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557B1 - 배드민턴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557B1
KR101118557B1 KR1020090095541A KR20090095541A KR101118557B1 KR 101118557 B1 KR101118557 B1 KR 101118557B1 KR 1020090095541 A KR1020090095541 A KR 1020090095541A KR 20090095541 A KR20090095541 A KR 20090095541A KR 101118557 B1 KR101118557 B1 KR 10111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shuttle cock
badminton
firing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307A (ko
Inventor
정철웅
최두표
김대선
이현준
김민수
이진혁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5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9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pneumatic ball- or body-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사되는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방향과 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특히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날아가는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배드민턴 연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로 배드민턴용 셔틀콕이 장착되는 셔틀콕투입부; 상기 셔틀콕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셔틀콕이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발사부; 상기 셔틀콕투입부 및 셔틀콕발사부를 받쳐주는 배드민턴기저부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드민턴, 연습, 셔틀콕, 발사

Description

배드민턴 연습장치{BADMINTON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사되는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방향과 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특히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날아가는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배드민턴 연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을 이용하게 되는 경기로는, 축구, 야구, 탁구, 테니스, 배드민턴 등 다양한 종류의 경기가 있다. 이러한 경기는 대부분 혼자서 하기보다는 팀을 이루거나 최소한 두 명 이상이 서로 상대가 되어 경기를 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과 공간이 허락하지 않고 대신 이러한 경기를 혼자서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혼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놀이기구 또는 연습장치가 마련되고 있는 것이다. 그 중 특히 야구는 야구공이 발사되도록 하는 야구공 피칭머신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칭머신을 이용하여 야구선수들이 배팅연습을 하게 되고, 야구놀이시설에도 설치되어 야구배팅 게임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피칭머신을 응용하는 경우에는 테니스공도 발사될 수 있는 것으로, 테니스 연습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피칭머신을 이용할 수 있는 야구, 테니스 등은 야구공 및 테니스공 등이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칭머신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야구공 및 테니스공 등은 날아갈 때 방향성이나 위치 등이 동일한 구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쉽게 발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배드민턴의 경우, 이러한 피칭머신으로 발사시키게 되면, 날아가는 배드민턴의 방향을 정할 수 없어서, 연습할 수 있는 상태로 발사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이는 배드민턴의 셔틀콕은 머리 부분과 날개부분으로 이루어지는바, 날아가는 셔틀콕은 머리 부분이 먼저 날아가는 전방으로 향하도록 해야만 안정적으로 원하는 장소와 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피칭머신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셔틀콕을 발사하게 되면, 발사되는 셔틀콕의 방향 및 위치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머리가 날아가는 전방으로 향하게 되는 때까지 불안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원하는 방향 및 원하는 힘의 세기로 하여 셔틀콕을 발사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또한 대부분 피칭머신은 상부와 하부의 회전되는 디스크 사이로 구형상의 공이 압착되어 지나면서 발사되는 것으로, 이러한 피칭머신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발사하게 되면, 머리 부분뿐만 아니라 날개부분이 완전히 파손되어 더 이상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발사되는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방향과 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특히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날아가는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날개에 비하여 머리 부분이 무거운 셔틀콕의 특성에 따라, 셔틀콕투입부로 투입되는 셔틀콕이 장착 및 발사가 용이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발사되는 셔틀콕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되어 발사되도록 하여, 다양한 방향 및 세기로 발사되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배드민턴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는, 상부로 배드민턴용 셔틀콕(11)이 장착되는 셔틀콕투입부(21); 상기 셔틀콕투입부(21)로부터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발사부(31); 상기 셔틀콕투입부(21) 및 셔틀콕발사부(31)를 받쳐주는 배드민턴기저부(41)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셔틀콕발사부(31)는, 상부로 