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084A - 셔틀콕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084A
KR20190029084A KR1020170116179A KR20170116179A KR20190029084A KR 20190029084 A KR20190029084 A KR 20190029084A KR 1020170116179 A KR1020170116179 A KR 1020170116179A KR 20170116179 A KR20170116179 A KR 20170116179A KR 20190029084 A KR20190029084 A KR 2019002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conveyor
unit
supply un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김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식 filed Critical 김창식
Priority to KR102017011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084A/ko
Publication of KR2019002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1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picking-up automatically, e.g. by apparatus moving over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셔틀콕을 쉽고 빠르게 수거할 수 있고, 셔틀콕을 사용하기 편하도록 적층하여 수거하는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되면서 지면에 놓인 셔틀콕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부(10); 일단은 상기 공급부(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상향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컨베이어(22)를 구비하는 이송부(20); 상기 컨베이어(22)를 구동하고 상기 공급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0); 및 상기 이송부(20)의 경사면 상단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을 받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수거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셔틀콕 수거장치{A DEVICE FOR COLLECTING SHUTTLECOCKS}
본 발명은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셔틀콕을 쉽고 빠르게 수거할 수 있고, 셔틀콕을 사용하기 편하도록 적층하여 수거하는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된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쳐서 상대방 코트의 바닥에 떨어지면 득점을 하는 운동으로, 단식과 복식으로 이루어진 스포츠다.
상기 셔틀콕은 배드민턴에서 사용하는 원뿔 모양의 공으로 반구형으로 된 코르크팁과 셔틀콕에 안정감을 주기 위해 상기 코르트팁에 장착되는 14~16장의 깃털로 구성된다.
이러한 셔틀콕은 원뿔 모양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운동 후 셔틀콕을 수거하기 위해 한쪽으로 모으게 되면 일반적인 구형의 공과 같이 굴러가지 않고 코르크팁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경기장 주변에 흩어져 있는 셔틀콕을 사람이 직접 주워서 수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고, 2015년 12월 14일에는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라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57867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등록되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에 흩어져 있는 셔틀콕이 동일한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부와, 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셔틀콕을 탈착하여 거치부로 이동시키는 공급부와, 공급부를 통해 이동된 셔틀콕이 차례대로 겹쳐질 수 있도록 공급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기울기가 형성된 거치부, 및 인입부, 공급부에 장치가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바퀴의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인입부 선단의 정렬장치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셔틀콕이 코르크팁 방향으로 진입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정렬을 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다량의 셔틀콕을 수거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공급부로 공급된 셔틀콕을 거치부로 이동시키는 인입부가 탄성체의 간격을 간격 형성대로 조절하며 탈착장치가 셔틀콕 하나하나를 실어 나르게 되므로, 공급부로 인입되는 셔틀콕의 개수가 많더라도 인입부가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서는 인입부에서 수거부로 셔틀콕이 이동할 때 탈착장치에 장착된 셔틀콕이 이탈장치에 의해 이탈되면서 튀김방지대를 통과하게 되어 거치부에 차례대로 겹쳐지게 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는데, 탈착장치에 장착된 셔틀콕은 코르크팁이 전방을 향하고 있으나 셔틀콕이 이탈장치에 의해 이탈되면서 튀김방지대를 통과할 때는 코르크팁이 후방을 향하게 되어 발명의 구현이 불확실한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튀김방지대를 구비한 이유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종래기술에서는 이탈장치에서 셔틀콕이 이탈될 때 튕겨지듯이 이탈되고 코르크팁은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항상 일정하게 튀김방지대를 통과하여 수거부에 정확히 겹쳐지게 적재됨을 담보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가 남아 있었다.
