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081A -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081A
KR20190029081A KR1020170116173A KR20170116173A KR20190029081A KR 20190029081 A KR20190029081 A KR 20190029081A KR 1020170116173 A KR1020170116173 A KR 1020170116173A KR 20170116173 A KR20170116173 A KR 20170116173A KR 20190029081 A KR20190029081 A KR 2019002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angle
cam
launch
la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102017011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081A/ko
Publication of KR2019002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셔틀콕을 복수개의 각도로 발사하는 셔틀콕 발사장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단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각도가 변경 가능한 발사대; 선택적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발사대의 타단을 승강시켜 상기 각도를 변경하는 상하이동수단;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일측면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복수개 장착되어 상하이동수단에 의한 상기 발사대의 발사 각도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A DEVICE ADJUSTING LAUNCH ANGLE OF A SHUTTLECOCK}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콕 발사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바닥에 떨어지면 득점을 하는 운동으로, 단식과 복식으로 이루어진 스포츠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최소 두 명 이상이 코트에서 경기를 하지만, 코치나 연습상대가 없는 경우에도 초급, 중급, 고급자의 실력에 맞게 체계적이고 일률적으로 배드민턴 연습을 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바 있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발명하여 2017년 4월 21일자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731052호로 특허를 등록한 바 있는데, 상기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셔틀콕의 손상없이 전방으로 날릴 수 있으며, 사용 중 상하,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가 장착된 셔틀콕 발사부(2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상하이동부(30)는 상기 제 1지지판(2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제 2지지판(31)과, 상기 제 2지지판(31)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셔틀콕 발사부(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고정부(32)와, 상기 제 1지지판(21)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모터(34)에 의해 회전하여 캠(33)과, 상기 캠(33)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셔틀콕 발사부(20)에 결합되는 회동체(35)와, 상기 제 2지지판(31)에 결합되어 상기 캠(3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수단(3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2)를 중심으로 상기 캠(3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지지판(21)이 승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셔틀콕 발사부(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정수단(36)을 통해 상기 캠(33)의 회전상태를 측정하여 각도를 판단하고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배드민턴 연습장치에서는, 셔틀콕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0)와, 셔틀콕을 발사하기 위한 셔틀콕 발사부(20)가 상하이동부(30)에 의해 함께 상하 이동됨에 따라 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런 상태에서 각도 변화가 수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부하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73105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틀콕 발사각도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셔틀콕을 복수개의 각도로 발사하는 셔틀콕 발사장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단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각도가 변경 가능한 발사대; 선택적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발사대의 타단을 승강시켜 상기 각도를 변경하는 상하이동수단;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일측면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복수개 장착되어 상하이동수단에 의한 상기 발사대의 발사 각도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사대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로 탄성변형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동력원에 의해 회동하는 캠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캠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차광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에서 상기 차광부의 이동경로 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차광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다른 부분에 대한 변형이나 이동 없이 셔틀콕 발사각도만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최소한의 부하만으로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를 포함한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를 포함한 셔틀콕 발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의한 발사 각도 조정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발사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셔틀콕이 송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란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를 포함한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를 포함한 셔틀콕 발사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에 의한 발사 각도 조정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발사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셔틀콕이 송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저장부에 보관된 다수개의 셔틀콕을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인출시킨 후 한 쌍의 롤러부(230)를 통해 전방으로 셔틀콕을 배드민턴 코스에 날릴 수 있으며, 좌우,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배드민턴 코트 전방에 송구할 수 있는 장치이고, 다수개의 셔틀콕을 저장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셔틀콕을 전방의 배드민턴 코스에 송구할 수 있도록 저장부(100), 셔틀콕 발사장치(200), 이동수단(300) 및 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지지부(400) 하단에 장착되는 바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셔틀콕 발사장치(2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310)와, 상기 수납부 하단에 장착되는 바퀴(320)로 구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셔틀콕 발사장치(200)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성의 예시를 위하여 종래기술로 언급된 한국 등록특허 제10-1731052호에 개시된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셔틀콕 발사장치(20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을 인출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210)과, 상기 공급수단(210)에서 공급된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여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수단(220)과, 상기 공급수단(210) 및 상기 발사수단(220)이 안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사수단에 구비되는 롤러부(230)는 안착판(222)을 통해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231)와 상기 롤러(23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롤러(231)는 상기 셔틀콕을 전방으로 날릴 수 있도록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232)는 기어, 벨트 등의 구성 및 각각의 모터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구성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셔틀콕 발사장치의 선단, 즉, 한 쌍의 롤러 전방에서 셔틀콕이 복수개의 각도로 발사되게 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5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500)는, 크게 발사대(510), 상하이동수단, 센싱부(530) 및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발사대(510)는 상기 셔틀콕 발사장치의 베이스플레이트(250)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은 그 타단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발사대(510)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발사대(510)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에 고정된 상태로 탄성변형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상하구동수단은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을 승강시켜 상기 발사대(510)의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높이로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을 상승시킬 수 있다면 그 구현되는 구성에는 특별한 한정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원, 예를 들면 전동모터(55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가 다르게 구성되는 캠(520)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을 상승시키는 구성을 상하구동수단의 예로서 예시하고 있다.
