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033A -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033A
KR20110103033A KR1020100022137A KR20100022137A KR20110103033A KR 20110103033 A KR20110103033 A KR 20110103033A KR 1020100022137 A KR1020100022137 A KR 1020100022137A KR 20100022137 A KR20100022137 A KR 20100022137A KR 20110103033 A KR20110103033 A KR 20110103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ixed
shuttle cock
shuttlec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이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열 filed Critical 이재열
Priority to KR102010002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3033A/ko
Publication of KR20110103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이 정렬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와, 셔틀콕이 수용되며 내측 저면 좌우측에 각각 제1경사면이 형성된 수용공간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 네모서리에 각각 캐스터가 고정된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셔틀콕을 수평으로 고정된 제1컨베어와 수직으로 고정된 제2컨베어를 통해 수직으로 걷어올리는 컨베어부와; 상기 제2컨베어에서 진입구로 넘어온 셔틀콕을 대각선 상부로 이송시켜 진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트부와; 상기 진출구를 통해 한 개씩 분리된 셔틀콕이 몸체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를 통해 몸체 상부로 이송된 셔틀콕이 몸체 상면에 '┏'자형 원형관으로 고정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과, 컨베어부, 리프트부, 수직이송부, 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이 형성된 제어부가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는 컨베어부에서 소량씩 리프트부로 이송 후 배출부로 이송됨으로써, 다량의 셔틀콕 정리를 위해 수용공간에 셔틀콕을 퍼부을 때도 엉킴없이 원활하게 셔틀콕을 정리할 수 있으며, 배출부 일측 끝단에 형성된 센서에 의해 배출부에 연속적으로 셔틀콕이 이송되면 일시 정지 후 센서에서 셔틀콕 미감지시 재이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 Apparatus for aligning shuttlecock }
본 발명은 배드민턴에 사용되는 셔틀콕을 정렬해 이송하는 장치로서, 수용공간에 투입된 다량의 셔틀콕이 컨베어부, 리프트부, 수직이송부를 통과 후 정렬되어 배출됨으로써 다량의 셔틀콕을 빠르게 정리하며 사용할 수 있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은 일반인도 많이 즐기는 대중 스포츠로서, 일반인 또는 선수들이 훈련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셔틀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셔틀콕 공급장치를 통하여 훈련자에게 셔틀콕을 날려주어 훈련하게 되는데 훈련 종료시 주위에 널려진 셔틀콕을 공급장치에 넣기 위해서는 땅에 떨어진 셔틀콕을 일일이 줏어 정렬한 후 이를 공급장치에 다시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줏을 때 허리를 숙여야 하므로 허리부상의 우려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본 출원인이 2008년03월06일에 출원한 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제00-0847563호)“셔틀콕 정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베이스(100) 상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00)과, 상기 고정프레임(200) 일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제1통공(130)과 소정간격 떨어져 고정된 원형베이스(300)와, 상기 원형베이스(300) 상부에 고정된 하부깔때기(400)와, 상기 하부깔대기(400) 상부에 위치되며 고정프레임(20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상부깔때기(500)와, 원형베이스(300) 하부 중심에 위치된 모터(610)와 결합 후 회전하며 셔틀콕이 정렬되는 회전부(600)와, 원형베이스(300) 사이에 형성된 분류통로(710)에 삽입된 셔틀콕이 회전부(600)에 의해 분류되는 분류부(700)와, 사각베이스(100) 저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이송부(800)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하부깔때기와 분류통로를 거치며 셔틀콕의 일부가 정렬이 이루어지지만, 다량의 셔틀콕을 상부깔대기에 퍼부울 경우 분류통로에서 셔틀콕이 엉키게 되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셔틀콕의 