상기 셔틀콕투입부(21)가 설치되고, 하부로 상기 배드민턴기저부(41)가 결합되는 평판형태의 발사플렛폼(32); 상기 발사플렛폼(32)의 선단 부분에 위치되어 중간 상부가 개구된 투입개구부(34)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발사포통부(33); 상기 발사포통부(33)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면서 투입개구부(34)로 투입된 셔틀콕(11)이 발사포통부(33)의 선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선단의 발사노즐(35)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장착봉(36); 상기 셔틀콕장착봉(36)의 후단부분과 결합된 피스톤로드(37)가 결합되는 장착실린더(38)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틀콕발사부(31)의 발사플렛폼(32) 상면 일측에는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공급받고, 장착실린더(38)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피스톤로드(37)가 왕복이동되도록 하고, 셔틀콕장착봉(36)의 발사노즐(35)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압축 공기가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솔레노이드(3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기저부(41)는, 상기 셔틀콕발사부(31)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회동부(42); 상기 셔틀콕발사부(31)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좌우회동부(43)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셔틀콕투입부(21)는, 상측후방에서 하향전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투입통(22); 상기 상투입통(22)의 아래와 연결되고 상측전방에서 하향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투입개구부(34)와 연결되는 하투입통(23)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투입통(22)에는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단속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셔틀콕단속부재(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발사되는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방향과 위치를 이루도록 하고, 특히 셔틀콕의 머리 부분이 날아가는 전방을 향하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배드민턴 연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날개에 비하여 머리 부분이 무거운 셔틀콕의 특성을 살펴, 셔틀콕투입부로 투입되는 셔틀콕이 장착 및 발사가 용이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여,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발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발사되는 셔틀콕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되어 발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 및 세기로 발사되는 셔틀콕을 이용하여 배드민턴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후방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전방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후방에 대한 일부절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일부절결된 상태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대한 셔틀콕 발사과정에 대한 실시예시도로, 도 5는 셔틀콕이 투입되기 전 상태이고, 도 6은 셔틀콕이 투입개구부에 놓여진 상태이며, 도 7은 피스톤로드에 의하여 셔틀콕이 발사포통부의 전방으로 장착된 상태이고, 도 8은 셔틀콕발사부의 전방부분이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이며, 도 9는 셔틀콕발사부로부터 셔틀콕이 발사된 상태이고, 도 10은 셔틀콕 발사 후, 셔틀콕발사부가 수평의 원래 상태로 복원된 상태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배드민턴용 셔틀콕(11)이 장착되는 셔틀콕투입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셔틀콕투입부(21)로부터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발사부(31)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셔틀콕투입부(21) 및 셔틀콕발사부(31)를 받쳐주는 배드민턴기저부(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셔틀콕투입부(21)를 통하여 투입되는 셔틀콕(11)이 셔틀콕발사부(31)에 위치되어 장착된 후, 전방 방향으로 발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의 상세구성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측의 상기 셔틀콕투입부(21)를 살펴보면, 셔틀콕이 안정적으로 투입되기 위해 파이프 형태의 유도관인 투입통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투입통은 상부에서 사용자가 쉽게 셔틀콕(11)을 투입하도록 하면서, 투입통의 아래측은 셔틀콕발사부(31)에 위치되어, 투입된 셔틀콕(11)이 쉽게 셔틀콕발사부(31)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투입통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사각통, 오각통, 타원통, 다각통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단면의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셔틀콕(11)의 날개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안정적으로 셔틀콕(11)이 투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일형태로 하여 투입통이 형성될 수도 있고,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측후방에서 하향전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투입통(22)과, 상기 상투입통(22)의 아래와 연결되고 상측전방에서 하향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투입개구부(34)와 연결되는 하투입통(23)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상투입통(22) 또는 하투입통(23)에는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단속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셔틀콕단속부재(24)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투입되는 