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261B1 -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261B1
KR102266261B1 KR1020190054098A KR20190054098A KR102266261B1 KR 102266261 B1 KR102266261 B1 KR 102266261B1 KR 1020190054098 A KR1020190054098 A KR 1020190054098A KR 20190054098 A KR20190054098 A KR 20190054098A KR 102266261 B1 KR102266261 B1 KR 10226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pillars
fra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537A (ko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filed Critical 김상섭
Priority to KR102019005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2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63B2071/06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9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Π형이 되도록, 좌우측에 기둥(200, 300)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200, 300)의 상단에 보(400)가 연결된 것이고, 상기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어 상호 통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기둥(200, 300)의 대향면(203, 303)과 상기 보(400)의 하면(403)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다수의 공기노즐(510, 520, 53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노즐(510, 520, 5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6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스크린 게임을 통해서 실제 자연 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 실력을 제대로 배양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실제로 아웃도어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풍향과 강우를 스크린의 전방에서 실현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필드에서도 경기가 가능한 실력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자연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점수가 향상될수록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Equipment for realizing bad weather for screen games}
본 발명은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크린의 전방에 배치되어 악천후를 연출하기 위해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불도록 하므로 실제로 아웃도어에서 게임을 체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로서 사격용 스크린 게임의 플레이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최근 들어 사격, 골프, 야구, 테니스 등의 스포츠를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스크린 게임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스크린 게임은 과녁 내지는 경기장의 영상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탄환(B)을 상기 과녁에 맞추거나 볼을 상기 경기장에 타격하여 실제로 아웃도어에서 게임하는 것과 유사한 기분과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운동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이 야외에 나가지 않고서도 취미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스크린 게임의 경우, 스크린을 대형 모니터(R)로 구비할 수도 있고,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R)의 경우 자체 영상을 출력하게 되고, 시트의 경우에는 빔프로젝터의 빛을 반사시켜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격을 하는 경우에는 탄환(B)이 장전된 총(G)을 사용하여 영상으로 출력되는 과녁을 향하여 사격을 함으로써 자체 채점 프로그램에 의해 점수가 계산된다. 상기 과녁은 정지된 것일 수도 있고 움직이는 동물이 될 수도 있다.
골프나 야구 등 볼을 사용하는 경기의 경우에는 골프채 내지는 배트와 같은 운동 기구를 사용하여 볼을 타격하여 스크린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자체 채점 프로그램에 의해 점수가 계산된다.
그런데 이러한 스크린 게임은 실제로 경기장에서 플레이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현장을 체험하도록 한 데 메리트가 있지만, 실제로 아웃도어에서는 바람이 불기도 하고 비가 내리기도 하는 악천후가 일반적인데, 이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크린 게임을 통해서 실력을 쌓았다고 하더라도 실제 경기장에서는 무용지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례로서, 사격을 하는 경우 실내에서 스크린 게임을 통해서 실력을 쌓았다고 하더라도 필드에서는 풍속 내지는 강우에 의해서 탄환의 경로가 변경됨으로써 제대로 목표물을 맞추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골프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서 풍향과 강우로 인해서 비거리 내지는 착지가 제대로 나오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스크린 게임을 통해서 실제 자연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 실력을 제대로 배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 아니라, 상기 악천후를 연출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 내용이 단순하게 되어 재미를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악천후를 통해서 경기를 진행함으로써 경기의 난이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점수가 향상될 적마다 성취도가 올라가지만 배경기술에서는 이러한 성취감을 느낄 수 없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816994호 (2018년 01월 03일)
본 발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크린 게임을 통해서 실제 자연 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 실력을 제대로 배양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실제로 아웃도어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풍향과 강우를 스크린의 전방에서 실현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필드에서도 경기가 가능한 실력이 체득되도록 한다.
