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093B1 -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093B1
KR102044093B1 KR1020180043814A KR20180043814A KR102044093B1 KR 102044093 B1 KR102044093 B1 KR 102044093B1 KR 1020180043814 A KR1020180043814 A KR 1020180043814A KR 20180043814 A KR20180043814 A KR 20180043814A KR 102044093 B1 KR102044093 B1 KR 10204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cylindrical
blower
collect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522A (ko
Inventor
손서용
Original Assignee
손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서용 filed Critical 손서용
Priority to KR102018004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093B1/ko
Priority to JP2021505169A priority patent/JP7010530B2/ja
Priority to PCT/KR2019/003381 priority patent/WO2019203464A1/ko
Publication of KR2019012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collecting by using a sweeping means moving across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ertiliz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훈련 코트 내 다량으로 흩어진 셔틀콕을 자동으로 수거하기 위해, 셔틀콕이 수거 유도바에 의해 투입부 쪽으로 포집되고, 포집된 셔틀콕을 회전롤 브러쉬의 회전 탄성에 의해 송풍기둥 투입구로 이송시키는 투입부와, 투입된 셔틀콕은 송풍기둥 기저에 장치된 송풍기의 송풍 작용에 의해 셔틀콕을 송풍기둥 내 상부로 비행 상승시키는 송풍부와, 송풍 작용에 의해 상승된 셔틀콕은 원통 수거부 상부와 이탈 방지 반구망 사이의 공간에 비행하고, 비행된 셔틀콕은 중력에 의해 원통형 적재관에 투하 및 적재 되는 원통 수거부와, 적재된 셔틀콕의 편중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 수거부 하부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돌출된 원기둥형 회전관에, 바퀴의 구동을 통해 회전을 전달 함으로써 원통 수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회전롤 브러쉬와 송풍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A shuttlecock collection automatic device}
본 발명은 배드민턴 레슨 과정에서 생기는 다량의 셔틀콕을 동시에 수거하고 자동으로 적재하여 정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배드민턴은 대중 생활 스포츠로서 많은 동호인들의 저변 확대가 되어 있으나, 초보 입문자나 선수들인 경우 반복된 훈련이 계속되고, 그 훈련 과정에서 다량의 셔틀콕을 사용되고, 사용된 셔틀콕은 코트 바닥에 흩어진다. 배드민턴 셔틀콕의 특성상, 일일이 손으로 줍고 겹치게 정렬시키는데는 육체적 고충과, 시간적 소요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틀콕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회수하고 정리하는 것을, 셔틀콕 자동 수거장치를 통해 다량의 셔틀콕을 송풍 장치의 송풍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상승 시키고, 상승된 셔틀콕을 원통형 적재관에 적재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셔틀콕 수거 장치를 훈련 코트내 다량으로 흩어진 셔틀콕을 한 방향으로 밀어 줌으로서, 셔틀콕은 수거유도바에 의해 투입부 쪽으로 포집되고, 포집된 셔틀콕을 회전롤 브러쉬의 회전 탄성에 의해 송풍기둥 투입구로 이송시키는 투입부와; 투입된 셔틀콕은 하부케이스 기저에 장치된 송풍기의 송풍 작용에 의해, 셔틀콕을 송풍기둥 내 상부로 비행 상승시키는 송풍부; 송풍 작용에 의해 상승된 셔틀콕은, 원통 수거부 상부와 이탈 방지 반구망 사이의 공간에 비행하고, 비행된 셔틀콕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철망으로 구성된 반구형의 이탈 방지 반구망과, 이탈 방지 반구망의 중앙 상부에 반구형 형상으로 구비된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가 구비된 이탈 방지망부; 이탈 방지망 돌출부에 의해 셔틀콕은 바람의 유도된 경로를 따라 원통 수거부 상부 가장자리로 이송된 셔틀콕은, 송풍기둥의 송풍 영향을 적게 받고, 따라서 중력에 의해 원통형 적재관에 낙하 및 적재 정렬되는 원통 수거부; 적재된 셔틀콕의 편중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 수거부 하부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돌출된 원기둥형 회전관에 회전 벨트를 장착하고, 바퀴 회전축과 수직으로 구비된 웜과 웜기어는, 회전판을 통해 바퀴의 회전을 회전벨트와 회전관에 전달함으로서, 원통 수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회전롤 브러쉬 모터와 송풍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는,수작업으로 셔틀콕을 수집하던 방식을 밀기만 하면 자동으로 수거 됨과 동시에, 셔틀콕의 깃털로 인해 생기는 비행의 특성인 바람의 저항을 이용해, 다량의 셔틀콕을 연속적으로 적재 할 수 있어 훈련 과정에서 생기는 수작업의 피로도를 월등히 줄일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사시도이다.