셔틀콕(11)이 하나씩 투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의 제어에 의한 전기신호가 셔틀콕단속부재(24)에 전송되어, 전기작동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배드민턴 연습장치(10)에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 또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셔틀콕단속부재(24)가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투입통이 상투입통(22)과 하투입통(23)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셔틀콕(11)이 셔틀콕발사부(31)에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에 의해 발사되는 셔틀콕(11)은 전방으로 무게가 무거운 머리 부분과, 후방으로 비교적 가벼운 날개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야구공이나 테니스공과 같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의 경우, 발사되거나 장착되는 위치나 방향에 무관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에 적용되는 셔틀콕(11)의 경우, 발사되는 셔틀콕(11)이 원하는 장소나 방향으로 발사되기 위해서는 머리 부분이 발사되는 전방으로 위치되어 장착되거나 발사되도록 하고, 반면 날개부분은 후방으로 향해진 상태로 발사 또는 장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구 형상의 볼은 아무렇게나 장착되어도 무관하여 투입통이 아무렇게나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셔틀콕은 투입되는 부재가 알맞게 되어야만 안정적으로 셔틀콕이 발사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투입통(22)이 상부후방에서 하향전방으로 향하도록 하고, 하투입통(23)이 상부전방에서 하향후방으로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즉 상투입통(22)의 상측이 후방으로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후방에서 안전하게 셔틀콕(11)을 투입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하투입통(23)이 상부전방에서 하향후방으로 향하기 때문에, 결국 하투입통(23) 내에서 이동되는 셔틀콕(11)은 경사지게 하여 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셔틀콕(11)은 후방으로 향하면서 셔틀콕발사부(31)의 발사포통부(33)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특히 셔틀콕(11)의 머리 부분이 발사포통부(33)에 먼저 부딪히면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반면, 날개부분은 관성에 의하여 계속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셔틀콕(11)의 머리 부분이 발사포통부(33)에 닿게 된 후 날개부분이 후방으로 향하기 때문에, 결국 머리 부분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발사포통부(33)에 셔틀콕(11)이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투입통(22)과 하투입통(23)의 결합 및 구조의 형태에 의하여 셔틀콕(11)은 안정적으로 셔틀콕발사부(31)에 장착되도록 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셔틀콕발사부(31)는, 상부로 상기 셔틀콕투입부(21)가 설치되고, 하부로 상기 배드민턴기저부(41)가 결합되는 평판형태의 발사플렛폼(32)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발사플렛폼(32)에는, 선단 부분으로 중간 상부가 개구된 투입개 구부(34)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발사포통부(33)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사포통부(33)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면서 투입개구부(34)로 투입된 셔틀콕(11)이 발사포통부(33)의 선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선단의 발사노즐(35)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장착봉(36)이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발사플렛폼(32)의 후단 부분에는 셔틀콕장착봉(36)의 후단부분과 결합된 피스톤로드(37)가 결합되는 장착실린더(38)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장착실린더(38) 내에 피스톤로드(37)가 결합되어 왕복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피스톤로드(37)와 연속되게 결합되는 셔틀콕장착봉(36)도 함께 전후방으로 왕복이동되게 된다. 이때 셔틀콕장착봉(36)의 선단 부분에는 발사포통부(33)에 장착된 셔틀콕(11)이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셔틀콕(11)은 왕복이동되는 셔틀콕장착봉(36)에 의하여 발사포통부(33)의 전방으로 위치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셔틀콕(11)이 전방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셔틀콕 발사 준비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셔틀콕발사부(31)의 발사플렛폼(32) 상면 일측에는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솔레노이드(39)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장착실린더(38)의 작동이 압축 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유압오일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오일펌프(미도시됨)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 라서 오일솔레노이드로 하여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장착실린더(38)의 작동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될 수도 있으며, 반면 셔틀콕이 발사되도록 하는 추력에는 압축공기 또는 탄성부재 등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압축 공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에어솔레노이드(39)의 경우에는, 장착실린더(38)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피스톤로드(37)가 왕복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셔틀콕장착봉(36)의 발사노즐(35)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즉 