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355B1 - 수유식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355B1
KR101072355B1 KR1020110023337A KR20110023337A KR101072355B1 KR 101072355 B1 KR101072355 B1 KR 101072355B1 KR 1020110023337 A KR1020110023337 A KR 1020110023337A KR 20110023337 A KR20110023337 A KR 20110023337A KR 101072355 B1 KR101072355 B1 KR 10107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ying
filter
oil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구 김
Original Assignee
정 구 김
주식회사 아코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구 김, 주식회사 아코폰 filed Critical 정 구 김
Priority to KR102011002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필요시 수유튀김통 내부 물층의 물을 외부로 강제 순환시키고, 이러한 물층의 순환과정에서 물층에 포함되어 있던 찌꺼기를 필터장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필터링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는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사고 발생의 우려 없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장치{a water and oil fryer}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튀김통을 구비하는 튀김장치를 사용하여 튀김통 내부에 튀김기름을 붓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튀김음식물을 조리하다 보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산패되어 인체에 해로운 지방산을 형성하게 되고, 튀김조리 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음식물찌꺼기 등이 계속적으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지방산과 음식물찌꺼기는 튀김기름을 쉽게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에 따라 종래 튀김장치의 사용 중에는 튀김기름을 수시로 갈아 주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종래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의 과도한 소모로 인해 경제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최근에는 튀김기름의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유식 튀김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는 수유튀김통 내부에 튀김기름과 함께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수유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물층을 형성하고 튀김기름이 물층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기름층을 형성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고, 히터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용이하도록 기름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되는 부산물과 같은 찌꺼기가 튀김기름 하부의 물 쪽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찌꺼기로 인해 튀김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유튀김통 저부에 가라앉은 찌꺼기는 장시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수유튀김통 바닥에 들러붙어 수유튀김통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수유식 튀김장치 이용자는 음식물 조리 과정 중 수시로 수유튀김통 저부의 찌꺼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는 통상 수유튀김통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수유튀김통 내부로 망체 등을 집어넣어 물층에 가라앉아 있는 찌꺼기를 건져내게 되는데, 이때는 망체를 수유튀김통에 투입하거나 수유튀김통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외부로 기름이 튀게 되면서 이용자가 화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 수유튀김통 내부 찌꺼기는 물층에 부유되어 있지 않고 수유튀김통 바닥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찌꺼기를 망체 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건져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물과 튀김기름을 내부에 함께 수용하여 저부에는 물층이 형성되고 상기 물층 상부에는 튀김기름을 통해 기름층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수유튀김통과, 상기 기름층의 튀김기름을 가열하도록 마련된 가열장치와, 상기 물층의 물이 상기 수유튀김통 외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물의 순환을 안내하는 순환유로와, 상기 물층에 포함된 찌꺼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순환유로 중도에 설치되는 필터장치와, 상기 물층의 물을 상기 순환유로 쪽으로 펌핑하도록 상기 순환유로 중도에 마련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가 상기 순환유로와 통하도록 상기 수유튀김통 하부에 마련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내도록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 상류의 순환유로 상에는 상기 물층으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유로개폐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기 유로개폐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배수장치와, 상기 수유튀김통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물보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장치 하류의 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된 배수유로와, 필터하우징의 물을 상기 물층과 배수유로 중 어느 한 쪽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순환유로와 배수유로의 교차지점에 마련된 유로선택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보충장치는 상기 물층과 기름층의 표준경계에 인접한 상기 기름층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유튀김통의 측벽 일부는 투명창으로 마련되고, 상기 투명창에는 상기 물층과 기름층의 표준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표준경계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순환유로 중도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필요시 수유튀김통 내부 물층의 물을 외부로 강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고, 이러한 물층의 순환과정에서 물층에 포함되어 있던 찌꺼기를 필터장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필터링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유식 튀김장치에 따르면, 음식물을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사고 발생의 우려 없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로 케이싱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필터장치를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필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필터에 찌꺼기가 필터링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케이싱(1)을 구비하여 외관을 이룬다. 케이싱(1)의 하부 쪽 각 모서리에는 지지다리(2)가 연결되고, 지지다리(2)의 하단에는 장치의 이동시 편리를 위한 바퀴(3)가 설치된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수유튀김통(10)이 설치된다. 수유튀김통(10)은 상부에 개구를 구비하여 상부로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어 개구 둘레 상부가 케이싱(1) 상부 개방부 둘레에 용접되는 방식을 통해 케이싱(1)에 일체로 고정된다.
