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251B1 -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251B1
KR101434251B1 KR1020140063984A KR20140063984A KR101434251B1 KR 101434251 B1 KR101434251 B1 KR 101434251B1 KR 1020140063984 A KR1020140063984 A KR 1020140063984A KR 20140063984 A KR20140063984 A KR 20140063984A KR 101434251 B1 KR101434251 B1 KR 10143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launching
tub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4006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251B1/ko
Priority to CN201480079096.3A priority patent/CN106457032A/zh
Priority to PCT/KR2014/008310 priority patent/WO2015182828A1/ko
Priority to US15/312,964 priority patent/US201701363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8Juggling or spinning ball games played as games of ski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5Supports, e.g. poles on rollers or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Adornment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바닥면이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셔틀콕저장호퍼; 하나의 셔틀곡을 일시 수용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발사관을 포함하는 발사관부; 상기 발사관에 수용된 셔틀콕을 타격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 상기 발사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정렬된 상기 발사관에 셔틀콕을 공급하는 셔틀콕공급부;및 상기 배출홀과 상기 셔틀콕공급부를 연결하여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에 저장된 셔틀콕을 상기 셔틀콕공급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여, 일률적으로 셔틀콕을 연습자에게 일정하게 연속으로 드로우시켜 주거나, 혹은 셔틀콕이 드로우되는 속도를 차별화하거나, 드로우되는 셔틀콕에 방향을 각기 달리 주면서 셔틀콕을 자동으로 드로잉함으로써, 특히 셔틀콕을 받아치는 다양한 동작의 자세 교정, 스텝 타구 등과 같이 특정 동작부분에 대한 감각이 미숙한 부분의 연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SHUTTLECOCK AUTOMATIC COLLECTING AND CARRYING APPARATUS FOR BADMINTON EXERCISING}
본 발명은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혼자서도 배드민턴을 연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배드민턴의 셔틀콕을 격발할 수 있고, 배드민턴 연습자들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자세, 스텝, 타점, 타이밍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연습할 수 있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라켓과 셔틀콕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서로 셔틀콕을 쳐서 주고 받으며, 셔틀콕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배드민턴 경기 방식은 테니스와 같이 코트 중앙에 설치된 네트를 사이에 두고, 라켓으로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의 코드 바닥에 셔틀콕이 떨어지도록 하여 득점을 얻는 것으로, 1대1로 행하는 남녀 단식과 2대2로 행하는 남녀 복식 및 혼합 복식이 있으며, 아마추어의 경우 나이와 실력에 따라 등급을 나눠서 경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운동 경기이다.
그러나, 배드민턴의 기술을 배워나가기 위해 초보자들은 상급자가 일일이 라켓을 이용하여 수개의 셔틀콕을 하나씩 넘겨주고, 초보자는 이를 받아치는 방식으로 연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다양한 형태의 연습은 가능하나 무분별하게 넘어오는 셔틀콕을 쳐서 넘기는 훈련과정은 실질적으로 상급자 및 초보자에게도 큰 도움이 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코치나 교재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면서 배드민턴의 각종 기술을 연습하게 되는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연습 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라켓을 들고 스윙,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배드민턴의 경우 초보자의 실력과 중급자 또는 상급자의 실력이 워낙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으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중급자 또는 상급자와 함께 게임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될 때까지 혼자서 연습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배드민턴에 대한 흥미가 떨어져 쉽게 포기하데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38307호 (2011년 04월 14일 공개)
본 발명은 일률적으로 셔틀콕을 연습자에게 일정하게 연속으로 드로우시켜 주거나, 혹은 셔틀콕이 드로우되는 속도를 차별화하거나, 드로우되는 셔틀콕에 방향을 각기 달리 주면서 셔틀콕을 자동으로 드로잉함으로써, 특히 셔틀콕을 받아치는 다양한 동작의 자세 교정, 스텝 타구 등과 같이 특정 동작부분의 연습 등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셔틀콕을 연속적으로 다량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격발부를 통해 에러없이 셔틀콕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져 셔틀콕의 드로잉 타이밍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대한의 배드민턴 연습효과를 낼 수 있는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혼자서도 배드민턴을 연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배드민턴의 셔틀콕을 격발할 수 있고, 배드민턴 연습자들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자세, 스텝, 타점, 타이밍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원활하게 연습할 수 있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면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바닥면이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셔틀콕저장호퍼와, 하나의 셔틀콕을 일시 수용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발사관을 포함하는 발사관부와, 상기 발사관에 수용된 셔틀콕을 타격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와, 상기 발사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정렬된 상기 발사관에 셔틀콕을 공급하는 셔틀콕공급부 및 상기 배출홀과 상기 셔틀콕공급부를 연결하여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에 저장된 셔틀콕을 상기 셔틀콕공급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모터가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에 결합되고,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모터의 동력으로 외부 셔틀콕을 흡입하는 수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셔틀콕저장호퍼는 상기 배출홀에 인접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셔틀콕을 상기 배출홀로 인입시키는 배출유도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셔틀콕저장호퍼는 상기 배출홀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바닥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관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발사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발사관과 