분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류부가 사각베이스 상면에 형성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금만 부주의하게 되면 회전날개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고, 수직 상부 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셔틀콕을 정리하기 위해 수용공간에 퍼부을 때도 엉킴없이 원활하게 셔틀콕을 정리할 수 있도록 컨베어부에서 소량씩 리프트부로 이송 후 배출부로 이송되며, 상기 배출부에 연속적으로 셔틀콕이 이송된 후 정지되도록 배출부 끝단에 센서가 구비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셔틀콕 분류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다량의 셔틀콕이 투입되는 수용공간이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순차적으로 셔틀콕이 분류되는 컨베어부, 리프트부, 수직이송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출부에서 정리되어 나오는 셔틀콕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장 크기에 따라 조절 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서 회전되고, 배출관 끝단에 결합된 연장배출관이 상하로 이동 후 정지되도록 마찰힌지에 의해 배출관과 결합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셔틀콕이 정렬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와, 셔틀콕이 수용되며 내측 저면 좌우측에 각각 제1경사면이 형성된 수용공간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 네모서리에 각각 캐스터가 고정된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투입된 셔틀콕을 수평으로 고정된 제1컨베어와 수직으로 고정된 제2컨베어를 통해 수직으로 걷어올리는 컨베어부와; 상기 제2컨베어에서 진입구로 넘어온 셔틀콕을 대각선 상부로 이송시켜 진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트부와; 상기 진출구를 통해 한 개씩 분리된 셔틀콕이 몸체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를 통해 몸체 상부로 이송된 셔틀콕이 몸체 상면에 '┏'자형 원형관으로 고정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몸체 상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과, 컨베어부, 리프트부, 수직이송부, 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이 형성된 제어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베어부는 수용공간 저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좌우 양단에 각각 고정된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평면이송되는 제1컨베어와, 상기 제1컨베어 일측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평면이송되는 제2컨베어와, 상기 제1,2회전축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된 제1기어와 제1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2컨베어 표면에 수직으로 50 ~ 100mm 돌출되어 고정되며, 80 ~ 120mm의 간격을 이루며 고정된 이송날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다수개의 받침봉에 지지되며 제2컨베어)를 통해 진입구에 이송된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이송홈 아래로 향하도록 35 ~ 55mm 간격 떨어져 고정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봉에 다수개가 고정된 제2기어와 제2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체인에 120 ~ 150mm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고정되며 이송홈 저면으로 돌출되어 셔틀콕을 진출구를 향해 밀어올리는 경계봉과, 셔틀콕의 엉킴이 감지되도록 진입구와 진출구에 각각 제1,2센서가 형성되며, 진입구에서 진출구를 향해 받침판이 30 ~ 80°로 상향 경사지게 제2경사면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이송부는 일측이 진출구 저면에 위치되며 셔틀콕이 삽입되어 수직 상부로 올라가도록 'U'자형 원형관으로 형성된 이송관과, 제3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외측에 다수개 고정된 제3회전축과 같이 회전되며 이송관 내측 저면을 따라 형성된 밸트홈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밸트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이송관 일측단과 연결되며 몸체 상면에 '┏'자형 원형관으로 고정된 배출관이 회전되도록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태로 배출관 일측에 마찰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며 타측단 저면에 셔틀콕 감지시 