도2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분해도이다.
도3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의 원통 수거부 부분 분해도이다.
도4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하부 회전부 부분 사시도이다.
도5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원통 수거부 평면 사시도이다.
도6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구성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에 관한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셔틀콕 수거 장치의 전체 분해도이고,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원통 수거부의 내부, 외부 부분 분해도 이며, 도4 는 셔틀콕 수거 장치 하부 케이스(400)내 회전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5 는 원통 수거부(100)를 내부, 외부로 분리시킨 부분 평면 사시도이며, 도6 은 저면도이다.
도1 내지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의 투입부는, 코트에 흩어진 셔틀콕이 투입되는 투입구 케이스(200)와, 투입구 케이스(200)로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셔틀콕 수거바(202)와, 셔틀콕 수거바(202)에 의해 다량으로 포집된 셔틀콕을 송풍기둥 투입구(204)에 투입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롤 브러쉬(201)로 구성된다.
한편, 송풍부는, 투입된 셔틀콕을, 원통 수거부(100) 상부로 상승시키는 송풍기(211)와, 송풍 작용에 의해 상승 비행하는 셔틀콕을 원통수거부(100) 상부로 배출하는 송풍기둥(600)이 원통 수거부 내부(102) 중앙에 구비된다.
또한, 이탈방지망부는, 송풍 기둥(600)을 따라 상승 비행한 셔틀콕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으로 구성된 이탈 방지 반구망(115)과, 송풍기둥(600) 내부에서 상승한 공기의 흐름을 가장자리로 유도하기 위해, 반구형으로 형상을 지닌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117)가 구비 된다.
한편,원통 수거부(100)는,도2,도3,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수거부 내부(102)와 원통 수거부 외부(101)로 구성된다.
원통 수거부 내부(102)는, 중앙에 삽입된 송풍기둥(600)을 감싸는 원통관이 원통 수거부 내부(102)에 중앙에 형상되고, 그 둘레에 규칙적으로 원통 형상을 지닌 원통 적재관(105)이 구비되며, 상부면은 중앙이 낮은 경사면(103-1)의 형상으로 셔틀콕이 원통 적재관(105)에 원활히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송풍기둥(600)을 따라 상승 비행한 셔틀콕을 적재 정렬 하기 위해, 다수의 원통 적재관(105)내 하부에는, 낙하한 셔틀콕을 안정적을 안착시키키 위한 셔틀콕 홀더(109)가 구비된다,즉,원통 적재관(105)에 처음 낙하된 셔틀콕은,셔틀콕 홀더(109)에 코르크 부분이 먼저 삽입되어 셔틀콕은 바로선 자세를 유지하며, 연이어 낙하된 셔틀콕을 순서대로 차곡히 정렬되게 하며,원통 수거부 내부(102) 측면 기둥에는 상부 리프팅을 위한, 원통 수거부 내부 리프팅 유도바(118)를 포함 한다.
또한, 원통 수거부 외부(101)는, 원통의 형상을 지니며, 셔틀콕의 혼잡을 방지하고 원통 적재관(105)에 원활한 낙하는 유도하기 위해 상기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경사면(103-1)과 연속된 상부 경사면(103)이 형상되고,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상부 리프팅을 안내하기 위한 원통 수거부 외부 리프팅 안내 홈(119)이 구비 된다.