수유튀김통(10) 내부로는 물과 튀김기름이 함께 수용된다. 수유튀김통(10) 내부로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상호 간의 비중차에 의해 물이 저부에 위치되고 튀기기름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자연적으로 분리되므로,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의 경우 저부의 물층(a)을 형성하고, 물층(a) 상부의 수유튀김통(10) 내부에는 튀김기름을 통해 기름층(b)이 형성된다.
기름층(b) 중간 정도 위치의 수유튀김통(10)에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4)로써, 전기식 히터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가열장치는 가스버너와, 가스버너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열을 튀김기름에 전달하기 위해 수유튀김통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연소관을 포함하는 가스식 히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에서 수유튀김통(10) 내부에 함께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의 량은 가열장치(4)의 용량이나 한 번에 조리될 튀김음식물의 조리량에 맞게 항시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수유튀김통(10)에는 물층(a)과 기름층(b)의 표준경계가 마련된다.
그리고 가열장치(4) 상부 쪽 기름층(b)에는 튀김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튀김망(5)이 설치되고, 케이싱(1)의 개방부 후방 쪽 상부에는 튀김망(5)을 걸어 둘 수 있도록 마련된 거치대(6)가 설치된다.
또한 기름층(b)에 인접한 물층(a)의 물은 가열장치(4)와 가열장치(4)에 의해 가열된 기름층(b)을 통해 가열되면서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수증기는 기름층(b)을 뚫고 상부로 비산되면서 폭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름층(b) 저부에 해당하는 수유튀김통(10)에는 냉각유로(7a)가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유로(7a)는 수유튀김통(1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냉각관(7)으로 형성되어 자연대류에 의해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공기로 기름층(b) 저부 및 기름층(b)에 인접한 물층(a)의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 케이싱(1)의 전방 쪽 측면 상부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8)이 설치된다. 컨트롤패널(8)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8a)와, 수유식 튀김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8b)가 마련된다. 조작스위치(8a)는 상기 가열장치(4)의 구동여부 및 발열정도와 구동시간을 조작하기 위한 것들과, 후술하게 될 펌프(40)와 밸브(62,92)들의 조작을 위한 것들을 포함하여 복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컨트롤패널(8) 하부의 케이싱(1) 전방 쪽 측면에는 수유튀김통(10)을 청소할 때나 수유튀김통(10) 내부 유체의 교체시 케이싱(1) 전면을 개방하기 위한 개폐도어(9)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먼저 컨트롤패널(8)의 조작스위치(8a)를 조작하여 기름층(b)의 온도가 튀김 대상물의 종류에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장치(4)를 구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튀길 음식물이 올려진 튀김망(5)을 가열장치(4) 상부의 기름층(b)에 집어넣어 튀김음식물을 튀김기름에 튀기게 된다.
이때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은 기름층(b)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c)는 기름층(b) 하부의 물층(a) 속으로 대부분 가라앉게 되는데, 이에 따라 수유튀김통(10) 내부의 튀기기름은 지방산이나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찌꺼기(c)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물층(a) 속으로 가라앉게 되는 찌꺼기(c)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여 제품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물층(a)의 물이 수유튀김통(10) 외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물의 순환을 안내하는 순환유로(20)와, 물층(a)에 포함된 찌꺼기(c)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순환유로(20) 중도에 설치되는 필터장치(30)와, 물층(a)의 물을 상기 순환유로(20) 쪽으로 펌핑하도록 순환유로(20) 중도에 마련된 펌프(40)를 구비한다.
