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542B1 -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542B1
KR101504542B1 KR1020130014714A KR20130014714A KR101504542B1 KR 101504542 B1 KR101504542 B1 KR 101504542B1 KR 1020130014714 A KR1020130014714 A KR 1020130014714A KR 20130014714 A KR20130014714 A KR 20130014714A KR 101504542 B1 KR101504542 B1 KR 10150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hooting
lifting
desce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256A (ko
Inventor
이정훈
김민광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3001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542B1/ko
Priority to PCT/KR2014/001026 priority patent/WO2014123371A1/ko
Publication of KR2014010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hut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에서 타석으로 볼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볼 공급 시스템을 통해 타석 설치 부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층고가 어느 정도 낮은 장소에도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의 설치가 가능하고 티 업 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치가 아닌 저가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타석에서 어느 정도 거리에 떨어져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타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타석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는,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이송 구동수단; 및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위쪽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위쪽으로 이송되는 볼이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SHOOTING TYPE BALL-SUPPLYING DEVICE, BALL-SHOOTER USED TO THE SAME AND SCREEN GOLF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연습장이나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골퍼가 볼을 타격할 수 있도록 타석 쪽의 소정의 위치에 볼을 공급하도록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이나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골퍼는 골프볼을 골프 클럽으로 직접 타격함으로써 골프 연습이나 가상 골프를 즐기는데, 이때 골퍼가 볼을 타격한 후에 다른 볼을 자동으로 타격 위치로 공급하는 볼 공급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골퍼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골프볼의 공급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암(Arm)이 볼 하나를 파지하여 티 위에 놓거나 골프 매트 위에 놓음으로써 볼을 공급하는 방식과, 티 자체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하여 하강한 티 위에 볼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티를 상승시킴으로써 티 위에 볼이 놓인채로 볼을 공급하는 티 업(Tee-Up) 방식이다.
암을 이용하여 볼을 파지하여 회전함으로써 볼을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 타석 주변에 장착하므로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뿐더러 타격시 걸리적거리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티 업 방식의 볼 공급장치를 타석 아래쪽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예가 상당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볼 공급 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인데(볼 공급 시스템은 골프 연습장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스크린 골프 부스의 바닥은 전방의 스크린(10) 바로 아래 쪽의 경사면 부분(20)과 상기 경사면 부분(20)의 후방 쪽의 타석 설치 부분(30)으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사용자는 타석 설치 부분(30)의 타석(40)에서 골프매트(50) 상에 놓인 골프공을 전방의 스크린(10)을 향하여 타격하고, 타격되어 날아가는 골프공(1)은 스크린(10)에 맞고 경사면 부분(20)을 따라 볼 회수기(60) 쪽으로 모이게 된다.
볼 회수기(60)는 이와 같이 모인 골프공(1)을 이송관(62)을 통해 타석(40) 바로 아래쪽에 설치된 티 업 장치(70)로 이송하고, 상기 티 업 장치(70)는 골프티(72)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하면서 골프공을 하나씩 골프매트(50) 위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번호 2는 시뮬레이터를 나타내고 도면번호 32는 볼 회수기(60)가 설치되는 부분의 덮개 부분이다.
그런데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 및 골프공의 충돌 등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높이 이상의 전체 층고가 필요하다. 도 1의 경우 전체적인 층고가 x, 타석 설치 부분의 높이가 y라면 x-y가 일정 수준(이를 z라 하기로 한다. 즉 x-y는 z 이상의 높이가 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확보가 되는 장소의 경우에만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석(40) 아래쪽에 티 업 장치(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티 업 장치(70) 자체가 어느 정도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전체적인 타석 설치 부분(30)의 높이(h)를 크게 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상기한 z의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층고(d)가 상당히 높은 장소이어야만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층고가 낮은 장소의 경우에는 타석 설치 부분(30)의 높이에 따른 제한으로 말미암아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을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에서 타석으로 볼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볼 공급 시스템을 통해 타석 설치 부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층고가 어느 정도 낮은 장소에도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의 설치가 가능하고 티 업 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치가 아닌 저가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타석에서 어느 정도 거리에 떨어져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타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타석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는,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이송 구동수단; 및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위쪽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위쪽으로 이송되는 볼이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슈터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와,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은, 유입되는 볼을 구동하여 상기 볼 상승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볼 회수기와, 상기 볼 회수기와 연결되어 상기 볼 회수기에서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을 가이드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상기 볼 상승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은, 다수의 볼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볼 박스와, 상기 볼 박스에 수납된 볼을 상기 볼 상승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볼 공급수납장치와, 상기 볼 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을 가이드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상기 볼 상승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상승부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상승부재와,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는 볼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볼 터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상승부는,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볼이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경사방향의 