둘째, 자연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점수가 향상될수록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Π형이 되도록, 좌우측에 기둥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의 상단에 보가 연결된 것이고, 상기 기둥과 보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통하는 프레임과, 상기 기둥의 대향면과 상기 보의 하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과 보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다수의 공기노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보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다수의 물노즐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물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기둥과 보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공기노즐이 연결된 공기매니폴더와, 각각의 상기 공기매니폴더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공기호스와, 각각의 상기 내부공기호스가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전자밸브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수단이, 상기 보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물노즐이 연결된 물매니폴더와, 상기 물매니폴더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물호스와, 상기 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용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물호스에 연결된 외부물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자밸브에 신호를 발신하여 외부공기호스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면에 부착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 후방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과녁판과, 상기 과녁판의 전면에 부착된 탄성패드와, 상기 용기의 내측 하면에 형성된 관통구와, 상기 내측 하면에 세워진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과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는 축과, 상기 축의 상단에 하면이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된 상부단자와, 상기 상부단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내측 하면에 부착된 하부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단자와 하부단자에는 전기가 접속되어 상호 접촉 시 전기가 도통되어 전기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밸브에 유입되는 공기를 폐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에 장착되어 인조눈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강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설부는, 상기 보의 내측하면에 고정되어 스노우스프레이가 탈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스노우스프레이의 노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하면에 고정된 액튜에이터와, 상기 내측하면에 관통되고 상기 노즐에 대응되는 분사구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스크린 게임을 통해서 실제 자연 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할 수 없기 때문에 경기 실력을 제대로 배양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실제로 아웃도어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풍향과 강우를 스크린의 전방에서 실현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필드에서도 경기가 가능한 실력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자연환경의 악천후를 체험하도록 함으로써 경기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점수가 향상될수록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므로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위치가 더 구성된 경우, 상기 스위치에 탄환이나 볼을 수용시킴으로써 강우 내지는 바람을 멈출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더욱 용이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강설부가 더 구성된 경우, 인조눈의 강설이 가능하므로 경기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실제 필드에서 강설 시에도 게임이 가능하도록 실력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로서 사격용 스크린 게임의 플레이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내장되는 전자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공기와 물의 분사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의 사용례로서 공기를 분사시켜서 바람이 부는 상태를 연출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의 사용례로서 물을 분사시켜서 비가 내리는 상태를 연출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스크린의 전방에 다수 대 배치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장착된 스위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4의 상태에서 강설부가 더 추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장착된 강설부에 스노우스프레이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한 과정으로 스노우스프레이가 강설부에 장착되고 액튜에이터의 로드는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상태에서 액튜에이터의 로드가 전진하여 스노우스프레이의 노즐을 가압하여 인조눈이 분사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90)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Π형이 되도록, 좌우측에 기둥(200, 300)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200, 300)의 상단에 보(400)가 연결된 프레임(100)이 구성되는데,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어 상호 통하게 구성된다. 기둥(200, 300)의 하단에는 받침대(210, 310)가 연결되므로 실내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둥(200, 300)의 대향면(203, 303)과 보(400)의 하면(403)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기둥(200, 300)과 보(400)에 형성된 관통구(H)에 끼워져서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공기노즐(510, 520, 5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공기노즐(510, 520, 5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600)이 구성된다.
또한, 보(400)의 하면(403)에 배치되도록, 보(4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물노즐(70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물노즐(7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710)이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공기공급수단(600)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공기노즐(510, 520, 530)이 연결된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가 구성된다.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는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 수용이 용이하도록 바(bar)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공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일례로서,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가 각각 기둥(200, 300), 보(400)에 고정되기 위해서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에 연결되고, 프레임(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가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가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밸브(650)가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전자밸브(650)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호스(670)가 구성된다.
