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973A - 수유식 튀김기 - Google Patents

수유식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973A
KR20160119973A KR1020150048838A KR20150048838A KR20160119973A KR 20160119973 A KR20160119973 A KR 20160119973A KR 1020150048838 A KR1020150048838 A KR 1020150048838A KR 20150048838 A KR20150048838 A KR 20150048838A KR 20160119973 A KR20160119973 A KR 2016011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pipe
heating
diffu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311B1 (ko
Inventor
조상훈
Original Assignee
조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훈 filed Critical 조상훈
Priority to KR102015004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311B1/ko
Priority to PCT/KR2015/004549 priority patent/WO2016163582A2/ko
Priority to US15/565,160 priority patent/US10863864B2/en
Priority to CN201580078608.9A priority patent/CN107405027A/zh
Publication of KR2016011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11B1/ko
Priority to PH12017501849A priority patent/PH1201750184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4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heated with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용 기름층의 열이 물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미리 정해진 단면적 비율을 가지는 연결관을 구비한 튀김용 기름통, 가열유로에 열을 공급하는 가스버너 또는 튀김용 기름에 직접 열을 공급하는 전기히터, 연결관을 통해 기름통의 기름과 연결되는 기름 및 상기 기름과 경계를 이루는 물을 동시에 수용하며 배수관을 구비한 청소용 통, 및 기름과 물의 경계면 아래 위치한 퇴적층 배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유식 튀김기 {Fryer using Oil and Water}
본 발명은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용 기름층의 열이 물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요리는 각종 생선류, 육류 및 채소류 등 그 재료의 선택범위가 넓으면서 비교적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어서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널리 이용된다. 최근에는 패스트푸드, 치킨점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튀김요리의 조리방식도 점차 전문화, 대형화하고 있다.
이러한 튀김요리 조리방법은 기름통에 식용유를 붓고 가열하면서 튀김재료를 넣어서 조리하는 비교적 간편한 조리방법이 사용된다. 조리장치도 기름을 담아서 가열하는 탱크와 튀김망을 이용하는 단순한 튀김기에서 시작하여,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튀김기름통 내부에 물과 식용유를 함께 수용하는 수유식 튀김기로 점차 개선되었다. 수유식 튀김장치에 있어서 수유튀김통 내부로 함께 수용된 물과 튀김기름은 비중차에 의해 물이 튀김통 저부에 물층을 형성하고 튀김기름이 물층 상부의 튀김통 내부에 기름층을 형성하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되고, 히터는 튀김기름을 가열하기 용이하도록 기름층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수유식 튀김장치를 이용하여 튀김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튀김기름이 가열되면서 형성되는 지방산이 튀김기름 하부의 물에 의해 용해되고, 튀김음식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되는 부산물과 같은 찌꺼기가 튀김기름 하부의 물 쪽으로 가라앉기 때문에, 지방산이나 찌꺼기로 인해 튀김기름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튀김기름의 소모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물이 끓는 온도는 대략 100℃이고, 튀김기름이 끓는 온도는 대략 200℃ 이상인데, 튀김 요리를 할 때에 튀김기름을 끓는 온도까지 올리게 되면 튀김기름이 타버리고 색깔도 탁해져서 튀김 맛이 떨어지는 요인이 된다. 그에 따라, 튀김 요리시 튀김기름의 온도는 대략 180℃ 정도로 맞추는 것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튀김 시 발생하는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최소화시켜야 튀김 맛을 좋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튀김 요리시 튀김기름의 온도 유지와 이물질을 최대한 튀김물과 분리시키는 과정이 중요하다.