끝에서 이송되는 볼이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볼 상승부로부터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특정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타석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는,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이송 구동수단; 및 상기 이송되는 볼에 대한 구동력을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며 상기 전환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시켜 상기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이 타석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볼 슈터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 및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상승부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상승부재와,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는 볼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볼 터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상승부는,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볼이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경사방향의 끝에서 이송되는 볼이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상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볼 상승부로부터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특정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터닝부재는,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몸체부와,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볼이 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토출홀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와 상기 토출홀부를 연결하며 볼의 진행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굴곡되어 형성되는 터닝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슈팅부재는,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슈팅연결부와, 상기 볼 하강부재를 통해 하강하는 볼이 특정 방향을 향하여 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슈팅홀부와, 상기 슈팅연결부와 상기 슈팅홀부를 연결하며 볼의 진행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굴곡되어 형성되는 슈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에서 타석으로 볼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볼 공급 시스템을 통해 타석 설치 부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층고가 어느 정도 낮은 장소에도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의 설치가 가능하고 티 업 장치와 같은 고가의 장치가 아닌 저가로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타석에서 어느 정도 거리에 떨어져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타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티 업 장치에 의한 볼 공급 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가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설치된 슈팅타입 볼 공급기를 분리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 회수기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볼 슈터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슈터의 구성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가 설치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가 설치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슈팅타입 볼 공급기를 따로 분리하여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의 기본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가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설치된 슈팅타입 볼 공급기를 분리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는 기본적으로 볼을 이송시키도록 하는 볼 이송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볼 회수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발명에 따른 볼 공급기가 설치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전방의 스크린(100) 아래 쪽에 타석(310) 쪽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 부분(200)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부분(200)의 후방쪽에 타석 설치 부분(300)이 설치되며, 상기 타석 설치 부분(300)에 사용자가 올라서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타석(310)이 설치되고 상기 타석(310)의 일측에 볼이 놓이는 골프 매트(320)가 설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은 스크린(100)에 맞고 경사면 부분(200)에 의해 굴러서 볼 회수기(400)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볼 회수기(400)가 이와 같이 회수되는 볼들을 이송하여 볼 슈터(500)를 통해 타석 쪽에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볼 회수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석 설치 부분(300)의 아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볼 회수기는 경사면 부분(200)의 아래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에 대한 구동력을 위치에너지로 전화시켰다가 이를 다시 운동에너지로 전환시켜 그 볼이 타석 쪽으로 운동하여 타석상의 일정 범위 내에 멈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즉 볼이 볼 슈터로부터 타석 쪽으로 슈팅(Shooting)되어 굴러서 타석상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볼 공급기는, 볼 회수기(400)와, 볼 슈터(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 슈터(500)는 볼(1)이 위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볼의 이송에 따른 구동력을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고 맨 위쪽에 도달한 볼(1)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시키며, 하강하는 볼(1)의 진행 방향이 타석(310) 쪽, 좀 더 엄밀히 말하면 타석(310) 일측의 골프 매트(320) 상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운동하는 볼이 골프 매트(320) 상의 소정 지점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볼 슈터(500)에서 볼이 상승하는 높이 또는 볼이 하강하는 높이는 볼이 슈팅되어 나아갈 수 있는 거리와 비례하기 때문에 볼 슈터(500)와 골프 매트(320)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볼 슈터(500)의 볼이 상승하는 높이 또는 볼이 하강하는 높이를 조정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경우 벽면 일측에 볼 슈터(500)가 설치되는 것이 외관상 좋기 때문에 그로부터 골프 매트(320)와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볼 슈터(500)의 볼의 상승 높이 또는 하강 높이를 조정하여 설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슈터(500)는, 볼 회수기(400)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510)와, 상기 볼 상승부(510)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골프 매트(320)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볼 회수기(400)와 볼 상승부(510)는 이송관(430) 및 연결관(512)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볼 슈터(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석 설치 부분(300) 위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타석 설치 부분(300)의 높이(h1)를 낮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에 티 업 장치를 타석 아래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더 낮게 타석 설치 부분(300)을 시공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층고(D)가 낮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번호 410은 회수되는 볼(1)이 볼 회수기(400)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430)과 연결관(512), 볼 상승부(510)는 항상 볼(1)이 가득 차 있는 상태가 되어 상기 볼 회수기(400)가 그 내부의 구동장치(미도시)를 통해 볼을 밀면서 그 내부에 가득 차 있는 볼(1)이 밀리면서 