일례로서, 외부공기호스(670)는 일측 기둥(200 또는 300)을 관통하고, 상기 기둥(200 또는 300)에 전자밸브(65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외부공기호스(67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전자밸브(650)에는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가 연결되어 각각의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자밸브(650)는 전기의 온오프(on/off)에 의해서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개폐함으로써 공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외부공기호스(670)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므로 공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좌우측의 상기 기둥(200, 300)에는 좌우 바깥쪽 측면에 개방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20)를 개폐하는 도어(201)가 장착되므로 공기매니폴더(610, 62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400)는 상면에 개방구(420)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420)를 개폐하는 도어(401)가 장착되므로 공기매니폴더(63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전자밸브(650)에 전기가 인가되면, 외부공기호스(670), 전자밸브(650) 및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거쳐서 각각의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에 충전된 후 각각의 공기노즐(510, 520, 530)을 통해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물공급수단(710)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보(400)의 내부에 공기매니폴더(630)와 나란하게 수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물노즐(700)이 연결된 물매니폴더(711)가 구성된다. 일례로서 물매니폴더(711)는 보(400)의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서 보(400)의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물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진 것으로서 보(400)의 내부에 수용이 용이하도록 바(bar)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물매니폴더(711)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물호스(713)가 구성된다. 즉, 보(400)를 통해서 일측 기둥(200 또는 30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기둥(200, 3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조(715)가 구성되고, 상기 수조(715)에 수용된 펌프(717)가 구성되는데 수중펌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717)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물호스(713)에 연결된 외부물호스(719)가 구성된다.
상기 물매니폴더(711) 역시 상기 도어(401)를 통해서 유지보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펌프(717)에 전기가 인가되면 수조(715)에 수용된 물은 펌프(717), 외부물호스(719), 내부물호스(713)를 거쳐서 물매니폴더(711)에 충전된 후 각각의 물노즐(700)을 통해서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된 물은 수조(715)에 떨어진 후 다시 펌프(717)를 통해서 상기 사이클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외부공기호스(670)에 연결된 전자밸브(650) 및 상기 외부물호스(719)에 연결된 펌프(717)는 전기의 온오프(on/off)에 의해서 작동 여부가 결정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공기노즐(510, 520, 530)에서 공기의 분사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물노즐(700)에서 물의 분사 여부가 결정된다. 일례로 상기 전자밸브(650)는 전기가 온(on) 상태일 때는 개방되어 공기가 내부공기호스(641, 620, 630)와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로 유입되어 각각의 공기노즐(510, 520, 530)로 배출되고, 오프(off) 상태일 때는 폐색되어 공기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20, 630)를 선별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20, 630)이 연결된 노즐이 구성되고, 상기 노즐들을 선별적으로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좌측의 기둥(200)의 공기노즐(510)에서만 공기를 분사시킬 수도 있고, 모든 공기노즐(510, 520, 530)에서 분사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의 온오프(on/off)는 사람 또는 제어부에 의해서 무작위 내지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반복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구성된 경우 모니터(M)가 접속되므로 풍향을 게이머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가 전자밸브(650)에서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개폐하는 정보를 감지하여 풍향을 상기 모니터(M)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어부가 전자밸브(650)를 선별적으로 온오프(on/off)시키므로 이러한 정보를 모니터(M)에 풍향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 대신에 사람이 온오프(on/off) 작업을 할 때에는 사람이 풍향 정보를 모니터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본 발명의 작동을 멈출 수 있는 기술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공기와 물의 분사를 정지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작동의 멈춤이 사람 내지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작동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 도시한 것처럼, 상기 프레임(100), 즉, 기둥(200, 300) 또는 보(4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자밸브(650)에 신호를 발신하여 외부공기호스(670)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스위치(800)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800)는 2개가 구성되어 일측은 전자밸브(650)에 인가되는 전기를 오프(off)시키도록 하고, 상대측은 펌프(717)를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양측의 상기 스위치(800)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면에 부착된 용기(810, 容器)가 구성되고, 상기 용기(810)의 상단 후방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과녁판(820)이 구성되며, 상기 과녁판(820)의 전면에 부착된 탄성패드(825)가 구성된다. 