한편, 회전부는, 송풍기둥(600)을 통해 상승 비행한 셔틀콕이 원통 적재관(105)에 어느 일방으로 편중된 적재를 방지하기 위해,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과 웜기어(305),회전판(300)과 회전벨트(304)로 구성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관(112)을 포함하며, 바퀴(308)의 구동을 이용해 원통 수거부(100)를 회전 시킨다.
한편, 전원부는, 회전롤 브러쉬 모터(201)와 송풍기(211)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스위치(5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된 내용을 바탕으로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 과정에서 흩어진 셔틀콕을 수거 하기 위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를, 다량의 셔틀콕이 흩어진 방향으로 밀게 되면,셔틀콕은 셔틀콕 수거바(202)에 의해 투입구 쪽으로 셔틀콕은 포집 되게 된다. 투입부의 회전롤 브러쉬(201) 전면에 포집된 셔틀콕은, 브러쉬모가 부착되고 회전 모터(210)의 회전 동력을 얻은 회전롤 브러쉬(201)의 빠른 회전력으로, 포집된 셔틀콕은 브러쉬모 회전 탄성에 의해 투입구 케이스(200)를 거쳐 송풍기둥 투입구(204) 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송풍기둥 투입구(204) 쪽으로 셔틀콕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투입구 케이스(200) 내부는 박스형 형상을 가지며, 이는 회전롤 브러쉬(201)의 회전 탄성으로 인해 발생 될 수 있는 셔틀콕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투입구 케이스(200) 내부 하단의 완만한 경사면(203)은, 회전롤 브러쉬(201)에 의해 이송된 셔틀콕의 운반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입된 셔틀콕은, 송풍기둥(600)하부 내 구비된 투입구 안착망(205)의 상부에 안착하고, 안착된 셔틀콕은, 하부케이스(400) 기저에 위치한 송풍기(211)의 송풍 작용에 의해 송풍기둥(600) 하부에서 송풍기둥(600) 상부로 상승 비행하게 된다.
그리고,송풍기둥(600)내 상승 비행하는 과정에서, 셔틀콕은 셔틀콕의 특징에 따라 코르크 부위는 지표면 쪽의 아래 방향으로, 깃털 부위는 바람의 저항에 의해 위쪽으로 향하게 방향이 전환되고, 송풍기(211)의 송풍 방향을 따 곧게 선 자세를 유지하며 송풍기둥(600)내로 부터 상부 이탈 방지망부(115) 방향으로 비행 한다.
비행하는 셔틀콕은, 송풍 방향을 따라 송풍기둥(600)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고, 빠져나온 셔틀콕은 원통수거부(100) 상부, 즉 원통 수거부(100)와 이탈 방지 반구망(115)의 공간부에, 코르크 방향이 아래로 향하는 곧 바른 위치를 유지하며 비행하게 된다. 그리고 비행한 셔틀콕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 반구망(115)이 원통수거부 내부 돌출부(104)에 장착되어 있어,셔틀콕은 원통 수거부(100)의 상부면과 이탈 방지 반구망(115) 사이의 공간 내에서 비행을 유지 하게 한다. 또한 이탈 방지 반구망(115) 중심에는 아래 방향으로 반구형 형상을 지닌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즉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117)는, 송풍되어 상승한 바람을 원통 수거부(100) 가장 자리로 유도하고, 유도된 바람은 이탈방지 반구망(115)의 철망 틈새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로 인해, 바람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송 비행한 셔틀콕은, 송풍기둥(600)의 바람이 영향을 주지 않는 원통 수거부(100)의 가장자리 원통 적재관(105) 상부에 비행함과 동시에, 약해진 송풍으로 인해 원통 적재관(105) 홈에,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원통 적재관(105)의 홈에 빠진 최초의 셔틀콕은, 원통 적재관(105)내 하부에 구비된 셔틀콕 홀더(109)에, 안정적으로 셔틀콕 코르크 방향이 아래 방향으로 안착하게 되고, 연이어 원통 적재관(105) 홈에 낙하되는 셔틀콕(110)은, 순서대로 적재 정렬되게 된다.
한편, 원통수거부(100)는 도3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수거부 외부(101)와, 원통 수거부 내부(102)로 분리 된다.
