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708B1 - 셔틀콕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708B1
KR101983708B1 KR1020180030884A KR20180030884A KR101983708B1 KR 101983708 B1 KR101983708 B1 KR 101983708B1 KR 1020180030884 A KR1020180030884 A KR 1020180030884A KR 20180030884 A KR20180030884 A KR 20180030884A KR 101983708 B1 KR101983708 B1 KR 10198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shaft
support frame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김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경 filed Critical 김진경
Priority to KR102018003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콕이 수납되는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이 원형으로 배치되고, 설정 각도 브레이크하며 회전하는 셔틀콕 수납부, 셔틀콕 수납부를 이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 및 셔틀콕 수납부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거치부에 연결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셔틀콕 공급 장치{SHUTTLECOCK DISPENSER}
본 발명은 셔틀콕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네트가 설치된 사각형의 코트에서 라켓과 셔틀콕을 이용하여 두 명의 선수(단식) 혹은 두 팀(복식)이 경기를 펼치는 라켓 스포츠의 일종이다. 양 선수 또는 양 팀이 서로 상대의 코트로 셔틀콕을 쳐서 넘기면서 랠리를 하게 되며, 셔틀콕이 땅에 떨어지는 순간 포인트가 끝나게 된다. 즉, 셔틀콕이 자신의 코트 안에 떨어지거나 또는 쳐서 넘긴 셔틀콕이 상대방 코트 바깥쪽에 떨어질 경우 실점하게 되며, 반대로 셔틀콕이 상대방 코트 안에 떨어지거나 또는 상대가 쳐서 넘어온 셔틀콕이 자신의 코트 바깥쪽에 떨어질 경우 득점하게 된다.
셔틀콕은 배드민턴에서 사용되는 원뿔형 용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가죽이 씌워진 반구형의 코르크에 14 내지 16개의 거위 깃털을 촘촘히 박아 만들어진다. 셔틀콕은 그 원뿔 형태로 인해 공기역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최초 비행을 시작할 때의 자세에 관계없이 공중에서 항상 코르크 부분이 진행 방향 쪽을 향하는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셔틀콕의 무게는 4.75~5.50g이다. 반구형 코르크에 14~16개의 깃털이 박혀 있으며 각 깃털의 길이는 70mm이다. 코르크의 지름은 25~28mm이며 깃털이 만드는 원의 지름은 약 64mm이다.
배드민턴은 라켓과 셔틀콕만을 이용하여 실내외의 좁은 공간에서 간단하게 즐길 수 있으나, 배드민턴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코치나 교재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면서 배드민턴의 각종 기술을 연습하게 된다. 배드민턴을 배우는 사람들이나 선수를 훈련시키는 코치들은 연습시 다수의 셔틀콕을 사용하게 된다. 배드민턴 연습시 주로 셔틀콕이 쌓인 상자를 옆에 놓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셔틀콕이 일정하게 배열되지 않아 날개 부위의 깃털이 손상될 위험이 크고 셔틀콕을 꺼낼 때마다 여러개의 셔틀콕이 함께 집어지는 경우가 많아 하나씩 꺼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공고 제10-1745990호 (2017.06.12) 대한민국 특허 등록 공고 제10-1227618호 (2013.01.30) 대한민국 특허 등록 공고 제10-1709766호 (2017.02.23) 대한민국 특허 등록 공고 제10-0665336호 (2007.01.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셔틀콕을 용이하게 공급하여 배드민턴 연습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셔틀콕이 파이프 형상 몸체 내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 복수의 상기 셔틀콕 수납관이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1수납부 프레임,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셔틀콕 수납관이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는 제2수납부 프레임,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디스크, 상기 로터 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 자석, 상기 로터 디스크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디스크 샤프트, 상기 로터 디스크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레이크 샤프트, 상기 브레이크 샤프트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하고 상기 로터 디스크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브레이크 브라켓,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의 타 단부의 상기 디스크 자석에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하는 브레이크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이 결합한 제1수납부 프레임이 상기 로터 디스크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크자석의 배치 간격을 따라 브레이크하며 회전하는 셔틀콕 수납부;
상기 셔틀콕 수납부를 이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 및
상기 셔틀콕 수납부의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에 연결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조절부는, 지면에 수평으로 상기 거치부에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브레이크 샤프트가 결합하는 제2샤프트, 상기 제2샤프트가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 및 상기 로터 디스크와 수평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프레임, 상기 조절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절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상기 셔틀콕 수납관이 지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다리, 상기 복수의 다리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제1샤프트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일 단부가 결합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수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는, 복수의 파이프 형상의 셔틀콕 수납관이 원형 프레임을 따라 배치되고, 자석을 이용한 브레이킹 장치에 의해 설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배드민턴 연습시 용이하게 셔틀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를 위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셔틀콕 수납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셔틀콕 수납부의 브레이크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4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4 및 5의 구성요소가 실제 적용된 사진이다.
