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43B1 - 연습용 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습용 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43B1
KR102498843B1 KR1020210118863A KR20210118863A KR102498843B1 KR 102498843 B1 KR102498843 B1 KR 102498843B1 KR 1020210118863 A KR1020210118863 A KR 1020210118863A KR 20210118863 A KR20210118863 A KR 20210118863A KR 102498843 B1 KR102498843 B1 KR 102498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unit
shaft
rota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 테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 테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 테니스
Priority to KR102021011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2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giving 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습용 볼 공급장치는, 지지대에 안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고, 볼을 공급하여 이송하는 볼이송부와, 본체에 마련되고, 볼이송부에서 이송된 볼을 투척하는 투척유닛과, 볼이송부에서 이송된 볼을 차단하면서 회전 및 전후 이동을 통해 볼을 낙하하여 투척유닛에 푸쉬 공급하는 회전푸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습용 볼 공급장치{BALL FEEDING DEVICCE FOR PRACTICE}
본 발명은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회전롤러에 볼을 공급하기 위해 회전푸쉬부를 이용하여 볼을 차단, 낙하, 푸쉬 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볼을 정확하게 공급하고, 본체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전후각도 및 좌우각도를 모두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구위의 타격 연습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니스, 정구, 야구 등 볼을 공급하여 라켓 및 배트를 이용하여 볼을 타격하는 스포츠 종목은 시합을 하지 않더라도 볼을 타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볼을 공급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바닥에 볼을 튀겨서 타격하는 방법과, 연습도우미가 공급해주는 볼을 타격하는 방법과, 볼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는 볼을 타격하는 방법등이 있다.
종래의 볼 공급장치는 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볼 공급부와, 볼 공급부에 공급받은 볼을 안내하는 볼 안내부와, 볼 안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볼에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볼의 양측을 밀어 볼을 투척하는 한 쌍의 투척용 롤러와, 투척용 롤러에 의해 투척되는 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구를 갖고, 볼 안내부, 구동모터와 투척용 롤러를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의 볼 공급장치는 볼 안내부를 통해 안내된 볼을 투척용롤러에 공급하는 시점이 적절하지 않아 공급되는 볼의 이동방향이 정확하지 않아 타격 연습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볼 공급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 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방향조절장치가 없으므로, 예를들어 테니스의 경우, 스트로크, 발리, 백핸더, 센터, 포핸드, 좌우랜덤, 자유랜덤 등 다양한 운동을 선태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28659호(20170414, 발명의 명칭: 타격용 볼 공급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회전롤러에 볼을 공급하기 위해 회전푸쉬부를 이용하여 볼을 차단, 낙하, 푸쉬 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볼을 정확하게 공급하고, 본체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전후각도 및 좌우각도를 모두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구위의 타격 연습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는, 지지대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볼을 공급하여 이송하는 볼이송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볼이송부에서 이송된 볼을 투척하는 투척유닛; 상기 볼이송부에서 이송된 볼을 차단하면서 회전 및 전후 이동을 통해 볼을 낙하하여 상기 투척유닛에 푸쉬 공급하는 회전푸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이송부는, 상기 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볼공급부; 상기 볼공급부에 연결되어 볼을 이송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척유닛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1회전모터; 상기 제1회전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투척롤러; 상기 제1회전모터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모터; 및 상기 제2회전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투척롤러와 마주보면서 회전을 하여 함께 상기 볼을 투척시키는 제2투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푸쉬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의 연장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볼이송부에 구비된 안내관로부를 통해 하강하는 볼을 상기 본체에 형성된 통과홀을 거쳐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부를 통해 상기 투척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안착프레임; 및 상기 안착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로부를 통해 이송되는 볼을 차단, 낙하 및 푸쉬 과정을 거쳐 연속적으로 상기 투척유닛으로 볼을 공급하는 회전푸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푸쉬구동부는, 상기 안착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모터부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을 직진으로 전환하는 링크작동부; 상기 링크작동부의 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직진 동작하는 직진이동축;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직진이동축의 직진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안내부재; 및 상기 직진이동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로부에서 공급되는 볼을 차단, 낙하, 푸쉬동작을 수행하는 푸쉬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작동부는, 상기 회전모터부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링크회전축; 및 상기 링크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직진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직진이동축의 직진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연결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작동부는, 상기 직진이동축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을 푸쉬하는 푸쉬부재; 상기 푸쉬부재를 상기 직진이동축에 결합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의 상측단부에 수평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직진이동축의 