상기 탄성패드(825)는 일례로서 탄환이나 볼의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직물지나 고무 내지는 우레탄 또는 스티로폼 등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810)의 내측 하면(811)에 관통구(813)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하면(811)에 세워진 압축스프링(8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830)과 상기 관통구(813)를 통과하는 축(840)이 구성되고, 상기 축(840)의 상단에 하면이 연결되어 상기 용기(810)의 내부에 수용된 플레이트(8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850)의 하면에 상부단자(860)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단자(860)에 대응되도록 상기 내측 하면(811)에 부착된 하부단자(870)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는 납작한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어긋나지 않고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링 형상이 아닐 경우 상기 축(840)이 회전하게 되면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가 어긋나게 되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가 링 형상이 아닐 경우에는 축(840)의 단면이 각형이고 관통구(813)도 이에 부합하는 각형이어야 축(84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에는 전기가 접속되어 상호 접촉 시 전기가 도통되어 전기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스위치(80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밸브(650)를 오프(off)시키므로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폐색시켜 공기 분사를 멈추거나, 상기 펌프(717)를 오프(off)시키므로 물 분사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830)은 탄환 내지는 볼의 갯수에 따라 압축 여부가 미리 결정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일례로서 탄환 1개일 때 압축스프링(830)이 압축되면서 플레이트(850)가 하강하도록 할 수도 있고, 2개일 때 플레이트(850)가 내려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인조눈이 내리도록 강설부(900)가 더 추가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도 4의 상태에서 강설부가 더 추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장착된 강설부에 스노우스프레이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한 과정으로 스노우스프레이가 강설부에 장착되고 액튜에이터의 로드는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상태에서 액튜에이터의 로드가 전진하여 스노우스프레이의 노즐을 가압하여 인조눈이 분사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강설부(900)는 보(400)에 장착되어 인조눈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400)의 내측하면(X)에 고정되어 스노우스프레이(930)가 탈착되는 홀더(920)가 구성되고, 상기 홀더(920)에 장착된 스노우스프레이(930)의 노즐(935)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하면(X)에 고정된 액튜에이터(9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하면(X)에 관통되고 상기 노즐(935)에 대응되는 분사구(E)가 구성된다.
상기 스노우스프레이(930)는 모기약처럼 형성된 것으로서 인조눈의 재료가 충전되는 용기(933, 容器)와 상기 용기(933)에 장착되어 누르면 인조눈이 분사되고 놓으면 상방으로 복원되어 분사가 차단되는 노즐(935)이 구성된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920)는 상기 내측하면(X)에 고정된 바(923, bar)가 구성되고, 상기 바(923)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용기(933)를 수용하는 C형의 클램프(921)가 구성되며, 상기 바(923)의 상대측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933)가 밀리지 않도록 받치는 지지부(925)가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921)는 탄성이 구비되어 힘을 가하여 벌리면 벌어지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대로 복원되어 오므려지는 것이다.
상기 액튜에이터(910)는 솔레노이드 내지는 공압실린더 등 다양한 것이 가능한데 로드(911)가 구성되어 상기 노즐(935)을 밀기도 하고 놓을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925)에 의해서 스노우스프레이(930)의 용기(933)가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 내지는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액튜에이터(910)를 불규칙 내지는 규칙적으로 노즐(935)을 누르기도 하고 누른 상태를 해제하기도 하므로 자연 상태의 강설을 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90)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의 사용례로서 공기를 분사시켜서 바람이 부는 상태를 연출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의 사용례로서 물을 분사시켜서 비가 내리는 상태를 연출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를 스크린의 전방에 다수 대 배치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장착된 스위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스크린(N)의 전방에 본 발명 한 대를 배치한다. 