에어솔레노이드(39)에서는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가 컨트롤러(미도시됨)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각각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물론 에어솔레노이드(39)는 단일의 구성품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장착실린더(38)로 공급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와 발사노즐(35)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가 각각 분리된 구성품으로 하여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하측의 상기 배드민턴기저부(41)는, 상기 셔틀콕발사부(31)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상하회동부(42)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셔틀콕발사부(31)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좌우회동부(43)가 함께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하회동부(42)와 좌우회동부(43) 등에 의하여 셔틀콕(11)은 자유로이 원하는 방향으로 발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에어솔레노이드(39) 등에서 발사노즐(35) 측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는 발사되는 셔틀콕(11)의 사거리도 함께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되는 도 5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셔틀콕투입부(21)로 셔틀콕(11)이 투입되는 것이다. 투입된 셔틀콕(11)은 상투입통(22) 또는 하투입통(23)에 설치된 셔틀콕단속부재(24)에 의하여 단속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씩 셔틀콕발사부(31)의 발사포통부(33)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에어솔레노이드(39)의 작동으로, 장착실린더(38)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며, 이로써 장착실린더(38)와 결합된 피스톤로드(37)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피스톤로드(37)의 전방으로 연결된 셔틀콕장착봉(36)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선두의 발사노즐(35)이 셔틀콕(11)의 날개부분 사이 안쪽을 밀면서 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셔틀콕(11)이 발사포통부(33)의 전방으로 장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배드민턴기저부(41)의 상하회동부(42), 좌우회동부(43) 등의 작동으로, 발사되는 방향을 맞추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에어솔레노이드(39)의 작동으로 발사노즐(35)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며, 이로써 압축 공기에 의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셔틀콕(11) 발사를 완료한 배드민턴 연습장치(10)는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의 제어로, 상하회동부(42), 좌우회동부(43)가 작동되도록 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의 1회 셔틀콕(11)의 발사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고, 이후 계속해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배드민턴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제어컨트롤러(미도시됨)에 프로그램된 작동 프로그램에는 셔틀콕(11)이 발사되는 방향, 셔틀콕(11)의 발사 속도를 다양하게 프로그램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여러가지 상태로 발사되는 셔틀콕(11)으로 하여 충분한 연습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를 이용함으로써, 배드민턴실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재미있고 흥미롭게 배드민턴 놀이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이처럼 다양하고 안정적으로 셔틀콕(11)이 발사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10)는 차지하는 공간이 적게 하여도, 그리고 함께 하는 상대자가 없어도 쉽게 배드민턴 연습 또는 놀이를 할 수 있어서 실력향상 및 놀이를 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 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후방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전방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후방에 대한 일부절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일부절결된 상태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드민턴 연습장치에 대한 셔틀콕 발사과정에 대한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드민턴 연습장치 11 : 셔틀콕
21 : 셔틀콕투입부 22 : 상투입통
23 : 하투입통 24 : 셔틀콕단속부재
31 : 셔틀콕발사부 32 : 발사플렛폼
33 : 발사포통부 34 : 투입개구부
35 : 발사노즐 36 : 셔틀콕장착봉
37 : 피스톤로드 38 : 장착실린더
39 : 에어솔레노이드 41 : 배드민턴기저부
42 : 상하회동부 43 : 좌우회동부

Claims (5)

  1. 상부로 배드민턴용 셔틀콕(11)이 장착되는 셔틀콕투입부(21);
    상기 셔틀콕투입부(21)로부터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발사부(31);
    상기 셔틀콕투입부(21) 및 셔틀콕발사부(31)를 받쳐주는 배드민턴기저부(41);가 포함되어 구비되되,
    상기 셔틀콕발사부(31)는,
    상부로 상기 셔틀콕투입부(21)가 설치되고, 하부로 상기 배드민턴기저부(41)가 결합되는 평판형태의 발사플렛폼(32);
    상기 발사플렛폼(32)의 선단 부분에 위치되어 중간 상부가 개구된 투입개구부(34)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발사포통부(33);
    상기 발사포통부(33) 내부에서 왕복이동되면서 투입개구부(34)로 투입된 셔틀콕(11)이 발사포통부(33)의 선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선단의 발사노즐(35)에서 분사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장착봉(36);
