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830B1 -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830B1
KR101248830B1 KR1020100090630A KR20100090630A KR101248830B1 KR 101248830 B1 KR101248830 B1 KR 101248830B1 KR 1020100090630 A KR1020100090630 A KR 1020100090630A KR 20100090630 A KR20100090630 A KR 20100090630A KR 101248830 B1 KR101248830 B1 KR 10124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tee
mat
load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645A (ko
Inventor
최승환
Original Assignee
(주) 알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알디텍 filed Critical (주) 알디텍
Priority to KR102010009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830B1/ko
Priority to CN2011800434467A priority patent/CN103096984A/zh
Priority to PCT/KR2011/006597 priority patent/WO2012036405A2/ko
Priority to US13/822,393 priority patent/US8840482B2/en
Priority to JP2011201164A priority patent/JP5358638B2/ja
Publication of KR2012002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63B2047/004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having means preventing bridge formation dur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Abstract

지정된 위치에 볼(골프공)을 낱개로 자동 공급 볼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공급장치는, 경사면과 이 경사면을 따라 제공된 볼이 위치하게 되는 홀을 구비한 매트부; 매트부의 홀 축선을 따라 승강 이동하며, 홀 상에 위치한 볼을 상기 매트부 평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지점의 티샷 위치로 이동시키는 티(Tee) 부재; 매트부보다 낮은 평면상에 존재하며, 그 위에 로딩된 볼을 상기 매트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 로딩부와 매트부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한 범위 안에서의 스윙운동으로 로딩부로부터 하나씩 제공된 볼을 상기 매트부의 경사면에 제공하는 피딩(feeding)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feeding device for golf ball}
본 발명은 티샷을 위한 볼(골프공)을 지정된 위치로 자동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볼이 놓여 지는 바닥 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공간 활용도가 높은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른바 "스크린 골프"라고 불리우는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내에서도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즐기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골프용 부스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 전면부에 마련되는 스크린에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투영된다. 따라서 골퍼가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하면, 스크린상에 골프공 영상이 투영되며 골퍼는 이를 보면서 실제와 같은 리얼리티를 즐기게 된다.
상기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골퍼들의 편의를 도모할 목적으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골프공이 지정된 타격위치로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타격되어 날아간 골프공이 다시 회수되어 타석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여러 형태로 개발되어 실전 적용되고 있다.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53356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506155호에 개시된 골프공 공급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문헌에 개시된 골프공 공급장치들은 상호 전혀 상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한데 모아진 골프공을 지정된 타격위치에 하나씩 낱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 과제가 동일하다.
위와 같이 종래 알려진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골프공을 지정된 타격위치에 하나씩 낱개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문헌에 개시된 상기 선행기술을 비롯하여, 종래 알려진 다른 여러 종류의 골프공 공급장치 대부분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골프공이 놓여 지는 바닥 주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오른손 잡이 전용 타석인 경우에, 골프공이 놓여 지는 중앙 매트를 기준으로 타석 반대편에 골프공 공급장치가 위치하여 지정된 위치로 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종래 대부분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대부분이, 공이 놓이는 중앙 매트를 기준으로 골퍼가 위치하게 되는 타석과 대향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알려진 대부분의 스크린 골프의 경우 오른손 또는 왼손 잡이의 특성에 맞게 어느 한 쪽 타석에 한정되어 골프를 즐길 수 밖에 없었다. 다시 말해, 오른손 잡이는 오른손 잡이 전용 타석이 마련된 공간에서, 그리고 왼손 잡이인 경우 왼손 잡이 전용 타석이 마련된 공간에서만 스크린 골프를 즐길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공간에서 양손 모두 사용 가능한 타석 구조가 요구되지만, 이와 같은 타석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골프공을 지정된 타격 위치까지 공급하는 전술한 골프공 공급장치의 구조개선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공간에서 오른손, 왼손잡이 골퍼가 모두 즐길 수 있는 양손 겸용 타석을 구현함에 있어 유리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상으로 노출되지 않아 볼이 놓여 지는 매트부 주변에 보다 많은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경사면을 구비하며, 이 경사면을 따라 제공된 볼이 위치하게 되는 홀을 구비한 매트부; 상기 매트부의 홀 축선을 따라 승강 이동하며, 홀 상에 위치한 볼을 상기 매트부 평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지점의 티샷 위치로 이동시키는 티(Tee) 부재; 상기 매트부보다 낮은 평면상에 존재하며, 그 위에 로딩된 볼을 상기 매트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와 매트부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한 범위 안에서의 스윙운동으로 상기 로딩부로부터 하나씩 제공된 볼을 상기 매트부의 경사면에 제공하는 피딩(feeding)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티 부재를 승강 구동시키는 티-업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티-업 구동부는, 일정 회전각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티 부재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티 부재는, 이 티 부재가 상기 매트부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 상에 놓인 볼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센서에 의한 감지 명령에 따라 상기 티-업 구동부가 구동하고, 따라서 홀 상에 위치한 볼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티 