즉, 양측 기둥(200, 300)과 보(400) 사이에 스크린(N)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N)은 사격 내지는 골프, 테니스 등 다양한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조(715)에 물이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공기호스(670)는 압축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시킨 후 압축기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자밸브(650)는 전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폐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게이머가 상기 스크린(N)을 향해서 사격하거나 볼을 타격한다. 이때, 사람 내지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무작위로 상기 전자밸브(650)와 펌프(717)를 온오프(on/off)시킨다. 그러면, 좌우측 기둥(200, 300)과 보(400)에 장착된 공기노즐(510, 520, 530)에서 무작위로 공기가 분사되기도 하고 멈추기도 한다. 즉, 임의로 부는 바람이 연출된다. 이때, 공기가 분사되어 바람을 연출할 때에는 공기가 외부공기호스(670), 전자밸브(650) 및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거쳐서 각각의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에 충전된 후 각각의 공기노즐(510, 520, 530)을 통해서 분사된다. 이때, 전자밸브(650)에 전기 신호를 주어서 선별적으로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개폐함으로써 좌측에서만 바람이 불도록 할 수도 있고, 상측과 우측에서 동시에 바람이 불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풍향을 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날아가는 탄환이나 볼이 의도와는 다르게 스크린(N)의 목표 지점에서 빗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M)에는 풍향 정보가 출력되므로 게이머는 상기 정보를 감안하여 사격을 하거나 볼을 타격하므로 적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400)에 장착된 물노즐(700)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물이 분사된다. 그러면, 임의로 내리는 비가 연출된다. 즉, 펌프(717)에 전기가 인가되면 수조(715)에 수용된 물은 펌프(717), 외부물호스(719), 내부물호스(713)를 거쳐서 물매니폴더(711)에 충전된 후 각각의 물노즐(700)을 통해서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된 물은 수조(715)에 떨어진 후 다시 펌프(717)를 통해서 상기 사이클을 반복한다. 따라서, 날아가는 탄환이나 볼이 의도와는 다르게 스크린(N)의 목표 지점을 벗어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전기적 온오프를 규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게이머가 비와 바람을 예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 기재한 일련의 과정으로 게이머는 강우와 풍향을 감안하여 사격과 볼을 타격함으로써 실제로 아웃도어에서 게임하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하게 되어 실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키므로 스릴과 재미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례로서, 사격을 하는 경우에는 야외에서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는 환경에서 사냥하는 체험을 할 수 있고, 골프를 치는 경우에는 필드에서 강우와 풍향을 감안하여 볼을 타격하는 감각을 익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게임하는 것만으로도 아웃도어에서 충분히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강설부(900)의 액튜에이터(910)를 사람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작동하므로 로드(911)가 스노우스프레이(930)의 노즐(935)을 푸시하기도 하고 푸시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구(E)를 통해서 인조눈을 분사시킬 수도 있고 분사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비와 바람 뿐만 아니라 눈이 내리는 자연 상태도 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게임의 난이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자연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게임할 수 있도록 실력이 배양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강우와 바람을 게이머가 멈춘 상태에서 사격 내지는 볼을 타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위치(800)를 더 구성할 수 있는데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서처럼, 상기 플레이트(850)가 압축스프링(830)의 팽창에 의해 상승되어,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과녁판(820)을 향하여 사격을 하거나 볼을 타격한다. 그러면, 탄환이나 볼이 과녁판(820)의 탄성패드(825)에 충돌한 후 완충되면서 용기(810)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패드(825)는 충돌하는 탄환이나 볼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므로써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하도록 한다. 그리고 과녁판(82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탄환이나 볼을 하방으로 용이하게 떨어지게 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탄환 내지는 볼은 플레이트(850)에 떨어지게 되고 탄환 또는 볼의 무게에 의해서 압축스프링(830)이 하강하면서 플레이트(850)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축(840)이 관통구(813)를 통과하면서 플레이트(850)의 하강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탄환 또는 볼의 갯수에 따라 압축스프링(830)의 압축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탄환이나 볼이 1개일 때 플레이트(850)가 하강하도록 할 수도 있고, 4개일 때 하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가 접촉하게 되면,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로 전기가 도통되면서 이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신호를 발신한 스위치(800)가 전자밸브(650)에 접속된 것이면 제어부는 상기 전자밸브(650를 오프(off)시켜서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를 모두 폐색시킨다. 그리고 전기신호를 발신한 스위치(800)가 펌프(717)에 접속된 것이면 상기 펌프(717)을 오프(off)시켜서 강우를 멈추게 한다.