연결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와 동일축상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발사관모터와 상기 발사관모터에 결합하여 상기 발사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발사관에 정렬되는 제1 발사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셔틀콕공급부에 공급되는 셔틀콕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부는 셔틀콕을 물리적으로 타격하는 제1 실린더건부와, 셔틀콕을 공압으로 타격하는 에어건부와, 상기 제1 실린더건부와 상기 에어건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실린더선부 및 상기 에어건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발사대와 정렬된 상기 발사관의 후방에 정렬되도록 회전하는 발사건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발사대는, 상기 제1 실린더건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발사대 안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주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셔틀콕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셔틀콕을 적층 수용하는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선단에 구비되어 셔틀콕의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를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팁부와, 상기 본체관에 설치되어 적층되어 수용된 셔틀콕을 하나씩 전방으로 밀어내는 자기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배출홀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공간을 형성되도록 상호 떨어져 나란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셔틀콕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끝단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셔틀콕의 헤드를 밀어내는 제1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수단과, 상기 레일의 끝단에 인접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수단에서 이송된 셔틀콕의 헤드부와 마찰접촉하여 셔틀콕을 운반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제2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벨트에서 운반된 셔틀콕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운반수단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운반수단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셔틀콕공급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간격마다 자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사관부 및 상기 발사부는 스테이지의 하면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셔틀콕공급부와 결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는 제2 실린더건부가 배치되고,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기 제2 실린더건부의 전방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발사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결합하는 본체블록과, 상기 본체블록에 결합된 제1 피니언구동부와,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되며 좌우로 배열되어 상기 제1 피니언구동부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제1 랙바를 포함하는 좌우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된 제2 피니언구동부와, 좌우로 배열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에 결합하는 회전관와, 상기 회전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구동부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제2 랙바를 포함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단에 바퀴가 결합되는 내부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가변몸체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리프팅모터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시계방향으로 감겨 상기 풀리를 거쳐 어느 하나의 상기 가변몸체의 내부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시계 반대방향으로 감겨 상기 풀리를 거쳐 다른 하나의 상기 가변몸체의 내부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리프팅유도부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는 일률적으로 셔틀콕을 연습자에게 일정하게 연속으로 드로우시켜 주거나, 혹은 셔틀콕이 드로우되는 속도를 차별화하거나, 드로우되는 셔틀콕에 방향을 각기 달리 주면서 셔틀콕을 자동으로 드로잉함으로써, 특히 셔틀콕을 받아치는 다양한 동작의 자세 교정, 스텝 타구 등과 같이 특정 동작부분에 대한 감각이 미숙한 부분의 연습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는 셔틀콕을 다량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격발부를 통해 에러없이 셔틀콕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져 셔틀콕의 드로잉 타이밍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최대한의 배드민턴 연습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는 사용자가 혼자서도 배드민턴을 연습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배드민턴의 셔틀콕을 격발할 수 있고, 배드민턴 연습자들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드로우되어 날아오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자세, 스텝, 타점, 타이밍 등의 감각을 혼자서도 용이하게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셔틀콕저장호퍼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셔틀콕저장호퍼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사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발사관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발사관의 고정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발사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발사건선택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셔틀콕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슬라이드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운반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이송관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셔틀콕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스테이지와 발사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셔틀콕공급부에 정렬된 제2 발사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2 실린더건부에 정렬된 제2 발사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와 풀리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가변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길이가 확장된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는 셔틀콕저장호퍼(100)와, 발사관부(200)와, 발사부(300)와, 셔틀콕공급부(400)와, 이송부(500)와 스테이지(600)와, 발사위치조절부(700)와, 승강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셔틀콕저장호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셔틀콕저장호퍼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셔틀콕저장호퍼(100)는 