제1,2,3구동모터의 동작이 일시정지되도록 제3센서가 형성된 연장배출관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2,3센서에 의해 셔틀콕의 엉킴을 감지 후 제1,2,3구동모터가 각각 비상정지 되도록 하며, 몸체 상면 일측에 제1,2,3센서에 셔틀콕의 엉킴이 감지되어 표시되는 제1,2,3알람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날개는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진입구측 받침판이 10 ~ 40°로 이송홈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마찰힌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배출관의 각도 조절 후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는 컨베어부에서 소량씩 리프트부로 이송 후 배출부로 이송됨으로써, 다량의 셔틀콕 정리를 위해 수용공간에 셔틀콕을 퍼부을 때도 엉킴없이 원활하게 셔틀콕을 정리할 수 있으며, 배출부 일측 끝단에 형성된 센서에 의해 배출부에 연속적으로 셔틀콕이 이송되면 일시 정지 후 센서에서 셔틀콕 미감지시 재이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틀콕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컨베어부, 리프트부, 수직이송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되고, 도어에 의해 수용공간이 밀폐됨으로써 셔틀콕 분류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관 하단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배출관의 위치를 회전하며 사용할 수 있고, 배출관 끝단에 결합된 연장배출관이 마찰힌지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 크기에 따라 연장배출관을 상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셔틀콕 정렬장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사시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타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상세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사용상태도로서,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은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이송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상면에 형성되며, 셔틀콕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2)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 네모서리에 각각 캐스터(13)가 고정된 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2) 저면에 형성되며 엉켜있는 셔틀콕을 1 ~ 5개씩 소량을 수직으로 걷어올리는 컨베어부(20)와, 상기 컨베어부(20)에서 걷어올려져 진입구(313)로 넘어온 셔틀콕을 대각선 상부로 이송시켜 진출구(323)로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트부(30)와, 상기 진출구(323)를 통해 한 개씩 분리된 셔틀콕이 몸체(10)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직이송부(40)와, 상기 수직이송부(40)를 통해 몸체(10) 상부로 이송된 셔틀콕이 몸체(10) 상면으로 배출되는 배출부(50)와, 상기 몸체(10) 상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61)과, 컨베어부(20), 리프트부(30), 수직이송부(40), 배출부(5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62)이 형성된 제어부(60)가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사각형상으로 도어(11)에 의해 밀폐되는 수용공간(12)에 투입된 셔틀콕이 수용공간(12) 중앙 저면에 형성된 컨베어부(20)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좌우측에 각각 경사면(121)이 형성되고, 외측 저면 네모서리에 각각 고정된 캐스터(13)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 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2와 같이 측면에 형성된 힌지축(111a)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 도어(11a)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배출부(50) 회전시에도 측면에서 자유롭게 셔틀콕을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어부(20)는 수용공간(12) 저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좌우양단에 각각 고정된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평면이송되는 제1컨베어(21)와, 상기 제1컨베어(21) 일측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제2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평면이송되는 제2컨베어(22)와, 상기 제1,2회전축(211,221)의 연장된 일측단에 각각 결합된 제1기어(232)와 제1체인(231)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23)가 형성된다.
