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166A - 골프공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166A
KR20100056166A KR1020080115211A KR20080115211A KR20100056166A KR 20100056166 A KR20100056166 A KR 20100056166A KR 1020080115211 A KR1020080115211 A KR 1020080115211A KR 20080115211 A KR20080115211 A KR 20080115211A KR 20100056166 A KR20100056166 A KR 2010005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gate
tee
guid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문
유충렬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엑스텍
(주)세퍼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엑스텍, (주)세퍼스 시스템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166A/ko
Publication of KR2010005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골프공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이동하며, 상기 골프공이 하나씩 배출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끝단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골프공이동부, 상기 게이트를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수평왕복운동하도록 하는 게이트구동부로서, 제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정시간 후 상기 게이트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게이트구동부, 상기 골프공을 상면에 탑재하여 상승시키는 티와,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을 상기 티로 공급하는 골프공공급부 및 상기 티가 하강하면 상기 골프공공급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골프공 공급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프연습장이나 스크린골프장에서 이용자에게 골프공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골프는 대중 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저변 인구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첨단 자동화 시설을 갖춘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건설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멀리 필드까지 나가지 못하는 바쁜 현대인을 위해 스크린 골프라는 새로운 게임이 등장하고 그 이용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크린 골프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제 필드모습과 동일한 모습을 정면에 배치된 스크린에 보여주고 타석에서 이용자가 실제로 골프공을 치면 골프공이 날아가는 속도와 방향을 센싱하고 이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스크린에 실제로 공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현함으로써 실제 필드에 나가지 않더라도 그와 유사한 환경에서 골프를 즐길수 있도록 한 게임이다.
실내외 골프연습장이나 스크린골프 연습장에도 공통으로 있어야 하는 자동화 시설이 골프공 공급장치이다. 즉, 타석에 있는 이용자가 골프공을 치면 타석 아래 에서 티에 골프공이 올려진 상태로 자동으로 티가 지면의 아래에서 위로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이용자고 골프공을 칠수 있도록 해주는 자동장치이다.
골프공 공급장치는 이미 여러가지 형태로 연구를 거듭하여 실용화되어 있으며, 현재 실내외 골프연습장이나 스크린 골프장에도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티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이외에 티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가 필요하고, 티높이 조정기구 등의 여러가지 장치가 필요하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치 자체가 대형 중량체이므로 골프연습장이나 스크린골프 연습장의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고, 매설시 이에 따른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골프장 공급장치의 높이가 높아서 자연히 타석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매설시 높이가 높지 않아 타석의 높이를 다른 면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골프공을 정확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는 골프공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이동하며, 상기 골프공이 하나씩 배출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끝단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골프공이동부, 상기 게이트를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수평왕복운동하도록 하는 게이트구동부로서, 제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정시간 후 상기 게이트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게이트구동부, 상기 골프공을 상면에 탑재하여 상승시키는 티와,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을 상기 티로 공급하는 골프공공급부 및 상기 티가 하강하면 상기 골프공공급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상기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의 한쪽 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게이트를 수평왕복운동시키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는 게이트구동모터, 상기 게이트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ㄱ"자 형태로 꺽여져서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축을 보호하는 측판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측판에 장착되어 상기 게이트가 후진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후진거리신호를 발생하는 후진거리센서 및 상기 측판에 장착되어 상기 게이트가 전진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전진거리신호를 발생하는 전진거리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구동모터는 상기 전진거리신호와 후진거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을 수평왕복운동시키는 정도를 한정한다.
