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45B1 - 볼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볼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45B1
KR101877545B1 KR1020170076490A KR20170076490A KR101877545B1 KR 101877545 B1 KR101877545 B1 KR 101877545B1 KR 1020170076490 A KR1020170076490 A KR 1020170076490A KR 20170076490 A KR20170076490 A KR 20170076490A KR 101877545 B1 KR101877545 B1 KR 10187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nveyance belt
disposed
groun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클라우드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우드게이트 filed Critical (주)클라우드게이트
Priority to KR102017007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는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그라운드에 배치되어,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을 이송하는 볼 이송부 및 스크린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을 수집하는 집구부를 포함하며, 집구부는, 볼을 수용하는 집구로, 집구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 벨트, 이송 벨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및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볼 수집 장치{THE DEVICE OF COLLECTING BALLS}
본 발명은 볼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들을 수집하는 볼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칭 장치(pitching device)는 야구에서 타격 연습에 사용하기 위하여 타자에게 볼을 던져주는 기계이다. 피칭 머신은 야구 선수 뿐만 아니라 야구를 취미로 갖는 일반인들에게도 타격 연습에 도움을 준다.
피칭 장치를 이용한 야구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피칭 장치로부터 날아오는 볼을 타격한다. 볼은 플레이어의 타격에 의해 스크린을 향하여 날아간다. 또한, 볼은 스크린을 벗어나 스크린의 상하 좌우로 날아갈 수 있다. 이러한 타격된 볼은 스크린 등에 부딪혀 바닥으로 떨어진다.
피칭 장치를 이용한 야구 게임이 진행될수록, 바닥에 떨어진 볼의 수는 점점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계속적으로 볼을 타격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떨어진 볼을 수집하여 피칭 장치로 공급하는 볼 수집 장치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레이어가 타격하여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들을 수집하여 다시 플레이어에게 공급하는 볼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그라운드에 배치되어,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을 이송하는 볼 이송부 및 스크린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을 수집하는 집구부를 포함하며, 집구부는 볼을 수용하는 집구로, 집구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 벨트, 이송 벨트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및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이송 벨트를 주기적으로 역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가이드부는 이송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이송 벨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가이드부는 이송 벨트의 이동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구동부는 이송 벨트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 풀리(pulley) 및 벨트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에서 이송 벨트의 역회전은 2 내지 4초 동안 연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역회전 후, 상기 이송 벨트를 10 내지 12초 동안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그라운드에 배치되어,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을 이송하는 볼 이송부, 및 스크린과 그라운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을 수집하는 집구부를 포함하며, 집구부는 볼을 수용하는 집구로, 집구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 벨트, 이송 벨트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볼을 검출하는 제1 볼 검출 센서 및 제1 볼 검출 센서로부터 볼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볼 검출 센서가 볼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이송 벨트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이송 벨트가 2 내지 4초 동안 제2 방향으로 회전한 후, 반복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는 이송 벨트의 측면에 위치하여, 이송 벨트 상의 볼을 검출하는 제2 볼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제어부는 제2 볼 검출 센서로부터 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이송 벨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는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이송되는 볼에 의한 충돌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제어부는 압력 센서로부터 볼에 의한 충돌 압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이송 벨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볼 수집 장치는 스크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된 그라운드, 그라운드와 스크린의 사이에 배치된 집구부, 및 그라운드의 일측에 배치된 볼 이송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레이어에 의한 타격 후,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들이 자동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 수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구부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이송 벨트의 역회전 상태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 후 이송 벨트의 정회전 상태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설명하는 도면이나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선택된 것일 뿐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와 그 형상 등이 간략하게 그려지거나 또는 과장되어 그려지기도 하며, 실제 제품에 있는 구성요소가 표현되지 않고 생략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한편, 도면에서 동일한 역할을 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다른 층이나 또는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 라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떤 층이나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층이나 구성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배치된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되어 배치된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볼 수집 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 수집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10)는 스크린(100), 스크린(100)의 전면에 배치된 그라운드(200), 그라운드(200)의 일측에 배치된 볼 이송부(300), 그라운드(200)와 스크린(100)의 사이에 배치된 집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0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다. 스크린(100)에는 야구 경기를 위한 영상이 투사된다. 일 실시 예로, 스크린(100)은 일정한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스크린(100)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긴 경우, 스크린(1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크린(100)은 원형 이나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스크린(100)은 개구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는 볼의 투출이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예컨대, 개구부는 원형, 타원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 일 수 있다. 또한, 개구부는 스크린(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의 스크린(100)상 위치는 제한이 없으나, 스크린(100)의 하단과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200)는 스크린(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200)는 날아오는 볼을 타격하는 플레이어와 스크린(100)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스크린(100)의 개구부를 통과한 볼은 그라운드(200)의 상부를 지나 플레이어에게 도달한다. 플레이어가 타격한 볼은 스크린(100) 등에 부딪혀 그라운드(200)로 떨어진다. 물론, 볼은 그라운드(200)를 벗어난 방향으로 날아갈 수도 있다.