셔틀콕을 저장하고 저장된 셔틀콕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셔틀콕저장호퍼(100)는 바닥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의 최하단에는 장방형의 배출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셔틀콕저장호퍼(100)에 저장된 셔틀콕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홀(110)을 형성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배출홀(110)에 인접하여 셔틀콕이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함으로써, 셔틀콕을 인입하는 배출유도롤러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유도롤러부(120)는 셔틀콕을 용이하게 끌어 당기기 위해서 섬유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도롤러부(120)는 모터(1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배출홀(110)에는 덮개(140)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140)는 배출홀(110)에 인접하여 셔틀콕저장호퍼(100)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배출홀(110)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셔틀콕을 수거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150)가 셔틀콕저장호퍼(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셔틀콕저장호퍼(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거관(160)이 셔틀콕저장호퍼(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셔틀콕저장호퍼(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흡입펌프(150)가 작동하면 흡입력이 발생된 흡입력으로 수거관(160)을 통해 외부 셔틀콕들을 흡입하여 셔틀콕저장호퍼(100)에 저장할 수 있다. 수거관(160)의 흡입구는 셔틀콕의 날개부분 직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셔틀콕의 날개 훼손을 최소화 한다. 수거관(160)으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펌프(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흡입펌프(150)가 작동하면 덮개(140)는 흡입력에 의해 회동하여 배출홀(110)을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입펌프(150)가 작동을 멈추면 덮개(140)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배출홀(110)을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배출홀(110) 주변에 진동모터가 구비되어 셔틀콕저장호퍼(100)의 바닥에 진동을 부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저장된 셔틀콕이 배출홀(110)을 빠져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발사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발사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관부(200)는 셔틀콕을 일시 수용하여 제1 발사대(240)와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사관부(200)는 셔틀콕을 수용하는 4개의 발사관(210)이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발사관(210)은 십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4개의 발사관(210)의 중심에는 회전축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발사관(210)과 회전축부(220)는 4개의 암(arm)(2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부(220)는 발사관모터(23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발사관모터(230)가 작동하면 4개의 발사관(210)은 회전축부(2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발사관모터(230)와 제1 발사대(240)는 스테이지(도 2의 6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발사관모터(230)와 제1 발사대(240)는 4개의 발사관(210)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발사관의 고정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발사관(210)의 내주면에는 고정핀(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4개의 고정핀(250)은 발사관(210)의 내주면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250)은 발사관(210)으로 투입되는 셔틀콕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발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발사건선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발사부(400)는 발사관(210)에 수용된 셔틀콕을 타격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사부(300)는 제1 실린더건부(310)와 에어건부(320)와 발사건선택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건부(310)는 정렬된 전방의 발사관(210)에 수용된 셔틀콕을 물리적으로 타격하여 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실린더건부(310)는 정렬될 발사관(210)의 공간을 두고 제1 발사대(2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건부(320)는 정렬된 전방의 발사관(210)에 수용된 셔틀콕을 공압으로 타격하여 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어건부(320)는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호스(321)와 연결되고 호스(321)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322)와 연결될 수 있다. 컴프레서(322)는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발사건선택부(330)는 제1 실린더건부(310) 및 에어건부(320) 중 어느 하나를 제1 발사대(240)와 정렬시켜 셔틀콕의 타격 수단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사건선택부(330)는 스테이지(600)에 결합되는 축블록(331)과 축블록(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플레이트(332)와 축블록(331)의 원통형 축에 결합된 랙기어(333)와 모터(335)와 피니언기어(33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32)에는 제1 실린더건부(310)와 에어건부(32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실린더건부(310)와 에어건부(320)는 회전플레이트(33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할 때 동일한 회전궤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플레이트(332)에는 모터(335)가 결합되며 모터(335)의 회전축에는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34)가 결합된다. 피니언기어(334)는 랙기어(333)와 치합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모터(335)가 작동하면, 회전플레이트(332)가 회전하면서 제1 발사대(240)에 정렬되는 타격수단을 제1 실린더건부(310)와 에어건부(320)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1 발사대(240)에는 에어건부(320)의 컴프레서(322)와 연결되어 제1 발사대(240) 안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주사부(도 5의 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주사부(도 5의 241)는 제1 발사대(240) 안에서 지속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셔틀콕의 발사를 보조하여 지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셔틀콕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셔틀콕공급부(400)는 셔틀콕을 하나씩 발사관(2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셔틀콕공급부(400)는 본체관(410)과, 팁부(420)와, 자기발생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관(410)은 이송부(500)와 연결되어 셔틀콕을 공급받고 공급된 셔틀콕이 적층 수용한다.