이송되는 방식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볼 회수기(400)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회수기(400)는 하우징(401) 내부에 볼(1)을 이송시키도록 하는 구동장치가 장착되는데, 상기 구동장치는 하우징(40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2)와 상기 구동모터(40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450)는 상기 구동모터(40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축(452)과 상기 스크류축(452)의 외면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류날개(4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판(410)을 따라 유입되는 볼(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날개(454) 사이에 안착이 되고 스크류부재(450)가 구동모터(402)에 의해 회전하면서 볼(1)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어 출구부(403)를 빠져나가 이송관(430)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슈터(500)의 구성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슈터(500)는 볼 상승부(510)와 볼 슈팅부(5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연결관(512)은 이송관(430)으로부터 상기 볼 상승부(510)가 위쪽으로 볼(1)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상승부(510)는 볼(1)이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상승부재(511)와, 상기 볼 상승부재(5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이를 따라 상승하는 볼의 방향을 전환하여 볼 슈팅부(520) 상단의 유입홀(522)로 가이드하는 볼 터닝부재(5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상승부재(511)는 연결관(512)에 의해 이송관(430)과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그 상단에 구비되는 볼 터닝부재(514)는 상기 볼 상승부재(511)의 상단으로부터 볼 슈팅부(520) 상단의 유입홀(522) 쪽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볼이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상기 볼 터닝부재(514)에 의해 진행방향이 자연스럽게 볼 슈팅부(520) 상단의 유입홀(522) 쪽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 터닝부재(5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상승부재(5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몸체부(513)와, 볼 슈팅부(520) 상단의 유입홀(522)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볼(1)이 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토출홀부(515)와, 상기 연결몸체부(513)와 상기 토출홀부(515)를 연결하며 볼(1)의 진행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굴곡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터닝가이드부(5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 상승부재(511)와 볼 터닝부재(514)를 나사결합이나 억지끼움 결합 등의 간단히 결합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볼 터닝부재(5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바 형태의 터닝가이드부(516) 복수개를 이용하여 누드 타입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굴곡진 관의 형태인 솔리드 타입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볼 슈팅부(520)는, 상단에 유입홀(522)이 형성되며 볼 터닝부재(514)로부터 넘어온 볼(1)이 상기 유입홀(522)로부터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521)와, 상기 볼 하강부재(52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521)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특정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524)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 하강부재(521)는 볼 상승부재(511)와 나란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볼 터닝부재(514)로부터 넘어오는 볼(1)이 자연스럽게 상기 볼 상승부재(511) 상단의 유입홀(52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당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슈팅부재(524)는 상기 볼 하강부재(521)의 하단으로부터 타석 쪽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되어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521)를 따라 하강하다가 상기 볼 슈팅부재(524)에 의해 진행방향이 자연스럽게 타석 쪽으로 전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 슈팅부재(5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하강부재(521)의 하단에 결합되는 슈팅연결부(523)와, 볼 하강부재(521)를 통해 하강하는 볼이 특정 방향, 즉 타석 쪽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홀을 형성하는 슈팅홀부(525)와, 상기 슈팅연결부(523)와 상기 슈팅홀부(525)를 연결하며 볼(1)의 진행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굴곡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슈팅가이드부(5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슈터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볼이 볼 상승부재(511)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볼 터닝부재(514)를 따라 방향이 전환되어 볼 하강부재(521)로 볼이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었는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볼 상승부(510)가 볼 하강부재(521)상단의 유입홀(522)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볼이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경사방향의 끝에서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521) 상단의 유입홀(522)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상승부재(517)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볼 상승부(510)를 경사상승부재(517)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볼 터닝부재(514)가 상기 경사상승부재(517)의 상단에 구비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즉 경사상승부재(517)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을 경사 방향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상기 경사상승부재(517)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홀(518)에서 볼의 진행방향이 전환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볼(1)이 볼 하강부재(521) 상단의 유입홀(522)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터닝부재가 상단홀(518) 쪽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볼 슈팅부(520)에 관한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를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타석 설치 부분을 상당히 낮게 구현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층고가 낮은 장소에도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데(도 2 참조), 도 7 및 도 8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타석 설치 부분을 더 낮게 구현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가 설치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볼 회수기가 타석 설치 부분(300)의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타석 설치 부분(300)의 높이에 있어서 볼 회수기(400)가 설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밖에 없었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경우에는 스크린 골프 부스의 바닥면의 경사면 부분(200) 아래에 볼 회수기(400)를 설치하고 이송관(430)으로 볼 슈터(500)와 연결함으로써 타석 설치 부분(300)은 볼 회수기(400)가 설치되는 것조차 고려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그 높이(H2)를 더욱 낮게 구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부분(200)의 아래에 볼이 수렴하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공간(S) 내에 볼 회수기(400)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볼 회수기(400)를 타석 설치 부분(300)이 아닌 경사면 부분(200) 아래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슈팅타입 볼 공급기가 