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152B1 -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Google Patents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4152B1 KR101214152B1 KR1020110116561A KR20110116561A KR101214152B1 KR 101214152 B1 KR101214152 B1 KR 101214152B1 KR 1020110116561 A KR1020110116561 A KR 1020110116561A KR 20110116561 A KR20110116561 A KR 20110116561A KR 101214152 B1 KR101214152 B1 KR 101214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ater
- neck portion
- odor
- receiv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분리형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기름이 수용되며, 상기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기름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상기 기름수용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기름의 경계영역에 냄새역류방지판을 구비한 유수분리형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기는 물은 사용하지 않고, 기름만을 튀김통에 넣고 기름전체를 가열하여 튀기는 방법이 있고, 물과 기름을 함께 튀김통에 넣은 다음에 물과 기름의 분리 특성을 이용하여 기름만을 가열하여 튀기는 방법이 있다.
기름만을 이용하여 튀기는 경우에는, 튀김통 내벽에 튀김찌꺼기가 달라붙거나, 기름과 혼합되어 계속해서 가열되므로 기름의 산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따라서, 기름만을 이용하는 튀김기의 경우에는, 튀김통 내부 및 기름이 쉽게 오염되며, 그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기름이 빨리 산화되기 때문에, 기름을 새것으로 자주 바꾸어주어야 하므로, 그로 인한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한국공개실용 1998-0020349호 "튀김기기"와, 일본특허공개 특개평7-308260호 "공냉식 튀김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물과 기름이 분리되는 특성을 이용한 유수 분리형 튀김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물과 기름을 튀김통 내부에 함께 넣더라도, 비중의 차이에 의해서 기름은 뜨고 물은 가라앉게 된다. 상부의 기름만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튀기게 되면, 기름에 의해 튀겨지는 튀김가루나 찌꺼기는 아래로 가라앉아서 물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기름은 깨끗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기름의 산화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되어 기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유수분리형 튀김기는 상부의 기름에서 이동한 튀김가루나 찌꺼기가 아래쪽의 물에 가라앉아 있게 되므로, 이들에서 발생된 냄새가 기름 쪽으로 이동하여 튀김에 베이거나, 밖으로 발산되어 악취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쪽의 물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상부의 기름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유수분리형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의 기름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고 냄새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수분리형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수분리형 튀김기는, 내부에 기름이 수용되며, 상기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기름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상기 기름수용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냄새역류방지판은 상기 네크부의 내부에 위치한 가운데영역을 중심으로 좌우로 상기 기름수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경사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냄새역류방지판은 상기 경사판과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 사이에 기름이 이동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경사판의 모서리 영역이 용접에 의해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네크부 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는 물수용부와 기름수용부 사이의 네크부에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냄새역류방지판이 삽입되어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기름수용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냄새역류방지판은 한 쌍의 경사판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물수용부의 냄새는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튀김에 베이거나 밖으로 발산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수분리형 튀김기(1)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는 내부에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를 갖는 튀김기본체(10)와, 튀김기본체(10)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W)이 수용되는 물수용부(20)와,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를 상호 연결하는 네크부(30)를 포함한다.
튀김기 본체(10)는 튀김기(1)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튀김기 본체(10)의 상부에는 튀김이 완료된 튀김음식을 올려놓기 위한 기름받이부재(15)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튀김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영역에 기름수용부(11)가 구비되고, 하부영역에 물수용부(20)가 구비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네크부(30)가 가운데 영역에 구비된다.