팁부(420)는 본체관(410)의 선단에 구비되며 셔틀콕의 공급구가 형성된다. 이때, 공급구를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셔틀콕이 적층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최선단에 적층된 셔틀콕의 헤드와 몸체 일부가 팁부(42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발생장치(430)는 본체관(410)에 결합되어 본체관(410)에 적층 수용된 셔틀콕을 하나씩 클램핑하여 전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자기발생장치(4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자기에 의해 자기발생장치(430)의 양측에 형성된 클램퍼(431)가 모아지면서 셔틀콕을 고정한 채 전방으로 이동하여 셔틀콕을 하나씩 전방으로 밀어 내게 된다.
이러한 셔틀콕공급부(400)는 자기발생장치(430)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연동하여 전진 또는 후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발사관(210)이 셔틀콕공급부(400)의 전방에 정렬된 상태에서 자기발생장치(430)가 작동하면서 셔틀콕공급부(400) 전진 이동하여 팁부(420)가 발사관(210)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진입된 상태에서 셔틀콕을 발사관(210) 내부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셔틀콕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셔틀콕은 발사관(210) 내부의 4개의 고정핀(250)에 가압되어 고정된다.
한편, 셔틀콕공급부(400)는 레일(6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611)은 스테이지600의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레일(611)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612)이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블록(612)에 셔틀콕공급부(400)가 걸쳐진다.
도 12는 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송부(500)는 셔틀콕저장호퍼(100)에 저장된 셔틀콕을 셔틀콕공급부(400)에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부(500)는 슬라이드수단(510)과, 운반수단(520)과, 이송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슬라이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수단(510)은 셔틀콕저장호퍼(100)에서 배출된 셔틀콕이 자중에 의해 운반수단(520)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수단(510)은 3개의 레일(511)과, 제1 컨베이어부(512)와, 진동모터(513)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레일(511)은 배출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공간을 형성되도록 상호 떨어져 나란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격공간은 배출홀(110)에서 배출된 셔틀콕이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격공간이 복열로 형성되고, 레일(511)에 걸쳐진 셔틀콕들은 복열로 레일(51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 컨베이어부(512)는 레일(511)의 끝단의 양측에 배치되어 셔틀콕의 헤드를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제1 컨베이어부(512)에 의해 헤드가 밀려 운반수단(520)으로 떨어진 셔틀콕들은 헤드가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발사되기 용이한 형채로 운반된다.
제1 컨베이어부(512)는 받침플레이트(513)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받침플레이트(513)에는 진동모터(514)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모터(514)는 레일(511)에 진동을 부여하여 레일(511)에 걸쳐진 셔틀콕들이 자중에 의해 레일(511)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도 14는 운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운반수단(520)은 슬라이드수단(510)에서 공급된 셔틀콕을 동력을 사용하여 이송관(53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운반수단(520)은 제2 컨베이어부(521)와 안내롤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부(521)는 레일(511)의 끝단에 인접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슬라이드수단(510)에서 이송된 셔틀콕의 헤드부와 마찰 접촉하여 셔틀콕을 운반하는 이송벨트(521a)와 이송벨트(521a)를 움직이는 이송모터(521b)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롤러(522)는 제2 컨베이어부(521)의 끝단에 형성되어 이송벨트(521a)에서 운반된 셔틀콕이 이송관(530)에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내롤러(522)는 롤러모터(523)에 의해 회전된다.
