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166B1 -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166B1
KR101254166B1 KR1020077012202A KR20077012202A KR101254166B1 KR 101254166 B1 KR101254166 B1 KR 101254166B1 KR 1020077012202 A KR1020077012202 A KR 1020077012202A KR 20077012202 A KR20077012202 A KR 20077012202A KR 101254166 B1 KR101254166 B1 KR 10125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oriented polyester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658A (ko
Inventor
요시노리 사토
켄 후루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8Monolayer with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주 구성 성분 이외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제3 성분을 합계 2.0∼10.0 몰%의 범위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필름 헤이즈가 0∼3.0%의 범위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러한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성, 낮은 헤이즈, 광학적 균일성 등의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광학 제품의 품질 향상과 소비 에너지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LCD, PDP, 유기 EL,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등의 부재로서 사용할 때 불일치와 결함이 없고, 고도의 휘도를 실현하고,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Optical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광학용 2축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라 하는 경우가 있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이하, PDP라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에 사용되는 각종 광학용 부재와, 광학 분야의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과 이형 필름 등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광학 제품의 품질 향상과 소비 에너지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광학용 2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2축연신 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내열성, 내약품성을 갖고 있고, 자기 테이프, 강자성 박막 테이프, 사진 필름, 포장용 필름, 전자부품용 필름, 전기 절연 필름, 금속 라미네이트 필름, 유리 디스플레이 등의 유리 표면에 부착하는 필름, 각종 부재의 보호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최근 특히 각종 광학용 필름에 많이 사용되고, LCD의 부재의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반사판, 터치패널 등의 베이스 필름과 반사방지용 베이스 필름과 디스플레이의 방폭용 베이스 필름, PDP 필터용 필름 등의 각종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학제품에 있어서, 밝고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 광학용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베이스 필름은, 그 사용 형태로부터 투명성이 양호하고, 또한 화상에 영향을 주는 이물질과 상처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또한 특히 편광을 사용한 경우에도 중합체의 배향 불일치와 두께 불일치를 원인으로 하는 리타데이션의 불일치가 없는 것이 불일치가 없는 화상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통상 시트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급냉 고화하여 얻은 무정형 시트를 종방향 및 욍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들의 공정에서 냉각과 연신의 균일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상기 리타데이션의 불일치가 남고, 광학용으로 사용한 경우에 화상의 열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디스플레이에서 중요한 특성으로 휘도를 들 수 있지만, 이 휘도에 대해서, 부재로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히 고품질의 화상을 얻는 경우에는 고도의 휘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도, 고휘도를 실현하는 특성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고도의 투명성을 갖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지만, 이에 더하여 광학적으로 유리한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출원 공개 2003-20135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LCD, PDP, 유기 EL,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등의 부재로서 사용할 때 불일치와 결함이 없고, 고도의 휘도를 실현하고,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광학적 성능이 양호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주 구성 성분 이외에 제3 성분을 특정량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특정 헤이즈를 갖는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본 발명의 요지는, 주 구성 성분 이외에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제3 성분을 합계 2.0∼10.0 몰%의 범위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필름 헤이즈가 0∼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성, 낮은 헤이즈, 광학적 균일성 등의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광학 제품의 품질 향상과 소비 에너지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LCD, PDP, 유기 EL,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등의 부재로서 사용할 때 불일치와 결함이 없고, 고도의 휘도를 실현하고,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공업적 가치가 매우 높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주 구성 성분'이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이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이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 구성 성분 이외에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제3 성분을 2.0∼10.0 몰%, 바람직하게는 2.5∼1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8.0 몰% 함유한다. 상기 제3 성분으로서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 또 옥시카르복시산으로서 p-옥시벤조산 등이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한 경우, 중합체의 배향과 두께 불일치에 의한 필름의 광학적 불일치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나, 필름의 평면성과 내열성, 치수안정성을 고도로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가 함유하는 제3 성분으로서 중합 중에 에틸렌글리콜로부터 부생적으로 생성된 디에틸렌글리콜도 포함한다.