센싱부(530)는 상기 상하구동수단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장착되어 상기 상하이동수단에 의한 상기 발사대(510)의 발사 각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구동수단의 일예인 캠(520)의 일면에서 상기 캠(52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원주 상 경로를 따라 센싱부(530)가 설치되어 상기 발사대(510)의 각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센싱부(530)는 다양한 센싱방식을 통해 구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광센서(533)에 의한 감지방식으로 구현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싱부(530)는, 상기 캠(5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차광부(53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540)에서 서포트(543)에 의해 상기 차광부(531)의 이동경로 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차광부(531)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533)를 포함한다. 상기 광센서(533)는 상기 캠(520)에 의해 2단계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2개소에 설치되고, 3단계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3개소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533)가 캠(520)에 의한 2단계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광센서(533)는 2개 설치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광센서(533a, 533b)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캠(520)은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경로가 복수 개소 존재하기 때문에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 의도된 길이를 복수개 설정하고, 그 의도된 길이에 해당하는 경로에 대응하는 원주방향 지점에 광센서(533)를 설치하면, 그 지점이 최상점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차광부(531)를 광센서(533)가 감지하게 하여 상기 발사대(510)를 의도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캠(520)에 의해 2단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520)의 일면에 장착되는 차광부(531)가 제1광센서(533a)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상기 캠(520)의 최상점이 가장 낮은 위치로 배치되게 설정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광센서(533b)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상기 캠(520)의 최상점이 가장 높은 위치로 배치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설정된 발사각도에 대응되는 캠(520)의 위치로 설정되는 센싱부(530)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모터(550)를 조절하여 상하이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발사각도에 대응되는 지점으로 상기 캠(520)이 회전하도록 전동모터(550)를 구동하여 상기 지점에 대응하는 센싱부(530)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전동모터(550)를 정지시키고, 상기 각도와 다른 각도로 캠(520)이 위치되게 상기 캠(520)을 회전시키도록 전동모터(550)를 구동하고 그 의도된 각도에 대응되는 센싱부(530)의 감지값이 감지되면 다시 전동모터(550)를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전동모터(550)를 제어한다.
상기 장착 브라켓(54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에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의 저면에 부착되는 수평판(541)과, 상기 수평판(541)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동모터(550)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관통공(542a)이 구비되며 상기 전동모터(550)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결합공(542b)이 형성된 수직판(54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캠(520)에 장착되어 상기 캠(520)이 전동모터(550)의 회전축에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캠(520)과 수직판(542)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스페이서(5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는, 낮은 각도인 1단계와, 높은 각도인 2단계로 변경된 발사대(510)와 캠(520)에 대해 각각 도시되어 있다. 각 단계는 캠(520)의 중심으로부터 외곽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설정된 것으로, 1단계는 캠(520)의 중심으로부터 최상점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길이이고, 2단계는 상대적으로 가장 긴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계에 대응되게 센싱부(530)가 설치되어 캠(5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캠(520)에 의해 발사대(510)의 높이가 변경되게 한다. 즉, 도 4의 (a)는 발사대(510)의 각도가 낮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531)가 캠(520)의 중심에서 오른쪽에 배치되게 상기 캠(520)이 회전하여 제1광센서(533a)에 의해 상기 차광부(531)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전동모터(550)의 구동을 정지하여 캠(520)이 발사대(510)의 각도를 가장 낮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장 낮은 발사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31)의 회전에 의해 송구되는 셔틀콕은 상기 발사대(510)를 따라 발사각도가 가이드되어 낮은 각도로 송구되고, 그 각도로 송구되면서 상기 롤러의 회전속도의 고저에 따라 발사거리의 장단이 조정된다.