튀김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제어패널(70)이 구비되어 기름온도, 튀김시간 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기름수용부(11)는 튀김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튀김기 본체(10)에 결합된다. 기름수용부(1)는 튀김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기름수용부(11)는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기름수용부(11)의 상부영역은 개방되고, 하부영역은 점차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네크부(30)와 결합된다. 기름수용부(11)의 개방된 상부영역은 뚜껑(미도시) 등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기름수용부(11)의 외측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튀김기 본체(10)와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기름수용부(11)의 열이 튀김기 본체(10)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그들 사이의 공간(a)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공냉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기름수용부(11)의 하부는 네크부(30)와 연결된다. 기름수용부(11)의 내부에는 기름(O)에 잠기도록 히터(13)가 설치된다. 히터(13)는 튀김기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70)에서의 조작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전기에너지 또는 가스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열을 발생시키게 되어 기름(O)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패널(70) 즉, 콘트롤 박스를 조작함으로써, 기름(O)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어유닛(70)은 튀김기 본체(10)의 전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히터(13)의 상부에는 튀김용 음식을 걸러주는 거름망(17)이 설치된다.
물수용부(20)는 기름수용부(11)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물수용부(20)는 튀김기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물수용부(20)는 튀김기본체(10)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수용부(20)는 기름수용부(11)와 함께 내부 체적이 상대적으로 네크부(30)에 비해 크게 구비된다.
물수용부(20)의 일측에는 확인창(21)이 구비된다. 확인창(21)은 물수용부(20) 내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확인창(21)을 통해 물수용부(20)에 수용된 물(W)의 상태, 즉 탁도, 염도, 찌꺼기 양 등을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W)의 오염시기를 체크하여 교환시기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확인창(21)을 통해 물(W)과 기름(O)의 경계역역의 높이를 확인하여 물(W)의 양을 보충하여 물(W)과 기름(O)의 경계영역(A)이 물수용부(20)의 상부영역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튀김기본체(10)의 전면에는 도어(80)가 구비된다. 도어(80)는 튀김기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확인창(21)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차단함으로써, 확인창(21)이 충돌이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수용부(20)의 하부영역에는 배출구(50)가 구비된다. 배출구(50)에는 밸브(51)가 설치되어, 물수용부(20)와 기름수용부(11) 내부에 수용된 물(W)과 기름(O)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네크부(30)는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다.
여기서, 네크부(30)는 단면적이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기름(O)이 물수용부(20)로 이동되는 통로의 단면적이 최소화되게 된다. 기름(O)이 이동되는 경로의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물수용부(20) 측으로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물(W)과 기름(O)의 경계영역(A)은 물수용부(20)의 기름유입구로부터 1cm~2cm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물(W)과 기름(O)의 경계영역(A)의 경계영역이 네크부(30) 내부에 위치될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서 물(W)과 기름(O)이 접촉하고 기름(O)의 열이 물로 전달되므로 접촉영역에서 물(W)이 끓어오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
이에 물(W)과 기름(O)의 경계영역(A)을 기름유입구로부터 1cm~2cm 아래, 즉, 물수용부(20)의 최상부영역에서 1cm~2cm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경우, 좁은 면적을 통해 이동된 기름(O)이 넓은 면적의 물(W)과 접촉되면서 기름(O)의 열이 물(W)로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기름(O)과 많은 양의 물(W)이 접촉되므로 물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물(W)이 끓어오르지 않게 된다.
또한, 물(W)과 기름(O)의 접촉면적이 좁아져 기름(O)의 열이 물(W)로 전달되는 양을 최소화하여 기름(O)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크부(3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의 중앙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관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네크부(30)의 폭(d2)은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의 폭(d1)에 비해 1/3~1/9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크부(30)의 폭(d2)이 1/3 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물(W)과 기름(O)의 접촉면적이 크므로 기름(O)의 온도유지가 용이하지 않으며, 네크부(30)의 폭(d2)을 1/9 보다 더 작게 형성할 경우 폭의 차이에 의한 압력강하가 발생될 수 있으며, 기름(O)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네크부(30)의 일측에는 기름배출구(60)가 구비될 수 있다. 기름배출구(60)는 네크부(30)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관형상으로 구비되어 기름수용부(20) 내부의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기름배출구(60)의 단부영역에는 기름배출구(6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1)가 구비된다. 이러한 기름배출구(60)의 구조에 의해 네크부(30)와 물수용부(20)를 통해 배출관(50)으로 기름을 배출시키지 않고 직접 기름배출구(60)로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다.
