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566B1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1566B1 KR101251566B1 KR1020077025107A KR20077025107A KR101251566B1 KR 101251566 B1 KR101251566 B1 KR 101251566B1 KR 1020077025107 A KR1020077025107 A KR 1020077025107A KR 20077025107 A KR20077025107 A KR 20077025107A KR 101251566 B1 KR101251566 B1 KR 101251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ist grip
- tractor
- dashboard
- pedal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1/131—Protective devices for drivers in case of overturning of tra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종부에 승강하기 위한 어시스트 그립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조종부(4)에 승차시 또는 하차시에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어시스트 그립(31)에 있어서, 어시스트 그립(31)을 스티어링 핸들(11)의 전방에 배치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어시스트 그립(31)과 스티어링 핸들(11)이 오버랩되도록 마련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어시스트 그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터 등의 보닛 후부의 조종부에 배치되는 어시스트 그립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스텝에 발을 올리고 조종부에 탑승할 때 또는 조종부로부터 내릴 때에, 신체를 안정시켜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잡는 보조 그립으로서 후륜의 펜더 상부에 설치된 어시스트 그립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공고 평7-3478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전술한 어시스트 그립은, 조종부의 운전석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작업자는 앉은 상태로부터 일단 일어서지 않고 자연스럽게 잡을 수 있다. 따라서, 트랙터가 갑자기 중심을 잃었을 때 등에, 자신의 신체를 지킬 수 있도록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그립으로서도 유효하다.
그러나, 조종부에 승차 또는 하차할 때에는, 한쪽 손으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잡고 다른 손으로 핸들을 잡는 경우가 많다. 이때 핸들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승강시에 신체의 체중을 싣거나 힘을 주면 핸들이 회전해 버려, 생각하지 않은 방향으로 신체가 넘어지거나 갑자기 꺾이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종부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한 어시스트 그립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서는, 트랙터의 조종부에 승차시 또는 하차시에 작업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핸들의 전방에 배치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어시스트 그립과 핸들이 오버랩되도록 마련하였다.
청구항 2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상단이 핸들의 상단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청구항 3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양측 기부(基部)를 대시보드의 상면에 부착하였다.
청구항 4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뒤쪽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였다.
청구항 5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좌우 양측을 두껍게 하고, 좌우 중앙측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게 형성하였다.
청구항 6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표시 패널 상방에 걸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였다.
청구항 7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코어 바(芯金)의 주위에 탄성 부재를 붙여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코어 바의 양단을 탄성 부재로부터 돌출시켜 대시보드 내에 마련한 부착 부재에 고정하였다.
청구항 8에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탄성 부재 단부에 차양부를 형성하였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들 수 있다.
청구항 1에서는, 트랙터의 조종부에 승차시 또는 하차시에 작업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핸들의 전방에 배치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어시스트 그립과 핸들이 오버랩되도록 마련함으로써 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어, 승강시에 불안정한 핸들을 잡는 대신에 핸들의 전방에 위치하는 어시스트 그립을 잡을 수 있게 되어, 어시스트 그립을 잡고 중심을 잃는 일 없이 확실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상단을 핸들의 상단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종부에 승하차할 때에 핸들이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어시스트 그립까지 손이 닿아 안정적인 작업 자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양측 기부를 대시보드의 상면에 부착함으로써, 조종부에 승하차할 때에 용이하게 어시스트 그립까지 손이 닿아 안정적인 작업 자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 분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며, 타올 등을 걸 수 있는 물건 걸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뒤쪽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수직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잡기 쉽고, 조종부측으로 더욱 근접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의장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어시스트 그립의 좌우 양측을 굵게, 좌우 중앙측을 서서히 가늘게 형성함으로써 외관의 디자인이 좋고, 양측의 잡는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큰 힘이 가해져도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있어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표시 패널 상방에 걸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표시 패널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양측으로부터 확실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있어서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코어 바의 양측을 대시보드 내의 부착 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대시보드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보다 강성을 높일 수 있어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보다 큰 힘이 가해져도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있어서는, 어시스트 그립과 대시보드 사이에 틈새가 생겨 있어도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차양부가 이를 메울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 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의 우측면도.
도 3는 제1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측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정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평면도.
도 6는 제2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사시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사시도.
도 8은 제3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정면도.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회동 기구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 및 그 주변을 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캐빈 사양 트랙터로 한 경우의 어시스트 그립 및 그 주변을 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제5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사시도.
도 12는 제5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좌측 결합 부분의 정면 단면도.
도 13은 속도 제어 장치를 장비한 트랙터의 좌측면도.
도 14는 상기 속도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페달 기구의 배치 위치를 도시하는, 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페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델도.
도 16은 페달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페달 기구의 전체를 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a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b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
〈부호의 설명〉
4 조종부
10 대시보드
11 핸들
12 표시 패널
31 어시스트 그립
32 나사
다음으로,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어시스트 그립의 상세도로서, 도 3은 제1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제2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제3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사시도, 도 8은 제3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회동 기구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 및 그 주변을 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캐빈 사양 트랙터로 한 경우의 어시스트 그립 및 그 주변을 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 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5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의 좌측 결합 부분의 정면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전체 구성]
우선,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트랙터(1)의 전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트랙터(1)는, 엔진 프레임(2)의 상부 앞쪽에는 엔진부(3)가 배치되고, 그 뒷부분에 조종부(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 프레임(2)의 앞쪽 하부에는, 프론트 엑슬 케이스(5)가 좌우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엑슬 케이스(5)에 지지된 전차축(미도시)의 양단에는 전륜(6, 6)이 축지(軸支)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엔진 프레임(2)의 후부는 본체 프레임(2a)이고, 본체 프레임(2a)의 후부에서 미션 케이스(17)(도 13 참조)를 지지하고, 미션 케이스(17)의 후부 양측에는 리어 액슬 케이스에 축지된 후차축(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차축(18)의 양단부에는, 후륜(7·7)이 축지되어 있다.