이중 먼저 필터장치(30)는 내부가 순환유로(20)와 통하도록 수유튀김통(10) 하부에 마련된 필터하우징(31)과, 필터하우징(31)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찌꺼기(c)를 걸러내도록 필터하우징(31) 내부에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필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하우징(31)은 일단에 개구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유튀김통(10)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눕혀지도록 배치되는 본체(51)와, 본체(51)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52)를 구비한다. 본체(51)는 양측에 마련된 체결부(51a)가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를 통해 케이싱(1) 저부에 결합됨으로써 수유튀김통(10) 하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덮개(52)는 나사방식으로 본체(51)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52)의 결합을 위해 본체(51) 개구 둘레에는 수나사(51b)가 가공되고, 덮개(52) 내주에는 수나사(51b)와 나사결합 되도록 암나사(52b)가 가공된다. 덮개(52) 전면에는 이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52c)가 마련되고, 이용자는 본체(51)에 덮개(52)를 착탈시킬 때 이러한 손잡이(52c)를 잡고 덮개(52)를 쉽게 돌리게 된다.
덮개(52) 쪽 본체(51) 상부 일측면에는 필터하우징(31)의 입구(31a)가 형성되고, 본체(51)의 개구 반대 쪽 단부에는 필터하우징(31)의 출구(31b)가 형성되며, 필터하우징(31)은 이러한 입구(31a)와 출구(31b)를 통해 상기 순환유로(20) 중도에 연결된다.
필터(32)는 본체(5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망체로 구성되어 상기 입구(31a)와 출구(31b) 사이의 본체(51) 내부에 배치되어 필터하우징(31)을 통과하는 물 속에 함유된 찌꺼기(c)를 걸러내게 된다. 필터(32)의 선단 둘레에는 필터(32)와 본체(51) 내벽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형상의 밀폐부재(33)가 마련되어 필터(32)와 본체(51) 내벽 사이로 찌꺼기(c)가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러한 필터(32)는 덮개(52)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51) 개구를 통해 본체(51)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34는 필터하우징(31)의 덮개(52)와 본체(51)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링 형상의 누수차단부재를 가리킨다.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20)는 기름층(b) 저부 바닥과 필터하우징(31) 내부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수유튀김통(10) 바닥과 필터하우징(31)의 입구(31a) 사이를 연결하는 제1순환유로(21)와, 필터하우징(31) 내부와 기름층(b) 저부 측방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필터하우징(31)의 출구(31b)와 기름층(b) 쪽 수유튀김통(10) 측방을 연결하는 제2순환유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펌프(40)는 제2순환유로(22) 상에 설치되어 구동시 물층(a)의 물이 순환유로(20)를 순환하면서 필터장치(30)를 통과하도록 펌핑력을 제공한다.
또 필터(32)에 걸러진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필터(32)를 필터하우징(31) 외부로 인출해야 하는데, 이때 필터(32)를 인출하기 위해 덮개(52)를 개방하게 하게 되면, 필터하우징(31) 내부의 물이 본체(51)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흘러넘치면서 케이싱(1) 주변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먼저 순환유로(20)에서 필터장치(30) 상류가 되는 제1순환유로(21) 중도에는 물층(a)으로부터 순환유로(20)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유로개폐밸브(21a)가 마련되며,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기 유로개폐밸브(21a)가 폐쇄된 상태에서 필터하우징(3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장치(6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유로개폐밸브(21a)는 필터장치(30)를 이용하여 찌꺼기를 필터링할 때나 평상시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유로개폐밸브(21a)는 회전동작에 의해 제1순환유로(2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동식 밸브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배수장치(60)는 순환유로(20)에 있어서 필터장치(30) 하류가 되는 제2순환유로(22)의 중도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된 배수유로(6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장치(60)는 상기 펌프(4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필터하우징(3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배수장치(60)는 필터하우징(31)의 물을 상기 물층(a)과 배수유로(61) 중 어느 한 쪽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순환유로(20)와 배수유로(61)의 교차지점에 마련되는 유로선택밸브(62)를 더 구비하게 된다.
