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933Y1 -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933Y1
KR200270933Y1 KR2020010040672U KR20010040672U KR200270933Y1 KR 200270933 Y1 KR200270933 Y1 KR 200270933Y1 KR 2020010040672 U KR2020010040672 U KR 2020010040672U KR 20010040672 U KR20010040672 U KR 20010040672U KR 200270933 Y1 KR200270933 Y1 KR 200270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heater
heat
frying oi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예환
Original Assignee
오예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예환 filed Critical 오예환
Priority to KR2020010040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933Y1/ko

Links

Landscapes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1)내의 기름속에 배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에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발열전원을 인가하는 히터제어부(40)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1)의 내부를 가로질러 습식시이즈히터(10)를 설치하여 상기 습식시이즈히터(10)로부터 발생되는 직접적인 열이 튀김용기름을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튀김용기름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열교환 과정이 단축됨에 따라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APPARATUS TO HEAT FRIED OIL OF COOKING VESSEL}
본 고안은 조리용기내의 기름속에 배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에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발열전원을 인가하는 히터제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를 가로질러 습식시이즈히터를 설치하여 상기 습식시이즈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직접적인 열이 튀김용기름을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튀김용기름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열교환 과정이 단축됨에 따라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의 종래기술은 본원 출원인이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 211366호의 도 1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믈 가열장치의 구성은 내측으로 튀김용기름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101)와, 상기 조리용기(101)의 일측면 소정위치로부터 타측면을 향하여 횡단형성되며 그 내측 수용공간이 조리용기(10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확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관(103)과, 상기 발열관(103)의 일단으로부터 삽입되며 히터제어부(102)로부터 인가된 발열전원에 의해 소정의 열을 발생토록 하는 건식히터(1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열관(103)의 내부 양단에는 발열관(103)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단열재(108)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01)의 하부에는 음식물 튀김조리시 발생되는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찌꺼기제거밸브(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의 기술을 살펴보면, 일정량의 튀김기름을 조리용기(101)에 수용시킨 후 히터제어부(102)로부터 발열전원이 건식히터(104)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면, 소정시간 경과 후에는 튀김용기름이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요리재료를 기름에 넣어 요리를 튀기면 된다.
이때, 상기 건식히터(104)는 발열관(103)의 내측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놓이게 되므로, 건식히터(104)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발열관(103)을 가열하고, 상기 발열관(103)에서 발생하는 열이 다시 튀김용기름을 가열하는 열교환 과정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 건식히터(104)를 이용한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의하면, 건식히터(104)로부터 발생되는 직접적인 열이 기름을 가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발열관(103)에 의한 간접적인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튀김용기름의 신속한 가열이 어렵고, 건식히터(104)에서 튀김용기름으로의 열교환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하여 전력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선등록한 실용신안등록 제 211366호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직접적인 열이 튀김용기름을 가열시키도록 함으로써, 튀김용기름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열교환 과정이 단축됨에 따라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하여 열효율이 향상되며,결과적으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용기 4 : 설치공
10 : 습식시이즈히터 20 : 단열캡
22 : 통공 30 : 단열재
40 : 히터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용기내의 기름속에 배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에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발열전원을 인가하는 히터제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일측면 소정부위가 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을 통해 조리용기의 내부를 가로질러 횡단설치되고 히터제어부로부터 인가된 발열전원에 의해 소정의 열을 발생토록 하는 습식시이즈히터와, 상기 습식시이즈히터의 일단과 타단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에 삽결되는 단열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길이 삽입되어 습식시이즈히터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석고보드, 석면,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용기(1)의 일측면 소정부위가 천공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4)을 관통하여 조리용기(1)의 외부에서 내부로 습식시이즈히더(10)가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습식시이즈히터(10)는 조리용기(1)의 내부를 가로질러 횡단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습식시이즈히터(10)의 일단과 타단은 히터제어부(40)와 전기적으로 결선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4)을 통해 조리용기(1)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외부로 돌출된 습식시이즈히터(10)의 일단과 타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된 단열캡(20)이 구비되어, 상기 단열캡(20)이 설치공(4)을 폐쇄하면서 삽결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캡(20)의 내측으로 단열재(30)를 삽입한 후에 설치공(4)에 결합시키는 것이 상기 습식시이즈히터(10)가 발열하면 그 열이 조리용기(1)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1)의 내부를 가로질러 습식시이즈히터(10)를 설치한 후 단열캡(20)의 통공(2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습식시이즈히터(10)의 일단과 타단은 전기적으로 히터제어부(40)에 결선시킨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는 조리용기(1)의 일측면을 통해 그 내부를 가로질러 습식시이즈히터(10)가 설치되고, 조리용기(1)의 외부로 돌출된 습식시이즈히터(10)의 일단과 타단은 히터제어부(40)에 전기적으로 결선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일반 사용자가 튀김요리를 하고자 할 때에는 조리용기(1)에 튀김용기름을 소정량 충진시킨 후 히터제어부(40)로부터 발열전원이 습식시이즈히터(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면, 소정시간 경과 후에는 튀김용기름이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요리재료를 튀김용기름에 넣어 요리를 튀기면 된다.
이때, 상기 습식시이즈히터(10)는 조리용기(1)의 내부를 가로질러 노출된 상태로 횡단설치되므로, 상기 조리용기(1) 내부에 튀김용기름을 수용시키게 되면 습식시이즈히터(10)는 튀김용기름과 직접 접촉된 상태로 잠기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습식시이즈히터(10)와 튀김용기름 사이에 직접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므로, 습식시이즈히터(10)의 직접적인 열이 튀김용기름을 가열하게 되어 열교환 과정에서 불필요한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열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튀김용기름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습식시이즈히터의 직접적인 열이 튀김용기름을 가열시키도록 이루어져, 튀김용기름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고, 열교환 과정이 단축됨에 따라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하여 열효율이 향상되며, 결과적으로 전력소모를 줄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리용기(1)내의 기름속에 배치되어 기름을 가열하도록 하는 히터에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발열전원을 인가하는 히터제어부(40)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의 일측면 소정부위가 천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4)과;
    상기 설치공(4)을 통해 조리용기(1)의 내부를 가로질러 횡단설치되고, 상기 히터제어부(40)로부터 인가된 발열전원에 의해 소정의 열을 발생토록 하는 습식시이즈히터(10)와;
    상기 습식시이즈히터(10)의 일단과 타단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 (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4)에 삽결되는 단열캡(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캡(20)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길이 삽입되어 습식 시이즈 히터(10)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단열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KR2020010040672U 2001-12-28 2001-12-28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KR200270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72U KR200270933Y1 (ko) 2001-12-28 2001-12-28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72U KR200270933Y1 (ko) 2001-12-28 2001-12-28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933Y1 true KR200270933Y1 (ko) 2002-04-06