엔진부(3)에 있어서, 엔진 프레임(2)의 위에는 엔진(8)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미션 케이스 내의 변속 장치나 구동 전달 기구 등을 통해 전륜(6·6)이나 후륜(7·7), PTO축 등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8)을 덮는 보닛(9) 내에는 라디에이터나 배터리 등이 수납되어 있다.
조종부(4)는 본체 프레임(2a)의 상방에서 엔진부(3)의 후방에 위치하며, 트랙터(1)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후방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보닛(9)의 후부에는 대시보드(10)가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연료 탱크 등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대시보드(10)의 상측 후부에는, 핸들축의 상단에 스티어링 핸들(1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핸들(11)의 전방에는, 회전수계나 연료계, 경보 램프 등을 구비한 표시 패널(12)이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12)의 전방, 즉 상기 대시보드(10)의 상방 앞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그립(3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10)의 후방에는, 운전석(13)이 배치되고, 운전석(13)의 양측부에는 어시스트 그립(16·1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운전석(13)과 대시보드(10) 사이의 하부에는, 스텝(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스티어링 핸들(11), 운전석(13) 등에 의해 조종부(4)가 구성된다.
한편, 운전석(13)의 후부에는, 안전 프레임(15)이 세로로 설치되어 있다.
[어시스트 그립]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그립(31)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어시스트 그립(31)은, 수지제 소재(대시보드(10)와 동일 소재)로 성형된 일체형의 "문형(門型)" 형상으로 구성되며, 대시보드(10)의 상면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어시스트 그립(31)의 좌우 양측 하부(기부)는 스티어링 핸들(11)의 전방에 부착되어 있고, 대시보드(10)(또는 보닛 후부)의 상면부(또는 상측면부)의 전방 양측에서 볼트나 나사(32)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 고정 기부로부터 완만하게 조종부(4)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방향으로(비스듬히 위쪽 후방) 연장된다. 즉, 어시스트 그립(31)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시보드(10) 상에서 위쪽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또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스티어링 핸들(11)과 오버랩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상기 어시스트 그립(31)의 경사는 상기 표시 패널(12)의 상부 커버의 경사에 맞춤으로써 위화감이 없으며 의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렇게 하여, 조종부(4)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승차하는 경우에, 스티어링 핸들(11)의 앞 부분에 위치하는 어시스트 그립(31)의 측부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어시스트 그립(31)의 상측부는 스티어링 핸들(11)의 최상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의 위치까지 도달한 후,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완만하게 상방으로 변화시켜 이음매 없이 연결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환언하면, 스티어링 핸들(11)의 상단의 대략 전방에 어시스트 그립(31)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어시스트 그립(31)의 좌우 중앙부의 상단은 스티어링 핸들(11)의 상단보다 높아지도록 배치하고, 또한, 어시스트 그립(31)의 좌우폭은 스티어링 핸들(11)의 좌우폭보다 길고 대시보드(10)의 좌우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짧게 구성하여, 어시스트 그립(31)을 상방이나 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어시스트 그립(31)과 안전 프레임(15)에 의해 조종자의 안전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어시스트 그립(31)은 표시 패널(12)의 상방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어시스트 그립(31)의 내측과 표시 패널(12)의 외주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가 확실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어시스트 그립(31)의 상부는 원호상으로 구성되고 스티어링 핸들(11)과 대략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어시스트 그립(31)과 스 티어링 핸들(1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핸들 조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어시스트 그립(31)의 상부를 위로부터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어시스트 그립(31)의 단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하고, 예각부를 배제한 곡선에 의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부재의 강성이나 작업자가 잡기 쉽다는 등의 이유에서 원형, 다각형, 또는 독특한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단, 부재의 굵기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방향으로의 연장부(도 5에 도시하는 W1)에 대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의 연장부(도 5에 도시하는 W2)가 가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어시스트 그립(31)은 좌우 양측이 굵고 좌우 중앙을 향해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방향으로의 연장부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함과 동시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의 연장부에서는 작업자의 파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어시스트 그립(31)의 소재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수지제 소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구성 부품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와 같이 일체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양측부와 수평부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조립성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어시스트 그립(31)를 대시보드(10)에 나사(32)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용 공구 등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어시스트 그립(31)의 탈착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때에 분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시 스트 그립(31)은 대시보드(10)와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어시스트 그립]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33)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그립(33)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점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차이가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그립(3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방을 양 갈래로 분기시킨 구성을 갖는다. 자세하게는, 대시보드(10)의 좌우 양측의 상면부에서, 어시스트 그립(33) 기부의 전후 양쪽 하단이 나사(32)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각각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역Y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우 양측 상부로부터 좌우 중앙측으로 완만하게 변화시켜 이음매 없이 연결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을 가짐으로써, 어시스트 그립(33)을 대시보드(10)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뒤쪽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과 앞쪽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은,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 쥐기 쉬운 쪽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승차시에는 앞쪽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잡고, 하차시에는 뒤쪽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잡도록 할 수도 있어, 작업자가 가장 안정적인 자세로 승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시스트 그립(33)를 대시보드(10)에 나사(32)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 용 공구 등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어시스트 그립(33)의 탈착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어시스트 그립]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그립(34)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그립(34)은, 대시보드(10)의 양측면부에 한 쌍의 부재가 고정된다. 이하, 어시스트 그립(34)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므로, 진행 방향 좌측에 배치된 어시스트 그립(34)에 대해 설명한다.