원통 수거부 외부(101)는,도3,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부 표면부에 송풍에 의해 비행한 셔틀콕의 하강으로 원통 수거부(100)와 이탈 방지 반구망(115) 사이의 공간에, 셔틀콕이 혼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경사면(103)을 구비하며, 경사로 인해 매끄럽게 원통 적재관(105)에 셔틀콕이 원활히 낙하되도록 유도 함이다. 또한 하단면 중앙부에는 송풍기둥(600)이 원통 수거부 내부(102)에 삽입 될 수 있도록 원형의 통기된 공간을 구비하고, 원통 수거부 외부(101)의 외벽 내측에는, 적재되는 셔틀콕의 안내를 유도하는 반 원통형의 내측벽부(108)와,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리프팅 안내를 제공하는 원통 수거부 외부 리프팅 안내 홈(119)이 구비된 형상을 가지며, 하부 바닥면에는 도2에 도시된 하부케이스 돌출 지지부(401)가 삽입 될 수 있는, 도4에 도시된 원통 수거부 회전 지지홈(111)이 원통 내부 상 방향으로 형상되어, 하부케이스 돌출 지지부(401)와 삽입 결합시킨다. 이는 원통 수거부(100)를 지지하고, 원통 수거부(100) 회전시 슬라이딩되는 안내 기능을 하며, 원통 수거부(100)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부케이스 돌출 지지부(401)의 상부 면에는, 볼베어링(402)이 배치되어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하단 저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벨트(304)를 연결할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관(112)이, 원통 수거부 외부(101)와 일체로 구비되어, 회전 벨트(304)의 회전을 전달받아 원통 수거부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원통 수거부 내부(102)는, 도3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수거부(100)를 원형으로 등분한 내부 형상으로, 중앙의 통기 부분은 송풍기둥(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기둥관 형상을 이루며, 원통 적재관(105) 상부, 즉 원통 적재관(105) 경계 경사면(10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 비행한 셔틀콕 낙하시, 원통 적재관(105) 상부에 머물지 않고 원통 적재관(105)에 원활하게 낙하를 유도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원통 적재관(105) 홈에 낙하되지 못한 셔틀콕은, 경사로 인해 다시 송풍기둥(600) 중심 쪽으로 유도되고, 송풍기둥(600) 중심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온 셔틀콕은 계속되는 송풍작용을 통해 재 상승 비행하면서, 원통적재관(105)에 재 낙하 투입되는 목적을 지닌다.
또한, 도1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적재관(105)은 최초 결합시 원통형으로 결합된 형상이나, 원통 수거부 내부(102)와 원통 수거부 외부(101)로 구분되면서, 각 각 반 원통형의 형상으로 분할 구분 되고,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원통 적재관(105)은, 원통 수거부 외부(101)의 원통적재관(105-1)보다 원 둘레의 범주는 넓게하며, 측면 노출구(105-3)는 원통 수거부 외부(101)의 원통적재관(105-1)보다 좁게 제공 한다.
또한,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원통 적재관 (105) 하부에는, 셔틀콕 홀더(109)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낙하되는 셔틀콕이 셔틀콕 홀더(109) 구멍으로 코르크 부분이 먼저 삽입됨으로서, 셔틀콕을 규칙적으로 적재 및 정렬 하게 된다.
또한, 도3 과 도5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등분된 경계 측면은, 원통 수거부 내부 리프팅 유도 바(118)가 구비 되며, 리프팅 유도 바(118)는 원통 수거부 외부 리프팅 안내 홈(119)을 따라 원통수거부 내부(102)를 상.하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통 수거부 내부(102) 상부 끝 마디에는, 이탈 방지 반구망 나사 연결 홈(114)과 원통 수거부 내부(102)를 나사로 결합 시키키 위한 원통 수거부 내부 돌출부(104)가 있으며, 원통 수거부 내부 리프팅 유도 바(118) 하부에는, 셔틀콕을 인출하기 위해 원통 수거부 내부(102)가 상 방향으로 리프팅 된 후, 원통 수거부 외부(101)에 구비된 원통 수거 외부 리프트 정지홈(106-1)에 고정 및 안착 될 수 있도록, 원통수거 내부(102) 리프트 정지 돌출볼(106)이 장치 된다.
