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32Y1 -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32Y1
KR200480032Y1 KR2020150007601U KR20150007601U KR200480032Y1 KR 200480032 Y1 KR200480032 Y1 KR 200480032Y1 KR 2020150007601 U KR2020150007601 U KR 2020150007601U KR 20150007601 U KR20150007601 U KR 20150007601U KR 200480032 Y1 KR200480032 Y1 KR 200480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olf ball
golf
guide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용
Original Assignee
이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용 filed Critical 이미용
Priority to KR2020150007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 아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골프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면 위로 골프공을 하나씩 자동 공급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는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골프공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지면 위로 올려주는 티업부와,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티업부로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하는 볼공급부 및 상기 티업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티업부는, 골프공이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티부재와, 상기 티부재가 중심부에 장착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티부재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는 한 쌍의 승강홀이 각각 형성된 승강몸체와, 상기 한 쌍의 승강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한 쌍의 제1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승강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승강부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부재와 인접한 곳에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2승강부재와, 일측에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삽입되며 제2가이드돌기와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3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 제2가이드돌기, 승강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아세탈(Polyoxymethylene) 재질의 소음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되며 상기 티업부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AUTOMATICALLY TEE-UP APPARATUS FOR GOLF BALL}
본 고안은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면 아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골프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면 위로 골프공을 하나씩 자동 공급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원하는 홀 안에 적은 획수의 타격으로 골프공을 집어넣어 승부를 가리는 스포츠이며, 최근에는 전 연령대에서 폭 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골프를 즐기기 위해서는 골프공을 쳐서 원하는 거리에 안착시키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주로 야외 골프장을 나가기 전이나 골프 기술의 습득을 위해서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 연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골프 연습장 역시 이러한 골프의 인기와 더불어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골프 연습장에는 사용자에게 골프공을 자동으로 티업(Tee-Up)해주는 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골프공을 자동으로 티업해주는 장치는 사용자가 일일이 골프공을 티(Tee) 위에 손으로 올려놓을 필요 없이 지면 밑으로부터 골프공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튜브 형상의 고무재질로 제작된 티부재 위에 골프공을 안착시킨 후 지상으로 올려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와 관련된 제품은 이미 시중에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지만, 본 출원인은 종래의 제품들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지면 아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골프 연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면 위로 골프공을 하나씩 자동 공급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는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골프공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지면 위로 올려주는 티업부와,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티업부로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하는 볼공급부 및 상기 티업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티업부는, 골프공이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티부재와, 상기 티부재가 중심부에 장착되고 양단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티부재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는 한 쌍의 승강홀이 각각 형성된 승강몸체와, 상기 한 쌍의 승강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한 쌍의 제1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승강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승강부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부재와 인접한 곳에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2승강부재와, 일측에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삽입되며 제2가이드돌기와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3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 제2가이드돌기, 승강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아세탈(Polyoxymethylene) 재질의 소음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되며 상기 티업부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공급부는, 경사지게 구비되어 회전하며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볼삽입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단 측으로 이동해온 골프공의 이동방향을 상기 티업부 측으로 변경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경사지게 이격 구비되어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된 골프공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티업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는 골프공이 대기할 수 있는 대기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의 골프공들을 상기 볼공급부로 안내하는 볼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안내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이 구비되어 다수 개의 골프공들이 서로 접촉에 의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티업부에는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볼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볼감지센서에서 일정시간 이상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볼공급부가 역회전 하며, 상기 볼공급부의 일측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프공을 상기 볼공급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끼임방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티업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는, 상기 골프공의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볼감지센서와, 상기 티업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더와, 상기 구동모터 및 볼공급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티업부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볼감지센서에서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볼공급부를 회전시켜 골프공을 공급하고, 상기 볼감지센서에서 골프공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티업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티업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티업부를 하강시키되, 상기 엔코더에서 감지된 회전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볼안내부에 가이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유입되는 골프공들이 접촉에 의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볼공급부에 골프공이 끼었을 때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역회전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은 골프공이 대기하는 대기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본 고안은 제2승강부재의 전단부 측에 회전력을 가해 티업부를 승강시킴으로써 구동모터를 최소한으로 회전시키면서 티업부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제2승강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고안은 일반적인 금속 베어링이 아닌 아세틸 재질의 소음방지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마찰에 의한 쇳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의 티업부 및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의 티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의 볼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1)는, 하우징(10), 티업부(100), 볼공급부(200), 구동부(4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1)는 주로 스크린 골프장의 지면 아래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티업부(100)에 안착되어 있는 골프공(2)을 타격하면 골프공(2)이 주변 시설물에 부딪혀 지면에 떨어진 후 경사에 의해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1)로 굴러가 다시 유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지면 아래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과 크기를 갖는 하우징(10)이 설치되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티업부(100), 볼공급부(200) 및 구동부(400)가 구비된다.