그라운드(200)는 바닥부(210)와 경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수평면과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또한, 경사부(230)는 바닥부(210)와 일정한 기울기를 갖게 배치된다. 플레이어는 바닥부(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경사부(230)는 바닥부(210)와 스크린(1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경사부(230)는 바닥부(210)의 단부에서 스크린(100)을 향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게 배치된다. 경사부(230)의 일측에는 후술할 집구부(400)가 배치된다. 경사부(230)는 집구부(400)와 바닥부(210)의 사이에 높이 차이를 갖게 한다. 따라서, 경사부(230)를 거친 볼들이 집구부(400)로 자연적으로 낙하될 수 있다.
볼 이송부(300)는 그라운드(200) 상에 배치된 이송바(310)와 이송바(310)를 이송하는 이송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유닛(330)은 이송 체인(331), 이송 체인(331)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332)과 종동 스프로킷(333), 구동 스프로킷(332)에 연결된 이송 구동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구동부(350)는 이송 모터(미도시)와 이송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52)는 스프로킷(353), 보조 스프로킷(353)과 구동 스프로킷(332)을 연결하는 보조 체인(3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바(310)는 이송 유닛(330)에 의해 그라운드(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그라운드(200)에 떨어진 볼들은 이송바(310)에 의해 후술하는 집구부(400)로 이송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구부(400)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집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집구부(400)는 경사부(230)와 스크린(1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집구부(400)는 경사부(230)의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집구부(400)는 볼을 수용하기 위한 집구로(410), 집구로(410)의 일측에 배치된 이송 벨트(430), 이송 벨트(430)를 구동하는 구동부(450), 볼의 출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집구로(410)는 경사부(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이송바(310)에 의해 경사부(230)로 이송된 볼들은 집구로(410)로 낙하된다. 집구로(410)는 이송 벨트(430)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집구로(410)에 수집된 볼은 이송 벨트(4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벨트(430)는 집구로(410)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송 벨트(430)는 집구로(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이송 벨트(430)는 구동부(45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450)는 이송 벨트(430)를 구동한다. 구동부(450)는 벨트 풀리(451)와 구동 모터(453)를 포함한다. 벨트 풀리(451)는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벨트 풀리(451) 중 어느 하나는 구동 모터(453)에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벨트 풀리(45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453)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 벨트(430)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구동된다.
가이드부(460)는 이송 벨트(430)의 일측 단부 영역에 배치되어 이송된 볼을 수직 이송부(600)로 안내한다. 가이드부(460)는 제1 가이드(461)와 제2 가이드(462)로 구성된다. 제1 가이드(461)는 이송 벨트(4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송 벨트(430)의 회전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송 벨트(4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볼들은 제1 가이드(461)에 의해 수직 이송부(600)측으로 방향이 변경된다. 제2 가이드(462)는 이송 벨트(430)의 측면에 배치되어, 볼이 이송 벨트(462)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제1 가이드(461)와 제2 가이드(462)의 최대 이격 거리는 볼이 일렬로 배열될 수 있도록 볼 직경의 2배를 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 벨트(430)에 의해 이송되는 볼들은 제1 가이드(461)와 제2 가이드(462)에 의한 병목현상으로 인해 서로 엉킬 수 있다. 서로 엉킨 볼들은 이송 벨트(430)에 의해 수직 이송부(600)로 이송될 수 없다.