전진시 상기 볼을 차단하고, 상기 직진이동축의 후진시 상기 볼은 낙하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어 링크작동부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볼을 상기 투척유닛에 공급하여 공급회수를 표시하는 회전감지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감지표시부는,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작동부에 구비되는 링크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의 공급회수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어 상기 투척유닛에서 투척되는 볼의 전후각도와 좌우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방향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향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고, 전측부위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굴곡 형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안착브라켓; 상기 안착브라켓과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브라켓을 상기 지지대에서 좌우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장착부에서 전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실린더; 및 상기 안착브라켓의 후방 상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후측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로 구동하는 전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는, 한 쌍의 회전롤러에 볼을 공급하기 위해 회전푸쉬부를 이용하여 볼을 차단, 낙하, 푸쉬 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볼을 정확하게 공급하고, 본체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전후각도 및 좌우각도를 모두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구위의 타격 연습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의 타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와 전방향각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와 전방향각도조절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의 푸쉬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의 푸쉬작동부의 요부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의 링크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를 이용하여 볼을 차단, 낙하 및 푸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좌우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와 전방향각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와 전방향각도조절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의 푸쉬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의 푸쉬작동부의 요부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의 링크작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회전푸쉬부를 이용하여 볼을 차단, 낙하 및 푸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전후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에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좌우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는, 본체(100), 볼이송부(200), 투척유닛(300) 및 회전푸쉬부(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지지대(10)에 안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본체(10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형태를 구성하고 있으며, 볼트등에 의해 플레이트가 연결됨으로써,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볼이송부(200)는 본체(100)에 연결되고, 볼을 공급하여 이송하는 구성이다.이때, 볼은 테니스볼, 정구볼, 야구볼 등 다양한 종목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볼이송부(200)는, 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볼공급부(210)와, 볼공급부(210)에 연결되어 볼을 이송하는 이송관(220)과, 이송관(220)에 연결되고, 본체(100)에 설치되어 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로부(230)를 포함한다.
볼공급부(210)는 케이스에 보관된 다수개의 볼을 엘레베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씩 승강하여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물론, 볼공급부(210)는 볼을 많이 보관하면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라면, 기술사상적 범위내에서 어떠한 구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송관(220)는 볼 공급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주름관을 적용할 수 있다.
안내관로부(23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ㄷ자형상으로 구비되는 안내하우징(231)과, 안내하우징(231)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이송관(220)의 단부의 반쪽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고정안착부재(232)와, 고정안착부재(232)에 안착된 이송관(220)의 단부 나머지반을 커버하여 덮어주는 덮개안착부재(233)와, 고정안착부재(232)와 덮개안착부재(233)를 감아주고 체결하여 이송관(220)을 안내하우징(231)에 고정하는 밴드케이블(234)과, 안내하우징(231)의 개방부위를 커버하여 이송되는 볼의 노출을 차단하는 차단커버부재(235)를 포함한다.
안내하우징(231)은 본체(100)의 일측면에 볼트,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안착부재(232)는 안내하우징(231)의 상측면에 용접, 볼트, 나사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밴드케이블(234)은 양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길이가 조절되면서 고정안착부재(232)와 덮개안착부재(233)를 감아 조여주면, 내부에 삽입된 이송관(220)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로써, 이송관(220)을 통해 이송된 볼은 차단커버부재(235)가 결합된 안내하우징(232)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이송된다.
차단커버부재(235)는 안내하우징(231)을 통해 하강하는 볼을 확인하기 위해 안내하우징(231)의 가장자리와 약간 이격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차단커버부재(235)는 양측에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안내하우징(231)의 가장자리에 체결됨으로써, 차단커버부재(235)와 안내하우징(231) 사이의 일부영역에 이격공간부를 형성하게 하고 이를 통해 이송관(220)을 통해 하강되는 볼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투척유닛(300)은 본체에 마련되고, 볼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된 볼을 회전력을 통해 투척하는 구성이다.
투척유닛(300)은,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1회전모터(310)와, 제1회전모터(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투척롤러(320)와, 제1회전모터(3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모터(330)와, 제2회전모터(3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투척롤러(320)와 마주보면서 회전을 하여 함께 볼을 투척시키는 제2투척롤러(340)를 포함한다.