티업부(100)는 볼공급부(200)로부터 골프공(2)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지면 위로 올려줌으로써 사용자가 골프공(2)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티업부(100)의 승강은 자동으로 이루어 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티업부(100)는 티부재(110), 승강몸체(130) 및 가이드봉(150)을 포함한다.
티부재(110)는 골프공(2)이 안착되기 위한 고무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티부재(110)의 상단부에 안착된 골프공(2)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티부재(110)의 하단부는 고정부재(120)에 의해 승강몸체(130)의 상면 중심부에 장착되며, 티부재(110)의 내측 하단에는 골프공(2)의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볼감지센서(140)가 위치한다.
승강몸체(13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에는 제1가이드돌기(132)가 각각 구비된다. 장착된 티부재(110)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는 승강몸체(13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승강홀(131)이 각각 형성되며, 한 쌍의 승강홀(131)에는 가이드봉(150)이 각각 관통 삽입된다.
한 쌍의 가이드봉(150)은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승강몸체(130)의 승강시 흔들리지 않고 가이드봉(150)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몸체(130)의 양측을 가이드한다.
볼공급부(200)는 경사진 형태로 회전하여 상술한 티업부(100)의 티부재(110) 상측으로 골프공(2)을 하나씩 공급하는 것으로, 회전플레이트(210), 가이드플레이트(220) 및 지지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회전플레이트(210)는 골프공(2)이 굴러들어오는 하우징(10)의 입구측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별도의 공급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볼삽입홈(211)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플레이트(2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경사지게 회전하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는 상단 측과 지면에 가까운 하단 측으로 위치가 구분될 수 있으며 하단 측에 위치한 볼 삽입홈에 골프공(2)이 삽입되어 상단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플레이트(210)의 하면 방향에 위치한 하측에는 회전플레이트(210)와 대응되도록 경사진 지지플레이트(230)가 이격 구비되며, 볼삽입홈(211)에 삽입된 골프공(2)이 회전에 의해 상단 측으로 이동할 때 골프공(2)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30)는 회전플레이트(210)의 회전시 티업부(100)와 회전플레이트(21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플레이트(21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230)의 상면 일측에 회전플레이트(210)가 위치하며, 이에 따라 회전플레이트(210)의 상단 측과 티업부(100) 사이에는 경사지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이 공간을 골프공(2) 하나 이상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하여 회전플레이트(210)를 통해 상단 측으로 이동해온 골프공(2)이 티업부(100)로 공급되기 전 대기할 수 있는 대기영역(240)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대기영역(240)은 지지플레이트(230)의 상면에 형성되므로 지지플레이트(230)에 의해 골프공(2)의 하면이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볼삽입홈(211)에 삽입되어 회전플레이트(210)의 상단 측으로 이동해온 골프공(2)이 반대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고 티업부(1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골프공(2)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플레이트(220)가 구비된다.