이러한 제3 성분을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1)폴리에스테르 원료로서 상기 제3 성분 범위의 공중합 성분을 갖는 1종 이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 (2)상기 제3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비율로, 상기 제3 성분 범위보다 많은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1종 이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상기 제3 성분 범위보다 적은 공중합 성분을 갖는 1 종 이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1종 이상의 호모폴리에스테르를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방법, (3)상기 제3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비율로 2종 이상의 호모폴리에스테르를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이를테면 디카르복시산과 디올과의 반응으로 직접 저중합도 폴리에스테르를 얻는 방법, 디카르복시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디올을 공지의 에스테르 교환촉매로 반응시킨 후, 중합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반응하는 방법 등으로 얻을 수 있다. 중합촉매로서는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티탄 화합물 등의 공지된 촉매를 사용할 수 있지만, 필름의 어두운 색조(くすみ)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안티몬 화합물의 양을 영(0) 또는 안티몬의 양으로서 100 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용융중합 후에 이를 칩화하고, 가열감압하 또는 질소 등의 불활성 기류 중에 필요에 따라 다시 고상 중합을 실시해도 좋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통상 0.40 dl/g 이상, 바람직하게는 0.40∼0.90 dl/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층 중에는, 이활성(易滑性) 부여를 주 목적으로서 입자를 배합해도 좋다. 배합하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 가능한 입자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구체예로서는 이를테면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규소,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의 입자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고 소 59-5216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소59-21775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유기 입자를 사용해도 좋다. 이외의 내열성 유기 입자의 예로서 열경화성 요소수지, 열경화성 페놀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벤조구안아민 수지 등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 중, 촉매 등의 금속 화합물의 일부를 침전, 미분산시킨 석출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입자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괴상, 봉상, 편평상 등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도, 비중, 색 등에 있어서도 특히 제한은 없다. 이들 입자는,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입자의 평균입경은, 통상 0.01∼5 ㎛이다. 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 미만인 경우, 입자가 응집되기 쉽고, 분산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는 반면, 5 ㎛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표면 조도가 너무 높아 투명성이 나쁜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중 상기 입자의 함유량은 통상 0.0003∼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0.5 중량%이다. 입자 함유량이 0.000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이활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중에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고, 특히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후에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딩하는 방법,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상술한 입자 이외에 필요에 따라 공지된 산화방지제, 열안정화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형광증백제, 염료,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자외선 흡수제, 특히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필름으로 제조 가능한 범위에 있다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9∼300 ㎛, 바람직하게는 20∼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200 ㎛이다.
본 발명의 필름의 필름 헤이즈는 0∼3.0%, 바람직하게는 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그 우수한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광학용도로 널리 사용되지만, 필름 헤이즈가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학용으로서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특히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투과법 1매로 측정한 색조b*값은 통상 -5 내지 +3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의 범위이다. b*값이 +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황색이 강하고 디스플레이용으로서 사용한 경우 화상의 색조가 나빠지기도 하고, 휘도가 낮아지기도 하는 등의 점에서 부적절한 것이 많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통상 b* 값은 -5보다 낮기 때문에, 색조 b*값이 -5보다 낮은 필름은 첨가물을 사용한 경우로 되지만, 이 경우, 색조의 문제뿐만 아니라 첨가물의 블리드아웃(bleed out)과 장기 사용시의 신뢰성 등에서 문제로 된다. 이러한 색조의 필름으로 하기 위해 원료의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경우의 촉매, 조제를 선택하고, 가능한 한 촉매의 양을 적게 하든가, 중합 및 필름 제조 시에 폴리에스테르가 필요 이상으로 고온으로 되고, 용융시간이 길어지지 않게 하는 것, 재생된 원료의 배합량을 적게 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180℃에서 10분간 열처리 후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환상 삼량체) 석출량의 표리면의 총합이 15 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g/㎡, 특히 바람직하게는 8 mg/㎡ 이하이다.