도 7 은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의 거치부와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가 구현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를 위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셔틀콕 수납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셔틀콕 수납부의 브레이크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는 도 4의 분리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구성요소가 실제 적용된 사진이고, 도 7 은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 장치가 구현된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장치를 도 1 내지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콕 공급장치는 셔틀콕이 수납되는 셔틀콕 수납부(100), 셔틀콕 수납부(100)를 이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300), 및 셔틀콕 수납부(100)의 각도 및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거치부(300)에 연결하는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셔틀콕 수납부(100)는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110),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110)이 외주면에 고정되는 원형의 제1수납부 프레임(120)과 제2수납부 프레임(130), 제1수납부 프레임(120)과 동축으로 복수개의 스포크(122)에 의해 제1수납부 프레임(120)의 중심에 결합하는 로터 디스크(140), 로터 디스크(140)의 원주를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 자석(141), 로터 디스크(140)의 중심에 결합하는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레이크 샤프트(170), 브레이크 샤프트(170)에 일 단부가 고정 결합하는 브레이크 브라켓(150), 브레이크 브라켓(150)의 타 단부에 결합하는 브레이크자석(151)을 포함한다.
거치부(300)는 제1샤프트(310)와 제1샤프트(3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다리(320), 복수의 다리(32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바퀴(340), 및 제1샤프트(3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일 단부가 결합하여 셔틀콕 공급장치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샤프트(330)를 포함한다.
조절 부(200)는 높이 조절 샤프트(330)의 타 단부에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210),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레이크 샤프트(170), 브레이크 샤프트(170)가 결합하는 제2샤프트(180), 제2샤프트가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120) 및 상기 디스크와 수평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프레임(220),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프레임(230), 조절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절어셈블리(240)를 포함한다.