상기 몸체부의 상기 회전부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사면체 형상의 크로스가이드로서, 타단에 상기 티가 고정되고 양측면에 상기 티가 상승 및 하강하는 한계를 설정해주는 장공의 측면홀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가이드, 상기 제1지지부의 후면 양측으로 각각 배치 되는 한쌍의 제2지지부 및 상기 한쌍의 제2지지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측면홀을 관통하는 가이드샤프트의 양 끝단에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구동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구동가이드 중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는 끝단이 "ㄱ"자 형상으로 꺽여있고,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는 장공의 가이드홀이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티와 상기 가이드샤프트 사이의 상기 크로스가이드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로 레일이 형성된 막대바 형상의 레일가이드로서, 상기 티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티의 하단부에 고정된 커플러가 상기 레일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티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레일가이드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구동가이드 중 상기 회전구동부의 반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의 옆에, 상기 구동가이드가 상승하는 높이와 하강하는 높이를 각각 센싱하여 상승위치신호 및 하강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상승센서 및 하강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골프공공급부는 상기 골프공이동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공급샤프트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지지부, 상기 공급샤프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골프공을 받아서 상기 티로 공급하는 제1크랭크 및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상기 구동가이드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샤프트에 연결되며,상기 구동가이드의 끝단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이 몸체에 형성되는 제2크랭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가이드가 하강하면 상기 제1크랭크가 상승하여 상기 티에 상기 골프공이 공급되고, 상기 구동가이 드가 상승하면 상기 티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크랭크가 하강하여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을 받는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캠구동모터 및 상기 캠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의 가이드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는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티에 의해서 골프공이 올라가는 높이를 정확하게 한정할 수 있으며, 지하에 매설시 그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공 공급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100)는 골프공이동부(110), 게이트구동부(130), 몸체부(150) 및 회전구동부(170)를 구비한 다.
골프공이동부(110)는 골프공(B)이 일렬로 정렬되어 이동하며, 골프공(B)이 하나씩 배출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GT)가 삽입되는 삽입구(IG)가 끝단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삽입구(IG)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골프공이동부(110)는 3면이 막혀있는 막대바 형상으로 구성된다. 끝단 측면에 삽입구(IG)가 형성되고 삽입구(IG)로 게이트(GT)가 삽입되어 골프공(B)이 걸려있게되며, 게이트(GT)가 후진하면 골프공(B) 하나가 골프공이동부(110)의 끝단으로 떨어져서 대기하게 되고, 게이트(GT)가 다시 삽입구(IG)로 삽입되어 골프공(B)을 막는다.
게이트구동부(130)는 게이트(GT)를 삽입구(IG)를 통하여 수평왕복운동하도록 한다. 게이트구동부(130)는 제1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GT)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정시간 후 게이트(GT)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일방향이란 게이트(GT)가 삽입구(IG)로 삽입되어 골프공이동부(110)를 막는 방향을 말한다. 제1신호는 지면 위로 올라온 티 위의 골프공을 골퍼가 친 후, 새로운 골프공을 지면아래로 부터 상승시키기 위하여 골퍼가 주는 신호이다. 예를 들어, 골퍼는 지면위의 스위치 등을 누름으로 인하여 제1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1신호가 발생되면, 게이트(GT)가 후진되고 골프공이동부(110)에 대기중이던 골프공(B)이 골프공이동부(110)의 끝단으로 밀려내려가게된다.
그러면, 일정한 시간 후, 게이트(GT)가 다시 전진하여 골프공이동부(110)의 삽입구(IG)로 삽입되고 골프공이동부(110)가 막힌다. 제1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제어부가 게이트구동모터(GMT)를 제어하여 게이트(GT)가 후진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의 기능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게이트구동부(130)는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GT)의 한쪽 면에 형성된 톱니(131)와 맞물려 회전하며 게이트(GT)를 수평왕복운동시키는 제1기어(G1)와, 제1기어(G1)의 축에 연결되어 제1기어(G1)를 회전시키는 게이트구동모터(GMT)와, 게이트구동모터(GMT)가 장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ㄱ"자 형태로 꺽여져서 제1기어(G1) 및 제1기어(G1)의 축을 보호하는 측판을 구비하는 하우징(133)과, 측판에 장착되어 게이트(GT)가 후진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후진거리신호를 발생하는 후진거리센서(RS) 및 측판에 장착되어 게이트(GT)가 전진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전진거리신호를 발생하는 전진거리센서(FS)를 구비한다.
