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05U -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05U
KR20130000505U KR2020110006328U KR20110006328U KR20130000505U KR 20130000505 U KR20130000505 U KR 20130000505U KR 2020110006328 U KR2020110006328 U KR 2020110006328U KR 20110006328 U KR20110006328 U KR 20110006328U KR 20130000505 U KR20130000505 U KR 201300005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elevating
ball
tee
fee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익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골프기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골프기기산업 filed Critical (주)에스엠골프기기산업
Priority to KR2020110006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505U/ko
Publication of KR20130000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볼 인출구(14a)를 가지는 본체(100)와; 골프공(B)이 수납되는 골프공 저장부재(20)와; 골프공(B)을 볼 인출구(14a)를 통해 인출시키도록 티 부재(33)와 승하강 블록(320)을 가지는 승하강 부재(300)와; 모터(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골프공(B)을 승하강 부재(300)로 이송하거나, 승하강 부재(300)를 승강시키는 반원 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400)와; 골프공(B)의 티 부재(33)에의 안착 유무 또는 승하강 블록(320)의 하강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71)(72)와; 상기 센서(71,72)의 감지 신호에 따라 모터(50)의 회전 방향 및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3)를 포함하되, 본체(100)는 볼 인출구(14a)와 이송되는 골프공(B)의 과다 이송을 방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스톱퍼 바(102)를 가지는 상측 프레임(14)과, "ㄱ"자 형상의 측면 프레임(112,114)과, "ㄹ"자 형상의 하측 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직사각형 함체(200)의 바닥에 형성된 원통돌출부(220)에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돌출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구성이 콤팩트하고, 함체의 높이와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함체의 매립을 위해 콘크리트 바닥을 함체 바닥에 맞추에 절개할 필요없이 원통돌출부만을 코어 천공하고, 이 코어부에 원통돌출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함체를 매립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골프공 자동공급장치{AUTOMATIC SUPPLY APPARATUS OF GOLF BALL}
본 고안은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연습장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골프채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골프공을 차례로 자동 공급할 수 있되, 콤팩트한 구성에 의해 시공이 간편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란 작고 둥근 공을 쳐서 원하는 홀 안에 적은 횟수의 타격으로 집어 넣어 승부를 가리는 스포츠로서, 폭넓은 층의 인기를 얻고 있는 종목이다.
이러한 골프를 즐기기 위하여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쳐서 원하는 거리에 안착시키는 기술이 매우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야외 골프장을 나가기 전에 실내나 야외에 설치된 골프연습장에서 연습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골프연습장에서 사용자에게 골프공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장치가 소위 티업장치라고도 불리는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이다.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사용자가 일일이 골프공을 티 위에 손으로 올려 놓을 필요가 없이 지면 밑으로부터 골프공을 자동으로 공급받아 튜브 형상의 탄성체 등으로 제작된 티 부재 위의 골프공을 지상으로 자동으로 올려 놓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최근까지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종래의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는 모터와 골프공을 티 부재에 퍼 올리는 골프공 이송부재가 벨트 또는 링크 등으로 연결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송부재에 의해 티 부재로 골프공을 공급하여 사용자가 타격하기 위한 지상까지 골프공이 올려지는 과정이 오랜 시간을 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가 커지게 되고 골프연습장에서의 설치시 제약이 따르고,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등 큰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6905호에 