또한, 제2컨베어(22)는 후방에 위치되는 리프트부(30)로 셔틀콕이 걷어올려질 수 있도록 표면에 수직으로 50 ~ 100mm 돌출되어 고정되며, 80 ~ 120mm 간격으로 다수개가 고정된 이송날개(24)가 형성되며, 상기 이송날개(24)는‘
Figure pat00001
’자 형상으로 끝단이 상향절곡되어‘ㅡ’자 형상과는 달리 셔틀콕을 보다 안쪽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셔틀콕 이송시 낙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30)는 다수개의 받침봉(311)에 지지되며 제2컨베어(22)를 통해 이송되어 진입구(313)로 넘어온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는 이송홈(312)이 형성된 받침판(31)과, 상기 받침봉(311)에 다수개가 고정된 제2기어(322)와 제2체인(321)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32)와, 상기 제2체인(321)에 120 ~ 150mm의 간격을 이루며 도 7a와 같이 다수개가 고정되며 이송홈(312) 저면까지 돌출되어 셔틀콕을 진출구(323)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경계봉(33)과, 셔틀콕의 엉킴으로 인한 높이변화가 감지되도록 진입구(313)와 진출구(323)에 각각 고정된 제1,2센서(34,35)와, 진입구(313)에서 진출구(323)를 향해 30 ~ 80°로 상향 경사지게 제2경사면(36)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받침판(31)은 도 7b와 같이 진입구(313)측 평면구간(P)이 10 ~ 40°로 이송홈(31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컨베어(22)에서 넘어온 셔틀콕이 이송홈(312)으로 미끄러지며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송부(40)는‘U’자형 원형관 형상으로 일측이 진출구(323) 저면에 위치되어 진출구(323)를 통해 낙하되는 셔틀콕이 삽입되는 이송관(41)이 형성되며, 도 9와 같이 이송관(41) 내측을 따라 형성된 밸트홈(423)에 삽입되며 제3구동모터(422) 구동시 외측에 고정된 다수개의 제3회전축(421)에 밀착되어 회전되며 이송관(41) 내측에 삽입되는 셔틀콕을 수직상부로 이송시키게 되는 이송밸트(42)가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50)는 몸체(10) 상면에 구비되며 이송관(41) 일측단과 연결되는‘ㄱ’자형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관(51)과, 상기 배출관(51)이 몸체(10)상면에 결합 후 수평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511)과, 상기 배출관(51) 일측에 마찰힌지(521)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며 타측저면에 셔틀콕이 감지되는 제3센서(523)가 형성된 연장배출관(52)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배출관(52)은 스프링의 조임 탄성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사용자가일정한 외력 작용시 마찰힌지(521)를 중심으로 회전된 각도의 위치로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태로 이송관(41)과 배출관(51)을 통해 올라온 셔틀콕을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으며, 끝단에 형성된 제3센서(522)에서 셔틀콕이 감지되면, 제어부(60)를 통해 제1,2,3구동모터(23,32,422)가 일시정지 후 후술되는 제1,2,3알람부(63,64,65)를 통해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60)는 몸체(10) 상면 일측에 제1,2,3센서(34,35,522)를 통해 셔틀콕의 엉킴이 감지되면 제1,2,3구동모터(23,32,422)가 비상정지 되도록 하며, 몸체(10) 상면 일측에 제1,2,3센서(34,35,522)에서 셔틀콕의 엉킴 또는 높이차가 발생되어 이를 표시하는 제1,2,3알람부(63,64,65)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과정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는 도어(11) 개방 후 정렬되지 않은 다량의 셔틀콕을 수용공간(12)에 투입 후 몸체(10) 일측 상면에 형성된 전원/동작버튼(61,62)을 통해 이송장치(1)에 전원 인가 후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전원인가 후 동작버튼(62)에 의해 제1,2,3구동모터(23,32,422)가 각각 동작됨으로써, 셔틀콕이 배출관(51)을 통해 배출 후 연장배출관(52)에 차례대로 정렬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용공간(12)에 투입된 다량의 셔틀콕이 제1구동모터(23)의 회전에 의해 제1체인기어(231)와 연결된 제1기어(232)에 의해 제1,2회전축(211,221)이 각각 회전됨으로써, 수용공간(12) 저면에 수평으로 고정된 제1컨베어(21)를 따라 셔틀콕이 제2컨베어(22) 방향으로 수평이송되며, 상기 제2컨베어(22)의 표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다수개의 