부재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부는, 그 위에 로딩된 볼을 상기 피딩부재로 하나씩 공급하기에 적합한 피치(Pitch)로 간헐적인 스텝운동을 하는 컨베이어 벨트 타입 이송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로딩부는, 구동드럼; 상기 구동드럼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종동드럼; 및 상기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을 연결하는 벨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체 표면에는, 상기 벨트체 일측에서 타측으로 볼을 낱개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구가 돌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 적용된 상기 피딩부재는, 그 한 쪽 끝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스윙운동을 하는 가동 아암; 상기 가동 아암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후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로딩부에서 낱개로 제공된 볼이 놓여지는 안착면을 갖는 피딩 아암;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딩 아암의 안착면은, 이 안착면 위에 볼이 놓인 채로 스윙 운동을 할 경우, 볼이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로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볼의 반경에 상응하는 곡률반경으로 함몰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부의 간헐적 스텝운동을 제어하는 제 1 센서; 및 피딩부재의 스윙운동에 관여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센서는, 로딩부로부터 피딩부재로 볼이 제공되기 직전의 로딩부 끝단 벨트체 상에 놓인 볼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로딩부의 간헐적인 스텝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로딩부 끝단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는, 로딩부로부터 제공된 볼이 피딩부재에 놓여 졌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피딩부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피딩부재가 로딩부로부터 볼을 제공받기에 적합한 위치에 있을 때, 피딩부재에 놓여 진 볼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의 피딩부재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볼을 공급하는 로딩부가 최종 볼이 놓여지는 매트부보다 낮은 평면상에 존재하는 것과 같이, 그 구조상 바닥에 매설시키는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이 바닥 위 또는 타석 주변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볼이 놓여 지는 매트부 주변에 보다 많은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매트부 주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매트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독립된 타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좌,우 양손 겸용 타석을 구현함에 있어 유리하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 매트부 아래로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도,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로딩부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낮은 높이로 시공이 가능한 구조이며, 따라서 설치 시 높은 지상고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설치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볼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티-업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은 도 1에 나타난 로딩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를 통해 볼이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볼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략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공급장치는 매트부(1), 매트부(1) 상으로 골프공(이하, '볼'이라 한다)을 공급하는 로딩부(4) 및 피딩(feeding)부재(5)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부(1)는 실질적으로 타격을 위한 볼이 놓이는 평면에 해당되며, 로딩부(4)는 회수된 볼을 낱개로 하나씩 상기 피딩부재(5)에 제공한다. 그리고 피딩부재(5)는 로딩부(4)로부터 제공된 볼을 사용자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매트부(1)로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매트부(1)는 상기 피딩부재(5)로부터 볼을 제공받는 그 일측에 경사면(10)을 구비한다. 또한 중앙의 지정된 위치에는 티샷을 위한 볼이 위치하게 되는 홀(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홀(12)은 상기 경사면(10)을 따라 매트부(1) 평면으로 이동되는 볼의 이동경로 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피딩부재(5)를 통해 경사면(10) 상부로 제공된 볼은, 상기 경사면(10)을 타고 흘러 내려 상기 홀(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홀(12) 내부에는 티 부재(2)가 장치된다. 상기 티 부재(2)는 상기 홀(12)의 축선을 따라 상기 홀(12) 안쪽으로 인입되거나 홀(12) 바깥으로 상향 인출되는 것과 같은 승강 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홀(12) 상에 볼이 놓여 진 상태에서 티 부재(2)가 홀(12) 바깥으로 인출되면, 홀(12) 상에 위치한 볼은 상기 매트부(1) 평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티샷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티 부재(2)는 그 내측에 센서(20)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20)는 상기 티 부재(2)가 상기 매트부(1)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12) 상에 놓인 볼을 감지하며, 그 감지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티 부재(2)의 승강 이동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센서(20)에 의한 티 부재(2)의 승강 운동의 제어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티-업 구동부(3)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티-업 구동부(3)는 바람직하게, 도 3의 도시와 같이 일정 회전각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 하는 구동모터(30)와, 이 구동모터(30)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티 부재(2)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전동부재(3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한 센서(20)의 감지 명령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티 부재(2)가 홀(12) 아래 쪽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12) 상에 볼이 위치하면, 상기 센서(20)가 홀(12) 상에 놓인 볼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모터(30) 동작을 위한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모터(30)는 센서(20)에 의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티 부재(2)를 상승시키며, 티 부재(2)는 홀(12) 상에 놓인 볼을 들어올려 지정된 티샷 지점에 볼을 위치시킨다.