도 15는 이송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이송관으로 유입되는 셔틀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송관(530)은 운반수단(520)에서 운반된 셔틀콕을 셔틀콕공급부(4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송관(530)은 일측 단부는 운반수단(520)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타측 단부는 셔틀콕공급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관(530)은 소정의 간격마다 자기발생장치(531)가 설치되어 이송관(530) 내부의 셔틀콕을 셔틀콕공급부(4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7은 스테이지와 발사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스테이지(600)의 하면에는 발사관부(200) 및 발사부(300)가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발사위치조절부(700)는 하면에는 발사관부(200) 및 발사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셔틀콕의 발사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사위치조절부(700)는 본체블록(710)과, 좌우구동부(720)와, 틸팅구동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블록(710)은 하우징(도 1의 10)에 결합한다.
좌우구동부(720)는 셔틀콕의 발사위치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좌우구동부(720)는 본체블록(710)에 결합된 제1 피니언구동부(721)와, 좌우로 배열되어 스테이지(600)에 결합되며 제1 피니언구동부(721)의 피니언(721a)과 치합하는 제1 랙바(7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니언구동부(721)가 작동하면, 스테이지(600)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셔틀콕의 발사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틸팅구동부(730)는 셔틀콕의 발사위치를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틸팅구동부(730)는 하우징(도 1의 10)에 결합하된 제2 피니언구동부(731)와, 좌우로 배열되도록 본체블록(710)에 결합하는 회전관(732)와, 회전관(73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되어 제2 피니언구동부(731)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제2 랙바(7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니언구동부(731)가 작동하면 회전관(732)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관(732)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블록(710)이 결합된 스테이지(600)가 위아래로 기울어져 셔틀콕의 발사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도 18은 셔틀콕공급부에 정렬된 제2 발사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제2 실린더건부에 정렬된 제2 발사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600)의 하부에는 제2 실린더건부(340)가 배치되고, 제2 실린더건부(340)의 전방에는 제2 발사대(3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사대(350)는 레일(611)에 결합하여 레일(6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린더건부(340)는 지근 거리에 있는 목표 지점에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발사대(350)는 셔틀콕공급부(400)와 정렬되어 셔틀콕공급부(400)로부터 셔틀콕을 공급받아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 실린더건부(340)와 정렬될 수 있다.
도 20은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와 풀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가변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길이가 확장된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승강부(800)는 하우징(도 1의 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승강부(800)는 도 1 및 도 20 내지 도 2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몸체(810)와, 리프팅유도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몸체(810)는 하우징(10)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는 외부관(811)와 외부관(81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단에 바퀴(812a)가 결합되는 내부관(812)을 포함하는 이중관 형태로 구성되어 길이가 확장 가능하다.
리프팅유도부(820)는 하우징(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모터(821)와, 하우징(10)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리프팅모터(82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풀리(822)와, 제1 와이어(823)와 제2 와이어(8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823)는 리프팅모터(821)의 회전축에 시계방향으로 감겨 풀리(822)를 거쳐 어느 하나의 가변몸체(810)의 내부관(812)의 상단(81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824)는 리프팅모터(821)의 회전축에 반 시계방향으로 감겨 풀리(822)를 거쳐 다른 하나의 가변몸체(810)의 내부관(812)의 상단(812a)에 연결될 수 있다. 풀리(822)는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제1 와이어(823) 및 제2 와이어(824)가 얽히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리프팅모터(821)가 작동하면,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823) 또는 제2 와이어(824)가 당겨지면서 내부관(812)가 당겨져 가변몸체(810)의 길이가 확장됨으로써, 하우징(10)이 부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의 운전 및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들이 구비된 컨트롤 패널이 하우징(10)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 패널은 유무선 리모트 컨트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일정 거리의 이격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의 조작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셔틀콕저장호퍼
110: 배출홀
120: 배출유도롤러
130: 모터
140: 덮개
150: 흡입펌프
160: 수거관
200: 발사관부
210: 발사관
220: 회전축부
230: 암
240: 제1 발사대
250: 고정핀
300: 발사부
310: 제1 실린더건부
320: 에어건부
330: 발사선택부
340: 제2 실린더건부
350: 제2 발사대
400: 셔틀콕공급부
410: 본체관
420: 팁부
430: 자기발생장치
500: 이송부
510: 슬라이드수단
520: 운반수단
530: 이송관
600: 스테이지
700: 발사위치조절부
710: 본체블록
720: 좌우구동부
730: 틸팅구동부
800: 승강부
810: 가변몸체
820: 리프팅유도부

Claims (16)

  1. 하면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바닥면이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셔틀콕저장호퍼;