제1투척롤러(320)와 제2투척롤러(340)의 둘레에는 볼의 둘레면이 안착되는 만곡홈이 형성된다.
본체(100)에는 제1투척롤러(320)와 제2투척롤러(340)의 회전에 의해 볼이 투척될 때 안내하는 투척안내관(350)이 구비된다. 투척안내관(350)은 볼의 직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길게 형성된다.
회전푸쉬부(400)는 볼이송부(200)에서 이송된 볼을 차단하면서 회전 및 전후 이동을 통해 볼을 낙하하여 투척유닛(300)에 푸쉬 공급하는 구성이다.
회전푸쉬부(400)에 의해 투척유닛(300)의 제1투척롤러(320)와 제2투척롤러(340) 사이로 진입한 볼은 제1회전모터(310)와 제2회전모터(330)의 고속 회전에 의해 순간적으로 투척하면, 볼이 투척안내관(350)을 통해 소정의 타격장소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는 라켓 또는 배트을 통해 날라오는 볼을 타격하여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푸쉬부(400)는, 본체(100)에 구비되고,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연장프레임(410)과, 연장프레임(410)의 연장측 상부에 구비되고, 볼이송부(200)에 구비된 안내관로부(230)를 통해 하강하는 볼을 본체(100)에 형성된 통과홀(110)을 거쳐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부(422)를 통해 투척유닛(300) 측으로 안내하는 안착프레임(420)과, 안착프레임(420)에 구비되고, 안내관로부(230)를 통해 이송되는 볼을 차단, 낙하 및 푸쉬 과정을 거쳐 연속적으로 투척유닛(300)으로 볼을 공급하는 회전푸쉬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연장프레임(410)은 버팀보 형태로 후방으로 연장되다가 후방 상측으로 평판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안착프레임(420)은 회전푸쉬구동부(500)의 후진 이동으로 낙하된 볼을 안착시킨 후, 회전푸쉬구동부(500)를 다시 전진 이동시켜 가이드돌기부(422)를 통해 투척유닛(300)으로 안내하도록 해준다.
회전푸쉬구동부(500)는, 안착프레임(420)에 설치되어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장착프레임(510)과, 장착프레임(510)에 구비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부(520)와, 회전모터부(520)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을 직진으로 전환하는 링크작동부(530)와, 링크작동부(530)의 단부측에 구비되어 통과홀(110)을 통해 직진 동작하는 직진이동축(560)과, 장착프레임(510)에 구비되고, 직진이동축(560)의 직진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안내부재(570)와, 직진이동축(560)의 단부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내관로부(230)에서 공급되는 볼을 차단, 낙하, 푸쉬동작을 수행하는 푸쉬작동부(580)를 포함한다.
장착프레임(510)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안착프레임(420)에 볼팅 결합되어 설치된다.
회전모터부(520)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에 구비되어 기어변속을 수행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터부(520)는 경우에 따라 서보모터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모터부(520)는 미도시된 조작패널부를 통해 유무선으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작패널부에는 스트로크, 발리, 백핸드, 센터, 포핸드, 자유랜덤, 좌우랜덤, 초급, 중급, 고급 등의 다양한 작동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회전모터부(520), 투척유닛(300) 및 회전감지표시부(6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0)를 지지대(20) 일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컨트롤러(2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조작패널부에는 충진 카드를 이용하여 비용을 결제하고 해당하는 비용에 맞는 볼의 개수를 공급 받아 타격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패널부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진카드 이외에 현금등으로 결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작동부(530)는, 회전모터부(520)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링크회전축(540)과, 링크회전축(540)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직진이동축(5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크회전축(540)의 회전운동을 직진이동축(560)의 직진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연결축(550)을 포함한다.
링크연결축(550)은 직진이동축(560)의 전후진 왕복 이동거리인 스트로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링크연결축(550)은 링크회전축(5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축(551)과, 직진이동축(5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축(553)과, 제1링크연결축(551)과 제2링크연결축(552)에 역방향 나사산이 각각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제1링크연결축(551)과 제2링크연결축(552)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직진이동축(560)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조절나사축(553)과, 조절나사축(553)의 각각의 나사산을 제1,제2링크연결축(552)의 암나사산에 조여주는 한 쌍의 조임부재(554)를 포함한다.
