상 55℃ 전후로 유지된다.
그러나, 더운 여름철에는 밀폐된 튀김용기(10) 내부에 있는 물과 기름의 온도가 상승되는바, 특별히 물과 접하는 기름층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게 되면, 물이 끓어오르면서 증발하려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때 물과 기름층이 접하는 곳에서 큰 압력이 발생되어,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는바,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상기 냉각관(30)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구성은 도 1 또는 도 4와 같이, 가열관(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 세라믹판(5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세라믹판(50)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됨에 따라 튀겨지는 음식물이 내부에서부터 익혀지므로 튀김온도를 20℃정도 내려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구성은 도 1 또는 도 4에서 보듯이, 물이 위치하게 되는 튀김용기(10)의 하부 내벽면에 마그네슘판(60)을 설치하는 것이다. 튀김용기(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은 튀김의 찌꺼기(70)가 침전된 상태에서 밀폐된 공간에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부패가 쉽게 발생된다. 또한, 부패과정에서 배 출되는 탄산가스가 상부의 기름층에 유입되면서 튀겨지는 음식물에 함유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물의 부패로 인해 물을 자주 교체하여 사용하곤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튀김용기(10)의 하부 내벽면에 마그네슘판(60)을 부착하는바, 이 마그네슘판(60)이 물과 반응하면서 많은양의 수소를 발생시키고, 수소가 풍부해 지면 산소가 환원되면서 건강한 상태의 물이 된다. 이로써, 물의 교체시기를 늦출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유지보수가 편리해 진다.
도 5는 히터봉(21)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에 표시된 C-C선 단면도이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열을 이용하는 버너(22)와 가열관(20) 대신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봉(21)을 튀김용기(10)의 인입공(12)에 삽입함으로써, 튀김용기(10)내에서 튀김기름을 직접 가열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튀김용기(10)에 삽입된 가열관(20)의 구성이 생략됨에 따라, 도 6과 같이 튀김용기(10)의 후방에 장착되는 덕트(40)에서 열기배출구(41)와 공기배출구(42)를 분리하는 격판(43)이 생략된다. 따라서, 통기관(23)을 통과하는 공기는 덕트(40)의 상부에 장착된 흡기팬(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순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에 물과 기름을 채우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튀김용기(10) 저면에 장착된 배수밸브(13)는 폐쇄하고, 튀김용기(10)의 측면에 장착된 배유밸브(14)는 개방한다. 그 다음 물을 채우되, 개방된 배유밸브(14)에서 공급된 물이 흘러 나올때까지 채우게 된다. 이후 물이 채워지면, 상기 배유밸브(14)를 폐쇄한 다음 물의 상부에 기름을 튀김용기(10)의 상부까지 가득 채운다. 이때 물과 기름이 만나는 경계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배유밸브(14)와 동일선상에 투시창(15)을 설치한다. 아울러, 물과 기름을 빼내는 방법은 먼저 배유밸브(14)를 개방하여 기름을 먼저 배유한 다음, 튀김용기(10)의 저부에 장착된 배수밸브(13)를 개방하여 물을 빼내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로 인해 음식물의 튀김상태가 제고될 뿐 아니라, 튀기용기의 상부 내벽면에 설치된 세라믹판(50)으로 인해 음식물이 중심에서부터 익혀지면서 결국 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있게된다.
또한, 여름철 또는 기타 여건상 가열관(20) 또는 히터봉(21)의 하부에 있는 기름층의 온도가 상승될 때에, 온도센서(31)의 신호에 따라 냉각관(30)이 가동되면서 혹여 있을지 모를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한편, 튀김용기(10)의 하부 내벽면에 설치되는 마그네슘판(60)으로 인해, 물의 부패속도를 늦출 수 있음에 따라, 물과 기름을 번거롭게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측면 절개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B-B선 단면도
도 5는 히터봉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분리 사시도
도 6는 도 5에 표시된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튀김기계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튀김용기
11 : 받침망
12 : 인입공
13 : 배수밸브
14 : 배유밸브
15 : 투시창
16 : 바퀴
20 : 가열관
21 : 히터봉
22 : 버너
23 : 통기관
30 : 냉각관
31 : 온도센서
32 : 솔네노이드밸브
40 : 덕트
41 : 열기배출구
42 : 공기배출구
43 : 격판
44 : 흡기팬
50 : 세라믹판
60 : 마그네슘판
70 : 찌꺼기

Claims (1)

  1. 튀김용기(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가열관(2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20)의 입구부에는 가스가열식 버너(22)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관(20)의 직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튀김용기(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관(23)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튀김용기(10)의 후방에는 덕트(40)가 설치되는 수용성 튀김기계에 있어서,
    튀김기름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관(20)의 상부측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는 세라믹판(50)이 설치되고, 상기 가열관(20)과 통기관(23) 사이의 중간지점에는 온도센서(31)와 함께 수냉식 냉각관(30)이 설치되며, 물이 위치하게는 튀김용기(10)의 하부측 튀김용기(10)의 내벽면에는 마그네슘판(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튀김기계.
KR1020090033072A 2009-04-16 2009-04-16 수용성 튀김기계 KR20100114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072A KR20100114613A (ko) 2009-04-16 2009-04-16 수용성 튀김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072A KR20100114613A (ko) 2009-04-16 2009-04-16 수용성 튀김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13A true KR20100114613A (ko) 2010-10-26

Family

ID=4313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072A KR20100114613A (ko) 2009-04-16 2009-04-16 수용성 튀김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6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83B1 (ko) * 2011-06-29 2012-03-27 김미해 냉각부재가 구비된 튀김기
KR101341281B1 (ko) * 2013-05-23 2013-12-12 박창록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기식 튀김기
WO2016043457A1 (ko) * 2014-09-19 2016-03-24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83B1 (ko) * 2011-06-29 2012-03-27 김미해 냉각부재가 구비된 튀김기
KR101341281B1 (ko) * 2013-05-23 2013-12-12 박창록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기식 튀김기
WO2016043457A1 (ko) * 2014-09-19 2016-03-24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828B1 (ko)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KR20100114613A (ko) 수용성 튀김기계
JP2006000450A (ja) 加熱調理器
KR101229178B1 (ko) 훈제기
CN211559784U (zh) 一种热风循环效果好的食物处理机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1776838B1 (ko) 직화 구이팬
KR101595190B1 (ko) 유해가스 제거 기능을 갖는 구이기구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200437645Y1 (ko) 바베큐 구이기
KR20150098475A (ko) 수냉식 구이용 불판
CN207613656U (zh) 一种明火烤炉
CN105832173A (zh) 一种电加热无烟烧烤炉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0993106B1 (ko) 튀김기
KR102489688B1 (ko) 훈제구이기
KR200420962Y1 (ko) 냉각수단을 구비한 숯불구이장치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1613401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KR101597462B1 (ko) 업소용 대형 국솥
CN214048556U (zh) 一种电烤炉
CN113116173A (zh) 一种热风循环效果好的食物处理机
KR20080002970U (ko)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CN204071802U (zh) 一种烧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