    하나의 셔틀곡을 일시 수용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발사관을 포함하는 발사관부;
    상기 발사관에 수용된 셔틀콕을 타격하여 전방으로 발사시키는 발사부;
    상기 발사관의 후방에 배치되어 정렬된 상기 발사관에 셔틀콕을 공급하는 셔틀콕공급부;및
    상기 배출홀과 상기 셔틀콕공급부를 연결하여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에 저장된 셔틀콕을 상기 셔틀콕공급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내부와 연통하는 흡입모터가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에 결합되고,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모터의 동력으로 외부 셔틀콕을 흡입하는 수거관을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저장호퍼는 상기 배출홀에 인접 배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셔틀콕을 상기 배출홀로 인입시키는 배출유도롤러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저장호퍼는 상기 배출홀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바닥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저장호퍼의 하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배출홀을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발사관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기 발사관과 연결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와 동일축상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발사관모터와 상기 발사관모터에 결합하여 상기 발사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발사관에 정렬되는 제1 발사대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셔틀콕공급부에 공급되는 셔틀콕을 고정하는 고정핀이 형성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부는 셔틀콕을 물리적으로 타격하는 제1 실린더건부와, 셔틀콕을 공압으로 타격하는 에어건부와, 상기 제1 실린더건부와 상기 에어건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실린더선부 및 상기 에어건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발사대와 정렬된 상기 발사관의 후방에 정렬되도록 회전하는 발사건선택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사대는, 상기 제1 실린더건부의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발사대 안에서 전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주사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셔틀콕을 적층 수용하는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의 선단에 구비되어 셔틀콕의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를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팁부와, 상기 본체관에 설치되어 적층되어 수용된 셔틀콕을 하나씩 전방으로 밀어내는 자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배출홀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호 이격공간을 형성되도록 상호 떨어져 나란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된 셔틀콕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둘의 레일과, 상기 레일의 끝단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셔틀콕의 헤드를 밀어내는 제1 컨베이어부와, 상기 컨베이어부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수단;
    상기 레일의 끝단에 인접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수단에서 이송된 셔틀콕의 헤드부와 마찰접촉하여 셔틀콕을 운반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제2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벨트에서 운반된 셔틀콕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운반수단;및
    일측 단부는 상기 운반수단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셔틀콕공급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간격마다 자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이송관
    을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부 및 상기 발사부는 스테이지의 하면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결합하고 동시에 상기 셔틀콕공급부와 결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하부에는 제2 실린더건부가 배치되고,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기 제2 실린더건부의 전방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발사대를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결합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에 결합된 제1 피니언구동부와, 상기 스테이지에 결합되며 좌우로 배열되어 상기 제1 피니언구동부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제1 랙바를 포함하는 좌우구동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된 제2 피니언구동부와, 좌우로 배열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에 결합하는 회전관와, 상기 회전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피니언구동부의 피니언과 치합하는 제2 랙바를 포함하는 틸팅구동부
    를 포함하는 발사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는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단에 바퀴가 결합되는 내부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둘의 가변몸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리프팅모터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시계방향으로 감겨 상기 풀리를 거쳐 어느 하나의 상기 가변몸체의 내부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시계 반대방향으로 감겨 상기 풀리를 거쳐 다른 하나의 상기 가변몸체의 내부관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리프팅유도부
    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20140063984A 2014-05-27 2014-05-27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143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984A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5-27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CN201480079096.3A CN106457032A (zh) 2014-05-27 2014-09-04 羽毛球自动回收及供应装置
