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52B1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52B1
KR101731052B1 KR1020160025908A KR20160025908A KR101731052B1 KR 101731052 B1 KR101731052 B1 KR 101731052B1 KR 1020160025908 A KR1020160025908 A KR 1020160025908A KR 20160025908 A KR20160025908 A KR 20160025908A KR 101731052 B1 KR101731052 B1 KR 10173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coupled
measuring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102016002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52B1/ko
Priority to JP2018566175A priority patent/JP2019507002A/ja
Priority to CN201680082856.5A priority patent/CN108697925A/zh
Priority to PCT/KR2016/015354 priority patent/WO201715079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셔틀콕의 손상 없이 전방으로 날릴 수 있으며, 사용 중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BADMINT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셔틀콕의 손상 없이 전방으로 날릴 수 있으며, 사용 중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바닥에 떨어지면 득점을 하는 운동으로 단식, 복식으로 이루어진 스포츠이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최소 두 명 이상이 코트에서 경기가 이루어지며 코치, 연습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스윙,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급, 중급, 고급자의 실력에 따라 원활한 경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실력에 의해 흥미유발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604호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에 제시된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라켓을 통해 쳐내는 반복된 스윙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셔틀콕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공급되어 배드민턴 코트의 다양한 위치에서 스윙연습을 할 수 없으며, 라켓에 의해 셔틀콕을 쳐내는 스윙동작으로 이루어져 고정된 라켓이 손상되거나 고정위치가 변경되면, 정확한 코스로 셔틀콕이 날아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배드민턴 코트로 날려 보내며, 상하, 좌우 이동하여 배드민턴 코트의 전 지역에 다양한 위치로 셔틀콕을 날려 혼자서도 타구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의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셔틀콕이 손상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셔틀콕을 날리는 도중에 과정에서 신속하게 방향을 변경하여 셔틀콕을 셔틀콕이 날릴 수 있어 배드민턴 코트 전 지역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날려 민첩성 및 스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셔틀콕을 발사하여 배드민턴 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과 상기 공급수단 및 상기 발사수단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 상기 셔틀콕 발사부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를 이동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제 1지지판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셔틀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모터와, 상기 감지수단에 상기 셔틀콕이 감지하면 제 2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을 집어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로 구성되는 인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사수단은, 상기 공급수단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레크기어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제 1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과, 상기 레크기어에 맞물리며, 제 3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을 승하강시키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정판과 상기 베이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측정판을 감지하여 상기 공급수단이 상승 및 하강 위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부재 및 제 2층정부재와 상기 안착판이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를 측정하는 제 3측정부재로 이루어진 제 2측정수단과, 상기 안착판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4모터가 결합된 롤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가 형성된 제 1회전축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제 1종동기어에 맞물리며, 제 1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와, 상기 제 1구동기어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동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회전축의 측면에는 상기 저장통의 배치간격에 맞춰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장홈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셔틀콕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제 1지지판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과, 상기 제 2지지판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제 2지지판의 상부에 결합하여 제 5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에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제 2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캠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측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제 2지지판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과, 상기 제 3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가 형성된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2종동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된 제 6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와, 상기 제 2회전축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과, 상기 제 2지지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틀콕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수단, 상기 베이스, 상기 레일, 상기 제 3모터, 상기 가이드판, 상기 제 2측정수단 및 상기 롤러부를 수용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따르면,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며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배드민턴 코트로 날려 보내며, 상하, 좌우 이동하여 배드민턴 코트의 전 지역에 다양한 위치로 셔틀콕을 날려 혼자서도 타구자세, 타이밍, 타점, 스텝 등의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되는 셔틀콕이 손상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감지하고 작동되는 구성을 측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며, 오작동이 발생하여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셔틀콕을 날리는 도중에 과정에서 신속하게 방향을 변경하여 셔틀콕을 셔틀콕이 날릴 수 있어 배드민턴 코트 전지역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날려 민첩성 및 스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에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인출시킨 후 한 쌍의 롤러부를 통해 전방으로 셔틀콕을 배드민턴 코스에 날릴 수 있으며,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배드민턴 코트 전방에 송구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600)을 전방의 배드민턴 코스에 송구할 수 있도록 저장부(100), 셔틀콕 발사부(200), 이동수단(300) 및 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100)는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0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장통(111)과, 상기 저장통(11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600)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113)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115)가 형성된 제 1회전축(114)으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상기 제 1종동기어(115)에 맞물려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모터(121)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제 1측정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동력부(1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판(112)은 상기 저장통(111)이 배치되는 위치에 통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통(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판(112)의 상기 통공(113)이 상기 저장통(11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셔틀콕(600)의 날개부분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120)는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 시 상기 제 1종동기어(115)가 회전하여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다음 상기 저장통(111)이 위치하도록 회전되는 기어비로 구성되며,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는 제 1측정수단(123)을 통해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측면에는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장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장홈(116)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통(111)이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수단(1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 