제1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구동모터(GMT)가 제1기어(G1)를 회전시키면 제1기어(G1)와 맞닿아 있는 게이트(GT)의 톱니(131)에 의하여 게이트(GT)가 후진한다. 게이트(GT)의 후진거리가 후진거리센서(RS)에 의해서 센싱되면 후진거리센서(RS)는 후진거리신호를 발생하여 게이트구동모터(GMT)로 전송한다.
그러면, 게이트구동모터(GMT)는 회전되는 제1기어(G1)를 멈추고, 다시 반대로 회전한다. 앞의 설명에서, 게이트(GT)가 열린 후, "일정한 시간" 후 다시 닫힌다는 것은 결국 후진거리센서(RS)로부터 후진거리신호가 발생될 때까지의 시간과 동일하다.
게이트구동모터(GMT)가 제1기어(G1)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게이트(GT)가 다 시 전진하고, 게이트(GT)의 전진거리가 전진거리센서(FS)에 의해서 센싱된다. 그러면 전진거리센서(FS)는 전진거리신호를 발생하여 게이트구동모터(GMT)로 전송하고, 게이트구동모터(GMT)는 회전을 멈춘다. 따라서, 게이트구동모터(GMT)는 전진거리신호와 후진거리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GT)를 수평왕복운동시키는 정도를 한정한다.
몸체부(150)는 티(T), 골프공공급부(151) 및 회전부(153)를 구비한다. 티(T)는 골프공(B)을 상면에 탑재하여 지면아래에서 지면위로 상승시킨다. 골프공공급부(151)는 게이트(GT)가 닫힌 후, 게이트(GT) 바깥쪽에 위치한 골프공(B)을 티(T)로 공급한다. 회전부(153)는 티(T)가 하강하면 골프공공급부(151)가 상승하도록 하여 골프공(B)을 티(T)의 상면으로 올려놓는다.
좀더 설명하면, 몸체부(150)의 회전부(153)는 제1지지부(155)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155)의 하단부에는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사면체 형상의 크로스가이드(CG)가 연결된다. 크로스가이드(CG)는 타단에 티(T)가 고정되고 양측면에 티(T)가 상승 및 하강하는 한계를 설정해주는 장공의 측면홀(157)이 형성된다. 제1지지부(155)는 도 1및 2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 형상의 장치로서 골프공 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지하의 상면에 고정된다.
제2지지부(159_1, 159_2)는 제1지지부(155)의 후면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며 한쌍으로 구성된다. 한쌍의 제2지지부(159_1, 159_2) 각각의 하단부에는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크로스가이드(CG)의 측면홀(157)을 관통하는 가이드샤프트(GST)의 양 끝단에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연결된다.
한쌍의 구동가이드(160_1, 160_2) 중 회전구동부(170) 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160_1)는 끝단이 "ㄱ"자 형상으로 꺽여있고, 회전구동부(170)와 연결되는 장공의 가이드홀(161)이 회전구동부(170)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160_1)의 측면에 형성된다.
회전구동부(170)에 의해서 한쌍의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한쌍의 구동가이드(160_1, 160_2) 양 끝단에 연결된 가이드샤프트(GST)에 의해서 크로스가이드(CG)도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크로스가이드(CG)의 끝단에 연결된 티(T) 지면위로 상승하거나 지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승 및 하강하는 정도는 크로스가이드(CG)의 측면홀(157)과 구동가이드(161_1)의 가이드홀(161)에 의해서 한계가 정해진다. 또한 후술되는 상승센서(US) 및 하강센서(DS)에 의해서 그 위치가 정밀하게 정해진다.
티(T)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하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도록 하기 위하여 막대바 형상의 레일가이드(163)가 더 구비된다.
레일가이드(163)는 티(T)와 가이드샤프트(GST) 사이의 크로스가이드(CG)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로 레일(163R)이 형성된다. 레일가이드(163)는 티(T)가 상승 및 하강할 때 티(T)의 하단부에 고정된 커플러(CC)가 레일(163R)에 연결됨으로써 티(T)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150)의 회전부(153)는 한쌍의 구동가이드(160_1, 160_2) 중 회전구동부(170)의 반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160_2)의 옆에,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상승하는 높이와 하강하는 높이를 각각 센싱하여 상승위치신호 및 하강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상승센서(US) 및 하강센서(DS)를 더 구비한다.
