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517A - 수유식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517A
KR20120111517A KR1020110030033A KR20110030033A KR20120111517A KR 20120111517 A KR20120111517 A KR 20120111517A KR 1020110030033 A KR1020110030033 A KR 1020110030033A KR 20110030033 A KR20110030033 A KR 20110030033A KR 20120111517 A KR20120111517 A KR 2012011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ying
feeding
oil
boundar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코폰
김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코폰, 김건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코폰
Priority to KR102011003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517A/ko
Publication of KR2012011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기름층과 물층의 표준경계에 인접한 수유튀김통의 기름수용공간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장치를 구비하여 조리도중에도 기름층에 인접한 물의 과열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장치{WATER AND OIL FRYER}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튀김통에 튀김기름과 함께 수용되는 물이 과열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튀김통을 구비하는 튀김장치를 사용하여 튀김통 내부에 튀김기름을 붓고 이를 히터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튀김음식물을 조리하다 보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산패되어 인체에 해로운 지방산을 형성하게 되고, 튀김조리 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음식물찌꺼기 등이 계속적으로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러한 지방산과 음식물찌꺼기는 튀김기름을 쉽게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에 따라 종래 튀김장치의 사용 중에는 튀김기름을 수시로 갈아 주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종래 튀김장치는 튀김기름의 과도한 소모로 인해 경제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최근에는 튀김기름의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유식 튀김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는 수유튀김통을 구비하여 내부에 튀김기름과 함께 물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수유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물층을 형성하고 튀김기름이 물층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기름층을 형성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고, 히터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용이하도록 기름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가 튀김기름 하부의 물 쪽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음식물찌꺼기로 인해 튀김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에서, 기름층에 인접한 물층의 물은 히터 및 히터에 의해 가열된 기름층을 통해 가열되면서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수증기는 기름층을 뚫고 상부로 비산되면서 폭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수유식 튀김장치에서 히터 하부 쪽이 되는 기름층 저부의 수유튀김통에는 냉각유로가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유로는 튀김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자연대류에 의해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기름층에 인접한 물층의 물을 냉각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냉각수단으로써 자연대류 현상을 이용하는 냉각유로 만을 구비하는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의 경우 물층의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종래 수유식 튀김장치는 물층의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로 인해 제품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튀김기름과 함께 수유튀김통에 수용되는 물이 과열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유식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저부가 물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 쪽이 튀김기름 수용을 위한 기름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수유튀김통과, 상기 물수용공간과 기름수용공간의 표준경계를 표시하도록 마련된 표준경계선과, 상기 튀김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마련되는 가열장치와,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기름수용공간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장치와,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의 물을 상기 수유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기름수용공간 저부 쪽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1단속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의 물을 상기 수유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2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관은 입구가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로 연장되고 출구가 상기 수유튀김통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유튀김통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수관의 단부는 상기 배수관의 입구가 상기 배수관의 상단보다 저부에 위치되도록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단속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되고,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단속밸브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유튀김통의 측벽 일부는 투명창으로 마련되고, 상기 표준경계선은 상기 투명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기름층과 물층의 표준경계에 인접한 수유튀김통의 기름수용공간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장치와,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수유튀김통 내부의 물을 수유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배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과정 중에도 물의 폭발조짐이 보일 경우 상기 급수장치를 통해 표준경계에 인접한 기름층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시킴으로써, 기름층에 인접한 물층의 물이 과열되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급수장치를 통해 물층을 냉각시킨 후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물층의 물은 상기 배수장치를 통해 수유튀김통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물층을 냉각시킨 후 수유튀김통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량을 보다 신속하게 적정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정면도로 수유튀김통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측단면도로, 일반 조리 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반 조리 중 급수장치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급수장치 동작 후 배수장치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케이싱(1)을 구비하여 외관을 이룬다. 케이싱(1)의 하부 쪽 각 모서리에는 지지다리(2)가 연결되고, 지지다리(2)의 하단에는 장치의 이동시 편리를 위한 바퀴(3)가 설치된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수유튀김통(10)이 설치된다. 수유튀김통(10)은 상부에 개구를 구비하여 상부로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어 개구 둘레 상부가 케이싱(1) 상부 개방부 둘레에 용접되는 방식을 통해 케이싱(1)에 일체로 고정된다.