개시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11,12,13,14)들로 구성되고 상측 프레임(14)에 골프공(B)이 인출되는 볼 인출구(14a)를 가지는 본체(10)와; 내측에 골프공(B)이 수납되는 골프공 저장부재(20)와; 복수의 가이드(31)와, 이 가이드(31)들을 따라 승, 하강되는 승하강 블록(32)과, 골프공 이송부재(40)에 의해 이송된 골프공(B)이 경사면(12a)을 따라 이송되어 상단에 안착되는 티 부재(33)와, 복수의 가이드(31) 하부에 각각 체결되어 승하강 블록(32)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34)로 이루어져서, 골프공(B)이 실린 상태로 승강되어 상기 골프공(B)을 상기 볼 인출구(14a)를 통해 인출시키는 승하강 부재(30)와; 모터(50)의 구동축(5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즉시 상기 골프공 저장부재(20) 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골프공(B)을 상기 승하강 부재(30)로 이송하거나, 상기 승하강 부재(30) 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승하강 부재(30)를 승강시키는 반원 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40)와; 티 부재(33)에 안착되는 골프공(B)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71)와; 승하강 블록(32)이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72)와; 상기 센서(71,72)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모터(5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3)를 포함함에 따라, 콘트롤장치(80)의 업(up)/다운(down) 스위치(81,82)의 조작에 의해 골프공을 티 부재에 공급하여 사용자의 타격을 위한 볼 인출구로 인출하여 지상으로 위치시키는 과정이 매우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골프공 이송부재와 모터의 구동축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부재들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직사각형의 함체(90)내에 수납되어 티샷위치에 시공되는 바, 먼저 소정의 티샷위치에 시공된 콘크리트 바닥을 함체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으로 절개한 다음, 직사각형의 함체를 매립하고, 매립된 함체에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를 수납시켰지만, 장치 및 함체의 부피가 너무 커서 콘트리트 바닥의 절개가 어렵고, 또한 구조적으로 절개가 불가능할 수 있는 시공상의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성에 의해 시공이 간편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볼 인출구를 가지는 본체와; 내측에 골프공이 수납되는 골프공 저장부재와; 골프공을 볼 인출구를 통해 인출시키도록 티 부재와 승하강 블록을 가지는 승하강 부재와; 모터의 구동축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즉시 골프공 저장부재 측으로 회전되면서 골프공을 승하강 부재로 이송하거나, 승하강 부재 측으로 회전되면서 승하강 부재를 승강시키는 반원 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와; 티 부재에 안착되는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승하강 블록이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본체는 골프공이 인출되는 볼 인출구와 이송되는 골프공의 과다 이송을 방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스톱퍼 바를 가지는 상측 프레임과, "ㄱ"자 형상의 측면 프레임과, "ㄹ"자 형상의 하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직사각형 함체의 바닥에 형성된 원통돌출부에 하측 프레임의 돌출부분이 삽입된다.
하측 프레임은 바닥을 이루는 제 1 수평부와, 제 1 수평부의 상측에 평행한 제 2 수평부와, 제 1 및 제 2 수평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제 2 수평부와 수직부가 만나는 절곡부에는 골프공 이송부재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개방부를 포함한다.
제 1 수평부의 선단에는 스톱퍼 돌기를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승하강 블록에는 승하강 블록의 승강 시, 상측 프레임으로부터 하향하여 나사결합된 한 쌍의 스톱퍼 바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측 프레임을 "ㄹ"자 형상으로 하여 본체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임에 따라 구성이 콤팩트하고, 하측 프레임의 돌출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원통돌출부를 함체의 바닥에 형성함에 따라, 함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함체의 매립을 위해 콘크리트 바닥을 함체 바닥에 맞추에 절개할 필요없이 원통돌출부만을 코어 천공하고, 이 코어부에 원통돌출부를 삽입하는 것으로 함체를 매립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가 함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 함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였고, 설명의 편의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자동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 