어시스트 그립(34)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 형상으로 구성되며, 설치 기부는 대시보드(10)의 측면부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서 나사(32)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어시스트 그립(34)의 양측 좌우 외측단은 차폭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본 제3 실시예에서의 어시스트 그립(34)에서는, 그 배치 부분을 대시보드(10)의 양측면으로 가져왔기 때문에, 조종부(4)에서의 작업자의 시야가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 한층 넓다. 그리고, 작업차의 신장의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가장 잡기 쉬운 위치에서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차시에도, 수직 부분이 아니라 기울기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부분을 잡고 용이하게 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시스트 그립(34)을 대시보드(10)에 나사(32)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용 공구 등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어시스트 그립(34)의 탈착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
[어시스트 그립]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그립(35)의 제4 실시예에 대해, 도 9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그립(35)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형」 형상을 갖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대시보드(10)와의 배치부에서 차이를 갖는다. 즉, 어시스트 그립(35)은, 트랙터(1)의 진행 방향에 대해 전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그 상세를 설명한다.
대시보드(10)의 상면부 또는 상측면에는, 그 전방 양측에서 나사(32) 등에 의해 어시스트 그립(35) 부착용의 브래킷(36)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어시스트 그립(35)의 기부는 브래킷(36)에 대해 연결 핀(37)에 의해 지지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36)의 뒤쪽 상부에 스토퍼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전방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한편, 브래킷(36)의 측면에는, 어시스트 그립(35)을 세웠을 경우, 그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록핀(3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시스트 그립(35)에 회동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조종부(4)에 승차시 및 하차시 등 필요한 때에 한하여 상기 어시스트 그립(35)을 세우고, 트랙터(1)의 주행시에는 반대로 눕혀 시야를 확보하는 등, 사용 상황에 따른 선택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제2 내지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시스트 그립(35), 즉 브래킷(36)을 대시보드(10)에 나사(32) 등에 의해 고정함으 로써, 전용 공구 등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브래킷(36)을 붙인 채로 어시스트 그립(35)의 탈착이 가능하다.
제5 실시예
[어시스트 그립]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45)의 제5 실시예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그립(45)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형」 형상을 갖는 점 등 형상이나 외관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지만, 대시보드(10)와의 배치부에서 차이를 갖는다. 즉, 어시스트 그립(45)은, 대시보드(10)에 직접 부착한 것이 아니라 별체로서 탈착 가능하게 하여 대시보드(10) 내에 배치한 고정 부재가 되는 스테이(42)에 부착하고, 대시보드(10)에 개구된 홀(10b·10b)로부터 대시보드(10) 상으로 연장시킨 것이다. 이하, 그 상세를 설명한다.
보닛(9) 내 후방에는, 엔진 프레임(2)으로부터 상방으로 지지 프레임이 세로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디에이터 브래킷(41)이 세로로 설치되어 있고, 그 라디에이터 브래킷(41)의 상부로부터 기체 후방을 향해 고정 부재가 되는 스테이(4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42)의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코어 바(43)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45)은 그 축심부에 코어 바(43)를 배치하고, 그 코어 바(43)의 주위는 우레탄 발포재나 고무 등으로 구성한 탄성 부재(45b)를 외주에 붙이거나 또는 감아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어, 잡기 쉽고 미끄 러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코어 바(43)의 중간에 뒤틀림 방지판(44·44)을 고정하여 탄성 부재(45b)를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어 바(43)의 양단은 탄성 부재(45b)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선단부는 수나사로 형성되어 너트(47) 등으로 고정 가능하게 되며, 그 상부에는 멈춤링(retaining ring)(46) 등을 결합 가능하게 홈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대시보드(10) 상면과 맞닿는 상기 탄성 부재(45b)의 단부에는, 탄성 부재(45b)의 본체 부분보다 외주가 커져 하방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차양부(45a·45a)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차양부(45a·45a)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시스트 그립(45)을 대시보드(10)에 조립할 때에 차양부(45a·45a)가 갖는 탄성에 의해, 편차에 의한 어시스트 그립(45)과 대시보드(10) 사이에 틈새가 생겨 있어도 그 틈새를 매우도록 주위를 밀착시킬 수 있어, 외관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차양부(45a·45a)에 의해 종래보다 넓은 면에서 대시보드(10) 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대시보드(10) 상에는 상기 코어 바(43)를 관통 가능하게 좌우 두 부분에 홀(10b·10b)이 개구되고, 그 홀(10b·10b)의 주위에는 대시보드(10)의 상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된 보스부(10a·10a)가 형성되어, 그 보스부(10a)의 상면에서 어시스트 그립(45)의 차양부(45a·45a)를 안착시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어시스트 그립(45)의 양측의 코어 바(43)를 대시보드(10)의 보스부(10a·10a)에 개구한 홀(10b·10b) 및 대시보드(10) 내에 마련한 스테이(42)의 홀에 삽입하고, 이 스테이(42)의 상부에 멈춤링(46)을 배치하고 스테이(42)의 하방으로부터 너트(47) 및 와셔(48)로 조임으로써, 어시스트 그립(45)을 대시보드(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함으로써, 어시스트 그립(45)을 대시보드(10)에 직접 장착하는 구성에 비해 보다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어시스트 그립(45) 내에 코어 바(43)를 삽입하고, 그 코어 바(43)와 일체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어시스트 그립(45)을 수지제 소재만으로 형성하는 것보다도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코어 바(43)를 구성하지 않고, 수지제 소재의 어시스트 그립(45)을 직접 스테이(42)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캐빈 사양]