셔틀콕 수납부(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셔틀콕 수납관(110)은 폴리머 재질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콕 레슨 1회에 일반적으로 100 내지 120개의 셔틀콕이 사용되므로, 2회 분량 이상의 셔틀콕을 공급하기 위해서 약 14개의 셔틀콕 수납관(110)이 하나의 셔틀콕 공급장치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셔틀콕 수납관(110)에는 약 20개의 셔틀콕이 반구형 코르크가 하방으로 향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셔틀콕 수납관(110)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55cm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4개의 셔틀콕 수납관(110) 각각에 20개의 셔틀콕이 적재되면 하나의 셔틀콕 공급장치가 280개의 셔틀콕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셔틀콕 수납관(110)은 내경이 65mm 내지 7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콕 수납관(110)은 하측 관통공(112)이 형성된 단부가 설정 길이 절개된 후 수납관(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하여 설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구(111)를 포함한다. 걸림구(111)는 수납관(110)의 하단부에서 약 1cm 높이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구(111)의 절곡 각도는 걸림구(111)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이 63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틀콕 수납관(110)의 하측 단부의 관통공(112) 둘레를 따라 폴리머 소재의 파이프 단부가 절개 후 절곡되어 복수의 걸림구(111)로 형성되므로, 셔틀콕의 날개와 마찰력이 작용하여 셔틀콕이 수납관(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홀딩할 수 있다. 즉, 셔틀콕이 수납관(110)으로부터 셔틀콕 자체의 무게에 의해 셔틀콕으로부터 분리되지는 않고, 사용자는 수납관(110)으로부터 작은 힘으로 셔틀콕을 분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걸림구(111)는 수납관(110)과 동일한 폴리머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지므로 하나의 셔틀콕이 분리된 후 원래 절곡 각도로 복원되어 다음 셔틀콕을 홀딩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110)은 동축으로 배치되는 제1수납부 프레임(120)과 제2수납부 프레임(130)의 둘레를 따라 결합한다. 제1수납부 프레임(120)은 셔틀콕 수납관(110)의 하단부에서 약 15cm 높이에 결합하고, 제2수납부 프레임(130)은 상단에서 약 5cm 이격되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가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110)을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거리이다. 셔틀콕 수납관(110)은 제1수납부 프레임(120) 및 제2수납부 프레임(13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수납부 프레임(120)과 제2수납부 프레임(130)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수납부 프레임(120)과 제2수납부 프레임(130)은 직경이 22인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납부 프레임(130) 또는 제1수납부 프레임(120)의 외주면에는 파이프형상의 수납관(11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납관(11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121,131)이 결합하는 수납관(11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수납부 프레임(120)과 동축으로 로터 디스크(140)가 결합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스포크 중심 디스크(123)를 추가로 구성하여 로터 디스크(140)를 스포크 중심 디스크(123)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스포크(122)를 직접 로터 디스크(14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터 디스크(140)의 원주를 따라 설정 간격으로 복수의 디스크 자석(141)이 배치된다. 로터 디스크(140)의 중심축에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의 일 단부가 고정 결합한다.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의 타 단부는 브레이크 브라켓(150)의 관통공(152)을 관통하여 브레이크 샤프트(1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브레이크 브라켓(150)은 일단부에 관통공(152)이 형성되어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가 관통공(152)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결합한다. 관통공(152)은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의 외경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 브라켓(150)의 길이는 로터 디스크(140) 중심과 디스크 자석(141)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 브라켓(150)의 타단부에 브레이크자석(151)이 상기 디스크 자석(141)에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브레이크 브라켓(150)의 상기 로터 디스크 샤프트(160)가 관통하는 관통공(152)의 위치에 브레이크 샤프트(170)의 일 단부가 고정결합된다. 브레이크 샤프트(170)의 타단부는 조절부(200)의 제2지지프레임(220)에 고정 결합된다. 브레이크 샤프트(170)는 제2샤프트(250)를 통해 제2지지프레임(220)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하, 조절부(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부(200)는 셔틀콕 수납부(100)와 거치부(300) 사이에 결합하여 셔틀콕 수납부(10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치부(300)의 높이조절 샤프트(330)가 제1지지프레임(210)의 일단에 결합한다. 제1지지프레임(210)은 높이조절 샤프트(330) 및 제1샤프트(310)에 수직으로 결합한다. 제2지지프레임(220)은 브레이크샤프트(170) 및 제2샤프트(180)에 수직으로 결합한다. 제2지지프레임(220)과 제1지지프레임(210)의 타단 사이에 조절프레임(230)이 결합하고, 제2지지프레임(220)의 타단부는 조절어셈블리(240)를 따라 움직이며 제2지지프레임(220)의 각도가 조절된다. 제2지지프레임(220)의 각도가 조정되면 제2지지프레임(22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셔틀콕 수납관(110)의 각도가 조정된다. 