상기 티-업 구동부(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모터(30) 및 전동부재(32)를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 또는 랙-피니언 타입의 승강장치와 같이, 상기 티 부재(2)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특정한 형태 또는 구조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가능 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로딩부(4)는 타격 후 회수된 볼을 상기 매트부(1)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로딩부(4)는 상기 매트부(1)에 비해 낮은 평면상에 존재하며, 회수된 볼을 로딩하여 상기 피딩부재(5)에 하나씩 낱개로 공급하기에 적합한 피치(Pitch)로 간헐적인 스텝운동을 한다.
상기 로딩부(4)는 위와 같이 상기 피딩부재(5)에 볼을 하나씩 낱개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구성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하지만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로딩부(4)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이송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로딩부(4)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적용된 로딩부(4)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로딩부(4)는, 구동드럼(40), 상기 구동드럼(40)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종동드럼(42) 및, 상기 구동드럼(40)과 종동드럼(42)을 연결하는 벨트체(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동드럼(40)은 구동축에 해당하며, 벨트체(44)는 상기 구동드럼(40)의 회전에 의해 종동드럼(42)을 매개로 회전하면서 그 위에 놓인 이동 대상물 즉, 볼을 로딩부(4)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벨트체(44)가 회전하면 이동과정에서의 관성 또는 충격/진동으로 그 위에 놓인 볼이 벨트체(44)로부터 이탈되거나 다수의 볼이 밀집된 채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벨트체(44) 표면에는 다수의 가이드구(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구(46)는 볼을 낱개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체(44) 상에 놓여 진 볼은, 하나의 가이드구(46)와 이와 이웃하는 다른 가이드구(46)에 의해 그 사이로 구획된 공간에 하나씩 위치한 상태로, 이탈되거나 여러 개가 밀집되지 않은 채 로딩부(4) 일측에서 타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피딩(feeding)부재는 상기 로딩부(4)와 매트부(1)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한 범위 안에서의 스윙운동으로 상기 로딩부(4)로부터 볼을 하나씩 제공받아 상기 매트부(1)의 경사면(10) 최상부에 볼을 제공한다. 이러한 피딩 부재에 대해서는 앞서 도시된 도 1 내지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피딩부재(5)는, 가동 아암(50)과, 이 가동 아암(50)으로부터 연장된 피딩 아암(52)으로 구성된다. 가동 아암(50)은 그 한 쪽 끝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윙동작을 위한 동력수단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그 힌지점(H)을 기준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스윙운동을 한다. 그리고 피딩 아암(52)은 상기 가동 아암(50)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후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로딩부(4)를 통해 낱개로 제공된 볼이 피딩 부재를 통해 상기 매트부(1)에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피딩 아암(52)의 선단에는 안착면(52a)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안착면(52a)은 볼의 반경에 상응하는 곡률반경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딩부(4)에서 제공된 볼은 상기 안착면(52a) 위에 안정적인 로딩 상태를 유치한 채, 상기 가동 아암(50)의 스윙운동으로 매트부(1)에 형성된 경사면(10)으로 정확히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6, 7은, 로딩부(4)의 간헐적 스텝운동을 제어하는 제 1 센서(6)와, 피딩부재(5)의 스윙운동에 관여하는 제 2 센서(7)를 가르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센서(6)는, 로딩부(4) 끝단의 볼이 위치하는 지점 측부에 배치되며, 로딩부(4)로부터 피딩부재(5)로 볼이 제공되기 직전의 로딩부(4) 끝단의 벨트체(44) 상에 놓인 볼의 유무를 감지한다. 또한 볼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신호로서 상기 로딩부(4)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볼이 감지된 경우 로딩부(4)를 구성하는 구동드럼(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벨트체(44)가 소정거리씩 스텝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센서(7)는, 로딩부(4)로부터 제공된 볼이 피딩부재(5)에 놓여 졌을 경우, 상기 피딩부재(5)에 높여진 볼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의 피딩부재(5) 측방에 배치되며, 로딩부(4)로부터 제공된 볼이 피딩부재(5)에 놓여 졌을 때 이를 감지한다. 