PCT/KR2014/008310 WO2015182828A1 (ko) 2014-05-27 2014-09-04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US15/312,964 US20170136337A1 (en) 2014-05-27 2014-09-04 Shuttlecock automatic collecting and suppl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984A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5-27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251B1 true KR101434251B1 (ko) 2014-08-27

Family

ID=5175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984A KR101434251B1 (ko) 2014-05-27 2014-05-27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36337A1 (ko)
KR (1) KR101434251B1 (ko)
CN (1) CN106457032A (ko)
WO (1) WO201518282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CN107050780A (zh) * 2017-03-20 2017-08-18 西南大学 羽毛球自动整理收集装置
WO2018203638A1 (ko) * 2017-05-02 2018-11-08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200016616A (ko)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티엘인더스트리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231B1 (en) * 2017-05-03 2018-11-13 Allan Sklar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CN107413033B (zh) * 2017-07-25 2023-05-12 昆明理工大学 一种羽毛球发球机
CN107596665B (zh) * 2017-09-21 2023-10-27 西南大学 一种带有整理功能的羽毛球发球机
CN107638677B (zh) * 2017-11-02 2022-10-04 浙江深酷机器人有限公司 一种羽毛球接发球机
CN107952221B (zh) * 2017-11-03 2022-10-04 浙江深酷机器人有限公司 一种羽毛球捡发机
CN108114433B (zh) * 2018-01-18 2023-10-20 深圳市普尚智能体育有限公司 一种羽毛球发球机
CN108579043A (zh) * 2018-06-26 2018-09-28 安徽太阳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羽毛球双线扣紧定位装置
CZ308242B6 (cs) * 2018-10-09 2020-03-18 Jan VorlĂ­k Nahrávací stroj s podávacím mechanismem badmintonových míčků
CN110102028B (zh) * 2019-05-15 2020-11-10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羽毛球自动回收及供应装置
ES2832600B2 (es) * 2019-12-10 2021-10-21 Cardama Diego Roel Sistema y método para lanzar una pelota sobre un terreno de un campo de juego
CN112973066A (zh) * 2021-02-21 2021-06-18 深圳市普尚体育有限公司 一种羽毛球发球机
CN114653045B (zh) * 2022-04-29 2023-02-10 齐鲁师范学院 一种羽毛球无序发球练习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694A (ja) * 1993-12-10 1995-06-27 World Denshi Sangyo Kk バトミントン練習機
JP2008212440A (ja)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100943462B1 (ko)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09680B1 (ko) 2009-08-18 2012-01-31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70947Y (zh) * 2009-02-17 2009-12-30 陈盛 一种羽毛球陪练机
KR101151005B1 (ko) * 2010-06-24 2012-06-1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20006167A (ko) * 2010-07-12 2012-01-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73544B1 (ko) * 2011-01-03 2013-06-17 오석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58679B1 (ko) * 2011-05-12 2013-04-26 임화용 셔틀콕 연습기의 타격장치
CN202920941U (zh) * 2012-12-05 2013-05-08 吉林大学 智能羽毛球发射机
CN203342321U (zh) * 2013-06-25 2013-12-18 安徽省科普产品工程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全自动羽毛球发射器
CN203556121U (zh) * 2013-09-27 2014-04-23 安徽工程大学 一种具备羽毛球整理功能的羽毛球发球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694A (ja) * 1993-12-10 1995-06-27 World Denshi Sangyo Kk バトミントン練習機
JP2008212440A (ja)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KR101109680B1 (ko) 2009-08-18 2012-01-31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0943462B1 (ko)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CN107050780A (zh) * 2017-03-20 2017-08-18 西南大学 羽毛球自动整理收集装置
WO2018203638A1 (ko) * 2017-05-02 2018-11-08 김창식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KR20200016616A (ko)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티엘인더스트리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032A (zh) 2017-02-22
WO2015182828A1 (ko) 2015-12-03
US20170136337A1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7553244B2 (en) Ball receiving and launching machine
KR10176013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US20060236993A1 (en) Programmable ball throwing apparatus
KR101894950B1 (ko) 스크린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069272B1 (ko) 탁구 연습장치
US20070072704A1 (en) Batting trainer for inexperienced players
KR101783835B1 (ko) 배드민턴 시뮬레이션 장치
JP2013099517A (ja) 野球用機械式ティー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20127891A (ko) 슈팅 놀이기구
KR101273544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4955606A (en) Ball pitching device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508523B1 (ko) 자동궤적설정을 위한 피칭 머신
US5232218A (en) Pitching device initiator mechanism
CN112642126B (zh) 一种具有发球和接球功能的设备
KR20150069653A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분사기
CN110730682B (zh) 用于排出和收集球的系统及相关操作方法
KR20180000253A (ko) 피칭 머신
CN111068279B (zh) 排球扣球机
KR101129648B1 (ko) 골프공 오토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