즉, 게이머는 바람과 강우가 연출되는 중에 탄환이나 볼을 효율적으로 목표 지점에 맞추기 위해서 바람과 강우를 멈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800)의 과녁판(820)을 탄환이나 볼로 맞춤으로써 바람과 강우를 멈출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보다 용이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스위치(800)를 더 구성함으로써 게임의 스릴과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2에서처럼, 본 발명 다수 대를 스크린(N) 앞에 배열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므로 각각의 본 발명에서 다르게 바람과 비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맨 앞의 것은 좌측에서 바람이 불고, 두 번째 것은 우측에서 바람이 불고, 세 번째 것은 비가 내리고 바람이 좌우측과 상방에서 동시에 불도록 하는 연출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서 게임의 난이도를 높이게 되어 성취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다수 대를 배열할 때 상기 스위치(8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위치(800)가 맨 앞의 본 발명에만 장착되고 후방의 것에는 장착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800)의 작동에 의해서 배치된 본 발명 전부의 작동을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인조눈이 내리도록 강설부(900)가 더 추가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도 4의 상태에서 강설부가 더 추가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에 장착된 강설부에 스노우스프레이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한 과정으로 스노우스프레이가 강설부에 장착되고 액튜에이터의 로드는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한 상태에서 액튜에이터의 로드가 전진하여 스노우스프레이의 노즐을 가압하여 인조눈이 분사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강설부(900)는 보(400)에 장착되어 인조눈을 하방으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400)의 내측하면(X)에 고정되어 스노우스프레이(930)가 탈착되는 홀더(920)가 구성되고, 상기 홀더(920)에 장착된 스노우스프레이(930)의 노즐(935)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하면(X)에 고정된 액튜에이터(9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하면(X)에 관통되고 상기 노즐(935)에 대응되는 분사구(E)가 구성된다.
상기 스노우스프레이(930)는 모기약처럼 형성된 것으로서 인조눈의 재료가 충전되는 용기(933, 容器)와 상기 용기(933)에 장착되어 누르면 인조눈이 분사되고 놓으면 상방으로 복원되어 분사가 차단되는 노즐(935)이 구성된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920)는 상기 내측하면(X)에 고정된 바(923, bar)가 구성되고, 상기 바(923)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용기(933)를 수용하는 C형의 클램프(921)가 구성되며, 상기 바(923)의 상대측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933)가 밀리지 않도록 받치는 지지부(925)가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921)는 탄성이 구비되어 힘을 가하여 벌리면 벌어지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대로 복원되어 오므려지는 것이다.
상기 액튜에이터(910)는 솔레노이드 내지는 공압실린더 등 다양한 것이 가능한데 로드(911)가 구성되어 상기 노즐(935)을 밀기도 하고 놓을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사람 내지는 상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액튜에이터(910)를 불규칙 내지는 규칙적으로 노즐(935)을 누르기도 하고 누른 상태를 해제하기도 하므로 자연 상태의 강설을 연출할 수 있다.
90: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100: 프레임
200, 300: 기둥 201, 401: 도어
203, 303: 대향면 205, 305, 405: 관통구
210, 310: 받침대 400: 보
403: 하면 510, 520, 530: 공기노즐
600: 공기공급수단 610, 620, 630: 공기매니폴더
641, 643, 645: 내부공기호스 650: 전자밸브
670: 외부공기호스 700: 물노즐
710: 물공급수단 711: 물매니폴더
713: 내부물호스 715: 수조
717: 펌프 719: 외부물호스
800: 스위치 810: 용기
811: 내측하면 813: 관통구
820: 과녁판 825: 탄성패드
830: 압축스프링 840: 축
850: 플레이트 860: 상부단자
870: 하부단자 900:강설부
910: 액튜에이터 911: 로드
920: 홀더 921: 클램프
923: 바 925: 지지부
930: 스노우스프레이 933: 용기
935: 노즐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Π형이 되도록, 좌우측에 기둥(200, 300)이 세워지고 상기 기둥(200, 300)의 상단에 보(400)가 연결된 것이고, 상기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어 상호 통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기둥(200, 300)의 대향면(203, 303)과 상기 보(400)의 하면(403)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다수의 공기노즐(510, 520, 53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노즐(510, 520, 5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600)을 포함하고,
    상기 보(400)의 하면(403)에 배치되도록, 상기 보(4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된 다수의 물노즐(7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물노즐(7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71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수단(600)은,
    상기 기둥(200, 300)과 보(40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공기노즐(510, 520, 530)이 연결된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와,
    각각의 상기 공기매니폴더(610, 620, 630)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와,