도 6은 이송 벨트의 역회전 상태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 후 이송 벨트의 정회전 상태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벨트(430)는 볼들을 수직 이송부(600)의 반대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송 벨트(43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엉킴이 풀린 볼들은 이송 벨트(430)에 의해 수직 이송부(600)로 이송된다.
구동 모터(453)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 벨트(430)의 이송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구동 모터(453)는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전동 모터라면 어느 것도 가능하다.
구동 모터(453)는 볼을 수직 이송부(600)로 전달하도록 시계 방향(이하 정방향)으로 회전 중, 사전에 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시계 반향(이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모터(453)는 정방향 회전을 10 ~ 12초 동안 연속한 후 최대 7초 바람직하게는 2 ~ 4 동안 역방향 회전한다. 역방향 회전은 최대 7 초를 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구동 모터(453)는 정방향 회전을 연속한 후 역방향 회전 동작 시에 역방향 회전과 정방향 회전을 짧은 시간동안 반복할 수 있다. 구동 모터(453)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짧은 시간 동안 반복하여 이송 벨트(430) 위의 볼들의 엉킨 상태를 풀 수 있다. 구동 모터(453)의 역방향 회전 시간은 볼의 엉킴을 해소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짧은 것이 좋다. 구동 모터(453)의 역방향 회전 시간이 길수록 볼 수집 장치(10)의 이송 능력은 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수집 장치(10)는 볼 검출 센서(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학 센서식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볼 검출 센서(470)는 빔 생성부(471와 빔 수신부(472)로 구성된다.
볼 검출 센서(470)는 이송 벨트(430)와 수직 이송부(6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빔 생성부(471)와 빔 수신부(472)는 볼의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배치된다.
빔 생성부(471)는 직선의 적외선빔 또는 레이저빔을 생성하여 빔 수신부(472)로 출력한다. 빔 수신부(472)는 광 센서를 포함하며, 눈에 보이거나 또는 보이지 않는 광선을 탐지하고 그 강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볼이 이송 벨트(430)로부터 수직 이송부(600)로 이송된다면, 빔 수신부(472)는 빔을 빔 생성부(471)로부터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수신하지 못한다.
반면, 볼이 이송 벨트(430)상에서 엉키어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못하면, 빔 수신부(472)는 빔을 빔 생성부(471)로부터 연속하여 수신하게 된다.
볼 수집 장치(10)는 빔 수신부(472)의 빔 수신 기록을 분석하여 볼의 엉킴 문제를 판단할 수 있다. 볼 수집 장치(10)는 볼의 엉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 모터(453)를 역회전할 수 있다. 볼 수집 장치(10)는 구동 모터(453)의 역방향 회전을 통해 볼의 엉킴을 풀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볼 검출 센서(470)는 반사식 광학 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반사식 광학 센서는 빔 생성부(471) 및 빔 수신부(472)가 볼의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동일 측면에 배치된다. 반사경은 반대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빔 생성부(471)에서 출력된 빔은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빔 수신부(472)로 전달된다. 볼이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않는 경우, 빔 생성부(471)의 출력 빔이 빔 수신부(472)로 연속하여 전달된다.
이외에도 볼 검출 센서(470)는 초음파 센서, 전자 센서, 비젼 센서, 스위치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구부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는 이송 벨트(430)의 측면에 위치하는 광학식 센서이다.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는 빔 생성부(473) 및 빔 수신부(474)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는 이송 벨트(430)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유무를 검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볼 검출 센서(475)는 제1 가이드부(461)의 측면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이다. 제3 볼 검출 센서(475)는 이송 벨트(430)에 의해 이송되는 볼에 의해 제1 가이드부(46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480)는 제1 볼 검출센서(470),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 및 제3 볼 검출 센서(475)와 연결되고, 구동 모터(453)과 연결된다.