냄새역류방지판(90)은 네크부(30)에 삽입되어 물수용부(20)의 냄새가 기름수용부(1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수용부(20)는 기름수용부(11)에서 이동된 이물질 등이 바닥에 가라앉아 있으며,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냄새가 발생되게 된다. 냄새역류방지판(90)은 물수용부(20)와 기름수용부(11) 사이에 결합되어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냄새역류방지판(90)은 판상 재질로 구비되며, 가운데영역(93)을 중심으로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판(91)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경사판(91)은 가운데영역(93)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삿갓의 형태를 이룬다.
냄새역류방지판(90)은 단면적이 네크부(30)의 단면적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네크부(3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판(91)이 네크부(30)의 물수용부(20)의 유입구 측을 차폐하게 되므로 물수용부(20)에서 발생된 냄새(S)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한편, 냄새역류방지판(90)은 네크부(30)의 내부에 삽입될 때 내벽면과 접하는 모서리 영역(95)을 용접하여 네크부(30) 내에 고정된다. 이 때, 경사판(91)과 네크부(30)의 양측벽 사이에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고정된다. 이격공간(a)을 통해 기름(O)이 물수용부(20)로 이동하게 된다.
경사판(91)과 네크부(30) 사이에 이격공간(a)이 일정거리 형성되더라도, 냄새(S)가 이동하는 하측방향에서 상부방향측으로는 이격공간(a)이 경사판(91)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냄새(S)가 이격공간(a)을 통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된다.
여기서, 네크부(30)의 하부영역으로 노출된 경사판(91)의 길이, 즉 경사판(91)에서 물수용부(20) 측에 배치되는 경사판(91)의 하단부의 길이가 길수록 냄새를 차폐하는 효율은 크게 된다. 즉, 한 쌍의 경사판(91)이 네크부(30)의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구비되고, 좌우로 벌어져 있으므로 벌어져 있는 길이가 길수록 냄새를 차단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반면, 길이가 길수록 기름이 물수용부(20)로 이동하는 경로가 길어지므로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길이로 경사판(91)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는 네크부(30)가 관의 형상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a)는 네크부(30a)가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단면형상은 관의 형상으로 구비되나,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의 중심영역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물(W)과 기름(O)의 경계영역(A)의 접촉면적에 따른 기름(O)의 온도유지 효율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비해 저하되나 기름(O)의 배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네크부의 형상은 기름수용부(11)와 물수용부(20)의 체적과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냄새역류방지판(90a)은 네크부(30a)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네크부(30a)를 통한 물수용부(20) 측의 냄새의 역류를 방지한다. 냄새역류방지판(90a)는 네크부(30a)의 횡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일정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냄새의 역류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a)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네크부(30a)의 면적이 크므로 물수용부(20)를 통한 냄새의 역류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냄새역류방지판(90a)에 의한 냄새 차단효과가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형 튀김기는 물수용부와 기름수용부 사이의 네크부에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냄새역류방지판이 삽입되어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기름수용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냄새역류방지판은 한 쌍의 경사판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물수용부의 냄새는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튀김에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유수분리형 튀김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유수분리형 튀김기 10 : 튀김기본체
11 : 기름수용부 13 : 히터
15 : 기름받이부재 17 : 거름망
19 : 기름받이부재 20 : 물수용부
21 : 확인창 30 : 네크부
50 : 배출구 51 : 배출밸브
60 : 기름배출구 61 : 개폐밸브
70 : 제어패널 80 : 도어
90 : 냄새역류방지판 91 : 경사판
93 : 가운데영역 95 : 모서리영역
11 : 기름수용부 13 : 히터
15 : 기름받이부재 17 : 거름망
19 : 기름받이부재 20 : 물수용부
21 : 확인창 30 : 네크부
50 : 배출구 51 : 배출밸브
60 : 기름배출구 61 : 개폐밸브
70 : 제어패널 80 : 도어
90 : 냄새역류방지판 91 : 경사판
93 : 가운데영역 95 : 모서리영역
