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766B1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766B1
KR101709766B1 KR1020150105665A KR20150105665A KR101709766B1 KR 101709766 B1 KR101709766 B1 KR 101709766B1 KR 1020150105665 A KR1020150105665 A KR 1020150105665A KR 20150105665 A KR20150105665 A KR 20150105665A KR 101709766 B1 KR101709766 B1 KR 10170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upper portion
rotary magazine
air
badmin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958A (ko
Inventor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이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열 filed Critical 이수열
Priority to KR102015010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7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12Ball-throwing apparatus with or without catchers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셔틀콕을 자동으로 투구 및 선택적으로 수구할 수 있고, 이렇게 수구된 셔틀콕을 재투구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셔틀콕이 후방 상부로 공급되어 내부에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 각각을 전방 상부로 회전이송하는 로터리매거진과,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전방 상부까지 회전이송된 상기 셔틀콕의 머리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의 사용자를 향해 투구하는 투구부와,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되는 상기 셔틀콕을 향해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내어 상기 셔틀콕의 머리가 하방을 향할 경우에만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시키는 송풍낙하부와, 하부가 상기 송풍낙하부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부채꼴로 펼쳐진 형상이며, 상기 투구부에 의해 투구된 상기 셔틀콕을 사용자가 쳐서 되돌아오는 경우 상기 셔틀콕을 수구하여 상기 송풍낙하부의 상부로 모아주는 수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BADMINT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셔틀콕을 자동으로 투구 및 선택적으로 수구해 주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네트가 설치된 사각형의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이용하여 두 명의 선수(단식) 혹은 두 팀(복식)이 경기를 펼치는 라켓 스포츠의 일종이다. 양 선수 또는 양 팀이 서로 상대의 코트로 셔틀콕을 쳐서 넘기면서 랠리를 하게 되며, 셔틀콕이 땅에 떨어지는 순간 포인트가 끝나게 된다. 즉, 셔틀콕이 자신의 코트 안에 떨어지거나 또는 쳐서 넘긴 셔틀콕이 상대방 코트 바깥쪽에 떨어질 경우 실점하게 되며, 반대로 셔틀콕이 상대방 코트 안에 떨어지거나 또는 상대가 쳐서 넘어온 셔틀콕이 자신의 코트 바깥쪽에 떨어질 경우 득점하게 된다.
여기서 셔틀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을 씌운 코르크(11)에 깃털(12)을 박은 원뿔 형태의 것으로, 특수한 공기역학적 성질 때문에 다른 라켓 스포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과는 전혀 다른 비행 궤도를 갖는다. 셔틀콕(10)은 그 최고 비행속도가 다른 라켓 스포츠의 공보다 훨씬 빠르지만, 공기 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에 그 비행속도가 감소하는 것도 일반 공보다 더 급격하다. 셔틀콕(10)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공식적인 배드민턴 경기는 모두 실내에서만 열리는 것이 원칙이고, 다만 일상적인 놀이 목적의 경기는 야외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라켓과 셔틀콕(10)만을 이용하여 실내외의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즐길 수 있으나, 배드민턴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셔틀콕(10)을 치고 받을 수 있도록 2인 이상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에 따라,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코치나 교재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면서 배드민턴의 각종 기술을 연습하게 되는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연습 상대가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 라켓을 들고 스윙 및 스텝 등의 개인 연습만을 해야 한다.