수유튀김통(10) 내부로는 물과 튀김기름이 함께 수용된다. 수유튀김통(10) 내부로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상호 간의 비중차에 의해 물이 저부에 위치되고 튀김기름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자연적으로 분리되는데, 이에 따라 수유튀김통(10) 내부공간의 저부는 물로 형성된 물층(a)을 수용하는 물수용공간(10a)을 형성하고, 물수용공간(10a) 상부 쪽 수유튀김통(10) 내부공간은 튀김기름을 통해 형성된 기름층(b)을 수용하는 기름수용공간(10b)을 형성하게 된다.
기름수용공간(10b) 중간 정도 위치의 수유튀김통(10)에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4)로써, 전기식 히터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가열장치는 가스버너와, 가스버너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열을 튀김기름에 전달하기 위해 수유튀김통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연소관을 포함하는 가스식 히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에서 수유튀김통(10) 내부에 함께 수용되는 물과 튀김기름의 량은 가열장치(4)의 용량이나 한 번에 조리될 튀김음식물의 조리량에 맞게 항시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유튀김통(10)에는 물수용공간(10a)과 기름수용공간(10b)의 표준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표준경계선(21)이 마련되며, 이러한 표준경계선(21)은 수유튀김통(10)의 전면 쪽 측벽 일부를 형성하는 투명창(20)을 통해 마련된다.
투명창(20)은 수유튀김통(10)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도어 형태로 마련되어 작업자가 수유튀김통(10) 내부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닦아 낼 수 있도록 하고, 수유튀김통(10) 외부에서 작업자가 표준경계선(21)을 보고 물층(a)과 기름층(b)의 표준경계를 수시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경계선(21)의 경우 투명창(20)의 프레임(20a)에 일체로 고정된 금속재질의 강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5 및 5a는 각각 수유튀김통(10)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 및 배출관(5)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밸브로써, 이러한 배출관(5)과 밸브(5a)는 수유튀김통(10)의 청소시 수동방식으로 개방되어 수유튀김통(1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장치(4) 상부 쪽 기름수용공간(10b)에는 튀김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튀김망(6)이 설치되고, 케이싱(10)의 개방부 후방 쪽 상부에는 튀김망(6)을 걸어 둘 수 있도록 마련된 거치대(7)가 설치된다.
또한 기름수용공간(10b)에 인접한 물층(a)의 물은 가열장치(4) 및 가열장치(4)에 의해 가열된 기름층(b)을 통해 가열되면서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수증기는 기름층(b)을 뚫고 상부로 비산되면서 폭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름수용공간(10b) 저부에 해당하는 수유튀김통(10)에는 냉각유로(8a)가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유로(8a)는 수유튀김통(1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냉각관(8)으로 형성되어 자연대류에 의해 내부를 경유하는 외부 공기로 기름층(b) 저부 및 기름층(b)에 인접한 물층(a)의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 케이싱(10)의 전방 쪽 측면 상부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9)이 설치된다. 컨트롤패널(9)에는 수유식 튀김장치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복수개의 조작스위치(9a)와, 수유식 튀김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9b)가 마련된다. 조작스위치(9a)는 상기 가열장치(4)의 구동여부 및 발열정도와 구동시간을 조작하기 위한 것들과, 후술하게 될 제1 및 제2단속밸브(32,42)의 조작을 위한 것들을 포함하여 복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컨트롤패널(9) 하부의 케이싱(1) 전방 쪽 측면에는 수유튀김통(10)을 청소할 때나 투명창(20)을 통해 수유튀김통(10) 내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케이싱(1) 전면을 개방하기 위한 개폐도어(1a)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할 때는 먼저 컨트롤패널(9)의 조작스위치(9a)를 조작하여 기름층(b)의 온도가 튀김 대상물의 종류에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장치(4)를 구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튀길 음식물이 올려진 튀김망(6)을 가열장치(4) 상부의 기름층(b)에 집어넣어 음식물(F)을 튀김기름에 튀기게 된다.