본 발명에 따른 어시스트 그립의 실시예는 오픈 사양을 기본으로 하여 전술해 왔지만, 캐빈 사양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도 10은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캐빈 전면(21)의 하부는 대시보드(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면(21)의 하부 좌우 중앙에는, 어시스트 그립(35)의 외형을 따라 약간 큰 절개부가 마련되어 있다. 절개부의 주위에는, 그 형상을 따라 고무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씰(22)이 접착되어 있다. 한편, 어시스트 그립(35)의 전면에서는, 어시스트 그립(35)의 내측과 대시보드(10) 상면 사이의 공간을 덮도록 투명한 판재(40)가 나사(39)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투명한 판재(40)는, 어시스트 그립(35)의 회동 기구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대시보드(10)의 상면과의 사이의 틈새를 막도록 투명한 판재(40)의 하부 또는 대시보드(10)의 상면에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씰(23)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캐빈 사양이라도 새롭게 대시보드(10) 근방의 설계를 수정할 필요도 없고, 오픈 사양과 공통으로 본 발명에서의 어시스트 그립(35)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어시스트 그립(35)을 진행 방향 앞쪽으로 눕힘으로써 작은 창으로 이용할 수 있어, 신선한 공기가 들어올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세운 상태에서는, 씰(22·23)에 의해 조종부(4)의 기밀성을 완전하게 확보하여, 바람이나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캐빈 사양의 설명으로서 제4 실시예에 기재한 어시스트 그립(35)을 이용하여 전술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제1 내지 제3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캐빈 전면(21)을 각 어시스트 그립의 외형을 따라 절개하고 간극부를 씰링하면 당연히 대응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들 제1 내지 제3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의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에 회동 기구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작은 창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속도 제어 장치]
다음으로, 오토 크루즈 기구를 구비한 주행 차량에서 설정한 속도를 용이하게 재현 가능한 속도 제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속도 제어 장치를 장비한 트랙터의 우측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속도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페달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페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모델도이고, 도 16은 페달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페달 기구의 전체를 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a부의 상세 를 도시하는, 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b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후방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종래부터,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나 유압-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HMT)를 구비한 크루즈 컨트롤 장치(정속 주행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정속 주행을 가능하게 한 주행 차량의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0-219065호 공보에 개시). 정속 주행 제어 장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변속 페달)을 조작하여 원하는 주행 속도가 되면 속도 설정 레버를 조작하여 그 속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면 정속 주행 제어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농사일, 예를 들면, 경운 작업이나 모내기 작업, 또는 수확 작업 등의 경우에는, 포장(圃場)의 끝에서 선회하거나 직진 도중에 모종을 보급하거나 장애물에 의해 작업을 중단했을 때 등에는 정속 제어가 해제되기 때문에, 작업을 재개할 때에는, 설정 속도가 전회와 일치하지 않고 미묘하게 속도가 변화하여 작업 결과에 변화가 생긴다. 또한, 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주행 속도를 재현시키는 기술도 있지만,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속도 제어 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구성으로 설정한 속도가 용이하게 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무단 변속 장치를 장비하고 오토 크루즈 기구를 구비하는 주행 차량의 속도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축을 회동하는 아암에 변속 조작을 행하는 변속 페달과, 중립으로 되돌리는 클러치 페달과, 정속 주행 속도를 설정 하는 속도 설정 레버를 각각 링크 기구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아암과 속도 설정 레버 사이에 상기 속도 설정 레버에서 설정된 설정 속도의 범위 내에서 클러치 페달 조작을 허용하고 재현하는 기구를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정속 주행 속도를 설정한 다음, 주행을 정지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을 밟고 무단 변속 장치를 중립으로 하여 주행을 정지시킨 후에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떼면, 자동적으로 설정 주행 속도를 재현할 수 있게 되어, 클러치 페달을 밟을 때마다 정속 속도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시 주행한 경우의 정속 속도가 확실하게 재현되기 때문에, 작업을 중단한 후의 작업의 재현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농사일의 작업 결과를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페달 조작을 허용하는 기구를, 로드와 스토퍼와 스프링에 의한 간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설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도 설정 레버를 운전석 측부에 배치하고, 레버 가이드에 임의의 위치에서 연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속도 설정이 가능하고, 그 설정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속도 제어 장치에 관련되는 트랙터의 구성]
도 13을 이용하여, 트랙터에서의 속도 제어 장치에 관한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전술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 프레임(2a)의 전방 좌우 양측에 배치한 스텝(14·14) 가운데, 기체 우 측의 스텝(14) 상에는 트랙터(1)를 전후진 조작하기 위한 변속 페달(또는 액셀러레이터)(21)이 배치되고, 기체 좌측의 스텝(14) 상에는 주행 구동륜(전륜(6) 또는 후륜(7))으로의 구동 전달을 일시적으로 절단하는 클러치 페달(24)(도 14를 참조)이 배치된다.