또한 그 감지된 신호로서 상기 피딩부재(5)의 스윙운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피딩부재(5)의 스윙동작에 관여하는 동력수단(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볼 공급장치를 통해 볼(골프공)이 지정된 위치(홀(12))로 제공되는 과정을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동작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시된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벨트체(44) 상에 놓인 볼은 도 5에서 도 7에 도시된 작동순서를 통해 지정된 위치로 이동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티 부재(2)에 놓여 골퍼에 의해 타격된 볼은 스크린에 타격 후 경사면(10)을 따라 미도시 된 호퍼 측으로 회수된다. 이처럼 회수되어 한데 모여진 볼은, 상기 로딩부(4)를 통해 피딩부재(5) 측으로 하나씩 낱개로 이동된다. 로딩부(4)를 통해 이동된 볼(B)이 도 5에서와 같이 피딩부재(5) 상에 놓여 지면, 그 측방에 배치된 제 2 센서(7)가 볼(B)이 놓여 진 것을 감지하며, 피딩부재(5)는 그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도 6에 도시된 대기 위치까지 볼을 이동시킨다.
다음, 도 6과 같이 대기 위치에 대기하고 있던 볼(B)은, 사용자에 의한 선택적 신호 입력, 예컨대 외부에 마련된 스위치를 누르는 것과 같은 동작에 의한 피딩부재(5)의 스윙운동에 의해, 도 7에서와 같이 매트부(1)의 경사면(10) 상부로 제공되고, 이처럼 경사면(10) 상부로 제공된 볼은, 상기 경사면(10)을 타고 흘러 내려 홀(12) 상에 위치한다(도 7의 파선 참조).
홀(12) 내부에는 티 부재(2)가 승강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티 부재(2)는 그 내측에 센서(2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티 부재(2)가 상기 매트부(1)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12) 상에 놓인 볼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티 부재(2)가 홀(12) 축선을 따라 홀(12) 바깥으로 상향 인출되고, 이 과정에서 홀(12) 상에 위치한 볼(B)은 티 부재(2)에 의해 지정된 티샷 위치까지 상향 이동된다(도 7 파선 참조).
한편, 도면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매트부(1)에 볼을 제공한 피딩부재(5)는 로딩부(4)로부터 볼을 제공받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며, 피딩부재(5)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면, 로딩부(4)는 제 1 센서(6) 제어에 따라 스텝이동 하고 다음 순번에 있던 공을 상기 피딩부재(5)에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정된 티샷 위치로 볼은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볼을 공급하는 로딩부가 최종 볼이 놓여지는 매트부보다 낮은 평면상에 존재하는 것과 같이, 그 구조상 바닥에 매설시키는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이 바닥 위 또는 타석 주변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볼이 놓여 지는 매트부 주변에 보다 많은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매트부 주변에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매트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독립된 타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좌,우 양손 겸용 타석을 구현함에 있어 유리하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 매트부 아래로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도,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로딩부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낮은 높이로 시공이 가능한 구조이며, 따라서 설치 시 높은 지상고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설치에 따른 공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매트부 2 : 티(Tee) 부재
3 : 티-업 구동부 4 : 로딩부
5 : 피딩(Feedign)부재 6 : 제 1 센서
7 : 제 2 센서 10 : 경사면
12 : 홀 20 : 센서
30 : 구동모터 32 : 전동부재
40 : 구동드럼 42 : 종동드럼
44 : 벨트체 46 : 가이드구
50 : 가동 아암 52 : 피딩 아암
52a : 안착면

Claims (12)

  1. 지정된 위치에 볼(골프공)을 낱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경사면을 구비하며, 이 경사면을 따라 제공된 볼이 위치하게 되는 홀을 구비한 매트부;
    상기 매트부의 홀 축선을 따라 승강 이동하며, 홀 상에 위치한 볼을 상기 매트부 평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지점의 티샷 위치로 이동시키는 티(Tee) 부재;
    상기 티 부재를 승강 구동시키는 티-업 구동부:
    상기 매트부보다 낮은 평면상에 존재하며, 그 위에 로딩된 볼을 상기 매트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와 매트부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한 범위 안에서의 스윙운동으로 상기 로딩부로부터 하나씩 제공된 볼을 상기 매트부의 경사면에 제공하는 피딩(feeding)부재; 및
    상기 티 부재에 설치되고 이 티 부재가 상기 매트부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 상에 놓인 볼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업 구동부는,
    일정 회전각 범위 내에서 정·역회전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티 부재의 승강 운동으로 전환하는 전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 형 볼 공급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감지 명령에 따라 티-업 구동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형 볼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그 위에 로딩된 볼을 상기 피딩부재로 하나씩 공급할 수 있는 피치(Pitch)로 간헐적인 스텝운동을 하는 컨베이어 벨트 타입 이송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구동드럼;