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15 mg/㎡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에서 올리고머가 결정화하여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기도 하고, 필름 상에 제공하는 기능 층에 용입되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열처리에 의한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 석출량을 상기 범위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공압출에 의한 적어도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으로 하고, 표층을 구성하는 최외층에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 인라인/오프라인으로 도포층을 제공함으로써 필름 표면에 올리고머가 석출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공압출법을 이용하여 적층 구조로 할 수 있지만, 그때 최외층의 두께는, 한쪽만의 두께로 통상 3 ㎛ 이상 또는 총 두께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가 3 ㎛ 미만에서는 가공중의 열이력 등에 의해 내층에 함유되어 있는 올리고머(환상 삼량체)가 필름 표면에 석출하고, 생산라인의 오염과 필름 표면의 이물질 양의 증가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고, 한편 총 두께의 1/4 보다 두꺼우면 최외층에 배합하는 입자량이 증가하여 투명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한편, 단층에서 실시할 때에는 필름에는 가능한 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도록 하고, 표리의 도포층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 필름으로서 제조한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 제 3성분의 함유량은, 필름 전체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필름 전체에 함유하는 제3 성분의 양을 상술한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량해야할 과제인 광학적인 불일치의 방지는 필름의 투과광에 관한 것으로, 필름 표면과 내부만에 관한 것이 아니고 전체의 특성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 염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적층 필름의 중간층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중에 존재하는 최대경 150 ㎛ 이상의 이물질은 통상 0.0개/㎡(0.05개/㎡ 미만)이고, 최대경 30 ㎛ 이상의 이물질은 통상 1.5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0개/㎡ 이하이다. 최대경 150 ㎛ 이상의 이물질이 0.0개/㎡ 또는 최대경 30 ㎛ 이상의 이물질이 1.5개/㎡ 이하의 조건을 일탈하는 경우에는, LCD와 PDP의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의 화상에 결함이 생기고,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폭 10 ㎛ 이상의 상처의 수가 10개/㎡ 이하, 또는 5개/㎡ 이하가 바람직하다. 폭 10 ㎛의 상처 수가 10개/㎡보다 많은 경우 마찬가지로 LCD와 PDP 화상의 품질저하를 초래한다. 상기 조건을 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원료 제조시 및 필름 제조시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는 방법, 고도의 세밀한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또한 상처를 방지하기 위해, 연신 공정, 권취 공정에 있어서 각 로울과의 접촉시의 속도 불일치를 억제하고, 또한 로울과 필름과의 사이에의 이물질 도입을 방지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필름은 각종 광학용으로서 사용되지만, 그 때 중합체의 배향과 두께 불일치에 의한 필름의 광학적 불일치가 저감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 내에서 리타데이션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가 통상 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m이하이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광학적 용도로 사용한 경우의 화상의 선명도와, 휘도 및 그 균일성이 우수한 물질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공지의 방법에 의해 건조 또는 미건조의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압출장치로 공급하고, 중합체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여 용해한다(복수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호모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융점 이상). 그 다음, 용융된 중합체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회전냉각 드럼 상에서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온도로 되도록 급냉 고화하고, 실질적으로 비정질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와 회전냉각 드럼과의 불일치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인가밀착법 및/또는 액체 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연신 조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70∼145℃에서 2∼6배로 연신하여 종1축 연신 필름으로 한 후, 횡방향으로 90∼160℃에서 2∼6배 연신하여 150∼240℃에서 1∼600초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처리의 최고온 영역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냉각 영역에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0.1∼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재종연신, 재횡연신을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압출기를 2대 또는 3대 이상 사용한, 소위 공압출법에 의해, 상기 2층 또는 3층 이상의 적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층의 구성으로서는, A원료와 B원료를 사용한 A/B 구성, A/B/A 구성, 또한 C 원료를 사용한 A/B/C 구성, 및 그 이외의 다층 구성이 있다. 이를테면 A원료로서 특정 입자를 사용하여 A층의 표면 형상을 설계하고, B원료로서는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원료를 사용하고, A/B 또는 A/B/A 구성의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B층의 원료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면에서 잇점이 크다. 또한 상기 필름의 재생 원료를 B층에 배합해도, 표층인 A층에 의해 표면 조도의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비용 면에서 잇점이 크다.
특히 본 발명의 필름은 광학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하드코트층, 반사방지치층, 방현층(防眩層)을 제공하고, 증착층 등이 제공되기 때문에, 그들의 층을 형성할 때의 도포성과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또는 표면을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대전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하도층(下引き層)으로서의 도포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층의 형성 시점에서는,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내, 특히 종방향으로 연신한 후, 횡방향의 연신 전에 행하는 방법이 극히 얇은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도포액의 건조와 경화반응을 필름 제조 공정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포층으로서는 가교제와 각종 바인더 수지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바인더 수지로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통상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중합체를 이용한다. 상기 중합체는 각각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유도체란 다른 중합체와의 공중합체, 관능기에 반응성 화합물을 반응시킨 중합체를 나타낸다.