변속 페달(21)의 전방 위치에는, 좌우의 후륜(7·7)을 각각 제동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22R·22L)(또는 클러치 페달)이 나란히 마련된다. 좌측의 페달(22L)을 밟으면 좌측의 후륜(7)이 제동되고, 우측의 페달(22R)을 밟으면 우측의 후륜(7)이 제동되도록 하고 있어, 스티어링 핸들(11)을 선회하고자 하는 측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동일한 측의 브레이크 페달(22)을 밟음으로써, 작게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브레이크 페달(22L·22R) 및 클러치 페달(24)의 각각에는, 그 페달(22L·22R·24)을 제동 해제 위치로 바이어스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귀 기구(예를 들면, 브레이크 복귀 스프링)가 배치된다. 또한 두 브레이크 페달(22L·22R)에는 연결 기구가 설치되어, 노상 주행 등에서는 양쪽 모두 동시에 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엔진(8)의 구동력은, 프로펠러 샤프트나 유니버셜 조인트(모두 미도시) 등을 통해 후방의 상기 무단 변속 장치(30)를 거쳐 미션 케이스(17)로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트랜스미션은, 무단 변속 장치(30)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차축(18·18)에 전달하기 위한 톱니바퀴의 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리어 액슬 케이스 내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차축(18·18)을 통해 좌우의 후륜(7·7)을 구 동한다.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좌우의 차축(18·18)을 차동적으로 결합하는 도시하지 않은 차동 장치가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차축(18·18)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장치가 배치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22L·22R)과 로드 등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무단 변속 장치(30)에 구비되는 유압 기구는, 가변 용적형의 유압 펌프와 고정(또는 가변) 용량형의 유압 모터 및 양자를 유체적으로 결합하는 유로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구성으로서, 유압 펌프의 펌프 축에는 엔진(8)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그 유압 펌프의 용적 변경을 위한 가동 경사판을 틸트 조작하기 위해 상기 미션 케이스(17)에는 변속축(80)이 축지되어 케이스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그 변속축(80)에는 아암(72)이 고정된다. 그리고, 아암(72)은 스텝(14) 하방에 배치된 링크 기구를 통해 상기 변속 페달(21) 및 클러치 페달(24)과 연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트랙터는 무단 변속 장치로서 HMT식 트랜스미션을 장비하고 있다. 단, 무단 변속 장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HST(유압식 무단 변속기)라도 상관없다. 또한, 변속축(80)과 가동 경사판의 사이, 또는, 아암(72)과 링크 기구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후진 절환 기구가 배치된다.
[속도 제어 장치의 구체적 구성]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속도 제어 장치(71)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은 전방을 나타내고, 또한 도 16에서는 브레이크 페달(22) 및 클러치 페달(24)을, 도 17에 서는 브레이크 페달(22)을 각각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고 있다.
속도 제어 장치(71)는, 무단 변속 장치(30)의 변속축(80)에 고정되는 아암(72), 변속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21), 클러치 페달(24), 속도 설정 레버(74)와, 상기 아암(72)과 변속 페달(21), 클러치 페달(24), 속도 설정 레버(74)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 등으로부터 구성된다.
상기 무단 변속 장치(30)는 미션 케이스(17)의 근방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1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엔진(8) 근방 등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변속축(트라이언축 등)(80)은 무단 변속 장치가 되는 HST의 유압 펌프에 마련되는 가동 경사판과 연결되어, 변속축(80)을 회동함으로써 유압 펌프로부터의 토출량 및 토출 방향을 변경하여, 유압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경하여 변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변속축(80)에 아암(7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도 15에서는, 아암(72)의 회전 방향에 대해 화살표 a의 방향을 감속측(즉 가동 경사판이 중립 방향으로 회동하여, 유압 펌프의 토출량이 감소하는 방향)이라고 하고, 화살표 b의 방향을 증속측(즉 상기 가동 경사판의 경사판각이 커져, 유압 펌프의 토출량이 증가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변속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21)과 클러치 페달(24)은, 스티어링 핸들(11)과 운전석(13)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우측 및 좌측의 스텝(14·14)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우측 스텝(14) 위의 변속 페달(액셀러레이터 페달)(21)의 전방 왼쪽 옆에 브레이크 페달(22)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24)은 왼발로, 변속(액 셀러레이터 페달)(21) 및 브레이크 페달(22)은 오른발로 각각 조작하게 되어, 승용차 감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변속 페달(21)의 페달 아암(21a)의 선단에 발받침판(21b)이 고정되고, 페달 아암(21a)의 기단(基端)부가 페달축(76)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페달축(76)은 기체 프레임(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페달축(76)의 중간부에는 아암(50)이 고정 설치되고, 아암(50)의 선단에 스프링(86)과 댐퍼(87)의 일단이 지지되며, 스프링(86)과 댐퍼(87)의 타단은 기체(본체 프레임(2a))측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86)에 의해 변속 페달(21)이 중립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있다. 또한, 댐퍼(87)에 의해 급격한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즉, 스프링(86)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중립 방향으로 복귀할 때, 덤퍼(87)에 의해 상기 바이어스력이 완충되기 때문에, 급정차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페달축(76)의 타단에는 아암(51)이 고정 설치되고, 아암(51)의 선단에 연결 링크(77)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연결 링크(77)의 타단은 상기 아암(72)의 중간부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페달(24)은 페달 아암(24a)의 선단에서 발받침판(24b)이 고정되고, 페달 아암(24a)의 기부에서 페달축(75)에 지지되어 있다. 그 다음, 페달 아암(24a)은 하방으로 아암부를 돌출시키고, 그 선단에서 연결 링크(78)의 일단과 지지되고, 연결 링크(78)의 타단이 상기 아암(72)의 하단에 지지되고 있다.
도 15에서, 속도 설정 레버(74)는 운전석(13) 근방,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에 배치하고, 레버 가이드(5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여, 임의의 위 치에서 연결 고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즉, 속도 설정 레버(74)의 측면에는 레버 가이드(52)의 위치에 맞추어 돌기(74b)가 돌출되고, 이 돌기(74b)에 대향하여 레버 가이드(52)의 안내홈에 소정 간격을 두고 노치(52a·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속도 설정 레버(74)는 돌기(74b)를 노치(52a)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원하는 속도 위치까지 회동하여 속도 설정 레버(74)를 측방으로 회동하고 돌기(74b)를 노치(52a)에 연결시킴으로써,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속도 설정 레버(74)와 아암(72)의 사이에, 클러치 페달(24)의 조작에 대해 속도 설정 레버(74)의 설정 위치를 유지한 상태인 채로 클러치 페달(24)의 회동을 허용하는 기구를 마련하여, 변속 페달(21)의 압하 위치의 복원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클러치 페달(24)의 회동을 허용하는 기구는, 스프링(81), 스토퍼(84), 연동 로드(85)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속도 설정 레버(74)의 하부가 지지축(83)에 지지되고, 속도 설정 레버(74)의 하단이 연결 링크(53)의 일단에 지지되고, 연결 링크(53)의 타단이 연결 아암(54)의 일단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 링크(53)의 타단에는 장공(53a)이 형성되어, 연결 아암(54)의 일단에 돌출된 연결 핀(55)을 삽입하여 축지한다.