    상기 구동드럼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종동드럼; 및
    상기 구동드럼과 종동드럼을 연결하는 벨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체 표면에는, 상기 벨트체 일측에서 타측으로 볼을 낱개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는,
    그 한 쪽 끝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스윙운동을 하는 가동 아암;
    상기 가동 아암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후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로딩부에서 낱개로 제공된 볼이 놓여지는 안착면을 갖는 피딩 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아암의 안착면은, 이 안착면 위에 놓여 지는 볼의 반경에 상응하는 곡률반경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10.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로딩부의 간헐적 스텝운동을 제어하는 제 1 센서; 및
    피딩부재의 스윙운동에 관여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볼이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로딩부 끝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로딩부로부터 제공된 볼이 피딩부재에 놓여 졌을 경우, 상기 피딩부재에 높여진 볼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의 피딩부재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1020100090630A 2010-09-15 2010-09-15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10124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30A KR101248830B1 (ko) 2010-09-15 2010-09-15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CN2011800434467A CN103096984A (zh) 2010-09-15 2011-09-07 一种低地面间隙式供球装置
PCT/KR2011/006597 WO2012036405A2 (ko) 2010-09-15 2011-09-07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US13/822,393 US8840482B2 (en) 2010-09-15 2011-09-07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JP2011201164A JP5358638B2 (ja) 2010-09-15 2011-09-14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30A KR101248830B1 (ko) 2010-09-15 2010-09-15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45A KR20120028645A (ko) 2012-03-23
KR101248830B1 true KR101248830B1 (ko) 2013-03-29

Family

ID=4583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30A KR101248830B1 (ko) 2010-09-15 2010-09-15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40482B2 (ko)
JP (1) JP5358638B2 (ko)
KR (1) KR101248830B1 (ko)
CN (1) CN103096984A (ko)
WO (1) WO20120364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69B1 (ko) * 2014-08-14 2016-08-22 송은실 다기능 골프퍼팅연습장치
KR101581929B1 (ko) * 2015-02-25 2016-01-11 김무성 자동화 티 배팅 장치
KR101774372B1 (ko) 2016-01-27 2017-09-19 (주)클라우드게이트 볼 수집 장치
KR101877545B1 (ko) * 2017-06-16 2018-07-11 (주)클라우드게이트 볼 수집 장치
US11253751B2 (en) * 2018-07-09 2022-02-22 Ian L Osborn Apparatus for charging luminescent golf balls and automatically disbursing
CN111714857A (zh) * 2019-03-18 2020-09-29 (株)阿尔迪泰 供球装置
KR101992681B1 (ko) * 2019-03-28 2019-06-25 김한섭 퍼팅 연습장치
CN109925687B (zh) * 2019-04-30 2024-04-26 四川吉嘉研创科技有限公司 左右手用户快速切换的快插式发球盒
KR102081632B1 (ko) * 2019-10-01 2020-02-26 (주)조은정밀 구조가 간단한 볼 공급 일체형 오토 티업기
KR102256433B1 (ko) * 2020-08-28 2021-05-25 이승환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N112546582A (zh) * 2020-11-24 2021-03-26 胡富强 一种双摆动式运动的儿童专用足球的清洗装置
CZ2021250A3 (cs) * 2021-05-21 2022-10-12 Miloš Pavlů Zakladač golfových míčk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010U (ko) * 1998-10-14 1999-01-25 양인근 계란 자동공급장치
KR20000073635A (ko) * 1999-05-13 2000-12-05 최규봉 실내골프연습장용 지정타석 지하에 설치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296187Y1 (ko) 2002-02-26 2002-11-23 박흥표 골프 자동 연습 기계
KR100506155B1 (ko) * 2005-01-28 2005-08-05 (주) 알디텍 골프공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8968A (en) * 1939-05-23 1940-04-30 Jackson Young D Golf teeing device