유로선택밸브(62)는 전자식으로 동작되는 삼방밸브로써 컨트롤패널(8)에 마련된 조작스위치(8a)의 조작에 의해 유로변경 동작을 수행하며, 필터장치(30)를 이용하여 찌꺼기를 필터링 할 때는 필터하우징(31) 내부를 수유튀김통(10)과 연결시키고, 배수장치(60)를 이용하여 필터하우징(3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는 필터하우징(31) 내부를 배수유로(61)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필터(32)에 걸러진 이물을 제거할 경우, 이용자는 먼저 상기 유로개폐밸브(21a)를 폐쇄시켜 물층(a)의 물이 필터하우징(3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31) 내부의 물이 배수유로(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로선택밸브(62)를 조작한 상태에서 펌프(40)를 구동시켜 필터하우징(31)의 물을 배출시키고, 이때 배수유로(6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별도로 준비되는 배수통(미도시)을 통해 받아내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유튀김통(10)은 배수통(미도시)을 위치시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가 상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협소부(11)를 형성한다. 협소부(11) 측방에 배수통(미도시)을 놓을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협소부(11)는 수유튀김통(10) 전방에서 보았을 때 한 쪽으로 편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장치(30)는 수유튀김통(10)의 협소부(11)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유로(62)의 출구는 협소부(11) 측방 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필터(32)에 걸러진 찌꺼기(c) 제거를 위해 필터하우징(3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협소부(11) 측방의 확보된 공간에 배수통(미도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필터하우징(3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통(미도시)에 받아내게 된다.
그리고 물층(a)은 이러한 협소부(11) 내에 형성되고, 상기 표준경계는 협소부(11) 내의 상부 쪽에 형성되며, 협소부(11) 전방 쪽 측벽에는 표준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표준경계선(71)이 일체로 형성된 투명창(70)이 마련된다.
투명창(70)은 수유튀김통(10)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도어 형태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수유튀김통(10)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닦아 낼 수 있도록 하고, 수유튀김통(10) 외부에서 작업자가 표준경계선(71)을 보고 물층(a)과 기름층(b)의 표준경계를 수시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경계선(71)의 경우 투명창(70)의 프레임(72)에 일체로 고정된 강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냉각관(7)은 표준경계선(71) 상부의 협소부(1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데, 폭이 좁은 협소부(11)에 설치되면서도 소정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냉각관(7)은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냉각관(7)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면, 냉각관(7)을 지나는 공기의 자연대류 현상이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냉각관(7)을 통한 기름층(b) 저부의 냉각효과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하부를 향하여 경사진 냉각관(7)의 단부 쪽 협소부(11) 측면에는 튀김기름의 교체시 튀김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기름배출관(80)이 냉각관(7) 사이로 연결되며, 이러한 기름배출관(80)은 튀김기름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기름배출관(80)은 수동식으로 마련되는 기름배출용 개폐밸브(81)를 통해 개폐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기름배출관(80)을 통해 배출되는 튀김기름의 경우에도 협소부(11) 측방에 배수통(미도시)을 위치시켜 용이하게 받아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장치(60)의 동작을 통해 필터하우징(31) 내부의 물이 제거되면, 이용자는 필터하우징(31)의 덮개(52)를 본체(51)로부터 제거한 후 본체(51) 내부에서 필터(32)를 꺼내어 필터(32)에 걸려진 찌꺼기(c)를 제거한 후 다시 필터하우징(31) 내부에 설치하고, 유로개폐밸브(21a)를 개방시켜 언제든지 필터장치(30)를 이용하여 물층(a)의 찌꺼기(c)를 제거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는 수유튀김통(10) 내부의 물의 량이 배수장치(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물의 량만큼 감소되면서 표준경계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수유튀김통(1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균형이 깨지게 되므로, 수유튀김장치는 찌꺼기 배출과정에서 줄어든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의 량을 보충하기 위한 물보충장치(9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물보충장치(90)는 상기 표준경계에 인접한 기름층(b)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관(91)과, 급수관(9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수관(91)은 출구가 기름층(b) 저부 쪽 수유튀김통(1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외부급수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표준경계에 인접한 기름층(b)의 저부로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물공급용 단속밸브(92)는 컨트롤패널(8)에 마련된 조작스위치(8a)에 의해 급수관(91)을 개폐하는 전자식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조작스위치(8a)의 조작에 의해 급수관(9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조작스위치(8a)의 조작시 이용자는 투명창(70)에 마련된 표준경계선(71)을 보면서 물층(a)의 높이가 표준경계에 다다를 때까지 급수관(91)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표준경계에 인접한 기름층(b)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물보충장치(90)는 상기 기름층(b) 저부 영역을 냉각시키는 냉각관(7)의 기능을 조조하여 물층(a)의 폭발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한다.