연결 아암(54)의 중간부가 지지축(90)에 지지되고, 연결 아암(54)의 타단과 상기 아암(72) 사이에 스프링(81)과 연동 로드(85)가 개재되어 있다. 즉, 스프링(81)은 연결 아암(54)과 아암(72) 사이에 결합되어 아암(72)이 연결 아암(54)측 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스하고 있다.
한편, 연동 로드(85)는 그 일단이 연결 아암(54)의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아암(72)의 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아암(72)의 중간부에는 연결판(72a)을 절곡 형성 또는 용접 등에 의해 돌출시켜 마련하고, 이 연결판(72a)에 삽입홀을 개구하여, 삽입홀에 연동 로드(85)를 삽입하고 있다. 또한, 연동 로드(85)의 중간부에는 스토퍼(84)를 고정하여, 상기 연결판(72a)과 맞닿도록 하고 있다. 한편, 스토퍼(84)는 연동 로드(85)에 나사로 고정하여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는 경우(통상적인 주행의 경우)에는, 속도 설정 레버(74)는 저속측(후방)으로 회동되어 있다. 이 상태로 변속 페달(21)을 증속측으로 밟으면, 페달축(76)·암(51)·연결 링크(77)를 통해 아암(72)이 회동되어, 무단 변속 장치(30)가 증속측으로 변속된다. 이때, 연결판(72a)은 스토퍼(84)에 맞닿아 연동 로드(85)를 눌러 연결 아암(54)을 회동시킨다. 이 회동시에 연결 핀(55)은 장공(53a) 내를 슬라이딩하고, 속도 설정 레버(74)는 회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감속시키기 위해 변속 페달(21)로부터 발을 떼면, 아암(72)은 상기한 것의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무단 변속 장치는 감속된다. 즉, 상기 스프링(8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아암(50)을 통해 변속 페달(21)은 감속 방향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연결 아암(54)은 스프링(8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작업시 등에 정속으로 주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주행 속도가 될 때까지 변속 페달(21)을 밟아 원하는 주행 속도가 되었을 때, 속도 설정 레버(74)를 고속측으로 회동시키고, 더 증속되지 않는 위치에서 속도 설정 레버(74)를 노치(52a)에 연결하여 속도 설정 레버(74)를 결합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변속 페달(21)로부터 발을 떼어도, 스프링(8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되고, 아암(72)도 그 위치가 유지되어 정속 주행이 가능해진다.
작업시 등에 작업을 중단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24)을 밟으면, 연결 링크(78)를 통해 아암(72)은 스프링(81)의 바이어스력에 맞서 중립측으로 회동되고, 연결판(72a)은 연동 로드(85)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주행은 정지된다. 즉, 속도 설정 레버(74)의 설정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클러치 페달(24)을 밟는 조작은 허용된다.
그리고, 작업을 재개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24)로부터 발을 떼면, 스프링(8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아암(72)은 증속측으로 회동되고, 연결판(72a)이 스토퍼(84)에 맞닿을 때까지 회동되어, 속도 설정 레버(74)에 의해 설정한 주행 속도로 복귀할 수 있어 설정 속도를 재현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링크(78)에는 페달 아암(24a)과의 연결부에 장공(25)이 마련되어 있어, 아암(72)이 중립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한, 그 후 클러치 페달(24)을 밟아도, 양쪽 부재(24a·78)를 연결하는 연결 핀(26)은 상기 장공(25) 내에서 슬라이딩할 뿐으로 아암(72)이 감속측으로 회동되는 일은 없지만, 상기 아암(72)이 증속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24)을 밟으면 상기 연결 핀(26)에 의해 장공(25) 내의 측부가 눌려, 상기 아암(72)은 연결 링크(78)를 통해 중립 위치까지 되돌려진다. 또한, 정속 주행시에 변속 페달을 더 밟으면, 아암(72)이 회동되어 증속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주행 차량의 속도 제어에서는, 속도 설정 레버(74)에 의해 일단 속도가 설정된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24)에 의해 감속시켰다고 해도 클러치 페달(24)을 복귀시키면, 상기 변속 페달(21)에 의한 증속 후의 속도가 유지되게 되어 변속 페달(21) 조작 후의 속도의 재현이 가능하다.
또한, 속도 설정 레버(74)에 의해 속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22)을 밟는 것에 의해서도 아암(72)은 스프링(81)의 바이어스력에 맞서 중립측으로 회동되어, 속도 설정 레버(74)에 대해 브레이크 페달(22)을 밟는 조작이 허용되고, 브레이크 페달(22)을 해제한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을 개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설정 속도로 재현된다.
한편, 속도 설정 레버(74)는 전후진 조작도 가능하다.