1회전축(1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회전축과 밀착되는 끝단이 내부로 삽입될 되며, 상기 장홈(116)에 위치하면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조절수단(130)은 상기 제 1회전축(114)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여 상기 동력부(1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저장통(111)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600)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급수단(210)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상기 발사수단(22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지지대(211), 베이스(221) 및 인출부(21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11)는 상부에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셔틀콕(600)을 감지하는 제 2감지수단(21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판(213)은 상기 지지대(211)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는 정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14)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215)는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감지수단(212)에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면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 2모터(216)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을 잡아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2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사수단(220)은 상기 제 1지지대(211)의 상부에서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베이스(221), 레일(224), 피니언기어(226), 가이드판(227), 제 3측정수단(316), 롤러부(230) 및 커버(2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21)는 전면에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이 안착되는 안착판(222)과, 일측면에는 레크기어(223)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레일(224)은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26)는 상기 레크기어(223)와 맞물리며, 제 3모터(22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모터(225)는 상기 피니언기어(226)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판(227)은 상기 베이스(221)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28)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이 승하강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228)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상부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지고 상비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하고 전방으로 이동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돌기(214)와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은 상기 제 베이스(221)의 특정 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각 위치는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한 위치와,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면서 상기 공급수단(210)이 하강한 위치 및 상기 베이스(221)가 최전방으로 이동한 위치를 각각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부(230)는 상기 안착판(222)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231)와 상기 롤러(231)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4모터(2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롤러(231)는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회전하며, 상기 제 4모터(232)는 기어, 벨트 등의 구성 및 각각의 모터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구성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240)는 상기 셔틀콕(600)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21), 상기 레일(224), 상기 피니언기어(226), 상기 가이드판(227), 상기 제 3측정수단(316) 및 상기 롤러부(230)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와,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1지지판(2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311)과, 상기 제 2지지판(3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5모터(314)에 의해 회전하여 캠(313)과, 상기 캠(3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는 회동체(315)와,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측정수단(31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2)를 중심으로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판(250)이 승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을 통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각도를 판단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321)과, 상시 제 3지지판(3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323)가 형성된 제 2회전축(322)과,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맞물리며, 상기 제 6모터(3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325)와,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326)과,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321)에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327)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기어(325)에 의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회전하여 좌우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체(327)에 의해 상기 제 2지지판(311)이 상하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각도를 판단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상기 이동수단(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 및 상기 이동수단(300)을 제어하며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형성된 제어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지지부(400) 또는 이동수단(300) 중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2, 3, 4측정수단(123, 229, 316, 326), 감지수단(212) 및 상기 제 1, 2, 3, 4, 5, 6모터(121, 216, 225, 232, 314, 326)를 조작 및 제어하며, 설정된 정보에 따라 배드민턴 코스의 다양한 위치로 상기 셔틀콕(600)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500) 및 각 구성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작버튼 및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알림수단 및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3, 4측정수단(123, 229, 316, 326)은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 및 회전하는 각 구성에 결합되는 측정판(P)과, 상기 측정판(P)을 특정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S)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 구성은 측정판(P)이 상기 제 1종동기어(115), 상기 베이스(221), 상기 캠(313)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제 1종동기어(115), 상기 베이스(221), 상기 캠(313)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이동 및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및 3지지판(250, 311, 321)에 설치된다.
이러한 각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 1측정수단(123)의 측정판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시 상기 측정판(P)이 같이 회전하여 상기 측정부(S)에거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하면,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은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228)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판(250)에는 상기 베이스(221)의 길이방향에 따라 위치한다.
즉, 상기 제 2측정수단(229)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측정판(P)은 상기 베이스(221)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베이스(221)가 끝단으로 후진하여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공급수단(210)이 셔틀콕(600)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부재(S1)와,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여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하강한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받아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는 위치를 측정하는 제 2측정부재(S2)와,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롤러부(230)를 통해 전방으로 날아가는 위치를 측정하는 제 3측정부재(S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의 측정판(P)은 상기 캠(313)의 회전에 의해 최대각도와, 최저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캠(313)의 양측에 위치한 측정판(P)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캠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한다.