또한 도 5의 (a)는 발사대(510)의 각도가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531)가 캠(520)의 중심에서 왼쪽에 배치되게 상기 캠(520)이 회전하여 제2광센서(533b)에 의해 상기 차광부(531)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전동모터(550)의 구동을 정지하여 캠(520)이 발사대(510)의 각도를 가장 높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가장 높은 발사각도를 유지하게 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 송구되는 셔틀콕은 상기 발사대(510)를 따라 발사각도가 가이드되어 높은 각도로 송구되고, 그 각도로 송구되면서 상기 롤러의 회전속도의 고저에 따라 발사거리의 장단이 조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차광부(531)에 대해 2개의 광센서(533), 즉, 제1 및 제2광센서(533a, 533b)가 원주방향으로 180°이격되어 배치되어 전동모터(550)에 의한 캠(520)의 180°회전으로 2단계의 각도가 조절되게 설정되지만, 만일 3단계 이상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각 단계에 대응하는 캠(520)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광센서(533)를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차광부(531)가 어느 광센서(533)에 감지되는지에 따라 캠(520)의 최상부 높이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셔틀콕의 발사각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저장부
200 : 셔틀콕 발사장치 210 : 공급수단 220 : 발사수단
250 : 베이스플레이트 230 : 롤러부 231 : 롤러
232 : 구동모터 222 : 안착판
300 : 이동수단
400 : 지지부
500 :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510 : 발사대 520 : 캠 521 : 스페이서
530 : 센싱부 531 : 차광부 533 : 광센서
540 : 장착 브라켓 550 : 전동모터

Claims (4)

  1. 셔틀콕을 복수개의 각도로 발사하는 셔틀콕 발사장치의 베이스플레이트(250) 상단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각도가 변경 가능한 발사대(510);
    선택적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발사대(510)의 타단을 승강시켜 상기 각도를 변경하는 상하이동수단;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일측면에 직접 또는 인접하여 복수개 장착되어 상하이동수단에 의한 상기 발사대(510)의 발사 각도를 감지하는 센싱부(530); 및
    상기 센싱부(530)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51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에 고정된 상태로 탄성변형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51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5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타단의 위치가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동력원에 의해 회동하는 캠(5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530)는, 상기 캠(5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차광부(53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540)에서 상기 차광부(531)의 이동경로 상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차광부(531)의 이동을 감지하는 광센서(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KR1020170116173A 2017-09-11 2017-09-11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KR20190029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73A KR20190029081A (ko) 2017-09-11 2017-09-11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73A KR20190029081A (ko) 2017-09-11 2017-09-11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81A true KR20190029081A (ko) 2019-03-20

Family

ID=6603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73A KR20190029081A (ko) 2017-09-11 2017-09-11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0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52B1 (ko) 2016-03-03 2017-04-27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052B1 (ko) 2016-03-03 2017-04-27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US6440013B1 (en) Pitching machine
US8840482B2 (en)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KR101731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42505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JP2005510269A (ja) ゴルフ練習のための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145443B1 (ko) 퍼팅 거리 조절이 가능한 스크린골프 장치
US8485174B2 (en) Ball launcher
KR20180047645A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5133557A (en) Golf practicing apparatus
KR100986512B1 (ko)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030047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JP5530560B2 (ja) ゴルフのヘッドアップ矯正装置
JP4852147B2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KR100946970B1 (ko) 자동캐디기와 이를 구비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9081A (ko) 셔틀콕 발사 각도 조정장치
KR10062315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0927366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KR200414507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0506810B1 (ko) 공 발사 장치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JPH0956865A (ja) 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221256Y1 (ko) 골프연습장치
KR100945982B1 (ko) 골프 시뮬레이터
KR102154835B1 (ko) 회전 이동식 골프 지형이 구비된 골프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