링크연결축(55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한 쌍의 조임부재(554)를 각가 풀어준 후, 조절나사축(553)의 중심부를 회전하여 양측 역방향 수나사산을 제1,제2링크연결축(551)(552)의 암나산에 각각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길이를 조절하고, 조임부재(554)를 다시 조여줌으로써, 링크연결축(55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로써, 직진이동축(560)의 전후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다.
푸쉬작동부(580)는, 직진이동축(560)의 단부에 삽입되어 볼을 푸쉬하는 푸쉬부재(581)와, 푸쉬부재(581)를 직진이동축(560)에 결합하는 체결부재(582)와, 푸쉬부재(581)의 상측단부에 수평으로 굴곡 형성되어 직진이동축(560)의 전진시 볼을 차단하고, 직진이동축(560)의 후진시 볼은 낙하시키는 차단부재(583)를 포함한다.
통과홀(110)의 상측에는 푸쉬작동부(580)의 푸쉬없이도 볼이 자중에 의해 통과홀(11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탄성젖힘부재(590)가 구비된다. 탄성젖힘부재(560)는 상측에 구비된 커버부재를 통해 본체에 결합된다.
탄성젖힘부재(560)는 직진이동축(560)에 의한 푸쉬부재(581)의 전진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젖혀지면서 볼이 통과하고 투척유닛(300)에 볼을 이송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탄성젖힘부재(560)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실리콘 패드 소재를 적용하여 탄성력 및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장착프레임(510)에 구비되어 링크작동부(530)의 회전을 감지하여 볼을 투척유닛(300)에 공급하여 공급회수를 표시하는 회전감지표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감지표시부(600)는, 장착프레임(510)에 구비되는 설치부재(610)와, 설치부재(610)에 결합되고, 링크작동부(530)에 구비되는 링크회전축(54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620)와, 회전감지센서(620)의 공급회수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재(630)를 포함한다.
설치부재(610)는 장착프레임(51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감지부재(620)가 관통 설치되어 링크회전축(540)의 단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회전감지센서(620)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표시부재(630)는 지지대(1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볼을 타격할 때. 공급되는 볼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푸쉬구동부(500)의 작동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8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부(520)의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직진이동축(560)의 단부에 결합된 차단부재(583)는 안내관로부(230)를 따라 하강하는 볼을 차단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연이어, 도 8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터부(520)에 볼 공급신호가 전달되어 회전하여 링크회전축(540)이 후방으로 직진 배열하게 되면, 링크연결축(550)를 통해 직진이동축(560)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차단부재(583) 역시 후진하게 되고, 안내관로부(230)의 수용된 볼이 낙하하여 안착프레임(42)에 안착된다.
그 다음, 도 8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회전축(540)이 회전으로 전방으로 직진 배열하게 되면, 링크연결축(550)를 통해 직진이동축(560)이 전방으로 최대 이동하여 푸쉬부재(583) 역시 전진하면서 안착프레임(42)에 안착된 볼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고, 볼을 가이드돌기부(422)를 통해 투척유닛(300)의 제1,제2투척롤러(32)(34)에 이송하여 회전마찰력을 통해 전방으로 투척시킨다.
이어서, 도 8의 첫 번째 도면으로 다시 돌아가면서 1회의 볼 공급이 완료된다. 이때, 링크회전축(54)이 1회전하면서, 회전감지센서(62)에서 회전을 감지한 후, 표시부재(630)를 통해 1회의 볼 공급을 추가 표시하게 된다.
본체(100)는 지지대(10)에 안착되어 투척유닛(300)에서 투척되는 볼의 전후각도와 좌우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방향각도조절부(700)를 포함한다.
전방향각도조절부(700)는 안착브라켓(710), 결합부재(720), 장착부재(730), 좌우실린더(740), 전후실린더(750)를 포함한다.
안착브라켓(710)은 지지대(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전측부위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굴곡 형성되는 장착부(712)를 구비한다. 장착부(712)는 안착브라켓(710)의 양단을 날개형태로 벌려주고 구부려줌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재(720)는 안착브라켓(710)과 지지대(10)에 결합되어 안착브라켓(710)을 지지대(10)에서 좌우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결합부재(720)는 안착브라켓(710)의 전측 중심부위에 체결되어 안착브라켓(710)의 좌우 회전을 안내하므로, 상측에 결합된 본체(100) 역시 좌우 회전되게 해준다. 결합부재(720)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장착부재(730)는 본체(100)와 장착부(712)에 한 쌍 결합되어 본체(100)를 장착부(712)에서 전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장착부재(730)는 장착부(712)와 본체(710)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므로 후술하는 전후실린더(750)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전후 기울기가 조절되어 투척되는 볼의 비거리를 늘려주거나 줄이도록 조절된다.