즉,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캠(313)의 중심에서 평행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판(P)의 회전시 각각 감지하여 최고각도와 최저각도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4측정수단(326)은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좌우 회전시 최대 회전 및 정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측정판(P)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가 정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부(S)는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정위치 및 양측 최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양측 및 가운데에 일정각도를 가지고 배치된다.
삭제
다음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통(111)에는 다수개의 상기 셔틀콕(600)을 보관ㅎ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상기 이동판(213)이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 1측정부재(S1)에 상기 베이스(221)가 측정되면 상기 제 3모터(225)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후, 상승된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기 감지수단(212)을 통해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면, 상기 제 2모터(216)를 통해 한 쌍의 상기 집게부(217)를 작동시켜 상기 셔틀콕(600)을 잡아 고정한다.
상기 집게부(217)가 상기 셔틀콕(600)을 잡으면 상기 제 3모터(225)에 의해 상기 베이스(22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홈(228)을 따라 상기 이동판(213)이 하강하게 되어 상기 셔틀콕(600)을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1)가 상기 제 2측정부재(S2)에 위치하면 상기 공급수단(210)이 하강이 완료되며, 상기 집게부(217)에 고정된 상기 셔틀콕(600)을 하부로 떨어트려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240)의 개방부(241)에 의해 정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셔틀콕(600)이 상기 안착판(222)에 안착되면, 상기 베이스(221)가 전진하여 상기 제 3측정부재(S3)에 측정되는 위치에서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롤러부(230)에 의해 전방으로 날아가며, 상기 제 3모터(225)의 작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3모터(225)가 역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는 후진하여 상기 제 1측정수단(123)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러한 작동순서에 따라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받아 전방으로 날려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셔틀콕(600)은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통해 일정한 시간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날아가며, 상기 셔틀콕(600)은 항시 고정 및 안착되어 상기 롤러부 까지 동일한 위치로 공급되어 충격 및 바람이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위치로 상기 셔틀콕을 날려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틀콕(600)을 하나씩 인출하여 공급하고 각각의 위치에서 고정 및 안착되어 오작동 및 상기 셔틀콕(600)이 중첩되어 발사되는 문제를 방지하며, 상기 셔틀콕(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저장통(111)에 보관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부 소진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베이스(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3측정수단(316)에 측정되면,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하여 상기 감지수단(212)을 통해 상기 셔틀콕(600)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212)에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1모터(121)를 작동하여 상기 저장부(10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가 1회전시 상기 제 1종동기어(115)가 일정 거리만큼 회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저장통(111)이 순차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통(111)은 회전하여 다음 위치에 있는 상기 저장통(111)이 상기 공급수단(210)의 상단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 1회전축(114)은 상기 조절수단(130)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미세하게 조절되며, 상기 제 1측정수단(123)을 통해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1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작동되어 상기 저장통(111)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이 다 소진하면 상기 셔틀콕(600)이 저장된 다음 상기 저장통(111)으로 회전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221)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12)에 의해 상기 셔틀콕(600)을 감지하여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하고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이 소진되면 다음 위치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600)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중 셔틀콕을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는 좌우 및 상하 이동하여 배드민턴 필드에 고르게 상기 셔틀콕(600)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상기 이동수단(300)이 작동한다.
여기서 상하이동부(310)와, 좌우이동부(320)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에서 후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312)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 1지지판(25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2)를 통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12)의 전방에는 상기 캠(313)이 상기 제 5모터(314)의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캠(313)의 상부에는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고정되어 상기 캠(313)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체(315)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캠(313)의 회전시 상기 회동체(315)가 이동하여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승 및 하강한다.
이때,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는 상기 제 3측정수단(316)을 통해 각도를 측정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셔틀콕(600)이 날아갈 수 있도록 조절한다.