필요에 따라, 필름의 제조 후에 오프라인코팅법에 의해 도포해도 좋다. 오프라인코팅하는 면은 편면 또는 양면을 상관하지않는다. 코팅의 재료로서는 오프라인코팅의 경우는 물 계통 및/또는 용제계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인라인코팅의 경우는 물 계통 또는 수분산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광학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접착성의 개량 이외에도 외광의 조사와 정전기에 의한 먼지 부착방지, 또한 전자파 차단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다층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제로서 사용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우레탄에서 바람직한 유리전이온도(Tg)는 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그중에서도,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다. 특히, 카르복시산 잔기를 갖고, 그중 적어도 일부는 아민 또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수성화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수지로서는, 멜라민계, 에폭시계, 옥사졸린계 수지가 있고, 도포성, 내구접착성 면에서, 멜라민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멜라민계 수지로서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축합물, 이량체 이상의 다량체로 이루어진 축합물 및 이들의 혼합이 있다.
본 발명에서 미끄럼성, 고착성 등을 더욱 개량하기 위해서 도포층 중에 무기 입자와 유기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제 중에서 입자의 배합량은 통상 0.5∼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0.5 중량% 미만에서는 내블록킹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화상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카올린, 탈크, 탄산칼슘, 산화티탄, 산화바륨, 카본블랙, 황화몰리브덴, 산화안티몬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이산화규소가 저가이고 또한 입자 직경이 다종류 이기 때문에 이용하기 쉽다. 유기 입자로서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 분자 중에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예를 들면 디비닐벤젠)에 의해 가교 구조를 달성한 폴리스티렌 입자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폴리메타크릴레이트 입자가 있다.
상기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는 표면 처리되어도 좋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이를테면 계면활성제, 분산제로서의 고분자, 실란커플링제, 티탄커플링제 등이 있다. 도포층 중 입자의 함유량은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으로부터 통상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이다.
상기 도포층은 대전방지제, 소포제, 도포성개량제, 증점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스제, 발포제, 염료, 안료 등을 함유해도 좋다.
상기 도포제는 물을 주요 매체로 하는 한, 물에 대한 분산성을 개량할 목적 또는 필름 형성 성능을 개량할 목적으로 소량의 유기 용제를 함유해도 좋다. 유기 용제는 물에 용해하는 범위에서 사용된다. 유기 용제로서는 n-부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n-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유도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에틸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가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도포제의 도포방법으로서는, 이를테면 하라자키유지 저, 전서점, 1979년 발행, "코팅방식"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리버스로울코터, 그라비아코터, 로드코터, 에어닥터코터 또는 이들 이외의 도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포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만 형성해도 좋고, 양면에 형성해도 좋다. 편면에만 형성한 경우, 그 반대 면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포층과 다른 도포층을 형성하여 다른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제의 필름에 대한 도포성과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도포 전에 필름에 화학처리와 방전처리를 해도 좋다. 또한, 표면 특성을 더욱 개량하기 위해, 도포층 형성 후에 방전처리를 해도 좋다.
도포층의 두께는 최종적인 건조 두께로서 통상 0.01∼0.5 ㎛, 바람직하게는 0.015∼0.3 ㎛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01 ㎛ 미만인 경우는, 도포층의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않을 우려가 있다. 도포층의 두께가 0.5 ㎛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름이 서로 고착되기 쉽고, 특히 필름의 고 강도화를 위해 도포처리 필름을 재연신하는 경우는, 공정 중의 로울에 점착하기 쉬워진다. 상기 고착 문제는 특히 필름의 양면에 동일한 도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도포 필름을 광학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포층 표면의 도포 박리가, 이 도포층 위에 반사방지층 등을 다시 제공할 때 등에 문제로 된다. 도포 박리가 일어나는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필름 중에 있는 이물질이 필름 표면에 조대돌기를 만들고, 이것이 핵으로 되어 도포제를 도포하고, 그것이 연신되어 도포 박리가 발생하기도 하고, 필름의 표면에 부착한 올리고머와 먼지가 핵으로 되고, 그 곳을 핵으로서 도포제를 도포하고, 박리되는 경우 등이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핵으로 될 수 있는 먼지와 이물질을 가능한 한 제거한 조건에서 필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물질에는 필름 상에 부착 또는 석출한 올리고머도 포함되기 때문에, 필름이 함유하는 올리고머의 양을 저감하는 것도 도포의 박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필름은 도포층을 갖는 경우, 그 도포 박리의 갯수(N)는 필름 30 ㎡당 통상 0∼20개, 바람직하게는 0∼1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0∼3개이다. 광학용 필름의 분야에 있서서는, 그 특성이 금후 점점 더 엄격해지기 때문에, 도포 박리는 가능한 한 영(0)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부재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용으로서는 백라이트용 반사판, 확산판, 프리즘 시트, 렌즈 시트, 휘도 향상 필름, 액정 패널의 보호 필름 등, 패널 제조 시의 공정용으로서는 이형 필름 등,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으로서는 소위 PDP 필터라 불리는 부재용의 전자파 차단, 근적외선 차폐, 색조 보정, 자외선 차폐, 반사방지 등의 각 기능을 갖는 필름의 기재, 패널 제조 시의 공정용으로서 또는 프로젝션 텔레비젼용으로서는, 화상 형성의 스크린 등, 고도의 투명성을 필요로 하는 기재로서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 1g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 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 ml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30℃에서 측정하였다.