한편,도2, 도3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망부는, 원통 수거부의 원통형상에 맞게 이탈 방지 반구망(115)이,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 수거부 내부(102)의 돌출부 나사홈(113)과 결합되며, 이탈 방지 반구망(115)의 중앙부에는 반구형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117)가, 이탈 방지 반구망(115)과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즉, 송풍 작용에 의해 상승한 바람이,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117)와 충돌하게 되고, 충돌한 바람은 반구형 곡면을 따라 이탈 방지 반구망(115)의 철망 사이로 빠져 나가게 됨으로서,바람의 방향을 따라 비행 유도되는 셔틀콕은, 원통 수거부(100)와 이탈 방지 반구망(115) 사이의 공간 내 가장자리로 비행하고, 따라서 송풍 작용이 약해지는 송풍기둥(600) 외부에 구비된 원통 적재관(105)에 중력으로 낙하 적재하게 된다.
한편, 적재되는 셔틀콕이 편중되는 적재를 방지하게 하기 위해, 도2,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수거부(100) 하부에 회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세하게는,코트에 다량의 흩어진 셔틀콕을 수거하기 위해, 도1 에 도시된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를, 수거자가 손잡이(500)를 잡고 이동하고,이로 인해 바퀴(308)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생긴다. 이러한 구동력을 이용하기 위해, 바퀴 회전축(307)에는 웜(305)와 웜기어(306)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바퀴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구동력은, 바퀴 회전축(307)과 웜(305)과 웜기어(306)를 따라 회전판(300)에 전달 된다. 전달된 회전력은 회전벨트(304)를 통해, 원통 수거부 외부(101)의 하부 배면에 위치한 회전관(11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원통 수거부(100)를 회전 시킨다. 즉, 셔틀콕 수거 장치의 이동시 원통 수거부(100)는 바퀴의 구동에 의해 항상 회전을 하게 되고, 수거시 발생 할 수 있는 셔틀콕의 편중된 적재를 형평 있게 원통 적재관(105)에 고르게 낙하시키는데 목적에 있다. 또한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내부는 톱니형을 기어로 구성되어, 회전판(300)의 회전이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회전판 라쳇(302) 구비되고, 역회전시 회전력이 원통 수거부(100)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회전판 멈춤쇠 풀(303)이 장치되어 있다.따라서, 한 방향으로만 회전 전달로 인해 ,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를 후방으로 밀때나,또는 셔틀콕 수거를 위해, 원통 수거부 내부(102)와 결합된 이탈 방지 반구망 손잡이(116)를 상 방향으로 잡아 올려 정착시킨후, 수거자가 수거자의 전면부 원통 적재관(108)에서 셔틀콕을 회수하고,이후, 후면부 원통 적재관(108)에 적재된 셔틀콕을 회수하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셔틀콕 수거부 외부(101)를 손으로 돌려도,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전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한편,송풍부 송풍기둥(600) 하부에는,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투입구 안착망(205)이 송풍기둥(600)내 설치 되어 있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 유도 경사면(203)을 따라 송풍기둥 투입구(204)로 투입된 셔틀콕이, 도6에 도시된 케이스(400)배면의 배면 송풍 흡입구(403)로 셔틀콕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또한,셔틀콕이 송풍되는 바람의 영향을 항상 받을 수 있는 위한 위치에 고정 된다.