이때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은 기름층(b)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 음식물(F)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는 기름층(b) 하부의 물층(a) 속으로 대부분 가라앉게 되는데, 이에 따라 수유튀김통(10) 내부의 튀기기름은 지방산이나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찌꺼기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장치는 상기 냉각유로(8a)의 작용과 협력하여 음식물 조리도중 발생할 수 있는 물층(a)의 폭발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급수장치(30)를 구비한다.
급수장치(30)는 기름층(b)에 인접한 물층(a)의 물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물층(a)에 인접한 기름층(b)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표준경계선(21)에 인접한 기름수용공간(10b) 저부 쪽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관(31)과, 급수관(3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1단속밸브(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급수관(31)은 출구(31a)가 기름수용공간(10b) 저부 쪽 수유튀김통(10)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전달받은 냉수나 냉각수 등의 물을 표준경계에 인접한 기름수용공간(10b)의 저부로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속밸브(32)는 컨트롤패널(9)에 마련된 조작스위치(9a)에 의해 급수관(31)을 개폐하는 전자식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조작스위치(9a)의 조작에 의해 급수관(3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장치(30)는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수유튀김통(10) 내부 유체의 수압차를 이용하여 제1단속밸브(32)를 개방시킬 경우 급수관(31)을 통해 수유튀김통(10) 내부로 바로 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급수장치(30)는 급수관(31)을 통해 수유튀김통(10) 내부로 물을 강제 펌핑시키는 펌프를 더 구비하여 수유튀김통(10)으로 물을 강제 펌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한 조리 도중 물층(a)의 폭발조짐이 보일 경우 이용자는 급수관(31)의 물이 수유튀김통(10)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작스위치(9a)를 조작하여 제1단속밸브(32)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수유튀김통(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량이 과도하게 많을 경우에는 기름층(b)의 수위가 크게 올라가면서 튀김기름이 수유튀김통(10) 상부로 넘칠 우려가 있고, 너무 적은 량의 물이 수유튀김통(10) 내부로 공급될 때는 물층(a)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없게 되므로, 이용자는 개폐도어(1a)를 개방시키고 투명창(20)의 표준경계선(21)을 보면서 수유튀김통(10) 내부로 적정한 량의 물이 급수관(31)을 통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급수관(31)을 통해 기름층(b) 저부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저부 쪽 기름층(b) 및 이에 인접한 물층(a)의 물이 냉각되면서 물층(a)의 폭발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는 이와 같이 급수관(31)을 통해 수유튀김통(10)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때 기름층(b) 저부로 공급되는 물은 튀김기름과의 비중차에 의해 공급과 동시에 기름층(b) 저부로 이동되어 물층(a)에 합류되면서 가열장치(4)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급수장치(30)에 의해 수유튀김통(10) 내부로 공급된 물은 가열장치(4) 및 가열장치(4) 상부의 기름층(b) 온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는 튀김음식을 조리하는 과정 중에 급수장치(30)를 구동시키더라도 이용자가 튀김음식을 조리하는데 별다른 지장을 겪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는 급수장치(30)를 통해 수유튀김통(10)으로 공급된 물의 량만큼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층(a)의 수위가 표준경계선(21) 상부로 올라가게 되면서 수유튀김통(10) 내부 물과 튀김기름의 량이 적정비율을 벗어나게 되므로, 수유튀김장치는 급수장치(30)를 이용한 물층(a)의 냉각작용 이후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층(a)과 기름층(b)의 비율을 다시 적정상태로 맞추기 위한 배수장치(4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배수장치(40)는 표준경계선(21)에 인접한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을 수유튀김통(1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것으로, 표준경계선(21)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10) 내부의 물을 상기 수유튀김통(1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배수관(41)과, 배수관(4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2단속밸브(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배수관(41)은 수유튀김통(10) 바닥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그 입구(41)가 표준경계선(21)에 인접한 수유튀김통(10) 내부로 연장되고, 그 출구(41b)가 수유튀김통(10)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배수관(41)을 표준경계선(21)에 인접한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은 수위가 증가된 물층(a)에 있어서 가열장치(4)에 근접되어 하부 쪽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상부 쪽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조리도중 기름층(b)에서 발생하여 물층(a) 저부로 가라앉고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배수관(41)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배수관(41)이 찌꺼기에 의해 막히게 되면서 배수관(41)을 통한 물의 원활한 배출동작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유튀김통(10) 내부에 위치되는 배수관(41)의 단부는 배수관(41)의 입구(41a)가 배수관(41)의 상단보다 저부에 위치되도록 밴딩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단속밸브(42)는 컨트롤패널(9)에 마련된 조작스위치(9a)에 의해 배수관(41)을 개폐하는 전자식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조작스위치(9a)의 조작에 의해 배수관(41)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장치(40)를 동작시켜 수유튀김통(10) 내부 물을 배출시킬 경우, 이용자는 투명창(20)에 마련된 표준경계선(21)을 보면서 조작스위치(9a)를 작동시켜 물층(a)의 높이가 표준경계에 다다를 때까지 배수관(41)이 개방된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미설명부호 100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아내기 위한 용기를 가리킨다.
