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161A - 수유식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5161A KR20130095161A KR1020120088788A KR20120088788A KR20130095161A KR 20130095161 A KR20130095161 A KR 20130095161A KR 1020120088788 A KR1020120088788 A KR 1020120088788A KR 20120088788 A KR20120088788 A KR 20120088788A KR 20130095161 A KR20130095161 A KR 20130095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ater
- pipe
- heat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구조로서, 내부에 물과 기름이 기설정된 비율로 채워지고, 버너의 열원이 직접공급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열원이 공급되는 가열홈이 구비된 수조; 상기 버너가 직접 설치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버너의 열원이 상기 가열홈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폐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의 공급 경로와 배출을 유도하는 히팅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파이프는, 양단이 상기 열교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 사이 영역은 상기 수조의 기름 영역에 침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조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져,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수집이 용이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버너의 연소열이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열원의 재활과, 연료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기름의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이고, 온도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팅 파이프가 연결관을 통해 열교환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는 물론, 해체가 간편하므로, 수조의 용이한 세척과, 양호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조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져,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수집이 용이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버너의 연소열이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열원의 재활과, 연료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기름의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이고, 온도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팅 파이프가 연결관을 통해 열교환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는 물론, 해체가 간편하므로, 수조의 용이한 세척과, 양호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조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져,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수집이 용이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인 제거가 가능하고, 또한, 히팅 파이프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설치는 물론, 해체가 간편하고, 수조의 세척이 용이하여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튀김통을 구비하는 튀김장치를 사용하여 수조 내부에 튀김기름을 붓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튀김음식물을 조리하다 보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산패되어 인체에 해로운 지방산을 형성하게 되고, 튀김조리 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음식물찌꺼기 등이 계속적으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지방산과 음식물찌꺼기는 튀김기름을 쉽게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에 따라 종래 튀김장치의 사용중에는 튀김기름을 수시로 갈아 주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종래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의 과도한 소모로 인해 경제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져,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수집이 용이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너의 연소열이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열원의 재활과, 연료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기름의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이고, 온도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 또 다른 목적은 히팅 파이프가 연결관을 통해 열교환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는 물론, 해체가 간편하므로, 수조의 용이한 세척과, 양호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에서 오일존(O) 기름 배수관이 마련되어, 기름만의 추출이 가능하여, 폐기 및 수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거된 기름의 상태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고, 또한, 기름에 대한 공급이 개방된 상부는 물론, 수조 일면에 기름 공급관이 더 마련되어, 기름 공급 시, 비산되는 고온의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의 원터존(W)에 물 공급관과 물 배수관이 마련되어, 물을 보충이 용이하고, 배수와 공급을 통해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튀김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구조로서, 내부에 물과 기름이 기설정된 비율로 채워지고, 버너의 열원이 직접공급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열원이 공급되는 가열홈이 구비된 수조; 상기 버너가 직접 설치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버너의 열원이 상기 가열홈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폐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의 공급 경로와 배출을 유도하는 히팅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파이프는, 양단이 상기 열교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 사이 영역은 상기 수조의 기름 영역에 침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수조는, 적어도 양측면과 배면의 하부가 상부보다 협소한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는, 물과 기름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 물과 기름 및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퇴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 상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 및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는,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기름 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홈은,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돌출된 밀폐형 구조인 것이며, 상기 수조 내부의 기름의 순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밀폐된 함체구조로서, 상기 함체의 양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가열홈의 일측단과 연통된 공급부; 상기 함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홈의 타측단과 연통되어 상기 히팅 파이프의 일단이 열결되는 유도부; 및 상기 함체의 타단에 마려되어, 상기 히팅 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와 유도부 및 배출부는 격벽;을 통해 각 영역이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조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져, 튀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의 수집이 용이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너의 연소열이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열원의 재활과, 연료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기름의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이고, 온도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히팅 파이프가 연결관을 통해 열교환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는 물론, 해체가 간편하므로, 수조의 용이한 세척과, 양호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조에서 오일존(O) 기름 배수관이 마련되어, 기름만의 추출이 가능하여, 폐기 및 수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거된 기름의 상태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고, 또한, 기름에 대한 공급이 개방된 상부는 물론, 수조 일면에 기름 공급관이 더 마련되어, 기름 공급 시, 비산되는 고온의 기름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조의 워터존(W)에 물공급관과 물배수관이 마련되어, 물을 보충이 용이하고, 배수와 공급을 통해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수유식 튀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유식 튀김장치(100)는 물과 튀김용 기름이 기설정된 비율로 채워지는 수조(110), 수조(110)와 연통되고, 버너(미도시) 열원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열교환부(130) 및 열교환부와 연결되는 히팅 파이프(15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버너(Burner)는 블로어(Blower), 가스(Gas)(액체, 기체 등)공급부, 및 점화부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버너는 그 설치위치에 한정됨이 없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소형화, 열의 전달경로의 효율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너를 통한 열기의 유입, 전달, 배출울 위해서는 바람직한 위치에 팬(pan)을 설치할 수 있다. 즉, 팬의 설치를 통해 열기의 빠른 순환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열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다만, 팬의 설치 위치는 특정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팬의 종류 또는 크기 등도 특정 종류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튀김장치(100)는 수조(110) 내부에 물과 기름을 함께 수용함으로써, 가열에 의해 형성되는 지방산이 물에 융해되고, 튀김에 의한 찌꺼기가 하부 물 쪽으로 수집되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음식물 찌꺼기로 인한 기름의 오염을 최소화시키고,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수조(110)는 일면에 물과 기름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관로가 마련되는데, 이는 각 관로를 기준으로 절단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는 물과 기름의 상/하 각 영역으로 구획되며, 하부는 워터존(W)을 이루고, 그 상부는 오일존(O)으로 형성되며, 워터존(W)과 오일존(O) 사이에는 계면(I)이 형성된다.