Claims (8)
- 트랙터의 조종부에 승차시 또는 하차시에, 작업자의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좌우 양측 기부를 핸들 전방의 대시보드 상면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핸들의 전방에 배치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어시스트 그립과 핸들이 오버랩되도록 마련하고,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상부를 원호상으로 하고, 상기 원호상의 상부를 스티어링 핸들과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스티어링 핸들과 간격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상단을 핸들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뒤쪽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좌우 양측을 굵게, 좌우 중앙측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표시 패널의 상방에 걸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코어 바의 주위에 탄성 부재를 접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코어 바의 양단을 탄성 부재로부터 돌출시켜 대시보드 내에 마련한 부착 부재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탄성 부재 단부에 차양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어시스트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378667 | 2005-12-28 | ||
JPJP-P-2005-00378667 | 2005-12-28 | ||
JPJP-P-2006-00045397 | 2006-02-22 | ||
JP2006045397A JP2007224985A (ja) | 2006-02-22 | 2006-02-22 | 速度制御装置 |
JP2006232729A JP4913506B2 (ja) | 2005-12-28 | 2006-08-29 | トラクタのアシストグリップ |
JPJP-P-2006-00232729 | 2006-08-29 | ||
PCT/JP2006/325778 WO2007077793A1 (ja) | 2005-12-28 | 2006-12-25 | トラ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0255A KR20080080255A (ko) | 2008-09-03 |
KR101251566B1 true KR101251566B1 (ko) | 2013-04-08 |
Family
ID=3822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5107A KR101251566B1 (ko) | 2005-12-28 | 2006-12-25 | 트랙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8033590B2 (ko) |
EP (1) | EP1873009B1 (ko) |
KR (1) | KR101251566B1 (ko) |
CN (1) | CN101128341B (ko) |
AU (1) | AU2006332048B2 (ko) |
CA (1) | CA2603241C (ko) |
WO (1) | WO20070777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123756A1 (ja) * | 2005-05-20 | 2006-11-23 | Yanmar Co., Ltd. | 走行車両 |
JP2009035186A (ja) * | 2007-08-02 | 2009-02-19 | Yanmar Co Ltd | トラクタ |
JP2009035184A (ja) * | 2007-08-02 | 2009-02-19 | Yanmar Co Ltd | トラクタのアシストグリップ |
JP5159202B2 (ja) * | 2007-08-02 | 2013-03-06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のアシストグリップ |
CN103615532B (zh) * | 2013-11-27 | 2015-10-14 | 常州东风农机集团有限公司 | 静液压无级变速器的操纵装置 |
USD748675S1 (en) * | 2014-06-17 | 2016-02-02 | Kubota Corporation | Riding lawn mower |
USD748676S1 (en) * | 2014-06-17 | 2016-02-02 | Kubota Corporation | Riding lawn mower |
JP7022676B2 (ja) * | 2018-03-14 | 2022-02-18 |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作業車両 |
US10829083B2 (en) * | 2018-10-30 | 2020-11-10 | Deere & Company | Pivoting seat belt system |
ES1296893Y (es) * | 2022-11-16 | 2023-04-27 | Ausa Center S L U | Vehículo para la manipulación de materiales y movimiento de tierra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92137U (ja) * | 1982-06-16 | 1983-12-21 |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 トラクタの乗降用取手 |
JPH11228089A (ja) * | 1998-02-18 | 1999-08-24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立席型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
Family Cites Families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9491A (en) | 1886-04-06 | Joseph n | ||
US405915A (en) | 1889-06-25 | Anson searls | ||
FR448062A (fr) * | 1912-09-07 | 1913-01-22 | Philipp Strasser | Dispositif empechant les voyageurs d'etre projetés hors des automobiles |
US2672103A (en) | 1951-02-16 | 1954-03-16 | William A Hohmes | Safety crash handle |
US2669317A (en) | 1951-10-04 | 1954-02-16 | American Coleman Company | Tractor for semitrailers and the like |
US2698060A (en) | 1952-06-30 | 1954-12-28 | Fort Dodge Tent & Awning Compa | Engine heat deflecting enclosure with movable side door for tractors |
US2826450A (en) | 1954-12-29 | 1958-03-11 | Williams Oscar Stanley | Attached tractor cabs |
US2978055A (en) * | 1956-08-04 | 1961-04-04 | Daimler Benz Ag | Reinforcing structure for automobiles with panorama windshields |
US2976947A (en) * | 1959-01-22 | 1961-03-28 | Caterpillar Tractor Co | Pivoted dash assembly for tractors and the like |
US3183549A (en) | 1962-01-12 | 1965-05-18 | Happich Gmbh Gebr | Holder grip,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
US3813729A (en) | 1973-01-04 | 1974-06-04 | M Szabo | Rigid substantially u-shaped handle with closed-cell foam handgrip |
US3920147A (en) | 1974-08-09 | 1975-11-18 | Dart Ind Inc | Latching leg-handle assembly |
JPS5748661Y2 (ko) * | 1979-11-28 | 1982-10-25 | ||
JPS5683435A (en) | 1979-12-10 | 1981-07-08 | Nissan Chem Ind Ltd | Preparation of unsaturated aldehyde |
JPS5748661A (en) | 1980-09-08 | 1982-03-20 | Nippon Denki Sanei Kk | Analog waveform display device |
USD266557S (en) * | 1980-10-16 | 1982-10-19 | Smith Terrance R | Bicycle rack |
USD271876S (en) * | 1980-10-20 | 1983-12-20 | Browning Albert E | Tractor |