    상기 셔틀콕장착봉(36)의 후단부분과 결합된 피스톤로드(37)가 결합되는 장착실린더(38)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발사부(31)의 발사플렛폼(32) 상면 일측에는 에어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공급받고, 장착실린더(38)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피스톤로드(37)가 왕복이동되도록 하고, 셔틀콕장착봉(36)의 발사노즐(35)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셔틀콕(11)이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압축 공기가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솔레노이드(3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3. 상부로 배드민턴용 셔틀콕(11)이 장착되는 셔틀콕투입부(21);
    상기 셔틀콕투입부(21)로부터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발사되도록 하는 셔틀콕발사부(31);
    상기 셔틀콕투입부(21) 및 셔틀콕발사부(31)를 받쳐주는 배드민턴기저부(41);가 포함되어 구비되되,
    상기 셔틀콕투입부(21)는,
    상측후방에서 하향전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투입통(22);
    상기 상투입통(22)의 아래와 연결되고 상측전방에서 하향후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하투입통(23)이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투입통(22)에는 투입되는 셔틀콕(11)이 단속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셔틀콕단속부재(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연습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90095541A 2009-10-08 2009-10-08 배드민턴 연습장치 KR10111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41A KR101118557B1 (ko) 2009-10-08 2009-10-08 배드민턴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41A KR101118557B1 (ko) 2009-10-08 2009-10-08 배드민턴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07A KR20110038307A (ko) 2011-04-14
KR101118557B1 true KR101118557B1 (ko) 2012-02-24

Family

ID=4404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541A KR101118557B1 (ko) 2009-10-08 2009-10-08 배드민턴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5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71A (ko) * 2016-12-26 2018-07-04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CN110280001A (zh) * 2019-07-08 2019-09-27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可调羽毛球落向的教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077B1 (ko) * 2012-12-17 2014-07-10 광주광역시 광산구 셔틀콕 발사장치
KR101585181B1 (ko) * 2014-11-26 2016-01-21 김창식 단발셔틀콕 발사장치
KR101709766B1 (ko) * 2015-07-27 2017-02-23 이수열 배드민턴 연습장치
CN107456746A (zh) * 2017-10-11 2017-12-12 杨林弋 一种羽毛球发射装置及羽毛球陪练机
CN108905159A (zh) * 2018-08-17 2018-11-30 季晨 储球机构及具有该储球机构的羽毛球发球装置
KR102384636B1 (ko) * 2020-06-25 2022-04-08 송봉화 배드민턴 셔틀콕 발사장치
CN115337621B (zh) * 2022-09-19 2023-06-02 天水师范学院 一种羽毛球扣杀训练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212440A (ja) *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06B1 (ko) * 2006-10-25 2007-04-18 유종 배드민턴 연습장치
JP2008212440A (ja) * 2007-03-06 2008-09-18 Masashi Urano シャトル発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271A (ko) * 2016-12-26 2018-07-04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1963335B1 (ko) 2016-12-26 2019-03-28 김창식 배드민턴 연습장치의 제어방법
CN110280001A (zh) * 2019-07-08 2019-09-27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可调羽毛球落向的教学装置
CN110280001B (zh) * 2019-07-08 2021-02-12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可调羽毛球落向的教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07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55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070072704A1 (en) Batting trainer for inexperienced players
KR101069272B1 (ko) 탁구 연습장치
JP2014501903A (ja) リアリティが向上したエアソフトガン構造及び圧縮ガスカートリッジ用の安全なガス化システム
US20100041305A1 (en) Toy
KR101760132B1 (ko) 배드민턴 셔틀콕 다방향 자동발사장치
CN109589598B (zh) 游戏盘
KR20120086171A (ko) 축구공 발사체
US20100133747A1 (en) Pneumatic game
KR102312181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US9545553B2 (en) Projectile launching device
CN111001148A (zh) 排球发球机
CN209286632U (zh) 游戏盘
JP7278579B2 (ja) ボール発射装置
CN106390481A (zh) 互动游戏枪及使用方法
US3797472A (en) Shuttlecock and launching apparatus including lengthening coupler
US3936052A (en) Projector and dispenser activated when all targets are hit
JP6448240B2 (ja) 空気圧を用いるボール発射装置
US3690660A (en) Horseshoe catapulting apparatus having a remote control feature
Gibbs Badminton-teaching concepts
KR102266261B1 (ko)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KR101129648B1 (ko) 골프공 오토 디스펜서
KR101901786B1 (ko) 정구공 발사장치
CN205198920U (zh) 射击游戏枪的扳机系统
CN101032664B (zh) 一种桌式篮球游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