이송날개(24)를 통해 셔틀콕이 수직으로 이송 후 배면에 형성된 받침판(31)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31)은 셔틀콕의 자중에 의해 제2컨베어(22) 최고점(A)에서 진입구(313)로 낙하시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받침판(31)이 소정거리 떨어져 이송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31)은 셔틀콕이 이송홈(312)을 통과해 저면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35 ~ 55mm 간격 떨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진입구(313)측 받침판(31)의 평면구간(P)은 각각 10 ~ 40°로 이송홈(31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송홈(312)을 향해 셔틀콕이 미끄러지듯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31)을 저면에서 지지하는 받침봉(311)에 다수개의 제2기어(322)가 진출입구(323,313)와 제2경사면(36)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2기어(322)에 맞물리되 제2구동모터(32) 회전시 제2기어(322)를 따라 회전되는 제2체인(321)에 다수개의 경계봉(33)이 고정됨으로써, 제2체인(321)의 회전시 이송홈(312) 저면을 따라 회전되며 이송홈(312) 하부로 돌출된 셔틀콕을 밀어 진출구(323)로 배출해 이송관(41) 일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진입구(313)와 진출구(323)에는 각각 제1,2센서(34,35)가 구비됨으로써 이송되는 셔틀콕의 엉킴 및 높이차가 발생되면 제1,2알람부(63,64)가 점등되며 제어부(60)에 의해 제1,2,3구동모터(23,32,422)가 각각 비상정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 되었지만, 리프트부(30)가 형성된 몸체(10) 측면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개방후 엉킨 셔틀콕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송관(41) 측에 개방홈(도면 미도시)을 형성해 셔틀콕을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출구(323)로 배출된 셔틀콕은 이송관(41) 내부로 삽입된다. 제3구동모터(422) 구동에 의해 이송밸트(42)가 다수개의 제3회전축(421)에 밀착되어 회전되며, 이송관(41) 내부에 형성된 밸트홈(423)을 따라 이송밸트(422)가 이송관(41) 내부를 따라 이송되며 셔틀콕을 배출관(51)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이송밸트(42)는 내측면(424)이 요철로 형성됨으로써 마찰력과 걸림작용에 의해 셔틀콕이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관(51)으로 이송된 셔틀콕은 상부가 개방된 연장배출관(52)으로 정렬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몸체(10) 상면에 삽입되는 배출관(51) 하단에 슬라이드홈(511)이 형성되어 배출부(50)를 평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배출관(52) 끝단에 형성된 제3센서(522)에 의해 셔틀콕 미사용시 제3알람부(65)에 점등 후 제어부(60)에 의해 제1,2,3구동모터(23,32,422)가 각각 비상정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51)과 연장배출관(52)은 마찰힌지(52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마찰힌지(521)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의 조임 탄성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연장배출관(52)이 회전된 각도의 위치로 고정적으로 유지되도록해 사용자의 신장 크기에 따라 연장배출관(52)을 상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는 컨베어부에서 소량씩 리프트부로 이송 후 배출부로 이송됨으로써, 다량의 셔틀콕 정리를 위해 수용공간에 셔틀콕을 퍼부을 때도 엉킴없이 원활하게 셔틀콕을 정리할 수 있으며, 배출부 일측 끝단에 형성된 센서에 의해 배출부에 연속적으로 셔틀콕이 이송되면 일시 정지 후 센서에서 셔틀콕 미감지시 재이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틀콕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컨베어부, 리프트부, 수직이송부가 몸체 내부에 형성되고, 도어에 의해 수용공간이 밀폐됨으로써 셔틀콕 분류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도어
111 : 힌지축 12 : 수용공간
121 : 제1경사면 13 : 캐스터
20 : 컨베어부 21 : 제1컨베어
211 : 제1회전축 22 : 제2컨베어
221 : 제2회전축 23 : 제1구동모터
231 : 제1체인 232 : 제1기어
24 : 이송날개 30 : 리프트부
31 : 받침판 311:받침봉
312 : 이송홈 313 : 진입구
32 : 제2구동모터 321 : 제2체인
33: 경계봉 322 : 제2기어
323 : 진출구 34,35 : 제1,2센서
36 :제2경사면 40 : 수직이송부
41 : 이송관 42 : 이송밸트
421 : 제3회전축 422 : 제3구동모터
423 : 밸트홈 424 : 내측면
50 : 배출부 51 : 배출관
511 : 슬라이드홈 52 : 연장배출관