JPS58188339U (ja) * | 1982-06-11 | 1983-12-14 |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 トラクタ−におけるアシストバ−の構造 |
USD297239S (en) * | 1985-08-27 | 1988-08-16 | Kubota, Ltd. | Agricultural tractor |
USD306301S (en) | 1987-03-27 | 1990-02-27 | Kubota, Ltd. | Agricultural tractor |
JP2659095B2 (ja) | 1987-06-30 | 1997-09-30 | 富士通株式会社 | ゲートアレイ及びメモリ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装置 |
JPH01104874A (ja) | 1987-10-13 | 1989-04-21 | Suminoe Textile Co Ltd | 長尺生地の連続スプレー染色装置 |
JPH0611897Y2 (ja) * | 1987-12-30 | 1994-03-30 | 三菱農機株式会社 | 農用トラクター |
JPH0611897A (ja) | 1991-11-18 | 1994-01-21 | Mita Ind Co Ltd | 電子写真用カラートナー |
JPH0734781A (ja) | 1993-07-16 | 1995-02-03 | Komatsu Ltd | 小口径管推進機 |
USD423520S (en) | 1997-09-24 | 2000-04-25 | Mto Products Inc | Riding lawn mower |
US6037038A (en) | 1998-03-30 | 2000-03-14 |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 Vehicle interior trim member having integrally molded hollow assist handle |
JP4098909B2 (ja) | 1999-01-29 | 2008-06-11 |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 作業車の走行速度解除装置 |
USD438546S1 (en) | 1999-07-08 | 2001-03-06 | Kubota Corporation | Agricultural tractor |
USD440982S1 (en) | 1999-12-23 | 2001-04-24 |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 Combined compact tractor operator platform, hood and fuel tank |
US6293616B1 (en) | 2000-01-10 | 2001-09-25 |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 Modular rail for roof and windshield |
JP2002002350A (ja) | 2000-06-21 | 2002-01-09 | Kawasaki Heavy Ind Ltd | 作業用四輪車における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
US6419304B1 (en) | 2000-10-06 | 2002-07-16 | O-R Fab, Inc. | Interior enclosure for vehicles |
USD483043S1 (en) * | 2002-09-20 | 2003-12-02 |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 Tractor |
KR100568721B1 (ko) | 2004-09-15 | 2006-04-0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수측 그립 핸들 |
US20060066129A1 (en) | 2004-09-24 | 2006-03-30 | Jessey Roger | JR dashboard shader |
USD553161S1 (en) * | 2005-06-23 | 2007-10-16 | Yanmar Co., Ltd. | Portion of a tractor |
USD550251S1 (en) | 2005-06-23 | 2007-09-04 | Yanmar Co., Ltd. | Portion of a tractor |
USD537454S1 (en) | 2005-08-10 | 2007-02-27 | Kubota Corporation | Tractor |
USD547333S1 (en) | 2005-08-10 | 2007-07-24 | Yanmar Co., Ltd. | Tractor |
-
2006
- 2006-12-25 US US11/816,700 patent/US803359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25 CN CN2006800058364A patent/CN10112834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25 CA CA2603241A patent/CA260324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2-25 AU AU2006332048A patent/AU2006332048B2/en not_active Ceased
- 2006-12-25 EP EP06843181A patent/EP187300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12-25 WO PCT/JP2006/325778 patent/WO20070777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2-25 KR KR1020077025107A patent/KR1012515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
- 2007-10-23 US US11/877,445 patent/US7549693B2/en active Active
- 2007-10-23 US US11/877,449 patent/US745202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92137U (ja) * | 1982-06-16 | 1983-12-21 | 石川島芝浦機械株式会社 | トラクタの乗降用取手 |
JPH11228089A (ja) * | 1998-02-18 | 1999-08-24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立席型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80084081A1 (en) | 2008-04-10 |
AU2006332048B2 (en) | 2012-03-15 |
CA2603241C (en) | 2014-02-04 |
EP1873009A1 (en) | 2008-01-02 |
CN101128341A (zh) | 2008-02-20 |
US20080272610A1 (en) | 2008-11-06 |
KR20080080255A (ko) | 2008-09-03 |
CA2603241A1 (en) | 2007-07-12 |
US7549693B2 (en) | 2009-06-23 |
EP1873009A4 (en) | 2008-10-29 |
WO2007077793A1 (ja) | 2007-07-12 |
CN101128341B (zh) | 2010-08-25 |
AU2006332048A1 (en) | 2007-08-23 |
EP1873009B1 (en) | 2011-10-12 |
US8033590B2 (en) | 2011-10-11 |
US20090007719A1 (en) | 2009-01-08 |
AU2006332048A8 (en) | 2008-10-02 |
US7452021B2 (en) | 2008-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1566B1 (ko) | 트랙터 | |
US7878261B2 (en) | Operating apparatus for work vehicle | |
JP3354797B2 (ja) | 田植機の機体構造 | |
US20080106112A1 (en) | Tractor | |
JP2007313953A (ja) | 作業車両 | |
JP2013067231A (ja) | トラクタの操作装置 | |
WO2007136058A1 (ja) | 作業車両 | |
US7604277B2 (en) | Working vehicle equipped with assist grip | |
JP4577831B2 (ja) | 乗用型作業機 | |
JP4802412B2 (ja) | トラクタ | |
JPS6343189Y2 (ko) | ||
JPS606382Y2 (ja) | 簡易乗用装置付動力作業車 | |
JPH07290983A (ja) | 乗用管理機 | |
JPH0320193Y2 (ko) | ||
EP2487078A1 (en) | Working Vehicle | |
JPS6328644Y2 (ko) | ||
JPH0319465Y2 (ko) | ||
JP3014546B2 (ja) | 芝刈機の刈高調整装置 | |
JP4860410B2 (ja) | 作業車両 | |
JP5668799B2 (ja) | 作業車両 | |
JPS6334988Y2 (ko) | ||
JPS6222417Y2 (ko) | ||
JP2004203355A (ja) | 乗用型作業車 | |
JP2018025893A (ja) | 作業車両 | |
JPH10191728A (ja) | 乗用型田植機のメンテナンス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