한편 상술한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의 회전 장치와, 송풍 장치의 안정적 기능을 위해,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부케이스(400)가 마련되고, 하부케이스(400) 내부 바닥면에는, 송풍기둥(600)하부 측면에 송풍기(211)가 고정되며, 회전롤 브러쉬 모터(210)의 안착을 돕기 위한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고, 송풍기(211)와 회전롤 브러쉬(201)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배터리(209)가 하부케이스(400) 내부에 구비되며, on-off 스위치(501)가 장치된 손잡이(500)가 하부케이스(400) 측면부에 결합되고,셔틀콕 수거 장치의 이동과 회전판(3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퀴(308)가 하부케이스(400) 측면 하부에 장착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원통 수거부 101 : 원통 수거 외부
102 : 원통 수거 내부 104 : 원통수거부 외부 돌출부
115 :이탈 방지 반구망 117 : 이탈 방지 반구망 내부 돌출부
118 : 원통 수거부 내부 리프팅 유도 바
119 : 원통 수거부 외부 리프팅 안내 홈
200 : 투입구 케이스 201 : 회전롤 브러쉬
204 : 송풍기둥 투입구 205 : 투입구 안착망
211 : 송풍기 300 : 회전판
304 : 회전벨트 400 :하부 케이스
401 : 하부케이스 돌출 지지부 403 : 저면 송풍 흡입구
500 : 손잡이 600 : 송풍기둥

Claims (5)

  1. 코트 내에 흩어진 셔틀콕을 셔틀콕 수거바에 의해 포집하여 회전롤 브러쉬의 회전 탄성에 의해 하기 송풍기둥 투입구에 투입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된 셔틀콕을 하부케이스 기저에 장치된 송풍기의 송풍 작용에 의해 일 측면에 상기 송풍기둥 투입구가 형성된 송풍기둥 상부로 상승시키는 송풍부와;
    상승 비행한 셔틀콕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고, 셔틀콕을 원통 수거부 가장자리로 유도하는 이탈 방지 반구망을 포함하는 이탈 방지망부와;
    상기 송풍 작용에 의해 상승한 셔틀콕을 상기 송풍기둥 둘레에 구비된 원통 적재관에 낙하 및 적재하는 원통 수거부와;
    상기 원통 수거부의 원통 적재관에 골고루 셔틀콕을 낙하시키기 위해 바퀴의 구동에 의해 상기 원통 수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송풍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셔틀콕을 포집하는 셔틀콕 수거바;와, 상기 셔틀콕 수거바를 통해 포집된 셔틀콕을 상기 송풍기둥 투입구로 이송시키는 회전롤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둥은 송풍기의 송풍 작용에 의해 셔틀콕의 특징에 따라 코르크 방향이 아래로 향하게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고, 그리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송풍기둥에 투입된 셔틀콕의 낙하를 방지하는 투입구 안착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반구망은,
    송풍작용에 의해 비행 상승된 셔틀콕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상승 송풍된 바람을 상기 원통 수거부 가장자리로 유도하기 위해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수거부는,
    셔틀콕 적재를 안내하는 원통 수거부 외부와; 셔틀콕 적재를 안내하고 적재된 셔틀콕을 수거하기 위해 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원통 수거부 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KR1020180043814A 2018-04-16 2018-04-16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KR10204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14A KR102044093B1 (ko) 2018-04-16 2018-04-16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JP2021505169A JP7010530B2 (ja) 2018-04-16 2019-03-22 バドミントンシャトルコック自動収去装置
PCT/KR2019/003381 WO2019203464A1 (ko) 2018-04-16 2019-03-22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814A KR102044093B1 (ko) 2018-04-16 2018-04-16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22A KR20190120522A (ko) 2019-10-24
KR102044093B1 true KR102044093B1 (ko) 2019-11-12

Family

ID=6823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814A KR102044093B1 (ko) 2018-04-16 2018-04-16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0530B2 (ko)
KR (1) KR102044093B1 (ko)
WO (1) WO2019203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1133A (zh) * 2019-10-31 2020-01-14 北京工业大学 一种用于捡乒乓球机器人的双模态控制方法
CN110935146B (zh) * 2019-12-31 2021-05-18 山东中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羽毛球捡球器
CN111569375B (zh) * 2020-05-22 2021-04-23 燕山大学 一种羽毛球自动收集整理车
CN113069740B (zh) * 2021-05-11 2022-05-24 湖南环境生物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计算机视觉判断的羽毛球自动捡拾机器人