제1지지프레임(210)과 셔틀콕 수납관(110) 사이의 각도는 45°이하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되는 셔틀콕의 무게와 걸림구의 홀딩 정도에 따라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300)는 지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210)의 일 단부에는 지면 및 제1지지프레임(210)에 수직으로 제1샤프트(310)가 결합하고, 제1샤프트(310)의 타단부에는 복수개의 다리(320)가 방사상으로 결합된다. 복수개의 다리(320)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샤프트(31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높이조절 샤프트(330)가 결합한다. 높이조절 샤프트(330)는 유압식, 기어방식, 나사방식 등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제1샤프트(31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8 은 조절부(200)와 거치부(300)에 기어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절부(200)는 거치부(300)에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210)과 셔틀콕 수납부(100)와 결합하는 제2지지프레임(220)과 조절프레임(230)을 포함하되, 조절프레임(230)은 하단이 제1지지프레임(210)에 결합하고 상단은 45도 절곡된 상태로 제2지지프레임(220)의 양단 사이에 결합한다. 조절어셈블리(240)는 조절프레임(230)의 절곡된 영역에 결합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프레임(220)의 하단은 상기 조절어셈블리(240)의 나사산을 따라 조절어셈블리(240)를 회전시키면 이동한다. 제2지지프레임(220)의 하단은 도면중 부분 확대도와 같이, 조절어셈블리(240)를 따라 이동하는 조절너트(241)를 포함하고, 조절너트(241)는 조절너트 고정볼트(242)가 결합하기 위한 너트 홈(24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어셈블리(240)의 타단에 형성된 핸들을 돌리면 조절어셈블리(240)의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가 회전하고, 조절너트(241)가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면, 제2지지프레임(220)의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조절프레임측 단부에 가깝게 조절너트(241)가 이동할수록 제2지지프레임(210)은 지면에 수평한 각도에서 직각으로 변화하게 된다. 핸들 측으로 조절너트(241)가 이동할수록 제2지지프레임(210)은 지면에 수평에 가깝게 변화하게 된다. 도8의 실시예에서, 거치부(300)는 제1샤프트가 스탠드 프레임(310')으로 구현되고, 높이조절샤프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330')로 구현된다. 스탠드 프레임(310')에 고정된 핸들기어 프레임(343)에 상하조절기어(341)가 장착되고, 상하조절기어(341)를 회전시키는 핸들기어(342)가 상하조절기어(341)를 회전시키도록 결합한다. 핸들기어(342)를 회전시키면 이에 맞물려진 상하조절기어(341)가 회전하고, 상하조절기어(341)의 회전에 따라 높이조절샤프트(330')가 상하로 이동하여 셔틀콕 수납부(110)의 키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복수의 셔틀콕이 파이프 형상 몸체 내부에 수납되는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 복수의 상기 셔틀콕 수납관이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는 원형의 제1수납부 프레임,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셔틀콕 수납관이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는 제2수납부 프레임,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디스크, 상기 로터 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크 자석, 상기 로터 디스크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로터 디스크 샤프트, 상기 로터 디스크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레이크 샤프트, 상기 브레이크 샤프트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하고 상기 로터 디스크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브레이크 브라켓, 상기 브레이크 브라켓의 타 단부의 상기 디스크 자석에 상응하는 위치에 결합하는 브레이크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셔틀콕 수납관이 결합한 제1수납부 프레임이 상기 로터 디스크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디스크자석의 배치 간격을 따라 브레이크하며 회전하는 셔틀콕 수납부;
    상기 셔틀콕 수납부를 이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부; 및
    상기 셔틀콕 수납부의 각도 조절 가능하게 상기 거치부에 연결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지면에 수평으로 상기 거치부에 결합하는 제1지지프레임, 상기 브레이크 샤프트가 결합하는 제2샤프트, 상기 제2샤프트가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1수납부 프레임 및 상기 로터 디스크와 수평하게 결합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20)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 사이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프레임, 상기 조절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절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상기 셔틀콕 수납관이 지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제1샤프트, 상기 제1샤프트의 하단에 상기 제1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다리, 상기 복수의 다리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제1샤프트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일 단부가 결합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셔틀콕 수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샤프트를 포함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수납관은 하측 관통공이 형성된 단부가 설정 길이 절개된 후 상기 셔틀콕 수납관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하여 설정 각도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구가 하측 관통공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공급 장치.