KR 10-157867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셔틀콕을 쉽고 빠르게 수거할 수 있는 셔틀콕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틀콕을 사용하기 편하도록 적층하여 수거하는 셔틀콕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되면서 지면에 놓인 셔틀콕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부; 일단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상향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하고 상기 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이송부의 경사면 상단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을 받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에 따라 셔틀콕이 걸려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다수의 솔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일단에는 상기 공급부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거부가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셔틀콕의 코르크팁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송바가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바에 코르크팁이 삽입된 셔틀콕의 깃털 부분을 지지하는 비탈면을 가지며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이송 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 가이드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경사면을 상승한 셔틀콕이 상기 컨베이어의 끝단에서 자유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컨베이어 및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상기 컨베이어 및 공급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상기 컨베이어 및 공급부의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에 따르면, 바닥에 떨어져 있는 다량의 셔틀콕을 쉽고 빠르며 확실하게 수거할 수 있어 경기의 재개 및 정리가 쉬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셔틀콕을 사용하기 편하도록 수거통에 적층하여 수거하므로 셔틀콕이 적층된 수거통을 정리하는 것만으로 수거 및 정리가 완료되고, 상기 수거통을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장착하여 셔틀콕을 바로 송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전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에서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에서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전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에서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는 크게 공급부(10), 이송부(20), 구동수단(30) 및 수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0)는 회전되면서 지면에 놓인 셔틀콕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후방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서,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1)과, 회전에 따라 셔틀콕이 걸려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11)에 장착되는 다수의 솔(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공급부(10)는 탄성을 갖는 다수의 솔(12)이 회전하면서 바닥에 떨어져 있는 셔틀콕에 접촉하게 되는데, 셔틀콕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지고 깃털 사이에 공간이 있을 뿐만 아니라 깃털은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솔(12)이 회전됨에 따라 셔틀콕은 상기 솔(12)에 이끌리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후방의 이송부(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1)은 솔(12)의 끝단이 지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솔(12)과 지면 사이로 셔틀콕이 진입하도록 배치되고, 그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상술한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이러한 공급부(10)는 바퀴(26)에 상기 회전축(11)이 연결되어 상기 바퀴(26)가 회전하면서 회전축(11)도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모터(31)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11)을 회전되게 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0)의 선단 양측에는 확장되면서 셔틀콕을 상기 공급부(10)를 향하여 가이드하는 수집 가이드(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집 가이드(13)에 의해 보다 넓은 면적에 대한 셔틀콕의 수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송부(20)는 상기 공급부(10)로부터 이송된 셔틀콕이 일정 형상, 즉 셔틀콕의 코르크팁이 하방으로 배치되게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적재되게 하고 먼저 적재된 셔틀콕은 자유낙하하면서 수거부(40)로 이송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이송부(20)의 일단은 상기 공급부(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상향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컨베이어(22)를 구비한다.
이송부(20)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이송부(20)는, 일단에는 상기 공급부(10)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거부(40)가 장착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셔틀콕의 코르크팁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송바(23)가 설치되는 컨베이어(22)와, 상기 이송바(23)에 코르크팁이 삽입된 셔틀콕의 깃털 부분을 지지하는 비탈면을 가지며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21)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22)의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이송 가이드(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1)의 하부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바퀴(26)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2)는 경사방향으로 상승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컨베이어(22)에 적재되어 이송바(23) 사이에 코르크팁이 삽입된 셔틀콕은 컨베이어(22)의 이동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그 위치에 또 다른 셔틀콕이 진입하더라도 컨베이어(22)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는 비어 있기 때문에 셔틀콕의 순차적인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 가이드(24)는, 공급부(10)로부터 이송된 셔틀콕이 처음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셔틀콕의 코르크팁이 먼저 진입하면 상기 이송 가이드(24)에 접촉 없이 통과하거나 이송 가이드(24)의 비탈면에 튀기면서 컨베이어(22)의 이송바(23) 사이로 진입한다.