워터존(W)은 물이 수용되는 영역으로서, 계면(I)과 근접된 위치에 마련되어, 최초 수조(110)에 물을 공급하거나, 보충하기 위한 물 공급관(117)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물 배수관(119)이 마련된다.
물 공급관(117)은 물의 공급역할을 하며, 물 공급관(117)과 물 배수관(119)은 함께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행하여 물의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물의 적정 온도는 50℃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의 온도가 50℃를 넘는 경우에는 물 공급관(117)을 통하여 냉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의 온도를 50℃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며, 이 때, 물의 적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물 배수관(119)을 통하여 사용되던 물을 일부 배수한다.
한편, 물이 오염될 경우, 물 배수관(119)을 개방하여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물 공급관(117)을 통해 부족분에 대해 새로이 공급받아 물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물의 배출과 공급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 배수관(119)과 물 배출관(117)에 대한 개폐는 통상의 밸브(미도시)를 통해 개폐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자동 내지는 수동 방식의 선택적 방식에 의해 작동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물 배수관(119)의 설치를 통해 유지되는 온도가 설정온도인 대략 50℃ 를 유지하여야 하는 이유는 이 보다 온도가 높을 경우, 오일존(O)을 뚫고 대류하여 고온의 기름이 주변을 비산하는 문제가 있다. 즉, 비산되는 고온의 기름에 의해 화상 등을 신체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해야만 하며, 열교환 방식으로, 물의 배출과 공급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때, 물의 배출과 공급은 통상의 온도 센서 등을 통해 자동 내지는 수동의 선택적 방식에 의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조(110)는 상부 즉, 오일존(O)에는 기름의 공급을 위한 기름 공급관(121)과, 기름의 배출을 위한 기름 배수관(1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름 공급관(121)은 식재를 튀기는 작업을 수행할 때, 기름이 주변으로 비산되기 때문에, 안정적 기름공급이 가능하도록 오일존(O) 상부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조(11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기름의 공급은 개방된 상부로 가능하며, 따라서, 기름 공급관(121)은 보다 안정적 기름 공급을 위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기름 배수관(123)은 오일존(O) 하부 즉, 계면(I)과 근접된 영역에 마련되어, 기름을 폐기 및 수거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즉, 워터존(W)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름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거나, 또는 수조(110)를 청소 내지는 정비할 때 기름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수조(110)를 청소하거나, 정비가 필요하나, 기름 상태가 양호할 경우, 기름 배수구(123)를 통해 수거 보관하고, 이후, 재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름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양호한 상태의 기름을 재사용함으로써, 경제적 운용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각 물과 기름의 부족상태나, 오염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창(115)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이러한 표시창(115)은 도 1과 같이 수조(110) 전면 내지는 확인이 용이한 어느 일 측면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표시창(115)은 투명창으로서, 내열성 재질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조(110) 내부를 세척하거나, 물과 기름을 동시에 교체해야할 경우, 내부 수용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퇴수관(125)이 마련되고, 이때, 퇴수관(125)은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수조(110)의 하부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다른 관(물 공급관(117), 물 배출관(119), 기름 공급관(121) 및 기름 배출관(123))들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수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광하협의 형태로서, 이하 상세한 구성 및 구조는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4는 열교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조(110)는 적어도 양측면과 배면의 하부가 상부에 비해 좁게 형성된 상광하협의 구조인 것이며, 내부에는 물과 기름이 기설정된 비율로 채워진다.