Claims (3)
- 유수분리형 튀김기에 있어서,
내부에 기름이 수용되며, 상기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기름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의 하부영역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물수용부와;
상기 기름수용부와 상기 물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물수용부에서 발생된 냄새가 상기 기름수용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판은 상기 네크부의 내부에 위치한 가운데영역을 중심으로 좌우로 상기 기름수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역류방지판은 상기 경사판과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 사이에 기름이 이동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경사판의 모서리 영역이 용접에 의해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네크부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6561A KR101214152B1 (ko) | 2011-11-09 | 2011-11-09 |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6561A KR101214152B1 (ko) | 2011-11-09 | 2011-11-09 |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4152B1 true KR101214152B1 (ko) | 2012-12-21 |
Family
ID=4790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6561A KR101214152B1 (ko) | 2011-11-09 | 2011-11-09 |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415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861B1 (ko) | 2013-02-07 | 2014-10-14 | 강성회 | 튀김기 |
WO2016043457A1 (ko) * | 2014-09-19 | 2016-03-24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
WO2016163582A3 (ko) * | 2015-04-07 | 2017-05-18 | 조상훈 | 수유식 튀김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100Y1 (ko) * | 2004-07-30 | 2004-10-15 | 조점섭 | 전기 튀김기 |
-
2011
- 2011-11-09 KR KR1020110116561A patent/KR1012141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100Y1 (ko) * | 2004-07-30 | 2004-10-15 | 조점섭 | 전기 튀김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0861B1 (ko) | 2013-02-07 | 2014-10-14 | 강성회 | 튀김기 |
WO2016043457A1 (ko) * | 2014-09-19 | 2016-03-24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전자 유도가열을 이용한 산패방지용 튀김장치 |
WO2016163582A3 (ko) * | 2015-04-07 | 2017-05-18 | 조상훈 | 수유식 튀김기 |
KR101741311B1 (ko) * | 2015-04-07 | 2017-05-30 | 조상훈 | 수유식 튀김기 |
CN107405027A (zh) * | 2015-04-07 | 2017-11-28 | 赵相勋 | 水油式油炸锅 |
US10863864B2 (en) | 2015-04-07 | 2020-12-15 | Sang Hoon CHO | Water and oil type fry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77973A (en) | Fry kettle with integral continuous filter | |
US20020083841A1 (en) | Water kettle, and particle catcher/filter assembly for said kettle | |
KR101214152B1 (ko) |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
KR101161828B1 (ko) |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 |
KR101208596B1 (ko) | 인덕션 레인지 후드 | |
KR101184696B1 (ko) | 수유식 튀김장치 | |
CN104566587A (zh) | 一种抽油烟机 | |
KR101567300B1 (ko) |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 |
KR200464259Y1 (ko) | 튀김기 | |
KR200440640Y1 (ko) | 튀김기 | |
JP2010159916A (ja) | 蒸気発生機能付き加熱調理器 | |
KR200477159Y1 (ko) | 유수분리식 튀김기 | |
KR20150118704A (ko) | 수유 튀김기 | |
CN204345762U (zh) | 一种抽油烟机 | |
KR101052615B1 (ko) | 튀김기 | |
KR20120088092A (ko) | 열반사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 |
KR20130117535A (ko) | 유수분리형 튀김기 | |
KR101643131B1 (ko) | 안전 성능이 향상된 인덕션 수유식 튀김장치 | |
JP6072420B2 (ja) | フライヤー | |
KR101379444B1 (ko) |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 |
GB2422292A (en) | Deep fat fryer with means for emptying oil | |
KR20180068631A (ko) | 압력밥솥 | |
KR101265765B1 (ko) | 냉각수단이 구비된 침전물 제거용 튀김기 | |
KR101538769B1 (ko) |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 |
KR20120111517A (ko) | 수유식 튀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