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096A -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 Google Patents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096A
KR20210101096A KR1020200015276A KR20200015276A KR20210101096A KR 20210101096 A KR20210101096 A KR 20210101096A KR 1020200015276 A KR1020200015276 A KR 1020200015276A KR 20200015276 A KR20200015276 A KR 20200015276A KR 20210101096 A KR20210101096 A KR 20210101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frying
tabl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 엔에스유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에스유통 filed Critical (주) 엔에스유통
Priority to KR1020200015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096A/ko
Publication of KR2021010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상부 중앙 부분과 내부에 상부 장착공과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기름 방지 차단판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제어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장착공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기름 재공급부가 형성되는 튀김통; 상기 튀김통의 하부에 위치한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튀김통을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기름 배출공과 연결되는 기름 배출부에서 공급되는 튀김통의 기름을 정제하여, 상기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나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름 재공급부는 튀김통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단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펌프와,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부에 정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와 대응하는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두고 다수개의 여과망 지지바가 형성되는 정제통과, 상기 여과망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에서 공급되는 기름을 일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망과, 상기 정제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망을 통해 정제된 기름을 이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필터와, 상기 정제통의 정제 배출공과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여과필터를 통해 정제된 기름을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 배출부와, 상기 정제통의 상부 일부를 개폐하는 정제커버를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FRYING APPARATUS USING FRYING OIL AND WATER WITH SLUDGE DISCHARGE METHOD THAT EMITS LESS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은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에 발생하는 각종 고형 슬러지 부유물 및 찌꺼기를 정제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서구 취향의 음식 문화 발달로 인하여 후라이드 치킨, 패스트푸드 등과 같이 기름에 튀긴 음식을 제조하기 위해 식용유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치킨업소, 일반 요식업소 등에서는 튀김용으로 콩오일, 옥수수 오일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위 웰빙(wellbeing) 산업이 주목을 받으면서 식용유도 올리브유나 포도씨 오일 같은 고가의 고급 식용유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식용유는 일반 콩기름보다 가격이 월등히 비싸므로 이들 식용유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치킨업소나 음식점에서는 식용유 구입비용이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원가절감 차원에서 식용유 정재 및 재생 사용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 대중음식점에 사용되는 튀김기는 새 식용유를 튀김기의 유조에 주입한 후 다수 회(예컨대 약 60~80회)에 걸쳐 반복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횟수가 많아질수록 튀김 식용유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되고 튀김 식용유에 부유하는 튀김 찌꺼기에 의한 탄화로 인하여 변질되므로 적정 횟수 사용하면 폐기하게 된다.
이때 폐기되는 식용유의 양이 상당하여 자원낭비뿐만 아니라 폐식용유를 그대로 방출할 경우 환경오염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미 사용한 식용유를 정제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재래식 방식인 튀김기의 하부에 구비된 개폐 밸브를 통해 오일을 방출하여 별도의 용기에 식용유를 담아 침전시켜 가라앉은 찌꺼기와 일부식용유를 폐기시키고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열로 가열된 식용유가 식을 때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뜨거운 오일을 취급할 때 위험이 따르고 미세한 부유물을 정제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일부 오일은 버려지게 되어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두 번째로 정제장치를 갖는 튀김기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035042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튀김유 정제장치는 식용유를 주입하는 튀김통(1)에 받침쇠(2)를 놓고 그 위에 필터지(3)를 깔고 압지체(4)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지(3)를 눌러줌으로써 필터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압지체(4)에 착탈가능한 거름망(5)을 재치하도록 한 구성된다.