이는 배드민턴의 경우 초보자의 실력과 중급자 또는 상급자의 실력이 워낙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으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중급자 또는 상급자와 함께 게임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이 될 때까지 혼자서 연습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배드민턴에 대한 흥미가 떨어져 운동을 쉽게 포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보자가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셔틀콕을 투구하여 주는 다양한 배드민턴 연습장치가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708406호의 '배드민턴 연습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604호의 '배드민턴 연습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3222호의 '배드민턴 자동연습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05호의 '배드민턴 연습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943462호의 '배드민턴 연습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915299호의 '배드민턴 연습장치' 등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들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셔틀콕이 저장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셔틀콕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상기 셔틀콕을 투구하는 투구부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거진, 이송부 및 투구부의 구조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출원 및 등록되었으며, 이를 통해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상기 투구부로부터 투구된 셔틀콕을 초보자가 쳐서 다시 넘긴 경우 이렇게 넘어간 셔틀콕을 수구하여 재투구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왜냐하면, 다른 구기종목의 경우 구형상의 볼(ball)인 반면에 배드민턴의 경우 원뿔형상의 셔틀콕이므로 이를 수구하여 상기 매거진에 저장된 다른 셔틀콕과 함께 자동으로 정렬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이를 이송하거나 재투구한다는 것조차도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셔틀콕을 자동으로 투구 및 선택적으로 수구할 수 있고, 이렇게 수구된 셔틀콕을 재투구할 수 있는 배드민턴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셔틀콕이 후방 상부로 공급되어 내부에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 각각을 전방 상부로 회전이송하는 로터리매거진과,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전방 상부까지 회전이송된 상기 셔틀콕의 머리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의 사용자를 향해 투구하는 투구부와,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되는 상기 셔틀콕을 향해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내어 상기 셔틀콕의 머리가 하방을 향할 경우에만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시키는 송풍낙하부와, 하부가 상기 송풍낙하부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부채꼴로 펼쳐진 형상이며, 상기 투구부에 의해 투구된 상기 셔틀콕을 사용자가 쳐서 되돌아오는 경우 상기 셔틀콕을 수구하여 상기 송풍낙하부의 상부로 모아주는 수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송풍낙하부는,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와 연통된 낙하유도관과, 상기 낙하유도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낙하유도관의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구부는, 하부에 상기 낙하유도관의 상방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와, 상부에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부채꼴로 펼쳐진 수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구부는, 상기 수구가이드의 상방으로 넓게 펼쳐지도록 설치된 수구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휠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운반시키는 운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셔틀콕을 자동으로 투구 및 선택적으로 수구할 수 있고, 이렇게 수구된 셔틀콕을 재투구할 수 있다.
특히, 수구부에 의해 수구되는 셔틀콕을 로터리매거진에 공급하기 전에 저장된 다른 셔틀콕과 함께 정렬되도록 셔틀콕만의 공기역학적 특징을 이용한 송풍낙하부를 통해 수구된 셔틀콕의 낙하시 셔틀콕의 머리가 하방을 향할 경우에만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셔틀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실시예를 실제 촬영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수구부를 촬영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송풍낙하부를 촬영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11은 도 3의 실시예 중 송풍낙하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도 2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로터리매거진(200), 이송부(300), 투구부(400), 송풍낙하부(500) 및 수구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운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낙하부(500)는 낙하유도관(510) 및 송풍기(520)를 포함하고, 상기 수구부(600)는 삽입구(610), 수구가이드(620) 및 수구네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 및 결합되는 지지대로서,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이격시켜 셔틀콕(10)의 최초 투구 높이를 높게 하여 보다 멀리 보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은 도면상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셔틀콕(10)의 최초 투구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로터리매거진(20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셔틀콕(10)이 후방 상부로 공급되어 내부에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10) 각각을 전방 상부로 회전이송한다. 로터리매거진(200)은 원형의 드럼 형상으로 된 회전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셔틀콕(10)이 일렬로 포개어져 저장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셔틀콕(10)을 회전이송한다. 즉, 로터리매거진(200)은 후술하는 송풍낙하부(500)를 통해 후방 상부로부터 셔틀콕(10)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셔틀콕(10)을 전방 상부로 회전이송하여 후술하는 이송부(300)에 의해 투구부(400)로 전달된다.
이송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매거진(200)의 전방 상부까지 회전이송된 상기 셔틀콕(10)의 머리(11)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이송한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부(300)는 상하 승강하는 그립퍼 등을 이용하여 상기 셔틀콕(10)의 머리(11)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하고, 파지된 셔틀콕(10)을 상방으로 이송할 수 있으면 족하다. 이렇게 이송부(300)에 의해 셔틀콕(10)이 상방으로 이송되면 후술하는 투구부(400)에 투구된다.
투구부(4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상기 셔틀콕(10)을 전방의 사용자를 향해 투구한다. 이러한 투구부(400)의 구성은 한 쌍의 회전모터(미도시)와,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투구롤러(미도시) 사이에 셔틀콕(10)의 머리(11)가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인입되면 투구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부(300)에 파지된 셔틀콕(10)이 전방으로 투구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 로터리매거진(200), 이송부(300) 및 투구부(400)는 종래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셔틀콕(10)이 저장되고, 이송되며, 투구되는 일련의 과정은 각 장치마다 구체적인 구성상 차이는 있으나, 당연히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투구된 셔틀콕(10)에 대하여 사용자가 쳐서 다시 되돌아올 경우 이렇게 돌아온 셔틀콕(10)을 수구하고, 정렬하여 로터리매거진(200)에 저장된 다른 셔틀콕(10)과 함께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바로 이러한 구성적 특징을 후술하는 송풍낙하부(500) 및 수구부(600)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송풍낙하부(500)는 도 3 및 6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로 공급되는 상기 셔틀콕(10)을 향해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내어 상기 셔틀콕(10)의 머리(11)가 하방을 향할 경우에만 상기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로 공급시킨다. 즉, 송풍낙하부(500)는 상기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와 연통된 낙하유도관(510)과, 상기 낙하유도관(51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낙하유도관(510)의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520)를 포함한다.