튀김기름과 접하는 물의 상층부 온도가 튀김기름에 의해 가열되어 물이 기름과 섞여 끓어 넘치거나 폭발하지 않도록 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런데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가스버너가 채용되는 튀김기는, 외측면이 기름과 접촉되며 가스버너의 열이 내부를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가스버너의 연소열을 기름으로 전달시킴으로써 기름을 가열시키는 가열관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관은 열을 전달하는 기능만 강조하여 가열관의 상부와 하부에 동일하게 열이 발산되기 때문에 물을 향한 방향으로도 동일한 열을 보내는 문제가 있다. 전기히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특허 10-1072355호는 수유식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층의 물을 수유튀김통 외부로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유로와 물층의 순환과정에서 물층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필터장치로 제거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는 물의 강제순환을 위한 별도 기구를 갖추어야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튀김기의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물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과 기름층 사이에 쌓이는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10-1072355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장치나 순환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물이 끓어 넘치지 않으며 찌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는, 상면이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이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과 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출구측 단부 면적은 상기 상면의 1/15 내지 1/20인 면적을 가지는 튀김용 기름통; 상기 기름통 내부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기름통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가열유로; 상기 가열유로로 연소열을 공급하는 메탈화이버부를 구비한 가스 버너; 상기 기름통 아래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위는 밀봉되는 상면부와, 배수관을 구비한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로부터 1 내지 10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기름과 물의 경계면이 표시되는 점검창이 형성된, 기름과 물을 동시에 수용하는 청소용 통; 및 기름과 물의 경계면 퇴적층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과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5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구비된 경계면 퇴적층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용 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는 배수관이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배수관을 향하여 경사지며, 상기 가열유로는 연소열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1가열관과, 열 분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2가열관을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스버너의 상기 메탈화이버부는 상기 제 1가열관의 일측 개구부에 타측 개구부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확산판은 상기 메탈화이버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 1가열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열 분배판은 상기 제 2가열관 내부를 상기 열 분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제 1유로와 상기 열 분배판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유로로 나누는 수평판;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좌우로 나누고, 적어도 하나의 상하 방향 변을 가지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수직판; 및 상기 개구부의 상하 방향 변과 접하며 상기 수직판과 직교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연소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유로에 위치한 복수개의 연소열 가이드부 중 상기 수직판의 양 단부에 인접한 연소열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유로에 위치한 연소열 가이드부에는 상기 연소열 가이드부 면적의 4/5 내지 1/3의 면적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관의 일단에는 상기 연소열을 상기 제 1 유로로 유입시키는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가열관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유로로 유입된 연소열을 상기 제 2 유로로 유입시키는 밀폐판이 결합된,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확산판은, 상기 제 1가열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탈 화이버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열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반부에 위치한 관통공의 직경이 하반부에 위치한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제 1확산판; 및 상기 제 1확산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 1 가열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고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 1확산판의 관통공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진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 2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확산판 및 상기 제 2확산판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확산판의 중앙과 상기 제 2 확산판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확산판의 외곽 일부와 상기 제 2 확산판의 외곽 일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면이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이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과 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출구측 단부 면적은 상기 상면의 1/15 내지 1/20인 면적을 가지는 튀김용 기름통; 상기 기름통 