(2) 제 3성분(공중합 성분) 함유량의 측정:
수지 시료를 중수화 클로로포름/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중량비 7/3)의 혼합 용매에 농도 3 중량%로 되도록 용해시킨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자기 공명장치(닛뽄덴시사제 "JNM-EX270형)를 사용하고, 이 용액의 1H-NMR 스펙트럼을 얻고, 각 피크를 귀속(歸屬)하고, 피크의 적분치로부터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3) 평균입경(d50(㎛))의 측정:
원심침강식 입도분포 측정장치(시마즈세이사쿠쇼사제 SA-CP3형)을 사용하여 측정한 등가구형 분포에 있어서의 적산(중량 기준) 50%의 값을 평균입경으로 하였다.
(4) 필름 헤이즈:
JIS-K-7105에 따라서 일본전색공업사제 적분구식탁도계 "NDH-300A"에 의해 필름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5) b* 값:
동경전색사제 칼라아날라이저 TC-1800 MKII형을 사용하여, JISZ-8722의 방법에 따라 색조를 측정하였다.
(6) 도포 박리 갯수의 측정:
폭 1500 mm, 길이 20m(면적 30 ㎡)의 필름 표면에 할로겐 램프로 빛을 비추고, 육안으로 관찰하여 필름 표면을 관찰하고, 0.5 mm 이상의 도포 박리 갯수를 산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막대형 샘플에 대해서 폭 10 ㎛ 이상의 상처 갯수를 세었지만, 상술한 것과 동일한 A4 컷트에서의 측정에서도 추정은 가능하다.
(7) 광학부재 적합성:
광학용 부재의 대표로서, 확산판으로서 사용한 경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즉 필름의 편면에, 입자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바인더를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 하였다. 얻어진 확산 시트를 백라이트 유닛에 넣고, 얻어지는 면상 발광의 품질을 이하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1] 휘도 레벨(휘도계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종래의 PET 필름, 즉 본 발명에 서는 비교예1의 필름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표1]
A: 휘도가 3% 이상 향상하고, 현저하게 개량되었다.
B: 휘도가 1% 이상 향상하고, 개량은 보였다.
C: 휘도의 향상은 보이지 않고 저하하였다.
[2] 휘도의 불일치:
[표2]
A: 불일치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B: 불일치는 다소 보이지만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C: 불일치가 현저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상에 영향을 미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1)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 중량부를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마그네슘ㆍ4수염 0.09 중량부를 반응기에 넣고 반응 개시온도를 150℃로 하고, 메탄올의 증류 제거함과 동시에 서서히 반응 온도를 상승시키고, 3 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 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한반응을 종료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0.04부를 첨가한 후, 삼산화안티몬 0.03부를 가하고, 4시간 중축합 반응을 하였다. 즉, 온도를 230℃에서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보다 서서히 줄이고,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 개시후, 반응조의 교반 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점도 0.68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가압 하 중합체를 토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A)의 극한점도는 0.68, 디에틸글리콜 함유량은 1.0 몰%이었다.
(2)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0.04 부를 첨가한 후,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평균입경 2.2 ㎛의 실리카 입자 0.4부, 삼산화안티몬 0.03부를 가하고, 극한점도 0.66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중축합반응을 정지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B)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B)는 극한점도 0.66, 디에틸글리콜 함유량은 1.0 몰%이었다.
(3)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출발원료를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 중량부와 디에틸렌글리콜 2 중량부로 하고, 중합촉매로서 산화게르마늄을 사용한 것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C)를 얻었다. 또한, 산화게르마늄의 첨가방법은 공비 방법을 이용하고, 그 첨가량은 게르마늄으로서 원료 중량에 대해 100 ppm으로 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C)의 극한점도는 0.68, 중합체 중의 디에틸글리콜 함유량은 4.0 몰%이었다.