가이드플레이트(220)에 의해 처음 이동해온 골프공(2)은 경사진 대기영역(240)에 위치하게 되고, 다음으로 이동해온 골프공(2)이 대기영역(240)에 위치하고 있던 골프공(2)을 밀어서 티업부(100)에 공급한 후 자신은 대기영역(24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3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231)가 형성되어 대기영역(240)에 위치한 골프공(2)이 진동 등에 의해 티업부(100)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대기영역(240)은 지지플레이트(230)와 티업부(100) 사이에 별도의 공간을 준비하지 않고 지지플레이트(230) 자체를 대기영역(240)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1)의 전체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회전플레이트(210)의 전방에는 외부에서 굴러오는 골프공들(2)을 볼공급부(200)로 안내하기 위한 볼안내부(300)가 경사지게 구비되며, 볼안내부(300)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310)이 구비되어 골프공들(2)이 접촉에 의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골프공(2)의 표면에는 매우 많은 수의 딤플(Dimple ; 골프공(2)의 표면에 있는 분화구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다수 개의 골프공(2)이 볼안내부(300)를 통해 굴러가면서 서로 접촉하게 되면 딤플에 의해 이동이 정지하여 티업부(100)에 볼이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향에서 굴러오는 골프공들(2)이 볼공급부(200)의 입구 측에서 동시에 만나 움직임이 멈추지 않도록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310)을 구비하여 정해진 라인을 따라 골프공(2)이 굴러가도록 유도한다.
본 고안에서는 볼안내부(300)의 표면에 다수 개의 홈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라인(310)을 구비하였지만. 별도의 판넬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볼안내부(300)와 연결되는 볼공급부(200)의 입구측에는 볼안내부(300)의 다양한 방향에서 굴러오는 골프공들(2)을 회전플레이트(210)의 가장 하단 측에 위치한 볼삽입홈(211) 측으로 안내하는 측면가이드부재(260)가 구비된다.
구동부(400)는 상술한 티업부(10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구동모터(410), 제1승강부재(440), 제2승강부재(450) 및 제3승강부재(470)를 포함한다.
구동모터(410)는 티업부(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티업부(100)의 위치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한다. 구동모터(410)의 일측에는 엔코더(420)가 구비되어 구동모터(410)의 회전정도, 회전방향 등과 같은 회전정보를 측정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로 전송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엔코더(420)가 내장된 구동모터(41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모터(410)의 회전축은 다수 개의 기어를 통해 제1편심회전축(430)과 치결합되며, 제1편심회전축(430)의 끝단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3승강부재(47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41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제3승강부재(470)의 일측에는 제2가이드돌기(471)가 구비되며, 제1편심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승강부재(440)는 상술한 승강몸체(130)와 결합되어 구동모터(410)의 회전에 따라 승강몸체(1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442)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442)를 연결하는 링크플레이트(44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442)에는 각각 제1슬라이딩홈(441)이 형성되어 승강몸체(13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제1가이드돌기(1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1승강부재(440)와 승강몸체(13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해 진다.
링크플레이트(443)의 중심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승강부재(45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2승강부재(450)의 타단부는 제2편심회전축(460)에 의해 하우징(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승강부재(450)의 전단부는 링크플레이트(443)와 연결되고, 링크플레이트(443)와 인접한 전단부에는 제2슬라이딩홈(451)이 형성되어 상술한 제2가이드돌기(471)가 삽입되며, 구동모터(410)의 정역방향 회전시 제1가이드돌기(132)와 제2가이드돌기(471)가 제1슬라이딩홈(441)과 제2슬라이딩홈(451)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티업부(100)가 승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티업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회전하는 구동모터(410)의 회전량이 대폭 감소하게 되며, 제2승강부재(450)를 승강시키기 위한 회전력이 제2승강부재(450)의 전단부 측에 공급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승강부재(450)에 가해지는 하중도 감소하여 제품이 빠르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볼감지센서(140)와 엔코더(420)뿐만 아니라 티업부(100)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4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410) 및 볼공급부(200)의 작동상태가 자동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티업부(100)가 하강된 상태에서 볼감지센서(140)에서 골프공(2)이 감지되지 않으면 볼공급부(200)를 회전시켜 골프공(2)을 티업부(100)로 공급하고, 볼감지센서(140)에서 골프공(2)이 감지되면 구동모터(410)를 정회전시켜 티업부(100)를 상승시킨다.
티업부(100)가 상승된 상태에서 골프공(2)이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모터(410)를 역회전시켜 티업부(100)를 하강시키며, 볼공급부(200)를 회전시켜 골프공(2)을 티업부(100)로 공급한다.