내부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기름통 공간 내부에 탈착방식으로 구비되는 전기히터; 상기 기름통 아래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위는 밀봉되는 상면부와, 배수관을 구비한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로부터 1 내지 10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기름과 물의 경계면이 표시되는 점검창이 형성된, 기름과 물을 동시에 수용하는 청소용 통; 및 기름과 물의 경계면 퇴적층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과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5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구비된 경계면 퇴적층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용 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는 배수관이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배수관을 향하여 경사진,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퇴적층 배출관은 개폐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점검창은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 상기 퇴적층 배출관과 수평한 면,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퇴적되는 퇴적층 상면을 시야에 둘 수 있도록 배치하되, 상기 청소용 통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용 통의 측면과 연결되면서 미리 정한 길이만큼 평행하게 돌출된 사각기둥 단부에 형성되는,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 단부는 상기 기름통의 하면에 스트립(strip) 형상인,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돌출 공간부의 부피는 상기 청소용 통의 상기 기름과 물이 수용되는 부피의 1/20 내지 1/30인, 수유식 튀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는 기름통 내부의 튀김용 기름이 가열되더라도 그 열이 좁은 연결관의 기름을 통해 청소용 통 내부에서 상층을 이루는 기름층으로 전달되므로,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전달되는 열의 양을 줄이게 되어 물이 끓어오르거나 폭발하지 않음은 물론 낭비되는 열을 감소시키므로 튀김용 기름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에 공급되는 에너지도 절약하게 된다. 또한 물과 접하는 기름층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물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고 기름층에도 소량의 수분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기름을 타는 것을 방지하여 유증기가 나오지 않아 환경이 좋아지고 튀김류에 소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튀김의 식감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정면과 튀김용 기름통 전면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튀김용 기름통에 가스버너로 열을 공급하는 가열관 내부 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상세 구조와 열의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에 튀김용 기름과 물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수유식 튀김기의 청소통 전면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아래 설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각 구현예는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특정한 예시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예시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구현예의 원리에서 다양한 방법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은 그러한 구현예 및 균등물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다양한 구현예 및 특징이 다수의 부품 및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장치가 추가적인 부품,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과 관련하여 논의된 부품, 구성부 모두를 포함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구현예",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구현예 또는 설계가 다른 구현예 또는 설계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각 경우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부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구성부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의 수유식 튀김기는 가스 튀김기로, 튀김용 기름이 수용되고 하부에 연결관(23)을 구비하는 튀김용 기름통(20), 외면이 튀김용 기름과 접촉되도록 상기 튀김용 기름통(20) 내에 위치하는 가열유로(30), 열과 가열공기를 배기하며 배기통로(41)를 구비한 배기관(40), 조작용 판(panel)(14), 기름과 물을 동시에 수용하고 상부에 돌출공간부를 구비하는 청소용 통(25), 상기 각 구성품을 보호하며 개폐용 문(16)과 지지다리(12)를 구비한 하우징(10)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돌출 공간부의 부피는 상기 청소용 통의 상기 기름과 물이 수용되는 부피의 1/20 내지 1/30이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청소용 통(25) 상면의 변을 이루면서 측면부와 만나는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모서리부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공간부의 부피가 1/20 이상이 되면 기름 저장량이 부족할 수 있고, 상기 돌출 공간부의 1/30 이하이면 돌출 저장부에 저장되는 기름에 공기를 공급하기에 부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가열유로(30)는 연소열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1가열관(30a)과, 열 분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2가열관(30b)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우측면도로 내부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튀김용 기름통(20)은 상면이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이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과 연결관(23)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출구측 단부 면적은 상기 상면의 1/15 내지 1/20인 면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 면적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 단부 면적과 동일하다. 