제어부(480)은 제1 볼 검출 센서(470)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수직 이송부(600)로 이송되는 볼의 유무를 판단한다. 제1 볼 검출 센서(470)가 볼을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부(480)는 이송 벨트(430) 위에서 볼의 엉킴이 발생하였거나, 또는 볼이 이송 벨트(430)로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두 가지 상황으로 판단한다.
제어부(480)는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 및 제3 볼 검출 센서(475)의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볼 검출 센서(470)가 볼을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도 볼을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부(480)는 이송 벨트(430) 상에 더 이상 볼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일정 시간 동안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가 연속하여 볼을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부(480)은 구동 모터(453)의 동작을 중단하거나 또는 회전 속도는 낮추어 이송 벨트(430)의 이송 속도를 제어한다.
반면, 제1 볼 검출 센서(470)가 볼을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가 볼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이송 벨트(430) 상에서 볼의 엉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480)는 구동 모터(453)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반전하여 볼의 엉킴을 풀 수 있다. 구동 모터(453)는 역방향으로 1회 회전할 수도 있고, 수차례 역방향 회전과 정방향 회전을 반복하여 볼의 엉킴을 풀 수도 있다.
한편, 제1 볼 검출 센서(470)가 볼을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3 볼 검출 센서(475)가 볼의 압력을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부(480)는 이송 벨트(430) 상에 더 이상 볼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일정 시간 동안 제2 볼 검출 센서(473, 474)가 연속하여 볼을 검출하지 못하면 제어부(480)은 구동 모터(453)의 동작을 중단하거나 또는 회전 속도는 낮추어 이송 벨트(430)의 이송 속도를 제어한다.
반면, 제1 볼 검출 센서(470)가 볼을 검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3 볼 검출 센서(475)가 볼의 압력을 검출하면, 제어부(480)는 가이드부(460)의 입구에서 볼의 엉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 제어부(480)는 구동 모터(453)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반전하여 볼의 엉킴을 풀 수 있다. 구동 모터(453)는 역방향으로 1회 회전할 수도 있고, 수차례 역방향 회전과 정방향 회전을 반복하여 볼의 엉킴을 풀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제 2 볼 검출 센서(473, 474) 및 제 3 볼 검출 센서(475)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80)는 제 2 볼 검출 센서(473, 474) 및 제 3 볼 검출 센서(475) 중 어느 하나만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제 2 볼 검출 센서(473, 474) 및 제 3 볼 검출 센서(475) 중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볼의 이송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스크린 100
그라운드 200
집구부 400
집구로 410
이송 벨트 430
구동부 450
벨트 풀리 451
구동 모터 453
가이드부 460
제1 가이드 461
제2 가이드 462
볼 검출 센서 470
빔 생성부 471, 473
빔 수신부 472, 474
제어부 480

Claims (11)

  1.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에 배치되어, 상기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을 이송하는 볼 이송부; 및
    상기 스크린과 상기 그라운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을 수집하는 집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구부는,
    상기 볼을 수용하는 집구로;
    상기 집구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 벨트;
    상기 이송 벨트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볼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 벨트를 주기적으로 역회전하는 볼 수집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이송 벨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이동 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볼 수집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 벨트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벨트 풀리(pulley); 및
    상기 벨트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볼 수집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의 역회전은 2 내지 4초 동안 연속하는 볼 수집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 벨트의 역회전 후, 상기 이송 벨트를 10 내지 12초 동안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볼 수집 장치.
  6.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배치되는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에 배치되어, 상기 그라운드에 떨어진 볼을 이송하는 볼 이송부; 및
    상기 스크린과 상기 그라운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을 수집하는 집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구부는,
    상기 볼을 수용하는 집구로;
    상기 집구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이송 벨트;
    상기 이송 벨트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이송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볼의 이송 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볼을 검출하는 제1 볼 검출 센서; 및
    상기 제1 볼 검출 센서로부터 볼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볼 검출 센서가 볼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 벨트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볼 수집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벨트가 2 내지 4 초 동안 제2 방향으로 회전한 후, 반복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볼 수집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벨트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 벨트 상의 볼을 검출하는 제2 볼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는 볼 수집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볼 검출 센서로부터 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 벨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볼 수집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되는 볼에 의한 충돌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볼 수집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볼에 의한 충돌 압력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 벨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볼 수집 장치.