아울러 상기 캠(313)은 제 5모터(314)의 회동에 따라 각도가 변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캠(313)의 회전을 통해 상하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3지지판(321)에 결합되어 상기 제 6모터(324)에 의해 회전하는 제 2구동기어(325)에 따라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회전하면서 상기 상하이동부(310) 및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좌우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기어(3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가 일정각도 회전하여 좌우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체(327)를 통해 상기 제 2지지판(311)이 상하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4측정수단(326)을 통해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측정하여 좌우 이동각도를 변경하여 배드민턴 코스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셔틀콕(600)을 날릴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 2종동기어(323)의 회전에 따라 좌우이동이 이루어지며, 제 4측정수단(326)을 통해 이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배드민턴 코스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셔틀콕을 날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310) 및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개별적으로 동시에 작동할 수 있어, 배드민턴 코스 내에 다양하게 상기 셔틀콕을 날려보낼 수 있으며, 신속하게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저장부 110: 본체 111: 저장통
112: 고정판 113: 통공
114: 제 1회전축 115: 제 1종동기어
116: 장홈
120: 동력부 121: 제 1모터
122: 제 1구동기어 123: 제 1측정수단
130: 조절수단
200: 셔틀콕 발사부 210: 공급수단 211: 지지대
212: 감지수단 213: 이동판
214: 가이드돌기 215: 인출부
216: 제 2모터 217: 집게부
220: 발사수단 221: 베이스
222: 안착판 223: 레크기어
224: 레일 225: 제 3모터
226: 피니언기어 227: 가이드판
228: 가이드홈 229: 제 2측정수단
230: 롤러부 231: 롤러
232: 제 4모터
240: 커버 241: 개방부
250: 제 1지지판
300: 이동수단 310: 상하이동부 311: 제 2지지판
312: 고정부 313: 캠
314: 제 5모터 315: 회동체
316 제 3측정수단
320: 좌우이동부 321: 제 3지지판
322: 제 2회전축 323: 제 2종동기어
324: 제 6모터 325: 제 2구동기어
326: 제 4측정수단 327: 지지체
400: 지지부
500: 제어부
600: 셔틀콕
P: 측정판
S1: 측정부 S1: 제 1측정부재 S2: 제 2측정부재
S3: 제 3측정부재

Claims (7)

  1. 셔틀콕을 발사하여 배드민턴 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셔틀콕(600)이 저장된 저장부(100);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셔틀콕(600)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600)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제 1지지판(250)으로 이루어진 셔틀콕 발사부(200);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20)와,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10)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0); 및
    상기 이동수단(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를 이동시키는 지지부(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수단(210)은,
    상기 제 1지지판(250)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셔틀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212)이 형성된 지지대(211)와,
    상기 지지대(211)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하부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214)가 형성된 이동판(213)과,
    상기 이동판(213)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모터(216)와, 상기 감지수단(212)에 상기 셔틀콕(600)이 감지하면 제 2모터(216)에 의해 회전하도록 기어 결합되어 상기 셔틀콕(600)을 집어 인출하는 한 쌍의 집게부(217)로 구성되는 인출부(215)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사수단(220)은,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인출된 상기 셔틀콕(600)이 안착되는 안착판(222)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레크기어(223)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베이스(221)와,
    상기 제 1지지판(25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2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224)과,
    상기 레크기어(223)에 맞물리며, 제 3모터(22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22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226)와,
    상기 베이스(221)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14)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22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공급수단(210)을 승하강시키는 가이드홈(228)이 형성된 가이드판(227)과,
    상기 베이스(221)에 결합되는 측정판(P)과 상기 베이스(2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측정판(P)을 감지하여 상기 공급수단(210)이 상승 및 하강 위치를 측정하는 제 1측정부재(S1) 및 제 2층정부재(S2)와 상기 안착판(222)이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를 측정하는 제 3측정부재(S3)로 이루어진 제 2측정수단(229)과,
    상기 안착판(222)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600)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한 쌍의 롤러(231)와, 상기 롤러(231)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4모터(232)가 결합된 롤러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00)는,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저장통(111)과, 상기 저장통(111)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셔틀콕(600)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통공(113)이 형성된 고정판(112)과, 상기 고정판(112)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 1종동기어(115)가 형성된 제 1회전축(114)으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상기 제 1종동기어(115)에 맞물리며, 제 1모터(121)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제 1구동기어(122)와, 상기 제 1구동기어(1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1측정수단(123)으로 이루어진 동력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회전축(114)의 측면에는 상기 저장통(111)의 배치간격에 맞춰 장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회전축(114)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장홈(116)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부(100)에서 인출되는 상기 셔틀콕(600)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절수단(13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310)는.