이때 구동모터(410)는 지속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연속회전하는 것이 아닌 엔코더(420)에서 감지된 회전정보에 따라 소량 회전하여 티업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골프공(2)이 볼공급부(200)에 끼어서 공급되지 않으면 볼감지센서(140)에서 일정시간 이상 골프공(2)이 감지되지 않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볼공급부(200)가 역회전하여 끼어있는 골프공(2)이 빠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볼공급부(200)의 일측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프공(2)을 볼공급부(20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끼임방지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가이드돌기(132), 제2가이드돌기(471), 승강홀(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아세탈(Polyoxymethylene) 재질의 소음방지부재(13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베어링과는 다른 구조로서, 금속재질의 베어링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금속마찰에 의한 쇳소리가 심하게 발생되어 주기적으로 교환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지만 아세탈 재질의 튜브 등을 적용할 경우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쇳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볼안내부(300)를 통해 볼공급부(200)로 다수 개의 골프공들(2)이 굴러오면 회전플레이트(210)의 볼삽입홈(211)에 골프공(2)이 삽입되며, 회전플레이트(2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골프공(2)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단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회전플레이트(210)의 상단 측으로 이동된 첫 번째 골프공(2)은 가이드플레이트(220)에 의해 대기영역(240)에 위치하게 되며, 다음으로 이동해온 두 번째 골프공(2)에 의해 밀려 티부재(110) 상측에 안착된다.
이때 티업부(100)는 하우징(10)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되어 있는 상태이며, 골프공(2)이 안착됨에 따라 볼감지센서(140)에서 골프공(2)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에서는 볼감지센서(1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410)를 정회전시키게 되고, 구동모터(410)의 정회전에 의해 제1편심회전축(430)이 회전하게 된다. 제1편심회전축(430)과 함께 제3승강부재(47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가이드돌기(471)가 제2슬라이딩홈(451)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제3승강부재(470)가 회전함에 따라 제2승강부재(450) 역시 제2편심회전축(46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한 쌍의 제1가이드돌기(132)가 제1슬라이딩홈(441)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승강부재(440) 및 승강몸체(13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티업부(100)가 상승되는 높이는 구동모터(410)의 회전량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제어부에 기입력된 값과 엔코더(420)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구동모터(41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기입력된 값만큼 구동모터(410)가 정회전하여 티업부(100)가 상승되면 사용자가 골프공(2)을 타격하게 되며, 골프공(2)이 티부재(110)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볼감지센서(14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에서는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모터(4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승강부재(440)와 제2승강부재(450) 및 제3승강부재(470)의 작동에 의해 티업부(100)가 하강하게 된다.
티업부(100)의 하강이 완료되면 위치감지센서(480)에서 이를 감지하여 회전플레이트(2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대기영역(240)에 위치하고 있던 골프공(2)이 티부재(11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100 : 티업부 110 : 티부재
120 : 고정부재 130 : 승강몸체
140 : 볼감지센서 150 : 가이드봉
200 : 볼공급부 210 : 회전플레이트
220 : 가이드플레이트 230 : 지지플레이트
240 : 대기영역 300 : 볼안내부
310 : 가이드라인 400 :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엔코더
440 : 제1승강부재 450 : 제2승강부재
470 : 제3승강부재 480 : 위치감지센서

Claims (7)

  1. 삭제
  2.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골프공을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지면 위로 올려주는 티업부;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티업부로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하는 볼공급부; 및
    상기 티업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티업부는,
    골프공이 안착되는 고무재질의 티부재와, 상기 티부재가 중심부에 장착되고 양단부에는 제1가이드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티부재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는 한 쌍의 승강홀이 각각 형성된 승강몸체와, 상기 한 쌍의 승강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한 쌍의 제1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승강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승강부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승강부재와 인접한 곳에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2승강부재와, 일측에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홈에 삽입되며 제2가이드돌기와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3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돌기, 제2가이드돌기, 승강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아세탈(Polyoxymethylene) 재질의 소음방지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되며 상기 티업부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공급부는,
    경사지게 구비되어 회전하며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볼삽입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단 측으로 이동해온 골프공의 이동방향을 상기 티업부 측으로 변경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경사지게 이격 구비되어 상기 볼삽입홈에 삽입된 골프공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티업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는 골프공이 대기할 수 있는 대기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의 골프공들을 상기 볼공급부로 안내하는 볼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안내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라인이 구비되어 다수 개의 골프공들이 서로 접촉에 의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업부에는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볼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볼감지센서에서 일정시간 이상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볼공급부가 역회전 하며,