셔틀콕(10)의 경우 다른 구기종목, 예컨대 탁구나 테니스 등의 공이 구형상의 볼인 것과 달리, 머리(11)를 기준으로 원추형상으로 결합된 복수의 깃털(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셔틀콕(10)의 움직임은 공기역학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을 때 머리(11)가 앞을 향하도록 나아간다. 이는 전방으로 셔틀콕(10)이 날아갈 때 깃털(12)이 앞을 향하게 되면 항력이 커져 나아가지 못하지만, 반대로 머리(11)가 앞을 향할 경우 항력이 작아져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송풍낙하부(500)의 낙하유도관(510)의 내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콕(10)의 깃털(12)이 앞을 향하도록 들어올 경우, 송풍기(520)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셔틀콕(10)은 항력이 커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하지 못하고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셔틀콕(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항력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콕(10)의 머리(11)가 불어오는 바람에 대하여 앞을 향하면서 항력이 최소화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력이 최소화된 셔틀콕(10)은 항력보다 큰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유도관(510)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후 셔틀콕(10)의 머리(11)가 앞을 향하도록 떨어져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로 공급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셔틀콕(10)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송풍낙하부(500)에 셔틀콕(10)을 수구하여 모아주기 위하여, 도 2,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구부(600)가 설치된다. 즉, 수구부(600)는 하부가 상기 송풍낙하부(500)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부채꼴로 펼쳐진 형상이며, 상기 투구부(400)에 의해 투구된 상기 셔틀콕(10)을 사용자가 쳐서 되돌아오는 경우 상기 셔틀콕(10)을 수구하여 상기 송풍낙하부(500)의 상부로 모아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구부(600)는 하부에 상기 낙하유도관(510)의 상방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610)와, 상부에 상기 삽입구(610)를 중심으로 부채꼴로 펼쳐진 수구가이드(620)를 포함하고, 상기 수구가이드(620)의 상방으로 넓게 펼쳐지도록 설치된 수구네트(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투구부(400)에 의해 투구된 셔틀콕(10)이 전방의 사용자에게 투구되면, 사용자는 셔틀콕(10)을 다시 상기 수구부(600)를 향해 타구한다. 이렇게 타구된 셔틀콕(10)은 수구부(600)의 수구가이드(620)나 더욱 넓게는 수구네트(630)에 걸려 하방의 삽입구(610)로 굴러 떨어진다. 수구부(600)의 삽입구(610)는 송풍낙하부(500)의 상부, 즉 낙하유도관(510)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자세로 셔틀콕(10)이 떨어지더라도 송풍기(520)에 의해 셔틀콕(10)의 머리(11)가 하방을 향하도록 떨어진다. 이렇게 송풍낙하부(500)를 통해 낙하된 셔틀콕(10)은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로 공급되고, 다른 셔틀콕(10)과 함께 정렬되어 저장되며, 전방 상부까지 회전이송된다. 로터리매거진(200)의 전방 상부까지 회전이송된 셔틀콕(10)은 다시 이송부(300)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되어 투구부(200)에 의해 재투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셔틀콕(10)이 투구 및 선택적으로 수구된 후 재투구되면서 사용자가 배드민턴 연습을 혼자서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때 수구부(600)가 한정없이 넓게 펼쳐질 수도 없고, 한편 사용자가 투구된 셔틀콕(10)을 타구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로터리매거진(200)에 저장된 복수의 셔틀콕(10)의 수에 대비하여 얼마나 사용자가 투구된 셔틀콕(10)을 타구하여 수구부(600)에 셔틀콕(10)을 넣었는지를 카운트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구부(600)에 카운트된 숫자를 통해 사용자가의 실력이 얼만큼 늘었는지를 알아볼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인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휠(710)을 통해 상기 프레임(100)을 운반시키는 운반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반부(700)는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를 밀고 당기면서 휠(710)의 회전에 따라 운반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혼자서도 배드민턴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셔틀콕(10)을 자동으로 투구 및 선택적으로 수구할 수 있고, 이렇게 수구된 셔틀콕(10)을 재투구할 수 있다.