Family

ID=7311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672U KR200270933Y1 (ko) 2001-12-28 2001-12-28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9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59B1 (ko) 2012-02-17 2014-07-09 주식회사 동방포쎄 수유식 튀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59B1 (ko) 2012-02-17 2014-07-09 주식회사 동방포쎄 수유식 튀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0221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healthy rice cooking and removing starch in rice
KR0152145B1 (ko) 전자렌지
KR200270933Y1 (ko)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KR200211366Y1 (ko) 조리용기의 튀김용기름 가열장치
KR100521089B1 (ko) 복합유도가열 조리기
DE69936816D1 (de) Tauchheizkörper zur Benutzung in Heizkörpern von Heisswasserkreislaufheizungen
CN209031982U (zh) 煎烤机的烤盘组件和煎烤机
CN206261490U (zh) 一种烤箱加热装置及烤箱
KR101140261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KR200157112Y1 (ko) 전자렌지의 증기조리장치
JP2006325823A (ja) ジャー炊飯器
KR200191638Y1 (ko) 전기 가열장치
CN2523336Y (zh) 电炸锅
KR200202826Y1 (ko) 전기압력솥
CN211380840U (zh) 一种无水煮蛋器
KR200143281Y1 (ko) 세탁물 삶는 장치
RU2000131565A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улканизационного пресса
KR200217038Y1 (ko) 온열치료기의 발열도자
KR100526205B1 (ko) 전자렌지
KR200357126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KR910009540Y1 (ko) 전기압력솥의 수증기 자동제거장치
KR870002588Y1 (ko) 보온 물통의 가열장치
KR200197444Y1 (ko) 전기밥솥의 가열장치
EP2329748A1 (e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ating device
KR0158522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백미조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