상기 연결관의 단면 면적비가 상면의 면적 대비 1/15보다 큰 경우에는 기름통의 열이 연결관을 통해 하부 청소통으로 전달되는 양이 많아 하부 청소통에 수용된 기름의 온도가 올라가는 문제가 생기며, 1/20보다 작을 경우는 열의 흐름이 너무 적어 가열유로 하부에 형성되는 냉각 영역인 제1 쿨존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 단부는 상기 기름통의 하면에 스트립(strip) 형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름통에 수용되는 기름 중 상기 가열유로 상부에 위치한 기름의 온도는 약 180℃이며, 상기 기름통에 수용되는 기름 중 상기 가열유로 하부에 위치한 기름의 온도는 약 120℃가 된다. 이처럼 온도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유로 구조 개선과 함께 상기 연결관(23)을 통해 상기 청소용 통(25)에 수용된 기름과 열교환을 하며, 상기 청소용 통(25)에 수용된 기름은 청소용 통에 함께 수용된 물과 열교환을 하는 냉각효과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름통(20) 내부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기름통(20)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가열유로(3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유로(30)는 연소열을 확산시키는 확산판(90)이 내부에 설치된 제 1가열관(30a)과, 열 분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2가열관(30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청소용 통(25)은 기름과 물을 동시에 수용하며 상기 기름통(20) 아래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23)이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위는 밀봉되는 상면부와, 배수관(22)을 구비한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로부터 1 내지 10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기름과 물의 경계면(18a)이 표시되는 점검창(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청소용 통(25)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24a)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는 배수관이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배수관(22)을 향하여 경사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정면과 튀김용 기름통 전면부의 확대도이다. 상기 확대도에는 제1 가열관(30a)에 메탈화이버부가 삽입되는 가스버너(100)와 제2 가열관(30b)의 정면부를 밀폐하는 밀폐판(320)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가스버너의 상기 메탈화이버부는 상기 제 1가열관의 일측 개구부에 타측 개구부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확산판은 상기 메탈화이버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 1가열관 내부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판(90)의 사시도이다. 상기 확산판(90)은, 상기 제 1가열관(30a)의 내부에서 상기 메탈 화이버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열관(30a)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관통공(91a, 91b, 93a, 93b)이 형성되되 중앙 수평선(91h, 93h)을 기준으로 상반부에 위치한 관통공(91a, 93a)의 직경이 하반부에 위치한 관통공(91b, 93b)의 직경보다 작은 제 1확산판(91); 및 상기 제 1확산판(91)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 1 가열관(30a)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고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 1확산판(91)의 관통공(91a, 91b)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진 다수의 관통공(93a, 93b)이 형성된 제 2확산판(9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확산판(91) 및 상기 제 2확산판(93)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확산판(91)의 중앙과 상기 제 2 확산판(93)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94); 및 상기 제 1 확산판(91)의 외곽 일부와 상기 제 2 확산판(93)의 외곽 일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96)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의 크기가 상부에서 작기 때문에 열의 흐름이 느리게 되어 상부와 접한 기름으로 열이 많이 전달되고, 관통공의 상대적으로 큰 하부에는 열의 흐름이 빨라 상기 하부와 접한 기름으로는 열이 적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재(96)의 제 2확산판(93)과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꺾이고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가열관의 가스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의 말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2 연결부재 지지부(96a)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의 튀김용 기름통에 가스버너로 열을 공급하는 가열관 내부 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로, 특히 제 2가열관 내부에 설치되는 열 분배판을 노출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가스버너(100)에서 공급된 열이 제1 가열관(30a)의 전면을 통해 공급되면 제1 가열관(30a)의 후면에서 차단 플레이트(330)에 도달하게 된다. 차단 플레이트(330)에서는 열의 흐름이 상부쪽으로 진행되도록 차단플레이트 하부(331)를 차단하여, 열분배판(300) 상부에 위치하는 제 1유로를 통해 제2 가열관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흐른 뒤, 제 2가열관 전면부를 덮는 밀폐판(320)에서 흐름이 바뀌어 열분배판(300)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유로를 통해 제 2가열관의 전면으로 후면으로 흐른다. 다시 차단 플레이트(330) 부위에 도착한 열은 이제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340)와 배기관(40)을 지나 외부로 방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의 상세 구조와 열의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열분배판은 상기 제 2가열관 내부를 상기 열 분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제 1유로와 상기 열 분배판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유로로 나누는 수평판(303);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좌우로 나누고, 적어도 하나의 상하 방향 변을 가지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수직판; 및 상기 개구부의 상하 방향 변과 접하며 상기 수직판과 직교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연소열 가이드부(302, 304, 306, 308)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유로에 위치한 복수개의 연소열 가이드부 중 상기 수직판의 양 단부에 인접한 연소열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유로에 위치한 연소열 가이드부에는 상기 연소열 가이드부 면적의 4/5 내지 1/3의 면적을 가지는 구멍(301, 305)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관의 일단에는 상기 연소열을 상기 제 1 유로로 유입시키는 차단 플레이트(330)가 결합되고, 상기 가열관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유로로 유입된 연소열을 상기 제 2 유로로 유입시키는 밀폐판(320)이 결합된다. 