1: 케이싱 a: 물층
b: 기름층 4: 가열장치
9: 컨트롤패널 9a; 조작스위치
10: 수유튀김통 10a: 물수용공간
10b: 기름수용공간 20: 투명창
21: 표준경계선 30: 급수장치
31: 급수관 32: 제1단속밸브
40: 배수장치 41: 배수관
42: 제2단속밸브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어 저부가 물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물수용공간 상부 쪽이 튀김기름 수용을 위한 기름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수유튀김통과, 상기 물수용공간과 기름수용공간의 표준경계를 표시하도록 마련된 표준경계선과, 상기 튀김기름을 가열하도록 상기 기름수용공간에 마련되는 가열장치와,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기름수용공간 저부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장치와,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의 물을 상기 수유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기름수용공간 저부 쪽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1단속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의 물을 상기 수유튀김통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통한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마련된 제2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입구가 상기 표준경계선에 인접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로 연장되고 출구가 상기 수유튀김통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유튀김통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튀김통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배수관의 단부는 상기 배수관의 입구가 상기 배수관의 상단보다 저부에 위치되도록 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속밸브는 솔레노이드밸브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단속밸브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유튀김통의 측벽 일부는 투명창으로 마련되고, 상기 표준경계선은 상기 투명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식 튀김장치.
KR1020110030033A 2011-04-01 2011-04-01 수유식 튀김장치 KR20120111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33A KR20120111517A (ko) 2011-04-01 2011-04-01 수유식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33A KR20120111517A (ko) 2011-04-01 2011-04-01 수유식 튀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17A true KR20120111517A (ko) 2012-10-10

Family

ID=4728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033A KR20120111517A (ko) 2011-04-01 2011-04-01 수유식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5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1687A (zh) * 2013-01-22 2014-07-23 鹰和夫 油炸锅及油炸锅的残渣排除方法
KR101538769B1 (ko) * 2014-07-28 2015-07-24 이흥관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1687A (zh) * 2013-01-22 2014-07-23 鹰和夫 油炸锅及油炸锅的残渣排除方法
KR101538769B1 (ko) * 2014-07-28 2015-07-24 이흥관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696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KR20120111517A (ko) 수유식 튀김장치
KR101567300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KR101222767B1 (ko) 유수 분리식 튀김기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KR200456048Y1 (ko) 전기튀김기
KR20130134912A (ko) 멀티 냉각형 수유식 튀김기
JP2009219859A (ja) 加熱調理器
JP4170287B2 (ja) 食材茹で機
KR100954902B1 (ko) 튀김기
KR101447799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214152B1 (ko)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KR20200000629A (ko) 에너지 절감과 수유조 누유방지 및 튀김찌꺼기 포집으로 인한 친환경 고효율 수유식 튀김장치
KR102166998B1 (ko) 튀김 조리 장치
KR101643131B1 (ko)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US20140044849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101265764B1 (ko) 동물성 기름 제거가 용이한 튀김기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KR101955849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379444B1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KR101538769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JP2013518661A (ja) フライ鍋
JP4884421B2 (ja) グリル装置
KR102314906B1 (ko) 진공 및 중탕식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