    상기 제 1지지판(250)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311)과,
    상기 제 2지지판(31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312)와,
    상기 제 2지지판(311)의 상부에 결합하여 제 5모터(314)에 의해 회전하는 캠(313)과,
    상기 캠(31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셔틀콕 발사부(200)에 결합되는 회동체(315)와,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어 상기 캠(31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3측정수단(3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이동부(320)는,
    상기 제 2지지판(311)의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3지지판(321)과,
    상기 제 3지지판(3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제 2종동기어(323)가 형성된 제 2회전축(322)과,
    상기 제 2종동기어(323)에 맞물리며, 상기 제 3지지판(321)의 하부에 설치된 제 6모터(32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종동기어(323)를 회전시키는 제 2구동기어(325)와,
    상기 제 2회전축(322)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제 4측정수단(326)과,
    상기 제 2지지판(311)에 결합되며, 상기 제 3지지판(321)에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된 지지체(32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600)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구비된 개방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수단(210), 상기 베이스(221), 상기 레일(224), 상기 제 3모터(225), 상기 가이드판(227), 상기 제 2측정수단(229) 및 상기 롤러부(230)를 수용하는 커버(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5908A 2016-03-03 2016-03-03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3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08A KR101731052B1 (ko) 2016-03-03 2016-03-03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18566175A JP2019507002A (ja) 2016-03-03 2016-12-28 バドミントン演習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680082856.5A CN108697925A (zh) 2016-03-03 2016-12-28 羽毛球练习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6/015354 WO2017150797A1 (ko) 2016-03-03 2016-12-28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08A KR101731052B1 (ko) 2016-03-03 2016-03-03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052B1 true KR101731052B1 (ko) 2017-04-27

Family

ID=5870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08A KR101731052B1 (ko) 2016-03-03 2016-03-03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9507002A (ko)
KR (1) KR101731052B1 (ko)
CN (1) CN108697925A (ko)
WO (1) WO201715079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KR20190029081A (ko) 2017-09-11 2019-03-20 김창식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KR20190038690A (ko) 2017-09-11 2019-04-09 김창식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셔틀콕발사장치
KR20190057232A (ko) 2019-05-17 2019-05-28 김창식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셔틀콕발사장치
CN113086310A (zh) * 2021-04-10 2021-07-09 安徽省无为县曙光羽毛制品有限公司 一种制备羽毛球后的入料包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6746A (zh) * 2017-10-11 2017-12-12 杨林弋 一种羽毛球发射装置及羽毛球陪练机
CN109157792A (zh) * 2018-08-07 2019-01-08 刘楠 一种智能多功能组合健身器
KR102498843B1 (ko) * 2021-09-07 2023-02-13 주식회사 더 테니스 연습용 볼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62B1 (ko) *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27618B1 (ko) *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5705Y (zh) * 2006-12-02 2008-02-06 黄石理工学院 一种羽毛球发球机
CN201370947Y (zh) * 2009-02-17 2009-12-30 陈盛 一种羽毛球陪练机
KR20110099550A (ko) * 2010-03-02 2011-09-08 최인덕 셔틀콕 자동 발사기
CN201939989U (zh) * 2010-12-30 2011-08-24 杨子奕 一种羽毛球发球机
CN202052308U (zh) * 2011-05-06 2011-11-30 杨子奕 一种新型羽毛球发球机
KR101387425B1 (ko) * 2012-06-14 2014-05-30 주식회사 다산실업 배드민턴 볼의 송구장치
KR20140083222A (ko) * 2012-12-26 2014-07-0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KR20150069653A (ko) * 2013-12-15 2015-06-24 이원석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분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62B1 (ko) * 2009-11-06 2010-02-22 유효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27618B1 (ko) *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KR20190029081A (ko) 2017-09-11 2019-03-20 김창식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KR20190038690A (ko) 2017-09-11 2019-04-09 김창식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셔틀콕발사장치
KR20190057232A (ko) 2019-05-17 2019-05-28 김창식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셔틀콕발사장치
CN113086310A (zh) * 2021-04-10 2021-07-09 安徽省无为县曙光羽毛制品有限公司 一种制备羽毛球后的入料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925A (zh) 2018-10-23
WO2017150797A1 (ko) 2017-09-08
JP2019507002A (ja)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434251B1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공급 장치
KR100915299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9039547B2 (en) Personal sports simulation robot
KR101600761B1 (ko) 배구 연습 장치
KR10094346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200298087A1 (en) Pitching machine and batting bay systems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KR20120006167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73544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20028645A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20120127891A (ko) 슈팅 놀이기구
US7628147B2 (en) Apparatus for underhand tossing of a ball
KR20150146137A (ko) 공 자동 발사 장치
KR101151005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20140083222A (ko)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KR101882760B1 (ko) 피칭머신의 볼 투척장치
CN110975259A (zh) 排球扣球拦网器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KR102094238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20150069653A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분사기
KR101129648B1 (ko) 골프공 오토 디스펜서
KR101963335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