특히, 수구부(600)에 의해 수구되는 셔틀콕(10)을 로터리매거진(200)에 공급하기 전에 저장된 다른 셔틀콕(10)과 함께 정렬되도록 셔틀콕(10)만의 공기역학적 특징을 이용한 송풍낙하부(500)를 통해 수구된 셔틀콕(10)의 낙하시 셔틀콕(10)의 머리가 하방을 향할 경우에만 상기 로터리매거진(200)의 후방 상부로 공급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셔틀콕
11 : 머리 12 : 깃털
100 : 프레임
200 : 로터리매거진
300 : 이송부
400 : 투구부
500 : 송풍낙하부
510 : 낙하유도관 520 : 송풍기
600 : 수구부 610 : 삽입구
620 : 수구가이드 630 : 수구네트
700 : 운반부 710 : 휠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셔틀콕이 후방 상부로 공급되어 내부에 저장되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셔틀콕 각각을 전방 상부로 회전이송하는 로터리매거진과,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전방 상부까지 회전이송된 상기 셔틀콕의 머리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상기 셔틀콕을 전방의 사용자를 향해 투구하는 투구부와,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되는 상기 셔틀콕을 향해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내어 상기 셔틀콕의 머리가 하방을 향할 경우에만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로 공급시키는 송풍낙하부와,
    하부가 상기 송풍낙하부의 상부와 연통되고, 상기 하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부채꼴로 펼쳐진 형상이며, 상기 투구부에 의해 투구된 상기 셔틀콕을 사용자가 쳐서 되돌아오는 경우 상기 셔틀콕을 수구하여 상기 송풍낙하부의 상부로 모아주는 수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낙하부는,
    상기 로터리매거진의 후방 상부와 연통된 낙하유도관과,
    상기 낙하유도관의 내부를 통해 상기 낙하유도관의 상방으로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구부는,
    하부에 상기 낙하유도관의 상방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와,
    상부에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부채꼴로 펼쳐진 수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구부는,
    상기 수구가이드의 상방으로 넓게 펼쳐지도록 설치된 수구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휠을 통해 상기 프레임을 운반시키는 운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20150105665A 2015-07-27 2015-07-27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0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65A KR101709766B1 (ko) 2015-07-27 2015-07-27 배드민턴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65A KR101709766B1 (ko) 2015-07-27 2015-07-27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58A KR20170012958A (ko) 2017-02-06
KR101709766B1 true KR101709766B1 (ko) 2017-02-23

Family

ID=5810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665A KR101709766B1 (ko) 2015-07-27 2015-07-27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08B1 (ko) 2018-03-16 2019-05-29 김진경 셔틀콕 공급 장치
CN111167090A (zh) * 2020-01-16 2020-05-19 陕西国防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羽毛球训练场用羽毛球收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0936B (zh) * 2018-11-07 2023-11-17 深圳市普尚智能体育有限公司 一种捡球机
CN112451949B (zh) * 2020-10-24 2021-08-31 温州大学 体育教学训练用自动化羽毛球发射装置
CN113350764B (zh) * 2021-07-21 2022-06-14 南昌工程学院 一种羽毛球智能训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57B1 (ko) * 2009-10-08 2012-0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73544B1 (ko) * 2011-01-03 2013-06-17 오석균 배드민턴 연습장치
KR20130140345A (ko) * 2012-06-14 2013-12-24 주식회사 다산실업 배드민턴 볼 송구기의 볼의 반송기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08B1 (ko) 2018-03-16 2019-05-29 김진경 셔틀콕 공급 장치
CN111167090A (zh) * 2020-01-16 2020-05-19 陕西国防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羽毛球训练场用羽毛球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958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766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220047928A1 (en) Game Stick and Game Utilizing the Same
KR101069272B1 (ko) 탁구 연습장치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US9427643B2 (en) Ball hurling target game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060063615A1 (en) Training apparatus for passing a projectile
US20090283088A1 (en) Shuttlecock launching apparatus
US11577135B2 (en) 3-dimensional golf game
US7247106B1 (en) Machine for training a pitcher
CN107137898A (zh) 能自动收集排球的排球场地
US20150018129A1 (en) Game stick and game utilizing the same
US4776596A (en) Golf ball having braking wing
US10150022B1 (en) Ball, throwing rod, and target assembly and method for playing a golf-type game
KR101647118B1 (ko) 다기능 배구 연습장치
CN111001148B (zh) 排球发球机
CN111068279B (zh) 排球扣球机
US7713150B2 (en) Method of using modified ball and bat
US20200246669A1 (en) Golf tee
CN114191796A (zh) 一种体育用高效排球辅助训练装置
KR102384636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CN110730682B (zh) 用于排出和收集球的系统及相关操作方法
US20060094544A1 (en) Baseball Bat and Ball and Method of Delivering Ball to Field of Play
JP4521564B2 (ja) 捕球部と投球部間にパイプ状転送部を介在した運動用具
CN211273442U (zh) 一种藤球
AU2017101544A4 (en) To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