좌우실린더(740)는 장착부(712)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대(10)에 결합되어 결합부재(720)를 기준으로 본체(100)를 좌우로 구동한다. 좌우실린더(740)는 유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좌우실린더(740)는 안착브라켓(710)에 결합된 결합부재(7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편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좌우실린더(740)가 결합부재(71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경우, 좌우실린더(740)가 신장되면, 결합부재(710)를 기준으로 안착브라켓(710)을 우측으로 회전시켜 본체(100)를 우회전시킨다. 또한, 좌우실린더(740)가 결합부재(71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경우, 좌우실린더(740)가 수축되면, 결합부재(710)를 기준으로 안착브라켓(710)을 좌측으로 회전시켜 본체(100)를 좌회전시킨다.
전후실린더(750)는 안착브라켓(710)의 후방 상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본체(100)의 후측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본체(100)를 전후로 구동한다. 전후실린더(750)는 유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전후실린더(750)는 장착부재(730)를 기준으로 안착브라켓(710)의 후방에 지지된다. 이로써, 전후실린더(750)를 신장하면, 한 쌍의 장착부재(730)를 기준으로 본체(100)가 전방으로 밀려지면서 전측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전후실린더(750)를 수축하면, 한 쌍의 장착부재(730)를 기준으로 본체(100)가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후측으로 기울어진다.
안착브라켓(710)의 후방 양측에는 좌우 회전시, 안착브라켓(710)의 안정적인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지지부(760)가 더 구비된다. 안내지지부(760)는 안착브라켓(710)의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서 날개 형태로 돌출되어 지지대(10) 상에 안정적 지지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볼 공급장치는, 한 쌍의 회전롤러에 볼을 공급하기 위해 회전푸쉬부를 이용하여 볼을 차단, 낙하, 푸쉬 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볼을 정확하게 공급하고, 본체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된 전방향각도조절부를 이용하여 전후각도 및 좌우각도를 모두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구위의 타격 연습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대 20: 컨트롤러
100: 본체 110: 통과홀
200: 볼이송부 210: 볼공급부
220: 이송관 230: 안내관로부
231: 안내하우징 232: 고정안착부재
233: 덮개안착부재 234: 밴드케이블
235: 차단커버부재 300: 투척유닛
310: 제1회전모터 320: 제1투척롤러
330: 제2회전모터 340: 제2투척롤러
400: 회전푸쉬부 410: 연장프레임
420: 안착프레임 422: 가이드돌기부
500: 회전푸쉬구동부 510: 장착프레임
520: 회전모터부 530: 링크작동부
540: 링크회전축 550: 링크연결축
551: 제1링크연결축 552: 제2링크연결축
553: 조절나사축 554: 조임부재
560: 직진이동축 570: 레일안내부재
580: 푸쉬작동부 581: 푸쉬부재
582: 체결부재 583: 차단부재
590: 탄성젖힘부재 600: 회전감지표시부
610: 설치부재 620: 회전감지센서
630: 표시부재 700: 전방향각도조절부
710: 안착브라켓 712: 장착부
720: 결합부재 730: 장착부재
740: 좌우실린더 750: 전후실린더
760: 안내지지부

Claims (10)

  1. 지지대에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볼을 공급하여 이송하는 볼이송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볼이송부에서 이송된 볼을 투척하는 투척유닛; 및 상기 볼이송부에서 이송된 볼을 차단하면서 회전 및 전후 이동을 통해 볼을 낙하하여 상기 투척유닛에 푸쉬 공급하는 회전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푸쉬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후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연장프레임; 상기 연장프레임의 연장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볼이송부에 구비된 안내관로부를 통해 하강하는 볼을 상기 본체에 형성된 통과홀을 거쳐 상기 투척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안착프레임; 및 상기 안착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관로부를 통해 이송되는 볼을 차단, 낙하 및 푸쉬 과정을 거쳐 연속적으로 상기 투척유닛으로 볼을 공급하는 회전푸쉬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푸쉬구동부는, 상기 안착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모터부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을 직진으로 전환하는 링크작동부; 상기 링크작동부의 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직진 동작하는 직진이동축;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직진이동축의 직진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안내부재; 및 상기 직진이동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로부에서 공급되는 볼을 차단, 낙하, 푸쉬동작을 수행하는 푸쉬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작동부는, 상기 회전모터부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링크회전축; 및 상기 링크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직진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직진이동축의 직진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연결축은,
    상기 링크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축;
    상기 직진이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연결축; 및
    상기 제1링크연결축과 상기 제2링크연결축에 역방향 나사산이 각각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링크연결축과 상기 제2링크연결축 간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상기 직진이동축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조절나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이송부는,