상승위치신호 및 하강위치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제어부가 회전구동부(170)의 캠구동모터(171)가 회전하는 정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의 기능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몸체부(150)의 골프공공급부(151)는 골프공이동부(110)의 끝단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공급샤프트(167)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지지부(165)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급샤프트(167)에는 제1크랭크(CR1) 및 제2크랭크(CR2)가 연결된다.
제1크랭크(CR1)는 일단이 공급샤프트(167)에 고정되고 타단이 골프공이동부(110)에서 배출되는 골프공(B)을 받아서 티(T)로 공급한다. 제2크랭크(CR2)는 회전구동부(170)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160_1)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공급샤프트(167)에 연결되며, 구동가이드(160_1)의 끝단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CRHL)이 몸체에 형성된다.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하강하면 구동가이드(160_1)의 끝단이 이동홀(CRHL)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2크랭크(CR2)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공급샤프트(167)에 연결된 제1크랭크(CR1)가 상승하면서 제1크랭크(CR1)에 골프공(B)이 얹혀지고 티(T)로 골프공(B)이 공급된다.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상승하면 골프공(B)이 얹혀져 있는 티(T)가 상 승하면서 제1크랭크(CR1)가 하강하게 되고, 골프공이동부(110)에서 배출되는 골프공(B)을 받을 준비가 되다.
도 1및 도 2에 개시된 것처럼, 골프공이동부(110)의 끝단면은 막혀있으나 제1크랭크(CR1)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201)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201)를 통해서 제1크랭크(CR1)가 상승하면서 골프공(B)을 티(T)로 공급한다.
회전구동부(170)는 몸체부(150)의 회전부(153)에 연결되어 회전부(153)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구동부(170)는 캠구동모터(171) 및 캠(173)을 구비한다.
캠(173)은 캠구동모터(171)와 회전구동부(170)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160_1)의 가이드홀(161)에 연결되어 회전부(15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캠구동모터(171)의 회전운동을 캠(173)은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며, 따라서 캠(173)에 연결된 회전부(153)가 상하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캠구동모터(171)는 상승센서(US) 및 하강센서(DS)에서 발생되는 상승위치신호와 하강위치신호에 응답하여 그 회전하는 정도가 정해지며,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된다. 캠구동모터(171)의 제어동작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회전구동부(170)는 캠구동모터(171)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엔코더는 캠구동모터(171)의 축의 회전수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엔코더로부터 캠구동모터(171)의 축의 회전수를 수신하고 회전수를 제어 할 수 있다. 따라서, 티(T)의 상승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티(T)의 스트로크 구간이 잔디 표면에서 55mm 정도인데, 이 구간을 모두 적용하여 골프공(B)을 티(T)에 로딩(loading)후 55mm 상승시켜 퍼팅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서는 잔디 표면으로 부터 30mm 또는 40mm 등 다양한 구간 높이를 설정하여 버팅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100)는 캠구동모터(171)의 축의 회전수에 따라 티(T)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간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캠구동모터(171)의 축이 1회전할때마다 티(T)를 2.5mm 간격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지면위의 스위치 등을 두번 누르면 티(T)가 5mm(2.5mmx2회) 하강하게되도록 설정된다고 하면, 차기 동작에는 티(T)가 50mm 까지만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가 버팅하게 된다.
만일 캠구동모터(171)의 축이 22회전하면 티(T)가 55mm 까지 최대한 상승하게 된다면, 티가 50mm까지만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엔코더는 캠구동모터(171)의 축이 20회전하는 것을 체크하여 제어부(미도시)로 회전수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회전구동부(170)의 캠구동모터(171)의 축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엔코더를 더 구비함으로써 티(T)의 높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엔코더(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의 구조는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 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9를 참조하여, 골그공 공급장치(100)가 골프공(B)을 지상으로 공급하는 동작이 설명된다.