    상기 볼공급부의 일측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골프공을 상기 볼공급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끼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티업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는,
    상기 골프공의 안착유무를 감지하는 볼감지센서와, 상기 티업부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정보를 측정하는 엔코더와, 상기 구동모터 및 볼공급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티업부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볼감지센서에서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볼공급부를 회전시켜 골프공을 공급하고, 상기 볼감지센서에서 골프공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정회전시켜 상기 티업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티업부가 상승된 상태에서 골프공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티업부를 하강시키되, 상기 엔코더에서 감지된 회전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7. 삭제
KR2020150007601U 2015-11-23 2015-11-23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80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1U KR200480032Y1 (ko) 2015-11-23 2015-11-23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1U KR200480032Y1 (ko) 2015-11-23 2015-11-23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32Y1 true KR200480032Y1 (ko) 2016-04-05

Family

ID=5579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01U KR200480032Y1 (ko) 2015-11-23 2015-11-23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3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109B1 (ko) 2016-11-21 2017-12-26 이병서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KR101841068B1 (ko) * 2016-11-04 2018-03-22 (주)조은정밀 골프공 집하 및 이송장치
KR101879814B1 (ko) * 2018-03-20 2018-07-19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KR20190049168A (ko)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8094A (ko)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8093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9981A (ko) 2018-07-20 2020-01-30 이종찬 골프공 티업장치
KR102099417B1 (ko) * 2019-08-26 2020-04-21 (주) 지앤네트웍스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86B1 (ko) * 2007-02-14 2007-12-06 조완제 경사형 드럼을 갖는 골프공 티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86B1 (ko) * 2007-02-14 2007-12-06 조완제 경사형 드럼을 갖는 골프공 티업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068B1 (ko) * 2016-11-04 2018-03-22 (주)조은정밀 골프공 집하 및 이송장치
KR101812109B1 (ko) 2016-11-21 2017-12-26 이병서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KR20190049168A (ko)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310B1 (ko) 2017-11-01 2019-08-26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경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8094A (ko)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58093A (ko)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311B1 (ko) * 2017-11-21 2019-08-26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연식구용 끼임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공 수집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5395B1 (ko) 2017-11-21 2019-11-0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9814B1 (ko) * 2018-03-20 2018-07-19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WO2019182291A1 (ko) * 2018-03-20 2019-09-26 남지현 오토 티업 장치
KR20200009981A (ko) 2018-07-20 2020-01-30 이종찬 골프공 티업장치
KR102099417B1 (ko) * 2019-08-26 2020-04-21 (주) 지앤네트웍스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US8840482B2 (en)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KR101235909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425052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104525B1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US3901515A (en) Automatic golf tee
US5351964A (en) Golf ball teeing device
KR100927366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이송 장치
US5718638A (en) Automatic golf ball teeing up device
KR200452395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US6666776B2 (en) Tee device for sport practice
KR200404892Y1 (ko)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KR20130132358A (ko)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KR1999001133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102154835B1 (ko) 회전 이동식 골프 지형이 구비된 골프 스크린 장치
CN107998639B (zh) 一种高尔夫自动出球机可调高度的分离式输送手臂结构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KR20100056166A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9990001962U (ko) 골프자동 퍼팅연습기
KR100329976B1 (ko) 실내골프연습장용 지정타석 지하에 설치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JP2595585Y2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0700107B1 (ko) 티 높이 조절 장치
KR102482832B1 (ko) 듀얼모터 타입의 골프공 수거장치
KR101181986B1 (ko) 골프공 매거진
CN112843665B (zh) 一种台球自动送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