상기 제 2유로에 위치한 연소열 가이드부(306, 308)에는 구멍(305)이 뚫려있기 때문에 열의 흐름이 빨라서 제 2유로와 접한 부위의 기름으로는 열의 전달이 적게 되고, 상기 제 1유로에 위치한 연소열 가이드부에는 양 끝에 위치한 가이드부에만 구멍(301)이 뚫려 있기 때문에 열의 흐름이 느려서 제 1유로와 접한 기름에는 열의 전달이 많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에 튀김용 기름과 물이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수유식 튀김기는 가열장치로 전기히터(31)를 구비할 수 있다. 전기히터(31)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가열유로(30) 및 배기관(40) 등의 구성은 제외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높아진다. 도 7의 전열기 구성은 반드시 전기히트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히터(31) 및 가스버너(100)를 구비한 가열유로(30) 어느 경우에나 적용되는 수유식 튀김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튀김용 기름(20a)는 튀김용 기름통(20)과 연결관(23) 및 청소용 통(25) 상부에 수용된다. 청소용 통(25) 하부에는 물(25a)이 수용되며, 물과 기름의 비중차이로 인해 물(25a)은 기름(20a)과 층을 이루며 기름(20a) 아래 놓이게 된다. 청소용 통(25)은 그 전면부에 점검창(18)과 퇴적층 배출관(27)을 구비하고, 그 하면부에는 배수관(22)를 구비한다. 상기 점검창(18)은 상기 연결관(23)의 출구측 단부, 상기 퇴적층 배출관(27)과 수평한 면,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퇴적되는 퇴적층 상면을 시야에 둘 수 있도록 배치하되, 상기 청소용 통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용 통의 측면과 연결되면서 미리 정한 길이만큼 평행하게 돌출된 사각기둥(19)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미리 정한 길이만큼 평행하게 돌출된 사각기둥(19)으로 인해 상기 물통의 수용 부피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가스버너(100) 또는 전기히터(31)를 통해 기름(20a)을 가열하면 상기 가열유로(30) 또는 전기히터(31) 상면 기름은 온도가 180℃에 이르게 되나, 연결관을 통해 청소용 통(25) 하부에 있는 물과 접하는 기름층을 통해 열교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 가열유로(30) 또는 전기히터(31)하면 기름은 온도가 120℃로 상부 위치 기름보다 낮게 된다. 가스버너(100) 방식의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가열유로와 열분배판의 구조로 인해 가열유로(30) 상하의 열전달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스소모량도 종래기술보다 크게 절약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연결관의 단면적이 상부에 위치한 튀김통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물층과 기름층이 접하고 있음에도 물이 끓어 오르거나 폭발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정한 연결관의 면적비는 기름의 온도를 낮추면서도 물이 끓어 넘치지 않는 최적비를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 면적이 기름통 상면의 1/15 내지 1/20인 구조에서 청소용 통의 물층과 접하는 기름층의 온도는 100℃ 이하인 50℃ 정도에 머무르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면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어 기름으로 침투되는 양이 제한되어 튀김재료에 수분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돌출 공간부(24)에는 기름층이 차지 않고 공기층(24a)이 형성되는데 이는 기름층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수유식 튀김기의 청소통 전면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기름과 물의 경계면 퇴적층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과 상기 경계면(18a)으로부터 5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구비된 경계면 퇴적층 배출관(27)을 포함하고, 상기 퇴적층 배출관은 개폐밸브(27)를 구비할 수 있다. 기름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올린 뒤 튀김 재료를 넣으면, 포화지방산 성분인 동물성지방이 주로 불포화지방산 성분으로 튀김용 기름에 사용되는 식물성지방보다 무겁기 때문에 기름(20a)에서는 청소용 통의 물(25a)과 접한 경계면에 쌓이게 된다. 또한 튀김재료에서 떨어져 나온 부유물 중 무거운 것은 청소용 통(25) 바닥에 도달하지만, 작거나 가벼운 것은 물과 기름의 경계에서 퇴적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물과 기름의 경계 바로 위에 형성되는 동물성 기름층과 튀김 재료의 퇴적층을 수시로 제거하기 위해서 퇴적층 배출관(27)을 사용한다. 상기 퇴적층 배출관(27) 밸브를 열어서 동물성 기름층과 상기 퇴적층을 배출해 낸다. 상기 점검창(18)은 투명창(18b)을 포함하는 개폐부를 청소 및 점검을 위해 탈착할 수 있으며, 탈착을 위해 오링(O-ring)과 고정용 나사(18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청소용 통에 찌꺼기가 많이 쌓였을 경우에는 청소용 통(25) 하부의 배수관(22)을 통해 물(25a)과 함께 배출한다. 기름을 오랫동안 사용하여 교환해야 할 때도 상기 배수관(22)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유식 튀김기를 사용하면, 물과 접하는 기름층에 연결되는 연결관의 단면적이 좁아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서도 기름의 하부 온도가 충분히 낮은 이중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로 인해 물과 접하는 기름층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물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고 기름층에도 소량의 수분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기름이 타는 것을 방지하여 유증기가 나오지 않아 환경이 좋아지고 튀김류에 소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튀김의 식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2: 지지다리
14: 조작용 판 16: 개폐용 문
18: 점검창 18a: 경계면
18b: 투명창 18c: 고정용 나사
19: 사각기둥
20: 튀김용 기름통 20a: 튀김용 기름
22: 배수관 23: 연결관
24: 돌출 공간부 24a: 공기층
25: 청소용 통 25a: 물
27: 퇴적층 배출관 30: 가열유로
30a: 제 1가열관 30b: 제 2가열관
31: 전기히터
40: 배기관 41: 배기통로
90: 확산판 91: 제 1확산판
91a,91b: 관통공 91h: 중앙 수평선
93: 제 2확산판 93a,93b: 관통공
93h: 중앙 수평선 94: 제 1연결부재
96: 제 2연결부재 96a: 제 2연결부재 지지부
100: 가스버너
303: 열분배판 301,305: 구멍
302,304,306,308: 연소열 가이드부 320: 밀폐판