장치가 함체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볼 인출구(14a)를 가지는 본체(100)와; 내측에 골프공(B)이 수납되는 골프공 저장부재(20)와; 골프공(B)을 볼 인출구(14a)를 통해 인출시키는 승하강 부재(300)와; 모터(50)의 구동축(5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즉시 골프공 저장부재(20) 측으로 회전되면서 골프공(B)을 승하강 부재(300)로 이송하거나, 승하강 부재(300) 측으로 회전되면서 승하강 부재(300)를 승강시키는 반원 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400)와; 티 부재(33)에 안착되는 골프공(B)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71)와; 승하강 블록(320)이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72)와; 상기 센서(71,72)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모터(5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3)를 포함함에 따라, 콘트롤장치(80)의 업(up)/다운(down) 스위치(81,82)의 조작에 의해 골프공(B)을 티 부재(33)에 공급하여 사용자의 타격을 위한 볼 인출구(14a)로 인출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본체(100)는 상측 프레임(14)에 골프공(B)이 인출되는 볼 인출구(14a)를 가지며, 또한, 그 하면에 티 부재(33)에 안착되고자 골프공 이송부재(400)에 의해 이송되는 골프공(B)의 과다 이송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스톱퍼 바(102)가 나사결합되며, 하측 프레임(130)을 "ㄹ"자 형상을 구성한다. 즉 하측 프레임(130)은 바닥을 이루는 제 1 수평부(132)와, 제 1 수평부(132)의 상측에 평행한 제 2 수평부(134)와, 제 1 및 제 2 수평부(132)(134)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부(136)로 이루어지며, 제 2 수평부(134)와 수직부(136)가 만나는 절곡부에는 반원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400)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개방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수평부(132)의 선단에는 스톱퍼 돌기(140)를 소정의 높이로 돌출시켜 승하강 블록(320)의 하강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스톱퍼의 조립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하측 프레임(130)의 형상에 따라 측면 프레임(111(도시하지 않음),112)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본체의 전체적인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측면 프레임(111,112) 사이에는 골프공 저장부재(20)의 개방된 선단과 근접하는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골프공 이송부재(400)에 의한 골프공(B)의 이송 시 경사면(12a)을 따라 티 부재(33)의 상단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하강 부재(300)는 복수의 가이드(31)와, 이 가이드(31)들을 따라 승, 하강되는 승하강 블록(320)과, 골프공 이송부재(400)에 의해 이송된 골프공(B)이 상단에 안착되는 티 부재(33)로 이루어져서, 골프공(B)이 실린 상태로 승강되어 상기 골프공(B)을 상기 볼 인출구(14a)를 통해 인출시킬 수 있다.
모터(50) 구동축(5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골프공 이송부재(4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골프공 저장부재(20)에 저장된 최선의 골프공이 승하강 부재(300)의 티 부재(33)상에 안착되고, 또한 승하강 블록(320)은 가이드(31)에 안내되어 승하강한다. 하지만, 승하강 블록(320)의 승강 시, 골프공 이송부재(400)에 의해 이송되는 골프공(B)의 과다 이송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스톱퍼 바(102)가 상측 프레임(14)으로부터 하향하여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때의 스톱퍼 바(102)와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승하강 블록(320)에는 승하강 블록(320)의 승강 시, 상측 프레임(14)으로부터 하향하여 나사결합된 한 쌍의 스톱퍼 바(102)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322)이 제공된다.
반원 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400)는 승하강 블록(320)을 향하여 더 연장된 연장부(43)를 가지며, 이 연장부(43)에 승하강 블록(320)의 승하강 시, 승하강 블록(320)이 원활하게 승하강되도록 승하강 블록(320)과 접촉되는 롤러(44)가 구비되며, 연장부(43)의 반대쪽에 골프공 저장부재(20)에 저장된 최선의 골프공을 승하강 부재(300)의 티 부재(33)상에 안착 시, 골프공이 원활하게 티 부재(33)상에 안착되도록 골프공과 접촉되는 롤러(420)가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의 함체(200)에 수납되어 티샷위치에 시공된 콘크리트 바닥에 매립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200)는 그 바닥에 원통돌출부(220)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며, 이 원통돌출부(220)에 하측 프레임(130)의 돌출부분, 즉 "ㄹ"자 형상의 하측 프레임(130)의 제 1 수평부(132)와, 개방부(138)를 포함하는 수직부(136)가 삽입된다.