521 : 마찰힌지 522 : 제3센서
60 : 제어부 61 : 전원버튼
62 : 동작버튼 63,64,65 : 제1,2,3알람부

Claims (9)

  1. 셔틀콕이 정렬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힌지축(111)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도어(11)와, 셔틀콕이 수용되며 내측 저면 좌우측에 각각 제1경사면(121)이 형성된 수용공간(12)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 네모서리에 각각 캐스터(13)가 고정된 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2)에 투입된 셔틀콕을 수평으로 고정된 제1컨베어(21)와 수직으로 고정된 제2컨베어(22)를 통해 수직으로 걷어올리는 컨베어부(20)와;
    상기 제2컨베어(22)에서 진입구(313)로 넘어온 셔틀콕을 대각선 상부로 이송시켜 진출구(323)로 배출되도록 하는 리프트부(30)와;
    상기 진출구(323)를 통해 한 개씩 분리된 셔틀콕이 몸체(10) 상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수직이송부(40)와;
    상기 수직이송부(40)를 통해 몸체(10) 상부로 이송된 셔틀콕이 몸체(10) 상면에 '┏'자형 원형관으로 고정된 배출관(51)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부(50)와;
    상기 몸체(10) 상면에 형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61)과, 컨베어부(20), 리프트부(30), 수직이송부(40), 배출부(5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작버튼(62)이 형성된 제어부(6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부(20)는 수용공간(12) 저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좌우 양단에 각각 고정된 제1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평면이송되는 제1컨베어(21)와, 상기 제1컨베어(21) 일측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제2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평면이송되는 제2컨베어(22)와, 상기 제1,2회전축(211,221)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된 제1기어(232)와 제1체인(231)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되는 제1구동모터(23)와, 상기 제2컨베어(22) 표면에 수직으로 50 ~ 100mm 돌출되어 고정되며, 80 ~ 120mm의 간격을 이루며 고정된 이송날개(2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30)는 다수개의 받침봉(311)에 지지되며 제2컨베어(22)를 통해 진입구(313)에 이송된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이송홈(312) 아래로 향하도록 35 ~ 55mm 간격 떨어져 고정된 받침판(31)과, 상기 받침봉(311)에 다수개가 고정된 제2기어(322)와 제2체인(321)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되는 제2구동모터(32)와, 상기 제2체인(321)에 120 ~ 150mm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고정되며 이송홈(312) 저면으로 돌출되어 셔틀콕을 진출구(323)를 향해 밀어올리는 경계봉(33)과, 셔틀콕의 엉킴이 감지되도록 진입구(313)와 진출구(323)에 각각 제1,2센서(34,35)가 형성되며, 진입구(313)에서 진출구(323)를 향해 받침판(31)이 30 ~ 80°로 상향 경사지게 제2경사면(3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부(40)는 일측이 진출구(323) 저면에 위치되며 셔틀콕이 삽입되어 수직 상부로 올라가도록 'U'자형 원형관으로 형성된 이송관(41)과, 제3구동모터(422)의 회전에 의해 외측에 다수개 고정된 제3회전축(421)과 같이 회전되며 이송관(41) 내측 저면을 따라 형성된 밸트홈(423)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밸트(4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50)는 이송관(41) 일측단과 연결되며 몸체(10) 상면에 '┏'자형 원형관으로 고정된 배출관(51)이 회전되도록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511)과,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태로 배출관(51) 일측에 마찰힌지(521)에 의해 결합되어 연장되며 타측단 저면에 셔틀콕 감지시 제1,2,3구동모터(23,32,422)의 동작이 일시정지되도록 제3센서(522)가 형성된 연장배출관(5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는 제1,2,3센서(34,35,522)에 의해 셔틀콕의 엉킴을 감지 후 제1,2,3구동모터(23,32,422)가 각각 비상정지 되도록 하며, 몸체(10) 상면 일측에 제1,2,3센서(34,35,522)에 셔틀콕의 엉킴이 감지되어 표시되는 제1,2,3알람부(63,64,6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날개(24)는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이송장치.