설치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슈팅타입 볼 공급기를 따로 분리하여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볼 회수기가 스크린 골프 부스의 바닥면의 경사면 부분(200) 아래에 볼 회수기(400)를 설치하고 이송관(430)으로 볼 슈터(500)와 연결하는 구성이었으나,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볼 회수기 대신 볼 공급수납장치(600)를 타석 설치 부분(300)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송관(430)을 볼 슈터(500)와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볼 회수기를 설치하는 공간을 고려할 필요조차 없게 됨으로써 타석 설치 부분(300)의 높이를 더욱 낮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볼 공급수납장치(6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볼(1)을 수납하는 공간(601)을 형성하는 볼 박스(610)와, 상기 볼 박스(610)에 수납된 볼(1)을 특정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유닛(6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620)은 스크류 형상의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에 끼어있는 볼(1)이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에서 타석으로 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면서도 타석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지도 않을뿐더러 타석 아래쪽에 티 업 장치 등을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타석 설치 부분을 낮게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층고가 낮은 장소에도 안정적으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골프 연습 시설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특장점이 있다.
400:볼 회수기, 430:이송관
500:볼 슈터, 510:볼 상승부
511:볼 상승부재, 514:볼 터닝부재
517:경사상승부재, 520:볼 슈팅부
521:볼 하강부재, 524:볼 슈팅부재

Claims (16)

  1. 볼을 타석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에 있어서,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이송 구동수단; 및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위쪽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위쪽으로 이송되는 볼이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볼 슈터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와,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상승부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상승부재와,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는 볼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볼 터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다가 상기 볼 터닝부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얻게 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석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여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은,
    유입되는 볼을 구동하여 상기 볼 상승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볼 회수기와,
    상기 볼 회수기와 연결되어 상기 볼 회수기에서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을 가이드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상기 볼 상승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은,
    다수의 볼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볼 박스와, 상기 볼 박스에 수납된 볼을 상기 볼 상승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볼 공급수납장치와,
    상기 볼 박스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을 가이드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과 상기 볼 상승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5. 삭제
  6. 볼을 타석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에 있어서,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이송 구동수단; 및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위쪽으로 이송되도록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위쪽으로 이송되는 볼이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볼 슈터는,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와,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상승부는,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볼이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경사방향의 끝에서 이송되는 볼이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상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경사상승부재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다가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얻게 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석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여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팅타입 볼 공급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이 타석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볼 슈터에 있어서,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 및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상승부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상승부재와,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는 볼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볼 터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다가 상기 볼 터닝부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얻게 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석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여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슈터.
  11.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이송되는 볼이 타석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볼 슈터에 있어서,
    상기 볼 이송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 및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상승부는,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볼이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경사방향의 끝에서 이송되는 볼이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상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경사상승부재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다가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얻게 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석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여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슈터.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 터닝부재는,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몸체부와,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볼이 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토출홀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와 상기 토출홀부를 연결하며 볼의 진행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굴곡되어 형성되는 터닝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슈터.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슈팅부재는,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슈팅연결부와,
    상기 볼 하강부재를 통해 하강하는 볼이 특정 방향을 향하여 토출되는 홀을 형성하는 슈팅홀부와,
    상기 슈팅연결부와 상기 슈팅홀부를 연결하며 볼의 진행 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굴곡되어 형성되는 슈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슈터.