    각각의 상기 내부공기호스(641, 643, 645)가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밸브(650)와,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상기 전자밸브(650)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호스(670)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수단(710)은,
    상기 보(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물노즐(700)이 연결된 물매니폴더(711)와,
    상기 물매니폴더(711)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물 호스(713)와,
    상기 기둥(200, 300) 사이에 배치되는 수조(715)와,
    상기 수조(715)에 수용된 펌프(717)와,
    상기 펌프(717)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물호스(713)에 연결된 외부물호스(719)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자밸브(650)에 신호를 발신하여 외부공기호스(670)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스위치(80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800)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면에 부착된 용기(810)와,
    상기 용기(810)의 상단 후방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기울어진 과녁판(820)과,
    상기 과녁판(820)의 전면에 부착된 탄성패드(825)와,
    상기 용기(810)의 내측 하면(811)에 형성된 관통구(813)와,
    상기 내측 하면(811)에 세워진 압축스프링(830)과,
    상기 압축스프링(830)과 상기 관통구(813)를 통과하는 축(840)과,
    상기 축(840)의 상단에 하면이 연결되어 상기 용기(810)의 내부에 수용된 플레이트(850)와,
    상기 플레이트(850)의 하면에 부착된 상부단자(860)와,
    상기 상부단자(860)에 대응되도록 상기 내측 하면(811)에 부착된 하부단자(87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단자(860)와 하부단자(870)에는 전기가 접속되어 상호 접촉 시 전기가 도통되어 전기 신호를 발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밸브(650)에 유입되는 공기를 폐색하도록 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4098A 2019-05-09 2019-05-09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KR10226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98A KR102266261B1 (ko) 2019-05-09 2019-05-09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98A KR102266261B1 (ko) 2019-05-09 2019-05-09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37A KR20200129537A (ko) 2020-11-18
KR102266261B1 true KR102266261B1 (ko) 2021-06-16

Family

ID=7369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98A KR102266261B1 (ko) 2019-05-09 2019-05-09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2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58B1 (ko) * 2012-04-19 2014-02-13 최정임 스크린골프를 위한 타석 환경제어 시스템
KR101591145B1 (ko) * 2013-07-18 2016-02-04 윤석도 워터스크린 시스템
KR101819637B1 (ko) * 2015-12-04 2018-01-17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인공눈 또는 인공비 효과를 위한 효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효과시스템
KR101816994B1 (ko) 2016-04-28 2018-01-10 (주)타겟존 난이도 선택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사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537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237B2 (en) Sports skills training apparatus
US9533208B2 (en) Socc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050134001A1 (en) Interchangeable modular ball game apparatus
US9272197B2 (en)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US9278270B2 (en)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US20040160011A1 (en) Simulated basketball game
US20130344996A1 (en)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KR101118557B1 (ko) 배드민턴 연습장치
US20110152011A1 (en) Ball Toss Up Apparatus for Batting Practice and Game Play
US9427643B2 (en) Ball hurling target game and associated apparatus
US11052305B2 (en) Curling game apparatus
AU2016200504A1 (en) Improved ball game and apparatus
KR20060121252A (ko) 던지고 잡는 훈련 기구
US20100133747A1 (en) Pneumatic game
KR102266261B1 (ko) 스크린 게임용 악천후 실현 장치
US20020094889A1 (en) Racquet game with foam ball and net stand apparatus
US5344142A (en) Simulated volleyball game and air bubble scoring system
US20030228943A1 (en) Strike zone pitching backstop
US20200171377A1 (en) Speed and agility game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US4334682A (en) Simulated ball sport amusement instrument
EP0319045A2 (en) Apparatus for practice and playing of tennis
CN109331443B (zh) 一种足球定位球训练辅助装置
CN101032664B (zh) 一种桌式篮球游戏机
EP0281539B1 (en) Arrangement for training and practising a game of go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