도 3은 티(T)가 지상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골퍼가 티(T) 위의 골프공을 때린 직후의 상태이다. 골퍼가 스위치(미도시) 등을 통해 골프공(B)을 지상으로 올려줄것을 명령하는 제1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제어부(미도시)가 제1신호를 수신하여 게이트구동모터(GMT)를 제어한다.
도 4는 골프공이동부(110)에 대기중이던 골프공(B1)이 제1크랭크(CR1) 위에 얹혀진 상태를 설명한다. 즉, 게이트구동모터(GMT)는 제1신호에 응답하여 제1기어(G1)를 회전시키고, 제1기어(G1)는 게이트(GT)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골프공(B1)이 골프공이동부(110)의 끝단의 제1크랭크(CR1)로 굴러간다.
후진거리센서(RS)는 게이트(GT)가 후진한 거리를 센싱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게이트(GT)가 후진하면, 후진거리신호를 발생하여 게이트구동모터(GMT)가 반대방향으로 돌게 한다. 그러면, 게이트(GT)가 다시 골프공이동부(110)의 통로를 막게되어 골프공(B2)이 대기상태에 있게된다. 전진거리센서(FS)는 게이트(GT)가 전진한 거리를 센싱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게이트(GT)가 전진하면 게이트구동모터(GMT)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5 내지 7은 제1크랭크(CR1)에 얹혀진 골프공(B1)이 티(T)로 이동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동가이드(160_1)의 끝단이 제2크랭크(CR2)의 이동홀(CRHL)을 따라 하강한다.(도 5) 이때, 티(T)도 함께 하강한다.
그리고, 구동가이드(160_1)의 끝단이 제2크랭크(CR2)의 이동홀(CRHL)의 끝까지 오면 제2크랭크(CR2)가 구동가이드(160_1, 160_2)와 함께 하강하고 따라서 제1크랭크(CR1)가 상승한다.(도 6)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완전히 하강하면 제1크랭크(CR1)가 골프공(B1)을 티(T) 위로 올려 놓는다.(도 7)
도 8 및 9는 티(T)가 상승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구동가이드(160_1, 160_2)가 다시 상승하면 크로스가이드(CG)의 끝단에 형성된 티(T)도 함께 위로 상승한다. 구동가이드(160_1)의 끝단이 제2크랭크(CR2)의 이동홀(CRHL)을 따라 완전히 상승하면, 티(T)도 완전히 지면 위로 상승하여 정지한다. 그러면, 골퍼는 티(T) 위의 골프공을 때리고 다시 제1신호를 발생하면 도 3의 상태가 되어 도 3 내지 도 9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의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공 공급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골퍼가 티 위의 골프공을 때린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골프공이 제1크랭크 위에 얹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구동가이드의 끝단이 제2크랭크의 이동홀을 따라 하강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크랭크가 구동가이드와 함께 하강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크랭크가 골프공을 티 위로 올려 놓는 도면이다
도 8은 티가 상승중에 있는 도면이다.