(4) 폴리에스테르(D)의 제조방법:
출발원료를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54 중량부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5 중량부로 하고, 촉매로서 테트라부톡시티타네이트 0.011 중량부를 반응기에 의해 반응 개시온도를 150℃로 하고, 메탄올의 증류 제거와 동시에 서서히 반응 온도를 상승시키고, 3 시간 후에 230℃로 하고, 다시 1 시간 반응을 계속하였다. 그 후, 온도를 230℃에서 서서히 승온함과 동시에 압력을 상압에서 서서히 낮추고, 최종적으로 온도를 280℃, 압력을 0.3 mmHg로 하였다. 반응 개시후, 반응조의 교반 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점도 0.70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가압 하에서 중합체를 토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D)의 극한점도는 0.70,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함유량은 33 몰%,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은 1.0 몰%이었다.
(5)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출발원료의 디카르복시산을 테레프탈산디메틸 80 중량부, 이소프탈산 20 부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E)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E)는 극한점도 0.67,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은 1.0 몰%이었다.
실시예 1:
상술한 폴리에스테르(B) 및 (C)를 각각 12% 및 88%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A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C) 100%의 원료를 B층의 원료로 하고, 2대의 벤트식 2축 압출기에 각각을 공급하고, 각각 285℃에서 용융하고, A층을 최외 층(표층) 및 B층을 중간층으로 하는 2종3층(A/B/A)의 층 구성에서 공압출하여 노즐로부터 압출하고, 정전인가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 로울 상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그 다음, 로울 주속차(周速差)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1℃에서 종방향으로 3.3배 연신한 후, 이하에 나타낸 조성의 도포제를 도포한 후 텐터로 유도하고, 횡방향으로 120℃에서 3.6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한 후, 횡방향으로 2% 이완하고, 두께 188 ㎛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각층의 두께는 10/168/10 ㎛이었다. 도포층의 두께는 0.08 ㎛이었다.
도포제의 조성(중량비)은 a/b/c/d = 47/20/30/3이었다. 여기서 a는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트리에틸렌글리콜 = 31/16/3/22/21(몰비)의 폴리에스테르 분산체이고, b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니트릴/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 45/45/5/5(몰비)의 유화중합체(유화제: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이고, c는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멜라민계 가교제)이고, d는 입자 직경 0.06 ㎛의 산화규소의 수분산체(무기입자)이다. 도포액 중의 고형분 농도는 6 중량%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 및 (C)를 각각 4% 및 96%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고, 각층의 두께를 10/105/10 ㎛로 하고, 필름 제조 조건, 도포 조건을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25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D) 및 (C)를 각각 5% 및 95%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고,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 (C) 및 (D)를 각각 12%, 83% 및 5%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E) 및 (C)를 각각 10% 및 90%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고,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C) 및 (E)를 각각 12%, 78% 및 10%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한 원료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에서, 글리콜 성분으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을 증가시키고, 디에틸렌글리콜을 6 몰%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그 폴리에스테르를 실시예1의 폴리에스테르(C)로 교체하여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디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폴리에스테르의 열안전성이 약간 나빠지기도 하고, 얻어진 필름의 b*값은 약간 상승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종연신 후의 도포에 있어서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를 3 중량%(실시예1의 경우의 1/2)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88 ㎛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도포층에서, 도포 박리가 약간 발견되도록 하고, 이에 의한 광학 부재로서의 특성 저하가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 및 (A)를 각각 12% 및 88%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고,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A) 1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3에서, B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D) 및 (C)를 각각 35% 및 65%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고, A층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B),(C) 및 (D)를 각각 12%, 53% 및 35%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제3 성분의 함유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광학용으로서 사용한 경우 그 특성이 저하하고, 또한 내열성이 부족하고, 실제 사용 시의 필름의 평면성 유지에 있어서도 부족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
폴리에스테르(B) 및 (C)를 각각 10% 및 90%의 비율로 혼합한 원료를 사용하고, 1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단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필름을 단층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필름 제조 조건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필름의 두께는 188 ㎛로 하였다.