그러나 셔틀콕의 깃털이 먼저 진입하면 상기 이송 가이드(24)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이송 가이드(24)에 걸리게 된다. 이때 이송 가이드(24)도 컨베이어(22)의 경사면과 평행하게 경사져 있으므로 그 경사면과 이송 가이드(24)의 비탈면에 의해 셔틀콕이 넘어지면서 셔틀콕의 코르크팁이 이송 가이드(24)를 통과하도록 반전되어 코르크팁이 컨베이어(22)의 이송바(23) 사이로 진입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셔틀콕이 이송 가이드(24)에 어떠한 형태로 진입하더라도 이송 가이드(24)를 통과하여 코르크팁이 컨베이어(22)의 이송바(23) 사이로 진입되게 정렬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이송 가이드(24)는 비탈면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비탈면을 갖는 삼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가이드(24)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가이드(24)에 가이드되어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경사면을 상승한 셔틀콕이 상기 컨베이어(22)의 끝단에서 자유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홈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 가이드(24)는 컨베이어(22)의 상부 끝단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된 셔틀콕이 자유낙하하기 위해서는 이송 가이드(24)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이 통과홈부(25)가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송 가이드(24)가 컨베이어(22)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21)에 배치된다면 컨베이어(22)의 상부 끝단에서 이송 가이드(24)도 종료되면서 셔틀콕은 자유낙하할 수 있게 되므로, 상술한 통과홈부(25)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20)에는 본체(21) 상단에서 파지 가능한 손잡이(27)가 더 구비된다.
구동수단(30)은 상기 컨베이어(22)를 구동하고 상기 공급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모터(31)와, 상기 전동모터(31)를 상기 컨베이어(22) 및 공급부(10)와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즉 스프로킷(32) 및 체인(33)을 예시하고 있다.
수거부(40)는 상기 이송부(20)의 경사면 상단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을 받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거부(40)는 셔틀콕을 수거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다면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셔틀콕을 수거하면서 정리하고 재사용이 편리하게 하도록 적층하여 수거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거부(40)는, 수거통(41)과 적재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수거통(41)은 컨베이어(22)를 따라 이송되는 셔틀콕이 자유낙하하면서 진입하여 차례로 적층되면서 수거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부로부터 셔틀콕이 진입하여 차례로 적층 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부(42)는 복수개의 수거통(41)이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43)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 장착되되 상기 본체(2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재부(42)는 회전하면서 수거통(41)을 교체해 줄 수 있는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적재부(42)에는 상기와 같은 수거통(41)이 복수개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상승하다가 상기 이송부(20)로부터 셔틀콕이 낙하하는 낙하위치에 상기 수거통(41) 중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일부의 수거통(41)에 셔틀콕이 채워지면 회전에 의해 상기 수거통(41) 중 다른 일부가 상기 낙하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부(42)는 수거통(41)에 셔틀콕이 가득 차게 되면 빈 수거통(41)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미리 복수개의 수거통(41)을 2열로 적재해 두고 1열에 배치된 일부의 수거통(41)에 먼저 셔틀콕을 적재한 후에 회전에 의해 적재된 수거통(41)을 2열로 이동시키고 2열에 배치된 다른 수거통(41)을 1열에 배치하여 다량의 셔틀콕의 수거가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수거장치에서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30)의 구성이 제1실시예에서와 상이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서의 구동수단(30)은 전동모터(31)로 구성되지 않고, 상기 이송부(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퀴(26)와, 상기 바퀴(26)의 회전력을 상기 컨베이어(22) 및 공급부(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26)의 회전축(11)과 상기 컨베이어(22) 및 공급부(10)의 회전축(11)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26)와 컨베어어 간에는 풀리(34)가 연결되고 컨베이어(22)와 공급부(10) 간에는 체인(33)이 연결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동력 공급 없이도 장치를 미는 힘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26)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컨베어어 및 공급부(10)의 회전축(11)을 구동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퀴(26)의 회전축(11)은 상기 컨베어어 및 공급부(10)의 회전축(11)과 동력전달부, 예를 들면 풀리(34)로 연결되어 바퀴(26)가 회전함에 따라 컨베어어 및 공급부(10)의 회전축(11)도 함께 회전되게 구성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공급부 11 : 회전축 12 : 솔
13 : 수집 가이드
20 : 이송부 21 : 본체 22 : 컨베이어
23 : 이송바 24 : 이송 가이드