    상기 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볼공급부;
    상기 볼공급부에 연결되어 볼을 이송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척유닛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1회전모터;
    상기 제1회전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투척롤러;
    상기 제1회전모터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회전모터; 및
    상기 제2회전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투척롤러와 마주보면서 회전을 하여 함께 상기 볼을 투척시키는 제2투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작동부는,
    상기 직진이동축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을 푸쉬하는 푸쉬부재;
    상기 푸쉬부재를 상기 직진이동축에 결합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의 상측단부에 수평으로 굴곡 형성되어 상기 직진이동축의 전진시 상기 볼을 차단하고, 상기 직진이동축의 후진시 상기 볼은 낙하시키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어 링크작동부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볼을 상기 투척유닛에 공급하여 공급회수를 표시하는 회전감지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감지표시부는,
    상기 장착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링크작동부에 구비되는 링크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감지센서의 공급회수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어 상기 투척유닛에서 투척되는 볼의 전후각도와 좌우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방향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향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고, 전측부위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굴곡 형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안착브라켓;
    상기 안착브라켓과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브라켓을 상기 지지대에서 좌우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장착부에서 전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를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실린더; 및
    상기 안착브라켓의 후방 상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후측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로 구동하는 전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볼 공급장치.
KR1020210118863A 2021-09-07 2021-09-07 연습용 볼 공급장치 KR10249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63A KR102498843B1 (ko) 2021-09-07 2021-09-07 연습용 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863A KR102498843B1 (ko) 2021-09-07 2021-09-07 연습용 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843B1 true KR102498843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863A KR102498843B1 (ko) 2021-09-07 2021-09-07 연습용 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873A (ja) * 2006-11-06 2008-05-22 Ryobi Ltd 送球装置
KR20180135218A (ko) * 2017-06-12 2018-12-20 (주)클라우드게이트 피칭 장치용 볼 공급장치
JP2019507002A (ja) * 2016-03-03 2019-03-14 チャンシク キム バドミントン演習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873A (ja) * 2006-11-06 2008-05-22 Ryobi Ltd 送球装置
JP2019507002A (ja) * 2016-03-03 2019-03-14 チャンシク キム バドミントン演習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80135218A (ko) * 2017-06-12 2018-12-20 (주)클라우드게이트 피칭 장치용 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150B2 (en) Exercise bicycle
US3777732A (en) Device having coacting wheels for projecting tennis balls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US5359986A (en) Pitching system and method
TW440454B (en) Table tennis apparatus
KR101728659B1 (ko) 타격용 볼 공급장치
US8840482B2 (en)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KR102498843B1 (ko) 연습용 볼 공급장치
US20200094105A1 (en) Cushioning mechanism for a treadmill
US7662053B1 (en) Ball returning backstop
CN108939495B (zh) 一种网球教学训练优化方法
KR20170104095A (ko) 볼 피칭머신
US20100005603A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or withdrawing a flexible tubular casing of a pipe cleaning device
JP2008113873A (ja) 送球装置
CN114129955A (zh) 阻力可调的转动轮和其调节方法以及运动设备
US8156873B1 (en) Rail bike
KR101959777B1 (ko) 골프 연습장치
KR101420085B1 (ko) 다양한 속도와 높이 및 방향으로 공의 공급이 가능한 테니스 연습기
US3570466A (en) Apparatus for ejecting balls
US4714069A (en) Volleyball setting machine
KR200221256Y1 (ko) 골프연습장치
KR200170819Y1 (ko) 스윙연습용 투구장치
JP2022083674A (ja) トスマシーン
KR20090117126A (ko) 골프공 자동 공급기용 골프공 이송 공급장치
KR102015786B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