  15. 사용자가 타석에서 전방의 스크린을 향해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아래 쪽에 상기 타석 쪽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 부분;
    상기 경사면 부분의 후방쪽에 사용자가 올라서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타석이 설치되는 타석 설치 부분;
    상기 경사면 부분 또는 상기 타석 설치 부분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이 상기 스크린을 맞고 상기 경사면 부분에 의해 굴러서 이동하는 볼이 회수되도록 하고, 회수된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회수기;
    상기 볼 회수기와 연결되어 상기 볼 회수기의 구동력에 의해 볼이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서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타석 설치 부분 위에 설치되며, 상기 볼 회수기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위쪽으로 이송되다가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볼 슈터는,
    상기 볼 회수기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와,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상승부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상승부재와,
    상기 볼 상승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는 볼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가이드하는 볼 터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볼 상승부재를 따라 상승하다가 상기 볼 터닝부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얻게 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석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여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16. 사용자가 타석에서 전방의 스크린을 향해 골프클럽으로 볼을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아래 쪽에 상기 타석 쪽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 부분;
    상기 경사면 부분의 후방쪽에 사용자가 올라서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타석이 설치되는 타석 설치 부분;
    상기 경사면 부분 또는 상기 타석 설치 부분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볼이 상기 스크린을 맞고 상기 경사면 부분에 의해 굴러서 이동하는 볼이 회수되도록 하고, 회수된 볼을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볼 회수기;
    상기 볼 회수기와 연결되어 상기 볼 회수기의 구동력에 의해 볼이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서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타석 설치 부분 위에 설치되며, 상기 볼 회수기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위쪽으로 이송되다가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 슈터를 포함하며,
    상기 볼 슈터는,
    상기 볼 회수기에 의해 이송되는 볼이 상승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볼 상승부와, 상기 볼 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볼이 하강하여 슈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팅된 볼이 상기 타석 쪽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볼 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 상승부는,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볼이 상기 경사 방향을 따라 상승하여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경사방향의 끝에서 이송되는 볼이 상기 볼 슈팅부의 상단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사상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슈팅부는,
    상기 경사상승부재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상승하다가 넘어온 볼이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볼 하강부재와,
    상기 볼 하강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는 볼이 상기 볼 하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얻게 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타석 방향을 향하여 운동하여 상기 타석으로 볼 공급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볼 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0130014714A 2013-02-08 2013-02-08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50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14A KR101504542B1 (ko) 2013-02-08 2013-02-08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PCT/KR2014/001026 WO2014123371A1 (ko) 2013-02-08 2014-02-06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14A KR101504542B1 (ko) 2013-02-08 2013-02-08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56A KR20140101256A (ko) 2014-08-19
KR101504542B1 true KR101504542B1 (ko) 2015-03-20

Family

ID=5129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714A KR101504542B1 (ko) 2013-02-08 2013-02-08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4542B1 (ko)
WO (1) WO2014123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947B1 (ko) 2015-05-28 2017-03-02 주식회사 에스지골프 보조 티가 구비된 스크린 골프용 매트
KR101835068B1 (ko) * 2016-12-01 2018-03-07 주식회사 골프존 볼 이송장치
KR101877545B1 (ko) * 2017-06-16 2018-07-11 (주)클라우드게이트 볼 수집 장치
CN109550210B (zh) * 2018-10-31 2021-01-22 南京工程学院 一种高尔夫球训练上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513A (ko) * 2008-09-08 2010-03-17 정영태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KR20100108807A (ko) * 2009-03-30 2010-10-08 임종희 골프 볼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49A (ko) * 2001-03-09 2002-09-14 탑에이스엔지니어링(주) 볼 이송장치
KR200446653Y1 (ko) * 2008-02-20 2009-11-17 박상원 골프공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513A (ko) * 2008-09-08 2010-03-17 정영태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KR20100108807A (ko) * 2009-03-30 2010-10-08 임종희 골프 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256A (ko) 2014-08-19
WO2014123371A1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542B1 (ko)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와,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CN108014481B (zh) 智能羽毛球发球装备
CN201900563U (zh) 钢板的喷丸设备
CN111888738B (zh) 一种可以自动捡球的乒乓球发球机器人
KR101235909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200484615Y1 (ko) 스크린 야구게임용 투척시스템
JP5358638B2 (ja)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KR102044093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CN106512361A (zh) 一种自动化足球训练装置
CN107638677B (zh) 一种羽毛球接发球机
KR100974033B1 (ko) 골프공 자동 공급 장치
KR101262786B1 (ko) 볼 이송장치, 볼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볼 공급 시스템과, 볼 이송 제어방법
CN201647631U (zh) 用于微、小型物体的单个定向送料装置
KR200448988Y1 (ko) 골프공 공급 장치
CN109731313B (zh) 一种棒球发球机
CN105435431B (zh) 一种用于网球训练的中间存储装置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CN209601499U (zh) 烟花筒自动排列上料装置
CN102131553A (zh) 高尔夫球传送装置
KR101031948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시스템
CN106384134A (zh) 一种具有卡片自动进给功能的发卡装置
KR101669272B1 (ko) 볼 리턴장치가 형성된 구슬 게임기
KR101208092B1 (ko) 연습용 골프공 공급장치
CN213159273U (zh) 一种排球扣球训练装置
KR200296187Y1 (ko) 골프 자동 연습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