25 : 통과홈부 26 : 바퀴
27 : 손잡이
30 : 구동수단 31 : 전동모터 32 : 스프로킷
33 : 체인
40 : 수거부 41 : 수거통 42 : 적재부
43 : 안착홈

Claims (6)

  1. 회전되면서 지면에 놓인 셔틀콕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부(10);
    일단은 상기 공급부(1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상향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컨베이어(22)를 구비하는 이송부(20);
    상기 컨베이어(22)를 구동하고 상기 공급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30); 및
    상기 이송부(20)의 경사면 상단에서 낙하하는 셔틀콕을 받을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수거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는,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1)과, 회전에 따라 셔틀콕이 걸려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축(11)에 장착되는 다수의 솔(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일단에는 상기 공급부(10)가 장착되고 타단에는 수거부(40)가 장착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셔틀콕의 코르크팁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송바(23)가 설치되는 컨베이어(22)와, 상기 이송바(23)에 코르크팁이 삽입된 셔틀콕의 깃털 부분을 지지하는 비탈면을 가지며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본체(21)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22)의 폭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는 이송 가이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24)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24)에 가이드되어 상기 컨베이어(22)를 따라 경사면을 상승한 셔틀콕이 상기 컨베이어(22)의 끝단에서 자유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홈부(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전동모터(31)와, 상기 전동모터(31)를 상기 컨베이어(22) 및 공급부(10)와 연결하여 상기 전동모터(3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이송부(20)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퀴(26)와, 상기 바퀴(26)의 회전력을 상기 컨베이어(22) 및 공급부(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26)의 회전축(11)과 상기 컨베이어(22) 및 공급부(10)의 회전축(11)에 각각 연결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KR1020170116179A 2017-09-11 2017-09-11 셔틀콕 수거장치 KR20190029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79A KR20190029084A (ko) 2017-09-11 2017-09-11 셔틀콕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79A KR20190029084A (ko) 2017-09-11 2017-09-11 셔틀콕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084A true KR20190029084A (ko) 2019-03-20

Family

ID=6603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79A KR20190029084A (ko) 2017-09-11 2017-09-11 셔틀콕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0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2807A (zh) * 2019-11-20 2020-02-21 哈尔滨学院 足球训练用捡球器
CN111544863A (zh) * 2020-05-22 2020-08-18 燕山大学 用于羽毛球收集整理的伸缩传递装置
CN112138346A (zh) * 2020-09-06 2020-12-29 张鹏 一种羽毛球自动拾取系统
CN112774144A (zh) * 2020-12-23 2021-05-11 周先胜 一种羽毛球训练用捡球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678B1 (ko) 2015-06-22 2015-12-18 신우섭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2807A (zh) * 2019-11-20 2020-02-21 哈尔滨学院 足球训练用捡球器
CN111544863A (zh) * 2020-05-22 2020-08-18 燕山大学 用于羽毛球收集整理的伸缩传递装置
CN111544863B (zh) * 2020-05-22 2021-04-23 燕山大学 用于羽毛球收集整理的伸缩传递装置
CN112138346A (zh) * 2020-09-06 2020-12-29 张鹏 一种羽毛球自动拾取系统
CN112774144A (zh) * 2020-12-23 2021-05-11 周先胜 一种羽毛球训练用捡球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9084A (ko) 셔틀콕 수거장치
US11770994B2 (en) Seeding machine with seed delivery system
KR101578678B1 (ko) 배드민턴 셔틀콕 수거 장치
KR101650626B1 (ko) 전복치패 선별장치
US7992720B2 (en) Chip sorting device
CN105688386A (zh) 电动扫板式排球收集清洁车
CN113082651A (zh) 一种羽毛球场捡球筛选智能小车
CN111603734B (zh) 一种羽毛球自动捡球装置
CN112774146A (zh) 全自动羽毛球穿球机
CN108014463B (zh) 羽毛球自动回收场地
CN110841256A (zh) 一种羽毛球训练场用羽毛球收集装置
CN217745626U (zh) 一种羽毛球训练场用羽毛球捡拾装置
TWI762343B (zh) 多功能桌球機
KR102422829B1 (ko)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CN208113393U (zh) 一种剥玉米机
CN108404368B (zh) 一种自动发球机
CN115700129A (zh) 一种羽毛球捡发机
CN117101100A (zh) 一种羽毛球拾取装置
CA3158877A1 (en) Pick-up head for machines for picking up crops in a field
CN117178740A (zh) 一种线辣椒收获机
KR20130010395A (ko) 골프공 이송장치
KR20170025000A (ko) 골프공 수거장치
SE518270C2 (sv) Stenavskilj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