KR1020170076490A 2017-06-16 2017-06-16 볼 수집 장치 KR10187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90A KR101877545B1 (ko) 2017-06-16 2017-06-16 볼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490A KR101877545B1 (ko) 2017-06-16 2017-06-16 볼 수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545B1 true KR101877545B1 (ko) 2018-07-11

Family

ID=6291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490A KR101877545B1 (ko) 2017-06-16 2017-06-16 볼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5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507A (ja) * 1994-08-30 1996-03-12 Yoshio Yokoyama ゴルフボール搬送装置
KR20100026782A (ko) * 2008-09-01 2010-03-10 이상하 골프연습장의 골프공 회수장치
KR101003853B1 (ko) * 2009-06-16 2010-12-23 김은혜 골프장의 그린 커버장치
KR20110103033A (ko) * 2010-03-12 2011-09-20 이재열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KR101111897B1 (ko) * 2010-05-07 2012-02-14 시 명 김 실내용 수평그린 골프연습장
JP2012061314A (ja) * 2010-09-15 2012-03-29 Rd-Tek Co Ltd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KR101176346B1 (ko) * 2012-02-21 2012-08-23 송민준 골프 시스템을 위한 골프공 자동 이송장치
KR20140101256A (ko) * 2013-02-08 2014-08-19 (주) 골프존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507A (ja) * 1994-08-30 1996-03-12 Yoshio Yokoyama ゴルフボール搬送装置
KR20100026782A (ko) * 2008-09-01 2010-03-10 이상하 골프연습장의 골프공 회수장치
KR101003853B1 (ko) * 2009-06-16 2010-12-23 김은혜 골프장의 그린 커버장치
KR20110103033A (ko) * 2010-03-12 2011-09-20 이재열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KR101111897B1 (ko) * 2010-05-07 2012-02-14 시 명 김 실내용 수평그린 골프연습장
JP2012061314A (ja) * 2010-09-15 2012-03-29 Rd-Tek Co Ltd 低地上高型ボール供給装置
KR101176346B1 (ko) * 2012-02-21 2012-08-23 송민준 골프 시스템을 위한 골프공 자동 이송장치
KR20140101256A (ko) * 2013-02-08 2014-08-19 (주) 골프존 슈팅타입 볼 공급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볼 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6106A (en) Socc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training
US20080204704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peed And/Or Angle Of Motion Of An Object
US9247718B2 (en) Poultry feeder with level sensor
KR101774377B1 (ko) 볼 공급 장치
KR200484615Y1 (ko) 스크린 야구게임용 투척시스템
US5674130A (en) Golf ball dispenser
KR101494308B1 (ko) 적외선센서바와 카메라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KR101839082B1 (ko)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KR101864393B1 (ko) 피칭머신의 볼 이송 엉킴 방지장치 및 볼 이송 엉킴 방지방법
US20070072705A1 (en) System for pitching of baseball
CN101484214A (zh) 球输送设备及运动设备
US3619630A (en) Arrow detection system employing a sweeping laser beam
KR101877545B1 (ko) 볼 수집 장치
JP5483870B2 (ja) ピッチングマシン
KR101882760B1 (ko) 피칭머신의 볼 투척장치
KR101774372B1 (ko) 볼 수집 장치
KR101885958B1 (ko) 피칭 머신
KR101728458B1 (ko) 무인 사격 게임기
US6016200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cting toppled packages lying on a conveyor
JP3312488B2 (ja) びんの色選別装置
KR20190058093A (ko) 복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공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6144697A (ja) フィルム受けマガジンにおけるフィルム満杯状態検知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020024879A (ko) 베어링 리테이너의 자동 선별장치
JPH02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