이러한 수조(11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영역(W)이 기름의 영역(O)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며, 따라서 계면(I)의 최소화 즉, 물과의 열교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물에 온도저하는 물론,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이고, 온도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110)는 기름영역의 가열이 용이하도록 수조 상부에 가열홈(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열홈(111)은 수조(110) 내부로 돌출된 함체형 구조로서, 버너의 열원이 직접 공급되거나, 열교환부(130) 내지는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열원이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가열홈(111)은 기름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홀(113)이 더 형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열교환부(130)는 버너가 직접 설치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버너의 열원이 가열홈(111)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가 저하된 폐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함체인 것이며, 이때, 열교환부(130)는 용접 등을 통해 가열홈(111)이 마련된 수조(110)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팅 파이프(150)는 연결관(143)을 통해 양단이 각 유도부(135) 및 배출부(139)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사이는 수조(110)의 기름 영역에 침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열홈(111)으로부터 배출되는 열원의 활용이 가능하고, 기름의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침지된 히팅 파이프(150)를 통해 온도의 지속성 유지와,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져, 수조(110)의 세척이 용이하고, 따라서 수조(110)의 양호한 청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열교환부(130)는 가열홈(111)의 일단과 연결된 공급부(131), 함체의 일단에 마련된 유도부(135) 및 함체의 타단에 구비된 배출부(139)를 포함하며, 각 공급부(131)와 유도부(135) 및 배출부(139)는 격벽(141)을 통해 서로 구획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43)을 통해 히팅 파이프(150)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급부(131)는 함체의 양단 사이 영역으로서, 버너가 직접 설치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버너의 열원이 제1연통구를 통해 가열홈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제1연통구(33)는 버너가 열원이 직접 내지는 공급부(131)를 통해 가열홈(111)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홀(hole)인 것이다.
유도부(135)는 가열홈의 열원이 히팅 파이프(150)로 공급되도록 함체 일단에 마련된 영역인 것이다.
이러한, 유도부(135)는 가열홈(111)에서 열원이 히팅 파이프(150)로 유도 배출되도록 가열홈(111)의 타측단과 대응하는 일면에 제2연통구(137)가 마련되고, 따라서, 가열홈(111)의 열원은 제2연통구(137)를 통해 유도부(135)를 경유한 후,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150)로 공급되어 가열홈(111)과 함께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배출부(139)는 함체 타단에 마련되어, 히팅 파이프(15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폐열이 유입되고,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이러한 배출부(139)는 히팅 파이프(150)의 타단을 통해 유입된 폐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145)이 마련되고, 따라서, 히팅 파이프(150)를 통해 유입된 폐열은 배출부(139)를 경우 한 후, 배출관(145)을 통해 외부 내지는 집진기 등으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부(130)는 복수의 격벽(141)을 통해 그 영역이 서로 구획되거나,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급부(131)와 유도부(135) 및 배출부(139)가 각각의 독립된 함체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또한, 공급부(131)의 경우, 제1연통구(133)를 제외한 타 영역을 폐쇄하는 판재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한 작동상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미 도시된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B)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은 공급부(131)의 제1연통구(133)를 통해 가열홈(111)으로 공급되어, 그 주변의 기름을 가열한다. 이때, 가열된 기름은 천공홀(113)통한 대류현상으로, 전체 평균 온도가 유지된다.
가열홈(111)으로 공급된 열원은 그 내부를 순회한 후, 제2연통구(137)를 통해 유도부(135)를 경유한 후, 히팅 파이프(150)로 공급되어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150) 영역이 재차 기름을 가열하도록 한다.