즉, 상기 튀김유 정제장치는 사용한 식용유를 상단에 재치 되어 있는 거름망(5)에 부으면 일차적으로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튀김통(1)에 담기게 되고 담긴 오일은 별도의 오일순환펌프를 구동시켜서 공지의 오일 정제 과정으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필터지(3)를 강제 통과 하면서 미세 불순물이 걸러지게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튀김유 정제장치는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튀김 조리가 완전히 종료된 후 작업이 진행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정제된 튀김유를 재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 및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12-004049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름에 발생하는 각종 고형 슬러지 부유물 및 찌거기를 수시로 간편하게 정제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튀김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면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정제수단을 구성하는 여과망과 여과필터를 통해 튀김통에서 공급되는 기름의 정제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유식 튀김기는 상부 중앙 부분과 내부에 상부 장착공과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기름 방지 차단판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제어부가 장착되는 본체; 기 본체의 상부 장착공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기름 재공급부가 형성되는 튀김통; 상기 튀김통의 하부에 위치한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튀김통을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기름 배출공과 연결되는 기름 배출부에서 공급되는 튀김통의 기름을 정제하여, 상기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나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름 재공급부는 튀김통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단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펌프와,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부에 정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와 대응하는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두고 다수개의 여과망 지지바가 형성되는 정제통과, 상기 여과망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에서 공급되는 기름을 일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망과, 상기 정제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망을 통해 정제된 기름을 이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필터와, 상기 정제통의 정제 배출공과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여과필터를 통해 정제된 기름을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 배출부와, 상기 정제통의 상부 일부를 개폐하는 정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는 내부에 필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 측 수직선상에는 필터 장착공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부를 감싸고 기름을 여과하는 여과지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필터 장착공에 장착되면서 정제통의 정제 배출공과 결합되고 상기 여과지를 거쳐 필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기름을 밸브 유입구를 통해 정제 배출공으로 전달하는 여과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 배출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정제통의 상부 일부를 감싸면서도 정제통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정제 위치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름에 발생하는 각종 고형 슬러지 부유물 및 찌거기를 수시로 간편하게 정제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절감과 함께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에 장착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튀김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면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온도로 튀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제수단을 구성하는 여과망과 여과필터를 통해 튀김통에서 공급되는 기름의 정제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튀김유 정제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튀김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정제수단의 정제통과 여과망 및 여과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정제수단의 정제통과 여과망 및 여과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여과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튀김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정제수단의 정제통과 여과망 및 여과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정제수단의 정제통과 여과망 및 여과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구성하는 여과필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자동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는 제어부(30)가 장착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고 기름이 수용되는 튀김통(40)과, 상기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부(50)와,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튀김통(40)에서 전달되는 기름을 정제한 후 상기 튀김통(40)에 재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부 중앙 부분에는 상부 장착공(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2)이 형성되며,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기름 방지 차단판(23)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본체(20)는 박스 형상으로 상부 중앙에 상부 장착공(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히터부(50) 및 정제수단(60)을 설치하기 위한 수용공간(22)이 형성되며,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튀김통(40)에서 튀는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름 방지 차단판(23)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20) 수용공간(22)의 하부에는 정제수단(60)을 구성하는 정제통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 