KR1020180030884A 2018-03-16 2018-03-16 셔틀콕 공급 장치 KR101983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84A KR101983708B1 (ko) 2018-03-16 2018-03-16 셔틀콕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84A KR101983708B1 (ko) 2018-03-16 2018-03-16 셔틀콕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08B1 true KR101983708B1 (ko) 2019-05-29

Family

ID=6667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84A KR101983708B1 (ko) 2018-03-16 2018-03-16 셔틀콕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0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645A (ja) * 2004-02-02 2005-08-11 Nobuo Nanaumi シャトルコック供給器具
KR100665336B1 (ko) 2005-05-11 2007-01-09 주식회사 장학산업 셔틀콕 공급장치
CN201404653Y (zh) * 2009-05-08 2010-02-17 深圳大学 羽毛球自动进给储球系统
KR20100011086U (ko) * 2009-05-04 2010-11-12 이수열 배드민턴 연습구 공급용 장진장치
KR20120006167A (ko) * 2010-07-12 2012-01-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227618B1 (ko)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KR101709766B1 (ko) 2015-07-27 2017-02-23 이수열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45990B1 (ko) 2015-12-30 2017-06-12 김정주 셔틀콕 공급장치
KR101760132B1 (ko) * 2017-02-27 2017-07-31 김도훈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645A (ja) * 2004-02-02 2005-08-11 Nobuo Nanaumi シャトルコック供給器具
KR100665336B1 (ko) 2005-05-11 2007-01-09 주식회사 장학산업 셔틀콕 공급장치
KR20100011086U (ko) * 2009-05-04 2010-11-12 이수열 배드민턴 연습구 공급용 장진장치
CN201404653Y (zh) * 2009-05-08 2010-02-17 深圳大学 羽毛球自动进给储球系统
KR101227618B1 (ko) 2010-01-11 2013-01-30 김경수 배드민턴 연습기
KR20120006167A (ko) * 2010-07-12 2012-01-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09766B1 (ko) 2015-07-27 2017-02-23 이수열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745990B1 (ko) 2015-12-30 2017-06-12 김정주 셔틀콕 공급장치
KR101760132B1 (ko) * 2017-02-27 2017-07-31 김도훈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11Y1 (ko) 회전형 타격 연습기
US5913739A (en) Ball-suspending device and modified ball
EP2758138B1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EP2451543B1 (en) Ball kicking-training apparatus
US9914034B2 (en) Batting tee
US76910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nnis training
US3940132A (en) Tennis service instructional device
US5303914A (en) Triple-adjustable height batting practice device
US5916045A (en) Batting tee
US20180161657A1 (en) Reflex training device
US20160375334A1 (en) Rotating training device for kicking a soccer ball or football
US10207167B2 (en) Sport training devices
US7100594B2 (en) Tennis ball serving device
US20110319200A1 (en) Sports device for practicing hitting and fielding a ball/ball-like object
US3790171A (en) Tether ball apparatus including roller bearing and vertical barrier
US8414429B2 (en) Adjustable height and position batting tee
US20160030826A1 (en) Batting training apparatus
US10792550B2 (en) Practice device
KR101983708B1 (ko) 셔틀콕 공급 장치
US7056237B2 (en) Portable basketball rebound apparatus and method
US11219809B2 (en) Practice device
US10238940B2 (en) Hockey practice target
US20130137540A1 (en) Baseball Batting-Practice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20252605A1 (en) Water Basketball and Volleyball Game Apparatus
US5039104A (en) Golf practi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