이상, 얻어진 필름의 물성치 및 광학부재 적합성에 대해서 표3에 정리하였다.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필름은 광학용으로서의 적합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표3]
제 3성분 헤이즈
(%)
b*값 도포 박리 갯수
(개/㎡)
광학부재 적합성
성분 함유량
(몰%)
휘도 불일치
실시예 1 DEG 4.0 1.0 -1.0 0 A A
실시예 2 DEG 3.8 2.0 -1.0 0 B A
실시예 3 1,4-CHDM 5.5 1.0 -1.5 0 A A
비교예 1 DEG 1.0 1.0 -1.0 0 C C
비교예 2 1,4-CHDM 14.5 1.0 0 0 B B
비교예 3 DEG 3.7 4.0 0.0 0 C C
실시예 4 IPA 3.2 1.5 0.5 1 B B
실시예 5 DEG 5.9 1.2 3.5 0 B A
실시예 6 DEG 4.0 1.0 -1.0 15 A B
상기 표 중에서, DEG는 디에틸렌글리콜이고, 1,4-CHDM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고, IPA는 이소프탈산을 각각 의미하고, 실시예3, 실시예4 및 비교예2의 제 3 성분 함유량은 DEG의 양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현 시점에서, 최고로 실천적이고, 또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 중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은 2004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2004-367481호)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이를테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각종 광학용 부재와, 광학분야의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보호 필름과 이형 필름 등에 양호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주 구성 성분 이외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제3 성분을 합계 2.0∼10.0 몰%의 범위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필름 헤이즈가 0∼3.0%의 범위이고,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층을 가지며, 필름 30 ㎡당 도포 박리의 갯수(N)가 0∼20개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주 구성 성분이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어지고,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이 테레프탈산 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이고, 지방족 글리콜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주 구성 성분과 제3 성분으로 이루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제3 성분으로서의 글리콜 성분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투과법 1매로 측정한 색조 b*값이 -5 내지 +3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180℃에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필름 표면에 대한 올리고머 석출량의 표리면의 총합이 15 mg/㎡ 이하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필름 중에 존재하는 최대경 150 ㎛ 이상의 이물질이 0.0개/㎡이고, 최대경 30 ㎛ 이상의 이물질이 1.5개/㎡ 이하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필름 표면에 존재하는 폭 10 ㎛ 이상의 상처의 수가 10개/㎡ 이하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필름의 면 내에서 리타데이션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차가 통상 200 nm 이하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도포층이 가교제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로부터 이루어진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2항에 있어서, 도포액의 도포가 인라인 코팅으로 수행되는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2항에 있어서, 도포액이 수계 또는 수분산계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2항에 있어서, 바인더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인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5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 카르복시산 잔기를 갖고, 적어도 일부가 아민 또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수성화되어 있는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 12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멜라민계, 에폭시계, 옥사졸린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77012202A 2004-12-20 2005-12-09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54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7481 2004-12-20
JP2004367481A JP2006169467A (ja) 2004-12-20 2004-12-20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CT/JP2005/022652 WO2006067978A1 (ja) 2004-12-20 2005-12-09 光学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58A KR20070088658A (ko) 2007-08-29
KR101254166B1 true KR101254166B1 (ko) 2013-04-18

Family

ID=3660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202A KR101254166B1 (ko) 2004-12-20 2005-12-09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68401A1 (ko)
EP (1) EP1840159A4 (ko)
JP (1) JP2006169467A (ko)
KR (1) KR101254166B1 (ko)
CN (1) CN101080442B (ko)
WO (1) WO2006067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5805A (ja) * 2007-02-12 2008-08-2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184140A (ja) * 2008-02-04 2009-08-20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10189489A1 (en) * 2008-09-08 2011-08-04 Taishi Kawasaki Laminated polyester film
JP5161973B2 (ja) * 2008-10-30 2013-03-13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フィルム
JP5553627B2 (ja) * 2010-02-07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245809A (ja) * 2010-05-29 2011-12-08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08044B (zh) * 2010-12-31 2013-09-11 Shinkong Materials Technology Corp 多功能聚酯薄膜及其製造方法
GB201104565D0 (en) 2011-03-17 2011-05-0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s
KR101765484B1 (ko) 2011-10-19 2017-08-0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3058212A1 (ja) 2011-10-22 2013-04-25 三菱樹脂株式会社 塗布フィルム
JP2013129189A (ja) * 2011-11-23 2013-07-04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31384B1 (ko) * 2011-12-29 2017-05-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82180A (zh) * 2012-03-12 2012-07-18 安徽国风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平板显示用光学双向拉伸聚酯基膜及其制作方法
CN102582190A (zh) * 2012-03-12 2012-07-18 安徽国风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用双向拉伸聚酯基膜及其制作方法
KR102081076B1 (ko) * 2012-12-27 2020-02-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저위상차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160009884A1 (en) * 2013-04-06 2016-01-14 Mitsubishi Plastics, Inc. Coated film
WO2015102339A1 (ko) * 2013-12-30 2015-07-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고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17645B1 (ko) * 2015-05-29 2017-03-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터치 패널 기재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7647B1 (ko) * 2015-05-29 2017-03-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터치 패널용 전극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