CN113457090B (zh) * 2021-06-07 2022-11-11 嘉兴智旭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排球训练自动捡球系统及其使用方法
CN114904237B (zh) * 2022-03-15 2023-10-13 陈天择 一种羽毛球捡拾整理装置
CN114642865B (zh) * 2022-04-15 2022-12-27 山东工程职业技术大学 内外贴合点触型次序收集式羽毛球馆散落羽毛球捡拾装置
CN115192998B (zh) * 2022-07-14 2024-02-06 南京林业大学 一种羽毛球训练用拾发球机器人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343A (ja) 2002-06-21 2004-01-29 Kazuko Iwata 球技用ボールの回収装置
KR100847563B1 (ko) 2008-03-06 2008-07-21 이재열 셔틀콕 정렬장치
KR101151005B1 (ko) 2010-06-24 2012-06-1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2805916A (zh) 2012-07-13 2012-12-05 江苏大学 一种羽毛球捡球机
CN203874401U (zh) 2014-03-13 2014-10-15 杨德芳 一种羽毛球捡球理球机
CN105056502A (zh) 2015-07-22 2015-11-18 武汉工程大学 羽毛球吸/发球机
KR101570956B1 (ko) 2015-06-30 2015-11-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셔틀콕 정렬 장치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KR101577003B1 (ko) 2015-05-12 2015-12-21 류호관 테니스공 수집기
CN107050780A (zh) 2017-03-20 2017-08-18 西南大学 羽毛球自动整理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001B1 (ko) * 2009-11-03 2012-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테니스 공 수집장치
KR20110103033A (ko) * 2010-03-12 2011-09-20 이재열 셔틀콕 정렬 이송장치
KR20130140345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다산실업 배드민턴 볼 송구기의 볼의 반송기류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343A (ja) 2002-06-21 2004-01-29 Kazuko Iwata 球技用ボールの回収装置
KR100847563B1 (ko) 2008-03-06 2008-07-21 이재열 셔틀콕 정렬장치
KR101151005B1 (ko) 2010-06-24 2012-06-14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2805916A (zh) 2012-07-13 2012-12-05 江苏大学 一种羽毛球捡球机
CN203874401U (zh) 2014-03-13 2014-10-15 杨德芳 一种羽毛球捡球理球机
KR101577003B1 (ko) 2015-05-12 2015-12-21 류호관 테니스공 수집기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KR101570956B1 (ko) 2015-06-30 2015-11-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셔틀콕 정렬 장치
CN105056502A (zh) 2015-07-22 2015-11-18 武汉工程大学 羽毛球吸/发球机
CN107050780A (zh) 2017-03-20 2017-08-18 西南大学 羽毛球自动整理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64A1 (ko) 2019-10-24
JP7010530B2 (ja) 2022-01-26
JP2021519674A (ja) 2021-08-12
KR20190120522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093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자동 수거 장치
US20090095273A1 (en) Pitching machine for baseball and softball batting practice
US5507271A (en) Air-actuated ball-throw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5257615A (en) Baseball, softball and tennis training device
US7600759B2 (en) Multi-sports ball return ne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050780B (zh) 羽毛球自动整理收集装置
KR102050280B1 (ko)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101915052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050266936A1 (en) Batting training apparatus
KR100847563B1 (ko) 셔틀콕 정렬장치
KR10170976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5599017A (en) Baseball target and projector apparatus
CN209828194U (zh) 一种体育用排球发球装置
KR200470337Y1 (ko) 초보자를 위한 테니스 서브 연습기
KR20190029084A (ko) 셔틀콕 수거장치
KR20140083222A (ko)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TWM611553U (zh) 羽毛球運動用羽毛球自動收集裝置
KR101647118B1 (ko) 다기능 배구 연습장치
WO2016174484A2 (en) Ball serving apparatus
US8991377B2 (en) Bucket feeder for a ball projecting machine
CN114100097B (zh) 一种带有辅助定位机构的网球精准度训练装置
CN212214548U (zh) 网球训练用自动发球机
KR20200002078U (ko) 송풍 작용을 이용한 셔틀콕 적재 정렬 장치
KR20210115439A (ko) 셔틀콕 자동 수거 및 적재 장치
CN1085460A (zh) 组合式廉价网前机器人发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