지지바(24)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본체(20)의 하부에는 수용공간(22)을 차단 및 개방하는 본체 차단판(25)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2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구(26)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본체(20)에 일 측에 장착되는 제어부(30)는 자동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를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제어부(30)는 온·오프 작동기능과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및 히터부(50)를 제어하는 조작부(31)와, 상기 자동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의 작동에 작동상태 및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알람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의 상부 장착공(21)에 장착되는 튀김통(40)은 내부에 튀김 음식의 조리를 위한 기름이 수용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튀김통(4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기름을 정제수단(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름 배출공(41)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정제수단(60)을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튀김통(40)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름 재공급부(4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름 재공급부(42)에는 정제수단(60)을 통해 공급되는 기름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지된 일방향 밸브나 차단장치 등이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 재공급부(42)에는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7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온도센서(70)는 기름 재공급부(42)에 장착되어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제수단(60)을 통해 튀김통(40)으로 전달되는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기름 배출공(41)의 하부에 장착되는 기름 배출부(8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장착되는 기름 배출관(81)과 상기 기름 배출관(81)의 도중에 장착되는 개폐 밸브(8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기름 배출부(80)는 기름 배출공(41)을 통해 전달되는 기름을 개폐 밸브(82)의 작동에 따라 기름 배출관(81)을 통해 정제수단(60)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기름 배출부(80)의 끝단에 위치하는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는 정제수단(60)을 구성하는 정제통(62)의 일부를 감싸면서도 정제통(6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정제 위치 커버(9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정제 위치 커버(90)는 기름 배출부(80)를 고정하면서도 정제통(62)의 위치를 안내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부(50)는 튀김통(4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30)의 조작에 따라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부(5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가스버너, 전기버너 등 상기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할 수 있는 장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사용된다.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 장착되는 정제수단(60)은 튀김통(40)의 기름 배출공(41)과 연결되는 기름 배출부(80)에서 공급되는 튀김통(40)의 기름을 정제하여 상기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에 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제수단(60)은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 장착되는 펌프(61)와, 기름이 저장되는 정제통(62)과, 상기 기름 배출부(80)를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일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망(63)과, 상기 정제통(62)의 내부에 수용되고 여과망(63)을 통해 일차로 정제된 기름을 다시 한번 더 정제하는 여과필터(64)와, 상기 여과필터(64)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된 기름을 상기 펌프(61)의 작동에 따라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 배출부(65)와, 상기 정제통(62)의 상부 일부를 개폐하는 정제커버(6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정제수단(60)은 기름 배출부(80)를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정제통(62)의 여과망(63)을 일차적으로 정제한 후, 상기 여과망(63)을 통해 정제된 기름을 여과필터(64)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한 다음, 상기 펌프(61)의 작동에 따라 정제 배출부(65)를 통해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나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펌프(61)는 여과 필터(64)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름을 흡입하여 상기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나 외부로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지지바(24)의 상부에 배치되는 정제통(62)은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부에 정제 배출공(62a)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8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높이를 두고 다수개의 여과망 지지부(6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제 배출공(62a)의 내면에는 여과 필터(64)를 구성하는 여과 밸브와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망 지지부(62b)는 여과 필터(64)의 설치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망(63)을 지지하면서도 정제된 기름이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두고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여과망(63)는 정제통(62)을 구성하는 여과망 지지부(62b)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기름 배출부(80)에서 공급되는 기름에 포함된 고형 슬러지 및 찌꺼기 등을 정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제통(62)의 하부에 배치되는 여과필터(64)는 내부에 필터 수용공간(64a-1)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64a-2)이 형성되며, 일 측 수직선상에는 필터 장착공(64a-3)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64a)와, 