원통돌출부(220)에도 개방부(130)에 의해 노출되는 골프공 이송부재(400)를 위해 개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의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는 함체(200)의 높이 및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바닥을 함체 바닥에 맞추어 절개할 필요없이 원통돌출부(220)의 부분만을 코어 천공하고, 이 코어부에 함체(200)의 원통돌출부(220)를 삽입하는 것으로 함체의 매립이 달성되므로, 시공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 본체 102 : 스톱퍼 바
112, 114 : 측면 프레임 130 : 하측 프레임
132 : 제 1 수평부 134 : 제 2 수평부
136 : 수직부 138 : 개방부
140 : 스톱퍼 돌기 200 : 함체
220 : 삽입부 320 : 승하강 블록
322 : 관통공 400 : 골프공 이송부재
420 : 롤러

Claims (4)

  1. 골프공 자동공급장치로서,
    볼 인출구(14a)를 가지는 본체(100)와;
    내측에 상기 골프공(B)이 수납되는 골프공 저장부재(20)와;
    상기 골프공(B)을 상기 볼 인출구(14a)를 통해 인출시키도록 상기 골프공(B)을 상부에 안착하는 티 부재(33)와 승하강 블록(320)을 가지는 승하강 부재(300)와;
    모터(50)의 구동축(51)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즉시 상기 골프공 저장부재(20) 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골프공(B)을 상기 승하강 부재(300)로 이송하거나, 상기 승하강 부재(300) 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승하강 부재(300)를 승강시키는 반원 형상의 골프공 이송부재(400)와;
    상기 티 부재(33)에 안착되는 상기 골프공(B)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센서(71)와;
    상기 승하강 블록(320)이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72)와;
    상기 센서(71,72)들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5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73)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골프공(B)이 인출되는 상기 볼 인출구(14a)와 이송되는 상기 골프공(B)의 과다 이송을 방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스톱퍼 바(102)를 가지는 상측 프레임(14)과, "ㄱ"자 형상의 측면 프레임(112,114)과, "ㄹ"자 형상의 하측 프레임(130)으로 구성되어, 직사각형 함체(200)의 바닥에 형성된 원통돌출부(220)에 상기 하측 프레임(130)의 돌출부분이 삽입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130)은 바닥을 이루는 제 1 수평부(132)와, 상기 제 1 수평부(132)의 상측에 평행한 제 2 수평부(134)와,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부(132)(134)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부(1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수평부(134)와 수직부(136)가 만나는 절곡부에는 상기 골프공 이송부재(400)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개방부(138)를 포함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부(132)의 선단에는 스톱퍼 돌기(140)를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블록(320)에는 상기 승하강 블록(320)의 승강 시, 상기 상측 프레임(14)으로부터 하향하여 나사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스톱퍼 바(102)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322)이 제공되는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20110006328U 2011-07-12 2011-07-12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1300005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28U KR20130000505U (ko) 2011-07-12 2011-07-12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28U KR20130000505U (ko) 2011-07-12 2011-07-12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05U true KR20130000505U (ko) 2013-01-22

Family

ID=5242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328U KR20130000505U (ko) 2011-07-12 2011-07-12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5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48B1 (ko) * 2013-06-28 2015-04-06 (주)줌테크 상하 층간 높이를 줄일 수 있는 골프공 티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548B1 (ko) * 2013-06-28 2015-04-06 (주)줌테크 상하 층간 높이를 줄일 수 있는 골프공 티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8638B2 (ja)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KR101235909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JP5485340B2 (ja)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KR101924480B1 (ko) 볼 공급기 일체형 오토 티업기
KR101104525B1 (ko) 골프공자동공급장치
KR20130000505U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1992681B1 (ko) 퍼팅 연습장치
KR101504542B1 (ko)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941895B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137736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 장치
KR101265516B1 (ko) 골프공 오토티업장치
KR101256835B1 (ko) 골프연습용 골프공 자동공급기
KR20100056166A (ko) 골프공 공급장치
KR200431940Y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101252361B1 (ko) 골프연습기
JP5177415B2 (ja)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KR10110885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200446905Y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1416856B1 (ko) 골프공 티업장치
KR20150097993A (ko) 골프 매트 시스템
KR101208092B1 (ko) 연습용 골프공 공급장치
KR101447915B1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01192933B1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JPH1033739A (ja)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KR20100001978U (ko) 골프공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