CN113462311A (zh) * 2016-09-15 2021-10-01 三菱化学株式会社 粘合片层叠体、赋形粘合片层叠体及其制造方法
KR102301996B1 (ko) * 2020-12-07 2021-09-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888A (ja) * 1999-04-16 2000-10-31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エステル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2765E (en) * 1981-03-20 1988-10-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igh clarity colorless polyesters
US5138024A (en) * 1991-01-25 1992-08-11 Eastman Kodak Company Modified polyester useful as photographic roll film support
US5372925A (en) * 1992-05-29 1994-12-13 Konica Corporation Multilayer polyester support of photographic material
JP3789144B2 (ja) * 1994-06-14 2006-06-21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409524B2 (ja) * 1995-08-03 2003-05-26 三菱化学株式会社 共重合ポリエステル製シート及びそれより成る3次元成形体
JP3409525B2 (ja) * 1995-08-03 2003-05-26 三菱化学株式会社 共重合ポリエステル製シート及びそれより成る3次元成形体
JPH09254346A (ja) * 1996-01-17 1997-09-30 Mitsubishi Chem Corp 多層ポリエステ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加工してなる包装容器
KR100389191B1 (ko) * 1996-10-30 2004-03-22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금속판접합성형가공용폴리에스테르필름
JP3727144B2 (ja) * 1997-05-08 2005-12-14 帝人株式会社 結晶化抑制型ポリエステル
ID20662A (id) * 1997-05-08 1999-02-11 Teijin Ltd Poliester aromatik dan wadah transparan yang dibuat darinya
JP3727145B2 (ja) * 1997-05-09 2005-12-14 帝人株式会社 結晶化抑制型ポリエステル
US5958581A (en) * 1998-04-23 1999-09-28 Hna Holdings, Inc. Polyester film and methods for making same
ID27680A (id) * 1998-10-26 2001-04-19 Toray Industries Komposisi poliester, metoda produksi daripadanya dan film poliester
KR100579633B1 (ko) * 1999-01-21 2006-05-1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이접착필름 및 그 롤
DE10002171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schwerentflammbare, UV-stabil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002172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ansparente, UV-stabilisierte thermoformbare Folie aus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670127B2 (ja) * 2000-06-08 2011-04-13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の乾燥方法
JP2004149548A (ja) * 2000-06-28 2004-05-27 Teijin Ltd 光学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易接着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JP2004149551A (ja) * 2000-10-18 2004-05-27 Teijin Ltd 光学用易接着性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EP1266923B2 (en) * 2000-08-18 2014-07-09 Teijin Limited Polyester film as support for dry film resist
JP2002212317A (ja) * 2001-01-24 2002-07-31 Teijin Ltd 光学用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EP1452556B1 (en) * 2001-06-21 2009-06-10 Teijin Limited Near infrared ray shielding film
JP2003001703A (ja) * 2001-06-25 2003-01-08 Teijin Ltd 光学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737738B2 (ja) * 2001-08-07 2006-01-2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42494B2 (ja) * 2002-03-13 2007-07-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高透明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565223B2 (ja) * 2002-04-11 2004-09-15 東洋紡績株式会社 非晶性ポリエステル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晶性ポリエステルチップの保存方法
JP4033776B2 (ja) * 2003-01-21 2008-01-1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250624A (ja) * 2003-02-21 2004-09-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137214B1 (ko) * 2003-08-19 2012-04-19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US7345137B2 (en) * 2004-10-18 2008-03-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dified copolyesters and optical films including modified copolyest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888A (ja) * 1999-04-16 2000-10-31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エステル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0442A (zh) 2007-11-28
EP1840159A4 (en) 2010-05-26
CN101080442B (zh) 2012-03-21
JP2006169467A (ja) 2006-06-29
KR20070088658A (ko) 2007-08-29
US20090068401A1 (en) 2009-03-12
WO2006067978A1 (ja) 2006-06-29
EP1840159A1 (en)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166B1 (ko) 광학용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7077220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79105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9915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03277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195803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195805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55236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66569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195804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77219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692808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612203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200825428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31497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0023891A1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43648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5604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250446A (ja) 光学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2007084735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84734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56756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65557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195806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84737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