10: 수유튀김통 20: 순환유로
21: 제1순환유로 21a: 유로개폐밸브
22: 제2순환유로 30: 필터장치
31: 필터하우징 32: 필터
40: 펌프 51: 본체
52: 덮개 60: 배수장치
61: 배수유로 62: 유로선택밸브
70: 투명창 71: 표준경계선
90: 물보충장치 91: 급수관
92: 물공급용 개폐밸브

Claims (7)

  1. 물과 튀김기름을 내부에 함께 수용하여 저부에는 물층이 형성되고 상기 물층 상부에는 튀김기름을 통해 기름층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수유튀김통과, 상기 기름층의 튀김기름을 가열하도록 마련된 가열장치와, 상기 물층의 물이 상기 수유튀김통 외부로 순환할 수 있도록 물의 순환을 안내하는 순환유로와, 상기 물층에 포함된 찌꺼기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순환유로 중도에 설치되는 필터장치와, 상기 물층의 물을 상기 순환유로 쪽으로 펌핑하도록 상기 순환유로 중도에 마련된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치는 내부가 상기 순환유로와 통하도록 상기 수유튀김통 하부에 마련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내도록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에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 상류의 순환유로 상에는 상기 물층으로부터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유로개폐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유로개폐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배수장치와, 상기 수유튀김통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물보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필터장치 하류의 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된 배수유로와, 필터하우징의 물을 상기 물층과 배수유로 중 어느 한 쪽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순환유로와 배수유로의 교차지점에 마련된 유로선택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충장치는 상기 물층과 기름층의 표준경계에 인접한 상기 기름층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물공급용 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튀김통의 측벽 일부는 투명창으로 마련되고, 상기 투명창에는 상기 물층과 기름층의 표준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표준경계선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출구를 통해 순환유로 중도에 연결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KR1020110023337A 2011-03-16 2011-03-16 수유식 튀김장치 KR10107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37A KR101072355B1 (ko) 2011-03-16 2011-03-16 수유식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337A KR101072355B1 (ko) 2011-03-16 2011-03-16 수유식 튀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355B1 true KR101072355B1 (ko) 2011-10-11

Family

ID=4503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337A KR101072355B1 (ko) 2011-03-16 2011-03-16 수유식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3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63B1 (ko) 2012-02-13 2014-04-14 한명수 기름온도 조절용 냉각파이프가 불필요한 튀김장치
KR20160119973A (ko) 2015-04-07 2016-10-17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KR101667887B1 (ko) * 2015-08-10 2016-10-19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WO2017065598A3 (en) * 2015-10-15 2017-05-26 Tks Winwell Equipment Supply Sdn Bhd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and oil filtering deep fry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63B1 (ko) 2012-02-13 2014-04-14 한명수 기름온도 조절용 냉각파이프가 불필요한 튀김장치
KR20160119973A (ko) 2015-04-07 2016-10-17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US10863864B2 (en) 2015-04-07 2020-12-15 Sang Hoon CHO Water and oil type fryer
KR101667887B1 (ko) * 2015-08-10 2016-10-19 조상훈 수유식 튀김기
WO2017065598A3 (en) * 2015-10-15 2017-05-26 Tks Winwell Equipment Supply Sdn Bhd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and oil filtering deep f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161828B1 (ko)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KR101184696B1 (ko) 수유식 튀김장치
US20090039004A1 (en) Automatic oil filtration and treatment with level control and system heating during filtration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101567300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KR200440640Y1 (ko) 튀김기
KR200464259Y1 (ko) 튀김기
KR200477159Y1 (ko) 유수분리식 튀김기
KR101214152B1 (ko)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JP6072420B2 (ja) フライヤー
KR101447799B1 (ko) 수유식 튀김기
KR20120111517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65764B1 (ko) 동물성 기름 제거가 용이한 튀김기
KR101379444B1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KR20100009994U (ko) 전기튀김기
KR20150118704A (ko) 수유 튀김기
KR20130095161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892515B1 (ko) 냉각장치를 갖는 수유식 튀김용기의 튀김류 역류 방지장치
US20200281407A1 (en) Easily cleanable water and oil fryer
KR20160083751A (ko)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KR101265765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JP3088222U (ja) テーブル付揚物器
KR101052615B1 (ko) 튀김기
TWI815687B (zh) 改良水冷式油水分離油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