  8.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30)는 진입구(313)측 받침판(31)이 10 ~ 40°로 이송홈(31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50)는 마찰힌지(52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배출관(52)의 각도 조절 후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KR1020100022137A 2010-03-12 2010-03-12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KR20110103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37A KR20110103033A (ko) 2010-03-12 2010-03-12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137A KR20110103033A (ko) 2010-03-12 2010-03-12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033A true KR20110103033A (ko) 2011-09-20

Family

ID=44954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137A KR20110103033A (ko) 2010-03-12 2010-03-12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303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45B1 (ko) * 2017-06-16 2018-07-11 (주)클라우드게이트 볼 수집 장치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CN109350935A (zh) * 2018-11-07 2019-02-19 深圳市普尚健康技术有限公司 一种羽毛球传送机构及羽毛球设备
CN109364442A (zh) * 2018-11-07 2019-02-22 深圳市普尚健康技术有限公司 一种羽毛球运输机构及羽毛球设备
KR20190120522A (ko) * 2018-04-16 2019-10-24 손서용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CN113827933A (zh) * 2021-10-19 2021-12-24 陕西理工大学 一种羽毛球馆用残缺羽毛球修复设备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383A (ja) * 2017-05-02 2018-11-29 昌植 金 スクリーンバドミントン練習装置
KR101877545B1 (ko) * 2017-06-16 2018-07-11 (주)클라우드게이트 볼 수집 장치
KR20190120522A (ko) * 2018-04-16 2019-10-24 손서용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JP2021519674A (ja) * 2018-04-16 2021-08-12 ソン、ソヨンSON, Seoyong バドミントンシャトルコック自動収去装置
CN109350935A (zh) * 2018-11-07 2019-02-19 深圳市普尚健康技术有限公司 一种羽毛球传送机构及羽毛球设备
CN109364442A (zh) * 2018-11-07 2019-02-22 深圳市普尚健康技术有限公司 一种羽毛球运输机构及羽毛球设备
CN109364442B (zh) * 2018-11-07 2023-11-17 深圳市普尚智能体育有限公司 一种羽毛球运输机构及羽毛球设备
CN109350935B (zh) * 2018-11-07 2023-11-17 深圳市普尚智能体育有限公司 一种羽毛球传送机构及羽毛球设备
CN113827933A (zh) * 2021-10-19 2021-12-24 陕西理工大学 一种羽毛球馆用残缺羽毛球修复设备
CN113827933B (zh) * 2021-10-19 2022-07-26 陕西理工大学 一种羽毛球馆用残缺羽毛球修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033A (ko)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CN105116160B (zh) 化学发光免疫分析用反应杯自动连续装载装置
JP5485340B2 (ja) ゴルフボール自動ティーアップ供給装置
CN105699676A (zh) 反应杯加载装置
CN108313378A (zh) 一种手套码沓点数机
US11077352B1 (en) Tennis ball projecting machine
CN107829445A (zh) 一种城市公路挡土墙智能成型一体机
CN108982047B (zh) 一种用于罐头玻璃包装瓶多角度式抗摔落测试装置
KR101188612B1 (ko) 피칭 머신
CN207384780U (zh) 一种羽毛球接发球机
CN209242054U (zh) 药瓶供给系统及药品灌装设备
CN205838055U (zh) 一种物料的连续供给机构
CN209321795U (zh) 一种货运运输用皮带运输机
KR102517762B1 (ko) 자판기의 컵이송장치
WO2011019158A2 (ko) 무동력 자동 티업기
JP2003175142A (ja) 卓球投球装置
CN108820279A (zh) 一种水果级选及装箱称重装置与系统和处理方法
US11937569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bedding inside of breeding cages for use in pharmaceutical preclinical research centres, and method of using said apparatus
CN213737467U (zh) 一种带送料机构的瓜子生产设备
CN212503555U (zh) 一种物料提升机防护门联动装置
CN110712990B (zh) 送料设备及送料方法
CN208249201U (zh) 一种降温输送带
CN204110834U (zh) 一种输送设备
CN209303903U (zh) 一种石英晶振自动打标装置
KR101462674B1 (ko) 클리닝 기능을 갖는 알약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