상기 필터 케이스(64a)의 외부를 감싸고 기름을 여과하는 여과공이 구비된 여과지(64b)와, 상기 필터 케이스(64a)의 필터 장착공(64a-3)에 장착되면서 정제통(62)의 정제 배출공(62a)과 결합되고 상기 여과지(64b)를 거쳐 필터 수용공간(64a-1)에 수용되는 기름을 밸브 유입구(64c-1)를 통해 정제 배출공(62a)으로 전달하는 여과 밸브(64c)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여과필터(64)는 펌프(61)의 작동시 여과망(63)을 통해 일차적으로 정제된 기름을 여과지(64b)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하면서 상기 필터 수용공간(64a-1)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름만을 밸브 유입구(64c-1)를 통해 정제 배출공(62a)으로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64)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된 기름을 상기 펌프(61)의 작동에 따라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 배출부(65)는 본체(20)이 수용공간(22)에 설치되는 고정 정제 배출부(65a)와 상기 정제통(62)에 설치되는 이동 정제 배출부(65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정제 배출부(65)는 본체(20)에 장착되는 고정 정제 배출부(65a)와 정제통(62)에 장착되는 이동 정제 배출부(65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펌프(61)의 작동에 따라 정제통(62)에서 공급되는 기름을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정제 배출부(65a)와 이동 정제 배출부(65b)는 설치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수개의 배관과 밸브 등을 조합하여 구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스 형상으로 상부 중앙 부분에는 상부 장착공(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2)이 형성되며,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기름 방지 차단판(23)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본체(20)를 형성한 후 상기 수용공간(22)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본체 지지바(24)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구(26)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온·오프 작동기능과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및 히터부(50)를 제어하는 조작부(31)와, 상기 자동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의 작동에 작동상태 및 위험 여부를 전달하는 알람부(32)로 구성되는 제어부(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20)의 상부 장착공(21)에 반원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기름을 정제수단(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름 배출공(41)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정제수단(60)을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튀김통(40)의 내부에 공급하는 기름 재공급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 재공급부(42)에는 온도센서(70)가 구비된 튀김통(40)을 장착한다. 때 상기 기름 배출공(41)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수직으로 장착되는 기름 배출관(81)과 상기 기름 배출관(81)의 도중에 장착되는 개폐 밸브(82)로 구성되는 기름 배출부(80)를 장착하되, 상기 기름 배출부(80)의 끝단에는 정제수단(60)을 구성하는 정제통(62)의 일부를 감싸면서도 정제통(6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정제 위치 커버(9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튀김통(4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20)의 수용공간(22)으로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부(50)를 장착한 후 내부에 필터 수용공간(64a-1)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64a-2)이 형성되며, 일 측 수직선상에는 필터 장착공(64a-3)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64a)와, 상기 필터 케이스(64a)의 외부를 감싸고 기름을 여과하는 여과공이 구비된 여과지(64b)와, 상기 필터 케이스(64a)의 필터 장착공(64a-3)에 장착되면서 정제통(62)의 정제 배출공(62a)과 결합되고 상기 여과지(64b)를 거쳐 필터 수용공간(64a-1)에 수용되는 기름을 밸브 유입구(64c-1)를 통해 정제 배출공(62a)으로 전달하는 여과 밸브(64c)로 구성되는 여과필터(64)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 펌프(61)와,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부에 정제 배출공(62a)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8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높이를 두고 다수개의 여과망 지지부(62b)가 형성되는 정제통(62)과, 상기 기름 배출부(80)를 통해 공급되는 기름을 일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망(63)과, 상기 정제통(62)의 내부에 수용되고 여과망(63)을 통해 일차로 정제된 기름을 다시 한번 더 정제하는 여과필터(64)와, 상기 여과필터(64)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된 기름을 상기 펌프(61)의 작동에 따라 튀김통(40)의 기름 재공급부(42) 또는 외부로 배출하할 수 있도록 본체(20)이 수용공간(22)에 설치되는 고정 정제 배출부(65a)와 상기 정제통(62)에 설치되는 이동 정제 배출부(65b)로 구성되는 정제 배출부(65)와, 상기 정제통(62)의 상부 일부를 개폐하는 정제커버(66)로 구성되는 정제수단(60)을 장착한 후 상기 본체(20)의 수용공간(22)을 차단하는 본체 차단판(25)을 장착하면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를 이용하여 튀김 음식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튀김통(40)의 기름 배출공(41)과 연결되는 기름 배출부(80)의 개폐 밸브(82)를 작동시켜 기름 배출관(81)의 내부를 차단한 후 상기 튀김통(40)의 내부에 튀김 음식의 조리를 위한 기름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의 조작부(31)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부(50)의 온도를 튀김 음식의 조리를 위한 온도로 설정한 후 작동시켜 상기 튀김통(40)에 수용되는 기름을 가열한다.