GB1112341A (en) * 1965-03-11 1968-05-01 Chalwyn Ltd Apparatus for teeing golf balls
US3448985A (en) * 1966-10-21 1969-06-10 Howard A Scott Golf ball teeing apparatus
US4602789A (en) * 1983-05-06 1986-07-29 Chung Bong J Golf ball teeing apparatus
US4934697A (en) * 1989-10-27 1990-06-19 Shiau Ruey J Automatic golf practicing course
US4981299A (en) * 1989-12-01 1991-01-01 Petrillo Michael J Electro-mechanical teeing apparatus for golf balls
JPH0630641B2 (ja) * 1989-12-05 1994-04-27 吉久 山口 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JPH07328167A (ja) * 1994-06-10 1995-12-19 Ikemoto Shatai Kogyo Kk ゴルフボールセット装置
KR100202976B1 (ko) * 1994-07-09 1999-06-15 김광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US5733209A (en) * 1994-12-09 1998-03-31 Mcintyre, Iv; James O. Pneumatic ball launching apparatus
JP2937059B2 (ja) * 1995-02-08 1999-08-23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の供給装置及びゴルフ練習設備
US5603664A (en) * 1995-11-24 1997-02-18 Serge Provost Automatic golf ball teeing up apparatus
JP3091847B2 (ja) * 1997-08-19 2000-09-25 横山 佳雄 ゴルフ練習場設備
AUPQ900600A0 (en) * 2000-07-26 2000-08-17 Tee Up Pty Ltd Golf ball teeing device
KR100970755B1 (ko) * 2008-06-19 2010-07-16 조완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JP5177415B2 (ja) * 2008-10-17 2013-04-03 株式会社岩付電機製作所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KR100953356B1 (ko) 2009-08-07 2010-04-20 (주) 골프존 티 업 장치, 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58294B1 (ko) * 2009-08-28 2010-05-19 박종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N201524394U (zh) * 2009-11-11 2010-07-14 昆明鼎承机械有限公司 间歇式高尔夫球自动供球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010U (ko) * 1998-10-14 1999-01-25 양인근 계란 자동공급장치
KR20000073635A (ko) * 1999-05-13 2000-12-05 최규봉 실내골프연습장용 지정타석 지하에 설치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296187Y1 (ko) 2002-02-26 2002-11-23 박흥표 골프 자동 연습 기계
KR100506155B1 (ko) * 2005-01-28 2005-08-05 (주) 알디텍 골프공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45A (ko) 2012-03-23
US8840482B2 (en) 2014-09-23
JP2012061314A (ja) 2012-03-29
WO2012036405A2 (ko) 2012-03-22
US20130172092A1 (en) 2013-07-04
WO2012036405A3 (ko) 2012-05-18
CN103096984A (zh) 2013-05-08
JP5358638B2 (ja)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1505931B1 (ko)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CN102015042B (zh) 羽毛球发射设备
US20200298087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JP2018187383A (ja)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JP2019507002A (ja) バドミントン演習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04542B1 (ko)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265516B1 (ko) 골프공 오토티업장치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US20120325193A1 (en) Ball throwing machine
KR101882760B1 (ko) 피칭머신의 볼 투척장치
WO2022156381A1 (zh) 陪练机器人、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20150127531A (ko)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서비스 방법
KR101129648B1 (ko) 골프공 오토 디스펜서
JP5177415B2 (ja)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KR20200034219A (ko) 스크린 배드민턴 제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20240131413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669272B1 (ko) 볼 리턴장치가 형성된 구슬 게임기
KR200484614Y1 (ko) 투척구 제공장치
KR101262787B1 (ko) 볼 공급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공급구동장치
KR101774372B1 (ko) 볼 수집 장치
TWI740720B (zh) 具影像辨識之智慧型桌球發球機
KR20130000505U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N117839189A (zh) 一种发球机及发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