도 9는 티가 완전히 지면 위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8)

  1. 골프공 공급장치에 있어서,
    골프공이 일렬로 정렬되어 이동하며, 상기 골프공이 하나씩 배출되도록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끝단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골프공이동부 ;
    상기 게이트를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수평왕복운동하도록 하는 게이트구동부로서, 제1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정시간 후 상기 게이트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게이트구동부 ;
    상기 골프공을 상면에 탑재하여 상승시키는 티와,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을 상기 티로 공급하는 골프공공급부 및 상기 티가 하강하면 상기 골프공공급부가 상승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 및
    상기 몸체부의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상기 수평왕복운동하는 게이트의 한쪽 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게이트를 수평왕복운동시키는 제1기어 ;
    상기 제1기어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는 게이트구동모터 ;
    상기 게이트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ㄱ"자 형태로 꺽여 져서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축을 보호하는 측판을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측판에 장착되어 상기 게이트가 후진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후진거리신호를 발생하는 후진거리센서 ; 및
    상기 측판에 장착되어 상기 게이트가 전진하는 거리를 센싱하여 전진거리신호를 발생하는 전진거리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구동모터는 상기 전진거리신호와 후진거리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을 수평왕복운동시키는 정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회전부는,
    제1지지부 ;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가 개구된 사면체 형상의 크로스가이드로서, 타단에 상기 티가 고정되고 양측면에 상기 티가 상승 및 하강하는 한계를 설정해주는 장공의 측면홀이 형성되는 상기 크로스가이드 ;
    상기 제1지지부의 후면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제2지지부 ; 및
    상기 한쌍의 제2지지부 각각의 하단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측면홀을 관통하는 가이드샤프트의 양 끝단에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구동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구동가이드 중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는 끝단이 "ㄱ"자 형상으로 꺽여있고, 상기 회전구동부와 연결되는 장공의 가이드홀이 상 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와 상기 가이드샤프트 사이의 상기 크로스가이드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하로 레일이 형성된 막대바 형상의 레일가이드로서, 상기 티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상기 티의 하단부에 고정된 커플러가 상기 레일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티가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레일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구동가이드 중 상기 회전구동부의 반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의 옆에, 상기 구동가이드가 상승하는 높이와 하강하는 높이를 각각 센싱하여 상승위치신호 및 하강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상승센서 및 하강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골프공공급부는,
    상기 골프공이동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공급샤프트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3지지부 ;
    상기 공급샤프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골프공을 받아서 상기 티로 공급하는 제1크랭크 ; 및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상기 구동가이드의 끝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샤프트에 연결되며,상기 구동가이드의 끝단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이 몸체에 형성되는 제2크랭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가이드가 하강하면 상기 제1크랭크가 상승하여 상기 티에 상기 골프공이 공급되고, 상기 구동가이드가 상승하면 상기 티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크랭크가 하강하여 상기 골프공이동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캠구동모터 ; 및
    상기 캠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부측에 형성된 구동가이드의 가이드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캠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KR1020080115211A 2008-11-19 2008-11-19 골프공 공급장치 KR20100056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11A KR20100056166A (ko) 2008-11-19 2008-11-19 골프공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11A KR20100056166A (ko) 2008-11-19 2008-11-19 골프공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166A true KR20100056166A (ko) 2010-05-27

Family

ID=4228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211A KR20100056166A (ko) 2008-11-19 2008-11-19 골프공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1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73B1 (ko) * 2011-01-19 2011-05-03 박종환 크랭크타입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477420Y1 (ko) * 2013-10-02 2015-06-09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골프공 이송 장치
KR101941895B1 (ko) * 2017-12-29 2019-01-31 ㈜에스엠이엔지텍 골프공 티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73B1 (ko) * 2011-01-19 2011-05-03 박종환 크랭크타입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477420Y1 (ko) * 2013-10-02 2015-06-09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골프공 이송 장치
KR101941895B1 (ko) * 2017-12-29 2019-01-31 ㈜에스엠이엔지텍 골프공 티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200480032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JP5485340B2 (ja)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US5672124A (en)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KR20100056166A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0062315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14507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220934B1 (ko) 자동 타격 연습장치
JPH0956865A (ja) ティーアップ装置
KR20110013112A (ko) 골프 연습기의 볼 공급장치
KR101252361B1 (ko) 골프연습기
KR20170000342U (ko) 배팅 연습장치
CA2334130A1 (en) Golf ball placement device
KR200404892Y1 (ko)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KR101192933B1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KR101180189B1 (ko) 골프연습기
KR100506155B1 (ko) 골프공 공급 장치
KR20130000505U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930007417Y1 (ko) 골프공 자동 공급기
KR19990001962U (ko) 골프자동 퍼팅연습기
JP5394553B1 (ja) ゴルフ練習支援システム
KR20110082498A (ko) 펀치볼 게임기
KR200370842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20220033780A (ko) 골프공 티업기
JP2021053352A (ja) 構造が簡単なボール供給一体型オートティーアッ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