330: 차단 플레이트 331: 차단 플레이트 하부
340: 가이드 플레이트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이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과 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출구측 단부 면적은 상기 상면의 1/15 내지 1/20인 면적을 가지는 튀김용 기름통;
    상기 기름통 내부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기름통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가열유로;
    상기 가열유로로 연소열을 공급하는 메탈화이버부를 구비한 가스 버너;
    상기 기름통 아래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위는 밀봉되는 상면부와, 배수관을 구비한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로부터 1 내지 10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기름과 물의 경계면이 표시되는 점검창이 형성된, 기름과 물을 동시에 수용하는 청소용 통; 및
    기름과 물의 경계면 퇴적층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과 사기 경계면으로부터 5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구비된 경계면 퇴적층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용 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는 배수관이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배수관을 향하여 경사지며,
    상기 가열유로는 연소열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1가열관과, 열 분배판이 내부에 설치된 제 2가열관을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의 상기 메탈화이버부는 상기 제 1가열관의 일측 개구부에 타측 개구부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확산판은 상기 메탈화이버와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 1가열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열 분배판은 상기 제 2가열관 내부를 상기 열 분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제 1유로와 상기 열 분배판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유로로 나누는 수평판;
    상기 제 1유로 및 제 2유로를 좌우로 나누고, 적어도 하나의 상하 방향 변을 가지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수직판; 및
    상기 개구부의 상하 방향 변과 접하며 상기 수직판과 직교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연소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유로에 위치한 복수개의 연소열 가이드부 중 상기 수직판의 양 단부에 인접한 연소열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유로에 위치한 연소열 가이드부에는 상기 연소열 가이드부 면적의 4/5 내지 1/3의 면적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가열관의 일단에는 상기 연소열을 상기 제 1 유로로 유입시키는 차단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가열관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유로로 유입된 연소열을 상기 제 2 유로로 유입시키는 밀폐판이 결합된,
    수유식 튀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제 1가열관의 내부에서 상기 메탈 화이버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가열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중앙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반부에 위치한 관통공의 직경이 하반부에 위치한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제 1확산판; 및
    상기 제 1확산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 1 가열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고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 1확산판의 관통공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진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 2확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확산판 및 상기 제 2확산판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 확산판의 중앙과 상기 제 2 확산판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확산판의 외곽 일부와 상기 제 2 확산판의 외곽 일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
  4. 상면이 개방된 수평면이고, 하면이 깔때기 형상의 경사면과 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는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출구측 단부 면적은 상기 상면의 1/15 내지 1/20인 면적을 가지는 튀김용 기름통;
    상기 기름통 내부의 기름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기름통 공간 내부에 탈착방식으로 구비되는 전기히터;
    상기 기름통 아래 위치하고, 상기 연결관이 관통하면서 상기 연결관과 접하는 부위는 밀봉되는 상면부와, 배수관을 구비한 하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로부터 1 내지 10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기름과 물의 경계면이 표시되는 점검창이 형성된, 기름과 물을 동시에 수용하는 청소용 통; 및
    기름과 물의 경계면 퇴적층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과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5cm 아래인 수평면 사이에 구비된 경계면 퇴적층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용 통에는 상면부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기름과 물의 수용시 공기층이 채워지도록 상면부 상부에 돌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는 배수관이 가장 낮은 위치에 오도록 배수관을 향하여 경사진,
    수유식 튀김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층 배출관은 개폐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점검창은 상기 연결관의 출구측 단부, 상기 퇴적층 배출관과 수평한 면, 상기 기름과 물의 경계면에 퇴적되는 퇴적층 상면을 시야에 둘 수 있도록 배치하되, 상기 청소용 통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용 통의 측면과 연결되면서 미리 정한 길이만큼 평행하게 돌출된 사각기둥 단부에 형성되는,
    수유식 튀김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 단부는 상기 기름통의 하면에 스트립(strip) 형상인,
    수유식 튀김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공간부의 부피는 상기 청소용 통의 상기 기름과 물이 수용되는 부피의 1/20 내지 1/30인,
    수유식 튀김기.