히팅 파이프(150)의 내부를 순회한 열원은 일정 시간 후, 온도가 저하되고, 따라서 기름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히팅 파이프(150)의 타단과 연결된 배출부(139)를 통해 외부 내지는 집진기 등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버너(B)를 통해 공급된 열원은 가열홈(111)을 통해 기름이 1차 가열되고, 이후, 기름에 침지된 히팅 파이프(150)를 통해 2차 가열해줌으로써, 열원의 재활과, 연료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기름은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온도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히팅 파이프(150)는 연결관(143)을 통해 열교환부(13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히팅 파이프(150)의 설치는 물론, 해체가 간편하므로, 수조(110)의 용이한 세척과, 양호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튀김장치 110 : 수조
111 : 가열홈 113 : 천공홀
115 : 투명창 117 : 물 공급관
119 : 물 배수관 121 : 기름 공급관
123 : 기름 배수관 125 : 퇴수관
130 : 열교환부 131 : 공급부
133 : 제1연통구 135 : 유도부
137 : 제2연통구 139 : 배출부
141 : 격벽 143 : 연결관
145 : 배출관 150 : 히팅 파이프
111 : 가열홈 113 : 천공홀
115 : 투명창 117 : 물 공급관
119 : 물 배수관 121 : 기름 공급관
123 : 기름 배수관 125 : 퇴수관
130 : 열교환부 131 : 공급부
133 : 제1연통구 135 : 유도부
137 : 제2연통구 139 : 배출부
141 : 격벽 143 : 연결관
145 : 배출관 150 : 히팅 파이프
Claims (7)
- 튀김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구조로서, 내부에 물과 기름이 기설정된 비율로 채워지고, 버너의 열원이 직접공급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열원이 공급되는 가열홈이 구비된 수조;
상기 버너가 직접 설치되거나, 기설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버너의 열원이 상기 가열홈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폐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열원의 공급 경로와 배출을 유도하는 히팅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파이프는,
양단이 상기 열교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 사이 영역은 상기 수조의 기름 영역에 침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적어도 양측면과 배면의 하부가 상부보다 협소한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과 기름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
물과 기름 및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퇴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
상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 및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기름 공급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홈은,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돌출된 밀폐형 구조인 것이며, 상기 수조 내부의 기름의 순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밀폐된 함체구조로서, 상기 함체의 양단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가열홈의 일측단과 연통된 공급부;
상기 함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열홈의 타측단과 연통되어 상기 히팅 파이프의 일단이 열결되는 유도부; 및
상기 함체의 타단에 마려되어, 상기 히팅 파이프의 타단이 연결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와 유도부 및 배출부는 격벽;을 통해 각 영역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16600 | 2012-02-17 | ||
KR1020120016600 | 2012-02-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5161A true KR20130095161A (ko) | 2013-08-27 |
KR101416259B1 KR101416259B1 (ko) | 2014-07-09 |
Family
ID=4921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8788A KR101416259B1 (ko) | 2012-02-17 | 2012-08-14 | 수유식 튀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625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6970B1 (ko) * | 2015-02-16 | 2016-04-29 | 주식회사 제너시스 | 폐열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CN108577491A (zh) * | 2018-04-27 | 2018-09-28 | 佛山市甄睿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蒸煮锅体具有良好密封性的食物预处理装置 |
KR20240115184A (ko) | 2023-01-17 | 2024-07-25 | 주식회사 도남지익 | 무인 주방 튀김요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3869B1 (ko) | 2020-11-16 | 2022-06-28 | 주식회사 에이블 | 튀김솥 분리형 튀김장치 |
KR20240140476A (ko) | 2023-03-17 | 2024-09-24 | 배순재 | 조리용 유탕솥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0297A (ko) * | 2001-07-26 | 2003-02-05 | 주식회사 화인 | 튀김기의 열교환기 배치구조 |
KR200270933Y1 (ko) | 2001-12-28 | 2002-04-06 | 오예환 |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
-
2012
- 2012-08-14 KR KR1020120088788A patent/KR10141625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6970B1 (ko) * | 2015-02-16 | 2016-04-29 | 주식회사 제너시스 | 폐열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CN108577491A (zh) * | 2018-04-27 | 2018-09-28 | 佛山市甄睿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蒸煮锅体具有良好密封性的食物预处理装置 |
KR20240115184A (ko) | 2023-01-17 | 2024-07-25 | 주식회사 도남지익 | 무인 주방 튀김요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6259B1 (ko) | 201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6259B1 (ko) | 수유식 튀김장치 | |
JP2008116094A (ja) | 排気蒸気希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 |
KR20120133090A (ko) |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 |
KR101161828B1 (ko) |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 |
KR102448049B1 (ko) | 수유식 튀김기 | |
KR101184696B1 (ko) | 수유식 튀김장치 | |
KR101296774B1 (ko) | 청소용수 저장탱크를 갖는 스팀 컨벡션 오븐 | |
EP0931492B1 (en) | Fryer | |
KR20200000629A (ko) | 에너지 절감과 수유조 누유방지 및 튀김찌꺼기 포집으로 인한 친환경 고효율 수유식 튀김장치 | |
KR101222767B1 (ko) | 유수 분리식 튀김기 | |
KR200477159Y1 (ko) | 유수분리식 튀김기 | |
KR200464259Y1 (ko) | 튀김기 | |
KR101667887B1 (ko) | 수유식 튀김기 | |
KR102053776B1 (ko) | 순환 세척 기능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 |
KR102124104B1 (ko) | 조리기기 | |
KR101435494B1 (ko) | 냉각 수단이 구비된 튀김 장치 | |
JP7163048B2 (ja) | 加熱調理装置 | |
KR20120088092A (ko) | 열반사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
KR20130117535A (ko) | 유수분리형 튀김기 | |
JP2010240176A (ja) | ゆで麺機 | |
WO2016163582A2 (ko) | 수유식 튀김기 | |
KR101542240B1 (ko) | 튀김장치 | |
KR101538769B1 (ko) |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 |
KR102411433B1 (ko) | 세척 기능이 구비된 에어 프라이어 | |
KR20120111517A (ko) | 수유식 튀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