다음으로 상기 튀김통(40)의 수용되는 기름을 기름 재공급부(42)에 장착되는 온도센서(70)를 통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면서 상기 튀김통(40)에 수용된 기름이 적정온도가 되면 튀김 음식을 조리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10)를 구성하는 튀김통(40)의 내부로 각종 고형 슬러지 부유물 및 찌꺼기 등이 발생하여 이를 정제하여 재사용 또는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를 조작하여 히터부(50)의 작동을 멈춘 후 상기 기름 배출부(80)의 개폐 밸브(82)를 작동시켜 기름 배출관(81)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기름 배출부(80)의 작동은 튀김통(4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고려하여 개폐된다. 다음으로 상기 튀김통(40)의 내부에는 수용되는 기름은 기름 배출공(41)을 거쳐 기름 배출관(81)을 통해 정제수단(60)으로 공급된 후, 상기 여과망(63)을 통해 각종 고형 슬러지 부유물 및 찌꺼기 등이 정제된 다음, 상기 정제통(62)의 내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정제통(62)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름은 본체(20)의 수용공간(22)에 장착되는 펌프(61)의 작동시 상기 여과필터(64)를 구성하는 여과지(64b)를 통해 이차적으로 정제되면서 상기 필터 수용공간(64a-1)의 내부에 위치한 후 밸브 유입구(64c-1)를 통해 정제 배출공(62a)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제 배출공(62a)으로 배출된 기름은 본체(20)이 수용공간(22)에 설치되는 고정 정제 배출부(65a)와 상기 정제통(62)에 설치되는 이동 정제 배출부(65b)로 구성되는 정제 배출부(65)를 통해 튀김통(42)의 기름 재공급부(42)나 외부로 배출되어 보관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자동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
20: 본체 21: 상부 장착공
22: 수용공간 23: 기름 방지 차단판
24: 본체 지지바 25: 본체 차단판
26: 높낮이 조절구 30: 제어부
31: 조작부 32: 알람부
40: 튀김통 41: 기름 배출공
42: 기름 재공급부 50: 히터부
60: 정제수단 61: 펌프
62: 정제통 63: 여과망
64: 여과필터 65: 정제 배출부
66: 정제커버 70: 온도센서
80: 기름 배출부 81: 기름 배출관
82: 개폐 밸브 90: 정제 위치 커버

Claims (3)

  1. 상부 중앙 부분과 내부에 상부 장착공과 수용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기름 방지 차단판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제어부가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장착공에 장착되고, 하부에는 기름 배출공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기름 재공급부가 형성되는 튀김통;
    상기 튀김통의 하부에 위치한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튀김통을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기름 배출공과 연결되는 기름 배출부에서 공급되는 튀김통의 기름을 정제하여, 상기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나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름 재공급부는 튀김통에 수용되는 기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단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장착되는 펌프와, 상부는 개방되면서 하부에 정제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와 대응하는 내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두고 다수개의 여과망 지지바가 형성되는 정제통과, 상기 여과망 지지바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기름 배출부에서 공급되는 기름을 일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망과, 상기 정제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망을 통해 정제된 기름을 이차적으로 정제하는 여과필터와, 상기 정제통의 정제 배출공과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시 여과필터를 통해 정제된 기름을 튀김통의 기름 재공급부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정제 배출부와, 상기 정제통의 상부 일부를 개폐하는 정제커버를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내부에 필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 측 수직선상에는 필터 장착공이 형성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외부를 감싸고 기름을 여과하는 여과지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필터 장착공에 장착되면서 정제통의 정제 배출공과 결합되고 상기 여과지를 거쳐 필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기름을 밸브 유입구를 통해 정제 배출공으로 전달하는 여과 밸브를 포함하는 수유식 튀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배출부의 끝단에 위치하는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정제통의 상부 일부를 감싸면서도 정제통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정제 위치 커버가 장착되는 수유식 튀김기.
KR1020200015276A 2020-02-07 2020-02-07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KR20210101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276A KR20210101096A (ko) 2020-02-07 2020-02-07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276A KR20210101096A (ko) 2020-02-07 2020-02-07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96A true KR20210101096A (ko) 2021-08-18

Family

ID=7746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276A KR20210101096A (ko) 2020-02-07 2020-02-07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0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37A1 (ko) * 2022-02-18 2023-08-24 이수형 정제기 일체형 튀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37A1 (ko) * 2022-02-18 2023-08-24 이수형 정제기 일체형 튀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812B1 (ko) 자동 정제 기능을 구비한 튀김기
KR101204232B1 (ko) 성능 및 튀김유의 수명을 향상시킨 웰빙 수유식 튀김기
US4826590A (en) Cooking oil filtering system
US5452648A (en) Screen box for a pasta cooker
CA2118453C (en) Pasta cooker
KR20210101096A (ko) 환경 오염이 적게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 방법이 도입된 수유식 튀김기
KR101886364B1 (ko) 정제기가 설치된 인덕션 튀김기
JP2018103085A (ja) 洗米装置
KR101636037B1 (ko) 전기가열식 튀김기
US6328901B1 (en) Appliance drain assembly
KR101072355B1 (ko) 수유식 튀김장치
US6368501B1 (en) Appliance drain assembly
JP6072420B2 (ja) フライヤー
AU2003223793B2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ispensing food products
KR102166998B1 (ko) 튀김 조리 장치
US20200281407A1 (en) Easily cleanable water and oil fryer
JP2009247838A (ja) 〔循環濾過式フライヤー〔Fryingmachineofcyclingfiltration〕
EP3409342A2 (en) Cyclone for air cleaning and filter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0817039B1 (ko) 순환 여과식 튀김기
KR101538769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KR20130049282A (ko) 후라이팬 기능이 부과된 가정용 튀김기
JP3318573B2 (ja) アク除去機能付き鍋
CN217025534U (zh) 一种全自动油水分离器
KR200182394Y1 (ko) 압력튀김장치
KR101035521B1 (ko) 튀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