KR1020150048838A 2015-04-07 2015-04-07 수유식 튀김기 KR10174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838A KR101741311B1 (ko) 2015-04-07 2015-04-07 수유식 튀김기
PCT/KR2015/004549 WO2016163582A2 (ko) 2015-04-07 2015-05-07 수유식 튀김기
US15/565,160 US10863864B2 (en) 2015-04-07 2015-05-07 Water and oil type fryer
CN201580078608.9A CN107405027A (zh) 2015-04-07 2015-05-07 水油式油炸锅
PH12017501849A PH12017501849A1 (en) 2015-04-07 2017-10-09 Water and oil type f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838A KR101741311B1 (ko) 2015-04-07 2015-04-07 수유식 튀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973A true KR20160119973A (ko) 2016-10-17
KR101741311B1 KR101741311B1 (ko) 2017-05-30

Family

ID=5707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838A KR101741311B1 (ko) 2015-04-07 2015-04-07 수유식 튀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63864B2 (ko)
KR (1) KR101741311B1 (ko)
CN (1) CN107405027A (ko)
PH (1) PH12017501849A1 (ko)
WO (1) WO20161635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2252B2 (ja) * 2018-08-06 2023-09-28 株式会社パロマ フライヤ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55B1 (ko) 2011-03-16 2011-10-11 정 구 김 수유식 튀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659A (ja) * 1998-04-24 1999-11-02 Ryoichi Saito 揚物器
JP2002209762A (ja) * 2001-01-19 2002-07-30 Paloma Ind Ltd フライヤー
KR100954902B1 (ko) * 2002-09-10 2010-04-27 사토다다요시 튀김기
BRPI0516459A (pt) * 2004-10-06 2008-09-02 Rie Usui fritadeira
KR101047788B1 (ko) * 2006-04-03 2011-07-07 가부시키가이샤 마메드 튀김기
KR101214152B1 (ko) * 2011-11-09 2012-12-21 (주) 대호에스앤씨 냄새역류방지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KR101384763B1 (ko) * 2012-02-13 2014-04-14 한명수 기름온도 조절용 냉각파이프가 불필요한 튀김장치
KR101266323B1 (ko) * 2012-05-03 2013-05-22 오에스지(주) 수유식 튀김기
KR101266325B1 (ko) 2012-05-22 2013-05-22 오에스지(주) 가스 튀김기
KR101265764B1 (ko) 2012-10-16 2013-05-16 김용찬 동물성 기름 제거가 용이한 튀김기
JP5403454B1 (ja) * 2013-01-30 2014-01-29 有限会社石代生産 水流分布変動式フライヤ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355B1 (ko) 2011-03-16 2011-10-11 정 구 김 수유식 튀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7501849A1 (en) 2018-02-26
KR101741311B1 (ko) 2017-05-30
CN107405027A (zh) 2017-11-28
WO2016163582A3 (ko) 2017-05-18
WO2016163582A2 (ko) 2016-10-13
US10863864B2 (en) 2020-12-15
US20180177338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5888T3 (es) Sistema de barbacoa modular y kits para el mismo
RU2726768C2 (ru) Газовая фритюрница, имеющая равномерный теплообмен и улучшенный доступ для очистки
KR101161828B1 (ko) 수유식 안전 튀김 장치
KR101134138B1 (ko) 수유 튀김기
US20150164273A1 (en) Grill pan and grill cookware using the same
CN106419613A (zh) 电烤架装置
KR101667887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741311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2046256B1 (ko)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KR101447799B1 (ko) 수유식 튀김기
KR101892515B1 (ko) 냉각장치를 갖는 수유식 튀김용기의 튀김류 역류 방지장치
KR101160049B1 (ko) 수유식 튀김용기의 냉각장치
KR20120002695A (ko) 튀김조리장치
KR102484204B1 (ko)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20110090260A (ko) 전기 튀김기
KR102484205B1 (ko) 튀김유 대류방지키트를 구비한 튀김장치
KR102484203B1 (ko) 튀김장치
JP2001137131A (ja) 調理用鍋
KR101242339B1 (ko) 다목적 조리장치
KR200412758Y1 (ko)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불판
KR0140137Y1 (ko) 육류 구이기
KR101666542B1 (ko) 샤브샤브 기능을 갖춘 수냉식 그릴
KR101547974B1 (ko) 튀김기에 설치되는 기름떨이 받이
JP2009072346A (ja) ロースター
KR20170042951A (ko) 테이퍼형 튀김 잔해물 처리구조를 갖는 튀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